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419A -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복수의 차단 위치를 가지는 셔터 구조물 - Google Patents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복수의 차단 위치를 가지는 셔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419A
KR20230056419A KR1020210140421A KR20210140421A KR20230056419A KR 20230056419 A KR20230056419 A KR 20230056419A KR 1020210140421 A KR1020210140421 A KR 1020210140421A KR 20210140421 A KR20210140421 A KR 20210140421A KR 20230056419 A KR20230056419 A KR 20230056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toner
blocking
area
block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진
허건
김종인
이정현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14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419A/ko
Priority to PCT/US2022/071399 priority patent/WO2023069795A1/en
Publication of KR20230056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가 수용되며, 외부로 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 제1 차단 영역, 제2 차단 영역 및 개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 영역 또는 상기 제2 차단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개방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를 가지는 셔터; 상기 토너 배출구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토너 배출구와 상기 셔터 사이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막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 씰링 부재; 및 상기 탄성 씰링 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토너 배출구를 막으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사용 전에 제거되는 리무브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 위치는, 상기 리무브 필름이 제거되기 전에 상기 리무브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차단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에 중첩되는 제1 차단 위치와, 상기 리무브 필름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셔터의 상기 제2 차단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에 중첩되는 제2 차단 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복수의 차단 위치를 가지는 셔터 구조물{Shutter structure having plurality of blocking positions for blocking toner outlet}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에 착탈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는 수명이 다하면 교체된다. 토너 카트리지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소모되면, 본체로부터 토너 카트리지를 탈거하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토너 카트리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너 카트리지에서 토너 배출구 및 그 주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서 토너 배출구 및 그 주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예에 따른 셔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셔터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일 예에 따른 셔터가 제1 차단 위치일 때, 토너 카트리지에서 셔터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b는 일 예에 따른 셔터가 제2 차단 위치일 때, 토너 카트리지에서 셔터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c는 일 예에 따른 셔터가 개방 위치일 때, 토너 카트리지에서 셔터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일 예에 따른 셔터가 제1 차단 위치일 때, 탄성 씰링 부재가 압축된 제1 변형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b는 일 예에 따른 셔터가 제2 차단 위치일 때, 탄성 씰링 부재가 압축된 제2 변형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c는 일 예에 따른 셔터가 개방 위치일 때, 탄성 씰링 부재가 압축된 제3 변형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에서 셔터 유지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예에 따른 셔터 유지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다른 예에 따른 셔터 유지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가 제2 차단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예에 따른 셔터 유지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가 제2 차단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셔터 유지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셔터와 셔터 유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5의 토너 카트리지에서 리무브 필름이 제거될 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셔터 유지부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서 셔터 유지부 및 리무브 필름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20의 셔터 유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예에 토너 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 또는 탈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4는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5는 다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6a은 도 25의 토너 카트리지에서 셔터가 제1 차단 위치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6b은 도 25의 토너 카트리지에서 셔터가 제2 차단 위치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c는 도 25의 토너 카트리지에서 셔터가 개방 위치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도 26a 내지 도 26c의 단면을 나타낸다.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교체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토너 카트리지는 내부에 토너가 수용되며, 일측에는 외부로 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배출구와, 토너 배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한다. 셔터는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 배출구와 셔터 사이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씰링 부재를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에서는 토너의 배출 및 차단이 명확히 구분되어야 하기 때문에, 토너의 배출이 차단될 때 토너 배출구 주변에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 구조가 매우 중요하다. 토너 배출구 주변의 씰링 구조가 적절치 않을 경우, 토너 배출구 주변으로 토너가 누출될 수 있으며, 이는 토너 카트리지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다.
