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537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537A
KR20230056537A KR1020220020992A KR20220020992A KR20230056537A KR 20230056537 A KR20230056537 A KR 20230056537A KR 1020220020992 A KR1020220020992 A KR 1020220020992A KR 20220020992 A KR20220020992 A KR 20220020992A KR 20230056537 A KR20230056537 A KR 20230056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key
light source
substrate
button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언
김태훈
정형진
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PCT/KR2022/0156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68675A1/en
Publication of KR2023005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외부로 개구되며,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는 버튼키;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버튼키를 마주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상기 버튼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키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버튼키에 인접하게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키와 상기 기판에 나란한 방향으로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버튼키의 외부로 발산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요구되는 광원의 개수와 소모전력을 줄이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로 개구되며,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는 버튼키;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버튼키를 마주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상기 버튼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키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버튼키에 인접하게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키와 상기 기판에 나란한 방향으로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버튼키의 외부로 발산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요구되는 광원의 개수와 소모전력을 줄이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0), 제어부(20), 히터(30)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카트리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0), 제어부(20), 히터(30) 중 적어도 하나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10), 제어부(20) 및 히터(30)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10), 제어부(20), 히터(30) 및 카트리지(40)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40) 및 히터(30)가 서로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삽입공간(54)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공간(54)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삽입공간(5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54)에는 스틱(200)이 삽입될 수 있다.
히터(30)는 삽입공간(54)의 주변 또는 삽입공간(5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30)는 삽입공간 및/또는 삽입공간(54)에 삽입된 스틱(200)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30)는 스틱(20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히터(30)는 전기 저항성 발열 히터일 수 있다. 히터(30)는 전도성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히터(30)는 삽입공간(54)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30)는 길게 연장된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30)는 상단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틱(200)이 삽입공간(54)에 삽입되면, 히터(30)는 스틱(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히터(30)는 배터리(1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직접 발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도코일(14)은 히터(30) 및 삽입공간(54)을 둘러쌀 수 있다. 유도코일(14)은 삽입공간(54)을 권선할 수 있다. 히터(30)는 유도코일(14)을 통해 흐르는 AC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발열될 수 있다. 자기장은 히터(30)를 관통하여 히터(30) 내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류는 히터(30)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히터(30)는 삽입공간(54)을 둘러쌀 수 있다. 히터(30)는 삽입공간(54)에 삽입된 스틱(200)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히터(30)는 삽입공간(54)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30)는 링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30)는 배터리(1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직접 발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히터(3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3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배터리(10)는, 제어부(20), 히터(30) 및 카트리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배터리(10), 히터(20) 및 카트리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저장된 액체를 통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4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삽입된 스틱(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스틱(200)의 하단은 삽입공간(54)에 삽입되고, 상단은 삽입공간(54)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출된 스틱(200)의 상단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내부를 통과하여 에어로졸을 동반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캡(120)은 바디(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바디(1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캡(120)은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공간(54)과 연통될 수 있다. 캡(120)은 삽입공간(54)을 개폐하는 커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키어셈블리(60)는 바디(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버튼키(61)는 바디(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홀(114)은 바디(110)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버튼키(60)는 버튼홀(114)에 삽입될 수 있다. 버튼키(61)를 누르면, 버튼키(61)는 바디(11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버튼키(61)는 제어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키(61)를 눌러 제어부(20)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키(61)를 누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가 작동되거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버튼홀(114)은 구비되지 않고, 버튼키(61)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튼키(61)는 바디(110)의 일측에 바디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키(61)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키(61)는 광 투과성 실리콘일 수 있다.
버튼홀(114)과 버튼키(61)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장축과 단축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홀(114)과 버튼키(61)는 횡방향보다 종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종방향은 장축이고, 횡방향은 단축일 수 있다.
