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698A -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698A
KR20230051698A KR1020237009396A KR20237009396A KR20230051698A KR 20230051698 A KR20230051698 A KR 20230051698A KR 1020237009396 A KR1020237009396 A KR 1020237009396A KR 20237009396 A KR20237009396 A KR 20237009396A KR 20230051698 A KR20230051698 A KR 2023005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time interval
time
ad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와타나베
에이사쿠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트 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트 카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트 카이
Publication of KR2023005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답안 작성 방법에 대한 조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 소정의 전자 해답란에 유저가 자필 입력한 궤적의 좌표와 시각의 벡터 데이터인 스트로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답 시간으로서 정의되는 소정의 시간 범위 중, 스트로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을 기입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는 시간 구분부와, 다른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기입 시간 구간의 길이와, 해당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기입 시간 구간의 길이를 비교하는 시간 비교부와,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조언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언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프로그램
본 발명은 전자 해답란에 자필 입력된 스트로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언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학교의 입학시험 문제를 분석하여 출제 문제의 경향을 파악하고, 학생의 성적에 따라, 학교의 입학시험 문제의 출제 영역 경향을 받아들여 어드바이스하는 입시문제 실전연습 분석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입시문제 실전연습 분석 방법에서는, 입시문제를 학교, 연도, 과목, 과목의 문제의 출제 영역마다 나누어 분석하여 학교의 출제 경향을 파악하고, 출제 경향을 가지는 코멘트로 이루어지는 영역별·관점별 어드바이스 데이터베이스를 준비하고, 학생의 시험 성적에 대해 최적의 코멘트를 어드바이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조언한다.
일본 특개 2002-215016호 공보
특허문헌 1을 비롯한 종래기술이 제공하는 조언(어드바이스)은 유저의 학력 부족에 관한 지적이 대부분이며, 답안 작성 방법에 중점을 둔 조언을 할 수 있는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
실제로는, 학력이 거의 같은 두 사람이더라도, 일방은 답안 작성이 뛰어나고, 타방은 답안 작성이 서툴렀기 때문에, 양자의 득점에 큰 차가 나서 합격 여부가 갈라진다고 하는 사례는 일일이 셀 수 없을 정도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답안 작성 방법에 대한 조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는 시간 구분부와, 시간 비교부와, 조언 생성부를 포함한다.
시간 구분부는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 소정의 전자 해답란에 유저가 자필 입력한 궤적의 좌표와 시각의 벡터 데이터인 스트로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답 시간으로서 정의되는 소정의 시간 범위 중, 스트로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을 기입 시간 구간으로 구분한다.
시간 비교부는 다른 유저의 각 문제에게 있어서의 각 기입 시간 구간의 길이와, 해당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기입 시간 구간의 길이를 비교한다.
조언 생성부는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조언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에 의하면, 답안 작성 방법에 대한 조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실시예 1의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스트로크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시간 구분부가 구분하는 각 시간 구간의 정의를 예시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조언 데이터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컴퓨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같은 기능을 가지는 구성부에는 같은 번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 1의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1)는 스트로크 데이터 취득부(11)와, 시간 구분부(12)와, 시간 데이터 기억부(13)와, 시간 비교부(14)와, 정오 데이터 취득부(15)와, 버릴 문제 판정부(16)와, 스트로크 데이터 기억부(17)와, 스트로크 데이터 분석부(18)와, 조언 생성부(19)를 포함한다. 실시예 1의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1)에는, 적당하게 생략할 수 있는 구성 요건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의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1)를 파선 테두리로 둘러싼 범위 내에 존재하는 구성 요건(시간 구분부(12), 시간 비교부(14), 조언 생성부(19))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기억부는 다른 장치의 기억 영역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각 구성부가 메모리를 갖추고 있고, 메모리에 필요한 데이터가 기억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하, 도 2,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여 각 구성 요건의 동작을 설명한다.
