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257A -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257A
KR20230054257A KR1020220091753A KR20220091753A KR20230054257A KR 20230054257 A KR20230054257 A KR 20230054257A KR 1020220091753 A KR1020220091753 A KR 1020220091753A KR 20220091753 A KR20220091753 A KR 20220091753A KR 20230054257 A KR20230054257 A KR 20230054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case
frame
locking
fil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강
강희주
오유원
이종환
정희도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48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63639A1/ko
Publication of KR2023005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7Filtering elements contained in an insert body mounted in a filter housing (double casing), e.g. to avoid contamination when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걸림구; 및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상태 및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필터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언락킹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걸림구에 간섭되고, 상기 락킹상태로부터 상기 언락킹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걸림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ASSEMBLY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정수로 여과시킨 후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정수로 여과하며, 필터에서 여과된 물은 정수기 내부에 구비된 유로를 따라 유동한 후 정수기 외부로 출수된다.
한편, 정수기에 장착된 필터는 소정 기간 사용되면 여과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새로운 필터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중인 필터를 정수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며, 새로운 필터를 다시 정수기 본체에 장착시켜 사용한다.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35265 "필터장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특허문헌 1)는 쉘터부재로부터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부재 및 필터부재를 쉘터부재에 고정시키는 레버부재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필터부재를 쉘터부재에 장착시킬 때 사용자는 레버부재를 일측으로 회전시켜야 하며, 레버부재를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 필터부재가 레버부재에 간섭되어 쉘터부재에 장착되지 못한다. 또한, 레버부재가 일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필터부재가 쉘터부재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는 레버부재를 타측으로 회전시켜야 하며, 레버부재를 타측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 레버부재가 필터부재를 쉘터부재에 고정시키지 못한다.
이에, 레버부재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필터부재를 쉘터부재에 장착시키는 것만으로 레버부재가 필터부재를 쉘터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정수기의 필요성이 있다.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126662 "정수기" (특허문헌 2)는 정수필터를 정수기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필터고정분리유닛을 개시한다. 이러한 필터고정분리유닛은 사용자의 조작없이도 정수필터가 정수기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며, 정수기본체에 장착된 정수필터가 정수기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정수필터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필터고정분리유닛은 복수 개의 정수필터 각각을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 개로 제공되어야 하며, 복수 개의 정수필터를 정수기본체로부터 교체할 경우 복수 개의 필터고정분리유닛을 별도로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필터고정분리유닛이 정수필터의 개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경우 복수 개의 필터고정분리유닛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고정분리유닛이 정수필터 보다 적은 수로 제공되더라도 정수필터를 정수기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정수기의 필요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8-0135265 (2018.12.20 출원공개) 한국 공개특허 10-2020-0126662 (2020.11.09 출원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필터를 하나의 필터케이스에 수용함으로써 필터케이스를 프레임으로부터 교체하는 것만으로 복수 개의 필터를 한 번에 교체할 수 있는 정수기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락킹장치가 필터보다 적은 수로 제공되더라도 복수 개의 필터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정수기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필터 중 교체주기가 유사한 필터들을 그룹화하여 하나의 필터케이스에 수용함으로써 교체주기마다 필터케이스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정수기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터와 연통하는 연결부가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좌우측 필터케이스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것이 방지되는 정수기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걸림구; 및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상태 및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필터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언락킹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걸림구에 간섭되고, 상기 락킹상태로부터 상기 언락킹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걸림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푸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푸쉬부재가 상기 락킹장치를 향하여 이동되면 상기 걸림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푸쉬부재가 상기 락킹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부재는, 푸쉬바디부; 및 상기 푸쉬바디부로부터 상기 락킹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하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푸쉬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락킹바디부; 및 상기 락킹바디부로부터 상기 푸쉬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며,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부는 상기 푸쉬가이드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저면이 상기 푸쉬가이드부의 상면에 지지된 채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언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락킹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보다 락킹부재가 상기 언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더 압축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구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면; 