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408A -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2408A KR20230052408A KR1020210135445A KR20210135445A KR20230052408A KR 20230052408 A KR20230052408 A KR 20230052408A KR 1020210135445 A KR1020210135445 A KR 1020210135445A KR 20210135445 A KR20210135445 A KR 20210135445A KR 20230052408 A KR20230052408 A KR 202300524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information
- terminal
- magnetic force
- trans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1
- 238000012377 drug delivery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물의 운반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서 운반물을 내부에 보관하는 수용부 및 수용부 내 운반 환경을 측정하고 운반 환경에 관한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각각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전송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측정부는 제1단말과 실시간 제1통신연결되고 제2단말과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마다 제2통신연결되며,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제2정보를 제3정보로 변경하여 제2단말로 전달하는 오차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냉동 수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운반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고 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동 수산물은 저온저장고를 통해 냉동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되며, 유통 과정에서 품질저하를 방지하여 상품성 향상 여부가 중요하다. 이는 물류서비스가 고급화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운반 또는 보관 시 다양한 종류의 운반 및 품질저하 방지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특정되는 온도 및 습도 등 보관 환경이 조성되어야 변질되지 않기에, 운반 및 보관이 까다로운 냉동 수산물의 운반 안전성에 관한 니즈는 계속되어 요구되어 왔다.
더욱이, 기후 변화가 심해지고 보다 다양한 지역에 사는 수요자가 냉동 수산물을 원하는 추세에 맞춰, 냉동 수산물을 운반하는 과정에 대한 안전이 보장될 수 있는 시스템의 보급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냉동 수산물을 운반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고, 운반 과정에서 변질될 시 책임소재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운반자 및 냉동 수산물을 수령하는 주체 간의 크로스체크를 통해 쉽게 냉동 수산물의 전송 및 운반 환경의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개발 니즈를 반영한 것으로서, 냉동 수산물의 운반을 용이하게 조회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냉동 수산물 운반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즉시 인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반물의 운반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서 운반물을 내부에 보관하는 수용부 및 수용부 내 운반 환경을 측정하고 운반 환경에 관한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각각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전송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측정부는 제1단말과 실시간 제1통신연결되고 제2단말과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마다 제2통신연결되며,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제2정보를 제3정보로 변경하여 제2단말로 전달하는 오차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해, 냉동 수산물로 구비되는 운반물의 운반 과정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편의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물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혹여나 일어날 수 있는 상기 운반물의 변질 시점, 변질 원인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물을 운반하는 제1단말의 소유자가 운반물 변질에 따른 억울한 보상을 해야 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에 의해 제1정보 및 제2정보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운반 환경에 관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 보정부에 의해 제2정보가 제3정보로 변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가 안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가 인식부에 의해 위치 인식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에 의해 수용부 상에 설치되는 인식 코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에 의해 제1정보 및 제2정보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운반 환경에 관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 보정부에 의해 제2정보가 제3정보로 변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가 안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가 인식부에 의해 위치 인식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에 의해 수용부 상에 설치되는 인식 코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일 방향”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가 전달부에 삽입되어 내부로 이동하는 방향이고, “타 방향”은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일례로, 출입구가 전방 및 후방을 향하고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달부의 경우, 일 방향은 전방이고 타 방향은 후방으로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전달부의 형태에 따라 일 방향 및 타 방향은 양 측면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운반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냉동 수산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반물을 보관하는 수용부(200), 상기 수용부(200)를 운반시키며 상기 수용부(200)를 위한 운반 환경을 조성하기 우한 공간을 제공하는 전달부(100), 운반 환경을 측정하여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형성하는 측정부(300), 수용부(200)가 전달부(100)의 내부에 정위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식부(400), 수용부(200)가 정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시 인식 코드(c)을 수용부(200)에 부착하는 설치부(500), 제1단말과 제2단말로 각각 이동하는 제1정보 및 제2정보 간의 편차가 큰 경우 상기 제2정보를 제3정보로 변경하는 오차 보정부(600)를 포함한다.
