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184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184A
KR20230055184A KR1020210138596A KR20210138596A KR20230055184A KR 20230055184 A KR20230055184 A KR 20230055184A KR 1020210138596 A KR1020210138596 A KR 1020210138596A KR 20210138596 A KR20210138596 A KR 20210138596A KR 20230055184 A KR20230055184 A KR 20230055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cartridge
sensor
aerosol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174B1 (ko
Inventor
이원경
이종섭
조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13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1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2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a vibrating flui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조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하우징 및 카트리지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카트리지(cartridge) 및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 수용 공간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객체와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배터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본체(body)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는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제1 위치에서 센서와 접촉하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센서로부터 이격되며, 프로세서는 센서를 통해 카트리지가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의 센서에 대한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고,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배터리를 통해 무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피스의 위치에 따라 무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증기를 생성한 후 생성한 증기를 고체 상태의 향 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향미를 갖는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등의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고,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수용된 카트리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본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무화기(atomizer)를 통해 카트리지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무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에어로졸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를 낮추고,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점도가 낮아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미세 입자화하는 초음파 방식의 무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방식의 무화기의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가 낮아지는데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의 초기 퍼프 동작에서는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을 구비하고,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무화기를 예열(pre-heating)시킴으로써, 초기 퍼프 시에도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다만,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 및 버튼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들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휴대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소형화하면서도 무화기를 예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버튼을 포함하지 않고, 마우스피스의 위치에 따라 무화기를 예열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하면서도 초기 퍼프 시의 충분한 에어로졸 양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조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하우징 및 카트리지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카트리지(cartridge) 및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 수용 공간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객체와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배터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본체(body)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는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제1 위치에서 센서와 접촉하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센서로부터 이격되며, 프로세서는 센서를 통해 카트리지가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의 센서에 대한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고,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배터리를 통해 무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조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하우징 및 카트리지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본체의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수용 공간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마우스피스가 센서와 접촉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하는지 또는 제1 위치에서 센서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지를 나타내는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배터리를 통해 무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벙은 버튼을 포함하지 않고도 무화기를 예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초기 퍼프 동작 시에도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본체에 삽입되는 카트리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되지 않은 카트리지를 이용한 흡연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카트리지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추정하고,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가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센서에 대한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는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일 때, 센서와 마우스피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센서와 마우스피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도전성 부재와 센서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도전성 부재와 센서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와 같은 표현이 배열된 구성요소들 앞에 있을 때, 배열된 각각의 구성이 아닌 전체 구성 요소들을 수식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는 표현은 a, b, c, 또는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와 b와 c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탈착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카트리지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주입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는 액체 상태, 고체 상태, 기체 상태, 겔(gel) 상태 등의 다양한 상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카트리지는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 및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진동 방식은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고, 진동자를 통해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다.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고,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 대역은 약 100kHz 내지 약 3.5MHz 주파수 대역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는 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지는 진동자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진동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진동자에 전압(예: 교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진동자로부터 열 및/또는 초음파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진동자로부터 발생된 열 및/또는 초음파 진동은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전달될 수 있다.