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166A - Power Supply Unit Structure for Smart Glass of Car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Unit Structure for Smart Glass of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166A
KR20230053166A KR1020210136389A KR20210136389A KR20230053166A KR 20230053166 A KR20230053166 A KR 20230053166A KR 1020210136389 A KR1020210136389 A KR 1020210136389A KR 20210136389 A KR20210136389 A KR 20210136389A KR 20230053166 A KR20230053166 A KR 20230053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door
glass
power suppl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3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2310B1 (en
Inventor
이인제
이승철
김민수
Original Assignee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310B1/en
Publication of KR2023005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1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3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glass power supply device structure for a car, which comprises: a guide rod of a stick shape which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a module pane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 door to be in parallel with the rail of a window regulator mounted in the door of a vehicle, forms the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which glass form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module panel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least one fastener which is formed at the guide rod, and fixes the guide rod at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a fastener connecting unit which is formed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t which the fastener is arranged when the module panel and the guide rod are coupled, and to which the fastener is fixedly connected; a power cable which has a coil unit, which has a coil shape wound by multiple times to be elastically deformed and recovered, and is provided with a guide rod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il of the coil unit; and a connector which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upper direction of the door of the power cable,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a transparency variable film. Therefore, the location movement operation may be more smoothly performed.

Description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 구조 {Power Supply Unit Structure for Smart Glass of Car}Smart glass power supply structure for automobile {Power Supply Unit Structure for Smart Glass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글라스 표면에 부착된 투명도 가변 필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과 평행을 이루도록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모듈 패널 표면에 장착되고, 글라스가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루는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이루며, 모듈 패널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 로드, 가이드 로드에 형성되며, 가이드 로드를 모듈 패널 표면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파스너, 모듈 패널과 가이드 로드간 결합시 파스너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파스너가 고정 연결되는 파스너 연결부,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복수회 권취된 코일 형상의 코일부가 형성되며, 코일부의 코일 중심부에 가이드 로드가 통과하는 전원 케이블, 전원 케이블의 도어 상부 방향 끝단에 형성되며,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는 커넥터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 variable transparency film attached to a glass surface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a window regulator mounted inside a doo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up and down direction parallel to a rail It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along the door, forms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glas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is formed on a rod-shaped guide rod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at a certain interval. One or more fasteners fixed to the surface, a fastener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astener when the module panel and the guide rod are coupled, and to which the fastener is fixedly connected, and a coil shape wound multiple times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and restoration. A coil part is formed, a power cable through which a guide rod passes through the coil center of the coil part, a connector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ower cable in the door direction,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Power supply for automobiles It is about device structure.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윈도우 글라스에는 자동차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 불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 윈드 쉴드 상단에 선바이저가 장착되거나, 글라스 표면에 착색된 필름을 부착하는 틴팅 시공을 하여 윈도우 글라스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밝기를 줄여 눈부심 발생을 줄이게 된다.In general, a sun visor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ront windshield or tint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glass to solve the driver's poor forward vision by blocking sunlight from entering the vehicle's interior. This reduce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ntering through the window glass to reduce glare.

또한,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의 신체로 직사광선이 닿으면서 불쾌감을 초래하거나, 자동차 내부 공간의 외부의 시야로부터 차단함으로써 탑승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윈도우 글라스에 틴팅 시공이나 블라인드 또는 커튼 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차광막을 설치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occupants by causing discomfort when direct sunlight hits the body of the occupant other than the driver or by blocking the view from the outsid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r, for automobiles made of tinting or blinds or curtains on the window glass, etc. Shading curtains will be installed.

그러나 전면 윈드 쉴드에 장착된 선바이저는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크기가 일정 수준으로 제한되고, 가동 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자동차 실내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sun visor mounted on the front windshield is limited to a certain level to secure forward visibility and its range of motion is limited, it is difficult to block light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그리고 자동차용 차광막의 경우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전방 윈드 쉴드에는 장착이 불가능하고, 후방 윈드 쉴드 및 측면 윈도우 글라스에는 제한적으로만 장착할 수 있으며, 차광막이 펼쳐진 상태에서 윈도우 글라스를 개방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의 풍압에 의해 차광막에서 풍절 소음이나 펄럭임에 의한 사용자 불편이 발생하거나, 고속 주행 중인 경우 풍압이 증가하면서 차광막이 파손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hading film for automobiles, it is impossible to install it on the front windshield to secure the driver's view, and it can only be installed on the rear windshield and side window glass to a limited extent. Wind pressure of the wind may cause user inconvenience due to wind noise or fluttering in the light shield, or the light shield may be damaged as the wind pressure increases when driving at high speed.

자동차용 차광막은 글라스로 부터 장착 및 분리 가능한 탈부착형으로 이루어진 지거나, 도어 또는 루프에 내장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탈부착형 차광막은 차광막의 설치 또는 해제 과정이 번거롭고, 일체형 차광막은 차광막을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여 자동차 실내 공간 활용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The light shielding film for automobiles may be made of a detachable typ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glass or an integrated type embedded in a door or roof.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ability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may be reduced because a separate space is required.

