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903A - 크라운 스프링 단자, 전기커넥터 잭 및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크라운 스프링 단자, 전기커넥터 잭 및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903A
KR20230054903A KR1020237012163A KR20237012163A KR20230054903A KR 20230054903 A KR20230054903 A KR 20230054903A KR 1020237012163 A KR1020237012163 A KR 1020237012163A KR 20237012163 A KR20237012163 A KR 20237012163A KR 20230054903 A KR20230054903 A KR 20230054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terminal
crown spring
cantilever beam
cantilever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리 장
하이키옹 다이
화웨이 송
Original Assignee
피닉스 콘택트 아시아-퍼시픽 (난징)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 콘택트 아시아-퍼시픽 (난징)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피닉스 콘택트 아시아-퍼시픽 (난징)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54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Landscapes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제공하고,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는 각각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의 양단에 위치한 두 개의 연결밴드; 및 상기 두 개의 연결밴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두 개의 연결밴드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리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리드는 단순지지 보 및 컨틸레버 보; 및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상기 단순지지 보와 상기 컨틸레버 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단순지지 보와 컨틸레버 보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라운 스프링 단자, 전기커넥터 잭 및 전기커넥터
본 발명은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라운 스프링 단자,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사용한 전기커넥터 잭 및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커넥터 기술 분야에 있어서, 일 종의 전기커넥터는 전기커넥터 잭 내에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설치하고,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사용하여 전기커넥터 잭과 암커넥터 핀 사이의 전기 전도적 연결을 구현한다. 이러한 전기커넥터는 전자 및 전기 설비에 광범위하게 응용된다.
종래 기술의 크라운 스프링 단자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의 연결밴드 사이에 직사각형의 리드가 마련된다. 또한, 리드의 중부에는, 원통의 내부 축심 위치를 향해 돌출된 접점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접점을 통해 외부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회로를 도통하는 작용을 한다. 종래의 크라운 스프링 단자에 마련될 수 있는 접점의 수량이 제한되고, 접촉 저항이 여전히 비교적 크며, 암커텍터 핀과 전기커넥터 사이의 삽입/인출력이 비교적 크기에, 크라운 스프링 단자의 기존 구조는 이미 높은 전력 전송에서 접촉 저항 및 삽입/인출력에 대한 갈 수록 높아지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그 외, 크라운 스프링 단자는 리드 중부에서 내경 최소 위치를 갖는데, 상기 내경 최소 위치는 여러 차례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마모되기 쉽고, 항복되기 쉬워, 삽입/인출력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이러한 구조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의 사용 수명을 제한한다.
따라서, 기존 크라운 스프링 단자는 도통 능력, 사용 수명 등 측면에서 여전히 미흡하여, 큰 접촉 면적, 강한 도통 능력 및 더욱 긴 수명에 대한 고성능, 고정확도 전기 설비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접촉 면적이 비교적 큰 높은 캐리어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명이 비교적 긴 높은 캐리어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제공하고,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는 각각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의 양단에 위치한 두 개의 연결밴드; 및 상기 두 개의 연결밴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두 개의 연결밴드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리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리드는 단순지지 보 및 컨틸레버 보; 및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상기 단순지지 보와 상기 컨틸레버 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단순지지 보와 컨틸레버 보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는 통상체이고,상기 연결부는 상기 통상체의 중부에 위치하며, 상기 의 내면에 대해통상체 외면을 향해 형성된 함몰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복수의 리드는 제1 단순지지 보, 제1 컨틸레버 보 및 제2 컨틸레버 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순지지 보는 상기 제1 컨틸레버 보와 제2 컨틸레버 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컨틸레버 보 및 제2 컨틸레버 보와 함께 조합체를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단순지지 보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컨틸레버 보 및 제2 컨틸레버 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는 복수의 상기 조합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상기 조합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단순지지 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틸레버 보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컨틸레버 보, 제2 컨틸레버 보 및 상기 추가 컨틸레버 보 중 적어도 하나의 컨틸레버 보는 적어도 하나의 자유단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틸레버 보는 두 개의 자유단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자유단은 스핀들 구조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스핀들 구조의 두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틸레버 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스핀들 구조의 중부에서 상기 자유단의 단부로 점차 얇아지며, 상기 스핀들 구조의 폭은 상기 스핀들의 중부에서 양측으로 점차 작아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핀들 구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틸레버 보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스루홀을 더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루홀은 스핀들 형상으로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단순지지 보 및 상기 추가 단순지지 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순지지 보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일 단의 스루홀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일 단의 스루홀은 분립된 3단 스루홀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결밴드의 상기 컨틸레버 보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통상체의 외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결밴드의 상기 단순지지 보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통상체의 외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아우터 슬리브; 및 상기 아우터 슬리브 내에 위치한 상술한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잭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핀; 및 상기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상술한 전기커넥터 잭을 포함하는 전기커넥터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얻을 수 있고, 일부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도시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각 도면에서 공유하는 동일 요소를 나타내도록 한다. 