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246A -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246A
KR20230052246A KR1020220130521A KR20220130521A KR20230052246A KR 20230052246 A KR20230052246 A KR 20230052246A KR 1020220130521 A KR1020220130521 A KR 1020220130521A KR 20220130521 A KR20220130521 A KR 20220130521A KR 20230052246 A KR20230052246 A KR 2023005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alibration
scanner body
image processing
sc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to PCT/KR2022/01538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63714A1/ko
Publication of KR2023005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스캐너 본체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툴, 상기 툴이 일단에 결합되는 스캐너 본체, 및 상기 툴에 대응하여 상기 스캐너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캐너 본체에 장착되는 툴에 의해, 상기 툴에 대응되는 상기 스캐너 본체의 동작이 수행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 기구(optical apparatus)의 성능은 온도에 민감하며, 특히 실존하는 물체(본 발명에서는, ‘대상체’로 지칭한다)의 3차원 모델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3차원 스캐너의 광학부는 상기 대상체를 향해 조사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용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를 정밀하게 표현하는 3차원 모델을 획득하기 위해, 3차원 스캐너(특히, 광학부)는 높은 정밀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3차원 스캐너의 정밀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마다 3차원 스캐너에 대한 오차 보정 작업, 즉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수행하여야 한다.
종래에 사용자가 3차원 스캐너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의 일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3차원 스캐너의 스캐너 본체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상기 스캔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사용자는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캘리브레이션 툴을 장착한다. 이후, 사용자는 스캔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스캔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캘리브레이션 버튼을 선택한다. 한편, 전술한 내용에 따르면 캘리브레이션 버튼을 선택하기 이전에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캘리브레이션 툴이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캘리브레이션 툴은 캘리브레이션 버튼을 선택하기 전 또는 후에 스캐너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캘리브레이션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팝업(pop-up)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지시에 따라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스캔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환자의 구강을 스캔하기 위해 클리닉의 체어로 이동한 이후에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것을 특정 알림(예를 들면, 스캔 프로그램 상에 표시되는 기한 경과 메시지 등)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체어에서 컴퓨팅 장치 측으로 다시 이동해야 하며, 이와 같은 과정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환자에게 위생적인 스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 이후 환자의 구강 등을 스캔하기 전 착용했던 장갑을 교체하거나 추가적인 소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1001호 (2019.01.2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는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착탈 가능한 툴을 상기 스캐너 본체에 장착하여, 장착된 툴의 종류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는 스캐너 본체에 구비된 착탈 감지 센서에 의해 툴의 착탈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는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광학부의 동작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툴의 종류를 구별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는 스캐너 본체에 구비된 착탈 감지 센서가 획득하는 착탈 감지 센서와 툴 사이의 간격을 기초로 툴의 종류를 구별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는 캘리브레이션 툴의 장착이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는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에 따라 대응되는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스캐너 본체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툴, 상기 툴이 일단에 결합되는 스캐너 본체, 및 상기 툴에 대응하여 상기 스캐너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캐너 본체는 대상체를 스캔하여 3차원 모델을 획득하는 3차원 스캐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툴은 일측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캐너 본체를 캘리브레이션하는 캘리브레이션 툴, 및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캐닝 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캐너 본체는, 상기 스캐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툴을 상기 스캐너 본체에 결합시키는 착탈면, 상기 툴 측을 향하여 소정 출력광을 조사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출력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반사광을 수용하며, 상기 반사광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캐너 본체는, 상기 착탈면에 상기 툴의 착탈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착탈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툴의 착탈이 식별되면,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출력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카메라가 획득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상기 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형상이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패턴플레이트를 표현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툴의 종류를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하고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패턴플레이트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 및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에 대응되는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툴이 상기 스캐너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착탈 감지 센서와 상기 툴 간의 간격을 기초로 상기 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툴을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 중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조작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안내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은 상기 스캐너 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틸팅가능한 패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플레이트는 복수의 타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타깃들은, 상기 3차원 스캐너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캘리브레이션 타깃,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이격 형성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복수의 식별 타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식별 타깃 중 적어도 일부는 소정 표식(sign)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은 상기 패턴플레이트가 제1 회전방향으로 틸팅 형성된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 및 상기 패턴플레이트가 상기 제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으로 틸팅 형성된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은, 사용자가 스캐너 본체에 소정 툴을 장착하는 툴 장착 단계, 제어 유닛이 상기 스캐너 본체에의 상기 툴의 착탈을 판단하는 툴 착탈 식별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의 종류를 구별하는 툴 구별 단계, 및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스캐너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툴은 상기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툴, 및 상기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캐닝 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툴 착탈 식별 단계에서 상기 툴의 착탈 여부는 상기 스캐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툴을 상기 스캐너 본체에 결합시키는 착탈면에 형성된 착탈 감지 센서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툴 구별 단계는, 상기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프로젝터로부터 소정 출력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단계, 상기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상기 출력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반사광을 수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 획득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툴의 종류를 결정하는 툴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조사 단계는 상기 툴 착탈 식별 단계에서 상기 툴의 착탈이 식별되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툴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툴에 내장된 패턴플레이트의 형상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툴이 상기 스캐너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착탈 감지 센서와 상기 툴 간의 간격을 기초로 상기 툴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은,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하는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툴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패턴플레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타깃들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타깃들은, 상기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캘리브레이션 타깃,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이격 형성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복수의 식별 타깃을 포함하고, 상기 툴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식별 타깃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복수의 식별 타깃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된 소정 표식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의 종류를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에서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의 종류를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 중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조작을 유도하는 안내 메세지가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의 종류를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 중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에서 자동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캐너 본체 및 상기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에 내장된 패턴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정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불편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캐너 본체의 착탈 감지 센서에 의해 툴의 착탈여부가 식별되고,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툴의 종류(예를 들면, 스캐닝 툴과 캘리브레이션 툴, 또는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가 판단되므로, 별도의 조작 과정 없이 신속하게 툴의 종류 감지 및 툴의 종류에 부합하는 스캐너의 동작(예를 들면,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캐너 본체의 착탈 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착탈 감지 센서와 툴 간의 간격을 기초로 툴의 종류가 판단되므로, 별도의 조작 과정 없이 신속하게 툴의 종류가 판단되고, 툴의 종류에 부합하는 스캐너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 유닛이 툴의 종류를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 유닛은 자동으로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캘리브레이션 시작 버튼을 선택해야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 유닛은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구별하여 툴의 종류에 부합하는 제어를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 유닛은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이 스캐너 본체에 장착되면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패턴플레이트의 위치가 초기 위치에 정위치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을 통해 스캐너 본체의 정확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2는 스캐너 본체와 상기 스캐너 본체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캐닝 툴의 일 예시이다.
도 3은 스캐닝 툴이 스캐너 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일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대상체를 촬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스캐너 본체와 상기 스캐너 본체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캘리브레이션 툴의 일 예시이다.
도 6 및 도 7은 스캐너 본체와 상기 스캐너 본체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캘리브레이션 툴의 분해도이다.
도 8은 캘리브레이션 툴이 스캐너 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일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스캐너 본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a)는 스캐너 본체 일단에 스캐닝 툴이 장착되었을 때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도 10(b)는 스캐너 본체 일단에 캘리브레이션 툴이 장착되었을 때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의 일 예시이다.
도 11은 캘리브레이션 툴의 패턴플레이트에 형성된 식별 타깃들, 및 상기 식별 타깃들에 의해 형성된 표식(sign)의 일 예시이다.
도 12는 캘리브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3(a)는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 도 13(b)는 상기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의 일 표식을 형성하는 식별 타깃들의 3차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도 14(a)는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 도 14(b)는 상기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일 표식을 형성하는 식별 타깃들의 3차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도 15는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중 툴 구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중 툴 구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중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중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part, portion)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가 하나의 요소(unit, element)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라는 표현은, 그 시스템이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3차원 스캐너는 대상체와 관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3차원 스캐너는 구강의 치료에 이용되는 구강과 관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캐너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3차원 스캐너는 환자의 실제 구강 내에 인입 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핸드헬드형 구강 스캐너(intraoral scanner)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구강 내에 인입 가능한 형태의 핸드헬드형 구강 스캐너를 '3차원 스캐너'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이미지는 구강에 포함되는 대상체를 나타내는 이미지(예를 들어, '구강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는 치아, 치은, 구강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또는 구강 내에 삽입 가능한 인공 구조물(예를 들어, 브라켓 및 와이어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임플란트, 인공 치아, 인레이 및 온레이 등을 포함하는 치아 수복물, 구강 내 삽입되는 교정 보조 도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대상체는 구강과 관련된 인공물, 예를 들어, 석고 모델, 크라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교정 장치는 브라켓, 어태치먼트(attachment), 교정용 나사, 설측 교정 장치, 및 가철식 교정 유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이미지는 툴의 내부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는 3차원 스캐너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캘리브레이션 툴의 내부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이미지는 대상체에 대한 2차원 이미지 또는 대상체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3차원 모델 또는 3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이미지는 대상체를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로우 데이터(raw data) 또는 로우 이미지(raw image)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우 이미지는 진단을 위해서 필요한 구강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획득되는 데이터로,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대상체인 환자의 구강 내를 스캔(scan)할 때 3차원 스캐너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예를 들어, 2차원 프레임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한, 로우 이미지는, 가공되지 않은 이미지로, 구강 스캐너에서 획득된 이미지의 원본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는 툴(100)과 스캐너 본체(200)를 포함한다. 툴(100)은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툴(100)이 스캐너 본체(200)에 장착되거나 스캐너 본체(200)로부터 탈거되면, 스캐너 본체(200)의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종류의 툴(100)이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결합됨으로써, 스캐너 본체(200)는 대상체(미도시)를 스캔하여 3차원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툴(100)은 스캐닝 툴(101)일 수 있으며, 스캐닝 툴(101)이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결합되면 스캐너 본체(200)는 대상체를 스캔하여 3차원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대상체는 사용자가 3차원 모델을 획득하고자 하는 물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상기 대상체는 환자의 구강 내부, 환자의 구강 내부를 본뜬 네거티브 모형, 및 상기 네거티브 모형에 석고를 부어 획득한 포지티브 모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스캐너 본체(200)는 대상체를 스캔하여 3차원 모델을 획득하는 3차원 스캐너에 포함되는, 3차원 스캐너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스캐너 본체(200)는 스캐너 본체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본체 케이스(201)는 스캐너 본체(200)에 내장된 구성요소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체 케이스(20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에 용이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체 케이스(201)의 형상 및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본체 케이스(201)는 어퍼 케이스(201a)와 로워 케이스(20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퍼 케이스(201a)와 로워 케이스(201b)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스캐너 본체(200)에 내장된 구성요소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만, 본체 케이스(201)는 어퍼 케이스(201a)와 로워 케이스(201b)의 결합구조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다단 결합 구조, 또는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스캐너 본체(200)는 외부 전자 기기(500)와 통신상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캐너 본체(200)가 포함된 3차원 스캐너는 구강 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의료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구강 스캐너와 같이 구강 내에 인입 가능한 형태를 갖는 3차원 스캐너는 핸드헬드형 구강 스캐너(intraoral scanner) 또는 휴대형 스캐너 등으로 지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차원 스캐너 중 구강 스캐너는 구강 내에 삽입되어 비 접촉식으로 치아를 스캐닝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포함하는 구강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3차원 스캐너의 일종인 구강 스캐너는 구강 내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예를 들어, 광학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캔할 수 있다. 3차원 스캐너는 대상체인 구강 내부의 치아, 치은 및 구강 내에 삽입 가능한 인공 구조물(예를 들어, 브라켓 및 와이어 등을 포함하는 교정 장치, 임플란트, 인공 치아, 구강 내 삽입되는 교정 보조 도구 등), 석고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이미징하기 위해서, 대상체에 대한 표면 정보를 로우 데이터(raw data)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스캐너에서 획득되는 로우 데이터는 3차원 스캐너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우 데이터는 3차원 스캐너에서 구강 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2차원 프레임 이미지(frame image)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이미지'는 '프레임' 또는 '프레임 데이터'로 호칭될 수도 있다.
