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836A -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0836A
KR20230050836A KR1020210134108A KR20210134108A KR20230050836A KR 20230050836 A KR20230050836 A KR 20230050836A KR 1020210134108 A KR1020210134108 A KR 1020210134108A KR 20210134108 A KR20210134108 A KR 20210134108A KR 20230050836 A KR20230050836 A KR 20230050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er
hole
top plate
cover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039B1 (ko
Inventor
조재호
Original Assignee
조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호 filed Critical 조재호
Priority to KR102021013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0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무선충전기 설치구조에 따르면면, 상기 상판(1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a)에 매립되도록 고정되며 일측에는 전원선(21a)이 연결된 무선충전기(21)와, 상기 관통공(11a)의 하단에 결합되어 무선충전기(21)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덮개판(22)과, 상기 관통공(11a)의 상단에 결합되어 관통공(11a)의 상단을 덮어 가리는 상부덮개판(23)으로 구성되어, 관통공(11a)에 무선충전기(21)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덮개판(22)과 상부덮개판(23)을 격합함으로써, 무선충전기(21)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 무선충전기(21)의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기 설치구조{wireless charger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통상의 테이블에무선충전기를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휴대전화기 충전을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등록실용신안 20-0482258호를 비롯한 다양한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가구의 상판에 무선충전기를 설치하여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무선충전기를 상판에 고정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 들어, 손톱을 다듬을 때, 네일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상기 네일 테이블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레그부재(12)와,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구비된 쿠션부재(13)로 구성되어, 상기 쿠션부재(13)에 손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손톱을 다듬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KR 등록실용신안 제 20-0482258호 KR 등록실용신안 제 20-047856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충전기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무선충전기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11)이 구비된 가구에 무선충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판(1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a)에 매립되도록 고정되며 일측에는 전원선(21a)이 연결된 무선충전기(21)와, 상기 관통공(11a)의 하단에 결합되어 무선충전기(21)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덮개판(22)과, 상기 관통공(11a)의 상단에 결합되어 관통공(11a)의 상단을 덮어 가리는 상부덮개판(2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덮개판(22)에는 상기 전원선(21a)이 통과하는 개구부(2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충전기(21)의 상단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1b)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a)의 상단에는 상기 플랜지부(21b)에 대응되는 확경부(1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충전기(21)와 하부덮개판(2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관통공(11a)의 내부에 고정된 하부지지대(24)와, 상기 무선충전기(21)와 하부지지대(24)의 사이에 구비되어 무선충전기(21)의 상면이 상기 상부덮개판(23)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구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레그부재(12)와,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구비된 쿠션부재(13)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재(13)는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핀(11c)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11)과 쿠션부재(13)의 사이에 구비되어 쿠션부재(13)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31)과, 상기 상판(11)과 쿠션부재(13)의 사이에 구비된 에어백(32)과, 상기 전원선(21a)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판(11)의 하측면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푸쉬버튼(33a)이 구비되어 상기 푸쉬버튼(33a)이 눌리면 전원선(21a)을 통해 상기 무선충전기(21)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스위치(33)와, 상기 상판(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연결관(45)을 통해 상기 에어백(32)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32)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신장되어 상기 전원스위치(33)의 푸쉬버튼(33a)을 가압하는 가압실린더(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에 따르면면, 상기 상판(1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a)에 매립되도록 고정되며 일측에는 전원선(21a)이 연결된 무선충전기(21)와, 상기 관통공(11a)의 하단에 결합되어 무선충전기(21)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덮개판(22)과, 상기 관통공(11a)의 상단에 결합되어 관통공(11a)의 상단을 덮어 가리는 상부덮개판(23)으로 구성되어, 관통공(11a)에 무선충전기(21)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덮개판(22)과 상부덮개판(23)을 격합함으로써, 무선충전기(21)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 무선충전기(21)의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네일 테이블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 설치구조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의 제3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기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네일 테이블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네일테이블은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레그부재(12)와,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구비된 쿠션부재(13)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판(11)의 일측에는 상기 쿠션부재(13)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1a)에 매립되도록 고정되며 일측에는 전원선(21a)이 연결된 무선충전기(21)와, 상기 관통공(11a)의 하단에 결합되어 무선충전기(21)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덮개판(22)과, 상기 관통공(11a)의 상단에 결합되어 관통공(11a)의 상단을 덮어 가리는 상부덮개판(23)이 더 구비된다.
