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548A - 전자 안경에 적합한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안경 - Google Patents

전자 안경에 적합한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548A
KR20230051548A KR1020237008875A KR20237008875A KR20230051548A KR 20230051548 A KR20230051548 A KR 20230051548A KR 1020237008875 A KR1020237008875 A KR 1020237008875A KR 20237008875 A KR20237008875 A KR 20237008875A KR 20230051548 A KR20230051548 A KR 20230051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nector
compressible
flexible cable
connect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나 코메코바
파레쉬 리메이
필립 에켈스
도르페 루카스 재키 피. 반
필립 매든
팀 루이첸스
Original Assignee
모로우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로우 엔.브이. filed Critical 모로우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23005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3Electroopt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1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an electro-optical light val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8Cellular lens su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제어 유닛, 및 전자 안경용 전기활성 렌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 사이에 전자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전기활성 렌즈는 둘레 림을 가지며, 이 둘레 림을 따라 전기활성 컴포넌트와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는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이 배치되고, 커넥터는 제어 유닛에 접속되고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케이블, 렌즈의 둘레 림과 가요성 케이블 사이에 배치되어 노출된 접촉 영역과 접속부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렌즈와 프레임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및 적어도 가요성 케이블의 전도성 접속부 및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실링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안경에 적합한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안경
본 개시는 전자 안경용 전기활성 렌즈에 배치되는 제어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전자 안경"은 전자장치가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된 모든 안경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된 많은 유형의 전자 안경이 이용가능하다. 이들 안경 중 일부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프레임에 단순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른 것에서는 전자 디바이스는 안경 기능에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보고 있는 것을 사진촬영 또는 동영상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통합된 안경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전자 안경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안경의 렌즈와 상호작용한다. 예를 들면, 좌측 렌즈 및 우측 렌즈가 교대로 차단되는 '액티브' 3D 안경 및 광 투과를 조정할 수 있는 렌즈 등의 다른 유형의 전기활성 렌즈의 경우가 그것이다. 본 개시는 특히 렌즈 중 적어도 하나가 프레임 내의 제어 전자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유형의 전자 안경에 집중한다.
대부분의 기존의 전자 안경에서 전자장치는 프레임의 전방 부분의 양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전원은 일측에 그리고 제어 전자장치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전력 이송을 위해 그리고 많은 경우에 정보 이송을 위해 접속 케이블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경우 이러한 케이블은 프레임의 전방 부분을 따라 또는 전방 부분을 통해 몇가지 방법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더욱이, 전자장치와 렌즈(들) 내의전기광학 컴포넌트(들) 사이에 어떤 종류의 전기 접속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오늘날의 소비자는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므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서 방수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습기 침입의 가능성이 높은 실외 활동과 같은 사용 목적에 따라 베이직 스플래시 리지스턴스(basic splash-resistance; IPX4) 및 단시간 침수에 대한 보호(IPX7)가 점점 더 표준이 되고 있다. 특히 아이웨어(eyewear)에서 방수는 매우 중요하다. 실외에서 사용되는 것에 더하여 안경은 본질적으로 오물(먼지 및 유지) 및/또는 땀에 노출된다. 아이웨어에서 좋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매일 아이웨어를 세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적절한 세정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최소 IPX4 레벨의 방수가 필요하다.
많은 기존의 전자 안경에서, 프레임은 특정 용도에 맞게 설계되며, 모든 전자장치 및 커넥터를 수용하는 잘 맞춰진 공동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이들 공동은 프레임 상에 나사체결 및/또는 접착될 수 있는 추가의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 커버로 실링된다. 필요한 레벨의 방수를 제공하기 위해, 커버는 내습성 접착제 또는 수지로 단단하게 그리고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기존의 시스템은 다른 용도나 심지어 약간 다른 렌즈에 대해 유연성이 없고 전자장치를 교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몇 가지 결점이 있다.
더욱이, 많은 기존의 전자 안경에서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를 사용하여 렌즈와 프레임 내의 전자장치 사이의 거리를 브릿지한다. 렌즈 내의 전기광학 컴포넌트는 통상적으로 직접 납땜에 의해 FPC에 접속되지만, 이동 가능한 FPC가 얇고 취약한 접속을 쉽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접속이 되지 않는다. 이는 충격, 낙하로 인해, 또는 조립 중의 취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처방 안경의 경우는 각각의 안경이 각각의 소비자에 대해 개인화되어야 하므로 추가의 과제가 있다. 처방(이는 안경 곡률 및 연부 두께를 결정함) 뿐만 아니라 피팅(fitting; 눈동자 사이의 거리로 지정되는 눈동자의 위치 및 피팅 높이)도 소비자마다 다르다. 이러한 모든 규격은 에지드 렌즈(edged lens)의 최종 두께에 그리고 이에 따라 콘텍트의 위치에 영향을 준다.
상기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를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할 때 많은 과제가 있다. 첫째는 프레임이 전자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조정되어야 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특정의 전자 디바이스의 통합에만 적합한 프레임, 바람직하지 않은 부피, 및/또는 매력 없는 미적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두번째 과제는,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들) 내의/렌즈(들) 상의 접촉점의 위치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는 경우의 처방 안경의 관점에서, 제어 전자장치와 렌즈(들) 내의 전기광학 컴포넌트(들) 사이의 견고한 전기 접속을 확보하는 것이다. 세번째 과제는 전자 디바이스가 습기 침입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보호되는 것이지만 동시에 이 전자 디바이스를 교체할 수 있거나 이 전자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이들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는 것이다.
문서 US 2020/0225511 A1는 전기활성 렌즈를 장착할 수 있는 상부 림 부분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안경을 개시하고 있다. 이 문서에 기재된 실시례들 중 하나에서 프레임에 부착되는 전기활성 렌즈의 반경방향 둘레의 주위에 개스킷이 제공된다. 이 개스킷은 유연한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전기활성 렌즈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스킷 내에 이 개스킷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물리적으로 유연한 전도성 재료를 수용하는 구멍이 제공된다. 그러나, 도체는 개스킷의 외측에 배치되고, 구멍의 위치에서만 도체는 물리적으로 유연한 전도성 재료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은 여전히 습기의 침입에 대해 적절히 보호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유닛과 전자 안경, 특히 전기활성 렌즈가 둘레 림을 가지며 이 둘레 림을 따라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이 배치되어 전기광학 컴포넌트와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는 전자 안경용 전기활성 렌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 커넥터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인쇄 회로(PCB)를 포함하는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하며, 이 가요성 케이블은 제어 유닛의 일부에 접속되도록 및/또는 제어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이 렌즈의 둘레 림과 가요성 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노출된 접촉부와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가요성 케이블이 전자 안경의 프레임에 그리고 전기활성 렌즈의 둘레 림 상에 설치될 때, 압축가능 커넥터는 렌즈와 프레임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가 렌즈 상에 설치될 때, 가요성 케이블의 적어도 전도성 부분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실링 유닛이 또한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FPC를 포함하거나 FPC로 구성되는 가요성 케이블을 접속부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이 분야에서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접속부와 렌즈 내의 전기광학 컴포넌트(들) 사이의 전기 접속은, 예를 들면, 직접 납땜을 사용하여 고정된 것이며, 이것은 가요성 케이블의 이동 및/또는 변형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급격한 이동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속은 습기로부터 적절히 보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이들 문제를 모두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첫째, 커넥터 모듈이 압축가능하다는 사실은 이것이 충격에 대해 탄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다양한 방법(이것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것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한 전기 접속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압축가능 커넥터는, 가요성 케이블이 전자 안경의 프레임 및 전기활성 렌즈의 둘레 림 상에 설치될 때, 렌즈와 프레임 사이에서 압축되므로 가요성 케이블과 전기활성 렌즈의 둘레 림 사이의 공간은 완전히 채워지고, 이는 이미 특정 수준의 습기 보호를 제공할 수 있고, 노출된 접촉 영역과 산소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산화를 회피/최소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접 납땜에 의해 달성되는 것 등의 고정형 접촉보다는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사용하는 것은, 특정의 실시형태에서, 커넥터의 매우 정밀한 위치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견고한 전기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동일한 전자 안경용 커넥터를 다양한 위치의 노출된 접촉 영역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의 크기 및 형상은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의 전체 접촉 영역을 동시에 덮을 수 있는 정도이다. 이로 인해 모듈 및 커넥터의 전체의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당히 단순한 실링 유닛으로 원하는 내습성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압축되었을 때, 반동 또는 탄성 복원되는 경향이 있다는 의미에서 탄성적이다. 이로 인해 프레임과 렌즈 사이에 위치되었을 때 이것이 가능한 최대의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고, 이는 렌즈와 프레임 사이의 공간, 특히 렌즈의 둘레 림 상의 노출된 접촉 영역과 가요성 케이블 상의 접속부 사이의 공간에 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 및/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커넥터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와 전기활성 렌즈의 각각의 노출된 접촉 영역 사이에 전기 컨덕턴스(conductance)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두께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 평면에서 전기 절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두께 방향'은 z 방향으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다양한 요소들이 적층되는 방향이고, 커넥터가 렌즈 상에 배치되었을 때, 렌즈의 둘레 림에 수직인 방향이고, 따라서 전자 안경의 전체를 통해 일정하지 않는 반경임에 주의한다. 두께 방향 또는 z 방향은 또한 가요성 케이블의 표면에 대체로 수직이며, 이 표면은 x-y 평면으로 기술될 수 있다.
z 방향으로만 전도성이 이러한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가지면 가요성 케이블의 각각의 접속부가 노출된 접촉 영역의 관련된 것에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접속부가 노출된 접촉 영역의 모든 다른 것으로부터는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절연될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와 명시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전기활성 렌즈의 노출된 접촉 영역 사이에 '크로스토크(cross-talk)'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렌즈 연부의 각각의 접촉 영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별개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이 사용되고,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가 z 방향으로만 각각의 노출된 접촉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요성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즉, 가요성 케이블은 전기 접속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노출된 접촉 영역의 상부/위에 직접 배치된다. 다른 한편 압축성 커넥터 모듈의 정확한 위치결정은 압축성 커넥터 모듈의 일부가 각각의 접촉 영역/접속부 쌍 사이에 존재하는 한 관련성이 더 적다.
이들 전도성 특성은, 예를 들면, 고무 또는 탄성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교대로 배치된 전도성 영역과 절연성 영역을 포함하는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 이러한 유형의 탄성중합체 압축가능 커넥터는 ZEBRA®라는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의 각각의 접촉 영역에 대하여 복수의 압축가능 커넥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접촉 영역/접속부 쌍 사이의 절연은 상이한 커넥터들 사이에 제공된 실링 유닛 또는 다른 절연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2 가지 옵션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의 경우 복수의 압축가능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가 z 방향으로만 전도성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ZEBRA® 탄성중합체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the 압축성 커넥터 모듈은 표면 장착 디바이스(SMD), 예를 들면, 전도성 막으로 피복된 실리콘 고무 코어를 갖는 SM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TC Micro Tech Components GmbH에 의해 제조된 SMD 타입 W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압축가능 커넥터는, 가요성 케이블이 전자 안경의 프레임에 설치될 때, 두께 방향으로 0.2 mm - 5 mm, 바람직하게는 0.5. mm - 2.5 mm에 걸쳐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용도, 선택된 프레임, 원하는 내습성의 수준 등에 따라 상이한 압축 허용오차 및 선택적으로 상이한 탄성이 필요할 수 있다.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노출된 접촉 영역들과의 직접 접촉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과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커넥터가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직접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적어도 하나의 접속 요소는 노출된 접촉 영역과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노출된 접촉 영역을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적어도 하나의 접속 요소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이것은 전기활성 렌즈의 노출된 접촉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도포될 도전성 접착제 재료, 예를 들면, Ag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도전성 접착제 재료는 렌즈의 둘레 림 상의 노출된 접촉 영역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층으로서 도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접속 요소는 전기활성 렌즈의 노출된 접촉 영역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되는 전도성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전도성 요소는, 특히 전도성 테이프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경우, 또는 다른 방법으로 층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예를 들면, 복수의 접촉 영역 중 하나의 접촉 영역을 덮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접속 요소는 z 방향으로만, 즉 그 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만 도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하는 전도성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접속 요소는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와 전기활성 렌즈의 노출된 접촉 영역 사이의 두께 방향으로의 전기적 상호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전도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입자는 접속 부분의 평면에서 전기 절연될 접속 부분에 대하여 충분히 이격되어 있다.
커넥터는 전술한 접속 요소와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접속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추가의 접속 요소는, 예를 들면, 가요성 인쇄 회로(FP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접속 요소 자체가 가요성 인쇄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추가의 접속 요소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과 전기활성 렌즈(들) 내의 전기광학 컴포넌트(들) 사이에 전기 접속을 확보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요소가 습기로부터 보호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이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를 달성하는 역할을 한다. 적어도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와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실링 유닛은 더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도와준다.
물론 실링 유닛의 세부사항은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의 세부사항 및 커넥터의 다른 요소의 세부사항에 의존한다. 실시형태에서, 실링 유닛은 가요성 하우징을 포함하고, 커넥터가 렌즈 상에 설치될 때, 가요성 하우징은, 렌즈와 함께, 적어도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노출된 접촉 영역, 그리고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가요성 케이블의 추가의 부분 및/또는 접속 요소 또는 접속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위한 방수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한다. 가요성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 예를 들면, 실리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가요성 하우징은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하우징 요소 및 제 2 하우징 요소 및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위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제 2 하우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 요소는 적어도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를 더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2(또는 선택적으로 제 1) 하우징 요소는, 존재하는 경우, 다른 접속 요소 또는 요소들을 수용할 수도 있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재료 특성은 동일할 수 있으나, 유리하게는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이 제 2 하우징보다 더 튼튼하며, 즉 압축성이 약간 더 적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 요소는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과 함께 사전 조립되어 제공될 수 있는 개스킷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이 2 개 이상의 압축가능 커넥터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 유리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제 1 하우징은, 습기로부터 보호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압축가능 커넥터를 서로 특정 거리에 정위치에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일부의 실시형태에서는 압축가능 커넥터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스킷 형의 제 1 하우징 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유리할 수 있다.
