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144A -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144A
KR20230056144A KR1020210139840A KR20210139840A KR20230056144A KR 20230056144 A KR20230056144 A KR 20230056144A KR 1020210139840 A KR1020210139840 A KR 1020210139840A KR 20210139840 A KR20210139840 A KR 20210139840A KR 20230056144 A KR20230056144 A KR 20230056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mber
heating
heating device
guid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영호
이동주
진형국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144A/ko
Publication of KR2023005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1D11/203Round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간성형방식과 열간성형방식이 결합된 장치 구성을 통해 냉간성형과 열간성형의 장단점을 향상, 보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는 금속판재에 대한 이중곡 성형을 진행하는 상부롤셋과 하부롤셋; 상부롤셋의 일측에 구비되어 금속판재의 상면을 가열하는 상부가열장치; 및 하부롤셋의 일측에 구비되어 금속판재의 하면을 가열하는 하부가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Hybrid apparatus for forming doubly-curved shee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간성형방식과 열간성형방식이 결합된 장치 구성을 통해 냉간성형과 열간성형의 장단점을 향상, 보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 항공기, 자동차 분야 등에서는 금속 평판 뿐 아니라 이중 곡률을 갖는 금속 곡판도 이용되고 있다. 특히, 선박의 자재로 이용되는 금속 곡판은 두꺼운 후판으로 되는 경우가 많은데, 두꺼운 금속판재를 곡판으로 성형하기 위해 열간성형 또는 냉간성형이 적용되고 있다.
열간성형은 고주파유도 가열장치, 토치 등을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가열선을 따라 가열함으로써 금속판재의 이중곡 성형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냉간성형은 프레스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가압하는 방식이다. 롤러를 이용한 냉간성형장치의 일 예는 한국등록특허 제668068호에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5248호에는 열간성형장치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금속판재의 이중곡 성형을 위해 열간성형 또는 냉간성형 방식을 이용하는데, 각각의 장단점으로 인해 1차 냉간성형을 적용하고 이어 2차 열간성형을 실시하는 방식도 이용되고 있다. 냉간성형장치의 경우, 열간성형에 대비하여 열로 인한 금속판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금속판재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보다 큰 하중의 프레스가 요구됨과 함께 롤셋의 보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판재의 이중곡 성형장치는 열간성형장치, 냉간성형장치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필요에 따라 이들 장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복합 적용함으로써 서로간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668068호(2007. 1. 11.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5248호(2013. 7. 29. 공개)
본 발명은 냉간성형방식과 열간성형방식이 결합된 장치 구성을 통해 냉간성형과 열간성형의 장단점을 향상, 보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잇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는 금속판재에 대한 이중곡 성형을 진행하는 상부롤셋과 하부롤셋; 상부롤셋의 일측에 구비되어 금속판재의 상면을 가열하는 상부가열장치; 및 하부롤셋의 일측에 구비되어 금속판재의 하면을 가열하는 하부가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가열장치는, 상부롤의 일측과 힌지연결되어 z축에서 xy평면을 향해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한 힌지회동부재와, 가이드회전축을 매개로 힌지회동부재와 연결되며, 가열부재 거치핀 및 가열부재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가열부재 장착판과, 가열부재 장착판 상에 가열부재 장착판과 직교하는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열부재 거치핀과, 가열부재 거치핀 상에 가열부재 거치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치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회동부재의 밑면에는 가이드회전축이 장착되어 힌지회동부재의 길이 방향의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회전축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가이드회전축의 z축 기준 회전 및 직선운동에 따라 가열부재 장착판의 z축 기준 회전 및 직선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가열부재 거치핀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가열부재 거치핀과 가열부재의 연결부위는 힌지연결되며, 가열부재의 힌지회전 및 가열부재 거치핀의 길이변화에 따라 가열부재는 z축에서 xy평면을 향해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가열장치는, 하부롤셋에 구비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x축 방향의 직선운동이 가능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부재와, 장착판 회전축을 매개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부재와 연결되며, 가열부재 거치핀 및 가열부재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가열부재 장착판과, 가열부재 장착판 상에 가열부재 장착판과 직교하는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열부재 거치핀과, 가열부재 거치핀 상에 가열부재 거치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치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판 회전축은 z축 기준 회전 및 z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가열부재 거치핀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가열부재 거치핀과 가열부재의 연결부위는 힌지연결되며, 가열부재의 힌지회전 및 가열부재 거치핀의 길이변화에 따라 가열부재는 z축에서 xy평면을 향해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롤셋은,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롤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상부롤 가이드부재와, 상부롤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프레스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부롤에 전달하는 상부롤 하중인가부재와, 상부롤 하중인가부재의 일단에 구비되어 금속판재를 가압하는 상부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롤 가이드부재는 x축 방향의 직선운동, 상부롤 하중인가부재는 z축 방향의 직선운동 및 z축 기준 회전, 상부롤은 z축 기준 회전 및 자체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롤셋은,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롤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하부롤 받침대와, 하부롤 받침대 상에 구비되어 하부롤 거치부재 및 하부가열장치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가열장치 받침대와, 하부롤 거치부재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하부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가열장치 받침대의 양단측에 하부롤 거치부재가 구비되며, 두 개의 하부롤 거치부재 사이의 공간에 하부가열장치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며, 하부가열장치는 두 개의 하부롤 거치부재 사이의 공간에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다.