<스트로크 데이터 취득부(11)>
스트로크 데이터 취득부(11)는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 소정의 전자 해답란에 유저가 자필 입력한 궤적의 좌표와 시각의 벡터 데이터인 스트로크 데이터를 취득한다(S11). 스트로크 데이터의 예를 도 3에 나타낸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유저가 전자 해답란(21)에 대하여, 예를 들면, 「ax2+bx+c=0」이라고 자필 입력한 스트로크 데이터(211)가 존재한다. 스트로크 데이터(211)는 궤적의 좌표(x, y)와 시각(t)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벡터 데이터(S)={(xq, yq, tq), …, (xr, yr, tr)}로 표시된다.
이 스트로크 데이터(211)가 후에 유저에 의해 삭제된 것이라면, 해당의 스트로크 데이터(211)는 삭제된 데이터(212)로서 고쳐져 기억되게 된다(동 도면의 파선으로 표시한 자필 문자 참조). 삭제된 데이터(212)는 벡터 데이터(D)={(xs, ys, ts), …, (xt, yt, tt)}로 표시된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ax2+bx+c=0」이 삭제되고, 대신에 「(x-a)(x-b)=0」으로 자필 입력되어 이루어지는 스트로크 데이터(213)가 새롭게 생성된다(S'={(xu, yu, tu), …, (xv, yv, tv)}). 해답 종료 시에 전자 해답란에 남아있는 스트로크 데이터를 모두 잔존 데이터로 호칭한다.
<시간 구분부(12)>
시간 구분부(12)는 스텝 S11에서 취득한 스트로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답 시간으로서 정의되는 소정의 시간 범위(예를 들면, 시험 시간 [60분], 시험 시간 [90분] 등이 이것에 해당함) 중, 스트로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사고(思考)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고, 스트로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을 기입 시간 구간으로 구분한다(S12).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간 구분부(12)는 문제 사이를 이동하는 조작과 당해 조작이 행해진 시간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데이터를 취득하고, 당해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 시간 구간을 문제 선택 시간 구간으로서 구분해도 된다. 예를 들면, 대문(大問) 1∼3까지의 시험 문제(시험 시간(T))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 대문 1의 사고 시간 구간(ta∼tb)으로서 구분되어 있는 것은 유저가 대문 1의 문제 문장(또는 대문 1의 해답란)을 열람한 상태이며, 또한 스트로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이 ta∼tb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대문 1의 기입 시간 구간(tc∼td)으로서 구분되어 있는 것은 대문 1의 해답란에 대한 스트로크 데이터(삭제된 데이터, 잔존 데이터의 쌍방을 포함함)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이 tc∼td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또, 문제 선택 시간 구간(tm∼tn)으로서 구분되어 있는 것은 유저가 대문 1의 문제 문장으로부터 대문 2의 문제 문장으로 페이지나 표시 범위를 이동시키는 조작이 행해진 시간 구간이 tm∼tn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시간 데이터 기억부(13)>
시간 데이터 기억부(13)는, 복수의 유저에 대해, 스텝 S12를 실행함으로써 구분된, 각 유저의 각 시간 구간을 기억·축적한다(S13). 예를 들면, 각 시간 구간을 유저의 식별자인 유저 ID와 결부시켜 기억·축적하면 된다.
<시간 비교부(14)>
시간 비교부(14)는 다른 유저의 각 시간 구간(각 문제에 있어서의 사고 시간 구간, 각 문제에 있어서의 기입 시간 구간, 문제 선택 시간 구간)의 길이와, 해당 유저(조언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유저)의 각 시간 구간의 길이를 비교한다(S14). 시간 비교부(14)는 전술의 비교를 행하여, 예를 들면, 「해당 유저의 대문 2의 기입 시간이 다른 유저의 평균과 비교하여 2배 길다」 등의 비교 결과를 생성한다. 비교 결과의 예로서, 예를 들면, 「해당 유저의 대문 3의 사고 시간이 다른 유저의 평균과 비교하여 10분 길다」, 「해당 유저의 문제 선택 시간이 다른 유저의 평균과 비교하여 3분 짧다」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정오 데이터 취득부(15)>
정오 데이터 취득부(15)는 유저가 문제를 푼 결과가 정답이었는지, 또는 오답이었는지, 혹은 부분 정답이었는지의 구별을 나타내는 정오 데이터를 취득한다(S15). 정오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정답=2, 부분 정답=1, 오답=0의 플래그로 해도 되고, 정답=10, 부분 정답=9∼1의 값, 오답=0으로 하여, 스코어 형식으로 해도 된다.