습기로부터 보호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실링 유닛은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습기로부터의 보호는, 바람직하게는,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노출된 접촉 영역, 및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접속 요소 또는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환경으로부터 실링하도록 실링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위에서 설명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안경과 더욱 관련된다. 특히, 전자 안경은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 - 이 전기활성 렌즈는 전기광학 요소 및 렌즈의 둘레 림을 따라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접촉 영역은 전기광학 요소와 접속하는 접촉 단자를 포함함- ;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의 전기광학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제어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의 전기광학 요소 사이에 전자 접속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 접촉 단자는 스크린 인쇄된 전도성 라인, 예를 들면, Ag 라인 또는 투명 재료로 제조된 라인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 라인은 접촉 영역을 전기활성 렌즈의 투명 전극들 중 각각의 하나에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는 가요성 케이블이 프레임 내에 및/또는 프레임을 따라 설치되도록 배치되고,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렌즈와 프레임 사이에서 압축된다.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에 직접 적용될 수 있거나, 커넥터의 접속 요소가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이 접속 요소는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과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실제로 임의의 추가의 부착 수단을 필요로 함이 없이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커넥터 또는 이것의 요소들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는 조정가능한 광 투과를 위해 배치된다.
기술된 커넥터가 특히 유리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는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및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 -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및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은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함 -;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 및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에 접속되는 프레넬 렌즈 구조 등의 회절 렌즈 구조; 및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과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 사이의 실링된 공동을 포함하고, 실링된 공동 내에는 액정(LC) 재료(바람직하게는 네마틱 액정 재료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음)의 적어도 LC 층이 배치되고, 액정(LC) 재료 내의 액정은 대체로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제어 유닛은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 및/또는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기활성 렌즈의 광학 파워를 변경하고, 이로 인해 LC 층의 굴절률을 횡방향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접촉 영역은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 및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의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전기활성 렌즈(들)의 둘레 림을 따라 전기광학 컴포넌트(들)과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는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는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 및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이 연장하는 둘레의 베벨형 연부를 포함하고(또는 적어도 전도성 라인이 베벨형 연부 내로 연장할 수 있고, 이 전도성 라인은 전기활성 렌즈의 각각의 투명한 전도성 층, 예를 들면, 인듐 주석 산화물(ITO) 층임), 베벨형 연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노출된 접촉 영역이 형성된다. 이 부분은 반경방향 내향으로 제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본질적으로 평탄한 노출된 접촉 영역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 부분은, 예를 들면, 베벨형 연부의 양측면 중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 또는 개구를 천공함으로써 축방향 내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접촉 영역에의 접속을 더 쉽게 하기 위해, 전도성 접착제, 예를 들면, Ag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전자 안경은 가요성 케이블과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사이에 기계적인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내의 클램핑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과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바람직하게는 해방가능한 방법으로 부착하기 위해 다른 메커니즘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의 세부사항, 장점 및 특징은 이하의 본 개시의 여러 가지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설명세서 첨부된 도면이 참조된다.
도 1은 청구된 커넥터가 적절할 수 있는 전자 안경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2는 조립된 상태의 도 1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해된 실시형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 내지 도 3의 분해된 실시형태의 상이한 관점에서 본 상세도이고;
도 5는 분해된 상태에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와 다른 커넥터를 사용하는 전자 안경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조립된 상태의 도 5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6b는 도 6a에 표시된 A-A 선을 따라 절단한 상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안경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8은 확장되도록 구성된 그루브의 일부의 상세한 배면도이고;
도 7c는 추가의 그루브 부분, 템플 부분의 각각의 후크형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 및 안경의 전방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 커버를 구비한 도 7a 및 도 7b의 실시형태와 유사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9a 내지 도 9f는 렌즈의 일부와 함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실시형태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며; 도 9a 및 도 9c는 상이한 각도의 분해된 상태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9b는 렌즈의 둘레 림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9d 내지 도 9f는 상이한 관점으로부터의 조립된 상태의 이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각각 측면도,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조립의 다양한 단계에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10a는 완전한 커넥터를 도시하고;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여기서 도 11a는 2개의 압축가능 커넥터를 도시하고, 도 11b는 실링 유닛의 일부를 형성하는 개스킷/하우징을 도시하고, 도 11c는 가요성 인쇄 회로(PCB)와 조립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1d는 도 11c에 도시된 조립된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적절할 수 있는 노출된 접촉 영역을 제공하도록 전자 안경의 전기활성 렌즈를 구성할 수 있는 2 가지 가능한 방법을 도시하고;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양한 조립 단계에서의 커넥터 및 전자 안경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며: 도 13a는 노출된 접촉 영역을 갖도록 구성된 전기활성 렌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3b는 이 렌즈 및 렌즈 상에 배치된 접속 요소를 도시하고; 도 13c는 접속 요소 상에 배치된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더 도시하고; 도 13d는 가요성 케이블을 더 도시하고; 도 13e는 실링 유닛을 더 도시하고;
도 14는 도 13a 내지 도 13e의 실시형태의 렌즈의 둘레 림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목적으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개념은 이들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없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는 주지의 구조 및 디바이스는 본 개시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포괄적으로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형("a", "an", 및 "the")은 문맥이 명확하게 다른 것을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청구항은 임의의 요소를 배제하도록 초고를 작성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므로, 이 진술은 청구항 요소의 열거 또는 부정적인 한정의 사용에 관련하여 "단지", "만" 등과 같은 배타적인 용어를 사용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기능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더욱이,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유사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순서 또는 연대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용어는 적절한 상황 하에서 교환가능하고,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거나 예시된 것 이외의 순서로 작용할 수 있다.
더욱이,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상, 하, 위, 아래 등의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서 사용되며 반드시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적절한 상황 하에서 교환가능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거나 예시된 것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개시를 읽으면 당업자에게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 및 예시된 개별 실시형태의 각각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다른 여러 가지 실시형태의 특징들과 쉽게 분리 또는 조합될 수 있는 개별 컴포넌트 및 특징을 갖는다. 열거된 임의의 방법은 열거된 사건의 순서로 또는 논리적으로 가능한 임의의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은 아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안경 프레임 내에 전자 디바이스를 통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커넥터는 이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지 않은 (또는 제조될 수 없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안경 프레임 내에 전자 디바이스를 통합하는 방법은 전방 부분, 제 1 템플 및 제 2 템플을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 - 상기 템플은 전방 템플 부분 및 후방 템플 부분을 포함하고, 전방 템플 부분의 일단부는 전방 부분의 일측에 부착되고, 전방 템플 부분의 타단부는 각각의 후방 템플 부분에 부착되고, 이로 인해 전방 템플 부분 및 후방 템플 부분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제 1 전방 템플 부분은 제 1 공동을 가지며, 제 2 전방 템플 부분은 제 2 공동을 가지며, 전방 부분은 제 1 전방 템플 부분의 제 1 공동과 제 2 전방 템플 부분의 제 2 공동 사이에서 연장하는 그루브를 가짐 -; 제 1 디바이스 부분, 제 2 디바이스 부분, 제 1 디바이스 부분과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케이블, 및 각각의 컴포넌트가 전기활성 컴포넌트인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 실링 요소를 포함하는 폐쇄 수단을 제공하는 것; 및 전자 디바이스를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 1 디바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공동에 배치되고, 제 2 디바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공동에 배치되고, 가요성 케이블은 그루브에 배치되고, 폐쇄 수단은 전자 디바이스가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호되도록 전자 디바이스를 확실하게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커넥터는 유리하게는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이다.
전기광학 컴포넌트는 (바람직하게는) 전기활성 렌즈, 또는 LED, VCSELS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일 수 있다. 가요성 케이블은 그루브 내에 배치되고, 폐쇄 수단은 전자 디바이스가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호되도록 전자 디바이스를 확실하게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실링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링 요소의 형상은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 가요성 케이블을 내장하는 그루브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케이블이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가요성 케이블을 내장하고 있는 그루브의 실링이 더 쉬워진다. 실링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탄성 재료는 압축가능하지만 또한 압축된 후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실링 요소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링 요소를 전방 부분 내에 또는 전방 부분 상에, 예를 들면, 프레임에 제공된 그루브 내에 클램핑함으로써 안경 프레임의 전방 부분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제 1 템플 부분의 제 1 공동은 그루브의 일단부에 접속될 수 있고, 제 2 템플 부분의 제 2 공동은 그루브의 반대측 단부에 접속된다. 그러면 이 방법은 제 1 공동, 그루브 및 제 2 공동 내에 가요성 케이블을 배치하여 제 1 공동 내에 설치된(설치될) 제 1 (전자) 디바이스와 제 2 공동 내에 설치된(설치될) 제 2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안경 프레임, 전자 디바이스, 및 폐쇄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안경 프레임은 전방 부분, 제 1 템플 및 제 2 템플을 포함한다. 상기 템플들은 각각 전방 템플 부분을 포함하고, 그 일단부는 전방 부분의 일측 및 후방 템플 부분에 부착된다. 전방 템플 부분들의 타단부들은 전방 템플 부분과 후방 템플 부분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각각의 후방 템플 부분에 부착되고, 이로 인해 안경은 접이식(foldable)이 될 수 있다. 제 1 전방 템플 부분에는 제 1 공동이 제공되고, 제 2 전방 템플 부분에는 제 2 공동이 제공되고, 전방 부분에는 제 1 공동으로부터 제 2 공동까지, 바람직하게는 후방측 상에서, 연장하는 그루브가 제공된다. 이들 공동 및 이 그루브에 의해 프레임은 전자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 부분, 제 2 디바이스 부분, 및 제 1 디바이스 부분과 제 2 디바이스 부분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한다. 폐쇄 수단은 실링 요소를 포함하고, 이 실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의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재료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를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디바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공동 내에 배치되고, 제 2 디바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공동 내에 배치되고, 가요성 케이블은 그루브 내에 배치되고, 폐쇄 수단은 전자 디바이스가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호되도록 전자 디바이스를 확실하게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특히,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그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임의의 요소로부터 전자 디바이스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설명에서 "전방" 측은 전방 부분의 일측, 즉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했을 때 전방을 향하는 측이고, 대응하여 "후방" 측은 그 반대측이고, 따라서 전방 부분의 후방측은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측이다. 또한 본 개시와 특별한 관련성이 없는 프레임의 잠재적인 기타 요소, 예를 들면, 노즈패드(nosepad) 등도 안경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실링 요소는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으로부터의 보호를 가능하게 하는 시일을 달성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요성 재료가 적절할 수 있다. 압축가능한 재료가 유리할 수 있고, 탄성 재료가 특히 유용할 수 있으나, 프레임의 재료 또는 재료들의 선택에 따라서는 다른 가능성도 존재한다. "탄성"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한정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적어도 어느 정도 압축가능하고, 압축력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드시 완전하게는 아니지만) 자신의 초기 형상 및 크기로 되돌아가는 임의의 재료는 탄성 재료이다. 가능한 탄성 재료는 고무 및 특정 실리콘(예를 들면, 탄성중합체)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으로부터 원하는 보호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링 요소는 유리하게는 내습성 또는 바람직하게는 내습성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침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에 유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안경 프레임에서, 제 1 전방 템플 부분 및 제 2 전방 템플 부분은 공동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전방 부분의 양측에서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이들 부분은 전방 부분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이는 전자장치가 통합되는 안경 프레임의 섹션은 힌지나 기타 이동식 부분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의 통합 시에 힌지를 통한 전자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특정의 (및 종종 복잡한) 구성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 전방 부분, 제 1 전방 템플 부분 및 제 2 전방 템플 부분을 단일 요소로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사출성형, 밀링(CNC 밀링을 포함함), 또는 3D 인쇄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잠재적으로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접착, 가열 및 프레싱,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전방 부분 및 전방 템플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섹션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방법은, 예를 들면, 사용되는 재료에 의존할 수 있다. 이들 요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각각 전방 부분, 제 1 전방 템플 부분 및 제 2 전방 템플 부분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전방 부분과 전방 템플 부분을 단일 요소로서 제조하면 더 견고할 수 있고; 더 큰 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어렵고 및/또는 경제적인, 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세테이트의 밀링된 프레임의 경우, 및/또는 전방 템플 부분과 전방 부분에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방 템플 부분의 각각의 후방 템플 부분에의 이동가능한 부착은 아이웨어(eyewear) 설계 분야에서 매우 일반적인 바와 같이 힌지식 연결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나, 이 분야의 당업자는, 예를 들면, 힌지가 없는 프레임용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대안을 알고 있을 것이다. 템플은 후방 템플 부분 및 전방 템플 부분 이외의 기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의 장점은 기존의 안경 프레임을 그루브, 제 1 공동 및 제 2 공동을 포함하도록 개조함으로써 안경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프레임의 경우, 주형 (통상적으로는 금형)은 그루브 및/또는 공동을 포함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아세테이트 베이스의 프레임은 아세테이트 슬래브로부터 개별적으로 밀링되므로 쉽게 그루브 및 공동을 포함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3D 인쇄된 재료의 경우, 오리지널 CAD 파일이 개변될 수 있다. 기존의 안경 프레임 설계의 수정은 전방 부분 및/또는 전방 템플 부분의 형상 및 크기를 개조하여 그루브 및/또는 공동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많은 기존의 안경 프레임 설계는 전방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구부러진 전방 템플 부분을 전혀 가지지 않거나 작고 때때로 매우 슬림한 전방 템플 부분만을 가지며, 전방 부분의 후방 측에 매우 가까이에 힌지식 또는 기타 이동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설계를 수정할 때에는 충분한 크기의 전방 템플 부분을 추가하여 공동을 수용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후방 템플 부분을 개조할 필요가 있고; 또는 기존의 전방 템플 부분을 연장, 확장 및/또는 높이를 조정하여 공동을 수용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후방 템플 부분을 개조할 필요가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개조는 전방 템플 부분과 후방 템플 부분의 각각의 이동을 허용하는 임의의 힌지 또는 기타 요소가 통합된 전자장치의 뒤쪽에, 즉 더 후방을 향해 배치됨으로써 전자장치의 견고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및/또는 더 단순한 프레임/안경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프레임을 얻는다.