토너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방식으로, 탄성 씰링 부재의 탄성력을 높이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탄성 씰링 부재의 탄성력을 높임으로써, 탄성 씰링 부재를 셔터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탄성 씰링 부재의 탄성력이 높을 경우, 높은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씰링 부재와 셔터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되며, 그로 인해 셔터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지 않아 오히려 토너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셔터의 개폐 동작에 의해 탄성 씰링 부재가 파손될 수 있으며, 파손된 탄성 씰링 부재로 인해 토너 누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 씰링 부재의 탄성력이 높을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탄성 씰링 부재의 재질로 탄성력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되,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리무브 필름으로 토너 배출구를 임시로 막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탄성 씰링 부재와 함께 리무브 필름이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기 때문에, 토너 카트리지의 사용 전,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의 유통 과정에서 진동, 낙하 등이 발생하더라도 토너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사용자는 리무브 필름을 제거하여 토너 배출구를 통해 화상형성장치로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다만, 탄성 씰링 부재와 리무브 필름을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는, 제조 이후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전까지의 유통 과정에서 리무브 필름이 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 씰링 부재는 리무브 필름에 의해 장시간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당히 긴 시간 동안, 탄성 씰링 부재는 리무브 필름의 두께만큼 더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무브 필름이 제거될 경우, 낮은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씰링 부재는 리무브 필름에 의해 가압되기 전 상태로 바로 복원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토너 카트리지가 저온에 노출된 상태인 경우, 탄성 씰링 부재의 복원 속도는 더 느려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 씰링 부재와 셔터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에서 리무브 필름을 제거한 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탄성 씰링 부재와 셔터 사이의 틈으로 토너가 누출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에서는 리무브 필름의 제거 전과 제거 후에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가 다른 셔터 구조물을 통해, 리무브 필름이 제거된 후에 셔터와 탄성 씰링 부재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토너 카트리지(10)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너 카트리지(10)에서 토너 배출구(110) 및 그 주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10)에서 토너 배출구(110) 및 그 주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는 하우징(11), 셔터(12), 탄성 씰링 부재(20) 및 리무브 필름(50)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은 토너가 수용되며 외부로 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배출구(110)를 가진다. 토너 배출구(110)는 하우징(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배출구(110)를 향해 이송하는 토너 이송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은 토너의 장착 방향(A1) 또는 탈거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셔터(12)는 하우징(11)의 외부에 배치되며, 토너 배출구(110)를 개폐하도록 토너의 배출 방향(B1)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셔터(12)는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12)는 토너 배출구(110)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121, 122; 도 7a, 7b 참조)와 토너 배출구(110)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123; 도 7c 참조)를 가진다.
셔터(12)가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우징(11)은 셔터(12)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70)를 포함한다. 셔터(12)는 슬라이딩 가이드부(70)에 의해 접촉 지지되며, 슬라이딩 가이드부(70)의 형상을 따라 이동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70)는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셔터(12)는 토너 카트리지(10)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장착되기 전 또는 토너 배출이 완료되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차단 위치에 위치하여 토너 배출구(110)를 통한 토너의 배출을 차단한다. 셔터(12)는 토너 카트리지(10)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장착된 상태일 때, 개방 위치(123)에 위치하여 토너 배출구(110)를 통한 토너의 배출을 유도한다.
토너 카트리지(10)는 셔터(12)가 차단 위치(122)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10)는 셔터(12)가 개방 위치(123)에서 차단 위치(122)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셔터(12)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셔터(12)는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압 가이드(124)를 가지며, 가압 부재(30)는 가압 가이드(124)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압 부재(30)의 일 단부는 셔터(12)에 의해 지지되며, 가압 부재(30)의 타 단부는 하우징(11)의 가압 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압 가이드(124)는 가압 지지부(112)의 관통 구멍(1120)을 통해 관통할 수 있으며, 단부에 배치된 스토퍼(126)에 의해 가압 가이드(124)가 가압 지지부(11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가 본체(1)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셔터(12)는 본체(1; 도 22 참조)의 간섭 부재(3; 도 22 참조)에 의해 간섭되어, 장착 방향(A1)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셔터(12)는 토너 카트리지(10)의 장착 과정에서 간섭 부재(3)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간섭 돌기(125)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씰링 부재(20)는 토너 배출구(110)와 셔터(12) 사이에 배치되며, 토너 배출구(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탄성 씰링 부재(20)는 토너 배출구(110)와 연통하는 개구(201)를 포함한다. 탄성 씰링 부재(20)는 토너 배출구(110)와 셔터(12) 사이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막도록 탄성 변형된다. 탄성 씰링 부재(20)는 토너 배출 방향(B1)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탄성 씰링 부재(20)는 셔터(12)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어 변형되는 변형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12)가 차단 위치(121, 122)일 때 압축 변형된 변형량은 셔터(12)가 개방 위치(123)일 때 압축 변형된 변형량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셔터(12)가 차단 위치(121, 122)에서 이동할 때 탄성 씰링 부재(20)의 변형량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도 8c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탄성 씰링 부재(2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되 셔터(12)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탄성력이 작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씰링 부재(20)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었을 때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힘이 작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씰링 부재(20)는 스폰지일 수 있다. 다만, 탄성 씰링 부재(2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셔터(12)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씰링(20)의 재질은 저탄성 고무일 수 있다.