제1단말 및 제2단말은 서로 상이한 단말이다. 상기 제1단말은 전달부(100)와 동반으로 이동하며 운반물을 제2단말에게 전달한다. 즉 제1단말, 전달부(100) 및 운반물은 함께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전달부(100)의 내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각각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전달된다. 일례로, 제1단말은 운송 기사의 단말이며, 제2단말은 냉동 수산물로 구비된 운반물을 수령하기 위한 의사나 수산물 수령 업체 소유의 단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달부(100)는 수용부(200)가 제2단말을 향해 도달하도록 이동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전달부(100)는 수용부(200)를 이동시켜 제2단말을 소유한 사람에게 도달 및 운반물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달부(100)는 수용부(2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개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후방이 개구되어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수용부(200)를 밀어넣고 차량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수용부(200)를 수납할 수 있는 상자, 박스 등의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달부(100)의 내부로 진입한 수용부(200)는 안내부(101)를 따라 전달부(100)의 내부에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인식부(4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인 수용부(200)에 대하여 설치부(500)가 인식 코드(c)을 부착할 수 있다.
수용부(200)는 운반물을 보관하여 용이하고 안전한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수용부(200)는 사각 박스 형태로 구비되고 내부가 개구되어 운반물을 보관 및 수용한다. 또한, 수용부(200)는 내부 공간을 미리 저장된 기준 환경으로 조성한 상태에서 운반물을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200)가 기준 환경으로 내부를 조성하기 위해 별도의 냉각모듈, 제습모듈, 방진수단이 내부에 더 구비될 수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선술한 기준 환경은 미리 지정된 기준 온도, 기준 습도 및 기준 진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수용부(200)는 별도로 구비되는 온도유지 커버에 수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유지 커버는 내부 공간이 개구되어 수용부(200)를 넣고 잠금을 실시함으로써 수용부(200)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외력으로부터 수용부(200)가 가압되는 것을 감쇠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정부(300)는 수용부(200) 내 운반 환경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른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각각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측정부(300)는 전달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용부(200)와 통신 연결되고, 수용부(200)의 운반 환경을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부(300)는 전달부(10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각각의 수용부(200)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200)의 내부에 관한 운반 환경을 측정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반 환경은 수용부(200)의 내부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수용부(200) 내 실제 온도, 실제 습도 및 실제 진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운반 환경은 이외에도 전달부(100) 내 실제 온도, 실제 습도, 실제 진동, 실제 조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측정부(300)는 전달부(100)의 내부와 수용부(200)의 내부를 대상으로 각각 운반 환경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식부(400)는 수용부(200)가 전달부(100)의 내부에 정위치됨을 판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달부(100) 내 안내홈(102)과 연결된 개구 공간에 위치한다. 또한, 인식부(400)는 제1자력부(410), 제2자력부(420), 연결부(430), 전자력부(440) 및 자력측정부(450)를 포함하고, 선술한 구성 간의 자력 변화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수용부(200)가 전달부(100)의 내부에 들어옴을 판단한다.
설치부(500)는 인식부(400)가 수용부(200)를 인식한 것에 대응하여 인식 코드(c)을 부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설치부(500)는 전달부(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측 방향에 인식 코드(c)을 장착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인식부(400)가 수용부(200)를 인식했을 때, 설치부(500)의 하단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측의 인식 코드(c)을 수용부(200) 상에 부착한다.
오차 보정부(600)는 선술한 측정부(300)에 의해 형성된 제1정보 및 제2정보 중 상기 제2정보를 대상으로 적합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오차 보정부(600)에는 미리 지정된 기준 간격(a)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오차 보정부(600)는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각각 포함된 제1 운반 환경 및 제2 운반 환경에 관한 격차를 산출하여 기준 간격(a)과 비교한다. 즉, 오차 보정부(600)는 제1정보에 포함된 실제 온도, 실제 습도, 실제 진동에 관한 정보와 제2정보에 포함된 실제 온도, 실제 습도, 실제 진동에 관한 정보가 서로 차이가 나지 않는지 판별하는 구성이다. 이는 제2단말이 측정부(300)와 제2통신연결되어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t)마다 제2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송수신되는 제1정보와의 차이가 필연적으로 발생함에 따른 정확도 저하를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에 의해 제1정보 및 제2정보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용부(200)는 미리 저장된 기준 환경을 조성한다. 선술한 바와 같이, 기준 환경은 기준 온도, 기준 습도 및 기준 진동으로서, 관련 정보는 수용부(200)에 별도 저장되거나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모듈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측정부(300)는 수용부(200)를 대상으로 운반 환경을 측정한다. 상세하게, 측정부(300)는 실제 온도, 실제 습도 및 실제 진동으로 구비되는 운반 환경을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되는 운반 환경의 대상은 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달부(100)의 내부로도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운반 환경 측정이 완료되면 실제 온도, 실제 습도 및 실제 진동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각각 형성한다.