그루브는, 전자 디바이스 및 특히 가요성 케이블의 세부내용에 따라, 매우 작을 수 있고, 따라서 상당히 많은 기존의 프레임 전방은 추가의 개조를 필요로 함이 없이 이것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루브는 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mm의 깊이, 및 0.7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2 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시일을 향상시키기 위해 및/또는 그루브 내에 실링 요소를 단단히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루브의 높이는 그 깊이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이는 도면에 관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오목한 섹션을 구비하는 그루브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다른 기존의 설계에서는 그루브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방 부분을 개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안경 프레임이 새로운 설계인지 또는 기존의 설계의 수정된 버전인지에 무관하게 제 1 공동, 제 2 공동 및 그루브의 크기 및 형상을 전자 디바이스 및 폐쇄 수단의 크기 및 형상에 적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유리하게는, 공동과 그루브의 둘 모두 및 전자 디바이스는 결과적인 안경에서의 부피를 줄이도록 가능한 작게 설계되고, 더욱이 동일한 전자 디바이스를 상이한 프레임 설계 내에 통합할 수 있도록 공동 및 그루브의 크기를 표준화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제공되는 제 1 전방 템플 부분 및/또는 제 2 전방 템플 부분은, 전자 디바이스를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하는 단계에서,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폐쇄 수단에 포함된 대응하는 고정 요소와 협동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폐쇄 수단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 관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 요소는 나사산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폐쇄 수단은 대응하는 나사산 나사에 의해 템플 부분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멍을 갖는다. 그러나, 당업자는 나사 또는 기타 나사산 접속, 스냅/클릭 고정 요소, 클리핑 수단, 및 접착제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그러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많은 가능한 고정 요소를 알 것이다.
프레임의 제공은 안경 프레임의 제조, 예를 들면, 사출성형, 밀링, 및/또는 3D 인쇄에 의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의 제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이는 안경 프레임의 모든 부분을 제공하는 것 및 이들 부분을 안경 프레임 내에 조립하는 것; 또는 안경 프레임의 일부의 부분을 제공하는 것 및 안경 프레임의 다른 부분을 제조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약술한 방법은,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안경을 제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의 제어에 적합한 전자 디바이스를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하는 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안경 프레임의 전방에 포함된 아이피스에 끼워진 렌즈를 포함하며, 렌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렌즈는, 예를 들면, 액티브 3D 안경용 렌즈, 또는 초점 조절이 가능한 전기광학 안경용 렌즈일 수 있다. 이러한 렌즈를 제어하기 위해, 렌즈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전기 접속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접속을 수용하기 위해, 이 방법은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각각의 렌즈에 대해 이 렌즈에 가장 근접해 있는 제 1 공동 및 제 2 공동의 공동으로부터 렌즈의 연부 특히 렌즈의 둘레의 연부 상의 노출된 접촉 영역까지 통로 및/또는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폐쇄 수단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를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하는 것은,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각각의 렌즈에 대해, 전자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사이에 통로 및/또는 그루브를 통해 전기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에 대해, 전자 디바이스와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전기 접속은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과 접촉하도록 이 커넥터를 통로를 통해 배치함으로써 확립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 커넥터는 전술한 접속점(즉 노출된 접촉 영역)과 접촉할 수 있거나, 렌즈의 일부 내에 삽입되어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 1 디바이스 부분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 중 하나는 전력 공급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디바이스 부분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인쇄 회로 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이 방법에서 제공되는 폐쇄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인터페이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고, 또는 전자 디바이스로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이다. 기존의 전자 안경에서, 이러한 인터페이스 요소는 프레임에 통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제안된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를 프레임 내에 통합할 때 폐쇄 수단을 사용하므로, 대신에 이러한 인터페이스 요소를 이들 폐쇄 수단에 통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이는 폐쇄 수단을 적응시킴으로써 이 설계를 추가로 수정하거나 적응시킬 필요 없이 약간 상이한(그러나 유사한 크기의) 전자 디바이스를 주어진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통합을 사용자의 취향에 적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른손잡이 사용자는 전자 안경의 우측에 입력 수단이 있는 것을 선호할 수 있고, 반면에 왼손잡이 사용자는 전자 안경의 좌측에 입력 수단이 있는 것을 선호할 수 있고, 이 방법은 (적합한 전자 디바이스와 함께) 적절한 폐쇄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두 가지 유형의 사용자에 맞게 동일한 안경 프레임 설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는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방법에서 제공되는 폐쇄 수단의 실링 요소는 전자 디바이스의 가요성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채널을 그루브와 함께 형성하도록 그루브 내에 및/또는 그루브 상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는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전방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폐쇄 수단을 제공하는 것은 제 1 리드(lid) 및 제 2 리드를 제공하는 것 - 제 1 리드는 제 1 템플 내의 제 1 공동을 위한 커버로서 구성되고, 제 2 리드는 제 2 템플 내의 제 2 공동을 위한 커버로서 구성됨 -; 및 공동을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리드의 각각과 상기 대응하는 전방 템플 부분 사이에 실링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 재료는 선택적으로 그루브를 덮는 실링 요소의 일부이거나 이 실링 요소에 부착된다.
실링 재료는, 예를 들면, 제 1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링 및 제 2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링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제 1 링은 제 1 리드와 제 1 공동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링은 제 2 리드와 제 2 공동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이 방법의 통합 단계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 제 1 디바이스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공동 내에 배치하는 단계,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공동 내에 배치하는 단계, 및 가요성 케이블을 그루브 내에 배치하는 단계. 폐쇄 수단의 실링 요소의 경우: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전방 섹션이 가요성 케이블을 그루브 내에 실링하여 가요성 케이블을 습기 침입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호하는 단계; 제 1 링은 제 1 공동의 연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제 2 링은 제 2 공동의 연부의 주위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리드의 경우: 제 1 링이 제 1 리드와 제 1 공동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여 제 1 디바이스 부분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제 1 공동 상에 제 1 리드를 배치 및 고정하고,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 부분을 실질적으로 둘러싸서 이것을 습기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는 단계; 및 제 2 링이 제 2 리드와 제 2 공동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여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제 2 공동 상에 제 2 리드를 배치 및 고정하고, 이에 따라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실질적으로 둘러싸서 이것을 습기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는 단계. 예를 들면, 특정 실시형태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공동 내의 대응하는 나사산 개구에 각각의 리드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가 사용되어 리드와 각각의 공동의 연부 사이에 링을 단단히 가압할 수 있고, 또한 이 나사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디바이스 부분에 제공되는 홀(hole)을 통과하고; 그러나 예를 들면, 스냅 핏 접속 또는 내습성 접착제와 같은 다른 부착 수단도 가능하다. 그러나, 안경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전자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고 잠재적으로 수리하고 및/또는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비영구적인 연결 방법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주목한다.
또한 안경 프레임에 통합하기 전에 전자 디바이스와 폐쇄 수단을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 방법은 폐쇄 수단의 적어도 일부와 전자 디바이스를 조립하여 서브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 -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바이스는 서브어셈블리 내에서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호됨 -; 및 그 후 안경 프레임에 서브어셈블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폐쇄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서브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것은 제 1 디바이스 부분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제 1 디바이스 부분 주위에 제 1 하우징을 배치하는 것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제 2 디바이스 부분 주위에 제 2 하우징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방법은 가요성 케이블을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재료로 캡슐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각각의 디바이스 부분 주위에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을 배치하기 전, 후 또는 배치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먼저 가요성 케이블을 그루브 내에 배치한 다음에 별도로 제공되는 실링 요소로 그루브를 실링할 필요가 없고; 그 대신 캡슐화된 케이블을 그루브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케이블을 캡슐화하는 압축가능한 재료 및 바람직하게는 탄성재료는 이 경우에 폐쇄 수단의 실링 요소로 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전자 디바이스의 가요성 케이블은 단순 케이블일 수 있으나, 가요성 PC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요성 케이블은 가요성 인쇄 회로(FPC) 케이블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디바이스 부분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요성 PCB는 단순한 케이블보다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이것을 그루브 내에 배치하기 전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가능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인 재료로 캡슐화하는 것이 추천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자 프리어셈블리(pre-assembly)를 제조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 - 이 전자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 부분, 제 2 디바이스 부분, 및 가요성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제 1 디바이스 부분과 제 2 디바이스 부분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PCB)를 포함함 -;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을 제조하는 것 - 제 1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공동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성형되고, 제 1 디바이스 부분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제 2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공동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성형되고,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둘러싸도록 구성됨 -; 제 1 디바이스 부분을 둘러싸도록 제 1 하우징을 배치 및 실링하는 것;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둘러싸도록 제 2 하우징을 배치 및 실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또한 전자 디바이스 전체가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호되도록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재료로 가요성 케이블을 캡슐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이 끼워맞춤된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하기 위한 전자 프리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와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커넥터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의 프레임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이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전자 프리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 1 공동을 구비하는 제 1 전방 템플 부분을 제조하는 것; 제 2 공동을 구비하는 제 2 전방 템플 부분을 제조하는 것; 및 바람직하게는 후방 측에 그루브를 구비하는 전방 부분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 1 전방 템플 부분 및 제 2 전방 템플 부분은 전방 부분의 양측에 배치되고, 그루브는 제 1 공동으로부터 제 2 공동까지 연장한다. 이 방법은 전방 템플 부분 및 후방 템플 부분이 서로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힌지식 연결부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제 1 전방 템플 부분 및 제 2 전방 템플 부분에 각각 부착될 제 1 후방 템플 부분 및 제 2 후방 템플 부분을 제조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전방 템플 부분, 제 2 전방 템플 부분, 및 전방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 밀링, 또는 3D 인쇄에 의해 단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전방 템플 부분, 제 2 전방 템플 부분, 및 전방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섹션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요소들을 서로 고정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이들 요소는 전방 부분 및 전방 템플 부분에 대응할 수 있거나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공동, 제 2 공동, 및 그루브의 크기 및 형상은 내부에 통합될 요소들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조정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은 전방 부분, 제 1 템플 및 제 2 템플을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템플들은 각각 전방 템플 부분 및 후방 템플 부분을 포함하고, 전방 템플 부분의 일단부는 전방 부분의 일측에 부착되고, 전방 템플 부분의 타단부는 각각의 후방 템플 부분에 부착되고, 이로 인해 전방 템플 부분과 후방 템플 부분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이들은 제 1 디바이스 부분, 제 2 디바이스 부분, 및 제 1 디바이스 부분과 제 2 디바이스 부분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안경은, 각각의 렌즈가 전기광학 컴포넌트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커넥터,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전자 안경은 실링 요소를 포함하는 폐쇄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전자 안경에서, 제 1 전방 템플 부분은 제 1 공동을 포함하고, 제 1 디바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공동에 배치되고, 제 2 전방 템플 부분은 제 2 공동을 포함하고, 제 2 디바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공동에 배치되고, 프레임의 전방 부분은 제 1 템플 부분의 제 1 공동과 제 2 템플 부분의 제 2 공동 사이에 연장하는 그루브를 포함하고, 가요성 케이블은 그루브 내에 배치되고, 실링 요소를 포함하는 폐쇄 수단은 전자 디바이스를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호하도록 전자 디바이스를 확실하게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전방 템플 부분 및 후방 템플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안경을 접을 수 있도록 그리고 보관시에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실링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실링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재료로 제조된다. 가요성 케이블은 그루브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실링 요소는 전방 부분 상에 부착되어 그루브 내의 가요성 케이블을 실링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가요성 케이블은 전자 디바이스의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공동, 그루브 및 제 2 공동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전방 템플 부분 및 제 2 전방 템플 부분은 전방 부분의 양측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전방 부분, 제 1 전방 템플 부분 및 제 2 전방 템플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 밀링, 또는 3D 인쇄에 의해 제조되는 단일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전방 부분, 제 1 전방 템플 부분 및 제 2 전방 템플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용접, 접착, 또는 가열 압착에 의해 서로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요소는 전방 부분 및 전방 템플 부분에 대응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전방 템플 부분과 각각의 후방 템플 부분 사이의 연결은 힌지식 연결일 수 있다.