탄성 씰링 부재(2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변형부(21)와, 탄성 변형부(21)의 외측에 배치되며 셔터(12)와 접촉 가능한 마찰 방지 필름(22)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변형부(21)는 압축 변형을 통해 셔터(12)에 밀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마찰 방지 필름(22)은 셔터(12)의 이동 과정에서 셔터(12)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유도하고 탄성 변형부(21)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찰 방지 필름(22)의 길이는 탄성 변형부(21)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마찰 방지 필름(22)에 의해, 탄성 변형부(21)와 셔터(12)의 마찰에 의해, 탄성 변형부(2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무브 필름(50)은 토너 배출구(110)를 일시적으로 막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리무브 필름(50)은 토너 카트리지(10)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장착하기 전에 제거되며,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되기 전까지 리무브 필름(50)은 토너 배출구(110)를 차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리무브 필름(50)을 통해, 토너 카트리지(10)의 유통 과정 및 보관 과정에서 토너 배출구(110)를 통해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리무브 필름(50)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브 필름(50)은 탄성 씰링 부재(20)의 개구(201) 주변에 부착되며, 외력에 의해 쉽게 떼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10)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장착하기 전에 사용자가 리무브 필름(50)을 잡아당겨 탄성 씰링 부재(20)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다만, 리무브 필름(50)에 의해 일시적으로 토너 배출구(110)를 차단하는 토너 카트리지(10)에서는, 유통 과정 및 보관 과정에서 리무브 필름(50)이 탄성 씰링 부재(20)에 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 씰링 부재(20)는 리무브 필름(50) 및 셔터(12)에 의해 장시간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당히 긴 시간 동안, 탄성 씰링 부재(20)는 리무브 필름(50)의 두께만큼 더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무브 필름(50)이 탄성 씰링 부재(20)로부터 제거될 경우, 낮은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씰링 부재(20)는 리무브 필름(50)에 의해 가압되기 전 상태로 바로 복원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토너 카트리지(10)가 저온에 노출된 상태인 경우, 탄성 씰링 부재(20)의 복원 속도는 더욱 느려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리무브 필름(50)에 의해 토너 배출구(110)를 차단하는 방식의 토너 카트리지(10)에서는, 탄성 씰링 부재(20)와 셔터(12)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에서 리무브 필름(50)을 제거한 후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장착하기 전에, 탄성 씰링 부재(20)와 셔터(12) 사이의 틈으로 토너가 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에서는, 리무브 필름(50)에 의해 토너 배출구(110)를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방식을 채택하면서도, 리무브 필름(50)을 제거한 직후에도, 탄성 씰링 부재(20)와 셔터(12)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에서는 셔터(12)가 서로 다른 영역이 토너 배출구(110)에 중첩되는 복수의 차단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무브 필름(50)이 존재할 때에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된 제1 변형량(CT1)이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되었을 때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 변형된 제2 변형량(CT2)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12)의 이동에 따라, 탄성 씰링 부재(20)의 압축 두께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예에 따른 셔터(1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셔터(12)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셔터(12)는 제1 차단 영역(131), 제2 차단 영역(132) 및 개방 영역(133)을 포함한다. 셔터(12)는 차단 위치(121, 122)일 때, 제1 차단 영역(131) 또는 제2 차단 영역(132)이 토너 배출구(110)를 차단한다. 셔터(12)는 개방 위치(123)일 때 개방 영역(133)이 토너 배출구(110)를 개방한다. 개방 영역(133)은 토너 배출구(110)와 연통 가능한 토너 개구(135)를 가진다. 셔터(12)가 개방 위치(123)일 때, 토너 개구(135)가 토너 배출구(110)에 연통되어, 토너가 배출될 수 있다.
셔터(12)는 이동 방향을 따라 두께가 다른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 영역(131)은 제1 두께(T1)를 가지며, 제2 차단 영역(132)은 제1 두께(T1)보다 큰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셔터(12)의 이동 방향은 토너 카트리지(10)의 장착 방향(A1)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개방 영역(133)은 제3 두께(T3)를 가지며, 제1 차단 영역(131)과 제2 차단 영역(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두께(T3)는 제1 두께(T1)와 제2 두께(T2)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두께(T3)는 제1 두께(T1)보다 크며 제2 두께(T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차단 영역(131)과 개방 영역(133) 사이 및 개방 영역(133)과 제2 차단 영역(132)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두께가 다른 영역을 연결하는 경사 영역(134, 135)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영역(136, 137)에 의해, 셔터(12)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셔터(12)의 차단 위치는 복수 개의 차단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위치는,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되기 전에 리무브 필름(50)을 사이에 두고 제1 차단 영역(131)이 토너 배출구(110)에 중첩되는 제1 차단 위치(121)와,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되었을 때 셔터(12)의 제2 차단 영역(132)이 토너 배출구(110)에 중첩되는 제2 차단 위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12)가 차단 위치일 때, 셔터(12)는 제1 차단 위치(121)와 제2 차단 위치(122) 사이로 이동 가능하다.