측정부(300)는 제1통신연결 및 제2통신연결을 통해, 각각 제1단말 및 제2단말과 연결된다. 즉, 제1통신연결은 측정부(300) 및 제1단말 간의 연결이고, 제2통신연결은 측정부(300) 및 제2단말 간의 연결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통신연결은 블루투스 통신이고 제2통신연결은 GPS 기반의 LTE 통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통신연결은 근거리 통신으로서 실시간으로 제1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제2통신연결은 상기 제1통신연결보다 긴 통신 거리를 갖되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t)마다 제2정보의 송수신이 실시된다. 여기서, 제2정보가 기준 시간(t)마다 송수신되는 것은 과도한 용량의 제2정보의 송수신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측정부(300)는 수용부(200)의 내부에 관한 운반 환경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산출한다. 이후, 인식부(400)는 수용부(200)가 전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인식하며, 설치부(500)는 상기 인식부(400)의 인식에 대응하여 인식 코드(c)를 수용부(200)에 부착한다. 마지막으로, 오차 보정부(600)는 제1정보 및 제2정보 간의 차이를 확인한 이후, 상기 차이가 기준 격차보다 클 시 상기 제2정보가 적절하지 않은 정보로 간주하고, 제1정보와 동일한 제3정보를 형성한다(도 4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운반 환경에 관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차 보정부에 의해 제2정보가 제3정보로 변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운반물이 내부에 배치된 수용부(200)를 대상으로 측정부(300), 인식부(400), 설치부(500) 및 오차 보정부(600)의 기능이 수행되며, 이에 따른 제1정보 및 제2정보가 각각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1정보 및 제2정보 간의 편차에 따라 제1정보 및 제3정보가 각각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a는 제1정보로 구비되는 온도 관련 그래프이고, 도 3b는 제2정보로 구비되는 온도 관련 그래프이며, 도 3a 및 도 3b의 그래프에 구비된 1점 쇄선은 측정부(300)가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각각 제1단말 및 제2단말에게 전송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도 3a의 경우, 도 3b와 비교했을 때 보다 자주 수용부(200) 내 온도가 측정된다. 즉, 제1통신연결된 측정부(300) 및 제1단말의 사이에서는 운반 환경에 관한 제1정보가 실시간으로 송수신된다.
반면, 도 3b의 경우 측정부(300)가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t)마다 제2정보를 제2단말로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제2통신연결은 GPS 기반의 LTE 통신이기 때문에, 제1정보 및 제2정보에서 동일 시간에 기록되는 운반 환경에 관한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빗금 표시된 부분은 제1정보 및 제2정보 간의 격차로서, 상세하게는 제1정보에 포함된 제1 운반 환경 및 제2정보에 포함된 제2 운반 환경에 관한 격차이다. 상기와 같은 제1정보 및 제2정보 간의 운반 환경에 관한 격차는 오차 보정부(600)에 의해 산출되며, 산출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제2정보를 폐기하고 제3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600)는 미리 지정된 기준 간격(a)을 기반으로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포함된 제1 운반 환경 및 제2 운반 환경에 관한 격차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 간격(a)과 비교한다. 이후, 산출된 제1정보 및 제2정보 간의 격차가 기준 간격(a)보다 클 시, 오차 보정부(600)는 제2정보를 제1정보와 동일한 제3정보로 변형시켜 제2단말로 전송한다.