<버릴 문제 판정부(16)>
버릴 문제 판정부(16)는 어떤 문제에 있어서의 해당 유저의 사고 시간 구간 또는 기입 시간 구간이 다른 유저와 비교하여 소정 정도 이상 긴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S14 참조)가 생성된 경우에, 당해 문제를 해당 유저에게 있어서의 버릴 문제로 판정한다(S16).
또한, 버릴 문제 판정부(16)는 어떤 문제에 대한 어떤 유저의 정오 데이터가 오답 혹은 부분 정답을 나타내는 경우(S15 참조)로서, 해당 문제에 있어서의 해당 유저의 사고 시간 구간 또는 기입 시간 구간이 다른 유저와 비교하여 소정 정도 이상 긴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S14 참조)가 생성된 경우에, 당해 문제를 해당 유저에게 있어서의 버릴 문제로 판정하면 보다 적합하다.
<스트로크 데이터 기억부(17)>
스트로크 데이터 기억부(17)는, 복수의 유저에 대해, 스텝 S11을 실행함으로써 취득된 각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스트로크 데이터를 기억·축적한다(S17). 예를 들면, 각 스트로크 데이터를 유저 ID와 문제의 식별자인 문제 ID와 결부시켜 기억·축적하면 된다.
<스트로크 데이터 분석부(18)>
스트로크 데이터 분석부(18)는 해당 유저의 스트로크 데이터와, 동일한 문제에 대한 다른 복수의 유저의 스트로크 데이터의, 잔존 데이터의 양과 삭제된 데이터의 양을 비교하여 해당 유저의 해답이 다른 유저의 해답과 비교하여 어떤 경향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한다(S18). 예를 들면, 스트로크 데이터 분석부(18)는, 「해당 유저의 스트로크 데이터의 총량(잔존 데이터+삭제된 데이터)이 다른 유저의 평균과 비교하여 3배 정도 많다」, 「해당 유저의 스트로크 데이터 중 잔존 데이터는 다른 유저의 평균과 거의 동일하지만, 삭제된 데이터는 다른 유저의 평균과 비교하여 5줄 길다」 등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조언 생성부(19)>
조언 생성부(19)는 상기의 비교 결과, 버릴 문제,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조언 데이터를 생성한다(S19). 조언 생성부(19)가 생성하는 조언 데이터의 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동 도면의 말풍선 내에 나타낸 텍스트가 조언 데이터의 예이다. 비교 결과로서, 예를 들면, 「대문 1의 사고 시간이 다른 학습자와 비교하여 5분 깁니다」, 「대문 3의 기입 시간이 다른 학습자와 비교하여 10분 짧습니다」, 「문제 선택 시간이 다른 학습자와 비교하여 절반 이하입니다. 어느 문제라면 해답할 수 있을 것 같은지, 처음에 잘 보고나서 해답을 시작합시다」 등의 텍스트가 생각된다.
버릴 문제로서, 예를 들면, 「대문 1의 기입 시간이 다른 학습자와 비교하여 15분 깁니다. 또 스코어도 부분 점수(1/10)만 획득했으므로, 이 문제는 버릴 문제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대문 1의 기입 시간이 다른 학습자의 1.5배 깁니다. 또 오답(부분 점수 없음)이었으므로, 이 문제는 버릴 문제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등의 텍스트를 생각할 수 있다.
분석 결과로서, 예를 들면, 「대문 2는 여기까지 쓰지 않아도 감점되지 않습니다. …」, 「대문 2의 해답은 필요한 기재가 부족하기 때문에 감점되었습니다. …」 등의 텍스트를 생각할 수 있다.