하부롤 받침대는 x축 방향의 직선운동, 하부가열장치 받침대는 z축 기준 회전 및 z축 방향의 직선운동, 하부롤은 z축 기준 회전 및 자체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롤셋 방식의 냉각 이중곡 성형을 진행함에 있어서 이중곡 성형대상영역을 가열함으로써 롤셋에 인가하는 프레스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롤셋의 물리적 보강 등 프레스 하중 증가에 따른 제반 고려사항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의 확대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상부가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하부가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a는 횡곡 성형 과정시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의 배치를 나타낸 참고도.
도 5b는 종곡 성형 과정시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의 배치를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은 롤셋 방식의 냉간 이중곡 성형장치에 가열장치를 결합시키고, 금속판재의 이중곡 성형시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금속판재의 특정 영역을 가열시킴으로써 극후판의 금속판재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이중곡 성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롤셋 방식의 이중곡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금속판재에 대한 냉간 이중곡 성형을 진행하는 경우, 금속판재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롤셋에 인가되는 하중이 커져야 됨에 따라 프레스의 중량이 커질 수밖에 없고, 프레스 하중 증가에 따라 하중을 견디기 위해 하부롤셋의 물리적 보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경우,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금속판재의 특정 영역을 가열할 수 있음에 따라, 프레스 하중 증가 없이 극후판의 금속판재에 대한 이중곡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레스 하중이 증가되지 않음에 따라 하부롤셋에 대한 물리적 보강 역시 요구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는 상부롤셋(10)과 하부롤셋(20) 그리고 상부가열장치(30)와 하부가열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롤셋(10)과 하부롤셋(20)은 각각 하나 이상의 롤로 구성되며, 상부롤셋(10)과 하부롤셋(20) 사이에 금속판재(M)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롤셋(10)과 하부롤셋(20)의 가압에 의해 금속판재(M)의 이중곡 성형이 진행된다. 상부가열장치(30)와 하부가열장치(40)는 이중곡 성형대상영역의 금속판재(M)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것으로서, 상부가열장치(30)는 상부롤셋(10)의 일측에 구비되고 하부가열장치(40)는 하부롤셋(2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롤셋(10)은 상부롤 가이드부재(11), 상부롤 하중인가부재(12) 및 상부롤(1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롤 가이드부재(11)는 메인프레임(1)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롤 가이드프레임(2)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며, 상부롤 하중인가부재(12)는 상부롤 가이드부재(11)의 일측에 고정되어 프레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부롤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롤 하중인가부재(12)는 수직방향 즉, z축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롤 하중인가부재(12)의 일단에는 상부롤(1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상부롤셋(10)과 하부롤셋(20) 그리고 상부가열장치(30)와 하부가열장치(4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롤 가이드부재(11)는 x축 방향의 직선운동, 상부롤 하중인가부재(12)는 z축 방향의 직선운동 및 z축 기준 회전, 상부롤(13)은 z축 기준 회전 및 자체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설계되며, 이러한 상부롤 가이드부재(11), 상부롤 하중인가부재(12) 및 상부롤(13)의 동작에 따라 상부롤(13)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롤셋(10)의 일측에는 상부가열장치(30)가 결합되는데, 상부가열장치(3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롤셋(20)은 하부롤 받침대(21), 하부가열장치 받침대(23), 하부롤 거치부재(24) 및 하부롤(25)로 구성된다. 하부롤 받침대(21)는 메인프레임(1)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롤 가이드프레임(3)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하부가열장치 받침대(23)는 하부롤 받침대(21) 상에 구비되어 하부롤 거치부재(24) 및 하부가열장치(4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며, 복수의 하부롤(25)은 하부롤 거치부재(24) 상에 구비된다.