이 전자 안경은 안경 프레임의 전방 부분에 포함되는 아이피스에 끼워맞춤되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포함한다. 다음에 프레임은,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렌즈가 끼워맞춤된 각각의 아이피스에 대해, 이 렌즈에 가장 가까운 제 1 공동 및 제 2 공동의 공동으로부터 이 렌즈의 연부까지 통로 및/또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전자 디바이스는 이 통로/그루브를 통해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이는 각각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에 대해 그루브를 통해 배치되어 전자 디바이스와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 부분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 중 하나는 전력 공급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디바이스 부분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인쇄 회로 기판(PCB),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인터페이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고, 전자 디바이스로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이다. 입력용 인터페이스 요소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버튼 또는 기타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용 인터페이스 요소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 또는 LCD 스크린 상의 LED를 볼 수 있는 윈도우 등의 시각적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전력 전송용 인터페이스 요소는 전자 디바이스를 안경 프레임으로부터 제거할 필요 없이 또는 폐쇄 수단을 제거하거나 개방할 필요 없이 전자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전원을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충전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요소는 그루브 내에 및/또는 그루브 상에 배치되는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전방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가요성 케이블을 위한 실링된 채널을 제공한다.
폐쇄 수단은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리드는 제 1 공동을 덮어서 제 1 리드와 제 1 공동 사이에서 제 1 디바이스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제 2 리드는 제 2 공동을 덮어서 제 2 리드와 제 2 공동 사이에서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실링 재료는 상기 리드의 각각과 상기 대응하는 전방 템플 부분 사이에 제공되어 공동이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로부터 보호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실링 재료는 선택적으로 그루브를 덮은 실링 요소의 일부이거나 실링 요소에 부착된다. 실링 재료는 제 1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링 및 제 2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링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제 1 링은 제 1 리드와 제 1 공동 사이에 배치되어 내습성 시일을 제공하고, 제 2 링은 제 2 리드와 제 2 공동 사이에 배치되어 내습성 시일을 제공한다.
탄성의 및/또는 압축가능한 전방 섹션 및 제 1 링과 제 2 링의 둘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고무 또는 실리콘/탄성중합체 재료로 단일 부분으로서 제조된다. 이는 실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습기 침입으로부터 전자 디바이스의 보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폐쇄 수단 및 전자 디바이스는 서브어셈블리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자 디바이스는 서브어셈블리 내에서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호된다. 이 서브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착탈식으로 전체로서 안경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는,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폐쇄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제 1 하우징은 제 1 디바이스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스냅 피트 연결(snap-fit connection)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공동 내에 고정되고, 제 2 하우징은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스냅 피트 연결을 사용하여 제 2 공동 내에 고정된다. 이는 전자 디바이스가 안경 프레임 내에 통합되기 전에도 습기 침입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전자 디바이스와 폐쇄 수단을 미리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면 실링 요소는 가요성 케이블을 캡슐화하도록 구성되고, 이로 인해 제 1 하우징, 제 2 하우징 및 실링 요소의 조합은 습기 침입 또는 기타 오염으로부터 전자 디바이스를 실질적으로 보호한다. 스냅 피트 연결이 필요한 경우, 스냅 피트 연결을 확립할 수 있도록 보조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공동 및 하우징이 필요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가요성 케이블은 가요성 PCB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 수단은 나사, 내습성 접착제,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패스너를 사용하여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은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아세테이트; 및 3D 인쇄가능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은 제 1 템플의 전방 템플 부분 내의 제 1 공동, 제 2 템플의 전방 템플 부분 내의 제 2 공동, 및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및/또는 전술한 전자 안경을 얻기 위한 전방 부분의 후방 측 상의 그루브를 구비하는 안경 프레임 내로 통합하기 위한 전자 프리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프리어셈블리는 제 1 디바이스 부분, 제 2 디바이스 부분, 및 제 1 디바이스 부분과 제 2 디바이스 부분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인쇄 회로 기판(PCB)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제 1 디바이스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공동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공동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프리어셈블리를 사용하면 안경 제작자는, 이 목적을 위해,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의 공동 및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의 그루브를 구비하도록 설계되거나, 이들 공동 및 그루브를 포함하도록 기존의 설계로부터 조정되어 프리어셈블리를 이것에 고정함으로써 전술한 전자 안경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적절한 안경 프레임만 제조하면 된다.
가요성 케이블은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재료에 의해 캡슐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프리어셈블리 내의 전자 디바이스는 습기 침입에 대해 이미 보호된다.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인터페이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고, 전자 디바이스로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에 포함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와 안경 프레임 내에 끼워맞춤된 렌즈 내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절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등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접속가능하다. 그러면 이러한 프리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이 끼워맞춤된 프레임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을 제조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 부분, 제 2 디바이스 부분, 및 제 1 디바이스 부분과 제 2 디바이스 부분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PCB)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제 1 공동을 위한 커버로서 구성된 제 1 리드 및 제 2 공동을 위한 커버로서 구성된 제 2 리드, 및 실링 요소를 포함하는 폐쇄 수단을 포함하는 키트가 제공될 수 있고, 실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의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재료로 제조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그루브 내에 및/또는 그루브 상에 끼워맞춤되어 폐쇄된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전방 섹션을 포함한다. 프리어셈블리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키트는 안경 제작자가 적절한 안경 프레임을 제조한 후에 그 내부에 폐쇄 수단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를 통합함으로써 전자 안경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 디바이스를 습기 침입으로부터 확실히 보호하기 위해, 실링 요소는 제 1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링 및 제 2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1 링은 제 1 리드와 제 1 공동 사이에 배치되어 내습성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링은 제 2 리드와 제 2 공동 사이에 배치되어 내습성 시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실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고, 이 인터페이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고, 또는 전자 디바이스로 전력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이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전자 안경은 전자 디바이스와 안경 프레임 내에 끼워맞춤된 렌즈 내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이다.
키트는 제 1 공동 상에 제 1 리드를 그리고 제 2 공동 상에 제 2 리드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고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제 1 공동과 제 1 리드에 의해 형성된 인클로저 내에 제 1 디바이스 부분을 고정하도록 그리고 제 2 공동과 제 2 리드에 의해 형성된 인클로저 내에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고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임의의 전자 안경의 경우, 상이한 실시형태들 사이에서 요소들을 교환할 수 있도록 공동 및 그루브,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폐쇄 수단의 형상 및 크기를 표준화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원하는 대로 전자 안경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유사하게 구성된 공동 및 그루브를 구비한 다양한 프레임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미적 선호도에 따라 프레임을 선택하거나 전자 디바이스를 다른 프레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이한 전자 디바이스가 유사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구성된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일부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전자 디바이스를 전환함으로써 동일한 프레임을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폐쇄 수단은, 예를 들면, 상이한 프레임에 적합하도록 상이한 색으로 제공될 수 있고, 및/또는 주어진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춰진 적절한 입력 수단, 출력 수단 및/또는 충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와 폐쇄 수단이 2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즉 제 1 디바이스 부분이 제 1 공동에 배치되고, 제 2 디바이스 부분이 제 2 공동에 배치되고, 또는 그 반대로 배치될 수 있도록 공동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위의 내용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 및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가 적절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전자 안경을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한 추가의 정보로서 제시된 것일 뿐만 아니라 청구된 전자 안경의 추가의 잠재적 양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의 내용은 제한적인 것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며, 청구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임의의 실시형태는 본 개시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실시례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도면을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유사한 참조 번호는 이하의 설명에서 유사한 부분에 대해 사용됨에 유의한다. 사용된 모든 숫자의 목록과 그것의 간단한 설명은 이 설명의 끝에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는 청구된 커넥터가 적절할 수 있는 전자 안경의 가능한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도 1은 안경의 다양한 요소를 예시할 수 있는 분해 사시도를 보여준다. 안경 프레임(100)은 전방 부분(103)을 포함하고, 좌측에는 좌측 전방 템플 부분(101) 및 좌측 후방 템플 부분(151)이 있고, 우측에는 우측 전방 템플 부분(102) 및 우측 후방 템플 부분(152)이 있다. 도 1에서, 힌지(162)가 보이고, 이것은 우측 전방 템플 부분(102)과 우측 후방 템플 부분(152)을 연결하여 후방 템플 부분이 전방 부분을 향해 내향으로 접힐 수 있고; 좌측 전방 템플 부분(101)과 좌측 후방 템플 부분(151)도 힌지(미도시)에 의해 유사하게 연결된다. 후방 템플 부분을 내향으로 접힐 수 있게 하는 다른 유형의 연결이 (통상적인) 안경 설계의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제 1 또는 좌측 공동(111)(미도시)이 좌측 전방 템플 부분(101)에 제공되고; 제 2 또는 우측 공동(112)이 우측 전방 템플 부분(102)에 제공되며, 이것의 형상은 제 1/좌측 공동의 형상의 거울 대칭일 수 있으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크기, 형상 및 치수는 도시된 것과는 다를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200) 및 폐쇄 수단(300)의 크기, 형상, 및 치수에 맞춰진다. 공동은, 전자 디바이스(200)와 폐쇄 수단(300)이, 공동이 없으면, 전방 템플 부분에 의해 점유될 공간 내에 완전히 채워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여기에 묘사된 것보다 더 얕을 수 있다. 공동은 전자 디바이스(200) 및 폐쇄 수단(30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따라서 앵커링 포인트(anchoring point)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2/우측 공동(112)은 나사가 그 안에 나사체결되기에 적합한 나사산 개구(122)를 포함하지만 많은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고정 수단이 또한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제 1/좌측공동은 제 2 나사산 개구를 포함한다.
전방 부분(103)은 좌측 렌즈(171)를 구비하는 좌측 아이피스(131), 우측 렌즈(172)을 구비하는 우측 아이피스(132), 및 아이피스(131, 132)를 연결하는 브릿지(133)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코 위에 안경을 쾌적하게 지지하기 위한 좌측 노즈패드(141) 및 우측 노즈패드(142)를 더 구비한다.
전술한 안경 설계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이한 형상의 아이피스, 상이한 유형의 브릿지를 구비한 다양한 다른 형태의 프레임(100)이 가능하고, 또는 노즈패드는 아이피스의 내측 상의 융기부로서 구현된다. 본 개시의 경우, 전방 부분(103) 내에 적절한 그루브를 제공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고, 전방 템플 부분(101, 102) 내에 적절한 공동(111, 112)을 제공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는 임의의 안경 프레임(100)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자 디바이스(200)가 신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전자 디바이스를 프레임 내에 통합하는 단계 중에, 제 1 디바이스 부분(201)이 제 1/좌측공동(111)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그리고 제 2 디바이스 부분(202)이 제 2/우측 공동(112)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요성 케이블(203)이 구부러진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1 디바이스 부분(201)은 주로 전자 기판 상에 접속되는 배터리(211), 바람직하게는 충전식 배터리로 구성되고, 제 2 디바이스 부분(202)은,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PCB)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 또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그러나 전자 안경의 의도된 목적에 따라 많은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1 디바이스 부분(201)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202)은 제 1 공동 내의 제 1 나사산 개구 및 제 2 공동(112) 내의 제 2 나사산 개구(122)와 각각 정렬될 수 있는 제 1 구멍(221) 및 제 2 구멍(222)을 더 포함하고, 이로 인해 제 1 디바이스 부분(201)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202)을 각각의 제 1 공동 및 제 2 공동 내에 나사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제 1 디바이스 부분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을 고정하는 많은 대안적인 방법이 또한 가능하다.
이 특정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자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인 경우, 이것은 전자 디바이스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 커넥터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폐쇄 수단(300)은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다수의 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폐쇄 수단(300)은제 1/좌측 링(301), 제 2/우측 링(302) 및 전방 섹션(303)으로 형성되는 실링 요소(304)를 포함한다. 폐쇄 수단(300)은 제 1 나사에 적합한 제 1 리드 개구(321)를 구비하는 제 1/좌측 리드(311), 및 제 2 나사(332)에 적합한 제 2 리드 개구(322)를 구비하는 제 2/우측 리드(312)를 더 포함한다.
리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자 디바이스(200)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는 요소를 더 포함한다. 이 특정의 실시형태에서, 배터리(211)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부분(201)을 둘러싸도록 제 1 전방 템플 부분(101) 내의 제 1 공동을 덮도록 의도된 제 1 리드(311)는 충전 접점(341)을 포함하여 제 1 리드(311)를 제거할 필요 없이 배터리(211)를 충전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 2 리드(312)에는 출력 수단 형태의 인터페이스 요소,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윈도우(342)가 제공되며, 이로 인해 PCB 상의 LED(미도시)로부터의 빛을 리드를 통해 볼 수 있게 되므로 LED 표시기로서 기능한다.
