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933A - 블록체인 기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방법과 교수학습자 코인 보상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방법과 교수학습자 코인 보상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933A
KR20230049933A KR1020210133052A KR20210133052A KR20230049933A KR 20230049933 A KR20230049933 A KR 20230049933A KR 1020210133052 A KR1020210133052 A KR 1020210133052A KR 20210133052 A KR20210133052 A KR 20210133052A KR 20230049933 A KR20230049933 A KR 20230049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ing
educational content
evaluation
collective intelligence
sharing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899B1 (ko
Inventor
박범조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3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8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방법과 교수학습자 코인 보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한 교수학습자에게 제작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코인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콘텐츠의 제작을 독려하고, 교육 콘텐츠를 평가한 교수학습자에게 평가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코인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콘텐츠의 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하고,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제공한 교수학습자에게 교육 콘텐츠의 업데이트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코인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콘텐츠가 꾸준하게 업데이트 되도록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방법과 교수학습자 코인 보상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Method, server and program of creat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rewarding lectlearners with coins using a blockchain-based platform for sharing education contents}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방법과 교수학습자 코인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점차 고도화되고 융합기술이 많아 짐에 따라 미래사회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수자 중심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종래의 교수학습법을 탈피하고, 교수자 없이 초연결 네트워크를 통해 융합 사고와 집단지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종래의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교육 방법은 참여율이 낮으며, 학습자들의 몰입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교수자 중심 시스템에서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보상이 제공되지만, 콘텐츠를 이용한 학습자에게는 보상이 없거나 오히려 이용료를 청구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와 이용자 사이의 보상구조 불균형이 존재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교육 생태계의 성장을 방해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17783, (2021.02.15)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수학습자로부터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전체 공개하기 전에 평가 채널에 업로드하고, 평가 채널 내 교수학습자로부터 수신되어 누적된 평가가 공개 기준을 만족하면 교육 콘텐츠를 서버 내 전체 공개로 전환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공개된 교육 콘텐츠를 다른 교수학습자가 편집하거나 내용을 추가함으로써 업그레이드 버전을 업로드할 수 있게 하며, 업그레이드 버전이 수신되면, 평가 채널 내 교수학습자로부터 수신되어 누적된 평가가 공개 기준을 만족하면, 업그레이드 버전을 서버 내 전체 공개로 전환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육 콘텐츠를 제작한 교수학습자에게 제작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코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육 콘텐츠를 평가한 교수학습자에게 평가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코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제공한 교수학습자에게 교육 콘텐츠의 업데이트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코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는 제1 교수학습자의 회원 가입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대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의해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내의 복수의 평가 채널 중 특정 평가 채널에 상기 교육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특정 평가 채널의 콘텐츠 평가팀 내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공개된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을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게 상기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육 콘텐츠의 제작에 따른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단계는,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을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이 공개되면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제1 교수학습자, 제2 교수학습자 및 제3 교수학습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이 수신될 때마다 기 설정된 집단지성 평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교육 콘텐츠의 이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에 기여한 교수학습자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횟수, 상기 특정 채널에 참여된 교수학습자의 수, 및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발생한 문제의 해결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집단지성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하고,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 업로드 횟수, 및 각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하여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3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하고,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하여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업로드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2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교육 콘텐츠의 이용 횟수에 기초하여 코인 보상을 산출하되, 상기 제1 교수학습자, 제2 교수학습자 및 제3 교수학습자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집단지성 기여도를 기반으로, 상기 코인 보상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 평가 채널에 속하는 교수학습자 중에서 코인 보유량이 많은 순서로 기 설정된 수의 제2 교수학습자를 콘텐츠 평가팀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프로그램은,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는 제1 교수학습자의 회원 가입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대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스; 상기 제1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의해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2 프로세스; 상기 플랫폼 내의 복수의 평가 채널 중 특정 평가 채널에 상기 교육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제3 프로세스; 상기 특정 평가 채널의 콘텐츠 평가팀 내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는 제4 프로세스; 상기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제5 프로세스; 상기 플랫폼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공개된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수신하는 제6 프로세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는 제7 프로세스; 및 상기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을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제8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는,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교수학습자의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는 제1 교수학습자의 회원 