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진동자로부터 전달되는 열 및/또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기체의 상(phase)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심지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진동자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점도가 낮아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미세 입자화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크래들(crad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는 앞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들에서 구현 가능한 형태로 실시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본체(100) 및 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본체')는 본체 하우징(110), 인쇄 회로 기판(120), 배터리(130), 프로세서(140) 및 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구성 요소들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본체(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카트리지(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100i)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카트리지(200)는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본체(100)와 카트리지(200)는 스냅-핏(snap-fit) 방식, 나사 결합 방식, 자력 결합 방식 또는 억지 끼워 맞춤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나, 본체(100)와 카트리지(200)의 결합 방식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에서,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카트리지(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용 공간(100i)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카트리지(200)에 힘을 가함으로써, 카트리지(200)를 수용 공간(100i)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20)은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12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부품들(components) 중 적어도 일부가 배치 또는 실장(mount)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120)에는 배터리(130) 및/또는 프로세서(140)가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으나, 인쇄 회로 기판(120)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종류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동작에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30)는 카트리지(200)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킬 수 있도록 카트리지(200)의 무화기(240)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30)는 프로세서(140), 센서(150) 및/또는 메모리(미도시)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13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30)는 니켈 계열 배터리(예를 들어, 니켈-금속 하이드라이드 배터리, 니켈-카드뮴 배터리), 또는 리튬 계열 배터리(예를 들어, 리튬-코발트 배터리, 리튬-포스페이트 배터리, 리튬 티타네이트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배터리(130)의 종류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130)는 알카라인 배터리, 또는 망간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프로세서(140)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배터리(130)를 통해 카트리지(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센서(15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배터리(130)에서 카트리지(200)로 공급되는 전략의 양 및/또는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를 통해 카트리지(200)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카트리지(200)의 무화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무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센서(150)를 통해 사용자의 퍼프 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퍼프 동작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고,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지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광원,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종료됨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상태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주변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40)에 전송 또는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센서(150)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카트리지(200)의 무화기(240)의 동작 제어, 사용자의 흡연 제한, 사용자 알림 제공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50)는 외부 객체와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50)는 외부 객체와 접촉하는 스위치 또는 외부 객체와 센서의 사이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와 센서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센서를 통해 센서와 카트리지(200)의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카트리지(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50)는 공기의 유량 및/또는 공기의 유속을 감지하기 위한 공기 센서, 사용자의 퍼프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퍼프 센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움직임(movement)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200)는 카트리지 하우징(210), 저장조(220), 액체 전달 수단(230), 무화기(240), 배출 통로(250) 및 마우스피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구성 요소들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210)은 카트리지(2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카트리지(20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배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저장조(220), 액체 전달 수단(230), 무화기(240) 및 배출 통로(250)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조(220)는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저장조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표현은 저장조(220)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저장조(220)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장조(220)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체 전달 수단(230)은 저장조(220)에 수용 또는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기(24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230)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지(wick)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화기(24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변환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조(2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230)을 통해 무화기(240)로 공급될 수 있으며, 무화기(240)는 공급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화기(240)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240)는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동자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다.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는 약 100kHz 내지 3.5 MHz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체 전달 수단(230)을 통해 무화기(240)로 공급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진동자로부터 생성된 짧은 주기의 진동에 의해 기화 및/또는 입자화되어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진동자는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전 세라믹은 물리적인 힘(압력)에 의해 전기(전압)를 발생하고 역으로 전기가 인가될 때 진동(기계적인 힘)을 발생함으로써 전기와 기계적인 힘을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기능성 재료일 수 있다. 즉, 진동자에 전기가 인가됨에 따라 짧은 주기의 진동(물리적인 힘)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된 진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에어로졸로 무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본체(100)의 배터리(130) 및/또는 프로세서(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진동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 요소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진동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배터리(130)로부터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받아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프로세서(14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 부재는 예를 들어, 포고 핀(Pogo Pin) 또는 C-클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전기적 연결 부재가 상술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전기적 연결 부재는 케이블 및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무화기(240)는 또한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230)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진동을 전달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의 진동 수용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 상에는 액체 전달 수단(230) 및 무화기(240)가 카트리지(200)에 배치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액체 전달 수단(230) 및 무화기(240)의 배치 구조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전달 수단(230)은 카트리지(200)에 배치되고, 무화기(240)는 본체(1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배출 통로(250)는 카트리지(2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통로(250)는 무화기(240) 및 마우스피스(260)의 배출구(260e)와 연결 또는 연통할 수 있으며, 무화기(24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배출 통로(250)를 따라 이동하며 배출구(260e)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통로(250)는 