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804A - p32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p32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804A
KR20230047804A KR1020210131091A KR20210131091A KR20230047804A KR 20230047804 A KR20230047804 A KR 20230047804A KR 1020210131091 A KR1020210131091 A KR 1020210131091A KR 20210131091 A KR20210131091 A KR 20210131091A KR 20230047804 A KR20230047804 A KR 20230047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protein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우
구본혁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7804A/ko
Publication of KR2023004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32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p32 유래 펩타이드는 산화질소(NO) 및 활성산소종(ROS)의 생성을 억제하고, p32 및 알기나제 결합을 방해하여 p32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키며, 혈관 수축을 억제하고, 수축기, 이완기, 평균 대동맥압을 감소시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p32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comprising peptides from p32 protein}
본 발명은 p32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에서 혈액은 복잡하고 정교한 조절 시스템에 의해 항상 평형을 이루고 있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출혈이나 혈전 등에 의해 흐름이 방해받지 않는다. 그러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이러한 평형상태가 깨지면 혈관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혈관 질환들이 발생하게 된다. 혈관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동맥경화증인데, 심장이나 뇌 등 중요장기에 허혈성 상태를 초래하여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을 일으키는 매우 위험한 질환 중 하나이다.
한편, 심장과 혈관은 전신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기관으로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핵심기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심혈관계에 이상이 생겨 각 조직 및 기관으로의 혈액과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국소부위 조직괴사는 물론 심한 경우 생명에 위협을 주는 위험한 질환을 야기하게 된다. 심혈관 질환은 특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인체의 노화 현상으로 더욱 빈번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치료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혈관근육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s)는 혈관을 형성하는 핵심세포로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압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혈관평활근세포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혈관근육세포의 비정상적 증식은 고혈압, 동맥경화 등 심혈관질환의 원인이 된다. 혈관근육세포의 증식은 평활근세포 자체 및 내막세포, 대식세포, 혈소판 등에서 분비되는 자가분비(autocrine)와 측분비 성장인자(paracrine growth factor)에 의해 조절된다. 혈관근육세포의 증식에 관련된 성장인자로서는 대표적으로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PD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bFGF)가 있으며, 혈관근육세포의 이상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면 고혈압, 동맥경화, 심혈관계 질환, 이의 합병증과 같은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얻을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심혈관 질환의 치료제로 질산(Nitrate)계 제제인 슈와즈(Schwarz)사의 ISMO 등이 소개되어 있으나, 이 제제는 효과는 뛰어나나 체위성저혈압, 심계항진 등의 부작용이 있어, 저혈압, 녹내장 등의 환자에게는 신중히사용해야 하며, beta-차단제로 아스트라(Astra)사의 베타록(BETALOC)등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 제제 역시 효과는 확실하나 급격한 심장억제 등으로 울혈성심부전환자 등은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한편, 내피 산화질소의 정상적인 생성은 혈관 기능의 유지를 위해 중요하다.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방출이 증가하면 평활근(smooth muscle) 세포의 신축성 감소 및 저하된 혈관 저항(vascular resistance)을 초래한다. 그러나 고혈압 및 고지혈증의 상태 하에서 내피의 기능이상은 산화질소 방출의 현저한 감소를 발생시키며, 그 결과로 혈관수축 및 혈관경련이 증가되며, 단핵세포 및 LDL 침윤의 확대되고, 혈관 평활근 세포가 증식하며, 산화적스트레스의 증가 및 혈소판 응집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내피의 기능 및 산화질소 대사를 회복시키는 물질은 심장동맥 질환 및 심장 기능 장애가 포함하는 혈관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산화질소를 합성하는 대부분의 세포들은 아르기나아제(arginase)라는 효소도 갖고 있는데, 아르기나아제는 L-아르기닌(arginine)의 가수분해를 촉매하여 L-오르니틴(ornithine)과 요소(urea)를 생성하는 효소 그룹이다. 아르기나아제 I 은 세포내에서 일정하게(constitutively) 발현되며, 아르기나아제 II는 내독소(endotoxin)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효소들은 염증(inflammatory) 조건에서 산화질소의 생산 변경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산화질소의 일정한 합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아르기나아제(arginase)는 또한 공통 기질인 L-아르기닌(Arginine)의 이용을 통해 경쟁적으로 NOS를 저해하는 작용도 한다(Berkowitz et al., 2003; Holowatz et al., 2006; Morris et al., 1998; Peyton et al.,2009; Simon et al., 2003; Steppan et al., 2006). 