가입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대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가입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의해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플랫폼 내의 복수의 평가 채널 중 특정 평가 채널에 상기 교육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상기 특정 평가 채널의 콘텐츠 평가팀 내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플랫폼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공개된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을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평가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게 상기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육 콘텐츠의 제작에 따른 코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육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되면,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이 전체 공개되면,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 제2 교수학습자 및 제3 교수학습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이 수신될 때마다 기 설정된 집단지성 평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교육 콘텐츠의 이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에 기여한 교수학습자의 단말로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횟수, 상기 특정 채널에 참여된 교수학습자의 수, 및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발생한 문제의 해결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집단지성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하고,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 업로드 횟수, 및 각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3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하고,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업로드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2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교육 콘텐츠의 이용 횟수에 기초하여 코인 보상을 산출하되, 상기 제1 교수학습자, 제2 교수학습자 및 제3 교수학습자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집단지성 기여도를 기반으로, 상기 코인 보상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츠 평가 채널에 속하는 교수학습자 중에서 코인 보유량이 많은 순서로 기 설정된 수의 제2 교수학습자를 콘텐츠 평가팀으로 구성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교수학습자로부터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전체 공개하기 전에 평가 채널에 업로드하고, 평가 채널 내 교수학습자로부터 수신되어 누적된 평가가 공개 기준을 만족하면 교육 콘텐츠를 서버 내 전체 공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공개된 교육 콘텐츠를 다른 교수학습자가 편집하거나 내용을 추가함으로써 업그레이드 버전을 업로드할 수 있게 하며, 업그레이드 버전이 수신되면, 평가 채널 내 교수학습자로부터 수신되어 누적된 평가가 공개 기준을 만족하면, 업그레이드 버전을 서버 내 전체 공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 콘텐츠를 제작한 교수학습자에게 제작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코인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콘텐츠의 제작을 독려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 콘텐츠를 평가한 교수학습자에게 평가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코인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콘텐츠의 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제공한 교수학습자에게 교육 콘텐츠의 업데이트에 대한 보상으로 소정의 코인을 제공함으로써, 교육 콘텐츠가 꾸준하게 업데이트 되도록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여 교육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학습자로서의 교수학습자에게도 코인 보상의 혜택을 주며, 교수학습자 중에서 실시간 동료평가를 수행하는 자에게 추가 코인 보상의 혜택을 줌으로써 학습 몰입도를 높이고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과 이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교수학습자 중 누구라도 공개된 콘텐츠의 내용을 편집(개선)하여 업그레이드된 버전을 제공할 수 있고, 이 업그레이드 버전의 기여도를 판단하기 위한 실시간 동료평가 결과가 공개기준 이상의 기여도를 충족하면 업그레이드 버전과 함께 초기 제공자, 편집자의 이력을 공개하고 편집자와 동료평가자는 스마트계약에 근거한 소정의 코인 보상을 받으며, 이 업그레이드 과정이 반복되면 융합적 사고를 갖춘 다수 기여자의 아이디어 공유, 협력적 문제해결 등으로 인해 집단지성이 형성되고 최상의 콘텐츠가 만들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제1 교수학습자가 제작한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교육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평가팀의 평가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3 교수학습자로부터 도 3의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콘텐츠 평가팀의 평가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시스템은 서버를 포함하며, 서버는 교수학습자의 단말과 통신한다.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데이터베이스(130) 및 가입 모듈(140)을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서버(100)에 접속한 교수학습자의 단말과 통신하며, 구체적으로는 제1 교수학습자의 단말(30),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50) 및 제3 교수학습자의 단말(70)과 통신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명령어, 알고리즘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교수학습자의 정보, 교육 콘텐츠, 평가 피드백 정보, 동료 평가 결과, 산출된 집단지성 기여도, 코인 보상 내역 등이 저장된다.
가입 모듈(140)은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는 교수학습자의 회원 가입 요청에 응답으로 교수학습자에 대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며, 회원 가입 결과를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서버(100) 내 구성들의 제어를 담당하며, 데이터베이스(130) 내 명령어,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각 단계를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을 실행한다.
아래에서는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서버(1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제1 교수학습자가 제작한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교육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평가팀의 평가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3 교수학습자로부터 도 3의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콘텐츠 평가팀의 평가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콘텐트는 방송,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및 웹 문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콘텐츠(contents)는 콘텐트(content)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은 상호 직접 학습 개념을 도입하여 학습자가 교수자가 될 수 있으면서, 교수가가 학습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수학습자(lectlearners(lecturer=learner))는 학습자이며 교수자이고, 교수자이며 학습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은 융합지식 기반 미래 사회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교수자 중심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현행 교수학습법을 탈피하고, 교수자 없이 서로의 아이디어를 나누고 지식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집단 지성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이용하는 교수학습자와 콘텐츠 가치를 평가하는 동료 평가자에게 스마트 계약에 근거한 소정의 코인을 보상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지속성장이 가능한 교육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
서버(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는 제1 교수학습자의 회원 가입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제1 교수학습자에 대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S110)
일 실시예로, 서버(100)에는 교수학습자들을 위한 다수의 평가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교수학습자가 가입하면 교수학습자는 가입이 승인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평가 채널에 소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플랫폼에 가입하는 교수학습자가 소속되기 원하는 평가 채널에 해당 교수학습자를 소속시킬 수도 있고, 교수학습자의 전공, 이력 등을 분석하여 맞춤형으로 적어도 하나의 평가 채널에 소속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평가 채널 소속과 관련된 것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발명의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한다.