및 상기 벽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벽면에 면접촉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필터; 및 상기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걸림구; 및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프레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상태 및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필터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언락킹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걸림구에 간섭되고, 상기 락킹상태로부터 상기 언락킹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걸림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어느 일부를 수용하는 제1 필터케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다른 일부를 수용하는 제2 필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일부의 필터의 평균 교체주기는 상기 다른 일부의 필터의 평균 교체주기 보다 더 짧은, 정수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일부의 필터 중 교체주기가 가장 긴 필터는 상기 다른 일부의 필터 중 교체주기가 가장 짧은 필터 보다 더 짧은 교체주기를 가지는, 정수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어느 일부를 수용하는 제1 필터케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다른 일부를 수용하는 제2 필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기 제1 필터케이스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 및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기 제2 필터케이스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된 프레임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어느 일부의 필터와 연통하는 제1 연결부; 및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다른 일부의 필터와 연통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프레임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는, 정수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부와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를 지지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하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단차에 지지되는, 정수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필터를 하나의 필터케이스에 수용함으로써 필터케이스를 프레임으로부터 교체하는 것만으로 복수 개의 필터를 한 번에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락킹장치가 필터보다 적은 수로 제공되더라도 복수 개의 필터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필터 중 교체주기가 유사한 필터들을 그룹화하여 하나의 필터케이스에 수용함으로써 교체주기마다 필터케이스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터와 연통하는 연결부가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좌우측 필터케이스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케이스 및 프레임의 배면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수기 조립체의 락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락킹부재가 락킹상태로부터 언락킹상태로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락킹부재가 언락킹상태로부터 락킹상태로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유입', '공급',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입, 공급,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은 도 1 내지 도 3, 도 6에 도시된 좌표축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여과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 조립체(1)는 수도 등과 같은 물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물을 깨끗한 물로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 조립체(1)는 정수기(10) 및 필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정수기(10)는 필터(20)가 장착되었을 때,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10)는 정수기바디(100), 필터케이스(200), 프레임(300), 락킹장치(400), 걸림구(500), 푸쉬부재(600) 및 밸브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바디(100)는 프레임(300)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정수기(1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바디(100)는 프레임(300)을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필터케이스(200)는 필터(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프레임(300)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케이스(200)는 필터(20)를 수용한 채로 프레임(300)에 장착되거나 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케이스(200)는 복수 개의 필터(2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케이스(200)는 프레임(300)에 장착되었을 때, 락킹장치(400)에 의해 프레임(3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케이스(2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필터케이스(200)는 제1 필터케이스(201) 및 제2 필터케이스(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케이스(201) 및 제2 필터케이스(202)는 서로 독립적으로 프레임(3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케이스(201)는 제2 필터케이스(202)가 프레임(300)에 장착되어 있더라도 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케이스(201) 및 제2 필터케이스(20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프레임(3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케이스(201) 및 제2 필터케이스(202)는 각각 복수 개의 필터(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20)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케이스(201)는 후술할 제1 필터(21) 및 제4 필터(24)를 수용할 수 있으며, 제2 필터케이스(202)는 후술할 제2 필터(22) 및 제3 필터(23)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필터케이스(201) 및 제2 필터케이스(202)는 각각 교체주기가 유사한 복수 개의 필터(20)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필터(20) 중 제1 필터케이스(201)에 수용된 어느 일부의 필터(20)의 평균 교체주기는 복수 개의 필터(20) 중 제2 필터케이스(202)에 수용된 다른 일부의 필터(20)의 평균 교체주기보다 짧을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제1 필터케이스(201)는 교체주기가 유사한 제1 필터(21) 및 제4 필터(24)를 수용할 수 있으며, 제2 필터케이스(202)는 교체주기가 유사한 제2 필터(22) 및 제3 필터(23)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필터(21)와 제4 필터(24)의 평균 교체주기인 6개월은 제2 필터(22)와 제3 필터(23)의 평균 교체주기인 6개월보다 짧다. 또한, 제1 필터케이스(201)에 수용된 어느 일부의 필터(20) 중 교체주기가 가장 긴 필터(20)는 제2 필터케이스(202)에 수용된 다른 일부의 필터(20) 중 교체주기가 가장 짧은 필터(20) 보다 더 짧은 교체주기를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제1 필터(21)보다 교체주기가 긴 제4 필터(24)의 교체주기가 7개월이고, 제2 필터(22)보다 교체주기가 짧은 제3 필터(23)의 교체주기가 11개월인 경우 제4 필터(24)의 교체주기는 제3 필터(23)의 교체주기보다 짧다.
