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532A -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532A
KR20230049532A KR1020220042789A KR20220042789A KR20230049532A KR 20230049532 A KR20230049532 A KR 20230049532A KR 1020220042789 A KR1020220042789 A KR 1020220042789A KR 20220042789 A KR20220042789 A KR 20220042789A KR 20230049532 A KR20230049532 A KR 20230049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nformation
transport device
thermoelectric modul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정우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532A/ko
Publication of KR2023004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5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06Q50/28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아이템 운송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열전 모듈;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연결 소켓; 상기 연결 소켓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공간부에 아이템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공간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열전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ITEM TRANSPORT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를 통해 주문된 아이템을 목적지로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상거래는 쇼핑의 한 분야로 자리잡았다. 고객은 직접 쇼핑몰이나 시장에 가지 않고도 온라인 상에서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 구매한 물품은 고객이 요청한 배송지로 배송된다.
전자상거래의 경우 상품에 대한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의 제공이 서비스 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관련하여, KR101756594B1 건 또는 KR101500849B1 건 등의 선행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를 통해 주문된 아이템을 목적지로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아이템 운송 시스템을 위한 아이템 운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열전 모듈;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연결 소켓; 상기 연결 소켓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공간부에 아이템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공간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열전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일면에 상기 열전 모듈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 모듈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가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템 운송 장치는, 상기 공간부와 관련된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의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열전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템 운송 장치는, 상기 공간부에 상기 아이템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의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열전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확인된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열전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템 운송 장치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솔라셀 모듈; 및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 전원 소켓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솔라셀 모듈이 생성하는 전력량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전원에 대한 연결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템 운송 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템 운송 장치는, 상기 아이템의 운송과 관련된 이동 수단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전원 소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아이템 운송 장치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간부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상기 배터리와 관련된 전력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및 상기 아이템의 아이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아이템의 목적지까지의 예상 배송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열전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관련된 이상 알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템 운송 장치는, 상기 공간부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상기 배터리와 관련된 전력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및 상기 아이템의 아이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관련된 이상 알림을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극 및 상기 연결 소켓의 연결 방식에 따라 상기 열전 모듈의 장착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장착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장착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열전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템의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장착 방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열전 모듈의 장착 방향 변경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극에 포함된 제1 전극에 대한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극에 포함된 제2 전극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연결 소켓에 연결된 방향을 판단하며, 상기 연결된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열전 모듈의 장착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열전 모듈은, 상기 열전 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 모듈에 대한 전력을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를 통해 주문된 아이템을 목적지로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시하여, 아이템 운송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280)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280)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와 관련된 이상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280)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대한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을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들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운송 시스템은 서버 장치(100), 사용자 장치(200) 및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구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 장치(100), 사용자 장치(200) 