3차원 스캐너에서 획득된 로우 데이터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 전자 기기(5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3차원 스캐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서 획득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한 3차원 모델 또는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3차원 모델 또는 3차원 이미지를 외부 전자 기기(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기기(500)는 3차원 스캐너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3차원 스캐너로부터 대상체를 스캔하여 획득된 데이터(예를 들면,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기기(500)는 3차원 스캐너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구강 이미지를 생성, 처리, 디스플레이 및/또는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전자 기기(500)는 3차원 스캐너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구강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 및 구강을 나타내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5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510)은 수신된 데이터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를 가공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510)은 알려진 표시 장치들(예를 들면, 모니터, 태블릿, 스크린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외부 전자 기기(500)는, 구강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상체에 대한 3차원 데이터 또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 처리, 디스플레이 및/또는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외부 전자 기기(5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 장치가 될 수 있으나, 나열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 전자 기기(500)는 대상체의 이미지(예를 들면, 구강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또는 서버 장치)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전자 기기(500)는 구강 스캐너에 연동되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저장 및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소프트웨어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호칭될 수 있다. 외부 전자 기기(500)가 구강 스캐너와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는 경우, 외부 전자 기기(500)에 저장되는 전용 소프트웨어는 구강 스캐너와 연결되어 대상체 스캔을 통하여 획득되는 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강 스캐너 제품 별로 각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가 존재할 수 있다. 전용 소프트웨어는 대상체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 처리, 저장,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스캐너는 대상체 스캔을 통하여 획득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그대로 외부 전자 기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 전자 기기(500)는 수신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상체를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3차원 대상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기기(500)는 수신된 로우 데이터에 근거하여 구강의 내부 구조를 3차원적으로 모델링(modeling)하여 '3차원 구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3차원 구강 모델'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기기(5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 유닛(미도시)에 의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력 유닛은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등 알려진 입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력 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캘리브레이션 명령을 입력하면, 외부 전자 기기(500)에 내장된 프로세서(미도시)는 스캐너 본체(200)가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캐너 본체(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과정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전술한 내용에서 '3차원 스캐너' 또는 '구강 스캐너'는 스캐너 본체(200)를 포함하므로, '3차원 스캐너' 또는 '구강 스캐너'의 동작은 스캐너 본체(200)의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소정 동작 또는 요청에 대응되는 키들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접촉 센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성 인식 센서를 포함하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근거하여 소정 동작 또는 요청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 중 스캐너 본체(200)에 포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29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2 개의 버튼(291, 292)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다른 예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미도시)과 결합되는 터치 패드(touch pad)(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소정 명령이 입력되면, 터치 패드에서 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스캐너측 프로세서(후술하는 도 9의 2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스캐너측 프로세서는 감지된 정보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 명령을 인식 및 실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터치 패드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정 지점을 터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된 지점의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위치 정보를 스캐너측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스캐너측 프로세서는 감지된 위치에 표시된 메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명령을 인식하며, 인식된 요청 또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후술하는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버튼(291, 292)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290) 중 제1 버튼(29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1 버튼(291)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버튼(291)이 눌러지는 형태에 따라서 제1 버튼(291)의 조작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요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291)에 대한 사용자 조작은, 더블 클릭인지, 롱 클릭인지, 일회의 클릭인지, 또는 짧은 시간 동안의 1회성 클릭인지 등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구별된 사용자 조작 형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요청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제1 버튼(291)을 짧게 한번 누르는 경우, 스캐너측 프로세서는 대상체의 스캔이 시작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1 버튼(291)을 길게(또는,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한번 누르는 경우, 스캐너측 프로세서는 대상체의 스캔이 종료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 버튼(291)을 더블 클릭할 경우, 스캐너측 프로세서는 획득된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 전자 기기(500)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1 버튼(291)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이뤄질 때의 스캐너 본체(200)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요청을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캐너 본체(200)가 스캔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1 버튼(291)이 짧게 1회 클릭된 경우,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스캔의 중지에 대응되는 요청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너 본체(200)가 스캔을 중단한 상태에서 제1 버튼(291)이 짧게 1회 클릭된 경우,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스캔의 재 시작에 대응되는 요청으로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미지 처리 장치 중 스캐너 본체(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개의 요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버튼들(291, 29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버튼에 따라서 대응되는 요청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제1 버튼(291)과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된 제2 버튼(292)은 디스플레이 유닛(510) 상에서 커서(cursor)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스캐너 본체(200)에 형성된 제1 버튼(291) 및 제2 버튼(292)으로 디스플레이 유닛(510) 상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툴(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스캐너 본체(200)와 상기 스캐너 본체(200)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캐닝 툴(101)의 일 예시이고, 도 3은 스캐닝 툴(101)이 스캐너 본체(200)에 결합된 상태의 일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툴(100)의 종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대상체를 스캔하여 상기 대상체를 나타내는 3차원 모델을 획득하기 위해,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툴(100)은 스캐닝 툴(101)일 수 있다. 스캐닝 툴(101)은 대상체의 표면 및/또는 내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스캐너 본체(200)로 가이딩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캐닝 툴(101)은 스캐너 본체(200)로부터 대상체를 지향하여 조사되는 광을 가이딩하거나 대상체의 표면 및/또는 내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스캐너 본체(200)로 가이딩하기 위해,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캐닝 툴(101)은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캐닝 툴측 결합부(1011)와, 스캐닝 툴측 결합부(1011)와 대향되는 타단 일측에 개구 형성되는 개구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캐닝 툴(101)은 그 내부에 출력광을 개구부(1012) 측으로 가이딩하거나 개구부(1012)를 통해 인입된 반사광을 스캐너 본체(200) 측으로 가이딩하는 광경로 변경부재(1013)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로 변경부재(1013)는 광을 반사 및/또는 굴절시킬 수 있으며, 광경로 변경부재(1013)는 거울, 렌즈 또는 프리즘(prism)과 같은 광학 부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의 일 구성인 스캐너 본체(200)에서 대상체를 촬영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에서 대상체를 촬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캐너 본체(2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32)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232)는 구강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232)는 구강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외부 전자 기기(미도시)(예를 들면, 도 1의 500에 대응)로 전송될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32)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32)에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그 자체가 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32)는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32)는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형태를 변경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232)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32)에서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들에 근거하여 대상체를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또는 3차원 모델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32)'를 '카메라(232)'로 칭하도록 한다. 즉, 카메라(232)는 한 개의 카메라를 지칭할 수 있으며, 또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지칭할 수도 있다.