이처럼, 제1 필터케이스(201)와 제2 필터케이스(202)는 교체주기가 유사한 복수 개의 필터(20)를 수용함으로써 필터(20)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필터케이스(201) 및 제2 필터케이스(202) 각각은 하우징부(210) 및 커넥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부(210)는 필터(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하우징부(210) 내부에 수용된 필터(20)는 하우징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부(210)는 전면이 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필터(20)가 하우징부(21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21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단차(211, 212, 213, 2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단차(211, 212, 213, 214)에는 커넥터부(220)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단차(211, 212, 213, 14)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필터케이스(201)의 하우징부(210)에 형성된 단차는 제1 단차(211) 및 제4 단차(214)로 명명될 수 있으며, 제2 필터케이스(202)의 하우징부(210)에 형성된 단차는 제2 단차(212) 및 제3 단차(213)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단차(211)에는 후술할 제1 필터입수커넥터(221) 및 제1 필터출수커넥터(222)가 지지될 수 있다.
제2 단차(212)에는 후술할 제2 필터입수커넥터(223) 및 제2 필터출수커넥터(224)가 지지될 수 있다.
제3 단차(213)에는 후술할 제3 필터입수커넥터(225) 및 제3 필터출수커넥터(226)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단차(213)는 제2 단차(212)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단차(214)에는 후술할 제4 필터입수커넥터(227) 및 제4 필터출수커넥터(228)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단차(214)는 제1 단차(2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220)는 복수 개의 필터(20)와 후술할 연결부(32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부(220)는 하우징부(210)에 수용된 복수 개의 필터(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220)는 연결부(320)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부(220)는 제1 커넥터부(220a) 및 제2 커넥터부(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케이스(201)의 제1 커넥터부(220a)는 제1 필터입수커넥터(221) 및 제1 필터출수커넥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입수커넥터(221)는 후술할 제1 필터입수연결구(3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입수커넥터(221)는 제1 필터(21)의 상부에서 제1 필터(2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출수커넥터(222)는 후술할 제1 필터출수연결구(3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필터케이스(201)의 제2 커넥터부(220b)는 제1 필터케이스(201)의 제1 커넥터부(220a)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단차(211, 212, 213, 214)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케이스(201)의 제2 커넥터부(220b)는 제4 필터입수커넥터(227) 및 제4 필터출수커넥터(2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필터입수커넥터(227)는 후술할 제4 필터입수연결구(327)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필터입수커넥터(227)는 제4 필터(24)의 상부에서 제4 필터(2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필터출수커넥터(228)는 후술할 제4 필터출수연결구(328)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필터케이스(202)의 제1 커넥터부(220a)는 제2 필터입수커넥터(223) 및 제2 필터출수커넥터(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입수커넥터(223)는 후술할 제2 필터입수연결구(32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필터입수커넥터(223)는 제2 필터(22)의 상부에서 제2 필터(2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출수커넥터(224)는 후술할 제2 필터출수연결구(32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필터케이스(202)의 제2 커넥터부(220b)는 제2 필터케이스(202)의 제1 커넥터부(220a)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하나 이상의 단차(211, 212, 213, 214)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케이스(202)의 제2 커넥터부(220b)는 제3 필터입수커넥터(225), 제3 필터출수커넥터(2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필터입수커넥터(225)는 후술할 제3 필터입수연결구(325)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출수커넥터(226)는 후술할 제3 필터출수연결구(326)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필터출수커넥터(226)는 제3 필터(23)의 상부에서 제3 필터(23)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필터입수커넥터(221), 제1 필터출수커넥터(222), 제4 필터입수커넥터(227) 및 제4 필터출수커넥터(228)는 제1 필터케이스(201)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입수커넥터(223), 제2 필터출수커넥터(224), 제3 필터입수커넥터(225) 및 제3 필터출수커넥터(226)는 제2 필터케이스(202)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300)은 필터케이스(2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0)의 