하부가열장치 받침대(23)를 관통하는 형태로 회전축(22)이 구비되며, 회전축(22)의 회전에 따라 하부가열장치 받침대(23)는 하부롤 받침대(21) 상에서 z축 기준 회전이 가능하다. 하부가열장치 받침대(23) 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가열장치(40) 및 하부롤 거치부재(24)가 구비되는데, 일 실시예로 하부가열장치 받침대(23)의 양단측에 하부롤 거치부재(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하부롤 거치부재(24) 사이의 공간에 하부가열장치 가이드프레임(23a)이 구비된다. 따라서, 하부가열장치(40)는 두 개의 하부롤 거치부재(24) 사이의 공간에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프레임(23a)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부롤 받침대(21)는 x축 방향의 직선운동, 하부가열장치 받침대(23)는 z축 기준 회전 및 z축 방향의 직선운동, 하부롤(25)은 z축 기준 회전 및 자체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설계되며, 이러한 하부롤 받침대(21), 하부가열장치 받침대(23) 및 하부롤(25)의 동작에 따라 하부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가열장치(30) 및 하부가열장치(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가열장치(30)는 상부롤셋(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금속판재(M)의 상면을 가열하고, 하부가열장치(40)는 하부롤셋(20)의 일측에 구비되어 금속판재(M)의 하면을 가열한다. 이러한 상부가열장치(30)와 하부가열장치(40)는 상부롤셋(10)과 하부롤셋(20)을 이용한 금속판재(M)에 대한 이중곡 성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동작되거나 이중곡 성형의 진행 전에 금속판재(M)를 미리 가열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상부가열장치(30)는 상부롤셋(10)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일 실시예로 상부롤(13)의 일측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롤(13) 이외에 상부롤 하중인가부재(12)의 일측에 상부가열장치(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부가열장치(30)는 세부적으로, 힌지회동부재(31), 가이드회전축(32), 가열부재 장착판(33), 가열부재 거치핀(34) 및 가열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회동부재(31)는 상부롤셋(10)의 일측 예를 들어, 상부롤의 일측과 힌지연결(31a)되어 z축에서 xy평면을 향해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한 형태를 이룬다. 상기 가열부재 장착판(33)은 가이드회전축(32)을 매개로 힌지회동부재(31)와 연결되며, 가열부재 거치핀(34) 및 가열부재의 장착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힌지회동부재(31)의 밑면에는 가이드회전축(32)이 장착되어 y축 방향의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회전축 가이드홈(32a)이 구비되어, 가이드회전축(32)이 가이드회전축 가이드홈(32a)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이드회전축 가이드홈(32a)을 따라 y축 방향의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또한, 가이드회전축(32)은 z축 기준 회전이 가능한 형태를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부재 장착판(33)이 가이드회전축(32)을 매개로 힌지회동부재(31)와 연결되는 구조임에 따라, 가이드회전축(32)의 y축 방향 이동시 가열부재 장착판(33) 역시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회전축(32)의 z축 기준 회전시 가열부재 장착판(33) 역시 z축 기준 회전이 진행된다.
상기 가열부재 장착판(33) 상에는 복수의 가열부재 거치핀(34)이 가열부재 장착판(33)과 직교하는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 고정된다. 각각의 가열부재 거치핀(34)은 실린더-피스톤 형태와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가열부재(35)는 가열부재 거치핀(34) 상에 가열부재 거치핀(3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치되며, 가열부재 거치핀(34)과 가열부재(35)의 연결부는 힌지연결(35a)된다.
가열부재 거치핀(34)과 가열부재(35)가 힌지연결되고, 가열부재 거치핀(34)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룸에 따라, 가열부재(35)의 힌지회전 및 가열부재 거치핀(34)의 길이변화에 따라 가열부재는 z축에서 xy평면을 향해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부재(35)의 위치변화를 통해 금속판재(M)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열부재는 고주파 유도코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주파 유도코일의 일측은 전원장치와 연결된다. 고주파 유도코일 이외에 다양한 가열수단 예를 들어, 토치 등으로 가열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가열장치(40)는 하부가열장치 가이드부재(41), 장착판 회전축(42), 가열부재 장착판(43), 가열부재 거치핀(44) 및 가열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가열장치(40)는 하부롤셋(20)의 하부가열장치 받침대(23)에 구비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프레임(23a)을 따라 x축 방향의 직선운동이 가능한데, 구체적으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부재(41)가 하부가열장치 가이드프레임(23a)을 따라 x축 방향의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하부가열장치 가이드부재(41)와 가열부재 장착판(43)은 장착판 회전축(42)을 매개로 연결된다. 장착판 회전축(42)은 z축 방향 이동 및 z축 기준 회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장착판 회전축(42)의 동작에 따라 가열부재 장착판(43) 역시 z축 방향 이동 및 z축 기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도 4 참조).