카메라(232)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23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각각은 렌즈(2321) 및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렌즈(2321)로 들어온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로 보여주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는 CCD 센서, CMOS 센서, 컬러 이미지 센서 등 알려진 이미지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나열된 예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내부에 배치된 이미징 보드(2322)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미징 보드(2322)는 상기 렌즈(23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232)는 설정된 FPS(frame per second)에 따라서 1초에 수백장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32)에서 획득되는 이미지는 2차원 프레임(frame) 이미지가 될 수 있다. FPS는 초당 획득되는 프레임 이미지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로 호칭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카메라(232)의 동작 FPS(frame per second)가 100FPS 일 때, 카메라(232)는 1초당 100 개의 대상체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 본체(200)의 카메라(232)가 2개의 카메라인 L 카메라(좌측 카메라, 232a) 및 R 카메라(우측 카메라, 232b)를 포함하는 경우, 1초당 L 카메라(232a)에서 100장의 이미지 및 R 카메라(232b)에서 100 장의 이미지가 획득된다. 또한, L 카메라(232a) 및 R 카메라(232b)는 동기화 되어 동작하므로, 동일 시점마다 L 카메라(232a) 및 R 카메라(232b)는 각각 L 이미지 및 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스캐너 본체(200)의 카메라(232)가 1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1초당 100 장의 이미지가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스캐너 본체(200)가 공초점 방식으로 이미지 스캔을 수행하는 경우, 카메라(23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각각은 초점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렌즈(미도시) 및 상기 렌즈(미도시)를 통과한 광에 근거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스캐너 본체(200)가 광삼각 방식으로 이미지 스캔을 수행하는 경우, 카메라(23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각각은 패턴이 조사된 대상체(O)에 대한 이미지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스캐너 본체(200)의 카메라(232)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32)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징 보드(2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징 보드(2322)는 이미지 스캔을 위해서 카메라(232)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미징 보드(2322)는 카메라(232)의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 노출 시간(exposure time), 및/또는 프레임 레이트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징 보드(2322)는 렌즈(2321)에 의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징 보드는 렌즈(2321)를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들의 포맷(format)을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징 보드(2322)는 렌즈(2321)를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들을 압축(encoding)하여 복수개의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232)가 이미징 보드(2322)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전술한 이미징 보드(2322)가 수행하는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후술하는 스캐너측 프로세서(11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도시된 예시에서는, 3차원 스캐너(100)에 포함되는 카메라(232)가 두 개의 카메라(232a, 232b)를 포함하며, 광삼각 방식으로 이미지 스캔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3차원 스캐너(100)는 광삼각 방식에 의해서 구강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광삼각 방식은 광을 대상체로 조사하여 촬영하고, 광이 함께 이미징된 대상체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삼각 방식은, 대상체(O)로 광을 조사하고, 대상체(O)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대상체(O)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데이터는, 대상체(O)에 대한 3차원 깊이(dept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대상체(O)의 표면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2개의 카메라 및 광을 출력하는 프로젝터(231)를 이용하는 양안시 구조광(structured light with stereo vision)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양안시 구조광 방식을 이용하여 스캔을 수행하기 위해서, 스캐너 본체(200)는 광학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부(230)는 전술한 카메라(232)과 함께 프로젝터(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231)는 1차원 점 및 2차원 선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형성되는 패턴을 갖는 출력광을 툴(100) 측으로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체(O)의 일종인 구강의 스캔을 위하여, 프로젝터(231)는 후술하는 스캐너측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서, 대상체(O)인 구강 내에 출력광을 조사할 수 있다. 프로젝터(231)에서 출력광을 조사하면, 두 개 이상의 카메라(232a, 232b)는 출력광이 비춰진 대상체(O)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수용하고, 상기 대상체(O)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231)에서 출력되는 광의 형태(또는 패턴)은 변경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프로젝터(231)가 복수개의 선들 형태의 구조광(p)을 출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의 일 구성인 스캐너 본체(200)는, 대상체(O)에게 구조광(p)을 조사하고, 좌안 시야(left Field of View)에 대응되는 제1 카메라(232a)와 우안 시야(Right Field of View)에 대응되는 제2 카메라(232b) 각각에서 좌안 시야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400, 401) 및 우안 시야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400, 402)을 획득할 수 있다. 스캐너 본체(200)는 대상체(O)에 대한 제1 이미지(400, 401) 및 제2 이미지(400, 402)을 포함하는 2차원 프레임 이미지들을 연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32)가 100 FPS(Frame per Second)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 각각은 1초에 연속적으로 100 개의 프레임 이미지들을 캡쳐(capture)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32)에서 획득된 프레임 이미지들은 카메라(232)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2차원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카메라(232a, 232b)에서 획득된 복수개의 프레임 이미지들은 이미징 보드(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9의 도면부호 2322)에서 다른 이미지 포맷, 예를 들어, HDMI 포맷에 맞춰서 포맷팅 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외부 전자 기기(예를 들어, 도 1의 500)는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에서 획득된 이미지들을 포맷팅하여 획득한 HDMI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전자 기기(예를 들어, 도 1의 500)는, 제1 이미지(400, 401) 및 제2 이미지(400, 402)을 포함하는 2차원 프레임로부터 대상체(O)의 표면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프레임을 재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조광(p)이 함께 이미징된 제1 이미지(400, 401) 및 제2 이미지(400, 402)에 근거하여 대상체에 대한 깊이(depth)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깊이 정보에 근거하여 3차원 이미지 또는 3차원 모델을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징 보드 또는 스캐너측 프로세서는 2개 이상의 카메라(232a, 232b)에서 획득된 복수개의 프레임 이미지들에 근거하여 대상체에 대한 3차원 모델 또는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캐너 본체(200)는 생성된 3차원 모델 또는 3차원 이미지를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기기(예를 들어, 도 1의 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스캐너 본체(200)가 2 개의 카메라(232a, 232b) 및 하나의 프로젝터(231)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도 4에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스캐너 본체(200)는 하나의 카메라 및 하나의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본체(200)가 하나의 카메라 및 하나의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젝터가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의 역할과 구조광을 조사하는 프로젝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 방식에 따라, 스캐너 본체(200)는 복수 개의 카메라들 및 복수 개의 프로젝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스캐너 본체(200)는, 대상체(O) 주위를 이동하면서 일정한 시간 간격(예를 들어, 수 ms~수십 ms)으로 대상체(O)를 스캔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예를 들면, 복수의 2차원 프레임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본체(200) 또는 외부 전자 기기(미도시)(예를 들어, 도 1의 500)는, 복수의 2차원 프레임들로부터 복수의 3차원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캐너 본체(200)에 포함되는 카메라(232)가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 각각은 초당 수십 내지 수백개의 2차원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스캐너 본체(200)에서 획득된 복수개의 2차원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초당 수십 내지 수백개의 3차원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각 3차원 프레임은 복수개의 2차원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장의 3차원 프레임은 수십개의 2차원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외부 전자 기기(미도시)(예를 들어, 도 1의 500)가 스캐너 본체(200)로부터 획득된 2차원 프레임들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외부 전자 기기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의 3차원 프레임들을 결합 또는 위치 정렬함으로써 대상체 전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 또는 3차원 모델을 재구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 각각은 1초당 100개 이상의 2차원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 각각은 M * N 의 해상도를 이미지를 캡쳐 할 수 있다. 여기서, M, N 은 자연수 값을 가지며, M 은 획득되는 이미지의 가로 방향 픽셀 수가 될 수 있으며, N 은 획득되는 이미지의 세로 방향 픽셀 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카메라(232)(예를 들어,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미도시) 각각에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각각이 가로 200 및 세로 200 개의 픽셀 값들(즉, M=200, N =200)로 형성되는 2차원 프레임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예시에서는, M 과 N 이 같은 값을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M 과 N은 서로 다른 자연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픽셀 값은 8bit 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 각각에서 획득되는 프레임 이미지들 각각이 200 x 200 x 8bit = 4000 byte의 크기 또는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보드는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에서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들의 포맷(format)을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맷에 맞춰 포맷팅하여 이미지 데이터(구체적으로, HDMI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HDMI 데이터는 HDMI 포맷을 갖는 2K 데이터, 4K 데이터 또는 8K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HDMI 포맷은 HDMI 규격에서 정의되는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 프레임의 형태로, 1920 x 1080 = 2K resolution, 4096 x 2160 = 4K resolution, 7680 x 4320 = 8K resolution 등의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스캐너 본체(200)에 포함되는 카메라(예를 들어,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제1 해상도'라 칭하고, HDMI 포맷을 갖는 이미지 데이터의 해상도를 '제2 해상도'라 칭하도록 한다.
또한, 제1 해상도는 스캐너 본체(200)에 포함되는 카메라(232)에서 동일 시점에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들의 총 해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스캐너(예를 들어, 200 또는 201)가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 두 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면, 동일 시점(time point)에서 제1 이미지(400, 401) 및 제2 이미지(400, 402)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카메라(232a, 232b) 각각이 가로 200 픽셀 및 세로 200 픽셀의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 2개의 카메라(232a, 232b)에서 동일 시점에서 1회에 획득하는 2개의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합치면, 2개의 이미지를 합한 이미지는 가로 400 픽셀 및 세로 200 픽셀의 해상도를 갖는다고 표현할 수 있다. 즉, 스캐너 본체(200)에 포함되는 2개의 카메라(232a, 232b)에서 획득되는 2개의 이미지를 1개의 이미지를 표현하면, 가로 400 픽셀 및 세로 200 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2개의 카메라(232a, 232b)에서 동일 시점(time point)에서 획득되는 2개의 이미지를 합한 1개의 이미지를 '로우 이미지(raw image)'라 칭하도록 한다.