토너 카트리지(10)에 리무브 필름(50)이 존재하는 경우, 셔터(12)는 제1 차단 위치(121)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제1 차단 영역(131)이 탄성 씰링 부재(20)에 중첩된다. 토너 카트리지(10)에서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될 경우,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2 차단 영역(132)이 탄성 씰링 부재(20)에 중첩될 수 있다.
도 7a는 일 예에 따른 셔터(12)가 제1 차단 위치(121)일 때, 토너 카트리지(10)에서 셔터(12)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b는 일 예에 따른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일 때, 토너 카트리지(10)에서 셔터(12)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c는 일 예에 따른 셔터(12)가 개방 위치(123)일 때, 토너 카트리지(10)에서 셔터(12)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일 예에 따른 셔터(12)가 제1 차단 위치(121)일 때,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된 제1 변형량(CT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b는 일 예에 따른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일 때,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된 제2 변형량(CT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c는 일 예에 따른 셔터(12)가 개방 위치(123)일 때,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된 제3 변형량(CT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8a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에 리무브 필름(50)이 존재할 때, 셔터(12)는 제1 차단 위치(121)에 위치할 수 있다. 리무브 필름(50)은 탄성 씰링 부재(20)와 제1 차단 영역(131) 사이에 배치되며, 리무브 필름(50)에 의해 토너 배출구(110)가 차단된 상태이다. 다시 말해,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되기 전에, 셔터(12)는 제1 차단 위치(121)에 위치하며, 리무브 필름(50)을 사이에 두고 제1 차단 영역(131)이 토너 배출구(110)에 중첩될 수 있다. 셔터(12)의 제1 차단 영역(131)은 셔터(12)에서 가장 얇은 영역이기 때문에, 제1 차단 영역(131) 및 리무브 필름(50)에 의해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 변형된 제1 변형량(CT1)은 셔터(12)의 다른 영역에 의해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 변형된 변형량보다 작다. 그에 따라, 탄성 씰링 부재(20)는 상대적으로 덜 압축된 제1 압축 두께(PT1)를 가진다. 리무브 필름(50)에 의해 토너 배출구(110)가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 씰링 부재(20)의 변형량이 작더라도 토너 누출은 문제되지 않는다. 여기서, 탄성 씰링 부재(20)의 압축 두께는 탄성 씰링 부재(20)가 셔터(12)에 의해 압축된 현재 상태의 두께를 의미한다.
도 7b 및 도 8b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에서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된 경우,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에 위치할 수 있다.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일 때, 셔터(12)의 제2 차단 영역(132)이 토너 배출구(110)에 중첩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2 차단 영역(132)이 탄성 씰링 부재(20)에 중첩되어 제2 차단 영역(132)에 의해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 변형되기 때문에,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된 직후에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일시적으로 저하되더라도, 탄성 씰링 부재(20)와 셔터(12)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으며, 토너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셔터(12)가 제1 차단 위치(121)일 때 제1 차단 영역(131) 및 리무브 필름(50)에 의해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 변형된 제1 변형량(CT1)은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일 때 제2 차단 영역(132)에 의해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 변형된 제2 변형량(CT2)보다 작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셔터(12)가 제1 차단 위치(121)일 때 탄성 씰링 부재(20)의 제1 압축 두께(PT1)는,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일 때 탄성 씰링 부재(20)의 제2 압축 두께(PT2)보다 클 수 있다.
도 7c 및 도 8c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토너 카트리지(1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셔터(12)는 장착 방향(A1)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에 따라,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에서 개방 위치(123)로 이동하게 되어, 셔터(12)의 개방 영역(133)이 토너 배출구(110)에 중첩된다. 그에 따라, 하우징(11)의 토너 배출구(110), 탄성 씰링 부재(20)의 개구(201) 및 셔터(12)의 토너 개구(135)가 정렬되어, 토너 카트리지(10)에서 토너가 배출된다. 개방 영역(133)에 의해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 변형된 제3 변형량(CT3)은, 제2 차단 영역(132)에 의해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 변형된 제2 변형량(CT2)보다 작고, 제1 차단 영역(131)에 의해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 변형된 제1 변형량(CT1)보다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셔터(12)가 개방 위치(123)일 때 탄성 씰링 부재(20)의 제3 압축 두께(PT3)는, 셔터(12)가 제1 차단 위치(121)일 때 탄성 씰링 부재(20)의 제1 압축 두께(PT1)보다 작고,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일 때 탄성 씰링 부재(20)의 제2 압축 두께(PT2)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에서는,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되기 전과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되었을 때의 탄성 씰링 부재(20)의 압축 두께를 달리하기 위하여, 셔터(12)는 제1 차단 위치(121)와 제2 차단 위치(122)를 가진다. 이와 같이, 셔터(12)가 복수의 차단 위치(121, 122)를 가지기 위해서, 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에서는 셔터(12)가 제1 차단 위치(121)와 제2 차단 위치(122)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리무브 필름(50)의 제거 전후에는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10)는 셔터(12)가 제1 차단 위치(121)를 유지하도록 셔터(12)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셔터 유지부(60)와 사용자에 의해 셔터(12)가 제1 차단 위치(121)에서 제2 차단 위치(122)로 이동하도록 셔터(12)에 부착된 셔터 가압 필름(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에서 셔터 유지부(6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예에 따른 셔터 유지부(6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셔터 유지부(60)는 하우징(11) 및 셔터(12)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셔터(12)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휘어지는 후크(6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후크(61)는 셔터(12)에 마련되며, 셔터(12)에 소정 크기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셔터(12)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셔터(12)에 마련된 후크(61)는 하우징(11)에 마련된 후크 걸림부(113)에 걸려, 셔터(12)를 제1 차단 위치(121)에 유지시킬 수 있다.