서버(100)가 통신부(120)를 통해 제1 교수학습자의 단말(30)로부터 제1 교수학습자에 의해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수신한다. (S120)
일 실시예로, 각각의 평가 채널은 복수의 팀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콘텐츠 제작팀, 콘텐츠 평가팀, 문제해결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교수학습자는 콘텐츠 제작팀의 소속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는 교수학습자라면 누구나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여 서버(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플랫폼 내의 복수의 평가 채널 중 특정 평가 채널에 S120에서 수신된 교육 콘텐츠를 업로드 한다. (S130)
도 3을 참조하면, 제1 교수학습자가 제작한 교육 콘텐츠를 서버(100)에 업로드하였으며, 교육 콘텐츠가 평가 채널 내 공개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세서(110)는 교육 콘텐츠를 서버(100)에 전체 공개를 하지 않고, 특정 평가 채널에 업로드하여 전체 공개로 전환해도 되는지 콘텐츠 평가팀에게 평가를 받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콘텐츠 평가 채널에 속하는 교수학습자 중에서 코인 보유량이 많은 순서로 기 설정된 수의 제2 교수학습자를 콘텐츠 평가팀으로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해당 평가 채널의 콘텐츠 평가팀 내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50)로부터 수신되는 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한다. (S140)
프로세서(110)가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교육 콘텐츠를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한다. (S150)
제2 교수학습자는 평가 채널 내 콘텐츠 평가팀의 소속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공개 조건은 교육 콘텐츠가 서버(100)에 전체적으로 공개되어도 되는지에 대한 최소한의 자격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제1 교수학습자의 단말(30)로부터 교육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교육 콘텐츠의 주제, 내용 및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복수의 평가항목을 포함하는 제1 평가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교수학습자는 교육 콘텐츠를 검토한 후 제1 평가폼 내 복수의 평가항목에 대한 점수를 평가하여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서버(100)로 업로드한다.
이때, 제1 공개 조건은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업로드한 제2 교수학습자의 수, 각 평가 항목의 평균점수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는 제1 공개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교육 콘텐츠를 도 4와 같이 전체 공개로 전환하여 플랫폼에 가입한 교수학습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교육 콘텐츠가 전체 공개로 전환되면,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교수학습자에게 교육 콘텐츠의 제작에 따른 코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제1 교수학습자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코인은 이미 발행되어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코인(예: 비트코인, 이더리움, 에이다 등)이 이용될 수도 있고,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코인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체적으로 제작된 코인이 이용되는 경우, 해당 코인이 거래소에 상장되면 교수학습자는 자신이 보유한 코인으로 현금을 환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상구조에 기반한 교육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성장이 가능하게 된다.
서버(100)가 통신부(120)를 통해 플랫폼에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제3 교수학습자의 단말(70)로부터 S150에서 공개된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수신한다. (S160)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50)로부터 수신되는 S160의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 누적하여 저장한다. (S170)
S170에서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업그레이드 버전을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한다. (S180)
S120 내지 S150을 통해 제1 교수학습자가 제작한 교육 콘텐츠가 서버(100)에 공개되었으나, 이와 같이 제작, 공개된 교육 콘텐츠는 수정사항이 있을 수도 있고, 해당 분야의 지식, 기술의 발전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교육 콘텐츠를 교수학습자들에게 공개한 이후에, 교수학습자들이 이에 대한 편집, 수정을 수행하여 업그레이드 버전을 업로드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교육 콘텐츠를 서버(100)에 전체 공개로 전환할 때와 마찬가지로,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도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전체 공개로 전환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업그레이드 버전과 교육 콘텐츠를 비교하여 복수의 평가항목을 포함하는 제2 평가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교수학습자는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검토한 후 제2 평가폼 내 복수의 평가항목에 대한 점수를 평가하여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서버(100)로 업로드한다.