전술한 예시에서, 제1 해상도는 가로 200 픽셀 및 세로 200 픽셀을 곱한 값 또는, 가로 400 픽셀 및 세로 200 픽셀을 곱한 값이 될 수 있으며, 제2 해상도는 2K, 4K 및 8K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의 일 구성인 스캐너 본체(200)는, 전술한 예와 같이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 각각에서 획득되는 프레임 이미지들의 픽셀 값들을 그대로 포함하는 HDMI 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 전자 기기(미도시)(예를 들어, 도 1의 5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캐너 본체(200)는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 각각에서 획득되는 프레임 이미지들의 픽셀 값들이 그대로 포함되도록, 제1 카메라(232a) 및 제2 카메라(232b) 각각에서 획득되는 프레임 이미지들의 픽셀 값들 HDMI 포맷에 맞춰 포맷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에서, 툴(100)의 다른 일종인 캘리브레이션 툴(102)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스캐너 본체(200)와 상기 스캐너 본체(200)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일 예시, 도 6 및 도 7은 스캐너 본체(200)와 상기 스캐너 본체(200)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분해도, 및 도 8은 캘리브레이션 툴(102)이 스캐너 본체(200)에 결합된 상태의 일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전체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의 일 구성인 툴(100)은 캘리브레이션 툴(102)을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툴(102)은 스캐너 본체(102)에 내장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특히, 광학부)의 캘리브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던 스캐닝 툴(101)을 탈거하고, 별도로 구비된 캘리브레이션 툴(102)을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캐너 본체(200)에 캘리브레이션 툴(102)을 장착할 때, 스캐너 본체(200)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툴(100)을 스캐너 본체(200)에 결합시키는 착탈면(202), 및 상기 착탈면(202)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연결 블록(203)이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내부로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착탈면(202) 및 연결 블록(203)이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내부로 삽입되어 거치됨으로써, 스캐너 본체(200)의 안정적인 캘리브레이션 수행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세부 구성은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 추가 또는 제거가 가능하며, 예시적으로 설명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에서, 툴(100)의 일종인 캘리브레이션 툴(102)은 스캐닝 툴(101)이 제거된 상태의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이 삽입 안착되는 스캐너 본체 삽입구(111)가 형성된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와,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캐너 본체(200)를 스캐닝 보정하는 캘리브레이션 패턴플레이트(1955, 이하, '패턴플레이트'라 약칭함) 및 상기 스캐너 본체(200)가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에 결합되면 자동으로 패턴플레이트(1955)를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서 축 회전 이동 및 축 방향 이동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시키는 패턴 무빙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플레이트(1955)는,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에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이 삽입되면, 스캐너 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패턴플레이트(1955)가 이동되는 축 방향은 스캐너 본체(200)의 길이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캘리브레이션 툴(102)은 패턴플레이트(1955)의 축 회전 이동 및 축 방향 이동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캘리브레이션 툴일 수 있다.
일 예시로,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는,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책상 또는 테이블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하부면의 면적이 상부면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테두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는, 스캐너 본체(200)의 프로젝터(전술한 도 4 및 후술하는 도 9의 도면부호 231 참조)로부터 조사된 출력광의 조사 경로가 구비되고, 특히 출력광 및 반사광의 조사 경로는 외부광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암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캘리브레이션 툴(102)은 일측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이 스캐너 본체 삽입구(111)에 삽입 안착되면,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내부는 암실을 이루고, 스캐너 본체(200)의 프로젝터(231)로부터 조사된 출력광 및 패턴플레이트(1955)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이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내부에 존재한다.
한편,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는, 그 하부면을 구성하며,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를 암실 형태로 차폐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150)에는, 후술하는 스캐닝 위치 감지부가 실장 배치될 수 있고, 외부 전원이 공급되기 위한 급전 선로(미도시)가 인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하부면이 상술한 메인 인쇄회로기판(150)과 같은 PCB 형태로 마련될 필요는 없고, 특정 구성요소(예를 들면, 스캐닝 위치 감지부)에 대한 전원 공급이 가능한 한도에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인 인쇄회로기판(15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술하는 패턴 무빙부(190)의 구성 중 구동 모터(19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부(미도시)가 마이콤(MICOM) 형태로 실장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는 패턴 무빙부(190)의 구성 중 구동 모터(191)의 작동 제어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모터 PCB(180)가 서브 PCB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모터 PCB(180)에는, 외부 전원을 유선 연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외부 전원 커넥터(185) 및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PCB(160)와의 전원 연결을 위한 내부 전원 커넥터(181)가 실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PCB(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PCB(160)는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측 상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PCB(160)의 상면에는 전원 온오프 표시등(163a) 및 작동상태 표시등(163b)이 LED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PCB(160)의 테두리 일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 PCB(180)의 일측에 구비된 내부 전원 커넥터(181)와 유선 연결을 위한 전원 공급 커넥터(16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상부면에는 전원 온오프 표시등(163a) 및 작동상태 표시등(163b)으로부터 조사되는 표시등의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전원 온오프 표시홀(113a) 및 작동상태 표시홀(113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PCB(160)에 실장 배치된 작동상태 표시등(163b)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라이트 가이드(165)를 매개로 작동상태 표시홀(113b)을 통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스캐너 본체 삽입구(111)는 스캐닝 툴(101)이 제거된 상태의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예를 들면, 전단)에 구비된 연결 블록(203)이 삽입 안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블록(203)은, 스캐너 본체(200)로부터 스캐닝 툴(101)이 탈거되면 스캐너 본체 케이스(201)의 일단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노출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광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16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도 센서(169)는 스캐너 본체(200)가 동작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프로젝터(231)로부터 소정 출력광이 조사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169)는 상기 출력광을 감지함으로써 후술하는 패턴 무빙부(190)의 구성 중 구동 모터(191)의 작동이 가능한 시점을 제어 유닛에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조도 센서(169)는,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 공간의 출력광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PCB(160)의 하면에 실장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는 패턴플레이트(1955)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캐닝 위치 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캐닝 위치 감지부는, 패턴플레이트(1955)가 결합된 마운팅 블록(195)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제어 유닛이 캘리브레이션 수행 시 필요한 거리값 및 회전각값을 산출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캐닝 위치 감지부는, 패턴 무빙부(190)가 캘리브레이션 수행 시의 초기 위치로 복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스캐닝 위치 감지부는, 예를 들어, 포토 센서(photo sensor)부 및 홀 센서(hall sensor)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캐닝 위치 감지부가 포토 센서부일 경우, 상기 포토 센서부는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바닥면에 고정된 포토 센서(170)와, 패턴플레이트(1955)가 결합된 마운팅 블록(195) 또는 무빙 블록(196)에 결합되어 회전 및 직선 이동되는 검출 리드(175)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리드(175)는, 패턴 무빙부(190)의 구성 중 마운팅 블록(195) 또는 무빙 블록(196)의 선단 테두리 부위에 결합되어, 마운팅 블록(195) 및 무빙 블록(196)이 축 회전 및/또는 축 방향 직선 이동하는 경우, 연동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검출 리드(175)가 이동하다가 포토 센서(170) 사이로 삽입되는 경우, 포토 센서(170)는 검출 리드(175)를 감지할 수 있으며, 검출 리드(175)가 결합된 마운팅 블록(195) 및 무빙 블록(196)의 위치를 감지하고, 마운팅 블록(195)에 결합된 패턴플레이트(195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포토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통해, 패턴 무빙부(190) 또는 패턴플레이트(1955)와 포토 센서(170)와의 이격 거리 및 회전각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스캐닝 위치 감지부가 홀 센서부일 경우, 홀 센서부는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에 고정된 홀 센서(미도시)와, 패턴플레이트(1955)와 연동하여 회전 및 직선 이동되는 검출 마그네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마그네트는, 자성을 통해 홀 센서와 상호 작용하는 구성일 수 있다. 검출 마그네트는 후술하는 패턴 무빙부(190)의 구성 중 마운팅 블록(195) 또는 무빙 블록(196)의 선단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어, 마운팅 블록(195) 및 무빙 블록(196)이 축 회전 및/또는 축 방향 직선 이동하는 경우, 연동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검출 마그네트가 이동하다가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홀 센서는 검출 마그네트의 위치를 감지하고, 마운팅 블록(195)에 결합된 패턴플레이트(195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홀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통해 패턴 무빙부(190) 또는 패턴플레이트(1955)와 홀 센서와의 이격 거리 및 회전각값을 상대 측정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조도 센서(169)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에 스캐너 본체(200)가 삽입 안착된 후 스캐너 본체(200)의 작동을 감지한 경우, 스캐닝 위치 감지부는 감지한 패턴 무빙부(190)의 위치(보다 상세하게는, 패턴플레이트(1955)의 현재 위치 및 회전각 상태)를 확인하여, 캘리브레이션 초기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기준값을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는 패턴 무빙부(190)가 수평 방향으로 무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수평 방향'이라 함은,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가 거치되는 테이블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길이 방향 및 스캐너 본체(200)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패턴 무빙부(190)는, 패턴플레이트(1955)가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이 삽입 안착된 수평 방향(즉,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축 회전 및 축 방향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자동으로 패턴플레이트(1955)를 무빙시켜 캘리브레이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패턴 무빙부(190)는, 패턴플레이트(1955)를 동시에 축 회전 이동 및 축 방향 이동시키고, 패턴플레이트(1955)가 이동하는 동안, 패턴플레이트(1955)와 스캐너 본체(200)로부터 패턴플레이트(1955)로 조사되는 출력광의 광축 사이의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패턴 무빙부(190)는, 상술한 메인 인쇄회로기판(150)을 매개로 하여 공급되는 외부 전원 또는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 충전형 배터리와 같은 형태로 마련된 내부 전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 내부 전원이 충전형 배터리로 구비된 경우, 충전형 배터리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패턴플레이트(1955)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소정의 패턴이 인쇄 또는 구비된 것으로서, 패턴 무빙부(190)의 회동 또는 직선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되면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패턴플레이트(1955)는 스캐너 본체(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틸팅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플레이트(1955)는 후술하는 마운팅 블록(195)의 전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운팅 블록(195)의 전면은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턴플레이트(1955)의 경사 각도는 수평 방향(스캐너 본체(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40도 이상 50도 미만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패턴플레이트(1955)가 상기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직교(즉, 90도)로 구비된 경우 패턴플레이트(1955)에 형성된 각 패턴(255)들이 동일한 면에 대한 동일한 깊이 정보(또는 높이 정보)를 가지는 단점이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패턴플레이트(1955)를 수평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 배치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설계된 것이다.