상기 가열부재 장착판(43) 상에 가열부재 거치핀(44) 및 가열부재(45)가 구비되며, 해당 가열부재 거치핀(44) 및 가열부재(45)는 상부가열장치(30)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가열부재 장착판(43) 상에는 복수의 가열부재 거치핀(44)이 가열부재 장착판(43)과 직교하는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 고정된다. 각각의 가열부재 거치핀(44)은 실린더-피스톤 형태와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가열부재(45)는 가열부재 거치핀(44) 상에 가열부재 거치핀(4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치되며, 가열부재 거치핀(44)과 가열부재(45)의 연결부는 힌지연결(45a)된다.
가열부재 거치핀(44)과 가열부재(45)가 힌지연결(45a)되고, 가열부재 거치핀(44)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룸에 따라, 가열부재의 힌지회전 및 가열부재 거치핀(44)의 길이변화에 따라 가열부재(45)는 z축에서 xy평면을 향해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부재(45)의 위치변화를 통해 금속판재(M)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열부재 역시 상부가열장치(30)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유도코일 또는 토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상부롤셋(10)과 하부롤셋(20) 그리고 상부가열장치(30)와 하부가열장치(40)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부롤셋(10)과 하부롤셋(20)을 이용한 금속판재(M)에 대한 이중곡 성형시 상부가열장치(30) 및 하부가열장치(40)를 통해 금속판재(M)의 특정 영역에 대한 가열이 가능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스 하중을 통해서도 극후판의 금속판재에 대한 이중곡 성형이 가능하며, 높은 프레스 하중을 견디기 위한 하부롤셋(20)의 물리적 보강 또한 요구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가열장치(30)와 하부가열장치(40)는 다양한 동작을 통해 가열부재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금속판재(M)의 특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데, 상부가열장치(30)와 하부가열장치(40) 각각의 동작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가열장치(30)는 5자유도 동작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힌지회동부재(31)의 힌지회전에 따른 z축 방향에서 xy평면을 향한 일정 각도 이동, 가이드회전축(32)의 z축 방향의 직선이동, 가이드회전축(32)의 z축 기준 회전, 가열부재 거치핀(34)의 z축 방향의 길이조절, 가열부재(35)의 힌지회전에 따른 z축 방향에서 xy평면을 향한 일정 각도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5자유도 동작에 따라 상부가열장치(30)의 가열부재는 금속판재(M)의 특정 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하부가열장치(40) 역시 5자유도 동작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부재(41)의 x축 방향 이동, 장착판 회전축(42)의 z축 방향 이동, 장착판 회전축(42)의 z축 기준 회전, 가열부재 거치핀(44)의 z축 방향의 길이조절, 가열부재(45)의 힌지회전에 따른 z축 방향에서 xy평면을 향한 일정 각도 이동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가열장치(30)와 하부가열장치(40)의 동작 그리고 상부롤셋(10)와 하부롤셋(20)의 동작을 통해 횡곡성형(도 5a 참조), 종곡성형(도 5b 참조) 등 다양한 이중곡 성형이 가능하다.
