KR20230057063A -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063A
KR20230057063A KR1020210141038A KR20210141038A KR20230057063A KR 20230057063 A KR20230057063 A KR 20230057063A KR 1020210141038 A KR1020210141038 A KR 1020210141038A KR 20210141038 A KR20210141038 A KR 20210141038A KR 20230057063 A KR20230057063 A KR 2023005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stics
plan
work
vehicle
ware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인팜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인팜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인팜케어
Priority to KR102021014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063A/ko
Publication of KR2023005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 수요자와 물류 제공자 사이에서의 물류를 운영하는 시스템은 물류를 운송하기 위한 차량, 물류에 해당하는 물류창고, 물류창고에서의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의 작업 현황 및 물류의 흐름에 해당하는 물류 정보를 수집하여, 물류 정보를 토대로 차량, 물류창고, 인력의 작업 현황 및 물류의 흐름 별로 물류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통합운영 모듈과 물류 운영 계획을 토대로 물류 중계 서비스를 물류 수요자와 물류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허브 모듈을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물류 수요자와 물류 제공자 간에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공유 할 수 있으며,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물류 수요자와 물류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Logistics operation methods and systems that can support optimized oper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본 발명은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로지스틱스(ubiquitous Logistics, 이하 "u-Logistics"라고 함) 기반의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를 운영하는 방법은 물류 운영 계획 및 실행 관리가 숙달된 현장 담당자의 과거의 경험(예를 들어, 물량 추 세, 업무 처리 능력)을 토대로 물류의 운영 계획이 수립되고 조정된다.
각각의 물류 수행자는 전산 시스템을 활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나, 각각의 최적화 또는 전체 최적화를 달 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생성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물류 운영 계획은 전산 시스템을 활용하여 계획기반 운영을 추구하고 있으나, 물류 산업의 노동집약적이고 낙후된 인식으로 인하여 첨단 정보 기술 적용을 가로막는 장애가 되고 있다.
종래의 물류를 운영하는 방법에서 물류정보를 중계하는 서비스는 화주와 차주/창고주간에 요구사항을 매칭시켜 주는 웹기술 기반 정보 공유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물류실행 과정에서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제공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때문에, 물류 수요자와 제공자 사이의 요구를 매칭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라고 함)/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고 함)을 활용하여 차량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정도로 운영되고 있다.
즉, GIS/GPS 등의 위치정보와 무선 통신 모듈을 활용한 운송차량 위치추적을 제외한 창고에서의 재고량, 작업 일정, 작업 부하 등의 정보는 자동으로 생성하기도, 제공받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류 주체들(예를 들어, 화주, 차주, 창고주 등)간에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RFID 등과 같은 인지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생성/공유하고,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물류 수요자와 물류 제공자 사이에서의 물류를 운영하는 시스템은
상기 물류를 운송하기 위한 차량, 상기 물류에 해당하는 물류창고, 상기 물류창고에서의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 의 작업 현황 및 물류의 흐름에 해당하는 물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물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 물류창고, 인력의 작업 현황 및 물류의 흐름 별로 물류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통합운영 모듈, 그리고 상기 물류 운영 계획을 토대로 물류 중계 서비스를 상기 물류 수요자와 상기 물류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허브 모듈을 포함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물류를 운영하는 방법은
상기 물류를 운송하는 차량, 상기 물류에 해당하는 물류 창고를 운영하는 설비 및 작업 인력이 소지하는 단말로 부터 물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물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운송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 및 상기 차량 내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상태를 관리하는 단계, 수집한 물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물류창고 내 작업 인력 및 설비의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인력 및 설비를 토대로 물류 운영이 가능한지를 점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의 상태, 상기 화물의 상태 및 점검한 결과를 토대로 작업 현황을 분석하여, 분석한 작 업 현황에 따라 물류 운영 계획을 포함하는 물류 중계 서비스를 물류 수요자와 물류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영 시스템의 수요자는 물류서비스 제공자의 현황(업무 부하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 제공자 중에 선택하여 계약을 맺을 수 있다. 여기서, 단순히 물류 제공자가 입력한 정 보가 아니라, 실제 운영 계획과 연동된 신뢰할 만한 정보를 기반으로 물류 아웃소싱 서비스를 위한 제공자를 판 단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서비스의 수요자는 물류 흐름에 대해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물류 과정 중에 발생하는 이벤 트에 대해 즉각 통보받고, 제어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영 시스템의 제공자는 수작업으로 계산하기 어려운 업무 로드 및 유휴 처리 용량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고, 작업 중 발생하는 작업 순위 결정, 운송 경로 결정, 인력 배치 등의 업무 에 대해 최적화된 결과를 얻고 활용할 수 있어, 기존의 노동집약적인 물류 업무를 전산화/자동화/지능화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 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 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 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 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 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 (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Logistics)는 제품 생산을 위한 원자재 또는 제품을 목적지까지 배송하고, 필요 에 따라 물류 창고에 보관하는 전 과정이다.