도 6은 버튼키(61)를 제거하여 키어셈블리(60)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버튼홀(114)은 바디(110)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버튼키(61)는 버튼홀(114)에 삽입될 수 있다. 버튼키(61)의 전방은 버튼홀(114)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버튼홀(114)에 삽입되고, 버튼키(61)의 후방은 버튼홀(114)의 후방에 배치되어, 버튼홀(114) 주변의 바디(110)에 걸칠 수 있다. 다른 예로, 버튼홀(114)이 부재하며, 버튼키(61)는 바디(1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62)은 바디(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기판(62)은 버튼키(61) 및 버튼홀(114)을 마주할 수 있다. 기판(62)는 버튼키(6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62)은 버튼키(61) 및 버튼홀(114)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홀(114), 버튼키(61) 및 기판(62)은 종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62)은 제어부(20)가 실장되거나,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63)는 기판(62)과 버튼키(6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63)의 일단은 기판(62)에 결합되고, 타단은 버튼키(61)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62)은 액츄에이터(6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액츄에이터(63)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액츄에이터(63)는 기판(62)으로부터 버튼키(61)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키(61)가 후방 즉, 바디(11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면, 버튼키(61)는 액츄에이터(63)를 후방으로 누르고 기판(62)는 누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63)는 버튼키(61)를 전방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63)는 버튼키(61)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확산공간(64)은 기판(62)과 버튼키(61) 또는 기판(62)과 실러(67)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62)은 확산공간(64)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버튼키(61) 또는 실러(67)는 확산공간(64)의 전방을 덮을 수 있다. 액츄에이터(63)는 확산공간(6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확산공간(64)은 둘레벽(66)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확산공간(64)과 버튼홀(114)은 대략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확산공간(64)은 확산공간(64)은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장축과 단축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공간(64)의 종방향 길이(D1)는 횡방향 길이(D2)보다 더 길 수 있다. 또한, 버튼홀(114)도 종방향 길이가 횡방향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기판지지벽(66)은 기판(61)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지지벽(66)은 기판(6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둘레벽(66)은 기판지지벽(66)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둘레벽(66)은 확산공간(64)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확산공간(64)을 둘러쌀 수 있다. 둘레벽(66)은 액츄에이터(63)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실러(67)는 바디(110)의 내부에서 버튼키(11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실러(67)는 센싱홀(114)을 덮을 수 있다. 실러(67)는 센싱홀(114) 가장자리 주변의 바디(110)에 밀착될 수 있다. 실러(67)의 가장자리(671)는, 둘레벽(65)과 바디(110)의 사이에 밀착될 수 있다. 실러(67)의 중심은 액츄에이터(63)와 결합될 수 있다. 기판(62)와 실러(67)의 사이에는 확산공간(64)이 형성될 수 있다. 실러(67)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러(67)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러(67)는 외부로부터 센싱홀(114)을 통해 기기의 내부로 액체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원(70)은 바디(110)의 내부에서 버튼키(6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기판(62)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70)은 LED일 수 있다. 광원(70)은 기판(62)과 버튼키(6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기판(62)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기판(62)과 버튼키(61)의 사이를 향할 수 있다. 광원(70)은 버튼키(61)와 기판(62)에 나란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광원(70)은 버튼키(61)에 대하여 전후방향을 제외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70)은 종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광원(70)이 향하는 종방향으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키(61)는 광 투과성일 수 있다. 버튼키(61)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키(61)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실러(67)는 광 투과성일 수 있다. 실러(67)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러(67)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상대적으로, 실러(67)는 투과율이 높고, 버튼키(61)는 분산도가 높을 수 있다.
광원(7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버튼키(61)를 투과하여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광원(7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실러(67)를 투과할 수 있다. 광은 실러(67)을 투과하며 전방으로 확산될 수 있다. 광은, 바디(110)와 버튼키(61)의 사이에 형성된 버튼홀(114)의 틈을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a)에 도시하였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b)에 도시하였다. 종래기술은, 광원(70')이 버튼키(61)의 후방으로부터 버튼키(61)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종래기술의 경우, 광원(7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버튼키(61)에 광이 집중적으로 수광되어, 특정 부위에 핫스팟(hotspot)이 발생하고,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어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도 9의 (a)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70)이 버튼키(61)와 기판(62) 사이의 확산공간(64)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70)이 버튼키(61)로 직접 광을 출사하지 않아, 특정부위에 핫스팟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광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도 9의 (b) 참조). 또한, 광을 균일하게 확산하기 위해 필요한 광원(70)의 개수와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광원(70)은 버튼홀(114) 및/또는 버튼키(6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확산공간(64)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홀(114) 및/또는 버튼키(61)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버튼홀(114) 및/또는 버튼키(61)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방향의 축을 장축,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방향의 축을 단축이라 정의할 수 있다. 확산공간(64)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확산공간(64)의 종방향 길이(D1)는 횡방향 길이(D2)보다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광원(70)은 버튼홀(114) 또는 버튼키(61)의 장축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확산공간(64)의 장축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장축 단부의 일측에 배치된 광원(70)은, 장축 단부의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70)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광원(70)은 버튼홀(114) 또는 버튼키(61)의 장축 양 단부에 인접할 수 있다. 한 쌍의 광원(70)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도 10은, 광원(70")이 단축 단부에 배치된 경우 (a)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광원(70)이 장축 단부에 배치된 경우인 (b)를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a)에 도시된 한 쌍의 광원(70") 사이의 거리(D2)는 (b)에 도시된 한 쌍의 광원(70) 사이의 거리(D1)보다 짧을 수 있다.