셔터 가압 필름(40)은 셔터(12)의 외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에 의한 외력을 셔터(12)로 전달할 수 있다. 셔터 가압 필름(40)은 리무브 필름(50)과 함께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 가압 필름(40)은 리무브 필름(50)에 접착될 수 있다. 다만, 셔터 가압 필름(40)과 리무브 필름(50)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셔터 가압 필름(40)과 리무브 필름(50)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일면은 탄성 씰링 부재(20)에 부착되며 타면은 셔터(12)의 내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셔터 가압 필름(40)을 잡아당길 경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외력에 의해 후크(61)가 셔터(12)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며, 후크 걸림부(113)로부터 빠지게 된다. 셔터 유지부(60)에 의한 셔터(12)의 이동 제한이 해제된다. 그리하여, 도 10과 같이, 셔터 유지부(60)에 의한 셔터(12)의 이동 제한이 해제될 경우, 셔터(12)는 가압 부재(30)에 의해 제1 차단 위치(121)에서 제2 차단 위치(122)로 이동한다.
리무브 필름(50)이 셔터 가압 필름(40)과 함께 제거된 경우, 셔터(12)는 탄성 씰링 부재(20)를 접촉 및 가압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 7b 및 도 8b와 같이,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된 후에도, 탄성 씰링 부재(20)는 제2 차단 영역(132)에 의해 확실하게 압축 변형됨에 따라, 토너 씰링 부재와 셔터(12) 사이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셔터 유지부(60)의 예로서 셔터(12)에 마련된 후크(61)를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이 달라지거나 배치가 달라지거나 방식이 달라지는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1a는 다른 예에 따른 셔터 유지부(60A)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10A)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a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A)의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셔터 유지부(60A)는 셔터(12)의 가압 가이드(124)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후크(61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후크(61A)는 가압 가이드(124)의 스토퍼(126)가 외력에 의해 폭이 변형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복수의 후크(61A)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가압 지지부(114)를 포함한다. 제2 가압 지지부(114)는 가압 가이드(124)가 관통하는 구멍(1140)을 가진다. 제2 가압 지지부(114)의 관통 구멍(1140)의 크기(W2)는 복수의 후크(61A)가 변형되기 전 상태의 폭(W31)보다는 작다. 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기 전에는 복수의 후크(61A)는 제2 가압 지지부(11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다.
제2 가압 지지부(114)의 관통 구멍(1140)의 크기(W2)는 복수의 후크(61A)가 변형된 상태의 폭보다는 크다. 제2 가압 지지부(114)의 관통 구멍(1140)의 크기(W2)는 가압 지지부(112)의 관통 구멍(1120)의 크기(W1)보다 크다. 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때, 복수의 후크(61A)는 셔터(12)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휘어져 제2 가압 지지부(114)에 의한 이동 제한이 해제된다. 그에 따라, 도 12와 같이, 가압 부재(30)에 의해, 셔터(12)는 제1 차단 위치(121)에서 제2 차단 위치(122)로 이동한다. 복수의 후크(61A)가 가압 지지부(112)에 걸리게 되며,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에 유지된다.
도 13은 또 다른 예에 따른 셔터 유지부(60B)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10B)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4은 도 13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B)의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셔터 유지부(60B)는 하우징(11)에 마련된 후크(61B)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61B)는 셔터(12)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일 때에는, 후크(61B)에 의해 셔터(12)의 이동이 제한되며, 제1 차단 위치(121)를 유지한다.
셔터 가압 필름(40) 및 리무브 필름(50)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셔터(12)에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며, 셔터(12)의 후크 걸림부(113B)에 접촉하는 후크(61B)가 셔터(12)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휘어진다. 그리하여, 후크(61B)에 의한 셔터(12)의 이동 제한이 해제되며,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로 이동한다.