그에 비해 전면 윈드 쉴드를 포함한 윈도우 글라스 표면에 시공되는 틴팅 필름은 시공 후 별도의 조작 없이 반영구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자동차 실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주간과 같이 밝은 외부 주행 환경이나, 야간이나 터널 내부와 같이 어두운 외부 주행 환경에서 운전자가 확보할 수 있는 시야에서 큰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며, 동일한 투과도의 틴팅 필름이 적용되더라도 어두운 외부 주행 환경에서 사고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필름의 투과도를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In contrast, the tinting film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indow glass, including the front windshield, is easy to use because it works semi-permanently without any additional manipulation after installa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a car, It can show a big difference in the visibility that the driver can secure in the external driving environment or in a dark external driving environment such as at night or inside a tunnel. Difficulty arises in setting the transmittance of the film.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4066호(2015.07.01.공개)에서는 글라스에 배치된 PDLC필름(중합체 분산 액정 필름)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PDLC필름의 투명도를 조절하고, 동일한 윈도우 글라스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마다 PDLC필름을 개별적으로 배치하여 글라스의 투명도를 각 영역별로 조절할 수 있는 차광 장치, 차량 및 유리 차광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Office Publication No. 10-2015-0074066 (published on July 1, 2015) adjust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supplied to the PDLC film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film) disposed on the glass, PDLC A light blocking device and a vehicle and glass light blocking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dividing the same window glass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individually placing a PDLC film in each area to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glass for each area are proposed.

PDLC필름을 이용한 윈도우 글라스 차광 방식은 외부 주행 환경의 밝기나 글라스 위치에 따라 PDLC필름으로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PDLC필름의 투과도를 적정 수준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 및 차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window glass shading method using PDLC film individually adjusts the voltage supplied to the PDLC film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external driving environment or the position of the glass, thereby changing the transmittance of the PDLC film to an appropriate level, thereby securing the driver's view and shading performance. so that you can improve

PDLC필름 등의 투명도 가변 필름에 형성된 전원공급단자에는 전원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하게 되며, 전원공급장치는 전원 케이블과 커넥터로 구성된다.A power supply device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formed on a variable transparency film such as a PDLC film to supply voltage, and the power supply device is composed of a power cable and a connector.

자동차 도어 내부에 장착된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을 가동시켜 글라스의 승하강에 따른 윈도우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window regulator module installed inside the car door is operated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according to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glass.

구체적으로 도어 내부에 장착된 모듈 패널 표면에 도어 상하 방향 레일이 형성되고, 레일의 양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와 상하 풀리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드럼이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드럼의 회전 운동을 케이블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Specifically, the upper and lower door rail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mounted inside the door, and the pulley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ail and the drum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ulleys to generate rotational driving for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ables, The rotary motion of the drum is converted into linear motion of the cable.

레일에는 캐리어 플레이트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캐리어 플레이트는 상하 풀리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에 고정되며, 캐리어 플레이트에는 클램프를 통해 글라스가 고정 연결되어, 드럼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글라스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윈도우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진다.A carrier plate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rail, the carrier plate is fixed to a cable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ulleys, and the glass is fixedly connected to the carrier plate through a clamp.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윈도우 개폐 작동시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공급단자와 연결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원 케이블은 글라스의 승하강 이동 중 접히거나 펼쳐지는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전원공급단자와 커넥터간 단선이나 접촉 불량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the power cable of the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is bent or unfold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glass, preventing disconnection or poor contact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connector. .

그러나 이와 같은 전원공급장치는 윈도우 글라스의 원활한 개폐 작동을 위해 전원 케이블이 고정 또는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도어 내부 공간에 장착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주행 중 또는 도어의 개폐 등에 따른 외부 충격이 전원공급장치로 전달되는 경우, 전원 케이블이 진동하면서 모듈 패널과 같은 도어 내부 구조물과 충돌함에 따라 래틀음(rattle noise)와 같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power supply device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oor in a state where the power cable is not fixed or supported for smoo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glass, external shocks cau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r while driving the vehicle may damage the power supply device. When transmit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ise such as a rattle noise is generated as the power cable vibrates and collides with a door internal structure such as a module panel.

또한,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은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을 형성하며, 윈도우 글라스 또한 윈도우 프레임과 동일한 곡률이 형성되어 곡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the window frame of the vehicle door forms a certain curvatur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window glass also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window frame to form a curved surface shape.