마크로파지(macrophages), 간세포(hepatocytes) 및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s)에서 아르기나아제I의 발현 및 기능은 lipopolysaccharide (LPS), IL-13, 변경된 산소분압 및 관상 동맥(coronary arteries)의 풍선확장술(balloon dilatation)에 의해 자극될 수 있으며(Chicoine et al., 2004; Klasen et al., 2001; Louis et al., 1998; Modolell et al., 1995; Morriset al., 2004; Nelin et al., 2007; Que et al., 1998; Ryoo et al., 2006), 또한 아르기나아제 Ⅱ의 활성 및 발현은 OxLDL, LPS, TNF-a, IFN-, 8-bromo-cGMP 및 hypoxia 를 포함한 다양한 혈관 인자들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최근 연구에 따르면 p32 단백질의 억제는 아르기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아르기나아제 활성 억제를 통해 L-아르기닌 생산 농도를 증가시키고, 미토콘드리아의 칼슘 농도를 감소시키고, CaMKⅡ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혈관 기능 향상과 심장 수축력을 향상시켜 심혈관 질환에 유용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p32 단백질을 억제하는 물질의 경우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p32 억제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p32 단백질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p32 단백질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p32 유래 펩타이드는 산화질소(NO) 및 활성산소종(ROS)의 생성을 억제하고, p32 및 알기나제 결합을 방해하여 p32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키며, 혈관 수축을 억제하고, 수축기, 이완기, 평균 대동맥압을 감소시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p32 단백질 및 알기나제 단백질의 결합부위 및 p32 유래 펩타이드 처리에 따른 eNOS 활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p32 유래 펩타이드 처리에 따른 p32 단백질 및 알기나제 단백질 수준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p32 유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혈관 항상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p32 유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혈압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p32 단백질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p32 단백질에서 유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동물 실험에서 대동맥의 혈관 수축 및 혈압 증가를 현저하게 개선시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혈관 질환은 고혈압, 부정맥, 심부전, 심장발작,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협심증, 뇌졸중, 뇌출혈, 혈관종, 관상동맥질환, 대동맥질환, 뇌혈관질환, 허혈성 질환 및 말초혈관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대동맥에서 p32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혈관 수축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혈압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심혈관 질환의 발생, 발달 및 재발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심혈관 질환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펩타이드를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면역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투여 형태는 경구, 점막(예를 들어, 비강, 설하, 질, 버칼, 또는 직장), 비경구적(예를 들어, 피하, 정맥, 볼루스 주입, 근육내 또는 동맥내), 국소(예를 들어, 눈), 경피(transdermal) 또는 피부통과(transcutaneous) 방식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 형태의 예는 정제; 캐프릿(caplets); 부드러운 탄성 젤라틴 캅셀과 같은 캅셀제; 캐세트(cachets); 트로키; 로젠즈(lozenges); 분산제; 좌제; 파우더; 에어로솔(예를 들어, 비강 스프레이 또는 인홀러); 겔; 현탁제제(예를 들어, 수상 또는 비-수상 액상 현탁제제, 수중유형 유제, 또는 유중수형 액상 유제) 용액제 및 엘릭실제를 포함하는 환자에게 경구 또는 점막 투여하기에 알맞은 액상 투여 제형; 환자에게 주사 투여하기에 알맞은 액상 투여 제형; 국소 투여하기에 적당한 아이 드랍(eye drop) 또는 다른 안과 제제; 및 환자에게 주사 투여하기에 적당한 액상 투여 형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재구성될 수 있는 멸균 고상제제(예를 들어, 결정형 또는 무정형 고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투여 형태의 종류, 모양, 및 타입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사용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질환의 급성 치료를 위해 사용된 투여 형태는 동일한 질환의 만성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투여 형태보다 많은 양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적 투여 형태는 동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경구 투여 형태보다 더 적은 양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는 투여 형태 및 방식들은 매우 다양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Mack Publishing, Easton PA (1990) 참조.)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생리식염수,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및 리퀴드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펩타이드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복강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소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물 혹은 그 이외의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과의 무균성 용액, 또는 현탁액제의 주사제의 형태로 비경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리학상 허용되는 담체 혹은 매체, 구체적으로는, 멸균수나 생리 식염수, 식물유, 유화제, 현탁제, 계면활성제, 안정제, 부형제, 비히클(vehicle), 방부제, 결합제 등과 적당히 조합하여, 일반적으로 인정된 제약 실시에 요구되는 단위 용량 형태로 혼화하는 것에 의해 제제화하는 것을 생각된다. 상기 제제에 있어서 유효 성분량은 지시받은 범위의 적당한 용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주사를 위한 무균 조성물은 주사용 증류수와 같은 부형액을 이용해 통상의 제제 실시에 따라 처방할 수가 있다.