그러나, 유의해야 할 점은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은 다른 등가의 실시예를 허용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통상체로 권취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평평하게 전개한 평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스프링 단자의 부분 구조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요소는 중복 서술할 필요 없이 다른 실시예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통해 설명하도록 하고,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을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기술적 효과를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은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외 다른 실시 형태를 통해 실시 및 응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본 명세서의 각 항의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취지에 위배되지 않는 전제 하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첨부된 도면은 간단한 설명에 불과하고, 실제 크기에 따라 그려진 것이 아니며, 관련 구조의 실제 크기를 반영하지 않는 것은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통상체로 권취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평평하게 전개한 평면 구조 개략도이고, 여기서 도시된 평면은 도 1에 도시된 통상체의 외면에 대응되고, 도시되지 않은 평면은 도 1에 도시된 통상체의 내면에 대응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는 권취되어 통상체를 형성할 수 있고, 양단에 연결밴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양단의 연결밴드 사이에 복수의 단순지지 보(101, 102) 및 복수의 컨틸레버 보(103)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단순지지 보(102)와 컨틸레버 보(103) 사이는 그 각자의 중부 위치에서 연결부(104)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설계를 이용하여, 각 단순지지 보와 컨틸레버 보의 폭을 대폭 줄일 수 있음으로써, 통상체의 원주 방향에서 가능한 한 많은 단순지지 보와 컨틸레버 보의 개수를 마련할 수 있는 동시에, 암커넥터 핀과의 접촉 면적을 유지 및 증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104)는 단순지지 보(102) 및 컨틸레버 보(103)를 벗어난 중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104)에서, 통상체의 축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기(105)가 형성되고, 즉 도 2에서 지면 외부로 돌출된다. 통상체의 내면에서 관찰하면, 상기 돌기(105)는 상기 통상체의 외면을 향해 형성된 함몰로 볼 수도 있다. 돌기(105)는 구상 돌기로 형성될 수 있고, 직사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105)의 개수는 하나일 수 있고, 두 개 이상일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서, 리드에 마련되되 통상체의 축심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접점을 이용하여 외부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 하에, 크라운 스프링 단자의 중부와 외부 핀의 전기적 접촉은 각각의 상술한 접점과 외부 핀의 포인트 접촉으로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연결부(104)에는 통상체의 축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돌기, 즉 통상체의 내면에서 관찰하면 외면을 향해 형성된 함몰이 마련된다. 이로써, 크라운 스프링 단자의 중부와 외부 핀의 전기적 접촉에 관하여,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함몰의 적어도 일부 주변이 외부 핀과 멀티포인트로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함몰의 전체 주변이 외부 핀과 폐쇄된 고리 모양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이로써 전기 접촉 면적을 대폭 증가시켜, 전기적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체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조합체는 하나의 단순지지 보(102) 및 두 개의 컨틸레버 보(103)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단순지지 보(102) 및 컨틸레버 보(103)는 연결부(104)의 위치에서 지면을 향해 고리 밴드 함몰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사용 과정에서 외부 핀과의 더욱 우수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독특한 조합 구조를 이용하여, 각 단순지지 보와 컨틸레버 보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고, 제한적인 공간 내에서 최대한 많은 단순지지 보와 컨틸레버 보를 마련하여, 최대한의 접촉 부위 및 접촉 면적을 얻으며, 최적의 통류 성능을 얻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한 조합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단순지지 보(10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틸레버 보를 마련할 수 있고, 상기 추가 단순지지 보와 컨틸레버 보는 고리 밴드 함몰 부위에서 인접한 리드와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고리 밴드 함몰 부위, 또는 조합체의 연결부(104), 추가 단순지지 보(102) 및 컨틸레버 보(103)에 종래 기술과 같은 통상체의 축심을 향하는 돌기를 마련할 수 있고, 즉 도 2의 지면으로 더욱 함몰된다. 이로써, 종래 기술과 같은 통상체의 축심을 향하는 돌기를 이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상술한 특수한 조합체 구조를 통해, 단순지지 보 및 컨틸레버 보의 수량이 대폭 증가하기에, 돌기의 개수가 상응하게 증가될 수 있고, 이로써 암커넥터 핀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순지지 보(101, 102)에는 그 자체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 단의 스루홀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각 단순지지 보(101, 102)에 3단의 스루홀이 형성되어 있는 예시를 제공하였고, 이로써 단순지지 보에 할로우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할로우 구조를 이용하여, 부분 응력 집중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단순지지 보의 부분 소성 변형을 줄임으로써, 크라운 스프링 단자의 삽입/인출 수명을 연장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순지지 보를 따라 1단 또는 2단의 스루홀을 마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틸레버 보(103)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을 자유단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컨틸레버 보(103)는 양단 모두가 자유단인 구조로 마련된다. 컨틸레버 보(103)의 적어도 하나의 자유단을 스핀들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핀들 구조에 관하여, 폭이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점차 감소되도록 마련할 수 있고, 상기 중앙부를 지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어, 후술하는 아우터 슬리브(203)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후술하는 아우터 슬리브(203)와 더욱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을 구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은 좌측의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의 A1 부분을 확대하여 얻은 컨틸레버 보의 부분 확대도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틸레버 보(103)의 스핀들 구조(103a)의 두께는 컨틸레버 보(1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핀들 구조의 중앙부에서 자유단의 단부로 점차 얇아지게 마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핀들 구조(103a)의 중앙부의 내면을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의 내면보다 돌출되게 마련하고, 자유단 단부의 내면을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의 내면과 한 평면에 있거나 또는 그 내면보다 들어가게 마련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핀들 구조(103a)는 컨틸레버 보(103) 길이 방향에 따른 스루홀(103b)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루홀(103b)은 스핀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핀들 구조 또는 스루홀을 갖는 스핀들 구조를 이용하여, 국부 응력 집중을 대폭 줄이고, 컨틸레버 보의 부분 소성 변형을 줄이며, 더욱 우수한 유연성 및 더욱 긴 삽입/인출 수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핀들의 두께로 설계함으로써, 외부 핀 삽입 시 자유단에 부딪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크라운 스프링 단자에 대한 손상을 피하며,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체의 상하 양단에 위치한 연결밴드에서, 컨틸레버 보(103)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106)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는 각 컨틸레버 보(103)의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모두 하나의 돌기(106)가 형성된 예시를 제공하였다. 