윈도우 개폐 작동시 윈도우 글라스가 곡면 형상을 따라 곡선 이동이 이루어지는데 비해, 비고정 상태로 장착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 케이블은 직선 이동이 발생하면서 전원 케이블과 도어 내부 구조물간 간격이 감소하는 구간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주행 또는 도어 개폐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의해 전원 케이블이 도어 내부 구조물과 충돌하여 래틀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원 케이블과 도어 내부 구조물간 간섭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 개폐시 전원 케이블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When the window is opened or closed, the window glass moves curvedly along the curved shape, whereas the power cable of the power supply unit mounted in a non-fixed state moves in a straight line, forming a s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cable and the inner structure of the door decreases. Accordingly, a rattle sound may occur when the power cable collides with the inner structure of the door due to an external impact generated during driving 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smooth movement of the power cabl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glass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power cable and the inner structure of the door There was a problem where this couldn't be done.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4066호(2015.07.01.공개)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ublication No. 10-2015-0074066 (published on July 1, 2015)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동차의 주행 중 또는 도어의 개폐시, 자동차용 윈도우 글라스 표면에 부착되는 투명도 가변 필름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원 케이블이 자동차 도어 내부 구조물과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 작동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변형 또는 위치 이동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의 진동 발생 저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ise is generated while the power cable of th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voltage to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vehicle window glass collides with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le doo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o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for reducing vibration of a power supply device in which deformation or position movement of a power cable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a window glass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 내부의 모듈 패널에 장착되는 레귤레이터를 통해 글라스를 승하강시켜 윈도우를 개폐하고, 글라스 표면에 부착된 투명도 가변 필름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 컨트롤에 의해 글라스의 투명도가 조절되되, 글라스의 승하강 방향을 안내하는 모듈 패널의 레일과 평행을 이루도록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모듈 패널 표면에 장착되고, 글라스가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루는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이루며, 모듈 패널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 로드, 모듈 패널에 형성된 파스너 연결부와 연결되며, 가이드 로드를 모듈 패널 표면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파스너,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복수회 권취된 나선 코일 형상의 코일부가 형성되며, 코일부의 코일 중심부에 가이드 로드가 통과하도록 가이드 로드와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 전원 케이블의 도어 상부 방향 끝단에 형성되며,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는 커넥터로 구성되어, 글라스 승하강 작동시 코일부의 도어 상하 방향 신장 및 수축 변형이 가이드 로드에 의해 안내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is opened and close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glass through the regulator mounted on the module panel inside the car door, and the transparency of the glass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glass. However, it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so as to be parallel to the rail of the module panel that guide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glass, and forms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glas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from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Rod-shaped guide rod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e or more fasteners connected to the fastener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module panel and fixing the guide rod to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and a spiral coil-shaped coil wound multiple times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and restoration. It consists of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guide rod so that the guide rod passes through the coil center of the coil part, and a connector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ower cable in the doo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During the lowering operation,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deformation of the coil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is guided by the guide r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로드의 상측 끝단에는 글라스 조립 공정에서 전원 케이블의 커넥터가 끼워져 임시 고정되는 커넥터 가거치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mporary connector cradl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rod to which a connector of a power cable is inserted and temporarily fixed in a glass assembly proces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로드는 커넥터 가거치대와의 경계부에서 가이드 로드의 강도 또는 두께가 감소 처리된 분리부가 형성되며, 글라스 조립 공정에서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 및 커넥터간 연결 작업 시, 외력 작용에 따른 분리부 절단을 통한 커넥터 가거치대의 분리 제거가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d is formed at the boundary with the connector holder and the strength or thickness of the guide rod is reduc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connector of the transparent variable film in the glass assembly process , Separation and removal of the temporary connector holder is performed by cutting the separation part according to the action of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로드는 글라스의 최대 상승 상태에서의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 배치 위치에서 굽힘이 이루어져, 가이드 로드 하단부로부터 도어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굽힘부가 형성되며, 커넥터 가거치대를 통한 전원 케이블의 커넥터 가거치시 도어 상부 방향 코일부 끝단과 굽힘부간 걸림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d is bent at the power supply terminal arrangement position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in the maximum elevation state of the glass, and a bending part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door is formed, When the connector of the power cable is temporarily placed through the temporary connector holder, the end of the coil part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door and the bent part are jamm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스너는 쐐기 형상 후크로 이루어진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파스너 연결부는 파스너의 후크 고정부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스냅인 결합에 의해 파스너 연결부와 파스너간 체결이 이루어지며, 파스너 연결부와 파스너간 결합면에는 방수 실링 처리가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de of a wedge-shaped hook, the fastener connection portion is made of a smaller size than the hook fixing portion of the fastener, and fastening between the fastener connection portion and the fastener is performed by snap-in coupling, and the fastener A waterproof seal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mating surface between the connecting part and the fasten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케이블의 코일부는 신장 및 수축 변형에 따른 상하 방향 이동이 가이드 로드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윈도우의 개폐작동 반복시 코일부의 좌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coil part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extension and contraction deformation is guided by the guide rod, buckling of the coil part can be prevented whe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window are repea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 운행시 또는 도어 개폐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의해, 전원 케이블이 진동하여 주변의 도어 내부 구조물과 부딪히면서 래틀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rattle sound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power cable vibrates and collides with a surrounding door internal structure due to an external impact generated during driving of a vehicle or when opening and closing a do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글라스 상승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코일부 신장시 코일부의 나선 코일이 이루는 직경이 감소하면서 나선 코일 내측면이 가이드 로드 표면에 근접 또는 밀착함으로써, 래틀음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il part of the power cable is extended as the glass rises, the diameter of the spiral coil of the coil part decrease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piral coil approaches or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guide rod, thereby preventing rattle sound generation more effectively. There are effects that can be don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로드에 자동차 도어 및 글라스에 형성된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하여, 윈도우 글라스 개폐시 코일부와 가이드 로드간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래틀음 발생이나 도어 내부 공간 활용성 저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d is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car door and glass, so that the coil unit and the guide rod can move smoothly when the window glass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rattle sound is generated or the space inside the door is utiliz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deterior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조립 공정 라인에 전원공급장치 제공시 커넥터가 커넥터 가거치대에 끼워져 임시 고정된 상태로 이송됨으로써, 코일부 좌굴이나 커넥터 손상 발생을 방지하고, 도어 조립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viding a power supply to the door assembly process line,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lder and transported in a temporarily fixed state, thereby preventing buckling of the coil unit or damage to the connector, and making the door assembly process easier. There are effects that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와 커넥터간 연결 완료 후 커넥터 가거치대 분리 제거함으로써, 자동차 도어 내부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도어 모듈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and the connector is completed, the connector cradle is separated and removed,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vehicle door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door modu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로드 상단부에 형성된 굽힘부를 통해 코일부의 상부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도어 조립 공정 라인으로 전원공급장치 조립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커넥터 가거치대에 연결된 커넥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direction movement distance of the coil unit is limited through the bent port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rod,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lder during the transfer of the power supply assembly to the door assembly process line. has the effect 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파스너와 파스너 연결부간 스냅인 결합에 의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결합면간 방수 실링 처리를 통해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assembly performance by snap-in coupling between fasteners and fastener connecting parts, and securing watertightness through waterproof sealing treatment between coupling surfa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 구조와 도어 내부에 형성된 모듈 패널 및 레귤레이터간 전체 연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의 전원 케이블의 코일부와 케이블 가이드의 가이드 로드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의 가이드 로드에 의해 전원 케이블의 코일부가 안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윈도우 글라스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는 케이블 가이드의 가이드 로드 곡률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윈도우 글라스의 곡률에 대응한 크기의 곡률이 형성된 가이드 로드의 곡선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를 자동차 도어 조립 공정 라인으로 공급하여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커넥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커넥터의 가거치 상태로 운반된 전원공급장치의 가거치된 커넥터를 커넥터 가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한 다음, 절단부를 통해 커넥터 가거치대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의 파스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tir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smart glass power supply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panel formed inside a door, and a regulator.
2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coil part of a power cable and a guide rod of a cable guide of a smart glasses power suppl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il part of a power cable is guided by a guide rod of a smart glass power suppl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glass.
4 is a view showing a curvature shape of a guide rod of a cable guide corresponding to a curved shape of a window glass.
5 is a view showing a curved shape of a guide rod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a window glass.
6 is a process of supplying a smart glass power supply devic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ar door assembly process line to connect a connector to a power supply terminal of a variable transparency film, the power carried in a temporary state of the connector It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temporary connector of the supply device from the connector temporary cradle, connecting it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and then removing the connector temporary cradle through the cutout.
7 is a diagram showing a fastener structure of a smart glass power suppl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bscuring it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components having the same name according to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even though the drawings are different.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However, even in this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as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r that it has the same functio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does not mean that each embodiment has a function. It will have to be judg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n addition, 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and are not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meaning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lso,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 공급 장치 구조는 자동차 도어 내부에 형성되는 구조물인 모듈 패널(1) 상에 장착되며, 모듈 패널(1)에 장착되는 레귤레이터(10)를 통해 글라스(20)를 승하강시켜 윈도우를 개폐하는 동안 케이블 가이드(100)와 전원 케이블(200)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30)를 통해 윈도우 글라스(20) 표면에 부착된 투명도 가변 필름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smart glass power supply structur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dule panel 1, which is a structure formed inside a car door, and through the regulator 10 mounted on the module panel 1, the glass ( 20)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by raising and lowering, power is supplied to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window glass 20 through the power supply 30 composed of the cable guide 100 and the power cable 200. .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듈 패널(1) 표면에는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레일(11)이 형성되며, 모듈 패널(1)에 장착된 레귤레이터(10)의 작동시 글라스(20)의 승하강 이동이 레일(11)에 의해 안내되면서 윈도우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 1, one or more rails 11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1, and when the regulator 10 mounted on the module panel 1 operates, the glass 20 A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vement of the window is guided by the rail 11, the window is opened and closed.