도 15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셔터 유지부(60C)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10C)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에서 셔터(12)와 셔터 유지부(60C)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5의 토너 카트리지(10C)에서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될 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셔터 유지부(60C)는 셔터(12)에 마련된 홈부(62)와, 상기 홈부(6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셔터 유지 필름(63)을 포함한다. 홈부(62)는 셔터(12)의 가압 가이드(124)에 마련될 수 있다.
셔터 유지 필름(63)은 홈부(62)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절개부(631)를 가진다. 셔터 유지 필름(63)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셔터 유지 필름(63)은 홈부(62)에 결합된 상태에서 형상을 유지하며,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그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셔터(12)는 셔터 유지 필름(63)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제1 차단 위치(121)를 유지한다.
외력에 의해 셔터 유지 필름(63)이 당겨질 경우, 절개부(631)가 벌어지며, 셔터 유지 필름(63)은 홈부(62)로부터 분리된다. 그리하여, 셔터 유지 필름(63)에 의한 셔터(12)의 이동 제한이 해제되며, 셔터(12)는 제1 차단 위치(121)에서 제2 차단 위치(122)로 이동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셔터 유지 필름(63)이 제거됨에 따라,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무브 필름(50)이 셔터(12)와 탄성 씰링 부재(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무브 필름(50)을 제거함에 따라,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에서 토너 배출구(110)를 차단하게 된다.
셔터 유지 필름(63)을 제거하고, 리무브 필름(50)을 제거하기 전에, 탄성 씰링 부재(20)는 셔터(12)의 제2 차단 영역(132)과 리무브 필름(50)이 중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 씰링 부재(20)가 일시적으로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셔터 유지 필름(63)의 제거와 리무브 필름(50)의 제거가 연속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가압 상태는 일시적이다. 그에 따라, 탄성 씰링 부재(20)가 장시간 눌려 나타나는 문제점은 나타나지 않는다.
도 19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셔터 유지부(60D)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10D)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9에서 셔터 유지부(60D) 및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20의 셔터 유지부(60D1)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셔터 유지부(60D)는 셔터(12)의 이동 경로에 배치된 스페이서(6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64)는 셔터(12)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다. 스페이서(64)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6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10)를 장착하기 전에, 스페이서(64)의 손잡이(641)를 잡고 스페이서(64)를 셔터(12)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64)가 분리될 경우, 스페이서(64)에 의한 셔터(12)의 이동 제한이 해제되며, 그에 따라 가압 부재(30)에 의해 가압된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로 이동한다. 스페이서(64)의 분리 후, 또는 분리 전에 리무브 필름(50)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20과 같이, 토너 카트리지(10)는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2 차단 위치(122)에 위치하게 된다.
도 19 및 도 20에 대한 설명에서는, 스페이서(64)에 손잡이(641)가 배치되어 리무브 필름(50)보다 먼저 제거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스페이서(64)의 구조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을 참조하면, 스페이서(64A)는 별도의 손잡이 없이, 셔터 가압 필름(40)에 부착될 수 있다. 셔터 가압 필름(4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페이서(64A)가 제거될 수 있다. 스페이서(64A)가 제거됨에 따라,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리무브 필름(50)을 제거하여, 셔터(12)는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2 차단 위치(12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2는 본 예에 토너 카트리지(10)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장착 또는 탈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3은 토너 카트리지(1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24는 토너 카트리지(10)가 본체(1)로부터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b 및 도 22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는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되었으며,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에 위치한 상태이다. 본체(1)는, 토너 카트리지(1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2)와 토너 카트리지(10)가 장착될 때 셔터(12)의 이동을 간섭하는 간섭 부재(3)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장착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셔터(12)의 간섭 돌기(125)가 본체(1)의 간섭 부재(3)에 접촉한다. 토너 카트리지(10)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하우징(11)이 장착 방향(A1)으로 이동할 때, 간섭 돌기(125)는 본체(1)에 배치된 간섭 부재(3)에 접촉하여 이동이 제한되며, 그에 따라, 셔터(12)는 장착 방향(A1)과 반대 방향(A2)으로 이동한다. 즉, 리무브 필름(50)이 제거된 토너 카트리지(10)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에서 개방 위치(123)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의 토너는 토너 배출구(11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로 공급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로부터 분리할 경우, 토너 카트리지(10)의 하우징(11)을 장착 방향(A1)과 반대 방향(A2)으로 이동시킨다. 토너 카트리지(10)의 분리 과정에서, 셔터(12)의 간섭 돌기(125)는 본체(1)의 간섭 부재(3)에 의한 접촉이 해제되며, 그에 따라 셔터(12)는 가압 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1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A2)으로 이동한다. 