물류의 주요 요소로는 물류센터, 물류차량, 작업인력의 3가지가 있으며, 각 요소의 결합으로 물류 서비스의 품 질 및 가격이 결정된다.
유비쿼터스 로지스틱스(ubiquitous Logistics, 이하 "u-Logistics"라고 함)는 물류 서비스 수요자(예를 들어, 화주, 제조사 일반고객 등)과 물류 서비스 제공자(예를 들어, 차주, 창고주 인력업체 등)간에 상시 통신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하고, 물류 흐름에 대한 현황 및 예측 정보를 양방향(물류 수요자 및 제공자)으로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제어(control and management)할 수 있는 지능(intelligence)을 통해 물류 최적화를 달성하는 물류 운영 방법이다.
물류 센터(Physical distribution center)는 각 공장에서 완성된 제품을 집약하여 수요와 공급의 물류 흐름을 관리하는 기능을 갖춘 물류 시설로서, 운송 시간, 재고 조절 및 수요 정보 획득 등을 수행한다.
물류 차량은 공장/생산지와 물류센터간, 물류센터와 물류센터간, 물류센터와 최종 배송지 간의 운송을 담당한다.
작업 인력은 화물 발착 작업, 적치/픽업 작업, 구분 작업 등을 수행하며, 작업 내역을 PDA 등을 활용하여 보고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영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영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영 시스템은 u-Logistics을 기반으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물류 운영 시스템(10)이 적용되는 환경은 물류 서비스 수요자(예를 들어, 화주, 제조사, 일반 고객 등)(20)와 물류 서비스 제공자(예를 들어, 차주, 창고주, 인력업체 등)(30)간에 상시 통신할 수 있는 채널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영 시스템(10)이 적용되는 환경 예를 들어, 물류작업 현장은 물류를 운송하는 물류차량(40), 물류 센터를 운영하는 구분설비(50) 및 작업 인력이 소지한 단말(6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물류를 운송하는 물류차량(40)에 해당하는 물류 운송 정보를 GIS/GPS, 무 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기술, 바코드(Barcode), 온도센서, VDMS(Vehicle and Driver Management System)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전달받는다. 여기서, 물류를 운송하는 물류 차량(40)은 개인화물 차량, 운송업체 차량 등을 포함한다.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물류 센터를 운영하는 구분설비(50)에 해당하는 물류 운영 정보를 RFID, RTLS, Robot 등을 통해 전달 받는다. 여기서, 물류 센터를 운영하는 구분설비(50)는 RFID 부착설비, 지능형 지게차, 구분 설 비 등을 포함한다.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작업 인력이 소지한 단말(60)을 통해 작업 지시 및 결과 보고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60)은 HCI(Human Computer Interface) 단말이며, 허리착용식 PDA, 골전도 헤드셋, 손목착용식 터치스크린, 손목착용식 RFID 리더 등을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허브(Hub) 모듈(100), 통합운영 모듈(2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300)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는 물류 서비스 수요자(20)와 물류 서비스 제공자(30)간에 물류 중계서비스를 제 공하여 계약 체결 및 사후 실시간 운영 정보를 양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는 물류 서비 스 수요자(20)의 요구사항을 화면(도시하지 않음) 상에 입력하도록 하며, 차량, 창고, 인력의 운영 현황을 표 시한다.
물류 서비스 제공자(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통합운영 모듈(200)과 접속하여 운송계획, 창고 운영 계획, 작업자 관리 등과 같은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실시간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다.
허브 모듈(100)은 주문관리부(110), 현황관리부(120), 물류중계부(130) 및 허브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주문관리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물류 서비스 수요자(20)로부터 물류 자원의 운영 상황 보고
를 요청 받는 경우, 이를 접수한다.
현황관리부(120)는 통합운영 모듈(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작업 현황에 해당하는 작업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요 청에 대응하는 물류 자원의 운영 상황을 표시한다.