마찬가지로, 상기 돌기(106)는 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직사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106)를 마련하는 것을 통해, 후술하는 아우터 슬리브(201)와 더욱 안정적인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순지지 보(102)의 적어도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를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하여, 장착 방향을 구분할 필요가 없어, 장착 난이도와 장착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사용한 전기커넥터(200)를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커넥터(200)는 전기커넥터 잭(201) 및 핀(202)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커넥터 잭(201)은 아우터 슬리브(203) 및 아우터 슬리브(203) 내에 장착된 권취 상태의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를 포함하며, 여기서 아우터 슬리브(203)의 내면은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의 양단의 연결밴드, 및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에 마련된 컨틸레버 보의 스핀들 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부를 구비한다. 핀(202)의 외면에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의 중부에 마련된 연결부(예를 들어, 도 2의 돌기(105)를 포함한 부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부를 구비한다. 핀(202)을 전기커넥터 잭(201)에 삽입할 때, 핀(202)의 전기적 연결부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의 중부 고리 밴드 위치에 위치하는 상술한 돌기를 포함한 연결부(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핀(202)과 크라운 스프링 단자의 전기적 접촉이 크라운 스프링 단자 중부의 고리 밴드 위치에 위치한 면접촉을 이루기에, 전기적 접촉 면적을 대폭 증가시키고, 전기적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술한 구조를 구비한 다양한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를 사용함으로써, 크라운 스프링 단자(100)와 아우터 슬리브(203) 및/또는 핀(202)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더욱 낮은 접촉 저항을 얻고, 높은 캐리어 전송을 구현한다. 한편으로, 상술한 구조의 다양한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사용함으로써, 삽입/인출로 인해 전기커넥터(200)에 인가되는 응력 집중을 대폭 줄일 수 있어, 더욱 유연한 삽입/인출력을 얻을 수 있고, 전기커넥터(200)의 사용 수명을 지극히 향상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넓은 의미에서의 취지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다양한 실시 형태 및 변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조적인 노동 없이 본 발명의 구상에 따라 많은 수정 및 변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기술적 구상에 따라, 종래 기술에 기반하고 로직 분석, 추리 또는 일부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결정된 청구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100: 크라운 스프링 단자 101, 102: 단순지지 보
103: 컨틸레버 보 103a: 스핀들 구조
103b: 스루홀 104: 연결부
105, 106: 돌기 200: 전기커넥터
201: 전기커넥터 잭 202: 핀
203: 아우터 슬리브

Claims (16)

  1. 크라운 스프링 단자로서,
    각각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의 양단에 위치한 두 개의 연결밴드; 및
    상기 두 개의 연결밴드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두 개의 연결밴드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드는
    단순지지 보 및 컨틸레버 보; 및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상기 단순지지 보와 상기 컨틸레버 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단순지지 보와 컨틸레버 보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는 통상체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통상체의 중부에 위치하며, 상기 통상체의 내면에 대해 외면을 향해 형성된 함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는 제1 단순지지 보, 제1 컨틸레버 보 및 제2 컨틸레버 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순지지 보는 상기 제1 컨틸레버 보와 제2 컨틸레버 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컨틸레버 보 및 제2 컨틸레버 보와 함께 조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순지지 보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컨틸레버 보 및 제2 컨틸레버 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는 복수의 상기 조합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한 상기 조합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단순지지 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컨틸레버 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틸레버 보, 제2 컨틸레버 보 및 상기 추가 컨틸레버 보 중 적어도 하나의 컨틸레버 보는 적어도 하나의 자유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틸레버 보는 두 개의 자유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은 스핀들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스핀들 구조의 두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틸레버 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스핀들 구조의 중부에서 상기 자유단의 단부로 점차 얇아지며,
    상기 스핀들 구조의 폭은 상기 스핀들의 중부에서 양측으로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구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틸레버 보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스루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은 스핀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순지지 보 및 상기 추가 단순지지 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순지지 보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일 단의 스루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 단의 스루홀은 분립된 3단 스루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스프링 단자는 통상체이고,
    상기 연결밴드의 상기 컨틸레버 보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통상체의 외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의 상기 단순지지 보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통상체의 외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스프링 단자.