및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각각의 장치에 구현된 아이템 운송 시스템을 기반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시스템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더 다양한 전자 장치와 서버들에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 장치(1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장치(200)들과 무선 및 유선 통신을 수행하며, 아이템의 주문과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대단위의 저장 용량을 갖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1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장치(200)들과 연동되는 클라우드 장치(Cloud device)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는, 데스크탑 피시, 태블릿 피시, 모바일 단말 등의 개인 사용자, 관리자 또는 배달원 등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전자 장치들이 사용자 장치(200)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00)는, 복수 개의 아이템 운송 장치(300)들과 무선 및 유선 통신을 수행하며 각 아이템 운송 장치(300)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서비스를 통해 주문된 아이템을 보관하고 운송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아이템 운송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후술할 도 2 또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시스템은 동작을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 운송 시스템에 포함된 모듈들은 서비스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구현되는(또는, 물리적 장치에 포함되는) 물리적 장치(예: 서버 장치(100), 사용자 장치(200) 및 아이템 운송 장치(300))가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코드 내지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instruction)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이템 운송 시스템이 구현되는 물리적 장치는 복수 개의 모듈들을 컴퓨터 코드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 개의 모듈들은 물리적 장치가 복수 개의 모듈들에 대응하는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 2에서 설명하는 아이템 운송 장치의 구성을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케이스(210), 배터리(220), 열전 모듈(230), 상태 표시부(240), 통신부(250), 배치 감지 센서(260)와 온도 감지 센서(270) 및 프로세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내부에 아이템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아이템의 온도 조절을 위한 열전 모듈(230)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는 아이템이 입고되어 사용자가 주문한 아이템의 전달 완료 시까지 아이템을 보관하고 운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케이스(210)의 장착부는 열전 모듈(230)에 포함된 전극들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소켓을 형성하여 연결 소켓을 통해 열전 모듈(230)을 탈착 또는 부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열전 모듈(230)이 장착부에 장착됨으로써 케이스(210)의 내부와 외부가 분리되도록 케이스(2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한쪽 면이 오픈 되어 있고 해당 한쪽 면에 열전 모듈(230)을 장착할 경우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와 외부가 분리되도록 하는 구조로 아이템 운송 장치(300)가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오픈 되어 있는 면이 없어 내부와 외부가 처음부터 분리된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의 한쪽 면에 열전 모듈(230)이 장착될 수 있는 부가 장치가 구비되어, 열전 모듈(230)에 의한 내부 및 외부의 구분 없이 해당 부가 장치에 단순히 열전 모듈(230)을 장착하는 구조의 아이템 운송 장치(300) 역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220)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를 위한 전원부로서 아이템 운송 장치(300)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220)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포함된 프로세서(280) 및 케이스(210)의 연결 소켓을 포함한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220)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 전지판을 포함하는 솔라셀 모듈을 통해 충전되거나, 정격 전압 등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소켓 또는 외부 전원 연결 소켓을 통해 충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솔라셀 모듈 혹은, 전원 소켓 중 적어도 하나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솔라셀 모듈은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각 면에 부착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태양열을 받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 소켓은 아이템의 보관 및 운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한쪽 면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솔라셀 모듈 혹은 외부 전원은 어느 하나가 배터리(22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충전부에 따라 생성되는 전력량을 기반으로 충전부가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포함된 프로세서(280)는 솔라셀 모듈을 배터리(22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로 설정하되, 날씨 등의 영향으로 솔라셀 모듈이 생성하는 전력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외부 전원으로 충전부를 변경하기 위해 외부 전원에 대한 연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외부 전원으로 충전부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20)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가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충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무선 충전 모듈은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포함된 케이스(210)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배터리(220)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 및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포함된 아이템의 운송과 관련된 이동 수단과의 연결에 기반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 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전원 소켓이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아이템의 운송과 관련된 이동 수단에 기반하여 배터리(220)를 충전하는 전원 소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전 모듈(230)은 아이템 운송 장치(300)를 통해 보관 및 운송되는 아이템과,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에 대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열전 모듈(230)은 패널과 같은 형태의 펠티어 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펠티어 소자는 전원이 공급되면 패널의 한 쪽 면은 열을 방출하여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쪽 면은 열을 흡수하여 냉각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하나의 열전 모듈(230)의 패널 각 면 중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 방향으로 부착된 면을 통해 아이템 및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에 대한 온도를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다.
