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258A -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258A
KR20230052258A KR1020230027460A KR20230027460A KR20230052258A KR 20230052258 A KR20230052258 A KR 20230052258A KR 1020230027460 A KR1020230027460 A KR 1020230027460A KR 20230027460 A KR20230027460 A KR 20230027460A KR 20230052258 A KR20230052258 A KR 20230052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auxiliary opening
edg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병
구현우
Original Assignee
윤종병
구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병, 구현우 filed Critical 윤종병
Priority to KR102023002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2258A/ko
Publication of KR2023005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04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comprising U-shaped or bifurcated members coacting with containers these members remaining connected with the closure and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pivoted bails
    • B65D45/06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comprising U-shaped or bifurcated members coacting with containers these members remaining connected with the closure and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pivoted bails associated with toggle levers, e.g. swing stoppe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가져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밀폐커버와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밀폐커버는 수용용기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용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커버테두리; 및 상기 커버테두리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커버테두리는, 제1 두께를 가진 강성부;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강성부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걸림돌기가 내측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밀폐커버가 상기 수용용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내측 단부는 상기 강성부의 내면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용기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용기테두리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외부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변형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용기테두리에 대한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SEALING COVER AND REUSABLE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가져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밀폐커버와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를 특징 짓는 핵가족화와 바쁜 일상에 대응하여 근래에 식문화에 큰 변화가 있었다. 다수의 음식점은 음식을 소비자에게 배달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편의점과 대형 마트 등의 소매장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도시락을 판매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달 음식과 도시락 등은 일회용 저장용기에 포장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일회용 저장용기는 큰 자원낭비를 초래하고 그에 상응하여 환경오염을 초래하므로, 여러 나라의 정부는 일회용 제품의 사용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자원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기존의 저장용기를 재사용 할 수도 있겠으나, 도시락 및 배달용기를 위한 기존의 저장용기는 일회용으로 제작된 것이어서 내구성이 높지 않다는 특징이 있으며, 따라서 다회용으로 사용하게 되면 파손이 발생하여 저장용기에 수용되었던 음식물이 쏟아질 우려가 있다.
한편, 저장용기가 큰 내구성을 갖도록 제작하면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기존의 저장용기는 커버가 수용용기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커버의 테두리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커버를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성형하는 경우, 커버의 걸림돌기가 금형에 걸리게 된다. 기존의 일회용 저장용기의 경우 커버가 작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걸림돌기 주위의 커버 테두리에 탄성 변형이 쉽게 일어나므로 스트리퍼 또는 밀핀 등으로 이를 가압하면 커버는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다회용 저장용기는 요구되는 내구성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더 큰 두께로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성형된 커버가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커버의 걸림돌기 부분에 슬라이드 형식의 금형을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지만, 이는 고가의 장비를 요구함에 따라 제조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금형의 일부가 슬라이딩 하는 부분에서 커버에 자국이 남게 되는데, 이는 제품의 세척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영업장에서 사용되는 다회용 저장용기의 맥락에서 세척의 용이성은 매우 중요한 조건인데, 식기세척기 등으로 쉽게 세척될 수 없는 저장용기라면 영업용으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금형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저렴한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높은 밀폐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이 간편한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밀폐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밀폐커버는 수용용기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용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커버테두리; 및 상기 커버테두리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커버테두리는, 제1 두께를 가진 강성부;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강성부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걸림돌기가 내측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밀폐커버가 상기 수용용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내측 단부는 상기 강성부의 내면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용기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용기테두리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외부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변형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용기테두리에 대한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커버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변형부는 상기 강성부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강성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변형부는 상기 강성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서 연장되되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변형부와 상기 커버본체 사이에 여유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밀폐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되고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 또는 상기 커버테두리에는 상하로 관통된 개방보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테두리에는 보조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개구부는 상기 커버테두리의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형성될 수 