전자 디바이스(200)를 폐쇄 수단(300)을 사용하여 안경 프레임(100) 내에 통합할 때, 충전 접점(341) 및 윈도우(342) 등의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리드(311) 및 제 2 리드(312)는,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포텐셜 윈도우가 포텐셜 LED와 정렬되도록, 또는 조립 후에 충전 접점이 충전식 전원과 접촉하여 충전될 수 있도록 전자 디바이스(200)의 특정의 제 1 디바이스 부분(201)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202)과 협동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더욱이 리드(311, 312)는 제 1 공동 및 제 2 공동(112)을 위한 커버로서 각각 기능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져야 하며, 제 1 디바이스 부분(201) 및 제 2 디바이스 부분(202)은 각각 형성된 폐쇄 공간 내에 꼭 맞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 1 링(301) 및 제 2 링(302)은 리드(311, 312)와 각각의 공동의 연부 사이에 내습성 시일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가요성 케이블(203)을 구부리고, 공동 내의 나사산 개구와 디바이스 부분 내의 개구가 정렬하도록 제 1 공동 내에 제 1 디바이스 부분(201)을 그리고 제 2 공동(112) 내에 제 2 디바이스 부분(202)을 배치함으로써 안경 프레임(100) 내에 통합될 수 있다. 가요성 케이블(203)은 바람직하게는 이 가요성 케이블의 어떤 부분도 그루브로부터 연장하지 않도록, 더 바람직하게는 그루브의 깊이 전체를 점유하지 않고 이로 인해 가요성 케이블이 설치된 후에도 더 얕은 그루브가 남아 있도록 전방 부분의 후방 측 상의 그루브(도 1에 미도시) 내에 설치된다. 이 단계에서, 커넥터는 렌즈의 둘레 림 상의 노출된 접촉 영역(접속점을 포함함)과 이에 대응하는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에 실링 요소(304)의 제 1 링(301)은 제 1 공동의 연부 주위에 배치되고, 제 2 링(302)은 제 2 공동(112)의 연부 주위에 배치되고, 전방 섹션(303)은 그루브 내에 끼워맞춤되어 이것을 폐쇄한다. 바람직하게는, 결과적인 안경에서 그루브는 완전히 폐쇄되고, 전방 섹션(303)의 표면은 전방 부분(103)의 후방 측의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다.
다음에 제 1 링(301) 및 제 2 링(302)은 제 1 리드(311) 및 제 2 리드(312)를 각각 설치하고 나사(331, 332)로 고정함으로써 고정되고, 제 1 나사(331)는 제 1 리드 개구(321) 및 구멍(221)을 통해 삽입되어 제 1 공동 내의 나사산 개구 내로 나사체결되고, 제 2 나사(332)는 유사하게 제 2 리드 개구(322) 및 구멍(222)을 통해 삽입되어 제 2 나사산 개구(122) 내로 나사체결된다.
실링 요소(304)에 의해 제공되는 시일로 인해 전자 디바이스가 습기 침입으로부터 양호하게 보호되는 결과적인 전자 안경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분해된 안경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아이피스(131, 132), 브릿지(133), 및 노즈패드(141, 142)를 포함하는 전방 부분(103)을 구비하는 프레임(100); 제 1 공동(121)을 구비하는 좌측 전방 템플 부분(101) 및 좌측 후방 템플 부분(151); 및 제 2 공동(112)을 구비하는 우측 전방 템플 부분(122) 및 우측 후방 템플 부분(152)을 보여주고; 배터리(211) 및 구멍(221)을 구비하는 제 1 디바이스 부분(201), 제어 유닛(212)(예를 들면, PCB) 및 구멍(222)을 구비하는 제 2 디바이스 부분(202); 및 이 둘을 접속하는 가요성 케이블(203) - 이 케이블은 프레임 내에 전자 디바이스를 배치하도록 구부려짐 -; 및 제 1 링(301), 제 2 링(302), 및 이 둘을 연결하는 전방 섹션(303)으로 구성되는 실링 요소(304)를 포함하는 폐쇄 수단(300); 리드(311, 312); 및 나사(331, 332)를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이전에 설명한 실시형태의 반쪽의 더 상세한 도면이다. 특히, 도 4a는 제 1 나사산 개구(121)를 구비하는 제 1 공동(111)을 도시하며, 이 공동은 가요성 케이블을 위한 그루브 및 제 1 렌즈의 연부 및 그 안의 접속점으로 연장되는 통로에 연결된다. 리드(311)가 공동에 대한 커버로서 설치되고 나사(331)로 부착되면, 리드(311)와 공동의 연부 사이에 배치된 링(151) 또는 실링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 부분(211) 및 렌즈로의 통로는 습기 침입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4b는 또한 그루브(113)를 도시하며, 그 내부에 가요성 케이블(203)이 삽입된 후에 실링 요소(304)의 압축가능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탄성 요소(303)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도 4b는 버튼 등의 입력 수단을 리드 내에 통합하여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에게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통로는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가 사용되는 경우에 선택적인 것임에 유의한다.
도 5, 도 6a 및 도 6b는 다른 유형의 커넥터를 사용하는 전자 안경의 상이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전자 디바이스와 폐쇄 수단의 둘 모두를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500)가 안경 프레임(400)과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안경을 보여준다. 도시된 어셈블리에서, 서브어셈블리는 전자 디바이스와 폐쇄 수단의 통합된 서브어셈블리를 형성한다(즉, 폐쇄 수단이 전자 디바이스의 두 전자 디바이스 부분과 통합되어 있음). 이는 전자 디바이스가, 예를 들면, 습기로부터 잘 보호되는 서브어셈블리를 안경 프레임의 제조업체에 제공할 수 있고, 잠재적으로 안경 프레임과 서브어셈블리를 개별적으로 구입하는 사용자에 의해서 나중에 쉽게 조립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서브어셈블리(500)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 1 전자 디바이스 부분(미도시)을 둘러싸는 제 1 하우징(501), 및, 예를 들면, PCB 또는 유사 구성을 포함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제 2 전자 디바이스 부분(미도시)을 둘러싸는 제 2 하우징(502)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은 나사를 사용하여 서브어셈블리(500)를 안경 프레임(4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개구(521, 522)를 가지지만, 바람직하게는 다른 고정 방법, 예를 들면, 스냅 피트 연결을 사용할 수 있다. 안경 프레임(400) 내에 끼워맞춤된 렌즈 내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에 전자 디바이스를 접속하기에 적합한 커넥터(581, 582)가 하우징(501, 502)으로부터 연장한다. 폐쇄 수단의 실링 요소는 가요성 케이블이 습기 등의 외부 영향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가요성 및/또는 탄성 재료에 의해 캡슐화되는 점에서 가요성 케이블과 통합된다. 캡슐화된 가요성 케이블(504)은 제 1 하우징(501) 내의 제 1 디바이스 부분과 제 2 디바이스 부분(502)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케이블은 가요성 PCB(FPC)를 포함하거나 가요성 PCB(FPC)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안경 프레임(400)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 안경 프레임과 매우 유사하다. 실제로, 동일한 안경 프레임이 서브어셈블리(500) 등의 서브어셈블리 및 앞서 기술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및 별개의 폐쇄 수단 모두와 호환될 수 있다.
안경 프레임(400)은 렌즈(471, 472)가 아이피스 내에 끼워맞춤된 전방 섹션(403)을 포함하며, 이들 렌즈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이들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접속점이 여기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는 그것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님). 그루브(413)가 전방 부분(403)의 상부 연부를 따라 형성된다. 우측 전방 템플 부분(402)은, 본 실시형태에서, 나사 접속을 위해, 나사산 개구(422)를 구비하는 공동(412)을 포함하고, 좌측 전방 템플 부분(401)도 유사하게 형성된다. 통로(492)는 공동(412)로부터 렌즈(472)의 연부까지 연장하고, 좌측 전방 템플 부분 애의 공동(미도시)로부터 좌측 렌즈(471)까지 유사한 통로가 제공되어 있다. 후방 템플 부분(451, 452)은 힌지 연결(462)을 통해 전방 템플 부분(401, 402)에 부착된다.
도 6a는 조립된 상태의 이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커넥터(582)는 통로(492)를 통해 삽입되어 우측 렌즈(472)의 접속점(482)에 접속된다. 하우징(501, 502)은 나사 연결에 의해 전방 템플 부분에 고정되지만 다른 연결이 가능하고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에 표시된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것은 가요성 PCB(504C)가 504B에 의해 완전히 캡슐화되어 이것을 보호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캡슐화된 가요성 PCB가 그루브 내에 끼워맞춤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그루브는 그 개구를 향하는 오목한 섹션(525)을 포함할 수 있고, PCB의 캡슐화(504B)는 대응하는 벌지bulge; 526)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으로 인해 캡슐화된 PCB를 그루브 내에 더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필요한 경우, 그루브로부터 이것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a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그루브(113, 413)는 제 1 전방 템플 부분의 제 1 공동(111)과 제 2 템플 부분의 제 2 공동(11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전방 부분(40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즉 좌측 아이피스(131)의 상부 부분, 브릿지(133), 및 우측 아이피스(132)의 상부 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더욱이, 그루브(113, 413)는 좌측 아이피스(131), 브릿지(133) 및 우측 아이피스(132)의 내향면, 즉 사용자가 안경 프레임을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측면에 제공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안경 프레임은 유사하게 좌측 렌즈(571)를 구비하는 좌측 아이피스(531), 우측 렌즈(572)를 구비하는 우측 아이피스(532), 아이피스(531, 532)(선택적으로 좌측 노즈 패드 및 우측 노즈 패드일 수 있음)를 연결하는 브릿지(533), 및 실질적으로 전방 부분(51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즉, 좌측 아이피스(531)의 상부 부분, 브릿지(533), 및 우측 아이피스(532)의 우측 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그루브(513)(서로 개방 연결되는 그루브 부분(5131, 5132, 5133을 포함함)를 포함하는 전방 부분(514)을 포함하지만, 브릿지(533)에서 그루브(5132)는 브릿지(533)의 내향면(552)에 제공되고, 반면에 좌측 아이피스(531) 및 우측 아이피스(532)에서 그루브(513)는 각각의 반경방향 내향의 둘레 면(541, 542)(즉, 렌즈(571, 572)와 마주하는 표면)에 제공된다. 이는 다수의 장점을 갖는다. 우선, 좌측 아이피스(531)의 상부 부분과 우측 아이피스(532)의 상부 부분의 두께(즉, 높이(h))가 감소될 수 있다. 둘째, 내향의 둘레 면(541, 542)에 그루브(513)(즉, 그루브 부분(5131, 5133))을 제공함으로써, 그루브 부분(5131, 5133)은 렌즈(571, 572)를 그루브 상부나 약간 내측에 배치하여 그루브 부분을 완전히 덮음으로써 환경으로부터 실링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브릿지(533)에 존재하는 그루브(513)의 (브릿지) 부분(5132)은 그루브 부분(5132) 상에 및/또는 그루브 부분(5132) 내측에 실링 요소(550), 바람직하게는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재료로 구성된 실링 요소를 설치함으로써 (그루브(513) 내측에 케이블(503)이 배치된 상태에서) 환경으로부터 실링될 수 있다. 더욱이, 이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유리하게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c에는 도 7a 및 도 7b의 실시형태의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그루브(513)는 서로 개방 연결된 그루브 부분(5131, 5132, 5133) 뿐만 아니라 그루브 부분(5135)으로 구성되어 있다(좌측에 하나 및 우측에 하나). 그루브 부분(5135)은 각각의 그루브 부분(5131, 5132)과 개방 연결되고, 이로 인해 가요성 케이블(504)(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제 1 하우징(805) 또는 제 2 하우징(806) 내측에서 제어 유닛 및/또는 배터리에 접속될 수 있다. 더욱이, 좌측 전방 템플 부분(801) 및 우측 전방 템플 부분(802) 둘 모두는 좌측 아이피스(531) 및 우측 아이피스(532) 내측에 배치된 작은 공동(81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후크형 단부(811)를 포함한다. 나사(515)의 기능은 약간 변경된다. 전방 템플 부분(801, 802)은 각각의 공동 내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후크형 단부(811)에 의해 주로 정위치에 유지된다. 나사(515)는 추가의 고정을 위해 제공된다. 더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공동 및 후크형 단부가 스냅 연결을 형성하도록 적절히 성형된 실시형태에서, 나사(515)는 생략될 수 있다. 실시형태 of 도 7a 및 도 7b의 실시형태와 또 다른 차이점은 커버(814)가 전방 부분에 고정되는 것이다(즉, 좌측에 있는 제 1 커버(814)는 좌측 아이피스(531)(도 7a 참조)에 연결되거나 이것과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에 있는 제 2 커버(814)는 우측 아이피스(532)에 연결되거나 이것과 일체로 형성됨).
도 6a의 실시형태에서, 전기 커넥터는 공동(412)과의 개방 연결되는 통로(492) 내에 배치된 전기 와이어(581, 582)를 포함하고, 이 전기 와이어는 각각의 전기활성 렌즈(471, 472) 내의 접속점과 전기 접속(도면에는 외단부만이 도시되어 있음)을 형성한다. 도 5 및 도 6a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전기활성 렌즈(472)의 전기 커넥터의 전기 와이어(582)는 별개의 와이어로서 제 2 하우징(502) 내에서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면, 제어기)로부터 통로(492)를 통해 우측 렌즈(472)의 전기 접속부를 향해, 그리고 별개의 와이어로서 동일한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통로(492) 및 그루브(413)를 통해 좌측 렌즈(471) 내의 전기 접속점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이는 단점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도 7a 및 도 7b의 것과 유사한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더 견고하고 내충격성 전기 접속을 얻는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케이블(504)은 제 1 하우징(501) 내측의 배터리로부터 반대측의 제 2 하우징(502) 내의 제어 유닛으로 공급 전압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하우징(502)으로부터 각각의 렌즈(471, 472) 내의 각각의 노출된 접촉 영역까지 좌측 전기활성 렌즈(471) 및 우측 전기활성 렌즈(47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전기 접속 및 접속부를 포함한다.
도 5, 도 6a 및 도 6b의 실시형태의 장착된 위치에서, 전기 와이어(581, 582)는 전기 접속점과 제 2 디바이스 부분(202)(예를 들면, 제어 유닛(212)(PCB)) 사이에 전기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접속점에 접속된다.