카트리지(200)의 내부에서 저장조(220)에 의해 감싸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배출 통로(250)의 배치 구조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우스피스(260)는 카트리지(200)의 본체(100)와 결합되는 일 영역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다른 영역에 배치되며, 카트리지(2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60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260)에 구강을 접촉하고 흡입 또는 퍼프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카트리지(200)의 외부와 내부의 사이에 압력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카트리지(200)의 외부와 내부의 사이에 압력 차이에 의해 배출구(260e)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마우스피스(260)에 구강을 접촉하고 흡입함으로써, 배출구(260e)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우스피스(260)는 카트리지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260)는 카트리지 하우징(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과 평행 또는 나란한 제1 위치와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260)는 카트리지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회전 이동할 수 있으나, 카트리지 하우징(210)과 마우스피스(260)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우스피스(260)는 카트리지 하우징(2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본체(100)와 카트리지(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단면의 형상이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때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단면 형상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유선형으로 만곡되거나 특정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며 길게 연장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단면 형상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본체(100)(예: 도 1의 본체(100)) 및 본체(100)의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될 수 있는 카트리지(200)(예: 도 1의 카트리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체(100)의 본체 하우징(110)은 카트리지(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100i)을 포함하며, 본체(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본체 하우징(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면이 직사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체 하우징(110)의 형상이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미도시)에서, 본체 하우징(110)은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인 기둥 형상 또는 단면이 다각형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공간(100i)은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은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우스피스(260)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마우스피스(26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A)은 마우스피스(26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우스피스(260)의 형상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영역(B)은 제1 영역(A)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B)은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2 영역(B)의 형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1) 및 제1 하우징(111)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112)(또는 '커버(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배치 공간(또는 '실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1)의 배치 공간에는 카트리지(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예: 배터리, 프로세서)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11)은 배치 공간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을 외부 충격 및/또는 이물질 유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100i)은 제1 하우징(111)의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100i)은 제1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는 카트리지(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 때, 수용 공간(100i)은 카트리지(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카트리지(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으나, 수용 공간(100i)의 형상이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공간(100i)은 본체(100)의 구성 요소들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하우징(11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하우징(111)의 일 측면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수용 공간(100i)의 배치 위치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하우징(112)은 제1 하우징(111)의 적어도 일 영역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하우징(111)의 일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112)은 제1 하우징(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미도시)을 통해 제1 하우징(111)의 적어도 일 영역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의 결합 방식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12)은 제1 하우징(111)의 수용 공간(100i)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구(112h)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개구가 수용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는 표현은 개구(112h)가 수용 공간(100i)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거나, 개구(112h)가 수용 공간(100i)의 외주면을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12)의 개구(112h)가 수용 공간(100i)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제2 하우징(112)에 제1 하우징(111)의 일 영역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수용 공간(100i)이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112)이 제1 하우징(111)의 일 영역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수용 공간(100i)이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카트리지(200)는 제2 하우징(112)의 탈부착 상태와 관계없이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150)는 수용 공간(100i)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외부 객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50)는 수용 공간(100i)의 제1 영역(A)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되는 카트리지(200)의 마우스피스(260)와 센서(150)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프로세서는 센서(15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센서(150)에 대한 카트리지(200)의 마우스피스(260)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마우스피스(260)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카트리지(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센서(150)와 마우스피스(260)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카트리지(20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260)가 센서(150)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카트리지(200)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체(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가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00)는 카트리지 하우징(210)(예: 도 1의 카트리지 하우징(210)) 및 마우스피스(260)(예: 도 1의 마우스피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00)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카트리지(2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카트리지 하우징(210)은 카트리지(2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조(예: 도 1의 저장조(220)),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기(예: 도 1의 무화기(240)) 및 저장조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기로 공급하기 위한 액체 전달 수단(예: 도 1의 액체 전달 수단(230))이 배치될 수 있으나,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우스피스(260)는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일 영역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위치(또는 '폐쇄 위치')와 제2 위치(또는 '개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260)는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일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회전 이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에서, 마우스피스(26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위치'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260)가 본체(예: 도 2의 본체(100))에 수용 또는 수납될 수 있도록 마우스피스(260)가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260)가 제2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 