또한, 주사용의 수용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생리 식염수, 포도당이나 그 외의 보조약을 포함한 등장용액, 예를 들면 D-소르비톨, D-만노스, D-만니톨, 염화 나트륨을 들 수 있어 적당한 용해 보조제, 예를 들면 알코올, 구체적으로는 에탄올, 폴리 알코올,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폴리소르베이트 80(TM), HCO-50으로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성액으로서는 참기름, 콩기름을 들 수 있어 용해 보조제로서 안식향산벤질, 벤질 알코올과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완충제, 예를 들면 인산염 완충액, 초산나트륨 완충액, 무통화제, 예를 들면, 염산 프로 카인, 안정제, 예를 들면 벤질 알코올, 페놀, 산화 방지제와 배합할 수 있다. 조제된 주사액은 통상, 적당한 앰플에 충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환자의 체내에의 투여는 바람직하게는 비경구투여이며, 구체적으로는 정맥내 1회 내지 3회의 투여가 기본이지만 그 이상의 투여라도 좋다. 또, 투여 시간은 단시간이라도 장시간 지속 투여라도 좋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사제형, 경피투여형등을 들 수 있다. 주사제형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정맥내 주사, 동맥내 주사, 선택적 동맥내 주사, 근육내 주사, 복강내 주사, 피하주사, 뇌실내 주사, 뇌내 주사, 골수액강내 주사 등에 의해 투여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물질의 인체에 대한 효과적인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조성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양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여러 요소, 예를 들면 투여방법, 목적부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사용 시 투여량은 안전성 및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동물실험을 통해 결정한 유효량으로부터 인간에 사용되는 양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효한 양의 결정시 고려할 이러한 사항은, 예를 들면 Hardman and Limbird,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0th ed. (2001), Pergamon Press; 및 E.W. Martin e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1990), Mack Publishing Co.에 기술되어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체"는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동물, 예를 들어 비-영장류 (예를 들면, 소, 돼지, 말, 고양이, 개, 래트 및 마우스) 및 영장류 (예를 들면, 인간, 원숭이, 예를 들어 사이노몰구스 (cynomolgous) 원숭이 및 침팬지)를 비롯한 포유동물을 나타낸다. 때에 따라 인간을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혈관 질환은 고혈압, 부정맥, 심부전, 심장발작,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협심증, 뇌졸중, 뇌출혈, 혈관종, 관상동맥질환, 대동맥질환, 뇌혈관질환, 허혈성 질환 및 말초혈관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펩타이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와 중복된 내용은 중복된 내용의 기재에 의한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액상제제, 음료 등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되어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펩타이드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실시예 1> p32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제작
1-1. p32 단백질와 알기나제 단백질 결합부위 예측
PyMOL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DB에 등록된 p32 단백질과 알기나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고 결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알기나제(도 1A 파란색)와 p32 단백질(도 1A 초록색)의 결합부위에 해당하는 아미노산 서열 중 p32 단백질 서열을 토대로 2개의 펜타 펩타이드(WKDTN 및 GKKAL)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펩타이드의 일산화질소 합성효소 (eNOS)의 활성 조절 분석
제작한 펜타 펩타이드가 실제로 내피세포에서 일산화질소 합성효소 (eNOS)의 활성을 증가 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블랏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B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60파이 디쉬에 HUVECs의 Confluence가 약 80% 정도 되었을 때, Growth media (M199 in FBS 20%, P/S 1X) 1 ml에 대해 WKDTN, GKKAL 펩타이드를 10 μM농도로 12 시간 처리하였다. 펩타이드를 처리한 HUVECs을 1X SDS sample buffer로 lysis한 뒤 105 ℃에서 10분 동안 가열 후 10% 아크릴아마이드 젤에서 전기영동을 진행하였다. 전기영동 후 30 V, 4 ℃에서 12시간 동안 트렌스퍼를 진행하고 5% skim milk에서 블락킹을 진행하였다. 블락킹 후 p32와 actin 1차 항체를 4 ℃에서 over night으로 부착하였다. 이후 2차 항체를 부착하고 ECL 용액을 분주하고 현상액과 고정액을 사용하여 필름을 감광하였다.