물류중계부(130)는 물류 서비스 수요자(20)의 요청에 대응하는 물류 중계 서비스를 물류 서비스 수요자(20)에게 제공한다.
허브 저장부(140)는 물류 서비스 수요자(20)의 요청, 취합한 작업 현황 정보 및 물류 서비스 수요자(20)자에게 제공하는 물류 중계 서비스 내역을 저장한다.
통합운영 모듈(200)은 물류운송 운영부(210), 물류창고 운영부(220), 단말 운영부(230), 운송 정보 저장부 (240), 창고 정보 저장부(250), HCI 저장부(270) 및 미들웨어(280)를 포함한다.
물류운송 운영부(210)는 운송 계획부(211), VDM(Vehicle and Driver Management)(212) 및 화물 관리부(213)를 포함한다.
운송 계획부(211)는 물류의 운송을 계획하며, 예를 들어 수송계획, 배송계획 및 배차 계획 등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수송계획은 예를 들어, 집중국-집중국, 집중국-교환센터 등의 물류 거점간 운송편을 편성하며, 물류
차량(40)의 적재율과 발생 빈도에 따라 정기편 또는 임시편을 신설하거나 감차한다
배송계획은 예를 들어, 집중국-우체국, 물류센터-집배센터 등의 물류 거점과 하부 거점간의 운송편 편성 및 경 로 계획을 수립하며, 운송편 편성시 운송비와 운송시간을 고려하여 최적 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배송계획은 실 시간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운행 중에 발생하는 운송 수요를 참고하여 배송 계획을 수립한다.
배차계획은 수송계획 및 배송계획으로 편성된 차편에 물류차량(40)을 할당한다. 이때, 물류를 운송하는 물류차 량(40)을 소지한 업체 또는 차주(예를 들어, 차량운송업체 또는 개인화물차주)로부터 공차에 대한 정보를 수신 하고 위치, 기존의 실적 등을 고려하여 추천 차량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VDM(212)은 운행 중인 물류차량(40)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전자 운행 일지 등을 작성한다. 화물 관리부(213)은 물류차량(40) 내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상태(온도, 상/하차 내역 등)을 분석한다. 물류창고 운영부(220)는 인력 계획부(221), 설비 계획부(222) 및 부하 분석부(223)를 포함한다.
인력 계획부(221)는 물류창고에서 적치/픽업, 구분, 보관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계획을 수립하고, 업무계획 에 대응하는 작업 인력을 할당한다. 운송이 필요한 물품의 정보는 RFID/Barcode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모니터링 되며, 물품의 작업 내역에 해당하는 정보가 생성된다.
설비 계획부(222)는 인력 계획부(221)에서 수립된 업무계획에 따라 물류 센터를 운영하는 구분설비(50)를 관리 한다. 또한, 설비 계획부(222)는 업무계획에 대응하는 구분설비(50)를 구분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구분설비(50) 구분 계획에 따라 운송용기 수급계획을 수립한다.
부하 분석부(223)는 작업 인력 및 구분설비(50)의 부하를 분석하여 예정된 시간 또는 자원 하에 물류 운영이 가 능한지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작업 현황을 분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물류 서비스 수요자(20) 및 물류 서비스 제공자(30)에게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단말 운영부(230)는 작업 관리부(231) 및 인식부(232)를 포함한다.
작업 관리부(231)는 작업 인력인 작업자와의 통신을 담당하며, 작업자에게 작업을 지시하거나 작업자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인식부(232)는 작업 인력이 소지한 단말(60)로부터 획득한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전산화한다.
운송 정보 저장부(240)는 물류운송 운영부(210)에서의 수송계획, 배송계획 및 배차 계획을 포함하는 물류의 운 송 계획, 작성한 전자 운행 일지 및 물류차량(40) 내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상태 등을 저장한다.
창고 정보 저장부(250)는 물류창고 운영부(220)에서의 업무계획, 할당된 작업 인력, 운송용기 수급계획, 부하 분석부(223)의 분석 결과를 저장한다.
HCI 저장부(270)는 단말 운영부(230)에서의 작업자와의 통신 내역, 단말(6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저장한다. 미들웨어(280)는 물류를 운송하는 물류차량(40), 물류 센터를 운영하는 구분설비(50) 및 작업 인력이 소지한 단 말(60)이 각각 포함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장치로부터 위치정보(GIS/GPS), 화물정보(RFID/Barcode), 차량운행정보(VDMS), 운송용기 정보(RFID/Barcode), 구분설비 정보(Web Service), 작업정보(PDA, 헤드셋, RFID 리더) 등을 수집한다.