마우스피스(260)가 본체(100)에 수용 또는 수납되어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마우스피스(260)의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제2 위치'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구부가 마우스피스(260)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마우스피스(260)가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과 평행하게 또는 일치하게 배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흡연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본체(예: 도 2의 본체(100))에 카트리지(200)를 삽입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60)를 제1 위치에 배치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흡엽 시에는 마우스피스(26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켜 마우스피스(260)와 구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40))는 센서(예: 도 2의 센서(150))를 통해 센서에 대한 카트리지(예: 도 2의 카트리지(200))의 마우스피스(예: 도 2, 도 3의 마우스피스(260))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센서에 대한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는 센서를 기준으로 마우스피스가 근접한 상태인지 또는 센서로부터 이격되는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센서를 통해 카트리지가 본체(예: 도 2의 본체(100))의 수용 공간(예: 도 2의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되었을 때,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에 위치하여 센서와 마우스피스가 접촉한 상태인지 또는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마우스피스가 센서로부터 이격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40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401 단계를 통해 감지된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카트리지의 무화기(예: 도 1의 무화기(2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와 센서가 접촉한 상태인지 또는 마우스피스가 센서로부터 이격된 상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무화기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거나,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프로세서의 센서에 대한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센서에 대한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6a는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일 때, 센서와 마우스피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a는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센서와 마우스피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40))는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의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되었을 때, 센서(예: 도 2의 센서(150))에 대한 마우스피스(260)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수용 공간(100i)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마우스피스(260)와 접촉하는 스위치(15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51)는 마우스피스(260)를 포함하는 외부 객체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으며, 가압되는 경우 외부 객체와 접촉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51)는 물리적 스위치 또는 C-클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치(151)는 마우스피스(260)와 접촉할 수 있는 수용 공간(100i)의 일 영역(예: 도 2의 제1 영역(A))에 배치되어, 마우스피스(260)와 접촉할 수 있다. 스위치(151)는 마우스피스(260)와 접촉하는 경우, 마우스피스(260)와 접촉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치(151)에 대한 마우스피스(260)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스위치(151)는 마우스피스(260)의 일 영역과 접촉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스위치(151)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마우스피스(260)와 스위치(151)가 접촉한 상태라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마우스피스(260)는 스위치(151)로부터 이격되어 마우스피스(260)와 스위치(151)는 비접촉 상태가 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260)와 스위치(151)가 비접촉 상태가 됨에 따라, 스위치(151)에서 프로세서로 전달되는 신호가 중단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스위치(151)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가 중단되는 경우 마우스피스(260)가 스위치(151)로부터 이격된 상태라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50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프로세서는 501 단계를 통해 감지된 센서에 대한 마우스피스(260)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마우스피스(260)가 센서로부터 이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b를 참조하면, 503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502 단계를 통해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60)가 센서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30))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무화기(예: 도 1의 무화기(240))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정된 전력'은 무화기를 예열시키기 위한 전력을 의미할 수 있으며, 무화기에 지정된 전력이 공급되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를 낮추기 위한 예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마우스피스(260)가 스위치(151)로부터 이격된 경우, 사용자가 흡연을 위해 마우스피스(260)를 조작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화기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하여 무화기를 예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는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열을 발생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를 낮추고,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점도가 낮아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미세 입자화하는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점도가 낮아지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의 초기 퍼프 동작 시에는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의 흡연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상술한 503 단계를 통해 마우스피스(260)가 센서(예: 스위치(151))로부터 이격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무화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무화기를 예열함으로써, 사용자의 초기 퍼프 동작 시에도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504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502 단계를 통해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60)가 센서로부터 이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위치하여 마우스피스(260)와 스위치(151)가 접촉하는 경우, 사용자가 흡연을 종료하거나 또는 보관을 위하여 사용자가 마우스피스(260)를 조작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상술한 501 단계 내지 504 단계를 통해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지 않고도 마우스피스(260)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무화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예: 버튼)을 포함하지 않고도, 무화기를 예열할 수 있어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때, 도 7은 도 5의 503 단계 이후,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들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또는 도 6a 내지 도 6b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들의 일 실시예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2, 도 6a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프로세서는 현재 시각이 마우스피스(예: 도 2, 도 6b의 마우스피스(260))가 센서(예: 도 6b의 스위치(151))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현재 시각이 카트리지(예: 도 6b의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예: 도 6b의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정된 시간'은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 있으며, 지정된 시간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종류, 사용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시간은 약 1초 내지 약 2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0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701 단계에서 현재 시각이 마우스피스가 센서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의 접촉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로세서는 701 단계에서 현재 시각이 마우스피스가 센서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701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703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702 단계에서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의 접촉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외부 객체의 접촉을 무시하고, 배터리를 통해 카트리지(예: 도 6b의 카트리지(200))에 지정된 전력을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다.