그 결과, WKDTN 펩타이드를 처리한 그룹에서 p32 단백질의 수준이 감소되었고 칼슘/칼모듈린 의존적 인산화효소 2 (CaMKII)의 인산화가 증가하였고 또한 eNOS의 활성인산화 자리의 (Ser1177) 인산화가 증가되었으며, 불활성 인산화자리의 (Thr495) 인산화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B 왼쪽). 반면에, GKKAL 펩타이드의 경우 CaMKII와 eNOS의 활성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B 오른쪽).
이러한 결과는 WKDTN 펩타이드는 알기나제와 p32 단백질의 결합을 저해함으로 p32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키고 CaMKII와 eNOS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3> WKDTN 펩타이드의 p32 단백질 수준 감소 기작 규명
3-1. WKDTN 펩타이드 농도별 p32 단백질의 감소
세포질에서 WKDTN 펩타이드가 p32 단백질의 감소를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농도별로 WKDTN 펩타이드를 처리 후 웨스턴블랏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60파이 디쉬에 HUVECs의 Confluence가 약 80% 정도 되었을 때, Growth media (M199 in FBS 20%, P/S 1X) 1 ml에 대해 WKDTN 펩타이드를 주어진 농도에 (대조군, 0.01, 0.1, 1, 10 μM) 대해 12 시간 처리하였다. WKDTN 펩타이드를 처리한 HUVECs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웨스턴블랏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WKDTN 펩타이드가 처리된 내피세포의 세포질에서 p32 단백질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A).
3-2. 미토콘드리아에서 p32 단백질의 감소
p32 단백질은 주로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미토콘드리아에서 p32 단백질이 감소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분획 및 immunoblotting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60파이 디쉬에 HUVECs의 Confluence가 약 80% 정도 되었을 때, Growth media (M199 in FBS 20%, P/S 1X) 1 ml에 대해 WKDTN 펩타이드를 10 μM농도로 12 시간 처리하였다. WKDTN 펩타이드를 처리한 HUVECs을 저장액 (sucrose 50 mM)을 사용하여 lysis한 뒤 얼음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파쇄하였고, 그 후 고장액 (sucrose 450 mM)을 넣고 3600 rpm, 4 ℃, 10 min에서 원심분리 후 상층액 회수하였다. 다시 15000 rpm, 4 ℃, 45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세포질 분획하였으며, 침전물을 등장액 (sucrose 250 mM)에 현탁하여 미토콘드리아 분획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분획용액을 2X SDS buffer에 현탁하고 105 ℃에서 10분 동안 가열 후 전기영동을 진행하고 웨스턴블랏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WKDTN 펩타이드가 처리된 내피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p32 단백질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B).
3-3. p32 단백질의 유비퀴틴화(Ubiquitination) 확인
p32 단백질의 감소가 알기나제 단백질과의 결합 저해가 유비퀴틴화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co-Immunoprecipitaion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60파이 디쉬에 HUVECs의 Confluence가 약 80% 정도 되었을 때, Growth media (M199 in FBS 20%, P/S 1X) 1 ml에 대해 WKDTN 펩타이드를 10 μM농도로 12 시간 처리하였다. WKDTN 펩타이드를 처리한 HUVECs을 RIPA buffer를 이용하여 lysis하고 3600 rpm, 4 ℃, 10 min에서 원심분리 후 상층액 회수하였고, 상층액에 protein A/G bead를 넣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shaking (pre-clearing)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p32 항체를 (1:150)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shaking하고, 다시 protein A/G bead를 넣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shaking (bead pull down)하였다. Protein bead를 회수하여 2X SDS sample buffer에 현탁 한 뒤 105 ℃에서 10분 동안 가열 후 전기영동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웨스턴블랏을 수행하였다. INPUT blot의 경우 pre-clearing step까지 진행한 뒤 2X SDS sample buffer에 현탁 후 웨스턴블랏 진행하였다.
알기나제와 p32 단백질의 결합 정도와 p32 단백질의 유비퀴틴화를 확인한 결과, WKDTN 펩타이드를 처리한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 유비퀴틴화가 증가되어 있었고 알기나제와의 결합이 감소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C).