레귤레이터(10)는 레일(11)의 양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12), 상하측 풀리(20) 사이에 구동 모터에 의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장착되는 드럼(13), 레일(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14), 양 끝단이 각각 드럼(13)과 캐리어 플레이트(14)에 고정되며 풀리(12)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케이블(15)로 이루어지며, 캐리어 플레이트(14)에는 클램프(16)를 통해 글라스(20)가 고정 연결되어, 드럼(13)의 회전축과 연결된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글라스(20)의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The regulator 10 is installed on a drum 13 and a rail 11 mounted between pulleys 12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ail 11 and upper and lower pulleys 20 to be rotated by a driving motor. It consists of a carrier plate 14 connected to be able to slide, a cable 15 whose both ends are fixed to the drum 13 and the carrier plate 14 and whos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pulley 12, and the carrier plate ( 14), the glass 20 is fixedly connected through the clamp 16, so that the glass 20 rises or fall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um 13.

전원공급장치(30)의 케이블 가이드(100)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110)와, 가이드 로드(110)를 모듈 패널(1) 표면에 고정하는 파스너(fastener,120)로 구성되며, 막대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로드(110)는 양 끝단이 도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레일(11)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cable guide 100 of the power supply 30 is composed of a guide rod 110 and a fastener 120 fixing the guide rod 110 to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1. And, the guide rod 110 forming a bar shape is arranged so that both ends face up and down the door, and is parallel to the rail 11.

모듈 패널(1)과 케이블 가이드(100)간 결합시 파스너(120)가 배치되는 위치의 모듈 패널(1) 표면에는 파스너(120)가 체결되는 파스너 연결부가 형성되며, 케이블 가이드(100)와 전원 케이블(200)을 결합하여 전원공급장치(30) 구성시, 윈도우 글라스(20) 승하강 중 파스너(120)에 의해 전원 케이블(200)의 신장 및 수축 작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파스너(120)는 가이드 로드(110)의 상부 및 하부 끝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odule panel 1 and the cable guide 100 are coupled, a fastener connection part to which the fastener 120 is fastene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1 where the fastener 120 is disposed, and the cable guide 100 and the power supply When configuring the power supply device 30 by combining the cables 200, the fastener 120 is a guide so that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wer cable 200 is not restricted by the fastener 120 during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window glass 2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d 110, respectively.

전원공급장치(30)의 전원 케이블(200)은 도어 상부 방향 끝단으로 커넥터(220)가 형성되며, 커넥터(220)는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어 투명도 가변 필름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cable 200 of the power supply 30 has a connector 220 formed at the end of the door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connector 220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to supply power to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전원 케이블(200)의 중앙부에는 전원 케이블(200)이 복수회 권취되어 나선 코일 형상을 이루는 코일부(210)가 형성되며, 코일부(210)는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력 작용에 의한 신장 발생 후 외력을 제거하였을 때 원래의 형상으로 수축될 수 있다. At the center of the power cable 200, the power cable 200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to form a coil unit 210 forming a spiral coil shape, and the coil unit 21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d restoration, and acts as an external force. It can be contract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fter elongation occurs.