패턴 무빙부(190)는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회전축이 구비된 구동 모터(191)와,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일측 및 타측으로 개구된 무빙 가이드홀이 형성된 고정 블록(193)과, 패턴플레이트(1955)가 결합되고 고정 블록(193) 내의 무빙 가이드홀에 배치된 마운팅 블록(195)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91)는,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 공간 중 스캐너 삽입구(111)가 형성된 일단부와 반대 방향의 타단부 측에 인접되게 고정되고, 회전축이 광축과 평행하거나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191)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되는 패턴플레이트(1955)의 축 방향은, 스캐너 본체(200)로부터 패턴플레이트(1955)로 조사되는 광의 광축과 일치하거나 평행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동 모터(191)는, 외부 전원 또는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아울러, 패턴 무빙부(190)는 구동 모터(191)와 마운팅 블록(195)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 모터(191)의 회전력을 마운팅 블록(195)에 전달하는 전달 블록(19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 블록(194)은, 구동 모터(191)의 회전축(1911)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마운팅 블록(195)에 전달함으로써, 마운팅 블록(195)이 고정 블록(193)의 무빙 가이드홀(193) 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경사지게 형성된 마운팅 블록(195)의 수용단의 경사면에 경사지게 배치된 패턴플레이트(195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전달 블록(194)은 구동 모터(191)의 회전축에 축 결합되는 결합단과, 결합단의 선단에 구비되고, 마운팅 블록(195)에 형성된 회동 간섭홀(1951) 내부로 삽입되어 회동 간섭을 일으키는 회동 날개단(194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 날개단(1945)은 결합단이 원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제할 경우, 결합단의 외주면보다 더 일측 및/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 날개단(1945)에 의하여 전달 블록(194)이 회전될 때, 마운팅 블록(195)과 간섭되어, 마운팅 블록(195)을 구동 모터(191)의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마운팅 블록(195)에 형성된 회동 간섭홀(1951) 및 전달 블록(194)의 회동 날개단(1945)은 상호 대응되는 수직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마운팅 블록(195)에 형성된 회동 간섭홀(1951)은, 회동 날개단(1945)의 회전 방향으로는 간섭되고, 회동 날개단(1945)의 수평 방향으로는 간섭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동 간섭홀(1951)이 회동 날개단(1945)과 상호 대응되는 수직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수평 방향(즉, 축 방향)으로는 상호 간섭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바, 후술하는 무빙 블록(196)에 의하여 마운팅 블록(195)이 축 방향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회동 간섭홀(1951)은, 회동 날개단(1945)의 선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깊이가 적어도 마운팅 블록(195)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보다 더 크거나 같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동 간섭홀(1951)의 수평 방향으로의 깊이가 적어도 패턴플레이트(1955)가 이동 가능한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마운팅 블록(195)과 전달 블록(194)의 간섭에 의하여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구동 모터(191)는 캘리브레이션 툴 본체(110)의 내부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된 센터 블록(192)을 매개로 그 회전축(1911)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전달 블록(194)이 구동 모터(191)의 회전축(1911)의 선단에 축 고정될 수 있다. 구동 모터(191)의 회전축(1911)은, 센터 블록(192)의 관통홀(1921) 내부에 개재된 회전 베어링(1925)에 의하여 축 회전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패턴 무빙부(190)는 마운팅 블록(195)과 연동되도록 구비되고, 고정 블록(193)과의 간섭에 의하여 마운팅 블록(195)을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무빙 블록(1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블록(196)은 패턴플레이트(1955)가 결합된 마운팅 블록(1950)과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패턴플레이트(1955)를 수평 방향(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무빙 블록(196)은, 무빙 가이드홀의 내부에서 회전 및 직선 이동하고, 무빙 블록(196)의 외주면에는 고정 블록(193)의 무빙 가이드홀의 내부로 돌출된 가이드 부재의 선단이 치합되는 회전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가이드홈은, 무빙 블록(196)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무빙 블록(196)이 적어도 3회전 이상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피치 간격을 가지는 나선 형태로 홈 가공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고정 블록(193)의 무빙 가이드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나, 개수와 간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부재의 일단부는 나선 형태로 구비된 회전 가이드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마운팅 블록(195)은 무빙 블록(196)과 연동 회전 및 수평 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고정 블록(193)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가 회전되는 무빙 블록(196)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 가이드홈에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바, 무빙 블록(196)의 회전량에 따라 패턴플레이트(1955)의 직선 이동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가이드 부재가 고정 블록(193)의 내부로 돌출 구비되고, 회전 가이드홈이 무빙 블록(196)의 외주면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무빙 블록(196)의 회전량에 따라 패턴플레이트(1955)의 수평 방향에 대한 직선 이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그 반대의 구조 채용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빙 가이드홀의 내주면에 가이드 부재가 치합되는 회전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무빙 블록(196)의 외주면에 가이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부재는, 일부가 회전 가이드홈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 볼트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가이드 부재가 가이드 볼트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 부재는 베어링 볼이 내설된 볼 플런저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가 볼 플런저로 구비된 경우에는 무빙 블록(196)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전술한 내용과 상이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툴(102)은 구동 모터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스캐너 본체(200)를 연결 및 고정시키는 고정 케이스와, 상기 고정 케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 케이스, 그리고 상기 회동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회동 케이스의 회동력을 전달하여 패턴플레이트(1955)를 회동 및/또는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캘리브레이션 툴(102)은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 중 회동 케이스를 조작하여 상기 패턴플레이트(1955)를 회동 및/또는 직선 왕복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패턴플레이트(1955)를 회동 및/또는 직선 왕복시키는 이동 수단은 다이얼 레버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패턴플레이트(1955)를 회동 및/또는 직선 왕복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의 일 구성인 스캐너 본체(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의 일 구성인 스캐너 본체(2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도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의 일 구성인 스캐너 본체(200)는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스캐너측 프로세서(210)가 목적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는 대상체에 대한 촬영(또는, 스캔) 동작,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의 획득 동작, 및/또는 획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데이터(예를 들면,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측 프로세서(210)에서 소정 동작을 수행한다고 기재하고 있는 경우, 해당 기재는 스캐너측 프로세서(2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을 직접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는 스캐너 본체(2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스캐너 본체(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미도시), 스캐너 본체(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또는 복수개의 제어 관련 정보가 저장된 ROM(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Processor)(미도시)(이하, '내부 프로세서'로 지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는 내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프로세서 및 내부 프로세서에서 처리 또는 이용될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신호,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예를 들어, RAM, ROM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는 싱글 코어 이상의 멀티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는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헥사 코어, 옥타 코어, 데카 코어, 도데카 코어, 헥사 다시 벌 코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는 설계 가능 논리 소자 및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내부 회로가 포함된 반도체 소자인 FPGA(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FPGA를 이용해서 고속의 이미지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32)에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스캐너측 통신부(240)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획득 동작 및 전송 동작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어 신호가 외부 전자 기기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200)에 결합되는 툴(100)에 대응하여 스캐너 본체(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200)에 내장된 스캐너측 프로세서(210)를 의미할 수도 있고, 전술한 외부 전자 기기(예를 들면, 도 1의 도면부호 500)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 중 스캐너 본체(200)는 착탈 감지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 감지 센서(220)는 스캐너 본체(200)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툴(100)의 착탈을 식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착탈 감지 센서(220)는 툴의 착탈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형성된 착탈면(202)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착탈 감지 센서(220)는 툴(100)이 스캐너 본체(200)에 착탈(장착 또는 탈거)된 것을 식별하기 위한 근접 센서일 수 있으나 반드시 명시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착탈 감지 센서(220)에 의해 후술하는 광학부(230)가 동작하여 툴(100)의 종류를 식별하는 과정과, 착탈 감지 센서(22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를 기초로 툴(100)의 종류를 식별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의 스캐너 본체(200)는 광학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학부(230)는 대상체를 지향하여 소정 광을 조사하는 프로젝터(231)와,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2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231)는 대상체에 소정 출력광 및/또는 패턴을 조사하여 상기 카메라(232)가 상기 대상체를 표현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색상 및 형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젝터(231)는 광원(2311)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2311)은 이미지 데이터의 색상 및 형상을 획득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원(2311)은 적색 광원, 녹색 광원, 및 청색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원들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제1 색상 이미지, 제2 색상 이미지, 제3 색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의 색상은 상기 색상 이미지들의 조합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다만, 광원(2311)은 나열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알려진 다양한 색상 획득 방식에 부합하는 광원일 수 있다.
광원(2311)은 특정 패턴과 함께 대상체에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패턴과 함께 대상체에 조사되는 광은 구조광(structured light)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32)은 구조광이 조사된 대상체의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의 형상(즉, 대상체의 3차원 형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프로젝터(231)의 패턴 생성부(231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2311)에 의해 생성된 광은 패턴 생성부(2312)를 통과할 수 있으며, 패턴 생성부(2312)를 통과한 광은 상기 패턴 생성부(2312)에 의해 생성된 패턴의 형상에 대응되는 출력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패턴 생성부(2312)는 패턴 마스크 및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나열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캐너 본체(200)는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스캐너측 통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측 통신부(240)는 복수개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외부 전자 기기(예를 들어, 도 1의 5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채널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채널은 소정의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서 정의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규격은 와이기그(WiGig: Wireless Gigabit), 블루투스, 와이파이, BLE(Bluetooth Low Energy), NFC/RFID,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 또는 ZIGBEE 등의 통신 규격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주파수 대역 또는 소정 통신 규격에 따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신 채널이라 칭할 수도 있다.
스캐너 본체(200)는 스캐너측 저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측 저장부(250)는 스캐너 본체(200)의 정보(스캐너의 시리얼 번호 등), 스캐너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스캐너측 저장부(250)는 카메라(232)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스캐너측 저장부(250)로 ROM, RAM, SSD, HDD,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알려진 기록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툴(100)의 착탈이 감지됨에 따라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는 스캐너 본체(200) 일단에 스캐닝 툴(101)이 장착되었을 때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도 10(b)는 스캐너 본체(200) 일단에 캘리브레이션 툴(102)이 장착되었을 때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의 일 예시이다.
도 3, 도 8,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툴(100)이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장착 또는 탈거(착탈)되면, 착탈 감지 센서(220)는 상기 툴(100)의 착탈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착탈 감지 센서(220)는 툴(100)이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장착되었을 때 툴(100)의 내면과 착탈 감지 센서(220) 사이의 간격(d)을 측정 및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간격(d)이 소정 착탈 임계값 이하인 경우, 툴(100)이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결합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착탈 임계값은 약 5mm일 수 있다.