있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전술한 밀폐커버를 포함하는 다회용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다회용 저장용기는 상기 밀폐커버 및 상기 밀폐커버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수용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회용 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밀폐커버가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되고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용용기에는 상기 밀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밀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밀폐커버가 상기 수용용기에 결합되면 상기 밀착부는 상기 밀착홈에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 또는 상기 커버테두리에 상하로 관통된 개방보조홀이 형성된 경우, 상기 수용용기에는 상기 개방보조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향으로 돌출하는 개방보조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밀폐커버가 상기 수용용기에 결합되면 상기 개방보조돌기는 상기 개방보조홀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테두리에는 보조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개구부는 상기 커버테두리의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형성될 수 있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제조시 금형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밀폐커버 및 다회용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밀폐커버와 수용용기는 각각 보편적인 성형 공정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고, 여기에는 단순한 구조의 금형을 이용되므로 제조 비용을 낮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밀폐커버와 다회용 저장용기는 식기세척기 등에 의해 쉽게 세척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밀폐커버 및 다회용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밀폐커버와 수용용기가 높은 강도로 제조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이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회용 저장용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회용 저장용기에서 밀폐커버를 수용용기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밀폐커버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회용 저장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밀폐커버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다회용 저장용기에서 밀폐커버를 분리하는 한 가지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회용 저장용기에서 밀폐커버를 분리하는 한 가지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회용 저장용기(10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100)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참고로, 도 1과 도 6에서는 제2 잠금부(400)가 결합 위치에 있고, 도 2 내지 4와 도 7에서는 제2 잠금부(400)가 분리 위치에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회용 저장용기(1000)에서 밀폐커버(100)를 분리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참고로, 도 8의 (a)와 (b)에서 밀폐커버(100)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회용 저장용기(1000)는 기본적으로 밀폐커버(100)와 수용용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용용기(500)의 각 단위용기(510) 내에 내용물을 담은 후 밀폐커버(100)를 수용용기(500)의 상부에 결합시켜 내용물이 다회용 저장용기(1000) 내에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게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내측", "외측", "상부", "하부"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내측"이라 함은 다회용 저장용기(1000)의 내부에 가까운 쪽을 지칭하려는 것이고, "외측"이라 함은 다회용 저장용기(1000)의 내부로부터 먼 쪽을 지칭하려는 것이다. 한편, "상부"라 함은 수용용기(500)가 개방된 방향을 지칭하려는 것이고, "하부"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하려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회용 저장용기(1000)의 실제 사용시에는 명세서에서 언급된 상하 방향이 실제 상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수용용기(500)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수용용기(500)는 하나 이상의 단위용기(510)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단위용기(510)는 내측의 수용공간을 에워싸는 측벽(5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각 단위용기(510)가 위로 개방되었다는 점에서 수용용기(500) 역시 위로 개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수용용기(500)는 그 전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수용용기(500)가 예시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수용용기(500)가 기타 다각형 형상,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용기(500)는 다수의 단위용기(510)를 포함할 수 있고, 인접한 단위용기(510) 각각의 측벽(520)은 그 상부에서 연결되어 브리지부(530)를 형성할 수 있다.
인접한 단위용기(510)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을 두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인접한 두 단위용기(510)의 측벽(520) 사이의 최소거리가 약 5mm 내지 7mm일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수용용기(500) 상부의 브리지부(125)가 약 7mm 내지 10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치수는 수용용기(500)의 구조적 강도를 희생하지 않고 밀폐커버(100)와의 밀착에 의한 밀봉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사용자가 단위용기(510) 사이를 쉽게 세척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수용용기(500) 전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테두리(550)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테두리(550)는 단위용기(510)들의 측벽(520)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거리 돌출할 수 있고, 용기테두리(550)에 밀폐커버(100)의 걸림돌기(350, 450)가 걸림에 따라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수용용기(500)의 브리지부(530)와 용기테두리(550) 등 밀폐커버(100)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밀착홈(52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밀착홈(526)이 용기테두리(550)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밀착홈(526)이 브리지부(53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수용용기(500)의 특정 위치에는 개방보조돌기(58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보조돌기(580)는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밀폐커버(10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돕는 구성요소로서 그 이용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개방보조돌기(580)가 용기테두리(550)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치는 해당 위치에서 단위용기(510)의 모서리를 굴곡지게 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용기테두리(550)의 돌출 길이를 과도하게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개방보조돌기(580)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개방보조돌기(580)가 용기테두리(550)의 모서리 이외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개방보조돌기(580)를 예를 들어 단위용기(510)의 측벽(520), 브리지부(530), 용기테두리(550) 또는 기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100)는 기본적으로 커버본체(110)와 커버테두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테두리(150)에는 하나 이상의 잠금부(300, 400)가 형성될 수 있고, 각 잠금부(300, 400)에는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대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걸림돌기(350, 450)가 형성될 수 있다. 