1 : 메인프레임 2 : 상부롤 가이드프레임
3 : 하부롤 가이드프레임 10 : 상부롤셋
11 : 상부롤 가이드부재 12 : 상부롤 하중인가부재
13 : 상부롤 20 : 하부롤셋
21 : 하부롤 받침대 22 : 회전축
23 : 하부가열장치 받침대 23a : 하부가열장치 가이드프레임
24 : 하부롤 거치부재 25 : 하부롤
30 : 상부가열장치 31 : 힌지회동부재
31a : 상부롤셋과 힌지회동부재의 힌지연결부위
32 : 가이드회전축 32a : 가이드회전축 가이드홈
33 : 가열부재 장착판 34 : 가열부재 거치핀
35 : 가열부재 40 : 하부가열장치
41 : 하부가열장치 가이드부재 42 : 장착판 회전축
43 : 가열부재 장착판 44 : 가열부재 거치핀
45 : 가열부재

Claims (5)

  1. 금속판재에 대한 이중곡 성형을 진행하는 상부롤셋과 하부롤셋;
    상부롤셋의 일측에 구비되어 금속판재의 상면을 가열하는 상부가열장치; 및
    하부롤셋의 일측에 구비되어 금속판재의 하면을 가열하는 하부가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열장치는,
    상부롤의 일측과 힌지연결되어 z축에서 xy평면을 향해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한 힌지회동부재와,
    가이드회전축을 매개로 힌지회동부재와 연결되며, 가열부재 거치핀 및 가열부재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가열부재 장착판과,
    가열부재 장착판 상에 가열부재 장착판과 직교하는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열부재 거치핀과,
    가열부재 거치핀 상에 가열부재 거치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치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회동부재의 밑면에는 가이드회전축이 장착되어 힌지회동부재의 길이 방향의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회전축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가이드회전축의 z축 기준 회전 및 직선운동에 따라 가열부재 장착판의 z축 기준 회전 및 직선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가열부재 거치핀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가열부재 거치핀과 가열부재의 연결부위는 힌지연결되며, 가열부재의 힌지회전 및 가열부재 거치핀의 길이변화에 따라 가열부재는 z축에서 xy평면을 향해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열장치는,
    하부롤셋에 구비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x축 방향의 직선운동이 가능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부재와,
    장착판 회전축을 매개로 하부가열장치 가이드부재와 연결되며, 가열부재 거치핀 및 가열부재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가열부재 장착판과,
    가열부재 장착판 상에 가열부재 장착판과 직교하는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열부재 거치핀과,
    가열부재 거치핀 상에 가열부재 거치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치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착판 회전축은 z축 기준 회전 및 z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가열부재 거치핀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가열부재 거치핀과 가열부재의 연결부위는 힌지연결되며, 가열부재의 힌지회전 및 가열부재 거치핀의 길이변화에 따라 가열부재는 z축에서 xy평면을 향해 일정 각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셋은,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롤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상부롤 가이드부재와, 상부롤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프레스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부롤에 전달하는 상부롤 하중인가부재와, 상부롤 하중인가부재의 일단에 구비되어 금속판재를 가압하는 상부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롤셋은,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롤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하부롤 받침대와, 하부롤 받침대 상에 구비되어 하부롤 거치부재 및 하부가열장치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가열장치 받침대와, 하부롤 거치부재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하부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KR1020210139840A 2021-10-20 2021-10-20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KR20230056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840A KR20230056144A (ko) 2021-10-20 2021-10-20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840A KR20230056144A (ko) 2021-10-20 2021-10-20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144A true KR20230056144A (ko) 2023-04-27

Family

ID=8609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840A KR20230056144A (ko) 2021-10-20 2021-10-20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14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068B1 (ko) 2005-12-13 2007-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양한 형상의 이중 곡률을 가지는 금속판재를 성형하기위한 선형 배열 롤셋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20130085248A (ko) 2012-01-19 2013-07-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곡 주판 성형을 위한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068B1 (ko) 2005-12-13 2007-0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양한 형상의 이중 곡률을 가지는 금속판재를 성형하기위한 선형 배열 롤셋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20130085248A (ko) 2012-01-19 2013-07-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곡 주판 성형을 위한 가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32600A1 (en) Method for three-dimensionally bending workpiece and bent product
WO2008102388A1 (en) Apparatus for bending plates with rolls
EP19572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bowing personalized documents
CN1991592B (zh) 载物台装置
KR20230056144A (ko) 하이브리드 이중곡 성형장치
US10662490B2 (en) Hardening apparatus for a long member, and a hardening method for a long member
JP2018183809A (ja) 搬送装置
US66383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hardening bearing surfaces of crankshafts
CN110154141A (zh) 用于低温电热膜的气动打孔装置
JP5508203B2 (ja) 加熱ヘッド
US4123644A (en) Device for inductively heating cylindrical surfaces
US20240149534A1 (en) Installation for welding parts made of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3035628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ress-formed product, apparatus for transporting heated workpiece, and hot-press manufacturing line
CN111014393B (zh) 一种具有宽度调节功能的辊压成型机
CN110468620A (zh) 具有驱动单元的砑光机
CN208880431U (zh) 一种可倾斜的治具机构
JP2002192234A (ja) 鋼板深曲げ加工装置
JP3776605B2 (ja) 条材の曲げ加工装置
KR20220146234A (ko) 다중곡 성형용 복합 롤 벤딩 장치
CN219851503U (zh) 一种电力用60度角钢成型装置
KR102563361B1 (ko) 유연기구구조를 적용한 코팅롤러 자가정렬구조 및 이를 구비한 필름코팅장치
KR20230040497A (ko) 금속판재 이중곡 성형장치
TWI655976B (zh) Curved servo mechanism for roll forming and bending machine using the same
KR200317630Y1 (ko) 전사기의 펠트장력 조절기구
KR20020038258A (ko) 벤딩 플레이트 누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