<보충>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 들면, 단일의 하드웨어 엔터티로서 키보드 등이 접속 가능한 입력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접속 가능한 출력부, 하드웨어 엔터티의 외부로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예를 들면, 통신 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통신부,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시 메모리나 레지스터 등을 갖추고 있어도 됨), 메모리인 RAM이나 ROM, 하드 디스크인 외부 기억 장치 및 이것들의 입력부, 출력부, 통신부, CPU, RAM, ROM, 외부 기억 장치 사이의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접속하는 버스를 가지고 있다. 또 필요에 따라, 하드웨어 엔터티에, CD-ROM 등의 기록 매체를 읽기·쓰기할 수 있는 장치(드라이브)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하드웨어 자원을 갖춘 물리적 실체로서는 범용 컴퓨터 등이 있다.
하드웨어 엔터티의 외부 기억 장치에는, 상기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의 처리에 있어서 필요하게 되는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외부 기억 장치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로그램을 읽기 전용 기억 장치인 ROM에 기억시켜 두는 것으로 해도 됨). 또, 이들 프로그램의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 등은 RAM이나 외부 기억 장치 등에 적당하게 기억된다.
하드웨어 엔터티에서는, 외부 기억 장치(혹은 ROM 등)에 기억된 각 프로그램과 이 각 프로그램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가 필요에 따라 메모리에 읽어들여지고, 적당하게 CPU에서 해석 실행·처리된다. 그 결과, CPU가 소정의 기능(상기 …부, …수단 등으로 표시한 각 구성 요건)을 실현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실행될 뿐만 아니라,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의 처리 능력 혹은 필요에 따라 병렬적으로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전술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엔터티(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 하드웨어 엔터티가 가져야 할 기능의 처리 내용은 프로그램에 따라 기술된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하드웨어 엔터티에 있어서의 처리 기능이 컴퓨터상에서 실현된다.
상기의 각종 처리는, 도 6에 도시하는 컴퓨터의 기록부(10020)에, 상기 방법의 각 스텝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읽어들이게 하고, 제어부(10010), 입력부(10030), 출력부(10040) 등에 동작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 기록 장치, 광디스크, 광자기 기록 매체, 반도체 메모리 등 어떤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 기록 장치로서 하드 디스크 장치, 플렉시블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을, 광디스크로서 DVD(Digital Versatile Disc), DVD-RAM(Random Access Memory),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Recordable)/RW(ReWritable) 등을, 광자기 기록 매체로서 MO(Magneto-Optical disc) 등을, 반도체 메모리로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Read Only Memor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프로그램의 유통은, 예를 들면,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DVD, CD-ROM 등의 휴대형 기록 매체를 판매, 양도, 대여 등 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서버 컴퓨터의 기억 장치에 저장해두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로 그 프로그램을 전송함으로써, 이 프로그램을 유통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예를 들면, 우선, 휴대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혹은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일단, 자기의 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그리고, 처리의 실행 시, 이 컴퓨터는 자기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읽어낸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또, 이 프로그램의 다른 실행 형태로서, 컴퓨터가 휴대형 기록 매체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그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또한, 이 컴퓨터에 서버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이 전송될 때마다, 차례차례, 수취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서버 컴퓨터로부터, 이 컴퓨터로의 프로그램의 전송은 행하지 않고, 그 실행 지시와 결과 취득만에 의해 처리 기능을 실현하는, 소위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형의 서비스에 의해, 상기의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의 프로그램에는, 전자계산기에 의한 처리의 용도로 제공하는 정보로서 프로그램에 준하는 것(컴퓨터에 대한 직접적인 지령은 아니지만 컴퓨터의 처리를 규정하는 성질을 가지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 형태에서는, 컴퓨터상에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하드웨어 엔터티를 구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들의 처리 내용의 적어도 일부를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Claims (13)

  1.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 소정의 전자 해답란에 유저가 자필 입력한 궤적의 좌표와 시각의 벡터 데이터인 스트로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트로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을 기입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는 시간 구분부와,
    다른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기입 시간 구간의 길이와, 해당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기입 시간 구간의 길이를 비교하는 시간 비교부와,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조언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구분부는