밀폐커버(100)는 그 전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커버본체(110)는 수용용기(5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밀폐커버(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형성되는 기재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본체(110)는 대체로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회 사용에 적합한 내구성을 갖게 하는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본체(110)에는 아래로 함몰되어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밀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120)는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부분이며, 이를 위해 커버본체(11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밀착부(120)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밀폐커버(100)의 상면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고, 도 4에서는 밀착부(120)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밀폐커버(100)의 하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예에서는 밀착부(120)가 내측밀착부(124)와 외측밀착부(126)로 구분되는데, 내측밀착부(124)는 수용용기(500)의 브리지부(5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외측밀착부(126)는 밀폐커버(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측밀착부(124)와 외측밀착부(126)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크기와 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테두리(150)는 커버본체(1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테두리(150)가 반드시 수직 방향을 따라 하향 연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커버본체(110)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테두리(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향할수록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밀폐커버(100)를 수용용기(500)에 쉽게 배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커버테두리(150)는,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테두리(15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50, 450)가 용기테두리(550) 하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하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테두리(150)는 기본적으로 제1 두께로 형성된 강성부(160)를 포함할 수 있고, 지정된 위치에 형성된 변형부(320, 420)와 걸림부(340, 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340, 440)는 걸림돌기(350, 450)가 형성된 부분에 해당하고, 변형부(320, 420)는 수용용기(500)에 대한 밀폐커버(100)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해 걸림돌기(350, 45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개 지점에서 한 쌍의 변형부(320, 420)와 그 사이에 배치된 걸림부(340, 440)를 일괄하여 잠금부(300, 400)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두 종류의 잠금부(300, 400)로서 제1 잠금부(300)와 제2 잠금부(400)가 묘사되어 있다. 잠금부(300, 400)의 구조와 이용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본체(110) 또는 커버테두리(150) 상의 지정된 위치에는 개방보조홀(180)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보조홀(180)은 수용용기(500)의 개방보조돌기(58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개방보조돌기(58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개방보조돌기(580)에 대해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개방보조홀(180)은 커버본체(110) 및/또는 커버테두리(150) 상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밀폐커버(10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를 밀폐하는 구조를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1 잠금부(30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잠금부(300)는 커버테두리(15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강성부(160)가 연장되는 중 소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잠금부(300)는 변형부(320)와 걸림부(340)를 포함할 수 있고, 걸림부(34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35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테두리(150)의 강성부(160)는 요구되는 강도를 갖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를 위해 강성부(160)의 두께를 제1 두께로 지칭한다. 강성부(160)는 높은 강도를 가져 탄성적 변형이 전혀 혹은 거의 전혀 발생하지 않는 반면, 변형부(320)는 강성부(160)의 두께인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서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두께의 변형부(320)는 약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320)는 강성부(16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340) 양측의 변형부(320) 각각은 일단이 강성부(160)에 연결되고 타단이 걸림부(3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잠금부(300)의 변형부(320)는 강성부(160)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그 결과 걸림부(34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50)의 내측 단부는 강성부(160)의 내면에 비해 더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될 때 커버테두리(150)의 강성부(160)는 용기테두리(550)에 걸리지 않더라도 걸림돌기(350)의 내측 단부는 용기테두리(550)에 걸릴 수 있다.
제1 잠금부(300)의 걸림부(340)는 변형부(32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340)는 한 쌍의 변형부(3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나, 걸림부(340) 양측의 변형부(320)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걸림부(340)가 하나의 변형부(320)에만 인접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잠금부(300)의 걸림부(340) 역시 강성부(160)의 두께인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걸림부(340)의 연장 방향이 강성부(16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것처럼 묘사되어 있으나 걸림부(340)가 반드시 강성부(160)와 평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340)는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부(320)의 단부에 형성되므로 걸림부(34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50)의 내측 단부가 강성부(160)의 내면에 비해 더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걸림부(340)와 강성부(160)의 두께 차이로 인해 걸림부(340)의 내면이 반드시 강성부(160)의 내면에 비해 더 내측에 위치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걸림돌기(350)는 걸림부(34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될 때 용기테두리(550)의 하면에 걸릴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350)는 그 상면과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단부도 완만한 곡선을 그리는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밀폐커버(100)를 수용용기(500)에 결합하거나 결합된 밀폐커버(100)를 수용용기(500)로부터 분리할 때,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은 변형부(320)와 걸림부(340)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게 되어 걸림돌기(350)가 용기테두리(550)에 걸리게 되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350)의 양측에 위치하는 변형부(320)와 걸림돌기(350)의 상부에 위치하는 걸림부(340)의 일부는 모두 강성부(16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약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부의 압력이 가해질 때 걸림돌기(350)는 용기테두리(550)와의 접촉점에서 용기테두리(550)의 항력에 의해 외측으로 후퇴하여 용기테두리(550)에 걸리게 되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잠금부(300)를 포함하는 커버테두리(150)의 구조는 요구되는 강도를 제공하는 제1 두께의 강성부(160)로 인해 밀폐커버(100)가 높은 강도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필요한 위치에서만 걸림돌기(350)가 이동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쉽게 밀폐커버(100)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밀폐커버(100)의 제조 비용도 낮게 유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커버(100)는 성형 등의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에서 밀폐커버(100)만을 참조하면, 밀폐커버(100)를 제조함에 있어 상부 금형(미도시)과 하부 금형(미도시)을 이용하는 경우, 밀폐커버(100)의 성형 후 걸림돌기(350)가 하부 금형의 일부에 걸리게 될 것이다. 