도 4의 그래프를 일례로, 제2정보(점선으로 도시됨)와 제1정보(실선으로 도시됨)의 격차가 기준 간격(1점 쇄선으로 도시됨)보다 클 때, 오차 보정부(600)는 제2정보를 제1정보와 동일한 제3정보로 보정 및 형성하고, 상기 제3정보를 제2단말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지리 상의 문제나 통신 연결 문제로 인해 격차가 발생할 수 있는 제1정보 및 제2정보의 격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제2단말을 소유한 사용자는 용이하게 운반물에 관한 운반 환경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가 안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안내부(101)는 전달부(100)의 내부에서 수용부(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안내부(101)는 직선 방향으로 뻗도록 구비되어 수용부(200)를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사이에 수용부(200)를 배치 및 이동시킨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안내부(101)의 양 측면방향에는 안내홈(102)이 구비되어 수용부(200)와 계합됨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도 보다 용이하게 수용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인식부(400)는 수용부(200)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용부(200)와의 접촉을 인식한다. 이를 위해, 인식부(400)는 안내홈(102)과 연결된 개구 공간에 위치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수용부(200)는 안내부(101)와의 보다 견고하고 용이한 체결 및 가이드 이동을 위한 턱부(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턱부(201)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수용부(200)와 일체이도록 양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턱부(201)는 안내홈(102)과 일대일 대응되어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200)는 턱부(201)가 안내홈(102)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전달부(100)에는 조사부(700) 및 조도측정부(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사부(700) 및 조도측정부(800)는 전달부(100)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용부(200)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고, 과적이나 화재 등의 불상사가 발생하는 것을 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조사부(700) 및 조도측정부(800)는 전달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조사부(700)는 전달부(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조도측정부(800)는 전달부(1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조사부(700)는 조도측정부(800)의 직 상 방향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즉, 조사부(700) 및 조도측정부(800)는 전달부(100)의 밑면 기준으로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조도측정부(800)는 조사부(700)로부터 발생하는 광원을 대상으로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200)가 조사부(700) 및 조도측정부(8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위치가 변동될 때, 측정되는 조도의 크기가 감소함으로써 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가 인식부에 의해 위치 인식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식부(400)는 제1자력부(410), 제2자력부(420), 연결부(430), 전자력부(440) 및 자력측정부(450)를 통해, 수용부(200)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자력부(410)는 제2자력부(420)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구성으로서, 제1자력부(410)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자력부(420)의 위치가 변동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1자력부(410)는 안내부(101)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 공간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자력부(410)는 안내홈(102)과 연결되도록 안내부(101)의 내부에 형성된 개구 공간 내 위치하고 자석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제1자력부(410)는 개구 공간의 내벽에 연결되면서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제2자력부(420)는 제2자력부(42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위치 이동함으로써, 후술할 연결부(430) 및 전자력부(440) 간의 자력 변화를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2자력부(420)는 제1자력부(410)와 동일한 자석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제1자력부(410)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자력부(410)로부터 수용부(200)를 향해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즉, 제2자력부(420)는 제1자력부(410) 및 수용부(2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수용부(200)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되어 자력을 갖는 턱부(201)에 대응하여 수용부(200)를 향해 이동하는 배치 형태를 갖는다. 상세하게, 턱부(201)의 크기가 제1자력부(410)의 크기보다 큼에 따라, 턱부(201)가 갖는 자력의 크기가 제1자력부(410) 고유의 자력보다 커서, 제2자력부(420)는 턱부(201)가 구비된 수용부(200)의 접근 시 턱부(201)에 근접하도록 개구 공간 내에서 이동한다.
연결부(430)는 제1자력부(410) 및 제2자력부(420)를 서로 연결하며, 전자력부(44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력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430)는 3차원 나선 형태로 구비되어 양단이 각각 제1자력부(410) 및 제2자력부(420)와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430)는 별도로 구비되는 전력공급수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통전되는 전자석으로 구비된다.
전자력부(440)는 연결부(43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결부(430)의 길이 변동에 따라 자력 변화를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전자력부(440)는 내측 방향에 공간이 있는 스프링 형태의 연결부(430)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전자력부(440)는 일단이 제1자력부(4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자력부(420)와 닿지 않도록 구비된다.