다음, 물류 운영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물류작업 현장에 적용되며, 물류작업 현장에 존재하는 물류차량(40), 물류 센터를 운영하는 구분설비(50) 및 작업 인력이 소지한 단말(60)에 해당하는 정보를 토대로 물류 서비스 수요자(예를 들어, 화주, 제조사, 일반고객 등)(20)와 물류 서비스 제공자(예를 들어, 차주, 창고 주, 인력업체 등)(30)에게 물류 운영 정보를 제공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물류를 운송하는 물류차량(40), 물류 센터를 운영하는 구분설비(50) 및 작업 인력이 소지한 단말(60)로부터 위치정보(GIS/GPS), 화물정보(RFID/Barcode), 차량운행정보(VDMS), 운송 용기 정보(RFID/Barcode), 구분설비 정보(Web Service), 작업정보(PDA, 헤드셋, RFID 리더) 등을 수집한다 (S301).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물류 서비스 수요자(20)로부터 물류 자원의 운영 상황 보고를 요청 받는다(S302).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물류 서비스 수요자(20)의 요청에 대응하는 물류 중계 서비스를 물류 서비스 수요자
(20)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물류 서비스 수요자(20)의 요청에 해당하는 물류의 운송을 계획한다 (S303). 여기서, 물류의 운송은 수송계획, 배송계획 및 배차 계획 등을 포함한다.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운행 중인 물류차량(40)의 상태 및 물류차량(40) 내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상태(온도, 상/하차 내역 등)를 분석한다(S304). 또한,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자 운행 일지를 작성 한다
다음,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물류 서비스 수요자(20)의 요청에 해당하는 물류창고에서의 업무계획을 수립하고, 업무계획에 대응하는 작업 인력을 할당한다(S305).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수립한 업무계획에 대응하는 구분설비(50)를 구분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대응하는 운송용기 수급계획을 수립한다(S306).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작업 인력 및 구분설비(50)의 부하를 분석하여 예정된 시간 또는 자원 하에 물류 운영 이 가능한지를 점검하여, 작업 현황을 분석한다(S307).
물류 운영 시스템(10)은 분석한 작업 현황에 따라 물류 중계 서비스를 물류 서비스 수요자(20) 및 물류 서비스 제공자(30)에게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운영 방법은 물류 서비스 수요자(20)와 물류 서비스 제공자(30) 간에 신 뢰할 수 있는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공유 할 수 있으며,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물류 서비스 수요자
(20)와 물류 서비스 제공자(30)에게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물류 수요자와 물류 제공자 사이에서의 물류를 운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류를 운송하기 위한 차량, 상기 물류에 해당하는 물류창고, 상기 물류창고에서의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 의 작업 현황 및 물류의 흐름에 해당하는 물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물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 물류창고, 인력의 작업 현황 및 물류의 흐름 별로 물류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통합운영 모듈, 그리고
    상기 물류 운영 계획을 토대로 물류 중계 서비스를 상기 물류 수요자와 상기 물류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허브 모 듈
    을 포함하는 물류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운영 모듈은
    상기 차량의 운송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 및 상기 차량 내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상태를 관리하는 물류운송 운영부,
    상기 물류창고 내 인력 및 설비의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인력 및 설비를 토대로 물류 운영이 가능한지를 분석하는 물류창고 운영부,
    상기 물류창고 내 인력에게 휴대용 단말을 통해 작업을 지시하거나 작업자로부터 상기 물류 정보를 수신하는 단 말 운영부, 그리고
    상기 물류 정보를 수집하는 미들웨어 를 포함하는 물류 운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운송 운영부는
    상기 물류의 수송계획, 배송계획 및 배차 계획을 수립하는 운송 계획부,
    상기 차량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전자 운행 일지를 작성하는 VDM, 그리고 상기 차량 내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온도, 상/하자 내역을 분석하는 화물 관리부
    를 포함하는 물류 운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창고 운영부는
    상기 물류창고에서의 업무 계획을 수립하고, 수립한 업무 계획에 대응하는 작업 인력을 할당하는 인력 계획부, 상기 업무 계획에 따라 상기 물류창고 내 설비를 구분하는 계획을 수립하는
    설비 계획부, 그리고
    상기 작업 인력 및 설비를 통해 예정된 시간에 물류 운영이 가능한지 점검하는 부하 분석부 를 포함하는 물류 운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운영부는
    상기 작업자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작업 관리부, 그리고
    상기 작업자가 소지한 단말로부터 획득한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전산화 하는 인식부 를 포함하는 물류 운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HCI(Human Computer Interface) 단말이며, 허리착용식 PDA, 골전도 헤드셋, 손목착용식 터치스크린, 손목착용식 RFID 리더인 물류 운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모듈은
    상기 물류 수요자로부터 상기 물류 중계 서비스를 요청 받는 주문관리부, 그리고
    상기 통합운영 모듈로부터 상기 물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물류의 운영 상황을 표시하는 현 황관리부
    를 포함하는 물류 운영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웨어는
    GIS/GPS, RFID/Barcode, VDMS, Web Service, PDA, 헤드셋 및 RFID 리더를 이용하여 상기 물류 정보를 수집하는, 물류 운영 시스템.