그러나, 도 7a 및 도 7b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통로는 생략될 수 있고, 커넥터(583, 584)는 각각의 그루브 부분(5131, 5133) 내측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접속점(482)이 렌즈(471, 472)의 반경방향 외향의 둘레 면에 제공되는 경우, 커넥터(583, 584)는, 예를 들면, 커넥터(583, 584)를 렌즈(471, 472)의 접속점(482)의 상부에 직접 배치함으로써 접속점(482)에 직접 접촉하게 될 수 있다(즉, 별개의 전기 와이어를 생략할 수 있음). 이 경우, 커넥터(583, 584)는 케이블(503)의 통합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 케이블의 통합 부분이 될 수 있다. 아이웨어의 제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및/또는 전기 접속의 결함을 위험이 훨씬 더 감소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의 실시형태에서, 안경 프레임은 전방 부분(514), 좌측 전방 템플 부분(801), 우측 전방 템플 부분(802), 좌측 후방 템플 부분(851) 및 좌측 후방 템플 부분(852)을 포함한다. 후방 템플 부분(851, 852)은 각각 제 1 후방 템플 부분(871) 및 제 2 후방 템플 부분(8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후방 템플 부분 및 제 2 후방 템플 부분은 별개의 부분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후방 템플 부분(870) 및 제 2 후방 템플 부분(871)이 통합된다.
전방 템플 부분(802, 803)은 (전방 템플 부분의 외단부에 배치된 나사(515) 등의 연결 요소를 통해) 관련된 전방 부분(514)에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방 템플 부분(802, 803)의 타단부는 전방 템플 부분과 후방 템플 부분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각각의 후방 템플 부분(851, 852)에 부착된다. 도 1 내지 도 6a의 실시형태의 전방 템플 부분과 각각의 후방 템플 부분 사이의 연결은 힌지 연결인 반면에 도 7a 및 도 7b의 실시형태의 전방 템플 부분(802, 803)과 각각의 후방 템플 부분(851, 852) 사이의 연결은 슬라이드가능한 연결이다. 후방 템플 부분(851, 852)은 좌측 전방 템플 부분(801)의 제 1 하우징(805) 및 우측 전방 템플 부분(802)의 제 2 하우징(806)의 상부 외면(809) 및 하부 외면(810)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고, 다음에 나사(820)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그루브(513)의 일부의 상세한 배면도이다. 이 도는 좌측 아이피스(531) 및 우측 아이피스(532)의 둘 모두의 하부(901)에 그루브 부분(5134)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하부(901)는 수작업으로 약간 하방(화살표(900) 참조)으로 구부려서 이 그루브 부분(5134)을 넓힐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가요성 케이블(504)을 그루브(5134) 내에 쉽게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면 하부(901)는 그 원래 위치로 되구부려지고 이로 인해 가요성 케이블(504)은 그루브 부분(5134) 내측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면은 전방 부분에 부착된 전방 템플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고, 실시형태에서 전방 부분 및 전방 템플 부분이 실제로 함께 제조될 수 있으나, 이는 필요조건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로, 특정 재료의 선택 및/또는 특정 프레임 설계의 경우, 전방 부분과 전방 템플 부분을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나중에 이들을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부분 및 전방 템플 부분의 서브섹션을 포함하는 제 1 요소를 가지며, 전방 템플 부분의 나머지 부분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후에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전방 템플 부분 등을 더 포함하는 개별적으로 제조된 요소에 전방 부분의 서브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전방 부분과 전방 템플 부분 사이의 경계는 개별적으로 제조된 부분의 연부에 정확하게 일치할 필요가 없다.
일례로서,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요소는 전방 부분에 대응할 수 있거나, 그루브를 구비하는 전방 부분 및 전방 템플 부분과 그 내부의 공동의 서브섹션의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 1 요소는 밀링,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슬래브로부터 CNC 밀링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음에 전방 템플 부분의 나머지 부분 및 공동을 각각 포함하는 제 2 요소는 밀링된 아세테이트로 제조될 수 있거나 다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성형, 적절한 재료의 3D 인쇄로 제조되거나, 심지어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에 이들 제 2 요소는 사용된 재료 또는 재료들에 적합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접착이나 가능한 경우에는 용접을 통해 제 1 요소에 부착된다. 다음에 후방 템플에 대응하는 제 3 요소가 제 1 요소 및 제 2 요소에 사용된 재료와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적절한 재료로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예를 들면, 힌지를 사용하여 제 2 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렌즈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본 명세서에서는 전기활성 컴포넌트라고도 함)을 포함하고, 이것은 전기활성 컴포넌트를 적절히 전환함으로써 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활성 렌즈의 실시례는 문서 WO 2019/115606 A1에 기술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실시형태(또는, 그 문제에 관하여 이전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들 중 임의의 것)를 참조하면, 렌즈(960)는 제 1 렌즈 부분(970),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 렌즈 부분(9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렌즈 부분과 제 2 렌즈 부분 사이에는 또 하나의 (적층된) 전기활성 렌즈가 배치되어 있다. 전기활성 렌즈는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및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 예를 들면, 광학적으로 투명한 포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광학적 투명 기판들은 서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전기활성 렌즈(960)는 제 1 렌즈 하프(half) 상에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961), 제 2 렌즈 하프 상에 또는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962),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961)과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962) 사이의 실링된 공동(963), 및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962)에 접속된 프레넬 렌즈 구조 등의 회절 렌즈 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체를 통해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및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에 대해 언급할 때, 이것은 하나 이상의 쌍의 광학적 투명 기판이 2 개의 렌즈 부분들 사이에 설치된 실시형태(즉, 광학적으로 투명한 렌즈 부분(970, 971)이 실제로 패시브 렌즈를 형성하고, 광학적 투명 기판, 광학적 투명 전극 및 회절 구조를 구비한 공동이 함께 액티브 렌즈를 형성하는 실시형태)에 관련될 수 있고, 그리고 기판(즉, 2 개 이상의 적층 쌍의 기판의 경우에는 최외측 기판만)이 실제로 렌즈부분을 형성하는 실시형태에 관련될 수 있다.
실링된 공동(963) 내에는 적어도 액정(LC) 재료의 액정층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정 재료는 네마틱 액정(LC) 재료이지만 다른 유형의 결정질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 액정(LC) 재료 내에서 액정들은 대체로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제 1 투명 전극(961) 및 제 2 투명 전극(962)은 도전성 전극층(예를 들면, ITO 재료의 층 및 이 도전성 전극층으로부터 렌즈의 둘레의 연부에 배치된 접촉 영역까지 연장하는 도전성 라인, 예를 들면, 도전성 전극층의 상면에 스크린 인쇄된 도전성 Ag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 사이에는 공동(963)이 형성된다.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961) 및/또는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962)에는, 예를 들면, 도전성 라인을 전원과 접속함으로써 적절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횡방향으로 액정 LC 층의 굴절률의 변화에 의해 전기활성 렌즈의 광학 파워가 변경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960)의 둘레 림(972)은 둘레의 베벨형 연부 또는 림(965)을 포함하고, 그 내부로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961) 및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962)이 연장한다. 둘레의 베벨형 연부(965)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둘레의 베벨형 연부 내에 노출된 접촉 영역이 형성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961) 및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962)과 각각 관련되는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은 렌즈의 상부 섹션에 있는 연부(965)를 제거하여 하나 이상의 본질적으로 평탄한 렌즈 표면(964)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도 13a 내지 도 13e 및 도 14의 실시형태에서, 노출된 영역은,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둘레의 베벨형 연부(95)의 일측면을 통해 축선 방향으로 각각의 홀을 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은 전기활성 광학 컴포넌트의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961) 및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962)과 각각 전기 접촉을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9a 내지 도 9f는 또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983)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도 9a 및 도 9c는 이 실시형태를 분해도로 보여준다. 렌즈(960)는 2 개의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을 갖는다. 2 개의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 상에 커넥터(982)의 다양한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다: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이것은 실링 유닛(910)의 제 1 하우징(911), 접속 요소(981),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982), 가요성 케이블(904), 실링 유닛(910)의 제 2 하우징(912), 및 프레임(920)의 일부, 특히 반경방향 내향의 둘레 면(941) 내의 그루브(913)를 포함하는 아이피스(931)의 상부의 일부를 포함한다.
특히 도 9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960)의 반경방향 외향의 둘레 면은 베벨형이고,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 커넥터(983)를 수용하기 위한 섹션을 제외한 둘레 면 전체가 베벨형이다. 다른 선택지들도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는 몇 가지 장점이 있다: 제거된 섹션은 전기활성 컴포넌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커넥터(983)를 설치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고, 그 크기 및 형상은 베벨의 제거된 영역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춰져 있다. 2 개의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이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보다 더 많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불침수성, 탄성, 가요성, 절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실링 유닛(910)의 제 하우징 요소(911)는 몇 가지 상이한 기능을 제공한다. 첫째, 그것의 둘레의 링은 특히, 접속 요소(981),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983) 및 가요성 케이블(904)에 대해 원하는 내습성을 달성하는 데 일부분 역할을 한다. 둘째, 절연 부분(969)은, 커넥터(983)가 렌즈(960) 상에 설치되었을 때, 제 1 하우징 요소(911)를 2 개의 개구(913, 914)로 분할하는 제 1 하우징 요소의 중간의 일종의 댐(dam)이며, 2 개의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을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제 1 하우징 요소의 개구(913)들 중 하나가 제 1 접촉 영역(966) 상에 배치되고 다른 개구(914)가 제 2 접촉 영역(967) 상에 배치되도록 제 1 하우징 요소가 배치되기만 하면, 형상은 이들 기능이 노출된 접촉 영역(렌즈마다 접촉 영역의 위치가 다른 경향이 있음)의 다양한 위치에 대해 수행될 수 있는 형상임에 유의해야 한다. 3 개 이상의 접촉 영역이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개구가 있으며, 이들은 추가의 절연성 '댐'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요소(981)는 작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FPC)을 포함하지만, 예를 들면, (부분적) 전도성 테이프,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 전사 테이프의 사용 등 많은 다른 선택지도 이용가능하다.
전도성 테이프의 비제한적 예는 3M??에 의한 ECATT(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Transfer Tape) 9703이다. 이 테이프는 이방 도전성을 갖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PSA)) 전사 테이프이다. PSA 매트릭스는 전도성 입자로 채워져 있고, 이들 전도성 입자는 접착제 두께를 통해 (즉, z 방향으로) 기판들 사이의 상호접속을 가능하게 하지만 테이프의 평면에서 테이프가 전기 절연되도록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요소(981)는 일정량의 도전성 접착제(glue)(968), 예를 들면, Ag 접착제를 더 포함한다.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FPC)은 비전도성 요소에 배치된 전도성 접속부(984)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10 개의 전도성 부분을 가지며, 5 개씩 2 개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있고, 이로 인해 도시된 커넥터(983)는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의 4 개의 가능한 (대략적) 위치들 중 임의의 위치를 갖는 렌즈에 대해 맞춰지지만, 물론 이것은 이 실시례에 불과하다. 전도성 부분은 더 많거나 더 적을 수 있고, 접속 요소(981)는 z 방향으로만 전도성을 갖는 요소일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983)은 소위 z축 커넥터 모듈, 예를 들면, ZEBRA®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유형의 커넥터 모듈, 또는 다른 유형의 탄성중합체 커넥터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중합체 z축 커넥터 모듈은 전도성 영역과 절연성 영역을 교번으로 포함할 수 있고, 전도성 영역은 탄소, 은, 및/또는 금 등의 전도체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절연성 영역은 고무 또는 탄성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이방성 전도성 특성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실리콘 고무의 전도성 층과 절연성 층을 교번으로 포함할 수 있고,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박층을 노출시킴으로써 z 방향으로만 고신뢰성의 접속을 위해 고밀도의 여분의 전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983)은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나 이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블록형 또는 스트립형인 경우가 많다.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983)은 그 두께 방향(여기서는 축선 방향 또는 z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983)은 두께 방향으로 도전성을, 그리고 횡방향(즉, 두께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횡방향(x,y) 평면)으로 전기 절연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하우징(911) 및 접속 요소(981) 중 하나 이상은 조합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극(961) 및 제 2 전극(962)의 둘 모두를 접속하기 위해 단일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이 존재한다. 이는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983)이 z 방향(즉 축선 방향 또는 두께 방향)으로 전도성을 갖고, x,y 방향(즉, 횡방향)으로 격리된 유형인 경우에 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전극(961)과의 접속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 및 제 2 전극(962)과의 접속을 위한 하나 이상의 다른 모듈의 2 개 이상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이 채용된다.