착탈 감지 센서(220)에 의해 툴(100)의 착탈이 감지되면, 제어 유닛은 프로젝터(231)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프로젝터(231)는 출력광을 툴(100) 측을 향하여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력광은 전술한 패턴 생성부(2312)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광일 수 있다. 스캐너 본체(200)에 결합된 툴(100)의 종류에 따라, 프로젝터(231)로부터 조사된 출력광은 대상체(O)의 표면 및/또는 패턴플레이트(1955)의 표면에 도달할 수 있다. 스캐너 본체(200)에 결합된 툴(100)이 스캐닝 툴(101)인 경우, 프로젝터(231)로부터 조사된 출력광은 대상체(O)의 표면에 도달하고, 상기 대상체(O)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은 광경로 변경부재(1103)에 의해 카메라(2321)로 수용될 수 있다. 수용된 광은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고 분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 유닛은 착탈 감지 센서(220)에 의해 툴(100)의 장착이 식별되면, 프로젝터(231)가 출력광을 툴(100) 측을 향하여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력광은 툴(100)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고, 출력광에 의해 카메라(232)는 툴(100)의 내부의 명확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스캐너 본체(200)에 툴(100)이 장착됨에 따라 프로젝터(231)의 출력광이 조사됨으로써, 제어 유닛은 카메라(232)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툴(100)의 종류가 스캐닝 툴(101)인지 캘리브레이션 툴(102)인지 구별 및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 유닛은 카메라(232)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캘리브레이션 툴(102)에 내장된 패턴플레이트(1955)의 형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캐너 본체(200)에 장착된 툴(100)이 캘리브레이션 툴(102)인 것으로 구별 및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 유닛은 카메라(232)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패턴플레이트(1955)의 형상을 표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캐너 본체(200)에 장착된 툴(100)이 캘리브레이션 툴(102)이 아닌 다른 툴(예를 들면, 전술한 스캐닝 툴(101), 및 스캐너 본체(200)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션 툴(미도시) 등)인 것으로 구별 및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 유닛은 패턴플레이트(1955)의 형상을 감지(또는 판단)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 툴(102)을 다른 툴(100)들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은 카메라(232)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툴(100)의 종류가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구별 및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카메라(232)가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스캐너 본체(200)에 장착된 툴(100)의 종류를 판단하고, 특히 제어 유닛이 툴(100)을 캘리브레이션 툴(102)로 판단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캐닝 툴(101)을 장착한 스캐너 본체(200)가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유닛(510)에 도시된다. 스캐닝 툴(101)을 장착한 스캐너 본체(200)가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는 대상체 이미지(O)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캘리브레이션 툴(102)을 장착한 스캐너 본체(200)가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는 패턴플레이트(1955)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상기 패턴플레이트(1955)의 형상을 기초로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장착된 툴(100)이 스캐닝 툴(101)인지 캘리브레이션 툴(102)인지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 유닛은 이미지 데이터의 형상이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패턴플레이트(1955)를 표현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스캐너 본체(200)의 착탈면(202)에 결합된 툴(100)의 종류를 캘리브레이션 툴(102)로 판단하고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툴(100)의 종류를 캘리브레이션 툴(102)로 판단한 경우,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510) 상의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툴(100)의 종류를 캘리브레이션 툴(102)로 판단한 경우, 디스플레이 상의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캘리브레이션 수행을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 유닛은 이미지 데이터의 형상이 패턴플레이트(1955)와 상이한 형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스캐너 본체(200)의 착탈면(202)에 결합된 툴(100)의 종류를 스캐닝 툴(101)로 판단하고, 광학부(230)의 동작에 의해 대상체(O)의 2차원 이미지 데이터 및 3차원 모델을 획득하기 위한 준비 동작(standby operation) 또는 스캔 동작(scanning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유닛이 패턴플레이트(1955)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툴(102)을 스캐닝 툴(101)로부터 구별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패턴플레이트(1955)에 형성된 식별 타깃(612)들, 및 상기 식별 타깃(612)들에 의해 형성된 표식(sign, 700)의 일 예시, 및 도 12는 캘리브레이션 툴(102)을 사용하여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한편, 도 11은 설명상 편의를 위해 캘리브레이션 타깃(611)들의 표현을 생략하였다.
도 10(b) 및 도 11을 참조하면, 패턴플레이트(1955)는 복수의 타깃들(targets, 6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타깃들은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타깃들 중 적어도 일부는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타깃들 중 나머지 일부는 제어 유닛이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장착된 툴(100)의 종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타깃(610)들은 적어도 하나의 캘리브레이션 타깃(611)과 복수의 식별 타깃(612)을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타깃(611)은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캘리브레이션 타깃(611)은 일정한 어레이(array)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타깃(611)을 통해 스캐너 본체(200)의 설정이 조정되며, 스캐너 본체(200)는 대상체의 정밀한 3차원 모델을 획득할 수 있도록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식별 타깃(612)은 캘리브레이션 타깃(611)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식별 타깃(612)들은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식별 타깃(612)들은 캘리브레이션 타깃(611)과 이격 형성되고 캘리브레이션 타깃(611)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별 타깃(612)들 각각은 캘리브레이션 타깃(6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식별 타깃(612)들의 형상은 설명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식별 타깃(612)들 각각의 형상은 캘리브레이션 타깃(611)과 구별되는 상이한 도형일 수도 있다. 상기 식별 타깃(612)이 표현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장착된 툴(100)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식별 타깃(612)들 중 적어도 일부는 소정 표식(sign, 7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에 따르면, 소정 표식(700)은 인접하여 형성된 식별 타깃(612)들 중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개의 식별 타깃(612)들을 연결하여 일정한 형상의 표식(70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표식(700)은 ‘L’ 글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패턴플레이트(1955) 상에서 상기 표식(700)은 제1 표식(701), 제2 표식(702), 제3 표식(703), 제4 표식(704), 및 제5 표식(7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식들(701, 702, 703, 704, 705) 각각은 제1 길이(h1, h2, h3, h4, h5)와 제2 길이(v1, v2, v3, v4, v5)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1 길이는 인접하는 식별 타깃(612)들 간의 수평길이, 제2 길이는 인접하는 식별 타깃(612)들 간의 수직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길이 및 제2 길이는 식별 타깃(612)들 각각의 중심을 기준으로 획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제시된 기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유닛은 카메라의 동작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캘리브레이션 타깃(611)을 감지하거나, 식별 타깃(612)을 감지하거나, 식별 타깃(612)들에 의해 형성된 표식(700)을 감지하거나, 상기 표식(700)의 제1 길이 및/또는 제2 길이를 감지함으로써 스캐너 본체(200)에 장착된 툴(100)이 패턴플레이트(1955)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션 툴(102)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에서 캘리브레이션 타깃(611), 식별 타깃(612), 표식(700), 및 표식(700)의 치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툴(100)의 종류를 감지함으로써, 제어 유닛의 신속하고 정확한 툴(100)의 구별 및 판단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간편한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 화면(511)이 디스플레이 유닛(예를 들면, 도 1의 도면부호 5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200)에 결합된 툴(100)을 캘리브레이션 툴(102)로 판단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200)에 결합된 툴(100)을 캘리브레이션 툴(102)로 판단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제어 유닛은 툴(100)을 캘리브레이션 툴(102)로 판단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유닛(510)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된 캘리브레이션 기능에 따라 스캐너 본체(200)를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생략하고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이 자동 수행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착탈 감지 센서(220)에 의해 스캐너 본체(200)의 일단에 장착된 툴(100)의 종류를 식별 및 판단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툴(100)의 종류에 따라 착탈 감지 센서와 툴(100) 간의 간격(d)이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캐닝 툴(101)은 착탈 감지 센서 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미도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어 유닛은 툴(100)이 스캐너 본체(200)에 장착되었을 때 착탈 감지 센서(220)와 툴(100) 간의 간격(d)을 기초로 툴(1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간격(d)이 제1 간격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 유닛은 상기 툴(100)을 스캐닝 툴(101)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간격(d)이 제2 간격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 유닛은 상기 툴(100)을 캘리브레이션 툴(102)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간격 임계값은 제2 간격 임계값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툴(100)이 캘리브레이션 툴(102)로 판단된 경우,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탈 감지 센서(220)의 측정에 의해 획득되는 간격(d)을 기초로 툴(100)의 종류를 구별함으로써, 신속한 툴(100)의 구별 및 캘리브레이션 툴(102)이 스캐너 본체(200)에의 장착시 신속한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바코드, QR코드와 같은 식별체가 툴(100)에 마킹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은 카메라(232) 또는 별도의 인식 유닛(미도시)에 의해 툴(100)에 마킹된 식별체를 인식함으로써 툴(100)의 종류를 식별 및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감지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a)는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 도 13(b)는 상기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의 일 표식(700)을 형성하는 식별 타깃(612)들의 3차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또한, 도 14(a)는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 도 14(b)는 상기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일 표식(700)을 형성하는 식별 타깃(612)들의 3차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도 13(a) 및 도 13(b)을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툴(102)은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을 포함할 수 있다.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에 적용되는 마운틴 블록(195, 195a)과 패턴플레이트(1955, 1955a)는 제1 회전방향으로 틸팅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의 패턴플레이트(1955, 1955a)는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축방향이 z인 좌표공간 상에서 y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θ1만큼 틸팅 형성될 수 있다. 패턴플레이트(1955, 1955a)가 θ1만큼 틸팅 형성됨으로써, 스캐너 본체(200)에 내장된 카메라(2321)가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 또한 틸팅되어 획득될 수 있다. 이 때, 패턴플레이트(1955, 1955a)에 형성된 표식(700)의 제1 길이 및 제2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툴(102)은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포함할 수 있다.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에 적용되는 마운틴 블록(195, 195b)과 패턴플레이트(1955, 1955b)는 제2 회전방향으로 틸팅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회전방향은 제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회전방향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패턴플레이트(1955, 1955b)는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축방향이 z인 좌표공간 상에서 y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θ2만큼 틸팅 형성될 수 있다. 패턴플레이트(1955, 1955b)가 θ2만큼 틸팅 형성됨으로써, 스캐너 본체(200)에 내장된 카메라(2321)가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 또한 틸팅되어 획득될 수 있다. 이 때, 패턴플레이트(1955, 1955b)에 형성된 표식(700)의 제1 길이 및 제2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할 수 있다.