빛의 세기는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할 수 있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광원(70")이 단축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b)와 같이 한 쌍의 광원(70)이 장축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중심에서 빛의 세기가 더 강하며, 외곽에서 빛의 세기가 약할 수 있다(도 11의 (a) 참조). 즉, (b)와 같이 (b)와 같이 한 쌍의 광원(70)이 장축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광이 버튼키(61)의 중심으로 치우쳐 발산되지 않고, 광이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도 11의 (b) 참조).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광원(70)은 버튼홀(114) 또는 버튼키(61)의 외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버튼홀(114) 또는 버튼키(61)를 감싸는 바디(110) 부분의 후방에 배치되어, 바디(1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바디(110)는 광원(70)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바디(110)는 광원(7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70)으로부터 직접광이 버튼홀(114) 또는 버튼키(61)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확산공간(64), 버튼홀(114) 및 버튼키(61)는, 횡방향에 비하여 종방향으로 보다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광원(70)은 확산공간(64)의 장축 단부와 단축 단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확산공간(64)의 엣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70)은 중심 또는 액츄에이터(63)를 향할 수 있다. 한 쌍의 광원(70)은 서로를 마주할 수 있다. 한 쌍의 광원(70)은, 액츄에이터(63)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될 수 있다. 한 쌍의 광원(70)은 확산공간(64)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광원(70) 사이의 거리(D3)는, 확산공간(64)의 장축의 길이(D1)나 단축의 길이(D2)보다 더 길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외부로 개구되며,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는 버튼키;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버튼키를 마주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상기 버튼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키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버튼키에 인접하게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키와 상기 기판에 나란한 방향으로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상기 버튼키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키는, 길게 형성되어 장축과 단축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버튼키의 장축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장축 타측 단부를 향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각각이 상기 버튼키의 장축 양 단부에 인접하는 한 쌍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키는, 광 투과성일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상기 기판과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키와 상기 바디 사이의 틈을 메우며, 광 투과성인 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키와 상기 기판 사이에 확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키와 상기 확산공간은, 길게 형성되어 장축과 단축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확산공간의 장축 단부와 단축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키와 상기 기판 사이에 확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키와 상기 확산공간은, 길게 형성되어 장축과 단축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한 쌍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광원 사이의 거리(D3)는, 상기 장축의 길이(D1)보다 더길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상기 버튼키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를 향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상기 버튼키의 외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키가 삽입되는 버튼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1)

  1. 외부로 개구되며,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는 버튼키;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버튼키를 마주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상기 버튼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키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버튼키에 인접하게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키와 상기 기판에 나란한 방향으로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버튼키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키는,
    길게 형성되어 장축과 단축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버튼키의 장축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장축 타측 단부를 향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각각이 상기 버튼키의 장축 양 단부에 인접하는 한 쌍의 광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키는,
    광 투과성인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키와 상기 바디 사이의 틈을 메우며, 광 투과성인 실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키와 상기 기판 사이에 확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키와 상기 확산공간은, 길게 형성되어 장축과 단축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확산공간의 장축 단부와 단축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키와 상기 기판 사이에 확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키와 상기 확산공간은, 길게 형성되어 장축과 단축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은, 한 쌍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광원 사이의 거리(D3)는, 상기 장축의 길이(D1)보다 더 긴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2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버튼키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를 향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버튼키의 외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키가 삽입되는 버튼홀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220020992A 2021-10-20 2022-02-17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6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5643 WO2023068675A1 (en) 2021-10-20 2022-10-14 Aerosol-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608 2021-10-20
KR20210140608 2021-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537A true KR20230056537A (ko) 2023-04-27

Family

ID=8609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992A KR20230056537A (ko) 2021-10-20 2022-02-17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5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9667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llumination function
CN105190169B (zh) 照明设备
US10355689B2 (en) Touch switch unit and interior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00125962A (ko) 보호용 커버를 갖는 전자 담배
KR20080028044A (ko) 매립형 터치 스위치
KR2023005653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05261901B (zh) 数据连接器及其电子产品
US20200209988A1 (en) Mouse having movable lighting structure
JP2007139246A (ja) 加熱調理器
JPS58176838A (ja) スイツチ装置
JP5440041B2 (ja) 電子ペン
JP2007194100A (ja) 加熱調理器
CN100530846C (zh) 电源插座装置
TWM594272U (zh) 防誤充電的電池座裝置
CN104061462A (zh) 灯装置及照明装置
KR10257982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S2605361T3 (es) Sensor para la medición de turbiedad y temperatura
CN206145741U (zh) 具有背光效果的电磁炉触控装置
WO2023068675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CN109119849B (zh) 电源插座装置
CN216697249U (zh) 交互设备
US20230380495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Cover and Insulating Air Gap
CN214281706U (zh) 一种背光可调的智能开关系统
CN219181538U (zh) 一种智能断路器网关
CN215268232U (zh) 一种新型感应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