카트리지가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무화기에 지정된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가 다시 센서와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 때, 마우스피스가 아닌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손)가 센서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가 센서와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화기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여 무화기의 예열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술한 701 단계 내지 703 단계를 통해 마우스피스가 센서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는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의 접촉을 무시하고,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계속함으로써, 마우스피스가 아닌 사용자의 손과 같은 외부 객체와 센서의 접촉에 의해 무화기의 예열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가 센서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센서와 다시 접촉하였음에도 불필요한 전력 공급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의 접촉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마우스피스가 센서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외부 객체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라도, 센서와 외부 객체의 접촉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마우스피스가 센서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도전성 부재와 센서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카트리지(200)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100i)과 센서(예: 도 2의 센서(150))를 포함하는 본체(100) 및 카트리지 하우징(210)과 카트리지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우스피스(260)를 포함하는 카트리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도 6a 내지 도 6b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스위치(151)가 생략되고, 도전성 패턴(152) 및 정전용량센서(153)가 추가된 장치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우스피스(260)는 마우스피스(260)의 센서를 향하는 일 영역에 배치되는 도전성 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부재(270)는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수용 공간(100i)에 배치된 센서와 접촉하는 마우스피스(26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도전성 부재(270)는 센서의 일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부재(270)는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도전성 부재(270)는 도전성을 갖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수용 공간(100i)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도전성 패턴(152) 및 도전성 패턴(152)과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되는(operatively connected) 정전용량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패턴(152)은 마우스피스(260)의 도전성 부재(270)와 접촉할 수 있는 수용 공간(100i)의 일 영역(예: 도 2의 제1 영역(A))에 배치되어, 도전성 부재(27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패턴(152)은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마우스피스(260)와 대응되는 수용 공간(100i)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도전성 부재(27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전성 패턴(152)은 실질적으로 "ㄹ"자 형상으로 형성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전성 패턴(152)의 형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전용량센서(153)는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120)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120)과 도전성 패턴(152)을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154)를 통해 도전성 패턴(152)과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연결 부재(154)는 C-클립(C-clip), 전선, 도전성 케이블 및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전용량센서(153)는 상술한 전기적 연결 관계를 통해 마우스피스(260)의 위치 변화에 따른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정전용량센서(153)에서 감지된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40))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정전용량센서(153)는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도전성 부재(270)가 도전성 패턴(152)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발생되는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정전용량센서(153)는 마우스피스(26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도전성 부재(270)가 도전성 패턴(152)으로 접근함에 따라 발생되는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정전용량센서(153)로부터 전달된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센서에 대한 마우스피스(260)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도전성 부재(270)와 정전용량센서(153)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위치하여 마우스피스(260)의 도전성 부재(270)와 센서의 도전성 패턴(152)이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정전용량센서(153)를 통해 감지된 도전성 부재(270)와 정전용량센서(153)의 사이의 정전용량 값과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이동하였을 때의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값을 비교하여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무화기(예: 도 2의 무화기(240))에 대한 전력 공급이 불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도전성 부재(270)가 도전성 패턴(152)으로부터 이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마우스피스(260)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마우스피스(260)가 도전성 패턴(152)으로부터 이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정된 값'은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이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미리 지정된 정전용량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지정된 값 미만인 경우, 마우스피스(260)의 이동이 아닌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고, 마우스피스(260)가 여전히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흡연을 위한 무화기의 예열이 필요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30))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무화기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하여 무화기를 예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도전성 부재(270)가 도전성 패턴(152)으로부터 이격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정전용량센서(153)를 통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정전용량의 변화를 무시하고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계속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26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격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정전용량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외부 객체와 도전성 패턴(152)의 접촉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로 판단하고, 무화기의 예열을 위한 전력 공급을 계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마우스피스(260)가 아닌 사용자의 손과 같은 외부 객체와 센서의 접촉에 의해 무화기의 예열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정전용량센서(153)로부터 전달된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되는 카트리지(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카트리지에 대한 인증'은 카트리지(200)가 정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260)의 일 영역에 부착되는 도전성 부재(270)의 위치, 형상 및/또는 재질에 따라, 마우스피스(260)의 이동 시에 발생되는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마우스피스(260)의 이동 시에 발생되는 도전성 부재(270)와 도전성 패턴(152)의 정전용량 변화량과 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마우스피스(260)의 이동 시에 발생되는 정전용량 변화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카트리지(200)가 정품인지 또는 모조품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카트리지(200)가 모조품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흡연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배터리를 통해 카트리지(20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거나, 카트리지(200)가 모조품임을 나타내는 사용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광원, 모터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술한 동작을 통해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된 카트리지(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삽입된 카트리지(200)가 모조품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흡연을 제한하거나, 사용자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모조품 사용에 의한 사용자의 흡연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도전성 부재와 센서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카트리지(200)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100i)과 센서(예: 도 2의 센서(150))를 포함하는 본체(100) 및 카트리지 하우징(210)과 카트리지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우스피스(260)를 포함하는 카트리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도 8 내지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도전성 패턴(152)의 형상이 변형될 장치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는 도전성 패턴(152)이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되는 카트리지(200)의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일 영역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패턴(152)은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될 때, 마우스피스(26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00i)의 제1 영역(예: 도 2의 A 영역) 및 카트리지 하우징(210)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00i)의 제2 영역(예: 도 2의 B 영역)에 배치되어, 마우스피스(260)의 도전성 부재(270) 및/또는 카트리지 하우징(210)과 접촉할 수 있다.