이때, 제2 공개 조건은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업로드한 제2 교수학습자의 수, 각 평가 항목의 평균점수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는 제2 공개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교육 콘텐츠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도 6과 같이 전체 공개로 전환하여 플랫폼에 가입한 교수학습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업그레이드 버전이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되면,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제1 교수학습자, 제2 교수학습자 및 제3 교수학습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이 수신될 때마다, 기 설정된 집단지성 평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해당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횟수, 해당 특정 채널에 참여된 교수학습자의 수, 및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발생한 문제의 해결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집단지성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산출된 집단지성 포인트는 교육 콘텐츠가 얼마나 많은 교수학습자들의 노력으로 업데이트 되고, 얼마나 적극적으로 각종 문제가 해결되었는지를 수치화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집단지성 포인트가 높은 교육 콘텐츠일수록 많은 교수학습자들의 노력이 투입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교육 콘텐츠의 이용 횟수에 기초하여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에 기여한 교수학습자에게 소정의 코인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에 기여한 교수학습자는 교육 콘텐츠를 제작한 제1 교수학습자, 교육 콘텐츠와 이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평가한 제2 교수학습자,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업로드한 제3 교수학습자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교수학습자의 교육 콘텐츠 제작에 따른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한다.
프로세서(110)는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의 업로드 횟수 및 각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하여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제3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한다.
프로세서(110)는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 및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하여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업로드 횟수를 기반으로 제2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교육 콘텐츠의 이용 횟수에 기초하여 코인 보상을 산출하되, 제1 교수학습자, 제2 교수학습자 및 제3 교수학습자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집단지성 기여도를 기반으로 코인 보상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업그레이드 버전을 업로드 하는 교수학습자에게 코인을 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교육 콘텐츠가 꾸준하게 업데이트 되도록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하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시스템
30: 제1 교수학습자 단말
50: 제2 교수학습자 단말
70: 제3 교수학습자 단말
100: 서버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가입 모듈

Claims (21)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는 제1 교수학습자의 회원 가입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대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의해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내의 복수의 평가 채널 중 특정 평가 채널에 상기 교육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특정 평가 채널의 콘텐츠 평가팀 내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공개된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을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게 상기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육 콘텐츠의 제작에 따른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단계는,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을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이 공개되면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제1 교수학습자, 제2 교수학습자 및 제3 교수학습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이 수신될 때마다 기 설정된 집단지성 평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 포인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교육 콘텐츠의 이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에 기여한 교수학습자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횟수, 상기 특정 채널에 참여된 교수학습자의 수, 및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발생한 문제의 해결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집단지성 포인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하고,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 업로드 횟수, 및 각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하여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3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하고,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하여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업로드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2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교육 콘텐츠의 이용 횟수에 기초하여 코인 보상을 산출하되, 상기 제1 교수학습자, 제2 교수학습자 및 제3 교수학습자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집단지성 기여도를 기반으로, 상기 코인 보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 평가 채널에 속하는 교수학습자 중에서 코인 보유량이 많은 순서로 기 설정된 수의 제2 교수학습자를 콘텐츠 평가팀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
  11. 컴퓨터와 결합되어,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는 제1 교수학습자의 회원 가입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대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제1 프로세스;
    상기 제1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의해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2 프로세스;
    상기 플랫폼 내의 복수의 평가 채널 중 특정 평가 채널에 상기 교육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제3 프로세스;
    상기 특정 평가 채널의 콘텐츠 평가팀 내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는 제4 프로세스;
    상기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제5 프로세스;
    상기 플랫폼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공개된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수신하는 제6 프로세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는 제7 프로세스; 및
    상기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을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제8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프로그램.
  12.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교수학습자의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는 제1 교수학습자의 회원 가입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대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가입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 의해 제작된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플랫폼 내의 복수의 평가 채널 중 특정 평가 채널에 상기 교육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상기 특정 평가 채널의 콘텐츠 평가팀 내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교육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플랫폼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제3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공개된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교수학습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을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평가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게 상기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교육 콘텐츠의 제작에 따른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육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전체 공개되면,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이 전체 공개되면, 스마트 계약 기반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 제2 교수학습자 및 제3 교수학습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이 수신될 때마다 기 설정된 집단지성 평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 포인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교육 콘텐츠의 이용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집단지성에 기여한 교수학습자의 단말로 소정의 코인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횟수, 상기 특정 채널에 참여된 교수학습자의 수, 및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발생한 문제의 해결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집단지성 포인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하여 누적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하고,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업그레이드 버전 업로드 횟수, 및 각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3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하고,
    상기 교육 콘텐츠에 대한 제1 평가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업그레이드 버전에 대한 제2 평가 피드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업로드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2 교수학습자의 집단지성 기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교육 콘텐츠의 이용 횟수에 기초하여 코인 보상을 산출하되, 상기 제1 교수학습자, 제2 교수학습자 및 제3 교수학습자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집단지성 기여도를 기반으로, 상기 코인 보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츠 평가 채널에 속하는 교수학습자 중에서 코인 보유량이 많은 순서로 기 설정된 수의 제2 교수학습자를 콘텐츠 평가팀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및 보상 서버.