상기 무선충전기(21)는 원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측에 휴대전화(1)가 올려지면 이를 감지하여 휴대전화(1)를 충전하도록 된 것으로, 상면에는 램프(21c)가 구비되어 휴대전화(1)를 충전할 때 상기 램프(21c)가 on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단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1a)의 상단에는 상기 플랜지부(21b)에 대응되는 확경부(11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기(21)를 관통공(11a)이 내부에 삽입하면, 상기 플랜지부(21b)가 확경부(11b)의 상면에 올려져 무선충전기(21)가 관통공(11a)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덮개판(22) 지름이 상기 관통공(11a)의 지름에 비해 조금 큰 원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11a)의 하단을 덮도록 상기 상판(11)의 하측면에 접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부덮개판(22)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선(21a)이 통과하는 개구부(22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덮개판(23)은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재질의 원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11a)의 상부를 덮도록 상판(11)의 상면에 접착고정되는 것으로, 투광성의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무선충전기(21)에 구비된 램프(21c)가 on되면 램프(21c)의 빛이 상부덮개판(23)을 투과하여, 상부에서 상기 램프(21c)의 빛이 보이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덮개판(23)의 상면에 휴대전화(1)를 올려놓으면, 상기 무선충전기(21)가 휴대전화(1)를 충전한다.
이때, 상기 무선충전기(21)는 상면에 구비된 램프(21c)를 on시켜, 램프(21c)의 빛이 상기 상부덮개판(23)을 투과하여 상부덮개의 상부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램프(21c)의 빛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충전이 진행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에 따르면면, 상기 상판(1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a)에 매립되도록 고정되며 일측에는 전원선(21a)이 연결된 무선충전기(21)와, 상기 관통공(11a)의 하단에 결합되어 무선충전기(21)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덮개판(22)과, 상기 관통공(11a)의 상단에 결합되어 관통공(11a)의 상단을 덮어 가리는 상부덮개판(23)으로 구성되어, 관통공(11a)에 무선충전기(21)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덮개판(22)과 상부덮개판(23)을 격합함으로써, 무선충전기(21)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 무선충전기(21)의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무선충전기(21)의 상단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1b)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a)의 상단에는 상기 플랜지부(21b)에 대응되는 확경부(11b)가 형성됨으로, 무선충전기(21)를 관통공(11a)에 결합하면, 상기 플랜지부(21b)가 확경부(11b)에 안착되어 무선충전기(21)를 지지함으로, 무선충전기(2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네일 테이블에 적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네일 테이블 이외에 다양한 가구의 상판에 무선충전기(21)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무선충전기(21)와 하부덮개판(2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관통공(11a)의 내부에 고정된 하부지지대(24)와, 상기 무선충전기(21)와 하부지지대(24)의 사이에 구비되어 무선충전기(21)의 상면이 상기 상부덮개판(23)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25)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하부지지대(24)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관통공(11a)의 내주면에 나사못(24a)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 스프링(25)은 일반적인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충전기(21)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무선충전기(21)와 상부덮개판(23)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네일 테이블이 진동될 때, 무선충전기(21)가 관통공(11a)의 내부에서 유동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충전기 설치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프링(25)에 의해 무선충전기(21)가 상부덮개판(23)에 밀착되도록 상측으로 가압됨으로, 무선충전기(21)가 상부덮개판(23)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부덮개판(23)에 올려진 휴대전화(1)의 충전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충전기(21)는 휴대전화(1)와 간격이 멀어질 경우 충전효율이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이때, 일반적인 가구의 상판(11)은 목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이 목재로 제작된 상판(1)에 상기 확경부(11b)를 형성할 경우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사용중에 상판(11)이 휘어 상기 무선충전기(21)가 상부덮개판(23)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무선충전기(21)와 상기 상부덮개판(23)의 