FPC일 수 있는 가요성 케이블(904)은 전기활성 요소를 위한 제어 유닛(212)에 접속되거나 접속가능하고, 이것에 대해서는 이미 위에서 어느 정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가요성 케이블(904)은 전도성 접속부(984)(도 9c 참조)를 포함하며, 이것은, 노출된 접촉 영역에 대한 전기 접속이 확립되면, 전기활성 컴포넌트(971')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제 2 하우징 요소(912)는 더 큰 오버몰드의 형태를 취하며, 이것은 양단부에 슬릿 형상의 개구(956)을 포함하므로 이 제 2 하우징 요소(912)는 가요성 케이블(904) 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거나 반대로 가요성 케이블(904)는 이들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슬릿 형상의 개구는, 가요성 케이블이 이것을 통해 삽입되었을 때, 가요성 케이블의 표면에 꼭 맞도록 구성되므로 이들 개구를 통해 커넥터(983)의 내부로 습기가 들어갈 수 없다. 제 2 하우징 요소(912)는 적어도 둘레의 링 형상의 플랜지(957)를 더 포함하고, 이것은 커넥터(983)의 내부를 둘러쌀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넥터(983)의 내부를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것은 필요에 따라 가요성 케이블의 특정 영역을 가요성 케이블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983)의 모든 부분은 프레임(920)의 아이피스에 제공되는 그루브(913)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조정된다. 가요성/압축가능한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적어도 약간 압축되어 그루브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조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가 견고하고 충격에 강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요소가 그루브(913) 내에 배치된 후, 이 그루브(913) 내의 빈 공간이 제한되는 경우, 특히 가요성 케이블(904)과 렌즈(960)의 표면 사이에 빈 공간이 전혀 없거나 거의 없는 경우에는 도전성 요소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그루브(913) 및 커넥터(983)는 커넥터(983)가 그루브 내에 꼭 맞게 끼워맞춤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도시된 특정 부분에 대한 다양한 대안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예를 들면, z축 커넥터 모듈)을 사용하여 FPC 형태로 제 1 하우징 요소(911) 및 접속 요소(98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생략할 수 있다. 다른 대안은 2 개 이상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며, 제 1 커넥터 모듈은 제 1 전극과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커넥터 모듈은 제 2 전극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탄성중합체의 z축 커넥터 모듈일 수 있으나, SMD 유형의 가요성 커넥터 모듈(예를 들면, 대체로 W 형상을 갖는 및/또는 전도성 (납땜가능한) 막으로 피복된 실리콘 고무 코어를 갖는 SMD 접촉 패드) 등의 상이한 유형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 요소(981)는 없을 수 있고, 또는 FPC, 접착제 패드, 바람직하게는 Ag 접착제 패드, 및 전도성 테이프 등의 전도성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b는 요소의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인 평면을 따른 조립된 구성의 전술한 부분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전기활성 컴포넌트는 투명 기판(970, 971)들 사이의 렌즈(960)에서 볼 수 있다. 특히, 이 도면은 전도성 재료의 포켓 형태의 추가의 접속 요소를 보여주며, 예를 들면, 접착제(968)(예를 들면, Ag 접착제)가 각각의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 상에 직접 도포되어, 바람직하게는 제 1 하우징 요소(911)의 대응하는 개구(913, 914)의 적어도 폭에 걸쳐, 즉 아이피스의 전후 방향을 따라 그 개구(913, 914)를 채운다. 이 추가의 접속 요소는 각각의 대응하는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과 접속 요소(981)의 전도성 접속부(984)(도 9c 참조), 즉 이 경우에는 작은 FPC 사이에 전기 접속을 확립한다.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982)(여기서는 z축 커넥터 모듈)은 작은 FPC(981)의 직상부에 배치되고, 가요성 케이블(904)은 그 직상부에 배치된다. 도 9b에서는 여기서는 오버몰드인 제 2 하우징 요소(912)가 커넥터(983)의 모든 요소를 덮고 둘러싸서 그 내부를 오물 및/또는 습기 등의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가장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제 2 하우징 요소(983)는 그루브(913) 내에 끼워맞춤되어, 바람직하게는, 그 외면의 모두 또는 대부분이 그루브(913)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더 구성된다. 요소들은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982)이 렌즈(960)의 연부(965)와 프레임(920)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도 9d는 프레임(920)이 없는 조립된 형태의 동일한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은 특히 베벨의 제거된 부분이 커넥터(98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히 그 크기가 커넥터의 외부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제 2 하우징 요소(912)의 크기에 맞춰진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 도면은 또한 제 2 하우징 요소(912)의 슬릿 형상의 개구(955)로부터 렌즈(960)의 둘레 림 또는 연부(965)를 따라 연장되는 가요성 케이블(904)을 보여준다.
도 9e는 프레임이 없는 조립된 상태의 동일한 실시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9f는 이 실시형태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이 도면들은 특히 제 2 하우징 요소(912)가 가요성 케이블의 특정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는 '댐'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들 섹션은 이 하우징 요소의 구조적 통합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어 유닛(212)과 전기활성 렌즈,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렌즈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 사이에 전자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커넥터(1000)의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이들 도면은 다양한 조립 단계의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10c는 다수의 전도성 접속부(1005)를 포함하는 가요성 케이블(1004)를 보여준다. 2 개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1006, 1007)이 전도성 접속부(1005)에 배치된다.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1006, 1007)은 그 두께 방향으로 압축가능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1006, 1007)은 SMD 접촉 패드로도 알려져 있는 소위 표면 장착 디바이스(SMD) 커넥터 모듈이고,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전도성 납땜가능 막으로 피복된 실리콘 고무 코어를 갖는 유형의 SMD 접촉 패드이다. 이 도성 막에 의해 전도성 접촉점(1005)과 전기활성 컴포넌트의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961) 및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962)에 각각 관련된 각각의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에 제공된 도체 사이에 전기 접속이 확보된다.
도 10b는 또한 2 개의 SMD 커넥터용 개스킷의 형태를 취하는 제 1 하우징 요소(1011)를 보여준다. 이 개스킷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마지막으로, 도 10a는 또한 방습 인클로저를 제공하는 제 2 하우징 요소(1012)를 보여준다. 제 2 하우징 요소(1012)는 도 9a 내지 도 9f와 관련하여 기술된 제 2 하우징 요소(912)와 매우 유사하며, 유사한 슬릿 형상의 개구(1012')를 포함하고, 이것으로 인해 제 2 하우징 요소(1012)가 가요성 케이블(1004) 위로 미끄러질 수 있거나 반대로 가요성 케이블(1004)이 이것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결과적인 커넥터는 렌즈의 둘레 림에 적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SMD 커넥터는 렌즈의 노출된 접촉 영역에 (직간접적으로) 적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피스의 반경방향 내향의 둘레의 연부 상의 그루브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커넥터(1100)의 여러 부분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11a는 2 개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1105, 1106)을 보여주며, 여기서는, 예를 들면, ZEBRA® 유형의 2 개의 별개의 압축가능한 z축 커넥터 모듈(1105, 1106)의 형태를 취한다. 각각의 z축 커넥터 모듈(1105, 1106)은 비전도성 탄성 코어(1107) 및 다수의 병렬 권선(1108)을 포함한다. 도 11b는 실링 유닛(1110)을 보여주며, 여기서는 각각의 z축 커넥터 모듈(1105, 1106)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2 개의 개구(111, 1112)를 포함하는 단일의 가요성 하우징 요소로서 구현된다. 실링 유닛(1110)은 2 개의 개구(1111, 1112) 사이의 절연성 부분(1013)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2 개의 z축이 추가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또한 이들 개구의 위 또는 아래의 임의의 전도성 부분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실링 유닛(1110)의 길이방향 상부 연부는 가요성 케이블(1004)이 그 안에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양 단부의 연부보다 더 높다. 결과적인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는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도 11c는 부분 '투명' 사시도이고, 도 11d는 커넥터의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인 평면을 통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여기서, 최소 수의 부품을 갖는 실시형태임이 분명하다. 특히, 가요성 케이블(1004)이 커넥터의 상면을 형성하므로 추가의 오버몰드가 불필요하다. z축 커넥터 모듈은 렌즈의 둘레의 연부(965), 실링 유닛(1110), 및 가요성 케이블(1004) 사이에 둘러싸이고, 이러한 방식으로 습기로부터 보호된다.
도 12a는 도 9a 내지 도 9f에 도시된 렌즈와 유사하게 커넥터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예를 들면, 에칭, 레이저 절단 또는 밀링 기술을 사용하여) 섹션이 제거된 렌즈(960)의 베벨형 연부(965)를 보여준다. 이 실시형태에서 렌즈의 제거된 부분은 노출된 접촉 영역(966, 967)에서 각각의 도체(미도시)가 제공되는 평탄한 렌즈 표면(964)를 생성한다. 도 12b는 복수의 더 작은 섹션(964A, 964B, 964C)이 제거되어 각각 접촉 영역을 노출시키는 다른 선택지를 보여준다. 후자의 실시형태의 이점은 신뢰할 수 있는 전기 접속이 확립될 수 있도록 커넥터(들)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이지만, 단점은 이 경우에는 커넥터가 렌즈의 상측에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e 및 도 14는 다양한 조립 단계에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300)를 갖는 전기활성 렌즈(136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도 13a는 전기활성 렌즈(1360)의 둘레 림 또는 연부(1365)의 일부를 도시하며, 이것은 이 실시형태에서 전기활성 렌즈(1360)의 연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반경방향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전기활성 렌즈(1360)는 렌즈의 광학 특성의 변화를 일으키도록 제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1368)를 포함한다. 전술한 렌즈와 유사하게, 이 렌즈(1360)는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1370) 및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1371)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및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은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전기활성 렌즈(1360)는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1370) 상에 형성된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1361) 및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1371) 상에 형성된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1362),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1361)과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1362) 사이의 실링된 공동, 및 예를 들면, 실링된 공동 내부에 배치되고,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1361) 또는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1362)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프레넬 렌즈 구조 등의 회절 렌즈 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1360)의 둘레의 반경방향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활성체의 둘레 림 또는 연부(1365)는 도 9a, 도 12a 및 도 12b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특정 거리를 따라 에칭, 절단 또는 밀링되지 않지만, 리세스(1372, 1373)가,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베벨형 연부의 두께를 통해 부분적으로만 각각의 홀을 천공함으로써 둘레의 연부(1365)의 직립 측면들 중 하나에 제공되었다. 이들 리세스는 둘레의 연부(1365) 내부에 존재하는 렌즈(1360) 내의 전기활성 컴포넌트(들)의 접촉 영역(1385)을 노출시킨다.
도 13b는 렌즈(1360)의 이 부분과 (선택적) 접속 요소(1380)의 둘 모두를 보여주며, 이것은, 예를 들면, 연부(1365)의 외면 위에 배치된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가요성 PCB의 형태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리세스(1372, 1373)의 위치에 배치되는 전도성 부분(1374, 1375)을 포함한다. 리세스는 전도성(비접착성 또는 접착성) 재료(1384)(도 14 참조)로 채워져 있다. 접속 요소(1380)는 2 개의 전도성 부분을 내장하고 있는 개구를 갖는 절연성 재료의 시트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접속 요소(1380)는 생략되고, 전도성 부분(1374, 1375)은 둘레의 연부(1365)에 또는 적어도 리세스(1372, 1373) 내에 존재하는 전도성 재료(1384)에 직접 부착된다. 각각의 경우, 각각의 전도성 부분(1374, 1375)의 외면과 렌즈의 각각의 접촉 영역(1385) 사이의 갈바닉 접속(galvanic connection)이 확립되어야 한다.
도면은 전도성 부분(1374, 1375) 위에 배치된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1381)을 보여준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1381)은 대체로 U 형상 또는 V 형상의 단면을 갖는 세장형 모듈이다.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1381)은 둘레 림(이것은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기판(1370, 1371)의 둘레의 반경방향 돌출부에 의해 형성됨) 위에 꼭 맞게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이로 인해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1381)의 내측이 접속 요소(1380)의 전도성 부분(1374, 1375) 또는 리세스(1372, 1373) 내에 배치된 전도성 재료(1384)와 밀접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 모듈이 z 방향으로만 (즉, 가요성 케이블(1004)로부터 전도성 부분(1374, 1375)을 향하는 방향이나 그 역방향으로만) 전도성을 가지는 경우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이 커넥터 모듈을 배치하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커넥터 모듈이, 예를 들면, 둘레의 방향과 같이 x-y 평면에서도 전도를 허용하는 경우, 가요성 케이블과 제 1 전도성 부분(1374) 사이의 접촉을 위한 제 1 커넥터 모듈 및 가요성 케이블과 제 2 커넥터 모듈(1375) 사이의 접촉을 위한 제 2 커넥터 모듈의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2 개의 별개의 커넥터 모듈이 사용된다. 이 가요성 케이블은 도 13d에서 가요성 케이블(1004)로서 도시되고, 커넥터 모듈(1381)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요성 케이블(1004)은 커넥터를 넘어 연장되어 프레임(920)(미도시) 내의 원격 위치에 배치된 제어 유닛(212)에 접속되거나 접속가능하다. 도 13e는 실링 유닛(1383)을 포함하는 전체 커넥터(1360)를 보여주며, 이 실링 유닛(1383)은 가요성 케이블(1004)이 실링 방식(즉, 슬릿 형상의 개구(1382)를 통해 습기나 오물이 실링 유닛 내로 진입할 수 없도록 실링 유닛(1383) 내부의 가요성 케이블의 부분이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실링되는 방식으로)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개구(1382)를 포함한다. 실링 유닛(1383)은 가요성 케이블(1004)의 관련 부분, 접속 요소(1380),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1381), 및 리세스(1372, 1373)을 둘러싸서 이들 모든 요소를 습기로부터 보호한다.