상부는 밸브모듈(7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300)은 필터케이스(20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0)에는 제1 필터케이스(201)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311) 및 제2 필터케이스(202)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용공간(311) 및 제2 수용공간(312)은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전방에서 보았을 때,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20)는 복수 개의 필터(20)와 밸브모듈(700)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20)는 일측이 커넥터부(220)와 연결되고, 타측이 밸브모듈(7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20)는 프레임부(310)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1 수용공간(311) 및 제1 수용공간(311)을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20)는 제1 연결부(320a) 및 제2 연결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20a)는 제1 필터케이스(201)의 커넥터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320a)는 제1 수용공간(311) 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제1 연결부(320a)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1 수용공간(311)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320a)는 제1 필터입수연결구(321), 제1 필터출수연결구(322), 제4 필터입수연결구(327) 및 제4 필터출수연결구(3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입수연결구(321)는 제1 필터입수커넥터(221)를 통하여 제1 필터(21)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출수연결구(322)는 제1 필터출수커넥터(222)를 통하여 제1 필터(21)와 연통할 수 있다.
제4 필터입수연결구(327)는 제4 필터입수커넥터(227)를 통하여 제4 필터(24)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4 필터출수연결구(328)는 제4 필터출수커넥터(228)를 통하여 제4 필터(24)와 연통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b)는 제2 필터케이스(202)의 커넥터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부(320b)는 제2 수용공간(312)내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320b)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2 수용공간(312)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부(320b)는 제2 필터입수연결구(323), 제2 필터출수연결구(324), 제3 필터입수연결구(325) 및 제3 필터출수연결구(3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입수연결구(323)는 제2 필터입수커넥터(223)를 통하여 제2 필터(22)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출수연결구(324)는 제2 필터출수커넥터(224)를 통하여 제2 필터(22)와 연통할 수 있다.
제3 필터입수연결구(325)는 제3 필터입수커넥터(225)를 통하여 제3 필터(23)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출수연결구(326)는 제3 필터출수커넥터(226)를 통하여 제3 필터(23)와 연통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320a)는 제1 수용공간(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320a)는 제1 수용공간(311)에 제1 필터케이스(201)가 장착되었을 때, 제1 필터(21) 및 제4 필터(2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320b)는 제2 수용공간(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부(320b)는 제2 수용공간(312)에 제2 필터케이스(202)가 장착되었을 때, 제2 필터(22) 및 제3 필터(23)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320a) 및 제2 연결부(320b)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프레임부(3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프레임부(3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필터케이스(201)의 커넥터부(220)가 제2 연결부(320b)에 연결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2 필터케이스(202)의 커넥터부(220)가 제1 연결부(320a)에 연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필터케이스(201)와 제2 필터케이스(202)가 서로 위치가 변경되어 프레임(300)에 장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락킹장치(400)는 필터케이스(200)가 프레임(300)에 장착되었을 때, 필터케이스(200)가 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락킹장치(400)는 락킹상태 및 언락킹사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락킹장치(400)의 락킹상태는 락킹장치(400)가 걸림구(500)에 걸림으로써 필터케이스(200)가 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이다. 또한, 락킹장치(400)의 언락킹상태는 락킹장치(400)가 걸림구(500)로부터 간섭되지 않아 필터케이스(200)가 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락킹장치(400)는 필터케이스(200) 및 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프레임(30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걸림구(500)는 필터케이스(200)에 제공되고, 락킹장치(400)는 프레임에 제공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락킹장치(400)는 필터케이스(200)에 제공되고, 프레임(300)에 제공된 걸림구(500)에 선택적으로 간섭될 수도 있다.