가이드 로드(110)는 모듈 패널(1)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되어, 코일부(210)의 코일 중심부에 가이드 로드(110)가 통과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guide rod 110 i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il center of the coil unit 210 while passing through the guide rod 110 .

코일부(210)에 가이드 로드(110)가 끼워지면서 케이블 가이드(100)와 전원 케이블(200)이 서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윈도우 폐쇄에 의한 글라스(20) 승하강 작동시,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고정 연결된 커넥터(220)가 도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면서 코일부(210)의 수축 또는 신장이 이루어지게 된다.As the guide rod 110 is inserted into the coil unit 210, the cable guide 100 and the power cabl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lexible manner, and when the glass 20 is moved up and down by closing the window, the transparency of the variable film As the connector 220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moves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door, the coil unit 210 contracts or expands.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윈도우 폐쇄에 의한 글라스(20) 상승 작동시,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고정 연결된 커넥터(220)가 도어 상측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면서, 코일부(210)에 도어 상측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 코일부(210)의 탄성 변형에 따른 신장이 발생하게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when the glass 20 is lifted by closing the window, the connector 220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moves together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oor, while the coil unit 210 An external force act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oor, and extension occurs due to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il unit 210 .

그리고 윈도우 개방에 의한 글라스(20) 하강 작동시,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고정 연결된 커넥터(220)가 도어 하측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면서, 코일부(210)에 작용하였던 외력이 제거되어 코일부(210)의 탄성 복원에 따른 수축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glass 20 is lowered by opening the window, the connector 220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moves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il unit 210 is removed, thereby removing the coil unit. Contraction occurs due to the elastic restoration of (210).

이때, 전원 케이블(200)의 코일부(210)는 신장 및 수축 변형에 따른 상하 방향 이동이 가이드 로드(110)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윈도우의 개폐작동 반복시 코일부(210)의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coil unit 210 of the power cable 200 is guided by the guide rod 110 to vertically move according to extension and contraction deformation, so that buckling of the coil unit 210 occurs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window is repeated. prevent that

또한, 자동차 운행시 또는 도어 개폐시 작용하는 외부 충격에 따른 전원 케이블(200)의 진동에 의해, 전원 케이블(200)이 주변의 도어 내부 구조물과 부딪히면서 래틀음(rattel noise)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vibration of the power cable 200 due to external impact acting during vehicle operation 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prevents the power cable 200 from colliding with the surrounding door internal structure to generate rattle noise. .

특히, 기존의 연결 방식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경우, 글라스가 상승하여 전원 케이블이 길게 늘어진 상태에서 자동차 주행 또는 도어 개폐가 이루어지면, 늘어진 상태의 전원 케이블이 도어 내부 구조물과 부딪히면서 래틀음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ower cable according to the existing connection method, when the glass is raised and the power cable is stretched while the car is driven o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power cable in the stretched state collides with the inner structure of the door, easily generating a rattle sound. do.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30) 구조에서는 글라스(20)가 상승하여 전원 케이블(200)의 코일부(210) 신장시 코일부(210)의 나선 코일이 이루는 직경이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코일부(210)의 나선 코일 내측면이 가이드 로드(110) 표면에 근접 또는 밀착하게 되어, 코일부(210)의 나선 코일 외측면이 전원 케이블(200)과 주변의 도어 내부 구조물간 이격 거리가 증가하게 되어 래틀음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20 rises and the diameter formed by the spiral coil of the coil unit 210 decreases when the coil unit 210 of the power cable 200 is extended, Accordingly, the inner surface of the spiral coil of the coil unit 210 comes close to or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guide rod 1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piral coil of the coil unit 210 is separated from the power cable 200 and the surrounding door internal structures. Since the distance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rattle sound from occurring.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은 상부측으로 갈수록 자동차 실내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진 곡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윈도우 개폐시 글라스(20)의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일(11) 및 글라스(20)에도 도어와 동일한 곡률이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window frame of the car door forms a curved surface that gradually slopes toward the interior of the car as it goes upward, and the rail 11 and The glass 20 also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doo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따라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110) 또한 도어 및 글라스(20)가 이루는 곡률에 대응하는 동일 곡률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윈도우 글라스(20) 개폐에 따른 전원 케이블(200)의 신장 또는 수축 발생시, 코일부(210)가 가이드 로드(110)의 곡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guide rod 110 also has the same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formed by the door and the glass 20, and through this, the extension of the power cable 200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glass 20 or When contraction occurs, the coil unit 210 moves along the curvature of the guide rod 110 .