도 14는 이 실시형태의 커넥터(1360)의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인 평면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준다. 이 이미지에서, 전기활성 컴포넌트(1368)가 보이고, 특히 리세스(1372, 1373)가 특히 전기활성 컴포넌트(1368)을 노출시키기 위해 베벨형 연부(1365)를 통해 부분적으로만 연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활성 컴포넌트(1368)와 접속 요소(1380) 사이에 우수한 전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리세스(1372, 1373)는 전도성 재료(1384), 예를 들면, Ag 접착제 등의 접착제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고, 이것은 접속 요소(1380)의 일부이다. 접속 요소(1380)의 전도성 부분(1374, 1375)이 리세스(1372, 1373)에 의해 노출된 전기활성 컴포넌트(1368) 상의 접촉 영역(1385)에 확실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기타 재료 및/또는 요소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추가의 실시형태(A1)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전자 안경이 제공되며, 이 전자 안경은:
전방 부분, 제 1 템플 및 제 2 템플을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
- 상기 템플은 각각 그 일단부가 전방 부분의 일측에 부착되는 전방 템플 부분, 및 후방 템플 부분을 포함하고, 전방 템플 부분의 타단부는 전방 템플 부분 및 후방 템플 부분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각각의 후방 템플 부분에 부착됨 -; 및
제 1 디바이스 부분, 제 2 디바이스 부분, 제 1 디바이스 부분과 제 2 디바이스 부분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케이블, 및, 각각의 렌즈가 전기광학 컴포넌트인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 1 전방 템플 부분은 제 1 공동을 포함하고, 제 1 디바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공동에 배치되고, 제 2 전방 템플 부분은 제 2 공동을 포함하고, 제 2 디바이스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공동에 배치되고, 프레임의 전방 부분은 제 1 템플 부분의 제 1 공동과 제 2 템플 부분의 제 2 공동 사이에 연장하는 그루브를 포함하고, 가요성 케이블은 그루브 내에 배치된다.
실시형태(A1)에서, 제 1 템플 및 제 2 템플의 각각은 전방 부분 내측에 배치된 제 1 공동 및 제 2 공동에 각각 수용되는 후크 형상의 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실시형태 A2).
본 개시의 추가의 실시형태(A3)에서 안경은 커넥터 모듈을 전기활성 렌즈에 클램핑하여 커넥터의 실링을 개선하기 위해 커넥터 상에 기계적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 클램핑 메커니즘은 가요성 재료의 프레임을 제조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의 전방이 폴리아미드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경우, 프레임은 렌즈가 '파피드인(popped-in)'되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클램핑 메커니즘은, 프레임 부분이 렌즈의 둘레의 연부 상에 커넥터를 압박하도록, 스프링 작용이나 또 하나의 나사 등의 부착 수단에 의해 서로 압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상이한 프레임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본 개시는 또한 다음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A4: 실시형태 A1 내지 A3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전자 안경으로서, 프레임은 적어도 가요성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성형된 하나 이상의 그루브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A5: 실시형태 A1 내지 A4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전자 안경으로서, 그루브는 사용자와 마주하는 프레임 표면에 배치된다.
실시형태 A6: 실시형태 A5: 실시형태 A1 내지 A4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전자 안경으로서, 그루브는 전기활성 렌즈의 둘레 림과 마주하는 반경방향 내향의 둘레 면에 배치된다. 실시형태 A6: 실시형태 A1 내지 A5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전자 안경으로서, 그루브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그루브 내측의 가요성 케이블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요소를 포함하고, 이 실링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고 및/또는 실링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재료로 제조된다.
실시형태 A7: 실시형태 A1 내지 A6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전자 디바이스로서, 이 전자 디바이스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부분;
-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렌즈의 광학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 2 디바이스 부분;
- 배터리를 제어기에 접속하는 가요성 케이블;
- 제어기를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와이어.
실시형태 A8: 실시형태 A1 내지 A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안경으로서, 실링 재료가 제 1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링 및 제 2 압축가능한 및/또는 탄성인 링으로서 구현되고, 제 1 링이 제 1 리드와 제 1 공동 사이에 배치되어 내습성 시일을 제공하고, 제 2 링이 제 2 리드와 제 2 공동 사이에 배치되어 내습성 시일을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의 실시례로서 제시되었다. 이들 실시형태의 다양한 요소들은 대체물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또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일 실시형태의 요소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단일 요소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상이한 실시형태의 상이한 양태들은 조합될 수도 있다.

Claims (41)

  1. 제어 유닛과 전자 안경용 전기활성 렌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광학 컴포넌트 사이에 전자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커넥터로서,
    상기 전기활성 렌즈는 둘레 림(rim)을 가지며, 상기 둘레 림을 따라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이 배치되어 상기 전기광학 컴포넌트와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고, 상기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를 포함하는 가요성 케이블 - 상기 가요성 케이블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접속되도록 및/또는 상기 제어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함 -;
    상기 렌즈의 둘레 림과 상기 가요성 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과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 상기 가요성 케이블이 상기 전자 안경의 프레임 내에 그리고 상기 전기활성 렌즈의 둘레 림 상에 설치될 때,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상기 렌즈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커넥터가 상기 렌즈 상에 설치될 때,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적어도 전도성 접속부와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실링 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의 크기 및 형상은 상기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의 전체 접촉 영역을 동시에 덮을 수 있는 정도인,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 및/또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상기 커넥터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와 상기 전기활성 렌즈의 각각의 노출된 접촉 영역 사이에 전기 컨덕턴스(conductance)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께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 평면에서 전기 절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는 상기 노출된 접촉 영역 중 관련된 하나의 노출된 접촉 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z 방향으로만 전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고무 또는 탄성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교대로 배치되는 전도성 영역과 절연성 영역을 포함하는,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복수의 압축가능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의 각각의 접촉 영역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표면 장착 디바이스(SMD), 예를 들면, 전도성 막으로 피복된 실리콘 고무 코어를 갖는 SMD를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는, 상기 가요성 케이블이 상기 전자 안경의 프레임에 설치될 때, 두께 방향으로 0.2 mm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2.5 mm에 걸쳐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직접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을 갖는,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요소는 상기 전기활성 렌즈의 노출된 접촉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도포될 도전성 접착제 재료, 예를 들면, Ag 접착제를 포함하는, 커넥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요소는 상기 전기활성 렌즈의 노출된 접촉 영역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될 전도성 테이프를 포함하는, 커넥터.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요소는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을 덮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전도성 영역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접속 요소는 그 두께에 걸쳐서만 도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전도성 테이프를 포함하는 접속 요소는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의 상기 전기활성 렌즈의 노출된 접촉 영역 사이에 전기적 상호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전도성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두께 방향은 상기 접속 요소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입자들은 상기 접속 요소가 접속 요소의 평면 내에서 전기 절연성을 갖도록 충분이 이격되는, 커넥터.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요소와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접속 요소를 포함하는,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접속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를 포함하는, 커넥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가요성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렌즈 상에 설치될 때, 상기 가요성 하우징은, 상기 렌즈와 함께, 적어도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상기 노출된 접촉 영역, 그리고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추가의 부분 및/또는 상기 접속 요소 또는 접속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위한 방수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하는, 커넥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하우징은 탄성 재료, 예를 들면, 실리콘을 포함하는, 커넥터.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의 가요성 하우징은 적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하우징 요소 및 상기 제 2 하우징 요소 및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상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제 2 하우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 요소는 적어도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를 더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하우징은 실리콘 오버몰드(overmold)이고, 및/또는 상기 가요성 하우징은 슬릿 형상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 형상의 개구를 통해 상기 가요성 케이블이 실링 방식으로 연장하는, 커넥터.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가요성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렌즈 상에 설치될 때, 상기 가요성 케이블은 적어도 상기 접속부의 위치에서 상기 가요성 하우징을 통해 연장하는, 커넥터.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가요성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렌즈 상에 설치될 때, 상기 가요성 케이블은 상기 가요성 하우징과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사이에 연장하는, 커넥터.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림은 직립 측면들을 갖는 둘레의 반경방향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고, 리세스가 상기 전기활성 렌즈의 전기활성 요소 상의 각각의 접촉 영역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직립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커넥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상기 둘레의 반경방향 돌출부에 위에 꼭 맞게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단면이 대체로 U 형상 또는 V 형상인, 커넥터.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개스킷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하우징 요소를 포함하는, 커넥터.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하도록 더 구성되는, 커넥터.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 상기 노출된 접촉 영역, 및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접속부, 그리고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접속 요소 또는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환경으로부터 실링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0. 전자 안경으로서,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 - 상기 전기활성 렌즈는 전기광학 요소 및 상기 렌즈의 둘레 림을 따라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접촉 영역은 상기 전기광학 요소와 접속하는 접촉 단자를 포함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의 전기광학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의 전기광학 요소 사이에 전자 접속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안경.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가요성 케이블이 상기 프레임 내에 및/또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설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상기 렌즈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압축되는, 전자 안경.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기활성 렌즈의 둘레 림과 마주하는 반경방향 내향의 둘레 면(941) 내에 하나 이상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루브는 적어도 상기 가요성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성형되는, 전자 안경.
  33. 제 30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커넥터 모듈은 상기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에 직접 적용되거나, 상기 커넥터의 접속 요소가 상기 복수의 노출된 접촉 영역에 직접 적용되는, 전자 안경.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는 광의 조정가능한 투과를 위해 배치되는, 전자 안경.
  35. 제 3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의 전기활성 컴포넌트는:
    -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및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 - 상기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및 상기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은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함 -;
    - 상기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
    - 상기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에 접속되는 프레넬 렌즈 구조 등의 회절 렌즈 구조; 및
    - 상기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과 상기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 사이의 실링된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된 공동 내에는 액정(LC) 재료의 적어도 LC 층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LC) 재료 내에서 액정은 대체로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 및/또는 상기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기활성 렌즈의 광학 파워를 변경하고, 이로 인해 상기 LC 층의 굴절률을 횡방향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안경.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 영역은 상기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의 노출된 영역인, 전자 안경.
  37. 제 3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의 둘레 림은 상기 제 1 광학적 투명 기판 및 상기 제 2 광학적 투명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둘레의 반경방향 돌출부인, 전자 안경.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의 반경방향 돌출부는 상기 제 1 광학적 투명 전극 및 상기 제 2 광학적 투명 전극이 연장하는 둘레의 베벨형 연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벨형 연부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노출된 접촉 영역이 형성되는, 전자 안경.
  39. 제 3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전기활성 렌즈 상에 클램핑하기 위해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커넥터 상에 기계적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전자 안경.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전자 안경.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은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및/또는 상기 클램핑 메커니즘은 스프링 작용에 의해 또는 나사 등의 부착 수단에 의해 서로에 대해 유지될 수 있는 상이한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 부분은 상기 커넥터를 상기 렌즈 상에 압박하는, 전자 안경.
KR1020237008875A 2020-08-14 2021-08-12 전자 안경에 적합한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안경 KR20230051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6272 2020-08-14
NL2026272A NL2026272B1 (en) 2020-08-14 2020-08-14 Connector suitable for electronics glasses and electronic glasses comprising such a connector
PCT/EP2021/072546 WO2022034194A1 (en) 2020-08-14 2021-08-12 Connector suitable for electronic glasses and electronic glasses comprising such a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548A true KR20230051548A (ko) 2023-04-18

Family

ID=7409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875A KR20230051548A (ko) 2020-08-14 2021-08-12 전자 안경에 적합한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안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96922A1 (ko)
EP (1) EP4196845A1 (ko)
JP (1) JP2023539070A (ko)
KR (1) KR20230051548A (ko)
CN (1) CN116097154A (ko)
NL (1) NL2026272B1 (ko)
WO (1) WO20220341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040A (en) * 1983-03-31 1986-12-16 Motorola, Inc. Variable color electrooptic display
JP2004281064A (ja) * 2003-03-12 2004-10-07 Shin Etsu Polymer Co Ltd ゼブラ型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組み付けた音響部品用ホルダ
US7318745B1 (en) * 2006-08-28 2008-01-15 Dci Marketing, Inc. Display systems and releasable power clamp for use therewith
US8979259B2 (en) * 2010-07-02 2015-03-17 Mitsui Chemicals, Inc. Electro-active spectacle frames
US10613355B2 (en) * 2007-05-04 2020-04-07 E-Vision, Llc Moisture-resistant eye wear
USRE48228E1 (en) * 2007-12-21 2020-09-29 Mitsui Chemical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for electronic spectacles, lens for electronic spectacles, and electronic spectacles
US8523354B2 (en) * 2008-04-11 2013-09-03 Pixeloptics Inc. Electro-active diffractive len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6285913B2 (ja) * 2012-04-25 2018-02-28 三井化学株式会社 導電性レンズ接続部及びその作製方法
US10423011B2 (en) * 2012-06-14 2019-09-24 Mitsui Chemicals, Inc. Lens, lens blank, and eyewear
ES2952754T3 (es) 2017-12-12 2023-11-03 Morrow N V Dispositivo ópt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6922A1 (en) 2023-09-21
NL2026272B1 (en) 2022-04-13
JP2023539070A (ja) 2023-09-13
EP4196845A1 (en) 2023-06-21
WO2022034194A1 (en) 2022-02-17
CN116097154A (zh)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6057B2 (en) Moisture-resistant eye wear
US10359649B2 (en) Electronic frames comprising electrical conductors
US20220155617A1 (en) Method of Integ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to an Eyeglass Frame, and Electronic Glasses
US8979259B2 (en) Electro-active spectacle frames
EP3264163A1 (en) Moisture-resistant electronic spectacle frames
US11061252B2 (en) Hinge for electronic spectacles
CN207968640U (zh) 电子设备
WO2012074797A1 (en) Electronic spectacle frames
JP6742059B2 (ja) 電子眼鏡
CN111033359B (zh) 镜框部件
CN111781746A (zh) 一种镜框、镜架及智能眼镜
US20230296922A1 (en) Connector suitable for electronic glasses and electronic glasses comprising such a connector
WO2012006631A2 (en) Electro-active spectacles frames
CN111051967B (zh) 眼睛佩戴物
CN113396360B (zh) 电活性透镜组件
US20230305320A1 (en) Moisture-resistant eye wear
CN213399096U (zh) 一种镜框、镜架及智能眼镜
CN116184688A (zh) 眼镜及眼镜的安装方法
CN111670404A (zh) 镜片单元
CN113454516A (zh) 用于智能眼镜的包括电子器件的单个单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