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317A -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 Google Patents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317A
KR20230056317A KR1020210140205A KR20210140205A KR20230056317A KR 20230056317 A KR20230056317 A KR 20230056317A KR 1020210140205 A KR1020210140205 A KR 1020210140205A KR 20210140205 A KR20210140205 A KR 20210140205A KR 20230056317 A KR20230056317 A KR 2023005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abric
electric shock
glove
crime preven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정
Original Assignee
(주)247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247코리아 filed Critical (주)247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4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317A/ko
Publication of KR2023005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H05C1/02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providing continuous feeding of dc or ac voltag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Abstract

본 발명은 범인 검거나 시위 진압 등을 주업으로 하는 경찰, 군인 등이 착용할 수 있는 방범용 장갑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손등부, 손바닥부, 손가락부로 이루어지는 장갑본체; 상기 손바닥부의 제1영역에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1전도성원단부; 상기 제1영역과 이격되게 상기 손바닥부의 제2영역에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2전도성원단부; 상기 장갑본체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도성원단부 및 제2전도성원단부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기충격 발생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쇼크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Gloves for crime prevention with electric shock}
본 발명은 범인 검거나 시위 진압 등을 주업으로 하는 경찰, 군인 등이 착용할 수 있는 방범용 장갑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강도, 흉악범, 폭력적인 시위자 등에 맞서 싸우는 수많은 경찰이나 군인들은 이들에 대한 진압 과정 중에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에 대한 대응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경찰이나 군인들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진압용 도구는 진압봉이 있으며, 근래에는 전기충격 기능을 갖는 진압봉이나 테이져건과 같은 것들도 사용되고 있다.
진압대상자들과 신체 접촉을 최소화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들을 굴복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전기충격 진압봉이나 테이져건은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은연 중에 강도, 흉악범 들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향후 더욱 널리 보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진압봉이나 테이져건과 같은 수단들은 경찰 등이 별도로 강대하고 있다가 꺼내어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해야 하는 점에서 다소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고 휴대에 거추장스러운 측면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0162호의 "호신용 장갑"이 알려져 있으며,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호신용 장갑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호신용 장갑(100)은 손목부(111), 몸체부(112), 손가락부(113), 고정부(114) 및 충격기부(120)를 포함하며, 충격기부(120)는 순간적으로 고압의 전기를 방전시켜 위급상황에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손등부위에 부착된 충격기부를 통해 진압대상자의 신체에 접촉되게 해야 하므로 이는 경찰 등이 현실적으로 강도 등을 상대할 때 손가락과 손바닥을 이용해서 진압대상자를 붙잡게 되는 측면에서 활용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0162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실제 진압 또는 시위 현장에서 경찰이나 군인들이 사용이 편리하고 실제 진압 동작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진압대상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는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은, 손등부, 손바닥부, 손가락부로 이루어지는 장갑본체; 상기 손바닥부의 제1영역에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1전도성원단부; 상기 제1영역과 이격되게 상기 손바닥부의 제2영역에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2전도성원단부; 상기 장갑본체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도성원단부 및 제2전도성원단부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기충격 발생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쇼크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쇼크발생모듈은, PCB기판, 배터리, 고압발생부, 스위치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손등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압발생부는 요철 형상을 갖도록 상기 손등부에 형성된 너클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PCB기판, 배터리, 스위치는 상기 너클와 이격된 모듈박스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사상에 따른 전기충격 기능을 갖는 방범용 장갑은, 손등부, 손바닥부, 손가락부, 손목부로 이루어지는 장갑본체; 상기 손바닥부의 제1영역에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1전도성원단부; 상기 제1영역과 이격되게 상기 손바닥부의 제2영역에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2전도성원단부; 상기 장갑본체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도성원단부 및 제2전도성원단부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기충격 발생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쇼크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쇼크발생모듈은, PCB기판, 배터리, 고압발생부, 스위치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손목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가락부 중 최소 한 곳에는 스마트폰 터치 인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가락부 중 일부에는 미끄럼방지소재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은 경찰이나 군인들이 시위 진압시 등에 당연히 손에 착용해야 하는 장갑에 전기충격 기능이 구비되게 함으로써 준비동작없이 신속하게 흉악범등을 제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제 손으로 진압대상자를 제압하거나 대응할 때의 손의 사용 양태를 고려하여 손바닥부에 전기전도성 원단부를 두어 매우 자연스럽게 진압대상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호신용 장갑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의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의 또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손바닥부에 제1전도성원단부와 제2전도성원단부가 부착되는 예시도.