가이드 로드(110) 곡률이 크게 형성되는 경우 전원 케이블(200)의 코일부(210) 신장 또는 수축시 코일부(210) 외측면이 도어 내부 구조물과 근접하여 래틀음이 쉽게 발생하거나, 반대로 가이드 로드(110) 곡률이 작게 형성되는 경우 도어 내부 공간 활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guide rod 110 has a large curvature, when the coil part 210 of the power cable 200 is extended or contracted,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part 210 is close to the inner structure of the door, so that a rattle sound is easily generated, or conversely, the guide rod (110) When the curvature is small, utilization of space inside the door may deterior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30) 구조는 케이블 가이드(100)와 전원 케이블(200)이 결합된 상태로 도어 조립 공정 라인으로 제공되며, 도어 조립 공정 라인에서는 레귤레이터(10)가 장착된 상태의 모듈 패널(1)의 파스너 연결부에 케이블 가이드(100)의 파스너(120)를 체결하여 전원공급장치(30)를 체결한 후, 모듈 패널(1)에 글라스(20)를 장착한 다음,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커넥터(220)를 연결하는 순서로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door assembly process line in a state in which the cable guide 100 and the power cable 200 are coupled, and the regulator 10 is installed in the door assembly process line. After fastening the power supply device 30 by fastening the fastener 120 of the cable guide 100 to the fastener connection part of the module panel 1 in the state, and then mounting the glass 20 on the module panel 1, The process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connecting the connector 220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이때, 케이블 가이드(100)의 가이드 로드(110)가 케이블(200)의 코일부(210)에 끼워진 상태로 도어 조립 공정 라인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커넥터(220)가 다른 전원공급장치(30)와 엉키거나, 이송중인 전원공급장치(30)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걸리면서 코일부(210) 좌굴이나 커넥터(22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while the guide rod 110 of the cable guide 100 is inserted into the coil part 210 of the cable 200 and transported to the door assembly process line, the unfixed connector 220 supplies other power. Buckling of the coil unit 210 or damage to the connector 220 may occur by getting tangled with the device 30 or getting caught in a fixing device that fixes the power supply device 30 being transported.

따라서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상측 방향 가이드 로드(110)의 끝단에는 도어 조립 공정 라인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커넥터(220)가 끼워져 임시 고정되는 커넥터 가거치대(130)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a temporary connector cradle 130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connector 220 into an end of the guide rod 110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door 110 while being transported to the door assembly process line to be temporarily fixed.

케이블 가이드(100)와 케이블(200)을 서로 결합하여 가이드 로드(110)가 코일부(2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커넥터(220)를 커넥터 가거치대(130)에 걸어 임시 고정하게 되며, 도어 조립 공정 라인의 작업자는 커넥터 가거치대(130)로부터 커넥터(220)를 분리한 후,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함으로써, 전원공급장치(30)의 이송 중 코일부(210) 좌굴이나 커넥터(220)의 손상 발생을 방지하고, 도어 조립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cable guide 100 and the cabl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guide rod 110 is inserted into the coil unit 210, the operator hangs the connector 220 on the connector holder 130 to temporarily fix it, and the door The operator of the assembly process line separates the connector 220 from the connector holder 130 and connects it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thereby preventing the coil unit 210 from buckling or connector during transfer of the power supply unit 30. 220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door assembly process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또한, 가이드 로드(110)는 커넥터 가거치대(13)와의 경계부에서 가이드 로드(110)의 강도 또는 두께가 감소 처리된 분리부(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부(131)를 부러뜨려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와 커넥터(220)가 서로 연결된 이후 용도가 상실된 커넥터 가거치대(130)를 케이블 가이드(100)로부터 분리 제거함으로써, 자동차 도어 내부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도어 모듈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guide rod 110 may have a separation portion 131 in which the strength or thickness of the guide rod 110 is reduced at the boundary with the connector holder 13, and the separation portion 131 is broken to improve transparency. After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film and the connector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or cradle 130, which has lost its use, is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cable guide 100, thereby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space inside the car door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door module. allow you to save

또한, 글라스(20)의 최대 상승 상태에서의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 배치 위치에서 가이드 로드(110)의 굽힘이 이루어져, 가이드 로드(110)의 상단부가 가이드 로드(110) 하단부로부터 도어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굽힘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of the guide rod 110 is made at the power supply terminal arrangement position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in the maximum raised state of the glass 2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rod 110 moves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110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door. Bent portions 111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may be formed along the.

굽힘부(111)는 케이블 가이드(100)와 케이블(200)을 서로 결합하여 전원공급장치(30) 조립체 형성시, 코일부(210) 상부 끝단과 굽힘부(111)간 걸림이 발생하면서 코일부(210)의 가이드 로드(110) 상부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When the power supply device 30 assembly is formed by combining the cable guide 100 and the cable 200 with each other, the bent part 111 is jam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il part 210 and the bent part 111, and the coil part The upper direction movement distance of the guide rod 110 of 210 is limited.

이에 따라 도어 조립 공정 라인으로 전원공급장치(30) 조립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커넥터 가거치대(13)를 통한 커넥터(220) 가거치시, 도어 상부 방향 코일부(210) 끝단과 굽힘부(111)간 걸림이 이루어게 되며, 커넥터 가거치대(130)와 커넥터(220)간 임시 고정시 신장된 코일부(2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커넥터 가거치대(130) 커넥터(220)간 가거치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power supply unit 30 assembly to the door assembly process line, when the connector 220 is mounted through the connector holder 13, the end of the coil unit 210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bent portion ( 111), and when the temporary fixing between the temporary connector cradle 130 and the connector 220 occur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xtended coil unit 210 causes the temporary holder between the connector cradle 130 and the connector 220. to make it more stable.

윈도우 글라스(20)의 개폐 작동에 의해 전원 케이블(200)이 가이드 로드(110)를 따라 안내되는 동안 전원 케이블(200)의 장력이 가이드 로드(110)에 작용하면서 굽힘부(111)에 비틀림 힘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가이드 로드(110)의 진동 또는 변형 발생을 초래하여 도어 내부의 래틀음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While the power cable 200 is guided along the guide rod 110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window glass 20, the tension of the power cable 200 acts on the guide rod 110 and twists the bending portion 111 This may act, which may cause vibration or deformation of the guide rod 110 to cause rattle sound inside the door.