열전 모듈(230)은 케이스(210)에 포함된 장착부에 형성된 연결 소켓을 통해 케이스(210)에 탈착 또는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열전 모듈(230)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이 연결 소켓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열전 모듈(230)에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전극 및 케이스(210)에 포함된 연결 소켓의 연결 방식에 따라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이 결정되어 확인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80)는 이와 같은 장착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장착 방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아이템 및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에 대한 온도가 가열되는지 혹은 냉각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아이템 및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에 대한 적절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열전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아이템 및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에 대한 적절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열전 모듈(230)의 패널 각 면 중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 방향으로 가열되는 면이 부착되어야 함에도 냉각되는 면이 부착되어 있거나, 혹은 열전 모듈(230)의 패널 각 면 중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 방향으로 냉각되는 면이 부착되어야 함에도 가열되는 면이 부착되어 있는 등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이 잘못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280)는 이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80)는 아이템에 대해 확인되는 초기 온도 또는 아이템의 특성 등 아이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만약 아이템의 정보에 따라 필요한 가열 혹은 냉각 기능과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이 부적절하게 대응되는 경우 열전 모듈(230)에 대한 장착 방향 변경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은 열전 모듈(230)에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전극에 대한 연결 방향이 식별되는 점에 기반하여 확인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에 포함된 제1 전극에 대한 제1 식별 정보 및 적어도 두 개의 전극에 포함된 제2 전극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케이스(210)의 연결 소켓에 연결된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연결된 방향을 기반으로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80)는 제1 식별 정보를 통해 제1 전극이 케이스(210)의 연결 소켓 중 제1 소켓에 연결된 점을 확인하고 제2 식별 정보를 통해 제2 전극이 케이스(210)의 연결 소켓 중 제2 소켓에 연결된 점을 확인하는 경우, 전극이 연결된 특정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1 식별 정보를 통해 제1 전극이 케이스(210)의 연결 소켓 중 제2 소켓에 연결된 점을 확인하고 제2 식별 정보를 통해 제2 전극이 케이스(210)의 연결 소켓 중 제1 소켓에 연결된 점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특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전극이 연결된 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열전 모듈(230)은 케이스(210)에 형성된 연결 소켓을 통해 전력을 충전하거나, 혹은 열전 모듈(230)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자체적으로 전력을 충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이 활용되는 경우 배터리(220)를 통한 전력 공급과 별개로 열전 모듈(230)을 위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무선 충전 모듈이 열전 모듈(230)에 배치되어 포함될 수 있다. 연결 소켓을 통해 전력을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2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 때 배터리(220)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대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극과 전해질 계면으로의 이온 이동 또는 표면화학 반응에 의한 급속 충전 현상을 이용한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와 같은 부가적인 장치가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이 하나의 아이템 운송 장치(300) 내에서 하나의 열전 모듈(230)에 대한 전력을 연결 소켓 또는 무선 충전 모듈로 관리하는 방법 외에, 열전 모듈(230)에 대한 전력 충전의 용이한 관리를 위해 복수의 열전 모듈(230)들을 한번에 충전할 수 있도록 각 열전 모듈 사이의 연결을 위한 연결 단자가 구비된 열전 모듈(230)이 활용될 수도 있다. 즉, 열전 모듈(230)은 다른 열전 모듈(23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입력 단자와 다른 열전 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출력 단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통한 열전 모듈(230) 간 연결을 통해 복수의 열전 모듈(230)들을 한번에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소켓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충전 받는 제1 열전 모듈(230)의 출력 단자와 다른 제2 열전 모듈(230)의 입력 단자를 연결할 수 있고, 제2 열전 모듈(230)의 출력 단자와 다른 제3 열전 모듈(230)의 입력 단자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외부로부터 충전 받는 전력에 기반하여 제1 열전 모듈(230) 내지 제3 열전 모듈(230) 모두에 대한 일괄적인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통해 상호 간 연결되는 제1 열전 모듈(230) 내지 제3 열전 모듈(230)이, 연결 시 층층이 쌓이는 구조가 되도록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각 열전 모듈(2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태 표시부(240)는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의 온도, 배터리(220)와 관련된 전력 상태, 및 아이템의 보관과 운송 현황 등 상태 등에 대한 이상 알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80)는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배터리(220)와 관련된 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제2 정보 및 아이템의 보관과 운송 현황 등 아이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를 생성하고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대해 특정되는 정보로써 관리할 수 있다.