그리하여, 셔터(12)는 개방 위치(123)에서 제2 차단 위치(122)로 이동하며, 분리된 토너 카트리지(10)에서는 탄성 씰링 부재(20)가 제2 차단 영역(132)에 의해 압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 씰링 부재(20)와 셔터(12) 사이로 잔류하는 토너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들에서는 탄성 씰링 부재(20)의 압축 두께가 달라지기 위한 구성으로, 셔터(12)의 제1 차단 영역(131)과 제2 차단 영역(132)의 두께가 다른 구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에서 탄성 씰링 부재(20)의 압축 두께가 달라지기 위한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1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7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도 25는 다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E)의 셔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6a은 다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E)에서 셔터(12)가 제1 차단 위치(121)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6b은 도 25의 토너 카트리지(10E)에서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6c는 도 25의 토너 카트리지(10E)에서 셔터(12)가 개방 위치(123)일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도 26a 내지 도 26c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2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탄성 씰링 부재(20), 리무브 필름(50), 셔터 가압 필름(40) 및 가압 부재(30)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5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10E)의 셔터 구조에서는, 하우징(11)은 셔터(12)가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셔터(12)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70A)를 포함한다. 셔터(12)는 탄성 씰링 부재(20)에 의해 하부를 향해 가압된 상태이기 때문에, 슬라이딩 이동부(128)는 슬라이딩 가이드부(70A)에 의해 접촉 및 지지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70A)는 셔터(12)가 제1 차단 위치(121)일 때 셔터(12)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 영역(71)과, 셔터(12)가 개방 위치(123)일 때 셔터(12)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 영역(72)과,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일 때 셔터(12)를 지지하는 제3 가이드 영역(7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부(70A)가 단차를 가지도록 상기 제1 가이드 영역(71), 제2 가이드 영역(72) 및 제3 가이드 영역(73)의 높이가 다를 수 있다.
도 26a 및 도 27a를 참조하면, 셔터(12)는 제1 차단 위치(121)에 위치하며, 셔터(12)의 슬라이딩 이동부(128)는 제1 가이드 영역(71)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셔터(12)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도 26b 및 도 27b와 같이, 셔터(12)는 제1 차단 위치(121)에서 제2 차단 위치(122)로 이동한다. 셔터(12)가 제2 차단 위치(12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이동부(128)는 제2 가이드 영역(72)에 의해 지지되며, 셔터(12)가 토너 배출구(110)에 가까워지며, 탄성 씰링 부재(20)가 압축된다. 탄성 씰링 부재(20)의 제2 변형량(CT2)은 제1 변형량(CT1)보다 크다.
이러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E)가 장착될 경우, 도 26c 및 도 27c와 같이, 셔터(12)는 제2 차단 위치(122)에서 개방 위치(123)로 이동한다. 셔터(12)가 개방 위치(123)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이동부(128)는 제3 가이드 영역(73)에 의해 지지되며, 셔터(12)가 토너 배출구(110)에서 멀어지며, 탄성 씰링 부재(20)의 압축 두께는 줄어들 수 있다. 제3 변형량(CT3)은 제1 변형량(CT1)보다 크며, 제2 변형량(CT2)보다 작다.
한편, 상술한 예들에서는 제1 차단 영역(131)과 제2 차단 영역(132) 사이에 셔터(12)의 개방 영역(133)이 배치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차단 영역(131)과 제2 차단 영역(132)이 인접하며, 개방 영역(133)은 제1 차단 영역(131)의 일 측 또는 제2 차단 영역(132)의 일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너 카트리지로서,
    토너가 수용되며, 외부로 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
    제1 차단 영역, 제2 차단 영역 및 개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 영역 또는 상기 제2 차단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개방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를 가지는 셔터;
    상기 토너 배출구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토너 배출구와 상기 셔터 사이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막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 씰링 부재; 및
    상기 탄성 씰링 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토너 배출구를 막으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사용 전에 제거되는 리무브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 위치는, 상기 리무브 필름이 제거되기 전에 상기 리무브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차단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에 중첩되는 제1 차단 위치와, 상기 리무브 필름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셔터의 상기 제2 차단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에 중첩되는 제2 차단 위치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1 차단 위치일 때 상기 제1 차단 영역에 의해 상기 탄성 씰링 부재가 압축 변형된 제1 변형량은,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차단 위치일 때 상기 제2 차단 영역에 의해 상기 탄성 씰링 부재가 압축 변형된 제2 변형량보다 작은, 토너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 영역의 제2 두께는 상기 제1 차단 영역의 제1 두께보다 큰, 토너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토너 배출구와 연통 가능한 토너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차단 영역과 상기 제2 차단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개방 영역의 제3 두께는 상기 제1 차단 영역의 상기 제1 두께보다 크며, 상기 제2 차단 영역의 상기 제2 두께보다 작은, 토너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무브 필름이 제거된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셔터는 상기 제2 차단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토너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1 차단 위치일 때 상기 탄성 씰링 부재의 제1 압축 두께는,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차단 위치일 때 상기 탄성 씰링 부재의 제2 압축 두께보다 큰, 토너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1 차단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셔터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셔터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차단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셔터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 유지부에 의한 상기 셔터의 이동 제한이 해제될 경우, 상기 셔터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차단 위치에서 상기 제2 차단 위치로 이동하는, 토너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셔터가 상기 제1 차단 위치에서 상기 제2 차단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셔터에 부착된 셔터 가압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 가압 필름은, 상기 리무브 필름과 함께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된, 토너 카트리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유지부는 상기 셔터에 마련된 홈부와, 상기 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셔터 유지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 유지 필름이 상기 셔터의 상기 