도 15는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5(a)는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패턴플레이트가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5(b)는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패턴플레이트를 제2 위치로 배치시키기 위해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 화면(511)에 소정 안내가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 유닛은 패턴플레이트(1955)를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유닛은 캘리브레이션 툴(102)에 포함된 패턴플레이트(1955)의 형상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종류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 및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고,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종류에 대응되는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 유닛은 표식(700)의 제1 길이 및 제2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종류가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구별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이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종류를 구별하면,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200)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종류에 부합하는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캘리브레이션 툴(102)이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인 경우,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200) 및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캘리브레이션 툴(102)이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인 경우, 제어 유닛은 사용자에게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조작을 유도하는 안내 메세지가 디스플레이 장치(510) 상의 어플리케이션 화면(51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511)에 표시되는 안내 메세지에 따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조작할 수 있다.
도 15(a)를 예시적으로 참조하면,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 화면(511)에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다이얼을 제1 위치에 위치시키라는 안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다이얼을 제1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 과정이 수행된다. 이후, 도 15(b)를 예시적으로 참조하면,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해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 화면(511)에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다이얼을 제2 위치에 위치시키라는 안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다이얼을 제2 위치에 위치시켜 패턴플레이트를 이동 및/또는 회전시키면,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 과정이 수행된다.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은 다이얼을 통해 패턴플레이트를 복수의 위치(또는 각도)로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 및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었을 때 각각의 툴에 부합하는 스캐너의 동작이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고 신속하게 스캐너 본체(200)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구별하기 위한 다른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에서, 스캐너 본체(2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23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카메라(232a, 232b)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는 적어도 2개 획득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232a, 232b)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들을 기초로 깊이 정보가 획득되며, 즉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적어도 일부의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식(700)을 형성하는 식별 타깃(612)들은 제1 식별 타깃(612a), 제2 식별 타깃(612b), 및 제3 식별 타깃(612c)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패턴플레이트(1955)의 틸팅에 의해,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에 배치된 제1 식별 타깃(612a)의 3차원 위치는 제2 식별 타깃(612b), 및 제3 식별 타깃(612c)에 비해 z축 양의 방향으로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된다. 다른 예시로, 패턴플레이트(1955)의 틸팅에 의해,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에 배치된 제1 식별 타깃(612a)의 3차원 위치는 제2 식별 타깃(612b), 및 제3 식별 타깃(612c)에 비해 z축 음의 방향으로 소정 두께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별 타깃(612)들의 3차원 위치의 선후관계를 기초로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고, 제어 유닛은 캘리브레이션 툴(102)의 종류에 부합하는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오토 캘리브레이션 패턴플레이트(1955, 1955a)가 y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틸팅 형성되고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패턴플레이트(1955, 1955b)가 y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틸팅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틸팅 방향은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의 패턴플레이트(1955, 1955a)가 y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틸팅 형성되고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패턴플레이트(1955, 1955b)가 y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틸팅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제어 유닛이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구별하는 방식은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이 패턴플레이트(1955) 상에 상이한 표식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어 유닛은 상이한 표식 형상을 기초로 스캐너 본체(200)에 결합된 캘리브레이션 툴(102)이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아니면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구별 및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 유닛은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 각각의 패턴플레이트(9155) 상에 형성된 식별 타깃의 형상(식별 타깃의 기울어진 형상, 식별 타깃의 크기 등)을 기초로 스캐너 본체(200)에 결합된 캘리브레이션 툴(102)이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아니면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구별 및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서, 제어 유닛이 스캐닝 툴(101)과 캘리브레이션 툴(102)을 구별/판단하는 과정 및/또는 제어 유닛이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구별/판단하는 과정은 식별 타깃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2차원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미지 처리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언급하거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은, 툴 장착 단계(S110), 툴 착탈 식별 단계(S120), 툴 구별 단계(S130), 및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S140)를 포함한다.
툴 장착 단계(S110)에서, 사용자는 스캐너 본체에 소정 툴을 장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툴 장착 단계(S110)에서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장착되는 툴은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은 일측이 폐쇄되어 외부로부터의 광의 인출을 차단하는 암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툴 장착 단계(S110)에서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장착(결합)되는 툴은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캐닝 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툴 장착 단계(S110)에서 사용자는 기 장착된 툴을 탈거한 후, 탈거된 툴과 상이한 툴을 장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장착된 스캐닝 툴을 탈거하고 캘리브레이션 툴을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장착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사용자는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장착된 캘리브레이션 툴을 탈거하고 스캐닝 툴을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장착할 수 있다.
툴 착탈 식별 단계(S120)에서,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에의 툴의 착탈을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툴의 착탈을 식별하는 착탈 감지 센서의 측정을 기초로, 스캐너 본체에의 툴의 착탈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탈 감지 센서는 근접 센서일 수 있으며, 착탈 감지 센서는 상기 착탈 감지 센서와 스캐너 본체에 결합된 툴 간의 간격을 측정 및 획득할 수 있다.
툴 착탈 식별 단계(S120)에서 스캐너 본체에의 툴의 착탈이 식별되면, 툴 구별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제어 유닛은 툴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툴 구별 단계(S130)에서 제어 유닛이 툴의 종류를 구별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툴 구별 단계(S130)에 의해 제어 유닛이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툴의 종류를 구별한 이후,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S140)에서, 제어 유닛은 구별된 툴의 종류에 대응하여 스캐너 본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툴 구별 단계(S130)에서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툴이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된 경우,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툴 구별 단계(S130)에서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툴이 스캐닝 툴로 구별된 경우,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의 스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중 툴 구별 단계(S130)의 일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중 툴 구별 단계(S13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툴 구별 단계(S130)에서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광학부에 의해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장착된 툴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는 툴 측으로 소정 출력광을 조사하는 프로젝터와 출력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반사광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출력광이 외부에 배치된 대상체(예를 들면, 환자의 구강 내부) 또는 캘리브레이션 툴에 내장된 패턴플레이트에 도달하면, 대상체 또는 패턴플레이트의 표면(또는 내부)로부터 상기 출력광이 반사되어 반사광이 생성되고, 상기 반사광은 스캐너 본체의 일단으로 가이딩되어 카메라의 일 구성인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수용될 수 있다. 수용된 반사광은, 카메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징 보드(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징 보드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에 의해 분석되고 대상체 또는 패턴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툴 착탈 식별 단계(S120)에서 스캐너 본체에의 툴의 장착이 식별되면, 제어 유닛은 프로젝터를 제어하여 스캐너 본체의 내부로부터 툴 측을 향해 소정 출력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단계(S1311)를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출력광은 가시광선 파장 영역의 광일 수 있으나, 반드시 해당 파장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상기 출력광은 프로젝터에 포함된 패턴 생성부(예를 들면, 패턴 마스크 및/또는 DMD)를 통해 생성된 구조광일 수도 있다.
광 조사 단계(S1311)에서 출력광이 조사되면 이미지 데이터 획득 단계(S1312)가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획득 단계(S1312)에서,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카메라는 출력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반사광을 수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2차원 데이터 또는 3차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카메라 모듈이 2 이상의 카메라(예를 들면, L 카메라 및 R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L 카메라 및 R 카메라 각각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면, 툴 결정 단계(S1313)가 수행될 수 있다. 툴 결정 단계(S1313)에서, 제어 유닛은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가 대상체의 형상을 나타내면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툴의 종류를 스캐닝 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가 패턴플레이트의 형상을 나타내면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툴의 종류를 캘리브레이션 툴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 유닛은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툴에 내장된 패턴플레이트의 형상을 판단함으로써 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유닛이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식별 및 판단하는 패턴플레이트의 형상은 패턴플레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타깃들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타깃들은 적어도 하나의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복수의 식별 타깃을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타깃은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식별 타깃은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이격 형성되고,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툴 결정 단계(S1313)에서, 제어 유닛은 복수의 식별 타깃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표식을 기초로 상기 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툴 결정 단계(S1313)에서, 제어 유닛은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 캘리브레이션 타깃 및/또는 식별 타깃이 존재하는 경우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툴 결정 단계(S1313)에서, 제어 유닛은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 표식이 존재하는 경우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결정할 수 있다. 또다른 예시로, 툴 결정 단계(S1313)에서, 제어 유닛은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 존재하는 식별 타깃의 형상, 치수, 또는 표식의 형상, 치수를 기초로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툴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나열된 요소는 예시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 다른 기준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툴을 구별하기 위한 툴 구별 단계(S130)의 다른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중 툴 구별 단계(S130)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이다.
도 16 및 도 18을 참조하면, 툴 구별 단계(S130)에서 제어 유닛은 툴이 스캐너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착탈 감지 센서와 툴 간의 간격을 기초로 툴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간격이 제1 간격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 유닛은 상기 툴을 스캐닝 툴로 구별 및 판단할 수 있고, 상기 간격이 제2 간격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 유닛은 상기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 및 판단할 수 있다. 제1 간격 임계값은 제2 간격 임계값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1 간격 임계값은 제2 간격 임계값보다 크게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에 따라 수행되는 툴 구별 단계(S130)에서, 간격 측정 단계(S1321)가 수행될 수 있다. 간격 측정 단계(S1321)에서, 스캐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착탈 감지 센서는 툴이 상기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장착되었을 때 툴과 스캐너 본체 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착탈 감지 센서로부터 툴의 내면까지의 수직거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툴 결정 단계(S1322)가 수행될 수 있다. 툴 결정 단계(S1322)에서, 제어 유닛은 착탈 감지 센서에 의해 획득한 툴과 스캐너 본체 간의 간격을 기초로 툴의 종류를 감지 및 결정한다. 툴과 스캐너 본체 간의 간격을 기초로 툴의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S140)의 세부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중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S14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도 16 및 도 19를 참조하면, 툴 종류 확인 단계(S141)가 수행될 수 있다. 툴 종류 확인 단계(S141)에서, 제어 유닛은 툴 구별 단계(S130)에서 결정된 툴이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확인할 수 있다.