상면에 올려진 휴대전화(1)의 간격이 멀어져, 휴대전화(1)의 충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무선충전기(21)가 제1 스프링(25)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됨으로, 확경부(11b)에 오차가 발생되거나 상판이 휘더라도, 무선충전기(21)가 상부덮개판(23)에 지속적으로 밀착되어, 휴대전화(1)의 충전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쿠션부재(13)는 상기 상판의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핀(11c)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과 쿠션부재(13)의 사이에 구비되어 쿠션부재(13)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31)과, 상기 상판과 쿠션부재(13)의 사이에 구비된 에어백(32)과, 상기 전원선(21a)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푸쉬버튼(33a)이 구비되어 상기 푸쉬버튼(33a)이 눌리면 전원선(21a)을 통해 상기 무선충전기(21)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스위치(33)와, 상기 상판의 하측에 구비되어 연결관(45)을 통해 상기 에어백(32)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32)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신장되어 상기 전원스위치(33)의 푸쉬버튼(33a)을 가압하는 가압실린더(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에어백(32)은 플랙시블하면서 신축되지 않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공기가 저장된다.
상기 가압실린더(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고정된 실린더(41)와,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42)과, 상기 피스톤(42)의 일측에서 상기 푸쉬버튼(33a)쪽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43)와, 상기 실린더(4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42)을 피스톤로드(43)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 스프링(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45)은 상기 실린더(41)에서 상기 피스톤로드(43)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쪽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관(45)을 통해 실린더(41)의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42)과 피스톤로드(43)가 피스톤로드(43)의 연장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부재(13)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로드(43)가 후퇴되어 상기 전원스위치(33)의 푸쉬버튼(33a)이 돌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무선충전기(2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무선충전기(21)가 off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톱을 다듬기 위해 상기 쿠션부재(13)에 손을 올려놓으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재(13)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하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백(32)이 압축되어 에어백(32)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연결관(45)을 통해 가압실린더(4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실린더(40)가 신장되면서 피스톤로드(43)가 상기 전원스위치(33)의 푸쉬버튼(33a)을 눌러서, 상기 무선충전기(21)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네일 테이블은 사용자가 손톱을 다듬기 위해 쿠션부재(13)에 손을 올려놓을 때만 상기 무선충전기(21)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부덮개판(23)에 올려진 휴대전화(1)를 충전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무선충전기(21)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기를 낭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상판 12. 레그부재
13. 쿠션부재 21. 무선충전기
22. 하부덮개 23. 상부덮개

Claims (4)

  1. 상판(11)이 구비된 가구에 무선충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판(1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a)에 매립되도록 고정되며 일측에는 전원선(21a)이 연결된 무선충전기(21)와,
    상기 관통공(11a)의 하단에 결합되어 무선충전기(21)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덮개판(22)과,
    상기 관통공(11a)의 상단에 결합되어 관통공(11a)의 상단을 덮어 가리는 상부덮개판(23)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덮개판(22)에는 상기 전원선(21a)이 통과하는 개구부(2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21)의 상단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1b)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a)의 상단에는 상기 플랜지부(21b)에 대응되는 확경부(1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21)와 하부덮개판(2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관통공(11a)의 내부에 고정된 하부지지대(24)와,