정전용량센서(153)는 전기적 연결 부재(154)를 통해 도전성 패턴(152)과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카트리지(200)가 수용 공간(100i)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 하우징(210)과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정전용량센서(153)를 통해 감지된 카트리지 하우징(210)과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관한 정보는 프로세서로 전달될 수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조(2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저장조(2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에 따라 카트리지 하우징(210)과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조(2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줄어드는 경우, 카트리지 하우징(210)과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정전용량센서(153)로부터 전달된 카트리지 하우징(210)과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저장조(2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감지 또는 추정(estimat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정전용량센서(153)를 통해 감지된 카트리지 하우징(210)과 도전성 패턴(152)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과 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전용량 변화량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저장조(2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감지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저장조(2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고갈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고갈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광원, 모터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추정하고, 사용자에게 카트리지(200)의 교체 시기를 알림으로써, 카트리지(200)가 적절한 시기에 교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는 프로세서(1210), 센싱부(1220), 출력부(1230), 배터리(1240), 무화기(1250), 사용자 입력부(1260), 메모리(1270) 및 통신부(12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의 내부 구조는 도 12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의 설계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센싱부(12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의 상태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21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상기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화기(1250)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예: 궐련, 카트리지 등)의 삽입 여부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1220)는 온도센서(1222), 삽입감지센서(1224) 및 흡입감지센서(122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온도센서(1222)는 무화기(1250)(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는 무화기(125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거나, 무화기(1250) 자체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온도센서(1222)는 배터리(1240)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배터리(1240)의 주위에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삽입감지센서(1224)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 및/또는 제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감지센서(1224)는 필름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저항성 센서, 용량성 센서, 유도성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 및/또는 제거됨에 따른 신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흡입감지센서(1226)는 기류 통로 또는 기류 채널의 다양한 물리적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감지센서(1226)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220)는 전술한 센서(1222 내지 1226) 외에, 온/습도 센서, 기압 센서,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출력부(12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230)는 디스플레이부(1232), 햅틱부(1234) 및 음향 출력부(12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232)와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3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3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에 대한 정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의 배터리(1240)의 충/방전 상태, 무화기(1250)의 작동 상태, 카트리지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제거 상태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의 사용이 제한되는 상태(예: 이상 물품 감지) 등의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232)는 상기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32)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32)는 LED 발광 소자 형태일 수도 있다.
햅틱부(1234)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자극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부(1234)는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3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236)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배터리(12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가 동작하는 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40)는 무화기(125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2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 내에 구비된 다른 구성요소들(예: 센싱부(1220), 출력부(1230), 사용자 입력부(1260), 메모리(1270) 및 통신부(128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4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24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화기(1250)는 배터리(12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는 배터리(1240)의 전력을 변환하여 무화기(1250)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 회로(예: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가 유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는 배터리(1240)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DC/A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 센싱부(1220), 출력부(1230), 사용자 입력부(1260), 메모리(1270) 및 통신부(1280)는 배터리(12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터리(1240)의 전력을 변환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 회로, 예를 들면 LDO(low dropout) 회로 또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화기(1250)는 저항 가열 방식의 히터일 수 있다. 히터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무화기(1250)는 유도 가열 방식의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기(1250)는 코일에 의해 인가된 자기장을 통해 발열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화기(1250)는 초음파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일 수 있다. 진동자는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에 전기가 인가됨에 따라 짧은 고주파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된 진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에어로졸로 무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6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connection interface)를 더 포함하고, USB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배터리(1240)를 충전할 수 있다.