  15. 아우터 슬리브; 및
    상기 아우터 슬리브 내에 위치한 제1항 내지 제14항에 따른 크라운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잭.
  16. 핀; 및
    상기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5항에 따른 전기커넥터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KR1020237012163A 2020-09-09 2020-12-14 크라운 스프링 단자, 전기커넥터 잭 및 전기커넥터 KR20230054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1962356.0U CN213753146U (zh) 2020-09-09 2020-09-09 冠簧端子、电连接器插孔及电连接器
CN202021962356.0 2020-09-09
PCT/CN2020/136023 WO2022052350A1 (zh) 2020-09-09 2020-12-14 冠簧端子、电连接器插孔及电连接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903A true KR20230054903A (ko) 2023-04-25

Family

ID=7684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163A KR20230054903A (ko) 2020-09-09 2020-12-14 크라운 스프링 단자, 전기커넥터 잭 및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2012A1 (ko)
EP (1) EP4213310A1 (ko)
JP (1) JP2023539935A (ko)
KR (1) KR20230054903A (ko)
CN (1) CN213753146U (ko)
WO (1) WO2022052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20117A (zh) * 2021-12-30 2024-05-31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内窥镜摄像系统及其电连接器、摄像主机、信号传输线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2078B2 (en) * 2007-04-26 2008-12-0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ower connectors
CN106450877B (zh) * 2016-10-31 2018-09-04 河南天海电器有限公司 一种笼形条簧组件
CN107528149B (zh) * 2017-08-29 2019-07-16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触点式电连接器的母端子ⅰ及其加工方法
CN107819225B (zh) * 2017-09-27 2019-10-18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触点式冠簧端子
CN109193219A (zh) * 2018-08-28 2019-01-1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式鳞片插孔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2350A1 (zh) 2022-03-17
JP2023539935A (ja) 2023-09-20
EP4213310A1 (en) 2023-07-19
US20240022012A1 (en) 2024-01-18
CN213753146U (zh)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5594B2 (ja) 接続部材
US7942705B2 (en) Audio jack with pogo pins for conductive contacts
US8669774B2 (en) Probe pin and an IC socket with the same
CN110581085B (zh) 一体型弹簧针
EP3196989A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US6231402B1 (en) Press-in cont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079885B1 (en) Waterproof connector and female terminal therein
JPWO2011058646A1 (ja) プローブピン
KR101113591B1 (ko) 마이크로 usb 소켓
CN206412597U (zh) 转接器、插座和连接器组合
US4776807A (en) Compliant contact
KR20230054903A (ko) 크라운 스프링 단자, 전기커넥터 잭 및 전기커넥터
CN110277683A (zh) 连接器和插座
CN107819225B (zh) 一种多触点式冠簧端子
CN116111387A (zh) 一种接触簧片与电连接器
CN206022693U (zh) 连接器
US1768669A (en) Tube connecter
JP5567523B2 (ja) 接続ピン
US20210066863A1 (en) Shield connector
CN219979856U (zh) 一种接触簧片与电连接器
KR102046808B1 (ko) 양방향 도전성 핀, 이를 이용한 양방향 도전성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20190207333A1 (en) Deformable tubular contact with radial recess around contacting region
CN110690601A (zh) 一种大功率插孔
CN104518318A (zh) 类弓字形弹性接触簧片
CN111293448A (zh) 压接结构的一体型弹簧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