    해답 시간으로서 정의되는 소정의 시간 범위 중, 상기 스트로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사고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시간 비교부는
    다른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사고 시간 구간의 길이와, 해당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사고 시간 구간의 길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구분부는
    문제 사이를 이동하는 조작과 당해 조작이 행해진 시간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데이터를 취득하여, 당해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 시간 구간을 문제 선택 시간 구간으로서 구분하고,
    상기 시간 비교부는
    다른 유저의 상기 문제 선택 시간 구간의 길이와, 해당 유저의 상기 문제 선택 시간 구간의 길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어떤 문제에서의 해당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사고 시간 구간 또는 각 문제에서의 각 기입 시간 구간이 다른 유저와 비교하여 소정 정도 이상 긴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가 생성된 경우에, 당해 문제를 해당 유저에 있어서의 버릴 문제로 판정하는 버릴 문제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언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더하여, 상기 버릴 문제를 표시하는 조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상기 문제를 푼 결과가 정답이었는지, 또는 오답이었는지, 혹은 부분 정답이었는지의 구별을 나타내는 정오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오 데이터 취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릴 문제 판정부는
    어떤 문제에 대한 어떤 유저의 상기 정오 데이터가 오답 혹은 부분 정답을 나타내는 경우로서, 해당 문제에 있어서의 해당 유저의 상기 사고 시간 구간 또는 상기 기입 시간 구간이 다른 유저와 비교하여 소정 정도 이상 긴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가 생성된 경우에, 당해 문제를 해당 유저에게 있어서의 버릴 문제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유저의 스트로크 데이터와, 동일한 문제에 대한 다른 복수의 유저의 스트로크 데이터의, 잔존 데이터의 양과 삭제된 데이터의 양을 비교하여 해당 유저의 해답이 다른 유저의 해답과 비교하여 어떤 경향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스트로크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언 생성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더하여,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조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7.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 소정의 전자 해답란에 유저가 자필 입력한 궤적의 좌표와 시각의 벡터 데이터인 스트로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답 시간으로서 정의되는 소정의 시간 범위 중, 상기 스트로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구간을 기입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는 시간 구분 스텝과,
    다른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기입 시간 구간의 길이와, 해당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기입 시간 구간의 길이를 비교하는 시간 비교 스텝과,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조언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언 생성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구분 스텝은
    해답 시간으로서 정의되는 소정의 시간 범위 중, 상기 스트로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구간을 사고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시간 비교 스텝은
    다른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사고 시간 구간의 길이와, 해당 유저의 각 문제에 있어서의 각 사고 시간 구간의 길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구분 스텝에서,
    문제 사이를 이동하는 조작과 당해 조작이 행해진 시간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데이터를 취득하고, 당해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 시간 구간을 문제 선택 시간 구간으로서 구분하고,
    상기 시간 비교 스텝에서,
    다른 유저의 상기 문제 선택 시간 구간의 길이와, 해당 유저의 상기 문제 선택 시간 구간의 길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어떤 문제에 있어서의 해당 유저의 상기 사고 시간 구간 또는 상기 기입 시간 구간이 다른 유저와 비교하여 소정 정도 이상 긴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가 생성된 경우에, 당해 문제를 해당 유저에게 있어서의 버릴 문제로 판정하는 버릴 문제 판정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조언 생성 스텝에서,
    상기 비교 결과에 더하여, 상기 버릴 문제를 표시하는 조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상기 문제를 푼 결과가 정답이었는지, 또는 오답이었는지, 혹은 부분 정답이었는지의 구별을 나타내는 정오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오 데이터 취득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버릴 문제 판정 스텝에서,
    어떤 문제에 대한 어떤 유저의 상기 정오 데이터가 오답 혹은 부분 정답을 나타내는 경우로서, 해당 문제에 있어서의 해당 유저의 상기 사고 시간 구간 또는 상기 기입 시간 구간이 다른 유저와 비교하여 소정 정도 이상 긴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가 생성된 경우에, 당해 문제를 해당 유저에게 있어서의 버릴 문제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당 유저의 스트로크 데이터와, 동일한 문제에 대한 다른 복수의 유저의 스트로크 데이터의, 잔존 데이터의 양과 삭제된 데이터의 양을 비교하여 해당 유저의 해답이 다른 유저의 해답과 비교하여 어떤 경향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스트로크 데이터 분석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조언 생성 스텝에서,
    상기 비교 결과에 더하여,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조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13. 컴퓨터를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237009396A 2020-09-29 2021-08-30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프로그램 KR202300516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3301 2020-09-29