메모리(12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121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 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280)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80)는 근거리 통신부(1282) 및 무선 통신부(1284)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282)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부(1284)는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부, 인터넷 통신부,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부(1284)는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를 확인 및 인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배터리(1240)의 전력을 무화기(1250)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무화기(1250)의 온도 또는 진동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배터리(1240)와 무화기(1250) 사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프로세서(12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가열직접회로가 무화기(125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10)는 센싱부(1220)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분석하고, 이후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센싱부(12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기(125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무화기(125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0)는 센싱부(12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기(125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화기(125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센싱부(12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부(1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감지센서(12260)를 통해 카운트 된 퍼프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프로세서(1210)는 디스플레이부(1232), 햅틱부(1234) 및 음향 출력부(123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200)가 곧 종료될 것을 예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본체 하우징
120: 인쇄 회로 기판 130: 배터리
140: 프로세서 150: 센서
151: 스위치 152: 도전성 패턴
153: 정전용량센서 200: 카트리지
210: 카트리지 하우징 220: 저장조
230: 액체 전달 수단 240: 무화기
250: 배출 통로 260: 마우스피스
270: 도전성 부재 1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Claims (15)

  1.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하우징 및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카트리지(cartridge); 및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객체와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배터리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본체(body)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제1 위치에서 상기 센서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의 상기 센서에 대한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를 통해 상기 무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무화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마우스피스가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통해 상기 무화기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와 상기 마우스피스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우스피스가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지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센서를 통해 외부 객체의 접촉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무화기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마우스피스에 의해 가압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의 가압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의 상기 센서에 대한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마우스피스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센서와 접촉하는 일 영역에 배치되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수용 공간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도전성 패턴 및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패턴의 사이의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위치에 따른 상기 도전성 부재와 도전성 패턴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의 상기 센서에 대한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전성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의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카트리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정전용량센서는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과 상기 도전성 패턴의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에 따른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과 상기 도전성 패턴의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기 위한 무화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하우징 및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본체의 수용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상기 마우스피스가 상기 센서와 접촉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지를 나타내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배터리를 통해 무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마우스피스가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통해 상기 무화기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와 상기 마우스피스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무화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방법.
KR1020210138596A 2021-10-18 2021-10-18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4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596A KR102645174B1 (ko) 2021-10-18 2021-10-18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596A KR102645174B1 (ko) 2021-10-18 2021-10-18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184A true KR20230055184A (ko) 2023-04-25
KR102645174B1 KR102645174B1 (ko) 2024-03-07

Family

ID=8610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596A KR102645174B1 (ko) 2021-10-18 2021-10-18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1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7520B2 (en) * 2015-07-29 2018-01-30 Nitesh Rastogi Hinged vaping system
US20200187565A1 (en) * 2018-12-12 2020-06-18 Lunatech, Llc Personal vaporizing device having multiple methods for activating the device
KR20200122390A (ko) * 2018-03-29 2020-10-27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에어로졸화 가능한 매체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에어로졸화 가능한 매체의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KR102262490B1 (ko) * 2019-01-16 2021-06-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7520B2 (en) * 2015-07-29 2018-01-30 Nitesh Rastogi Hinged vaping system
KR20200122390A (ko) * 2018-03-29 2020-10-27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에어로졸화 가능한 매체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에어로졸화 가능한 매체의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US20200187565A1 (en) * 2018-12-12 2020-06-18 Lunatech, Llc Personal vaporizing device having multiple methods for activating the device
KR102262490B1 (ko) * 2019-01-16 2021-06-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174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658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35301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455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49809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15093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6889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4517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1207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9057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43481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54259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7768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5710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36655B1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31935B1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48898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방법
KR20210042744A (ko) 궐련 및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660016B1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61916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176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8710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6890B1 (ko) 진동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3024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본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470821B2 (ja) カートリッジ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60837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