자력측정부(450)는 선술한 연결부(430) 및 전자력부(440) 간의 자력 변화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개구 공간 내에 위치하며 자력을 측정하는 자력측정수단으로 구비된다.
수용부(200)가 안내홈(102)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도 8a를 참조하면, 제1자력부(410) 및 제2자력부(420)는 연결부(430)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부(430)는 축소 상태이며, 전자력부(440)는 연결부(43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되 타단이 제2자력부(420)와 접하지 않는다.
반면, 수용부(200)가 안내홈(102)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며 턱부(201)가 개구 공간에 근접하는 도 8b를 참조하면, 제1자력부(410)가 갖는 자력보다 큰 자력을 갖는 턱부(201)가 접근함에 따라 제2자력부(420)는 수용부(200)를 향해 접근하도록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1자력부(410) 및 제2자력부(4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30)의 길이가 신장하며, 이에 대응하여 전자력부(44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상기 연결부(430)의 감긴 수가 감소한다. 이를 통해, 연결부(430) 및 전자력부(440) 간의 자력이 감소하고, 자력측정부(450)는 상기 자력의 감소를 감지함에 따라 수용부(200)가 정위치함을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제1자력부(410), 제2자력부(420), 연결부(430), 전자력부(440) 및 자력측정부(450)를 통해, 복수의 수용부(200)를 전달부(100)의 내부로 밀어 넣어 적재하는 과정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상기 수용부(200)의 정위치로의 배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에 의해 수용부 상에 설치되는 인식 코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달부(100)는 설치부(500)를 더 포함한다. 설치부(500)는 수용부(200)의 인식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부(200)의 상면 상에 인식 코드(c)을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인식부(400)와 통신 연결된다. 여기서, 인식부(400)가 수용부(200)와의 접촉을 인식하는 순간, 다단의 길이 신장 및 축소가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설치부(500)는 하단에 배치된 인식 코드(c)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하측 방향에 배치된 수용부(200)의 상면에 상기 인식 코드(c)을 부착한다.
설치부(500)는 다단 형태의 신장 및 축소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인식 코드(c)을 수용부(200) 상에 설치한다. 이를 위해, 설치부(500)는 전달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단이 수용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설치부(500)의 하단에는 인식 코드(c)이 배치되며, 설치부(500)의 하단이 인식 코드(c)을 진공 흡착한 상태로 인식 코드(c)을 보관했다가 수용부(200)의 상면 상에서 진공 흡착을 해제하여 인식 코드(c)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인식 코드(c)은 제1단말 및 제2단말이 인식 가능한 바코드, QR 코드 등의 인식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인식 코드(c)을 스캔할 시 수용부(200)의 내부에 구비된 운반물의 종류, 용량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단말은 제1시점에서 수용부(200) 내 운반물에 관한 제1마커(k1)를 형성하여 제2단말로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제1마커(k1)는 운반물의 종류, 용량 등의 정보, 운반물의 거래 명세서 등으로 구비되는 거래 정보, 미리 지정된 번호 형태의 코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 정보는 제1단말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무작위 발급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시점은 제1단말이 수용부(200)를 스캔하는 시점이며, 일례로 제1시점은 전달부(100)에 수용부(200)를 적재하기 전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운반물을 포함한 수용부(200)는 전달부(1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선술한 인식부(400)를 통해 수용부(200)가 전달부(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정위치함을 인식한다.
이후 측정부(300)를 통해 수용부(200)를 대상으로 하는 운반 환경을 측정한다. 선술한 바와 같이 운반 환경은 수용부(200) 내 실제 온도, 실제 습도 및 실제 진동에 관한 것이며, 수용부(200)의 내부뿐만 아니라 전달부(100)의 내부에 대한 운반 환경도 측정부(300)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이후 수용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설치부(500)가 하강하여 인식 코드(c)을 부착함에 따라, 추후 수용부(200)의 식별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측정부(300)를 통해 제1정보 및 제2정보가 형성되어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전송되고, 이 과정에서 제1단말과는 제1통신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제1정보를 전송하며 제2단말과는 제2통신연결되어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t)마다 제2정보를 전달한다.