즉,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포함된 프로세서(280)는 Radio Frequency (RF) 식별자 등 해당 프로세서(280)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280)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정보 내지 제3 정보를 대응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정보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200)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관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해당 프로세서(280)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이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형성되어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외부에 식별 정보가 표시된다면, 사용자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와 해당 식별 정보를 쉽게 파악하여 용이하게 아이템 운송 장치(300)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의 실시간 온도, 아이템의 초기 온도와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의 기존 온도 사이의 차이에 따른 온도 조절 현황,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에 대한 초과 과열 상태 또는 초과 냉각 상태 등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배터리(220)의 전력 공급 상황과 관련된 전력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예상 배송 시점까지의 전력 상태 유지 가능 여부 혹은 전력 부족, 배터리(220)를 위해 설정된 충전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아이템의 목적지까지의 예상 배송 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예상 배송 시간과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전력을 사용하도록 열전 모듈(23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정보는 아이템의 보관과 운송과 관련해 아이템이 올바르게 상태 유지가 되고 있는지, 아이템이 넘치는 등으로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에서 아이템의 내용물이 감지되는지 등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배터리(220)와 관련된 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제2 정보 및 아이템의 보관과 운송 현황 등 아이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 프로세서(280)는 이상이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관련된 이상 알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태 표시부(240)는 위와 같은 알림 표시 외에, 열전 모듈(230)이 장착된 방향 혹은, 현재 장착 상태가 가열 기능을 위한 것인지 또는 냉각 기능을 위한 것인지를 알리는 표시와, 열전 모듈(230)이 제대로 장착되어 정상 동작을 하는 지 여부 등을 알리는 표시 역시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50)는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통신부(250)를 통해 다른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통신부(250)를 이용해 서버 장치(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운송의 대상이 되어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입고되는 대상 아이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아이템 운송 장치(300)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는, 아이템의 운송 목적지 정보, 저온, 상온 또는 고온 등 해당 아이템에 대한 기본적인 상태 유지를 위한 온도 대역 정보, 아이템의 보관 및 운송에 대한 가이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아이템의 보관 및 운송에 대한 가이드 정보에는 아이템의 온도 상태에 대해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한 경우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에서 아이템을 열전 모듈(230)에 근접하게 배치할 것을 요청하는 판매자 혹은 관리자의 가이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250)가 수행하는 각 정보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 모두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50)는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치 감지 센서(260)와 온도 감지 센서(270)는, 각각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에 대해 아이템이 입고 또는 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아이템이 초기 입고 또는 배치되는 시점의 온도와 이후 열전 모듈(230)의 제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된 아이템 및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포함된 배치 감지 센서(260)는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에 아이템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아이템의 무게 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80)는 배치 감지 센서(260)의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열전 모듈(230)을 제어하여 아이템 및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에 대한 온도 조절을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포함된 온도 감지 센서(270)는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와 관련하여 아이템 혹은 상기 공간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80)는 온도 감지 센서(270)의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열전 모듈(230)을 제어하여 아이템 및 케이스(210) 내부 공간부에 대한 온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8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80)는 아이템 운송 시스템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28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프로세서(28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프로세서(280)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아이템 운송 시스템에 구현되는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모듈들은 프로세서(280)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각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포함된 프로세서(280)는, 본 발명 상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기반하여 아이템 운송을 수행하기 위한 이하의 다양한 주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프로세서(280)의 주요 동작들은 전술한 도 2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각 구성 요소를 프로세서(280)가 제어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각 구성 요소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280)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프로세서(280)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 내부의 기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301). 이 때, 아이템 운송 장치(300) 내부의 기준 온도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를 구성하는 케이스(210) 내부의 공간부의 기준 온도일 수 있으며, 동작 301과 같은 기준 온도의 측정은 서비스를 통해 주문된 아이템이 배달을 위해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입고되기 전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는 음식 아이템과 관련된 스토어들이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판매하여 배달할 때 이에 대한 중개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으며, 아이템은 음식 아이템에 해당하여 디쉬, 음식 메뉴 또는 식사 등 음식과 관련된 아이템을 나타내는 기타 다양한 용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를 복수의 사용자들은 해당 서비스 내 스토어를 통해 아이템을 주문하는 주문 요청을 입력할 수 있으며, 스토어는 해당 서비스를 통해 입력된 주문 요청을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여 주문된 아이템을 준비할 수 있다. 주문된 아이템의 준비가 완료되면 스토어는 해당 서비스에서 배달 요청을 입력하게 되고, 배달 요청이 확인되면 배달원이 주문된 아이템을 배달하게 되며, 도 2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300)가 주문된 아이템의 배달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80)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아이템의 입고가 감지되어 아이템의 입고를 확인하는 경우 해당 아이템의 초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303). 프로세서(280)는 이와 같이 측정한 아이템의 초기 온도를 해당 아이템을 위한 적정 온도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는(280), 아이템 운송 장치(300) 내부의 기준 온도와 아이템의 초기 온도 사이의 차이를 확인하는 경우, 아이템 운송 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아이템의 초기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305).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280)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와 관련된 이상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세서(280)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를 식별하기 위해, 해당 프로세서(28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401). 이와 같이 생성되는 식별 정보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와 관련된 각 정보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세서(280)는 각 정보를 상기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대한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는(280)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 내부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배터리(220)와 관련된 전력 상태를 포함하는 제2 정보 및 아이템의 보관과 운송 현황 등 아이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403). 이 때 동작 403에 따라 확인되는 제1 정보 내지 제3 정보는 동작 401에서 생성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280)가 제1 정보 내지 제3 정보를 올바르게 확인했다면 프로세서(280)는 제1 정보 내지 제3 정보를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 장치(2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405), 만약 제1 정보 내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 프로세서(280)는 이상이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관련된 이상 알림 정보를 추가로 사용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407).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280)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대한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을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작 501에서, 프로세서(280)는 열전 모듈(230)에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전극 중 제1 전극에 대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전극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식별 정보 또는 제2 식별 정보는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로서 사전에 프로세서(280)가 획득해 둔 정보일 수 있다.