밀폐커버(100)가 외측밀착부(126)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는 더 심각할 수 있는데, 걸림돌기(350)가 형성된 부분에서 걸림돌기(350)는 상하 방향으로 하부 금형(미도시)에 걸릴 것이고 외측밀착부(126)는 좌우 방향으로 하부 금형(미도시)에 걸릴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커버테두리(150)의 강도 및 내구성 유지를 위해 강성부(160)가 탄성적 변형을 허용하지 않는 두께를 가진 경우, 금형의 분리를 위해 복잡한 이동식 구조의 금형이 요구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잠금부(300)에서 걸림돌기(350)가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현된 경우, 밀폐커버(100)의 제조에 단순한 형태의 상부 및 하부 금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하부 금형이 밀폐커버(100)의 외측밀착부(126)와 걸림돌기(350) 모두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더라도, 걸림돌기(350)는 외부 압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므로, 결합된 밀폐커버(100)를 수용용기(500)로부터 분리시키는 데 요구되는 것과 동일한 힘을 성형된 밀폐커버(100)에 가함으로써 밀폐커버(100)를 하부 금형(미도시)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는 밀폐커버(100)와 수용용기(500) 각각을 매우 단순한 구조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이는 저장용기(1000)의 제조 비용을 낮게 유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밀폐커버(100)와 수용용기(500)가 금형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들을 식기세척기 등에 투입하면 식기세척기 내부에서 분사되는 물은 밀폐커버(100)와 수용용기(500)의 모든 부분을 접근할 수 있다. 즉, 밀폐커버(100) 및 이를 포함하는 다회용 저장용기(1000)는 자동 세척이 쉬우므로 영업소 등에서 재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 잠금부(40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제1 잠금부(300)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중 일부는 제2 잠금부(400)에 적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잠금부(400)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중 일부는 제1 잠금부(3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잠금부(400)는 커버테두리(15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강성부(160)가 연장되는 중 소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잠금부(400)는 변형부(420)와 걸림부(440)를 포함할 수 있고, 걸림부(44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45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테두리(150)의 강성부(160)는 요구되는 강도를 갖도록 제1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강성부(160)는 높은 강도를 가져 탄성적 변형이 전혀 혹은 거의 전혀 발생하지 않는 반면, 변형부(420)는 강성부(160)의 두께인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서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두께의 변형부(420)는 약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잠금부(300)와 제2 잠금부(400) 각각의 변형부(320, 420) 모두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이들 변형부(320, 420)가 강성부(160)보다 작은 두께를 가짐을 의미하려는 것이며,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잠금부(300)와 제2 잠금부(400)가 모두 이용되는 경우 이들의 변형부(320, 420)가 동일한 두께를 가져야 함을 의미하려는 것은 아니다. 설계에 따라 제1 잠금부(300)의 변형부(320)와 제2 잠금부(400)의 변형부(420)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420)는 강성부(16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440) 양측의 변형부(420) 각각은 일단이 강성부(160)에 연결되고 타단이 걸림부(4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잠금부(400)의 변형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변형부(420)와 커버본체(110) 사이에 여유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 변형부(4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충분히 작은 두께를 갖는 경우 여유홀(430)을 형성하지 않고도 변형부(42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걸림부(440)는 변형부(42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440)는 한 쌍의 변형부(4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나, 걸림부(440) 양측의 변형부(420)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걸림부(440)가 하나의 변형부(420)에만 인접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잠금부(400)의 걸림부(440)는 변형부(420)의 두께인 제2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걸림부(440)는 힌지(442)에 의해 커버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는데, 힌지(442)는 커버본체(110)를 기준으로 걸림부(4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힌지(442)라 함은 걸림부(44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며, 반드시 기구적 힌지의 구조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커버(100)가 일체형으로 성형 등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힌지(442)를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만으로 걸림부(440)가 커버본체(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2 잠금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결합 위치(도 1 참조)와 분리 위치(도 2 참조)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변형부(420)는 이러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잠금부(400)의 결합 위치에서 걸림부(440)는 강성부(160)에 비해 더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잠금부(400)의 분리 위치에서 걸림부(440)는 강성부(160)에 비해 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 제2 잠금부(400)의 결합 위치에서 커버본체(110)를 기준으로 걸림부(440)의 각도는 도 1에서와 같이 강성부(160)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고, 제2 잠금부(400)의 분리 위치에서 커버본체(110)를 기준으로 걸림부(440)의 각도는 도 2에서와 같이 강성부(160)의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밀폐커버(100)의 제조시에는 제2 잠금부(400)가 분리 위치의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제2 잠금부(400)가 분리 위치에 있을 때 밀폐커버(100)를 금형으로부터 더 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잠금부(400)가 분리 위치에 있을 때, 변형부(420)는 강성부(160)로부터 걸림부(440)까지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변형부(420)의 길이는, 걸림부(440)가 강성부(160)와 평행할 때(동일한 각도에 있을 때) 걸림부(440)와 강성부(160)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만약 변형부(420)의 길이가 걸림부(440)가 강성부(160)와 평행할 때(동일한 각도에 있을 때) 걸림부(440)와 강성부(16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면, 걸림부(440)는 결합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의 이동 여지가 없이 강성부(160)와 평행한 위치에 고정될 것이다. 그러나 변형부(420)의 길이가 더 크므로, 걸림부(440)는 강성부(160)와 평행한 위치에 있지 못하고, 걸림부(440)의 하부가 변형부(420)의 길이만큼 강성부(160)로부터 떨어져 있게 하는 결합 위치 또는 분리 위치에 있게 된다.