따라서 굽힘부(111)를 형성하는 경우, 가이드 로드(110)와 굽힘부(111)간 경계부에 파스너(120)를 추가로 형성하고, 추가된 파스너(120)의 연결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의 모듈 패널(1) 표면에 형성된 파스너 연결부에 고정함으로써, 윈도우 글라스(20)의 개폐 작동 중 래틀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forming the bent portion 111, the fastener 120 is additionally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guide rod 110 and the bent portion 111, and the module 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added fastener 120. By fixing to the fastener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nel 1, it is possible to prevent rattle noise from being generat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window glass 20.

또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스너(120)는 쐐기 형상 후크로 이루어진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파스너 연결부는 파스너(120)의 후크 고정부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파스너 연결부와 파스너(120)간 스냅인(snap in) 결합에 의해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스너 연결부와 파스너(120)간 결합면에는 방수 실링 처리가 이루어 수밀성을 확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the fastener 1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de of a wedge-shaped hook, and the fastener connecting portion is made of a smaller size than the hook fixing portion of the fastener 120,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fasten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fastener 120. Fastening can be easily performed by snap-in coupling, and a coupling surface between the fastener connection portion and the fastener 120 can be configured to secure watertightness by performing a waterproof sealing treat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 공급 장치 구조는 각 모듈 패널(1)마다 레일(11)이 하나만 형성된 싱글 레귤레이터(10) 및 레일(11)이 두 개씩 형성된 듀얼 레귤레이터(10)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듀얼 레귤레이터(10)에 적용시 캐리어 플레이트(14)는 두 개의 레일(11) 중 일측의 레일(11)에만 연결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a smart glass power supply devic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gle regulator 10 in which only one rail 11 is formed for each module panel 1 and a dual regulator 10 in which two rails 11 are formed. Both may be applied, and when applied to the dual regulator 10, the carrier plate 14 may be connected only to one rail 11 of the two rails 11.

이 경우 타측의 레일(11)에는 클램프(16)가 직접 연결되어, 캐리어 플레이트(14)를 통해 클램프(16)와 연결된 일측 레일(11)을 통해 레귤레이터(10)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타측의 레일(11)에 연결된 클램프(16)를 통해 글라스(20)의 도어 전후 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lamp 16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ail 11 on the other sid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regulator 10 is transmitted through the rail 11 on one side connected to the clamp 16 through the carrier plate 14. Through the clamp 16 connected to the rail 11, tilting of the glass 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door is prevented.

이때, 클램프(16)는 캐리어 플레이트(1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이루어, 모듈 패널(1)에 장착된 전원공급장치(30)와 클램프(16)간 간섭 발생을 방지하는 간격이 전원공급장치(30)와 캐리어 플레이트(14)간 간섭 발생을 방지하는 간격에 비해 좁게 형성되므로, 전원공급장치(30)의 케이블 가이드(100)는 캐리어 플레이트(14)가 연결되지 않은 타측 레일(11) 측면으로 장착함으로써, 도어 내부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amp 16 has a relatively small size compared to the carrier plate 14, so that a gap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power supply 30 and the clamp 16 mounted on the module panel 1 is supplied with power. Since it is formed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30 and the carrier plate 14 to prevent interference, the cable guide 100 of the power supply 30 is the other side rail 11 to which the carrier plate 14 is not connected. By mounting on the si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door.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meaning and meaning of the claim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모듈 패널 10: 레귤레이터
11: 레일 12: 풀리
13: 드럼 14: 캐리어 플레이트
15: 케이블 16: 클램프
20: 글라스 30: 전원공급장치
100: 케이블 가이드 110: 가이드 로드
111: 굽힘부 120: 파스너
130: 커넥터 가거치대 131: 분리부
200: 전원 케이블 210: 코일부
220: 커넥터
1: module panel 10: regulator
11: rail 12: pulley
13: drum 14: carrier plate
15: cable 16: clamp
20: glass 30: power supply
100: cable guide 110: guide rod
111: bending part 120: fastener
130: connector holder 131: separation unit
200: power cable 210: coil unit
220: connector

Claims (5)