한편, 락킹장치(400)는 락킹부재(410) 및 탄성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재(410)는 걸림구(500)와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으며, 걸림구(500)에 걸림으로써 필터케이스(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락킹부재(410)는 락킹장치(400)가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걸림구(500)에 간섭됨으로써 필터케이스(200)가 프레임(3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재(410)는 푸쉬부재(600)의 이동에 의해 락킹상태 및 언락킹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락킹부재(410)는 푸쉬부재(600)가 락킹장치(400)를 향하여 이동되면, 걸림구(5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락킹장치(400)는 락킹상태로부터 언락킹상태로 전환되며, 락킹부재(410)는 걸림구(5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걸림구(500)와 이격된다. 또한, 락킹부재(410)는 락킹장치(400)가 언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걸림구(50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필터케이스(200)가 프레임(3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도 9를 참조하면, 락킹부재(410)는 푸쉬부재(600)가 락킹장치(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걸림구(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락킹장치(400)는 언락킹상태로부터 락킹상태로 전환되며, 락킹부재(410)는 걸림구(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걸림구(500)에 걸리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락킹부재(410)는 락킹바디부(411), 리브부(412) 및 간섭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바디부(411)는 리브부(412) 및 간섭부(413)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4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락킹바디부(411)는 프레임(3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3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락킹바디부(411)는 리브부(412) 및 간섭부(4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부(412)는 푸쉬부재(600)의 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부(412)는 락킹바디부(411)로부터 푸쉬부재(60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부(412)는 락킹바디부(41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브부(412)는 푸쉬가이드부(6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저면이 푸쉬가이드부(620)의 상면에 지지된 채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부(412)는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부(412)는 리브면(412a)을 가지며, 리브면(412a)은 상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연장된다.
더 자세한 예시로, 푸쉬부재(600)가 락킹장치(400)를 향하여 이동하면, 리브면(412a)은 후술할 가이드면(621) 상에 지지된다. 또한, 푸쉬부재(600)가 락킹장치(400)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리브면(412a)은 가이드면(621)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리브부(412)는 푸쉬부재(600)가 락킹장치(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이드면(621)을 타고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부(412)의 이동에 의해 락킹바디부(411) 및 간섭부(413)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간섭부(413)는 걸림구(500)와 선택적으로 간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부(413)는 락킹장치(400)가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걸림구(500)의 후술할 벽면(510)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간섭부(413)는 벽면(510)과 면접촉한다. 다른 예시로, 간섭부(413)는 락킹장치(400)가 언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걸림구(50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간섭부(413)는 필터케이스(200)가 하우징부(210) 내부의 수용공간에 장착될 때, 걸림구(500)의 후술할 경사면(52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락킹장치(400)는 푸쉬부재(600)가 이동하지 않더라도 걸림구(500)의 이동에 의해 락킹상태로부터 언락킹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간섭부(413)는 락킹바디부(411)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탄성부재(420)는 락킹부재(41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420)는 락킹장치(400)가 언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락킹부재(410)가 락킹상태에 놓이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락킹부재(41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420)는 락킹장치(400)가 언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락킹장치(400)가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락킹부재(41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20)는 락킹장치(400)가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보다 언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더 압축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20)는 일측이 락킹바디부(411)에 지지되고 타측이 프레임(30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걸림구(500)는 락킹장치(400)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500)는 필터케이스(200) 및 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구(500)는 필터케이스(200)의 상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필터케이스(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500)는 벽면(510) 및 경사면(520)을 가질 수 있다.
벽면(510)은 필터케이스(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면(510)은 필터케이스(20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벽면(510)은 락킹상태에 놓인 락킹장치(400)의 간섭부(413)와 면접촉함으로써 락킹장치(400)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다.