JP2020163301A JP7145919B2 (ja) 2020-09-29 2020-09-29 助言データ生成装置、助言データ生成方法、プログラム
PCT/JP2021/031716 WO2022070719A1 (ja) 2020-09-29 2021-08-30 助言データ生成装置、助言データ生成方法、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698A true KR20230051698A (ko) 2023-04-18

Family

ID=8095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396A KR20230051698A (ko) 2020-09-29 2021-08-30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98478A1 (ko)
EP (1) EP4224458A1 (ko)
JP (1) JP7145919B2 (ko)
KR (1) KR20230051698A (ko)
CN (1) CN116324931A (ko)
WO (1) WO202207071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016A (ja) 2001-01-18 2002-07-31 Eikoh Inc 入試問題演習分析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用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0736B2 (ja) * 2017-03-30 2021-07-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学習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567597A1 (en) * 2018-05-11 2019-11-13 Anoto Korea Corp. Method and apparatus of diagnostic test
JP7163648B2 (ja) * 2018-07-17 2022-11-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016A (ja) 2001-01-18 2002-07-31 Eikoh Inc 入試問題演習分析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用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24931A (zh) 2023-06-23
US20230298478A1 (en) 2023-09-21
JP7145919B2 (ja) 2022-10-03
EP4224458A1 (en) 2023-08-09
JP2022055718A (ja) 2022-04-08
WO2022070719A1 (ja)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Cray et al. Investigating the construct measured by banked gap-fill items: Evidence from eye-tracking
Molina-Azorin et al. Mixed methods in the organizational sciences: Taking stock and moving forward
Armstrong et al. The subjectivity problem: Improving triangulation approaches in metaphor analysis studies
Cassidy et al. Developing the computer user self-efficacy (CUSE) scal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 self-efficacy, gender and experience with computers
Moss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developmental mathematics by embedding a randomized experiment within a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Heck et al.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school achievement: Validation of a causal model
US6688888B1 (en) Computer-aided learning system and method
Moss Reconstructing validity
US6139330A (en) Computer-aided learning system and method
Parodi Genre organization in specialized discourse: Disciplinary variation across university textbooks
Bernhard-Skala Organisational perspectives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from a German-speaking perspective
Bond et al. A meta systematic review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igher education: a call for increased ethics, collaboration, and rigour
Spybrook et al. Learning from cluster randomized trials in education: An assessment of the capacity of studies to determine what works, for whom, and under what conditions
Bligh et al. Comparing leaders across contexts, culture, and time: Computerized content analysis of leader–follower communications
Şahan et al. Do experience and text quality matter for raters’ decision-making behaviors?
Nichols The first 20 years: A content analysis of the Journal of Music Teacher Education, 1991–2011
Brandle It’s (not) in the reading: American government textbooks’ limited representation of historically marginalized groups
Yu et al. Some roads lead to psychology, some lead away: College student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y major choice
Simula Book review: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Barral et al. Effect of adaptive guidance and visualization literacy on gaze attentive behaviors and sequential patterns on magazine-style narrative visualizations
Nieznański Generation difficulty and memory for source
Charzyńska et al.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Polish formula of text difficulty
KR20230051698A (ko) 조언 데이터 생성 장치, 조언 데이터 생성 방법, 프로그램
Kyle et al. Register variation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use across technology-mediated and non-technology-mediated learning environments
MacLeod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nonverbal, co-verbal, and verbal string ensemble instruction: Student, teacher, and observer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