툴 종류 확인 단계(S141)가 수행된 후,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S142)가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유닛이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감지 및 구별하는 경우, 제어 유닛은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행된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이 툴의 종류를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S143)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S140)에서 스캐너 본체가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캘리브레이션은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특히, 광학부)의 설정 등을 보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툴 종류 확인 단계(S141)에서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툴이 스캐닝 툴로 확인된 경우, 스캔 단계(S144)가 수행될 수 있다.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스캐닝 툴은 사용자가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해 장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은 광학부를 제어하여 스캐너 본체가 대상체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또는 3차원 모델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S143)의 세부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중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S143)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도 16,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 툴이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또는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인지 여부에 따라 캘리브레이션 과정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S143)는 캘리브레이션 툴 확인 단계(S1431)를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툴 확인 단계(S1431)에서, 제어 유닛은 툴 구별 단계(S130) 또는 그 세부 단계인 툴 결정 단계(S1313, S1322)에서 구별, 감지 및/또는 결정된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캘리브레이션 툴은 패턴플레이트가 자동으로 이동 및/또는 회전하는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일 수 있고, 다이얼 레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패턴플레이트를 이동 및/또는 회전시키는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일 수 있다.
한편,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은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툴의 종류를 결정하는 툴 결정 단계(S1313)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블레이션 툴 각각이 가지는 패턴플레이트는 상이한 각도로 틸팅 형성될 수 있다. 패턴플레이트가 상이한 각도로 틸팅 형성됨에 따라 나타나는 식별 타깃의 크기 차이, 식별 타깃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된 소정 표식의 형상 차이(예를 들면, 표식의 제1 길이, 제2 길이, 또는 표식 자체의 전체적인 형상,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패턴플레이트에 포함된 식별 타깃들의 3차원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식별 타깃들의 3차원 위치를 기초로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이 구별될 수도 있다.
툴 구별 단계(S130)에서 제어 유닛이 툴을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하여 캘리브레이션 툴 확인 단계(S1431)에서 제어 유닛이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을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로 확인한 경우,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S1434)가 수행될 수 있다. 스캔 동작 제어 단계(S140) 중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S1434)에서, 제어 유닛은 사용자에게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조작을 유도하는 인스트럭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 유닛은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 화면(511)이 디스플레이 유닛(5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을 조작함으로써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이 진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툴 구별 단계(S130)에서 제어 유닛이 툴을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하여 캘리브레이션 툴 확인 단계(S1431)에서 제어 유닛이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을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로 확인한 경우, 오토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S1433)가 수행될 수 있다. 스캔 동작 제어 단계(S140) 중 오토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S1433)에서, 제어 유닛은 스캐너 본체가 자동으로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스캐너 본체 및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은 전술한 패턴 무빙부에 의해 패턴플레이트가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 진행 과정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및/또는 회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캐너 본체는 자동적으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자동 캘리브레이션 툴에 내장된 패턴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정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 중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S143)는 패턴플레이트 정위치 단계(S1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플레이트 정위치 단계(S1432)에서, 제어 유닛은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S140)의 캘리브레이션 동작(보다 상세하게는, 오토 캘리브레이션 수행 단계(S1433))이 수행되기 이전에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에 내장된 패턴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정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패턴플레이트의 초기 위치 정보는 외부 전자 기기 및/또는 스캐너 본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이 스캐너 본체에 장착되면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패턴플레이트의 위치가 초기 위치에 정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을 통해 스캐너 본체의 정확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드 가능한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은 다중언어로 구성된 문장을 획득하는 동작, 및 다중언어 번역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중언어로 구성된 문장에 포함되는 단어들 각각에 대응하는 벡터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벡터 값들을 목표 언어에 대응하는 벡터 값들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벡터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언어로 구성된 문장을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그리고 기록 매체는 전술한 이점들을 상호 공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이미지 처리 장치 100: 툴
101: 스캐닝 툴 102: 캘리브레이션 툴
200: 스캐너 본체 500: 외부 전자 기기
510: 디스플레이 유닛 610: 타깃
611: 캘리브레이션 타깃 612: 식별 타깃
700: 표식
S110: 툴 장착 단계 S120: 툴 착탈 식별 단계
S130: 툴 구별 단계 S140: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

Claims (30)

  1. 스캐너 본체 일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툴;
    상기 툴이 일단에 결합되는 스캐너 본체; 및
    상기 툴에 대응하여 상기 스캐너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본체는 대상체를 스캔하여 3차원 모델을 획득하는 3차원 스캐너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툴은 일측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캐너 본체를 캘리브레이션하는 캘리브레이션 툴, 및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캐닝 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본체는,
    상기 스캐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툴을 상기 스캐너 본체에 결합시키는 착탈면;
    상기 툴 측을 향하여 소정 출력광을 조사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출력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반사광을 수용하며, 상기 반사광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본체는,
    상기 착탈면에 상기 툴의 착탈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착탈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착탈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툴의 착탈이 식별되면,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출력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카메라가 획득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캐너 본체에 장착된 상기 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형상이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패턴플레이트를 표현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툴의 종류를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하고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패턴플레이트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를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 및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에 대응되는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툴이 상기 스캐너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착탈 감지 센서와 상기 툴 간의 간격을 기초로 상기 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한 경우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툴을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 중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조작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안내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은 상기 스캐너 본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틸팅가능한 패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플레이트는 복수의 타깃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깃들은,
    상기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캘리브레이션 타깃;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이격 형성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복수의 식별 타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별 타깃 중 적어도 일부는 소정 표식(sign)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은 상기 패턴플레이트가 제1 회전방향으로 틸팅 형성된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 및 상기 패턴플레이트가 상기 제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으로 틸팅 형성된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7. 사용자가 스캐너 본체에 소정 툴을 장착하는 툴 장착 단계;
    제어 유닛이 상기 스캐너 본체에의 상기 툴의 착탈을 판단하는 툴 착탈 식별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의 종류를 구별하는 툴 구별 단계; 및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스캐너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툴은 상기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툴, 및 상기 스캐너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캐닝 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툴 착탈 식별 단계에서 상기 툴의 착탈 여부는 상기 스캐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툴을 상기 스캐너 본체에 결합시키는 착탈면에 형성된 착탈 감지 센서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툴 구별 단계는,
    상기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프로젝터로부터 소정 출력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단계;
    상기 스캐너 본체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상기 출력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반사광을 수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 획득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툴의 종류를 결정하는 툴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단계는 상기 툴 착탈 식별 단계에서 상기 툴의 착탈이 식별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툴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툴에 내장된 패턴플레이트의 형상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툴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툴이 상기 스캐너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착탈 감지 센서와 상기 툴 간의 간격을 기초로 상기 툴의 종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24.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을 캘리브레이션 툴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이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하는 캘리브레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툴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패턴플레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타깃들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툴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깃들은,
    상기 스캐너 본체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캘리브레이션 타깃;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이격 형성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타깃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복수의 식별 타깃;을 포함하고,
    상기 툴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식별 타깃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복수의 식별 타깃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된 소정 표식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27.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의 종류를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에서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의 종류를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 중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매뉴얼 캘리브레이션 툴의 조작을 유도하는 안내 메세지가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툴의 종류를 상기 캘리브레이션 툴 중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로 구별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에서 자동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캐너 본체 및 상기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캐너 동작 제어 단계의 상기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오토 캘리브레이션 툴에 내장된 패턴플레이트가 초기 위치에 정위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0220130521A 2021-10-12 2022-10-12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KR20230052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5388 WO2023063714A1 (ko) 2021-10-12 2022-10-12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4839 2021-10-12
KR1020210134839 2021-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246A true KR20230052246A (ko) 2023-04-19

Family

ID=8614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521A KR20230052246A (ko) 2021-10-12 2022-10-12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224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001B1 (ko) 2017-05-17 2019-01-22 주식회사 바텍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001B1 (ko) 2017-05-17 2019-01-22 주식회사 바텍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6407B2 (en) Anatomical surface assessment methods, devices and systems
KR102152921B1 (ko) 구강 스캐너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002649A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three-dimensional geometry of objects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WO2015054281A1 (en) Calibration of 3d scanning device
EP33717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models of three dimensional objects
CN103970369B (zh) 位置检测装置、调整方法以及调整程序
US10571254B2 (en) Three-dimensional shape data and texture information generating system, imaging control program, and three-dimensional shape data and texture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EP3202366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canning an object in three dimensions using color dashed line pattern
US20200038154A1 (en) Combined model scanning and oral cavity scanning apparatus
US9947112B2 (en) Scanning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scanning device
JP2018031747A (ja) 三次元測定装置
WO2015054285A1 (en) Integrated calibration cradle
US20160051134A1 (en) Guidance of three-dimensional scanning device
US20200363527A1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deriving 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deriving program for distance measurement
JP2016048239A (ja) 物体の3d座標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047980B2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control program for distance measurement
JPWO2013161250A1 (ja) ストロ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撮像装置
KR20230052246A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US20160287359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dental three-dimensional surface image
KR20180136987A (ko) 판독장치, 프로그램 및 유닛
US10353070B2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distance measurement method, and distance measurement program
WO2020136969A1 (ja) 測定システム、測定装置、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57078A1 (en) Scanner for dental treatment,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same
JP2017227612A (ja) 三次元測定装置
KR102488096B1 (ko)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