홈부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셔터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차단 위치에서 상기 제2 차단 위치로 이동하는, 토너 카트리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유지부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셔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셔터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휘어지는 후크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유지부는 상기 셔터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셔터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셔터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셔터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셔터가 상기 제1 차단 위치일 때 상기 셔터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 영역과, 상기 셔터가 개방 위치일 때 상기 셔터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 영역과,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차단 위치일 때 상기 셔터를 지지하는 제3 가이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단차를 가지도록 상기 제1 가이드 영역, 상기 제2 가이드 영역 및 상기 제3 가이드 영역의 높이가 다른, 토너 카트리지.
  14. 장착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가 수용되며, 외부로 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
    제1 차단 영역, 제2 차단 영역 및 개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 영역 또는 상기 제2 차단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개방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를 가지는 셔터;
    상기 토너 배출구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토너 배출구와 상기 셔터 사이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막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 씰링 부재; 및
    상기 탄성 씰링 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토너 배출구를 막으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사용 전에 제거되는 리무브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 위치는, 상기 리무브 필름이 제거되기 전에 상기 리무브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차단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에 중첩되는 제1 차단 위치와, 상기 리무브 필름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셔터의 상기 제2 차단 영역이 상기 토너 배출구에 중첩되는 제2 차단 위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1 차단 위치일 때 상기 제1 차단 영역에 의해 상기 탄성 씰링 부재가 압축 변형된 제1 변형량은,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차단 위치일 때 상기 제2 차단 영역에 의해 상기 탄성 씰링 부재가 압축 변형된 제2 변형량보다 작은, 화상형성장치.
KR1020210140421A 2021-10-20 2021-10-20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복수의 차단 위치를 가지는 셔터 구조물 KR20230056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421A KR20230056419A (ko) 2021-10-20 2021-10-20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복수의 차단 위치를 가지는 셔터 구조물
PCT/US2022/071399 WO2023069795A1 (en) 2021-10-20 2022-03-29 Shutter structure having plurality of blocking positions for blocking toner out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421A KR20230056419A (ko) 2021-10-20 2021-10-20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복수의 차단 위치를 가지는 셔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419A true KR20230056419A (ko) 2023-04-27

Family

ID=8130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421A KR20230056419A (ko) 2021-10-20 2021-10-20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복수의 차단 위치를 가지는 셔터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6419A (ko)
WO (1) WO20230697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5202B2 (ja) * 1999-03-29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5435116B2 (ja) * 2012-03-15 2014-03-0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その粉体収納容器から現像剤を補給する粉体補給装置、およびそれが搭載される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9795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2934B2 (en) Toner cartridge, toner supplying mechanism and shutter
RU2657122C1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KR101650902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6922534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lectrical connection for memory
JP4250555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間部材
EP2081089A1 (en)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10023101A (ko) 착탈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EP1326144A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28207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202304181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artridge
US1200771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ermitting user to imagine clear detachment procedure of toner cartridge from process cartridge
KR20230056419A (ko) 토너 배출구를 차단하는 복수의 차단 위치를 가지는 셔터 구조물
US5175588A (en) Developing device
CN108614398B (zh) 一种带有可开闭的碳粉排出口的碳粉盒
US9057986B2 (en) Shutter mechanism, developer accommodating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471007B2 (en) Developer supply cartridge shutter opening projection that moves in two directions
US119278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rum cartridge
RU2667331C1 (ru) Блок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JP681883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005398B2 (en) Process cartridge
US5038181A (en) Image forming unit having means for preventing a cleansing blade from contacting an image holding member until image forming unit is used
JP7563070B2 (ja) 取り外し方法および取り付け方法
JP201501105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17128A (ja) 電装品収納装置及び定着装置
KR20070052466A (ko) 인쇄매체 카세트 커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