도 5는 손등부에 부착될 너클과 모듈박스의 예시도.
도 6은 또 다른 방향에서 본 너클과 모듈박스의 예시도.
도 7은 모듈박스가 장착패드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쇼크발생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의 사시도.
도 10은 손목부의 연결밴드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의 또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손바닥부에 제1전도성원단부와 제2전도성원단부가 부착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손등부에 부착될 너클과 모듈박스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또 다른 방향에서 본 너클과 모듈박스의 예시도이며, 도 7은 모듈박스가 장착패드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쇼크발생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손목부의 연결밴드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은 주요한 구성요소로 장갑본체(100), 제1전도성원단부(200), 제2전도성원단부(300), 쇼크발생모듈(400)을 포함한다.
장갑본체(100)는 손을 감싸면서 착용 가능하도록 손등부(110), 손바닥부(120), 손가락부(130)를 포함하여 제작된다.
장갑본체(100)는 겉감과 안감으로 구성되면서 장갑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되며, 겉감은 라이크라 원단을 이용할 수 있고, 안감은 통기성이 좋은 메쉬 원단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장갑본체를 이루는 소재 자체는 대체 가능한 공지의 소재들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손바닥부(120)에 제1전도성원단부(200)와 제2전도성원단부(300)가 구비되도록 하며, 제1전도성원단부(200)와 제2전도성원단부(300)는 서로 구분되도록 이격거리를 두고 손바닥부(120)에 마련된다.
제1전도성원단부(200)는 손바닥부(120)의 제1영역(120a)에 마련되며, 제1전도성원단부(200)는 손바닥부(120)의 일 구성요소가 되면서 외면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2전도성원단부(300)는 제1전도성원단부(200) 보다 조금 아래인 제2영역(120b)에 걸쳐 구비되며, 마찬가지로 손바닥부(120)의 일부를 구성하면서 외면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1전도성원단부(200) 및 제2전도성원단부(300)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특수 원단을 의미하게 되고, 제1전도성원단부(200)가 플러스 전극이 되고 제2전도성원단부(300)는 마이너스 전극이 된다. 물론 반대로 제1전도성원단부(200)가 마이너스 전극이 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장갑본체(100)의 어느 한 곳에 쇼크발생모듈(400)이 장착되게 하며, 쇼크발생모듈(400)은 PCB기판(410), 배터리(420), 고압발생부(430), 스위치(440) 등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제1전도성원단부(200) 및 제2전도성원단부(300)는 전선을 통해서 쇼크발생모듈(400)과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쇼크발생모듈(400)이 장갑본체(100)의 손등부(110)에 장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즉, 손등부(110)에 쇼크발생모듈(400)을 구성하는 PCB기판(410), 배터리(420), 고압발생부(430), 스위치(440) 등의 주요 구성요소가 장착되게 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 고압발생부(430)는 손등부(110)에 부착되는 너클(400a)을 활용하여 너클(400a) 내측에 설치되게 한다. 여기서 너클(400a)이란 다양한 범죄자나 흉악범 등을 제압하기 위해 타격력과 충격력을 높이기 위해 장갑의 손등부(110)에 부착되는 금속성 부위를 말하며, 금속이 아니라도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너클(400a)의 외면은 올록볼록한 요철 형상을 이루며, 내면은 오목한 함몰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함몰공간내에 고압발생부(430)를 내장시킨 상태로 손등부(110)에 결합되게 한다. 딱딱한 너클(400a) 내부에 고압발생부(430)가 내장되게 함으로써 부족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너클(400a)에 의해 고압발생부(430)가 잘 보호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PCB기판(410), 배터리(420), 스위치(440) 등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너클(400a)과 별도로 준비되는 모듈박스(400b)에 내장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등부(110) 상측에 너클(400a)이 장착되고 너클(400a) 하측으로 조금 이격되게 모듈박스(400b)가 부착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모듈박스(400b), 고압발생부(430), 제1,2전도성원단부(200,300)는 전선으로 연결되도록 제작되고, 모듈박스(400b)의 일측면에 스위치(440)를 두어서 간단하게 쇼크발생모듈(400)의 전원을 켤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듈박스(400b)의 일측면에는 배터리(420)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450)가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장갑본체(100)가 손등부(110), 손바닥부(120), 손가락부(130), 손목부(140)로 구성된다. 즉, 손등부(110) 후방으로 손목을 덮을 수 있도록 충분히 연장되는 손목부(140)가 더 구비된다.
특히, 제1실시예와 달리 본 제2실시예에서는 쇼크발생모듈(400)이 손목부(140)에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제2실시예에서는 PCB기판(410), 배터리(420), 고압발생부(430), 스위치(440) 등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모듈박스(400b)에 내장되게 하며, 손목부(140)에 개폐 가능한 수납포켓(141)을 구성하여 수납포켓(141)에 모듈박스(400b)를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손목부(140)의 일측은 절개되게 하여 손을 쉽게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하는데, 수납포켓(141) 상면에 제1벨크로(V1)를 두도록 하고, 반대측 손목부에는 제2벨크로(V2)를 갖는 연결밴드(142)를 형성시켜서 장갑 착용 후 제1벨크로(V1)와 제2벨크로(V2)를 연결시켜서 타이트하게 손목부(140)를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언급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있다.
즉, 손가락부(130) 중 최소 한 곳에는 스마트폰 터치 인식부(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검지 손가락에 대응하는 곳에 스마트폰 터치 인식부(131)를 마련하여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조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손가락부(130) 중 일부, 스마트폰 터치 인식부(131)를 갖는 검지 손가락 외의 손가락부에는 미끄럼방지소재(132)가 부착되게 하여 평소 물건의 파지시나 진압시 진압대상자를 잡을 때 미끌림이 덜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바닥부(120)에 구비되는 제1전도성원단부(200)와 제2전도성원단부(300)를 손바닥부(120)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손바닥부 겉감에 제1영역과 제2영역 위치를 천공시키도록 하며, 손바닥부 겉감 내면측에 PVC원단을 먼저 부착한 후 준비된 제1전도성원단과 제2전도성원단을 해당 위치에 부착되게 한다.
그리고 쇼크발생모듈과 전선으로 연결하도록 하고 절연부재로 제1전도성원단과 제2전도성원단을 완전 차폐하고 PVC원단으로 감싸도록 하여 전도성원단부가 장갑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후 별도의 안감을 준비하여 겉감과 안감을 봉제하여 완전한 장갑이 구성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찰이나 군인 또는 개인 호신용 장갑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100 : 장갑본체 110 : 손등부
120 : 손바닥부 120a : 제1영역
120b : 제2영역 130 : 손가락부
131 : 스마트폰 터치 인식부 132 : 미끄럼 방지소재
140 : 손목부 141 : 수납포켓
142 : 연결밴드 V1 : 제1벨크로
V2 : 제2벨크로
200 : 제1전도성원단부 300 : 제2전도성원단부
400 : 쇼크발생모듈 410 : PCB기판
420 : 배터리 430 : 고압발생부
440 : 스위치 400a : 너클
400b : 모듈박스 450 : 충전포트