이후 전달부(100)가 제2단말에 근접하고 수용부(200)가 상기 전달부(100)로부터 출하되며, 제2단말로 인식 코드(c)을 스캔하거나, 별도의 등록 앱을 실행함에 따라 제2마커(k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마커(k2)는 제1마커(k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동일하게 운반물의 정보, 거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번호 형태의 코드 정보를 포함하되, 확인 완료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단말을 소유하는 사용자가 운반물의 안전 배송에 관한 확인을 실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제1단말 및 제2단말 간 운반물의 배송에 관한 크로스체크가 가능하여, 안전성 및 신뢰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등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전달부
101: 안내부
200: 수용부 300: 측정부
400: 인식부 500: 설치부
600: 오차 보정부 700: 조사부
800: 조도측정부
200: 수용부 300: 측정부
400: 인식부 500: 설치부
600: 오차 보정부 700: 조사부
800: 조도측정부
Claims (10)
- 운반물의 운반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운반물을 내부에 보관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내 운반 환경을 측정하고, 상기 운반 환경에 관한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각각 제1단말 및 제2단말로 전송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제1단말과 실시간 제1통신연결되고, 제2단말과 미리 지정된 기준 시간마다 연결되는 제2통신연결되며,
상기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제2정보를 제3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제2단말로 전달하는 오차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 내 상기 기준 환경은 미리 지정된 기준 온도, 기준 습도 및 기준 진동이고,
상기 운반 환경은 상기 보관부 내 실제 온도, 실제 습도 및 실제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운송 모니터링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연결은 상기 제1단말 및 실시간 계측부 간 블루투스 통신이며,
상기 제2통신연결은 상기 제2단말 및 실시간 계측부 간 LTE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운송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부는 상기 운반 환경에 관한 미리 지정된 기준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오차 보정부는 상기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각각 포함된 제1 운반 환경 및 제2 운반 환경에 관한 격차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 간격과 비교하며,
산출된 격차가 상기 기준 간격보다 클 시, 상기 오차 보정부는 상기 제1정보와 동일한 제3정보를 형성하여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은 제1시점에서 상기 수용부 내 운반물에 관한 제1마커를 형성하여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마커는 상기 운반물의 정보, 거래 정보 및 미리 지정된 번호 형태의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물의 도착 시, 상기 제2단말은 상기 제1마커에 대응되는 제2마커를 형성하여 상기 제1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내부에 보관하고, 상기 제2단말을 향해 상기 수용부를 이동시키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안내홈과 계합된 상기 수용부를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환경은 상기 전달부 내 미리 지정된 기준 조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반 환경은 상기 전달부 내 실제 조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 내 실제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과 연결된 개구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수용부와의 접촉을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인식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부의 상면 상에 인식 코드을 부착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개구 공간 내 구비되는 제1자력부;
상기 제1자력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제2자력부;
상기 제1자력부 및 제2자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일단은 상기 제1자력부와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제2자력부와 이격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전자력부; 및
상기 연결부 및 전자력부 간의 자력을 측정하는 자력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445A KR102617062B1 (ko) | 2021-10-13 | 2021-10-13 |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0230179973A KR102668042B1 (ko) | 2021-10-13 | 2023-12-12 | 냉동 수산물의 운반을 보조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445A KR102617062B1 (ko) | 2021-10-13 | 2021-10-13 |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79973A Division KR102668042B1 (ko) | 2021-10-13 | 2023-12-12 | 냉동 수산물의 운반을 보조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2408A true KR20230052408A (ko) | 2023-04-20 |
KR102617062B1 KR102617062B1 (ko) | 2023-12-27 |
Family