걸림돌기(450)는 걸림부(44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될 때 용기테두리(550)의 하면에 걸릴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잠금부(400)가 결합 위치로 놓여 걸림부(440)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걸림부(440)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450)는 도 6에서와 같이 용기테두리(550)의 하면에 걸리게 된다. 제1 잠금부(300)의 걸림돌기(350)와는 달리, 제2 잠금부(400)의 걸림돌기(450)는 상하 방향으로의 가압이 아닌 걸림부(440)의 이동에 의해 걸리거나 해제되는 것이므로, 걸림돌기(450)의 상면과 하면이 경사질 필요가 없다. 물론, 걸림돌기(450)가 용기테두리(550)에 접하는 부분이 완만한 곡선의 형상을 갖게 함으로써 걸림부(440)의 체결 및 해제가 더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밀폐커버(100)를 수용용기(500)에 결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걸림부(440)를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면, 해당 외부 압력은 변형부(420)를 그 연장 방향을 따라 가압하게 되며, 변형부(420)가 외부 압력을 저항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압축 및 뒤틀림을 수반한 탄성 변형이 변형부(420)에 발생하면서 걸림부(440)가 힌지(44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마침내 걸림부(440)가 강성부(160)에 평행한 위치를 지나게 되면, 변형부(420)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걸림부(440)가 내측으로 더 회전하게 하며, 그 결과 제2 잠금부(400)는 결합 위치에 놓이게 되고 걸림돌기(450)는 용기테두리(550)의 하면에 걸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형부(420)는 커버본체(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변형부(420)와 커버본체(110) 사이에 여유홀(430)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변형부(420)가 커버본체(110)에 연결된다면 변형부(420)가 걸림부(440)의 회전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변형부(4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충분히 작은 두께를 갖거나 탄성 변형이 매우 쉽게 발생하는 경우 여유홀(430)을 형성하지 않고도 변형부(42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변형부(420)의 하부는 제2 두께를 갖게 하되, 변형부(420)가 커버본체(110)에 결합되는 부분은 이보다 더 작은,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경우, 변형부(420)가 걸림부(440)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밀폐커버(100)를 수용용기(5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걸림부(440)를 외측으로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면, 해당 외부 압력은 마찬가지로 변형부(420)를 가압하게 되며, 변형부(420)가 외부 압력을 저항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압축 및 뒤틀림을 수반한 탄성 변형이 변형부(420)에 발생하면서 걸림부(440)가 힌지(44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마침내 걸림부(440)가 강성부(160)에 평행한 위치를 지나게 되면, 변형부(420)는 다시 탄성력을 가하여 걸림부(440)가 외측으로 더 회전하게 하며, 그 결과 제2 잠금부(400)는 분리 위치에 놓이게 되고 걸림돌기(450)는 용기테두리(55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놓이게 된다.