동작 503에서, 프로세서는 확인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형성된 연결 소켓에 연결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80)는 제1 식별 정보를 통해 제1 전극이 케이스(210)의 연결 소켓 중 제1 소켓에 연결된 점을 확인하고 제2 식별 정보를 통해 제2 전극이 케이스(210)의 연결 소켓 중 제2 소켓에 연결된 점을 확인하는 경우, 전극이 연결된 특정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혹은 제1 식별 정보를 통해 제1 전극이 케이스(210)의 연결 소켓 중 제2 소켓에 연결된 점을 확인하고 제2 식별 정보를 통해 제2 전극이 케이스(210)의 연결 소켓 중 제1 소켓에 연결된 점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특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전극이 연결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프로세서(280)는 연결된 방향을 기반으로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확인된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에 따라 아이템 운송 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280)가 생성, 관리 및 송수신하는 각 정보들이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 내지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의 예시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 외부 또는 단면을 위한 도면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300) 외부 및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아이템을 보관하도록 위 아래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가방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아이템을 배치할 수 있는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도 2에서 전술한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구성을 전부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아이템의 보관, 운송 및 온도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외부 각 면에는 태양열에 기반하여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솔라셀 형성되어 있으며(601), 아이템 운송 장치(300)를 구성하는 한 쪽 면에는 온도 조절에 사용되는 열전 모듈(230)이 장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603).
한편, 도 7의 701에서 도시하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내부에 아이템을 배치할 수 있는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703). 아이템 운송 장치(300)를 구성하는 한 쪽 면에 온도 조절에 사용되는 열전 모듈(230)이 장착되어 아이템 운송 장치(300) 내부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705), 열전 모듈(230)를 장착하거나 탈착하는 동작을 통해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 또는 외부가 분리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열전 모듈(230)은 패널 형태의 열전 소자(펠티어 소자)를 포함하여 장착 방향에 따라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를 향하는 패널의 면 방향이 달라질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를 가열하거나 또는 냉각하는 온도 조절 기능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대한 열전 모듈(230)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패널 형태의 열전 모듈(230)은 열전 모듈(230)에 포함된 전극들이 연결된 방향에 따라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를 향하는 패널의 면 방향이 달라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801). 801의 전극들 중 왼쪽부터 첫 번째, 세 번째에 위치하는 2개의 전극에 대한 제1 식별 정보와 두 번째, 네 번째에 위치하는 2개의 전극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달리 설정하는 경우, 프로세서(280)는 전극들이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연결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전 모듈(230) 아이템 운송 장치(300)에 장착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803에서는 프로세서(280)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를 냉각하고자 하는 경우, 일정한 전극 방향(801)에 기반하여 열전 모듈(230)을 장착함으로써 열전 모듈(230)의 패널 중 냉각을 위한 패널 면이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를 향하고, 반대 쪽의 가열을 위한 패널 면이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외부를 향하도록 한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외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805에서는 프로세서(280)가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를 가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일정한 전극 방향(801)의 반대 방향(807)에 기반하여 열전 모듈(230)을 장착함으로써 열전 모듈(230)의 패널 중 가열을 위한 패널 면이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를 향하고, 반대 쪽의 냉각을 위한 패널 면이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외부를 향하도록 한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외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803 내지 805와 같은 열전 모듈(230)의 장착 방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280)는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내부에 대한 온도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의 아이템 운송 장치(300)는 도 1의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도 3 내지 도 5에서 전술한 프로세서(280)의 동작과 연관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8의 예시는 본 발명의 개시를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 6 내지 도 8의 아이템 운송 장치(300)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형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등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 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이와 같은 메모리 또는 컴퓨터를 포함한 차량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아이템 운송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열전 모듈;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연결 소켓;
    상기 연결 소켓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공간부에 아이템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공간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열전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아이템 운송 장치.