경사면(520)은 벽면(510)으로부터 하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면(520)은 필터케이스(200)의 상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520)은 필터케이스(200)가 프레임(300)에 장착될 때, 락킹장치(400)의 간섭부(413)가 경사면(520)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간섭부(41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푸쉬부재(600)는 락킹장치(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푸쉬부재(600)는 필터케이스(200) 및 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푸쉬부재(600)는 필터케이스(200) 및 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부재(600)는 프레임(300)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푸쉬부재(60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락킹장치(400)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락킹장치(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푸쉬부재(600)는 푸쉬바디부(610) 및 푸쉬가이드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바디부(610)는 프레임(3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30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바디부(61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3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푸쉬바디부(610)는 푸쉬가이드부(620)를 지지할 수 있다.
푸쉬가이드부(620)는 푸쉬바디부(610)에 대응하여 이동함으로써 락킹장치(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푸쉬가이드부(620)는 푸쉬바디부(610)로부터 락킹부재(41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푸쉬가이드부(620)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하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가이드부(620)는 가이드면(621)을 가지며, 가이드면(621)은 하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연장된다.
더 자세한 예시로, 도 8을 참조하면, 푸쉬부재(600)가 락킹장치(400)를 향하여 이동하면, 가이드면(621)은 리브면(412a)을 지지한다. 또한, 푸쉬부재(600)가 락킹장치(400)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리브부(412)는 가이드면(621)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하며, 락킹부재(410)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락킹장치(400)는 언락킹상태에 놓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도 9를 참조하면, 푸쉬부재(600)가 락킹장치(4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리브부(412)는 가이드면(621)을 타고 하방으로 이동하며, 락킹부재(410)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락킹장치(400)는 락킹상태에 놓일 수 있다.
밸브모듈(700)은 물이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물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모듈(700)은 복수 개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밸브는 각각 물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700)은 프레임(30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모듈(700)은 연결부(320)와 연통할 수 있으며, 연결부(320)를 통하여 밸브모듈(700)로부터 복수 개의 필터(20)로 물이 유입되거나 복수 개의 필터(20)로부터 밸브모듈(700)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필터(20)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필터(20)는 필터케이스(20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필터(20)는 제1 필터(21), 제2 필터(22), 제3 필터(23) 및 제4 필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21)는 물에 포함된 흙, 녹 및 먼지 등을 여과할 수 있으며, 염소, 유기화학 물질 등을 흡착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21)는 네오센스 필터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21)는 5개월 내지 7개월의 교체주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21)는 제1 필터케이스(201)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필터(22)는 물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여과할 수 있으며, 대장균, 세균 및 박테리아 등의 유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22)는 나노트랩 필터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필터(22)는 11개월 내지 13개월의 교체주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22)는 제2 필터케이스(202)에 수용될 수 있다.
제3 필터(23)는 물에 잔류하는 염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냄새 등을 탈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필터(23)는 이노센스 필터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필터(23)는 11개월 내지 13개월의 교체주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23)는 제2 필터케이스(202)에 수용될 수 있다.
제4 필터(24)는 물에 포함된 경도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스케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필터(24)는 안티스케일 필터일 수 있다. 이러한 제4 필터(24)는 5개월 내지 7개월의 교체주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4 필터(24)는 제1 필터케이스(201)에 수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1)는 복수 개의 필터(20)를 하나의 필터케이스(200)에 수용함으로써 필터케이스(200)를 프레임(300)으로부터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복수 개의 필터(20)를 한번에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기 조립체(1)는 락킹장치(400)가 복수 개의 필터(20)를 수용하는 필터케이스(200)를 선택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락킹장치(400)가 필터(20)보다 적은 개수로 제공되더라도 복수 개의 필터(20)를 프레임(3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필터(20) 중 교체주기가 유사한 필터(20)들을 그룹화하여 하나의 필터케이스(200)에 수용함으로써 하나의 교체주기마다 필터케이스(200)를 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연결부(320a) 및 제2 연결부(320b)가 각각 제1 수용공간(311) 및 제2 수용공간(312)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1 필터케이스(201) 및 제2 필터케이스(202)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프레임(300)에 장착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정수기 조립체
10: 정수기 20: 필터
100: 정수기바디 200: 필터케이스
201: 제1 필터케이스 202: 제2 필터케이스
210: 하우징부 220: 커넥터부
300: 프레임 310: 프레임부
311: 제1 수용공간 312: 제2 수용공간
320: 연결부 320a: 제1 연결부
320b: 제2 연결부 400: 락킹장치
410: 락킹부재 411: 락킹바디부
412: 리브부 412a: 리브면
413: 간섭부 420: 탄성부재
500: 걸림구 510: 벽면
520: 경사면 600: 푸쉬부재
610: 푸쉬바디부 620: 푸쉬가이드부
621: 가이드면 700: 밸브모듈

Claims (10)