제2 잠금부(400)를 포함하는 커버테두리(150)의 구조는 요구되는 강도를 제공하는 제1 두께의 강성부(160)로 인해 밀폐커버(100)가 높은 강도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필요한 위치에서만 걸림돌기(45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쉽게 밀폐커버(100)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밀폐커버(100)는 제1 잠금부(300)와 제2 잠금부(400)를 모두 포함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잠금부(300)와 제2 잠금부(400) 중 어느 한 종류만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밀폐커버(100)가 제1 잠금부(300)만 1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고, 제2 잠금부(400)만 1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밀폐커버(100)가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뿐만 아니라 원형 형상 또는 기타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이어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밀폐커버(100)의 밀착부(12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착부(120)는 내측밀착부(124)와 외측밀착부(126)로 구분될 수 있는데, 내측밀착부(124)는 수용용기(500)의 브리지부(5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외측밀착부(126)는 밀폐커버(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내측밀착부(124)와 외측밀착부(126)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내측밀착부(124)와 외측밀착부(126)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도 있다.
밀착부(120)는 아래로 함몰되어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폐커버(100)가 합성수지로부터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경우, 밀착부(120)는 커버본체(11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져 커버본체(110)는 강성을 유지하되 밀착부(120)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접촉하는 부분에서는(즉, 밀착부(120)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밀착부(120)가 커버본체(110)의 하면보다 아래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서는(예를 들면, 단위용기(510)의 개방된 상부 위의 부분에서는) 커버본체(110)의 하면이 밀착부(120)보다 아래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내측밀착부(124)는 수용용기(500)의 브리지부(5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되면 내측밀착부(12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부(530)에 접촉할 수 있는데, 내측밀착부(124)가 커버본체(110)보다 아래로 돌출되므로 커버본체(110)는 브리지부(530)에 접촉하지 않고 내측밀착부(124)만 브리지부(530)에 접촉할 수 있다.
내측밀착부(124)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하향 돌출 길이가 커버본체(110)와 브리지부(530) 사이의 수직거리보다 클 수 있으며, 따라서 내측밀착부(124)의 하부가 브리지부(530)에 닿으면서 브리지부(53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가압되는 내측밀착부(124)는 그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증가된 면적에 걸쳐 브리지부(530)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밀착부(124)와 브리지부(530) 사이의 증가된 접촉 면적은 내측밀착부(124)가 빈틈없이 온전히 브리지부(530)에 밀착되게 하고, 그 결과 높은 밀폐 성능으로 각각의 단위용기(510)를 격리시킬 수 있다.
외측밀착부(126)는 밀폐커버(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될 때 외측밀착부(126)는 용기테두리(550)에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용기테두리(550)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밀착홈(526)이 형성될 수 있는데, 밀착홈(526)은 원호형 단면을 이루며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될 때 외측밀착부(126)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홈(526)에 삽입될 수 있다. "U"자 형상을 가져 그 하면이 굴곡된 외측밀착부(126)가 밀착홈(526)에 삽입되면서, 외측밀착부(126)는 더 큰 면적에 걸쳐 수용용기(500)에(즉, 밀착홈(526)에)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외측밀착부(126)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므로, 외측밀착부(126)는 밀착홈(526)의 형상에 맞게 변형되어 접촉 면적은 최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밀착부(126)와 밀착홈(526) 사이의 증가된 접촉 면적은 외측밀착부(126)가 온전히 용기테두리(550)에 밀착되게 하고, 그 결과 수용용기(5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높은 밀폐 성능을 제공하게 한다.
사용자가 밀폐커버(100)를 수용용기(500)에 결합할 때, 밀폐커버(100)는 하나 이상의 잠금부(300, 40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수용용기(500)에 고정될 수 있고, 잠금부(300, 400)에 의해 밀폐커버(100)가 아래로 당겨짐에 따라 밀착부(120)는 브리지부(530) 및 용기테두리(550)에 대해 밀착될 수 있다. 수용용기(500)의 각 단위용기(510)가 밀폐되므로 내용물은 각각의 단위용기(510) 내에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밀착홈(526)이 외측밀착부(126)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내측밀착부(124)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밀착홈(526)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수용용기(300)의 제조 비용을 낮게 유지하고 구조적 강도를 높게 유지하는 면에서 브리지부(530)에는 밀착홈(526)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외측밀착부(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밀착홈(526)이 형성되어 있으나, 외측밀착부(12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밀착홈(526)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용기테두리(550)에 밀착홈(526)을 형성하고 외측밀착부(126)에 큰 탄성 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외측밀착부(126)가 큰 강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외측밀착부(126)를 기준으로 밀폐커버(100)의 내측 모두가 커버테두리(150)에 대해 견고히 고정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4와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개방보조홀(180)과 개방보조돌기(58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8의 (a)와 도 9의 (a)는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된 상태를 묘사하고, 도 8의 (b)와 도 9의 (b)는 개방보조돌기(580) 근처에서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묘사한다. 