ID=861436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5445A KR102617062B1 (ko) | 2021-10-13 | 2021-10-13 |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0230179973A KR102668042B1 (ko) | 2021-10-13 | 2023-12-12 | 냉동 수산물의 운반을 보조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79973A KR102668042B1 (ko) | 2021-10-13 | 2023-12-12 | 냉동 수산물의 운반을 보조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1706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8667A (ko) * | 2013-12-31 | 2015-07-08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위험물 컨테이너 내부 상태 및 위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KR101642728B1 (ko) * | 2015-03-02 | 2016-07-27 | 씨제이대한통운 (주) | 물류 이송 시스템 |
KR101881761B1 (ko) * | 2017-10-25 | 2018-08-24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콜드 체인용 센서 보정, 보정시기 알람 방법 및 시스템 |
KR20190029899A (ko) * | 2017-09-13 | 2019-03-21 | (주)나우티앤에스 | 온도 관리 시스템 및 온도 관리 방법 |
KR101963305B1 (ko) * | 2017-10-30 | 2019-03-28 | 주식회사 옵티로 | 물류환경정보 관리 시스템 |
KR20200061881A (ko) * | 2018-11-26 | 2020-06-03 | 주식회사 아이오티플렉스 | 냉장 냉동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 탑재 특수차량용 통합 관제시스템 |
-
2021
- 2021-10-13 KR KR1020210135445A patent/KR1026170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12-12 KR KR1020230179973A patent/KR1026680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8667A (ko) * | 2013-12-31 | 2015-07-08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위험물 컨테이너 내부 상태 및 위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KR101642728B1 (ko) * | 2015-03-02 | 2016-07-27 | 씨제이대한통운 (주) | 물류 이송 시스템 |
KR20190029899A (ko) * | 2017-09-13 | 2019-03-21 | (주)나우티앤에스 | 온도 관리 시스템 및 온도 관리 방법 |
KR101881761B1 (ko) * | 2017-10-25 | 2018-08-24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콜드 체인용 센서 보정, 보정시기 알람 방법 및 시스템 |
KR101963305B1 (ko) * | 2017-10-30 | 2019-03-28 | 주식회사 옵티로 | 물류환경정보 관리 시스템 |
KR20200061881A (ko) * | 2018-11-26 | 2020-06-03 | 주식회사 아이오티플렉스 | 냉장 냉동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 탑재 특수차량용 통합 관제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17062B1 (ko) | 2023-12-27 |
KR102668042B1 (ko) | 2024-05-22 |
KR20230173635A (ko) | 2023-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067510A1 (en) | Autonomous Industrial Truck | |
RU2597050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чета товарного запаса торговой точки и/или склада, а также оснащенная этим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кладом | |
CA3032968C (en) |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 detector for detecting items extending beyond dimensional threshold | |
US10815080B2 (en) | Automatic truck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 |
CN106647762B (zh) | 用于感测由材料搬运车辆运送的负载的系统和方法 | |
US20200031645A1 (en) | Vehicle-mounted device, cargo handling machine, control circuit,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 |
JP6864619B2 (ja) | 入出庫作業支援システム、入出庫作業支援方法、入出庫作業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KR102187446B1 (ko) |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차량 내 화물 적재 시스템 | |
WO2018231351A1 (en) | Pre-notification with rfid dock door portals | |
EP364425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a shipping load | |
JP2022068185A (ja) | 能動的保管容器に輸送中電力を提供するシステム | |
US10521626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material handling system | |
CN109154524A (zh) | 测量设备 | |
KR20230052408A (ko) | 냉동 수산물 운반 모니터링 시스템 | |
US7448545B2 (en) | Method for monitoring items passing through an entry/exit opening in a delimited space and apparatus to carry out such method | |
JP2019172466A (ja) | 位置特定システム、位置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50075562A (ko) | 바코드 검사 시스템 | |
KR20140142775A (ko) | 차량 입출고 관리 시스템 | |
US7987050B2 (en) | Material handling vehicle location system | |
KR101301151B1 (ko) | 물류 보관공간 물품 위치관리시스템 및 물류 보관공간 물품 위치관리방법 | |
US20220048645A1 (en) | Mobile robot and cargo transpor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EP3023921A1 (en) |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n associ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while in an assigned domain | |
KR102580553B1 (ko) | 의약품 운송 모니터링 시스템 | |
US6385503B2 (en) | Reactor for the processing of wafers, with a protection device | |
KR20160134374A (ko) | 센서네트워크와 전자저울을 이용한 침입과 도난방지 및 물류 관리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