  9. 물류를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류를 운송하는 차량, 상기 물류에 해당하는 물류 창고를 운영하는 설비 및 작업 인력이 소지하는 단말로 부터 물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물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운송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 및 상기 차량 내 적재되어 있 는 화물의 상태를 관리하는 단계,
    수집한 물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물류창고 내 작업 인력 및 설비의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인력 및 설비를 토대로 물류 운영이 가능한지를 점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의 상태, 상기 화물의 상태 및 점검한 결과를 토대로 작업 현황을 분석하여, 분석한 작업 현황에 따라 물류 운영 계획을 포함하는 물류 중계 서비스를 물류 수요자와 물류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류 운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의 수송계획, 배송계획 및 배차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전자 운행 일지를 작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 내 적재되어 있는 화물의 온도, 상/하자 내역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류 운영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창고에서의 업무 계획을 수립하고, 수립한 업무 계획에 대응하는 작업 인력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업무 계획에 따라 상기 물류창고 내 설비를 구분하는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작업 인력 및 설비를 통해 예정된 시간에 물류 운영이 가능한지 점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류 운영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GIS/GPS, RFID/Barcode, VDMS, Web Service, PDA, 헤드셋 및 RFID 리더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물류 정보를 수집하는, 물류 운영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수요자는 화주, 제조사, 고객이며, 상기 물류 제공자는 차주, 창고주, 인력업체인 물류 운영 방법.
KR1020210141038A 2021-10-21 2021-10-21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57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038A KR20230057063A (ko) 2021-10-21 2021-10-21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038A KR20230057063A (ko) 2021-10-21 2021-10-21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063A true KR20230057063A (ko) 2023-04-28

Family

ID=8614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038A KR20230057063A (ko) 2021-10-21 2021-10-21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70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3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trailers at receiving facility
Zhai et al. An Internet of Things-enabled BIM platform for modular integrated construction: A case study in Hong Kong
Lyu et al. Towards zero-warehousing smart manufacturing from zero-inventory just-in-time production
US11983656B2 (en) Informed mobility platform for an item processing supervisor or user within a distribution facility
Brewer et al. Intelligent tracking in manufacturing
US20040193466A1 (en) Method and process for managing a yard
Stefansson et al. Performance issues of smart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s
Landers et al. The virtual warehousing concept
Kim et al. Value analysis of location-enable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delivery chain performance
Fang et al. Event-driven multi-agent ubiquitous manufacturing execution platform for shop floor work-in-progress management
KR20100062848A (ko)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328611B2 (en) Vertiport management platform
KR102299328B1 (ko) Tms 기반 통합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30058196A (ko) 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KR20120100602A (ko) 스마트 물류네트워크의 모니터링시스템
Saygin et al. RFID-enabled shared resource management for aerospace maintenance operations: a dynamic resource allocation model
Mahmud Internet of things (IoT) for manufacturing logistics on SAP ERP applications
CN103455899B (zh) 货物运输监管方法
CN112949993A (zh) 一种一线流智能化生产线共享协同平台及方法
US11636563B1 (en) Centralized scheduling for deliveries via vehicles
KR20230141660A (ko) 대체 가능성 로직을 사용하는 인공 지능(ai)-기반 인바운드 계획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7063A (ko) 최적화된 운영 계획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Shamsuzzoha et al. Tracking and Tracing of Global Supply Chain Network: Case Study from a Finnish Company.
KR20020023893A (ko) 4자 물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2024349A (ja) 物流業務支援システム、物流業務支援方法、及び物流業務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