도 8에서는 밀폐커버(100)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보조돌기(580)는 단위용기(510)의 측벽(520), 브리지부(530), 용기테두리(550) 또는 수용용기(500)의 기타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개방보조홀(180)은 밀폐커버(100)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개방보조돌기(580)가 용기테두리(550)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고, 개방보조홀(180)이 밀폐커버(100)에서 외측밀착부(126)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보조돌기(580)가 용기테두리(550)의 모서리에 형성되되, 여러 개의 저장용기(1000)를 쌓더라도 아래의 저장용기(1000)의 개방보조돌기(580)가 위에 적층된 저장용기(1000)에 닿지 않게 형성될 수도 있고, 반대로 여러 개의 저장용기(1000)를 쌓을 때 아래의 저장용기(1000)의 개방보조돌기(580)가 위에 적층된 저장용기(1000)에 닿아 이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용용기(500)에서 단위용기(510)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밀폐커버(100)가 하나의 정해진 배향으로만 수용용기(5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용용기(500)에서 단위용기(510) 및/또는 브리지부(530)가 회전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밀폐커버(100)의 전후 구분이 없이 2개의 배향으로 수용용기(500)에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개방보조돌기(580)가 수용용기(500)의 일측에만 형성되더라도 개방보조홀(180)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용용기(500)에서 단위용기(510) 및/또는 브리지부(530)가 회전 대칭 및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밀폐커버(100)의 전후 좌우의 구분이 없이 4개의 배향 또는 그 이상의 배향으로 수용용기(500)에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개방보조돌기(580)가 수용용기(500)의 일측에만 형성되더라도 개방보조홀(180)은 복수 개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보조돌기(580)와 개방보조홀(180)은 사용자가 더 쉽고 편리하게 밀폐커버(100)를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밀폐커버(100)의 걸림돌기(350)는 용기테두리(550)에 걸려 있으며, 밀폐커버(1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걸림돌기(350)를 후퇴시킬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이 가해져야 한다. 일반적인 경우,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밀폐커버(10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수용용기(500)를 잡은 후 이들을 분리시킬 것이다. 사용자가 걸림돌기(350)에 가까운 위치에서 밀폐커버(100)와 수용용기(500)를 파지할수록 힘이 걸림돌기(350)에 더 잘 전달되어 이들을 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테두리(150)는 용기테두리(550) 아래까지 연장되므로 사용자가 밀폐커버(100)와 수용용기(500)를 파지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걸림돌기(35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수용용기(500)를 파지할 수밖에 없어 밀폐커버(100)를 분리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회용 저장용기(1000)는 개방보조홀(180)과 개방보조돌기(58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용기(500)의 개방보조돌기(580)는 밀폐커버(100)의 개방보조홀(18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될 때 개방보조돌기(580)는 개방보조홀(180)을 관통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밀폐커버(100)를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 밀폐커버(100)를 파지하면서 엄지 손가락 등으로 개방보조돌기(580)를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밀폐커버(100)는 위로 당기는 동시에 수용용기(500)의 일부인 개방보조돌기(580)는 아래로 누를 수 있어, 걸림돌기(350)를 후퇴하기에 충분한 힘을 매우 쉽게 가할 수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저장용기에서는 사용자가 커버와 용기를 각각 파지하기 위해 두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방보조홀(180)과 개방보조돌기(580)를 포함하는 다회용 저장용기(1000)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한 손으로도 밀폐커버(10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8의 (b)에서 사용자가 밀폐커버(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방보조돌기(580)를 아래로 가압하면, 잠금부(300)의 변형부(320)와 걸림부(340)에는 탄성 변형이 일어나면서 걸림돌기(350)가 외측으로 후퇴할 수 있다. 걸림돌기(350)가 용기테두리(550) 아래에서 벗어나면 걸림돌기(35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걸림돌기(350)의 하부 경사면이 용기테두리(550)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밀폐커버(100)는 더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도 8의 (b)에서와 같이, 개방보조돌기(580)가 상향으로 돌출하는 길이는 커버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커버테두리(150)의 하부까지의 수직 거리에 대응하는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돌출 길이는 걸림돌기(350)가 용기테두리(550) 아래에서 온전히 분리될 때까지 개방보조돌기(580)가 개방보조홀(180) 위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다만, 개방보조돌기(580)의 돌출 길이를 이보다 작게 설계할 수도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350)가 용기테두리(550) 아래에서 벗어나면 걸림돌기(350)의 탄성 복원력이 밀폐커버(100)의 분리를 돕고, 또한 걸림돌기(350)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개방보조돌기(580)를 가압하지 않고 밀폐커버(100)의 다른 부위를 파지해도 밀폐커버(1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100)에서는 커버테두리(150)의 측부에 보조개구부(28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개구부(280)는 도 9에서와 같이 커버테두리(150)의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보조홀(18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보조개구부(280)는 커버테두리(150)의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형성되되, 보조개구부(280)의 상부는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테두리(550)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커버(100)가 수용용기(5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용기테두리(550)가 보조개구부(280)를 통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보조개구부(280)의 상부가 용기테두리(550)의 하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므로 이 부분에서 밀폐 성능이 희생되지 않는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밀폐커버(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개방보조돌기(580)를 누른 후, 걸림돌기(350)가 용기테두리(550)에서 분리되면, 밀폐커버(100)의 해당 부분은 들어올려지게 된다. 