자동차 도어 내부의 모듈 패널(1)에 장착되는 레귤레이터(10)를 통해 글라스(20)를 승하강시켜 윈도우를 개폐하고, 글라스(20) 표면에 부착된 투명도 가변 필름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 컨트롤에 의해 글라스(20)의 투명도가 조절되되,
글라스(20)의 승하강 방향을 안내하는 모듈 패널(1)의 레일(11)과 평행을 이루도록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모듈 패널(1) 표면에 장착되고, 글라스(20)가 도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루는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이루며, 모듈 패널(1)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 로드(110);
모듈 패널(1)에 형성된 파스너 연결부와 연결되며, 가이드 로드(110)를 모듈 패널(1) 표면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파스너(fastener,120);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복수회 권취된 나선 코일 형상의 코일부(210)가 형성되며, 코일부(210)의 코일 중심부에 가이드 로드(110)가 통과하도록 가이드 로드(110)와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200);
전원 케이블(200)의 도어 상부 방향 끝단에 형성되며,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는 커넥터(220);
로 구성되어, 글라스(20) 승하강 작동시 코일부(210)의 도어 상하 방향 신장 및 수축 변형이 가이드 로드(110)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 구조.
The window is opened and close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glass 20 through the regulator 10 mounted on the module panel 1 inside the car door, and by controlling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glass 20. The transparency of the glass 20 is adjusted,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so as to be parallel to the rail 11 of the module panel 1 guid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glass 20, and the glass 2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 rod-shaped guide rod 110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formed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1;
One or more fasteners 120 connected to the fastener connection formed on the module panel 1 and fixing the guide rod 110 to the surface of the module panel 1;
A coil unit 210 in the shape of a spiral coil wound multiple times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and restoration is formed, and a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guide rod 110 so that the guide rod 110 passes through the coil center of the coil unit 210. cable 200;
A connector 220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oor of the power cable 200 an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Consisting of, the smart glass power supply structure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deformation of the coil unit 210 in the up-down direction of the door is guided by the guide rod 110 when the glass 20 is moved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110)의 상측 끝단에는 글라스(20) 조립 공정에서 전원 케이블(200)의 커넥터(220)가 끼워져 임시 고정되는 커넥터 가거치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rod 110, a connector cradle 130 to which the connector 220 of the power cable 200 is inserted and temporarily fixed is formed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glass 20 Smart glass power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supply struc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110)는 커넥터 가거치대(13)와의 경계부에서 가이드 로드(110)의 강도 또는 두께가 감소 처리된 분리부(131)가 형성되며, 글라스(20) 조립 공정에서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 및 커넥터(220)간 연결 작업 시, 분리부(131) 절단을 통한 커넥터 가거치대(13)의 분리 제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 구조.
According to claim 2,
The guide rod 110 has a separation portion 131 in which the strength or thickness of the guide rod 110 is reduced at the boundary with the connector holder 13, and the power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glass 20 When connecting between the supply terminal and the connector 220, the connector temporary holder 13 is separated and removed by cutting the separating portion 13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110)는 글라스(20)의 최대 상승 상태에서의 투명도 가변 필름의 전원 공급 단자 배치 위치에서 굽힘이 이루어져, 가이드 로드(110) 하단부로부터 도어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굽힘부(111)가 형성되며, 커넥터 가거치대(13)를 통한 전원 케이블(200)의 커넥터(220) 가거치시 도어 상부 방향 코일부(210) 끝단과 굽힘부(111)간 걸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 구조.
According to claim 3,
The guide rod 110 is bent at the power supply terminal arrangement position of the variable transparency film in the maximum raised state of the glass 20, the bending portio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110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door ( 111) is formed, and when the connector 220 of the power cable 200 is temporarily held through the connector temporary holder 13, the end of the coil part 210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door and the bending part 111 are engaged. The structure of the smart glass power supply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120)는 쐐기 형상 후크로 이루어진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파스너 연결부는 파스너(120)의 후크 고정부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스냅인(snap in) 결합에 의해 파스너 연결부와 파스너(120)간 체결이 이루어지며, 파스너 연결부와 파스너(120)간 결합면에는 방수 실링 처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er 1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de of a wedge-shaped hook, and the fastener connection portion is made of a smaller size than the hook fixing portion of the fastener 120, so that the fastener connection portion and the fastener 120 are connected by snap-in coupling. A smart glass power supply structure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is performed, and a waterproof seal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between the fastener connection portion and the fastener 120.
KR1020210136389A 2021-10-14 2021-10-14 Power Supply Unit Structure for Smart Glass of Car KR1025423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389A KR102542310B1 (en) 2021-10-14 2021-10-14 Power Supply Unit Structure for Smart Glass of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389A KR102542310B1 (en) 2021-10-14 2021-10-14 Power Supply Unit Structure for Smart Glass of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166A true KR20230053166A (en) 2023-04-21
KR102542310B1 KR102542310B1 (en) 2023-06-12

Family

ID=8609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389A KR102542310B1 (en) 2021-10-14 2021-10-14 Power Supply Unit Structure for Smart Glass of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31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3662B2 (en) * 1974-10-04 1978-09-16
JP2006240603A (en) * 2005-03-07 2006-09-14 Fujikura Ltd Feeder device for vehicular slide door
JP2015033315A (en) * 2013-08-07 2015-02-16 住友電装株式会社 Curled cord routing structure
KR20150074066A (en) 2013-02-17 2015-07-01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Shading device, vehicle and glass sha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0797A1 (en) * 2010-05-07 2013-02-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light control glass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3662B2 (en) * 1974-10-04 1978-09-16
JP2006240603A (en) * 2005-03-07 2006-09-14 Fujikura Ltd Feeder device for vehicular slide door
KR20150074066A (en) 2013-02-17 2015-07-01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Shading device, vehicle and glass shading method
JP2015033315A (en) * 2013-08-07 2015-02-16 住友電装株式会社 Curled cord rout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310B1 (en)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2736A2 (en) Sun visor device
US20080035285A1 (en) Sun shade apparatus
US4773697A (en) Sun visor for the side windows of automotive vehicles
CN109789755B (en) Automobile with movable telescopic sun shield
KR102542310B1 (en) Power Supply Unit Structure for Smart Glass of Car
CN102792537A (en) Electricity-feeding wiring structure
KR100974506B1 (en) Device for sun visor of vehicle
CN215705989U (en) Head-up display lens hood and car
KR20200073648A (en) Door glass assembly
JP6112958B2 (en) Roll shade device
CN212422763U (en) Slidable front sunshade system and automobile
CN219220133U (en) Stopper structure and vehicle
KR20090094542A (en) Sunroof deflector of a vehicle
KR200495759Y1 (en) Roof built-in type sunvisor
CN211519661U (en) Vehicle with a steering wheel
CN218577640U (en) Stand-alone auxiliary navigator with adjusting support
CN214450216U (en) All-terrain rescue vehicle with automatic canopy
CN217455620U (en) Sun-shading device for automobile front windshield
EP4063153A1 (en) Vehicle roof assembly
US11731491B2 (en) Vehicle-mounted shading device and vehicle
CN113386671A (en) Head-up display lens hood and car
JP4739597B2 (en) Automotive door
KR100448406B1 (en) Awning Device for a window glass for vehicles
KR100844420B1 (en) Strucrure of electric motion sun-visor for large-sized vehicle
JP6919465B2 (en) Frame garnish assembl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