    상기 무선충전기(21)와 하부지지대(24)의 사이에 구비되어 무선충전기(21)의 상면이 상기 상부덮개판(23)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제1 스프링(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레그부재(12)와,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구비된 쿠션부재(13)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재(13)는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핀(11c)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11)과 쿠션부재(13)의 사이에 구비되어 쿠션부재(13)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31)과,
    상기 상판(11)과 쿠션부재(13)의 사이에 구비된 에어백(32)과,
    상기 전원선(21a)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판(11)의 하측면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푸쉬버튼(33a)이 구비되어 상기 푸쉬버튼(33a)이 눌리면 전원선(21a)을 통해 상기 무선충전기(21)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스위치(33)와,
    상기 상판(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연결관(45)을 통해 상기 에어백(32)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32)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신장되어 상기 전원스위치(33)의 푸쉬버튼(33a)을 가압하는 가압실린더(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KR1020210134108A 2021-10-08 2021-10-08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KR10263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08A KR102634039B1 (ko) 2021-10-08 2021-10-08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08A KR102634039B1 (ko) 2021-10-08 2021-10-08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836A true KR20230050836A (ko) 2023-04-17
KR102634039B1 KR102634039B1 (ko) 2024-02-05

Family

ID=8612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108A KR102634039B1 (ko) 2021-10-08 2021-10-08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0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257U (ko) * 2011-10-04 2013-04-12 이상준 매립형 조명등용 케이스
JP2014501034A (ja) * 2010-10-28 2014-01-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無線電力供給ユニット、及び、光透過性カバーと照明システムとを有する配置
KR20150003282U (ko) * 2014-02-25 2015-09-02 (주)카네비컴 테이블 매립용 무선충전기기
KR200482258Y1 (ko) 2015-10-22 2017-01-04 주식회사 퍼시스 테이블 매립형 무선 충전장치
KR20170002353U (ko) * 2015-12-22 2017-07-03 박재범 미닫이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1034A (ja) * 2010-10-28 2014-01-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無線電力供給ユニット、及び、光透過性カバーと照明システムとを有する配置
KR20130002257U (ko) * 2011-10-04 2013-04-12 이상준 매립형 조명등용 케이스
KR20150003282U (ko) * 2014-02-25 2015-09-02 (주)카네비컴 테이블 매립용 무선충전기기
KR200478565Y1 (ko) 2014-02-25 2015-10-20 (주)카네비컴 테이블 매립용 무선충전기기
KR200482258Y1 (ko) 2015-10-22 2017-01-04 주식회사 퍼시스 테이블 매립형 무선 충전장치
KR20170002353U (ko) * 2015-12-22 2017-07-03 박재범 미닫이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039B1 (ko)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455S (en) Trim cover
KR20230050836A (ko) 무선충전기 설치구조
CN206379297U (zh) 一种带扭簧的薄型开关
CN103179892A (zh) 具有伸缩式目标的如厕训练装置
US7275477B1 (en) Piston assembly for air pump
TW200644669A (en) Wireless phone system
PT1650469E (pt) ¿apoio para a fixação e o suporte de uma haste de pistão¿
USD948424S1 (en) Portable 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KR20180129186A (ko) 휴대폰의 거치위치를 조정하는 무선 충전 거치대
CN209944141U (zh) 一种带有机械式开关功能快速接线端子的分体式吸顶灯
US9445653B2 (en) Bluetooth audio
CN218884971U (zh) 一种城市规划地形勘测用定位装置
KR101118444B1 (ko) 휴대폰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조전원공급장치
KR100443897B1 (ko) 안마 기기용 솔레노이드
CN212226892U (zh) 一种移动灯具的灯座结构
CN206412268U (zh) 一种采用弧形弹片的薄型开关
CN215294700U (zh) 一种语音控制灯
CN206412274U (zh) 一种触点左右接触的薄型开关
JP6895854B2 (ja) リモコン装置及びトイレ装置
CN206674044U (zh) 改进型侧按键及具有该侧按键的手机
CN111918465B (zh) 无源自发电照明控制开关及其电路
US202200822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 phone cases with charging port illumination
CN208154226U (zh) 一种usb充电的移动触摸小夜灯
CN215570154U (zh) 一种可移动充电led灯具
ES2186239T3 (es) Altavoz de bobina mov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