KR1020220042789A 2021-10-06 2022-04-06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KR20230049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789A KR20230049532A (ko) 2021-10-06 2022-04-06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272A KR102385269B1 (ko) 2021-10-06 2021-10-06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KR1020220042789A KR20230049532A (ko) 2021-10-06 2022-04-06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272A Division KR102385269B1 (ko) 2021-10-06 2021-10-06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532A true KR20230049532A (ko) 2023-04-13

Family

ID=811878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272A KR102385269B1 (ko) 2021-10-06 2021-10-06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KR1020220042789A KR20230049532A (ko) 2021-10-06 2022-04-06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272A KR102385269B1 (ko) 2021-10-06 2021-10-06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385269B1 (ko)
TW (1) TW202327951A (ko)
WO (1) WO202305879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410A (ja) * 1994-04-01 1995-10-27 Toshikatsu Matsubara 携帯用電子式保温保冷ケース
JP4437730B2 (ja) * 2004-09-30 2010-03-24 株式会社リコー 配送管理方法及び配送管理プログラム
KR101389531B1 (ko) * 2012-07-03 2014-04-25 한국식품연구원 열전소자가 적용된 농식품 수배송 장치
JP2015147607A (ja) * 2014-02-07 2015-08-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い箱、及び、それを用いた集配管理システム
KR101978759B1 (ko) * 2018-09-07 2019-05-15 이은희 발열유아식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792A1 (ko) 2023-04-13
TW202327951A (zh) 2023-07-16
KR102385269B1 (ko)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0136B (zh) 基於裝置情境以於行動裝置上自動顯示產品位置地圖
US8461725B1 (en) Identification of powered devices for energy saving
KR102319804B1 (ko) 상품 구매 시스템, 상품 구매 방법 및 냉장고
US11645608B2 (en) Managing notifications of a delivery method based on a passive device
US201603072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arget article information
US20220051310A1 (en) Methods Using Electronic Shelf Labels To Improve Item Gathering In Store And Warehouse Systems
CN109857170B (zh) 一种温控方法及装置
US11348059B2 (en) Managing notifications of a delivery method based on an active device
JP2017503224A (ja) 維持されるべき特定値を要求する物品の発送及び輸送での監視及び追跡のためのデータ記録システム及び監視及び追跡を実現するための方法
KR20190059000A (ko) Nfc 타입 센서를 이용한 모니터링
AU2014367579A1 (en) Product delivery service system in electronic commerce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for
KR102385269B1 (ko)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CN108140163B (zh) 基于有源设备管理递送方法的通知
JP2017526261A (ja) 複数の通信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ビーコン
KR102429937B1 (ko) 아이템 운송 시스템 및 장치
JP5430670B2 (ja) 無線ブランディング
TW201727174A (zh) 可攜式冰箱及其使用方法
TWI839137B (zh) 提供包裝訊息之操作方法及支持該方法之電子設備
US20230292091A1 (en) Electronic Label Localization and Mesh Network Desynchronization
KR102429827B1 (ko) 패킹 정보 제공을 위한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51180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447316B1 (ko) 이전 동선 기반 신규 동선 생성 방법 및 장치
US10475019B2 (en) Mobile device operating as a beacon device
KR20220059161A (ko) 이동형 스마트 냉장박스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