  1. 복수 개의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걸림구; 및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상태 및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필터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언락킹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걸림구에 간섭되고, 상기 락킹상태로부터 상기 언락킹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걸림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푸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푸쉬부재가 상기 락킹장치를 향하여 이동되면 상기 걸림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푸쉬부재가 상기 락킹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푸쉬바디부; 및 상기 푸쉬바디부로부터 상기 락킹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하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푸쉬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락킹바디부; 및 상기 락킹바디부로부터 상기 푸쉬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며,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부는 상기 푸쉬가이드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저면이 상기 푸쉬가이드부의 상면에 지지된 채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언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락킹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보다 락킹부재가 상기 언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더 압축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벽면; 및 상기 벽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벽면에 면접촉하는,
    정수기.
  6.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필터; 및
    상기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걸림구; 및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프레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상태 및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기 필터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언락킹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필터케이스 및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락킹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걸림구에 간섭되고, 상기 락킹상태로부터 상기 언락킹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걸림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어느 일부를 수용하는 제1 필터케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다른 일부를 수용하는 제2 필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일부의 필터의 평균 교체주기는 상기 다른 일부의 필터의 평균 교체주기 보다 더 짧은,
    정수기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부의 필터 중 교체주기가 가장 긴 필터는 상기 다른 일부의 필터 중 교체주기가 가장 짧은 필터 보다 더 짧은 교체주기를 가지는,
    정수기 조립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어느 일부를 수용하는 제1 필터케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다른 일부를 수용하는 제2 필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기 제1 필터케이스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 및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기 제2 필터케이스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된 프레임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어느 일부의 필터와 연통하는 제1 연결부; 및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으로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다른 일부의 필터와 연통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프레임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는,
    정수기 조립체.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부와 상기 복수 개의 필터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를 지지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하나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단차에 지지되는,
    정수기 조립체.
KR1020220091753A 2021-10-15 2022-07-25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KR20230054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4827 WO2023063639A1 (ko) 2021-10-15 2022-09-30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739 2021-10-15
KR20210137739 2021-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257A true KR20230054257A (ko) 2023-04-24

Family

ID=8614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753A KR20230054257A (ko) 2021-10-15 2022-07-25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425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265A (ko) 2017-06-12 2018-12-20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장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00126662A (ko) 2019-04-30 2020-11-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265A (ko) 2017-06-12 2018-12-20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장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00126662A (ko) 2019-04-30 2020-11-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JP6485558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KR20160027427A (ko) 공기청정기 내장형 자동차 암레스트
KR20180072879A (ko) 사용 시점 수처리 시스템
KR101010026B1 (ko) 정화장치
KR102542946B1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230054257A (ko)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CN114623544B (zh) 空气净化器
JP7064564B2 (ja) 空気清浄器
KR20090071454A (ko) 정수 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정수기
CN217244177U (zh) 一种尘盒以及清洁设备
KR102102980B1 (ko) 선풍기 겸용 공기청정기
CN112367837A (zh) 用于水族箱的水过滤器
KR10178033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20230054262A (ko) 정수기 조립체
WO2023063639A1 (ko)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KR20220099819A (ko) 공기청정기
KR10205255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30083518A (ko)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056449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20100052375A (ko) 공기 청정기
KR20230143325A (ko)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KR100633181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JP2005230043A (ja) 脱臭装置
KR20240000729A (ko) 공기처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