Claims (7)

  1. 손에 착용하는 장갑으로서,
    손등부, 손바닥부, 손가락부로 이루어지는 장갑본체;
    상기 손바닥부의 제1영역에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1전도성원단부;
    상기 제1영역과 이격되게 상기 손바닥부의 제2영역에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2전도성원단부;
    상기 장갑본체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도성원단부 및 제2전도성원단부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기충격 발생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쇼크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크발생모듈은,
    PCB기판, 배터리, 고압발생부, 스위치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손등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발생부는 요철 형상을 갖도록 상기 손등부에 형성된 너클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PCB기판, 배터리, 스위치는 상기 너클와 이격된 모듈박스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4. 손에 착용하는 장갑으로서,
    손등부, 손바닥부, 손가락부, 손목부로 이루어지는 장갑본체;
    상기 손바닥부의 제1영역에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1전도성원단부;
    상기 제1영역과 이격되게 상기 손바닥부의 제2영역에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2전도성원단부;
    상기 장갑본체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전도성원단부 및 제2전도성원단부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기충격 발생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쇼크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쇼크발생모듈은,
    PCB기판, 배터리, 고압발생부, 스위치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손목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 중 최소 한 곳에는 스마트폰 터치 인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 중 일부에는 미끄럼방지소재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KR1020210140205A 2021-10-20 2021-10-20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KR20230056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205A KR20230056317A (ko) 2021-10-20 2021-10-20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205A KR20230056317A (ko) 2021-10-20 2021-10-20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317A true KR20230056317A (ko) 2023-04-27

Family

ID=8609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205A KR20230056317A (ko) 2021-10-20 2021-10-20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3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162B1 (ko) 2013-02-19 2014-11-10 허장현 호신용 장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162B1 (ko) 2013-02-19 2014-11-10 허장현 호신용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1353B2 (en) Temporary offense for ultimate control against harm
US20040154071A1 (en) Non-lethal exoskeleton weapon
US7012797B1 (en) Versatile stun glove
US6646855B2 (en) Stun glove
US9042077B2 (en) Stun gun and method of use
US10694794B2 (en) Self-defense glove
CN102778173B (zh) 警用擒拿抓捕手套
KR20230056317A (ko) 전기충격 기능을 갖춘 방범용 장갑
US9182198B2 (en) Wearable personal protection device with safety mechanism
WO2020263836A1 (en) Wearable device capable of inducing electro-muscular incapacitation
US8520359B1 (en) Stun gun with knuckle guard
US1046985A (en) Electrical device.
JP6464328B1 (ja) 護身用威嚇撃退装置
US20210172714A1 (en) Secure device for applying an electrical pulse
KR20240038344A (ko) 전기충격 기능을 갖는 방범용 덧장갑
US11828571B2 (en) Wearable device capable of inducing electro-muscular incapacitation
JP2016065710A (ja) スタンガンを備えた楯
KR200491985Y1 (ko) 방범용 전기 충격 장갑
US11892272B1 (en) Bladed devices with arcing, stun, and/or shock functionality
OA19569A (en) Secure device for applying an electrical pulse.
RU2669907C2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болезненных ощущений емкостного пробоя в электрошоковых устройства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20090002048U (ko) 전기충격기
RU2070310C1 (ru) Электрошо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9315019U (zh) 一种静电高压打击手套
CN205482608U (zh) 一种带电击的防暴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