KR1020210133052A 2021-10-07 2021-10-07 블록체인 기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방법과 교수학습자 코인 보상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623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052A KR102623899B1 (ko) 2021-10-07 2021-10-07 블록체인 기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방법과 교수학습자 코인 보상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052A KR102623899B1 (ko) 2021-10-07 2021-10-07 블록체인 기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방법과 교수학습자 코인 보상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933A true KR20230049933A (ko) 2023-04-14
KR102623899B1 KR102623899B1 (ko) 2024-01-10

Family

ID=8594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052A KR102623899B1 (ko) 2021-10-07 2021-10-07 블록체인 기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방법과 교수학습자 코인 보상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8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783A (ko) * 2012-08-30 2014-03-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강의 큐레이터 시스템 및 방법
KR101478282B1 (ko) * 2013-06-24 2015-01-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집단지성을 이용한 웹 기반 번역서비스 방법
KR20150094147A (ko) * 2014-02-10 2015-08-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혜 구성 방법
KR102163780B1 (ko) * 2020-04-24 2020-10-08 주식회사 미소트리 교수자를 위한 영어 교육 플랫폼
KR102217783B1 (ko) 2019-11-05 2021-02-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자-교수자간 상호작용 극대화를 위한 5g 텔레프레즌스 기반 hy-live(하이-라이브) 교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783A (ko) * 2012-08-30 2014-03-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강의 큐레이터 시스템 및 방법
KR101478282B1 (ko) * 2013-06-24 2015-01-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집단지성을 이용한 웹 기반 번역서비스 방법
KR20150094147A (ko) * 2014-02-10 2015-08-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혜 구성 방법
KR102217783B1 (ko) 2019-11-05 2021-02-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자-교수자간 상호작용 극대화를 위한 5g 텔레프레즌스 기반 hy-live(하이-라이브) 교육 시스템
KR102163780B1 (ko) * 2020-04-24 2020-10-08 주식회사 미소트리 교수자를 위한 영어 교육 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899B1 (ko)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ñán et al.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levels: a role for education
US20060166174A1 (en) Predi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edagogical agent modeling in the cognitive imprinting of knowledge and skill domains
Számadó et al. The language of cooperation: reputation and honest signalling
US20170236434A1 (en) Collaborative content ranking for skill development in an online education platform
JP2017068189A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学習支援装置用プログラム
KR20160123948A (ko) 교육 컨텐츠를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개발자 단말 및 그 방법
CN104620299A (zh) 跨班及跨机构题目验证
Skulimowski et al. A future‐oriented approach to the sel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for knowledge platforms
Ge et al. Revisiting cognitive tools from a social and motivational perspective
CN112541847A (zh) 基于大数据技术的线上线下相结合的智慧生活研学系统
JP717105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266499B1 (ko) 인재개발시스템 및 인재개발방법
KR20230049933A (ko) 블록체인 기반 교육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집단지성 형성 방법과 교수학습자 코인 보상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Huynh et al. Undergraduate researcher personas
US20170092144A1 (en) Rating multimedia content
Pukkinen et al.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Entrepreneurial Activities Supporting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Desirability of Rural Youth
Sun et al. Adaptive Micro Learning-Using Fragmented Time To Learn
KR102113005B1 (ko) 집단지성 기반의 가상 인격체 생성 장치
KR102596567B1 (ko) 집단지성 계발을 위한 게임이론 기반의 동료평가 및 협력학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Pan et al. Exploring the impact of intelligent learning tools on students’ independent learning abilities: a PLS-SEM analysis of grade 6 students in China
KR102644021B1 (ko) 과제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ltaleb et al. Enhancing College Education: An AI-driven Adaptive Learning Platform (ALP) for Customized Course Experiences
Gebetsroither-Geringer et al. Urban development simulator: How can participatory data gathering support modeling of complex urban systems
Rahmadi et al. Effect of E-Coaching and Learning Styles on the Performance Training Participants
JP6618226B1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