보조개구부(280)는, 도 9의 (b)에서와 같이 밀폐커버(100)의 일부가 들어올려질 때 용기테두리(55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개구부(280)를 통해 노출된 용기테두리(550)의 상면을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눌러 쉽게 밀폐커버(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보조개구부(280)가 개방보조돌기(580)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경우, 개방보조돌기(580)의 돌출 길이를 더 작게 하여도 사용자는 편리하게 밀폐커버(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100)와 저장용기(1000)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밀폐커버(100)는 예를 들어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다회용 도시락 저장용기의 일부로 사용되거나, 음식점 및 기타 영업소에서 일시적으로 수용용기를 밀폐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100)는 또한 가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접시, 프라이팬 등을 커버하여 음식물 냄새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식용유, 음식물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다회용 저장용기
100: 밀폐커버 110: 커버본체
120: 밀착부 150: 커버테두리
160: 강성부 180: 개방보조홀
300, 400: 잠금부 320, 420: 변형부
340, 440: 걸림부 350, 450: 걸림돌기
500: 수용용기 510: 단위용기
520: 측벽 522: 밀착홈
530: 브리지부 550: 용기테두리
580: 개방보조돌기

Claims (11)

  1. 수용용기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밀폐커버로서,
    상기 수용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커버테두리; 및
    상기 커버테두리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테두리는,
    제1 두께를 가진 강성부;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강성부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변형부; 및
    상기 변형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걸림돌기가 내측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커버가 상기 수용용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내측 단부는 상기 강성부의 내면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용기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용기테두리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외부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변형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용기테두리에 대한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강성부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강성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강성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서 연장되되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변형부와 상기 커버본체 사이에 여유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되고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밀폐커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 또는 상기 커버테두리에는 상하로 관통된 개방보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테두리에는 보조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개구부는 상기 커버테두리의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8. 제 1 항에 따른 밀폐커버를 포함하는 저장용기로서, 상기 밀폐커버 및 상기 밀폐커버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되고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용기에는 상기 밀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밀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커버가 상기 수용용기에 결합되면 상기 밀착부는 상기 밀착홈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 또는 상기 커버테두리에는 상하로 관통된 개방보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용기에는 상기 개방보조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향으로 돌출하는 개방보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커버가 상기 수용용기에 결합되면 상기 개방보조돌기는 상기 개방보조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테두리에는 보조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개구부는 상기 커버테두리의 하부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KR1020230027460A 2023-03-02 2023-03-02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KR20230052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460A KR20230052258A (ko) 2023-03-02 2023-03-02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460A KR20230052258A (ko) 2023-03-02 2023-03-02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258A true KR20230052258A (ko) 2023-04-19

Family

ID=8614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7460A KR20230052258A (ko) 2023-03-02 2023-03-02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22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4199A (en) Resuable lid and container construction
US20070284276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US20100236966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US20120248132A1 (en) Food packaging with a lid and closure system for packaging
JP5938505B1 (ja) 包装用容器
RU2756746C1 (ru) Контейнер с защелкивающейся крышкой
US4632266A (en) Container cap
CA2861326A1 (en) Container
US6443300B1 (en) Multi-disc package with disc-locking straps
US11053052B2 (en) Storage container with stopper structure
KR20230052258A (ko)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다회용 저장용기
KR101215123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WO2015067075A1 (zh) 桶盖组合及其桶体
US2906428A (en) Tablet box
US5261537A (en) Container
JP4364561B2 (ja) 容器体のスタッキング構造
KR200485510Y1 (ko) 손잡이를 구비한 뚜껑
JP2000355345A (ja) つまみ部を有する包装用容器
JPH0538650Y2 (ko)
JP7058916B2 (ja) 蓋付き容器
TWI719502B (zh) 螺絲盛裝容器
KR200227286Y1 (ko) 물감저장용기
KR200246139Y1 (ko) 손잡이 이탈방지용 돌기를 가지는 용기
AU2023200511A1 (en) Food storage container
JP5435575B2 (ja) 保管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