3-4. 프로테아좀 억제에 따른 p32 단백질 수준 확인
유비퀴틴화의 증가는 프로테아좀 의존적 단백질 분해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프로테아좀 억제에 따른 p32 단백질 수준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60파이 디쉬에 HUVECs의 Confluence가 약 80% 정도 되었을 때, Growth media (M199 in FBS 20%, P/S 1X) 1 ml에 대해 MG132 (10 μM, 24 h)과 WKDTN 펩타이드(10 μM, 12 h)를 처리하였다. WKDTN 펩타이드가 처리된 HUVECs을 1X SDS sample buffer에 lysis하고 웨스턴블랏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WKDTN 펩타이드에 의해 p32 단백질 수준이 감소하였지만 프로테아좀 억제제인 MG132를 처리 하였을 때는 WKDTN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p32 단백질 수준이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WKDTN 펩타이드가 p32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고, p32와 알기나제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억제하여 p32 단백질 유비퀴틴화와 프로테이좀에 의한 분해를 증가 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WKDTN 펩타이드의 혈관 수축 억제효과
4-1. 동물 모델의 준비
10주령 야생형 (WT) 생쥐와 ApoE-/- 생쥐에 정상 식이(ND)와 고콜레스테롤 식이(HCD)를 각각 8주 동안 식이하였다. 그 후 WKDTN 펩타이드를 총 10일에 걸쳐 0.25 mM/kg 씩 이틀에 한번 정맥 주사하여 10 일간 총 5회 주사하였다. 이 후, 각 실험군의 마우스 모델은 해부하여 대동맥 적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은 본 실험은 강원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 하에 실험동물의 관리와 사용에 관한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4-2. 일산화질소(NO) 측정
WKDTN 펩타이드의 심혈관 질환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동맥경화 마우스 모델의 대동맥에서 일산화질소 수준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동맥을 HEPES buffer에서 적출 후 2 mm간격으로 절편을 만들고 혈관 내피부분이 위쪽으로 향하게 혈관을 절제하였다. 절제된 혈관을 실리콘 디쉬에 고정하여 37 ℃ heating block위에 올려놓고 형광 현미경 재물대에 고정하고, HEPES buffer 3 ml에 대하여 DAF-FM 시약 (5 mM)을 3 μl 분주하여 염색하였다. 그 다음 30초 간격으로 7번 FITC 파장의 형광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값을 시간에 따른 기울기로 계산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정상 생쥐에 비해 동맥경화 유도 모델인 ApoE-/-+HCD 생쥐에서 NO의 생성량이 감소되어 있었으나 ApoE-/-+HCD 생쥐에 WKDTN 펩타이드를 주사하였을 때 NO의 생성량이 정상 생쥐 수준만큼 회복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A).
4-3. 활성산소 측정
WKDTN 펩타이드의 심혈관 질환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동맥경화 마우스 모델의 대동맥에서 활성산소 수준을 측정하였다.
상기 4-2의 방법으로 혈관을 형광현미경 재물대에 고정한 후, HEPES buffer 3 ml에 대하여 DHE 시약 (2.5 mM)을 3 μl 분주하여 염색하였다. 그 다음 30초 간격으로 7번 DHE 파장의 형광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값을 시간에 따른 기울기로 계산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ApoE-/-+HCD 생쥐는 정상 생쥐에 비해 ROS의 발생량이 증가되어 있었으나 WKDTN 펩타이드를 주사하였을 때 ROS의 생성량이 정상 생쥐 수준만큼 회복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B).
4-4. 장력측정
WKDTN 펩타이드 주사에 의해 혈관의 근장력이 회복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동맥경화 마우스 모델의 대동맥 절편의 혈관 장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4-2의 방법으로 혈관을 절제하여 혈관 절편을 수득하였다. Krebs Ringer buffer (118.3 mM NaCl, 4.7 mM KCl, 1.2 mM MgSO4, 1.6 mM CaCl2, 25 mM NaHCO3, 11.1 mM glucouse, pH 7.4)를 근장력 측정기 챔버에 7 ml 씩 분주하였다. 그 후 혈관 절편을 근장력기 센서에 걸고 기저 장력을 0.6이 되게 설정한 후, KCl (60 mM, 20분), Ach (10-9~10-5 M, 각각 2분씩), PE (10-9~10-5 M, 각각 2분씩)와 SNP (10-10~10-6 M, 각각 2분씩)를 처리하여 혈관 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ch 의존적 이완 반응에서 ApoE-/-+HCD 생쥐가 정상 생쥐에 비해 이완률이 현저히 감소되어 있었지만 ApoE-/-+HCD에 WKDTN 펩타이드를 주사하였을 때, 이완률이 정상 생쥐 수준만큼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C). 반대로 PE 의존적 반응은 ApoE-/-+HCD 생쥐에서 정상 생쥐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지만 WKDTN 펩타이드를 주사하였을 때 정상 생쥐 수준만큼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D). 또한 상기와 같은 이완률 수축률 차이는 내피 기능부전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기 위해 내피세포 비의존적 이완반응인 SNP 의존적 이완반응과 KCl 수축반응을 확인한 결과, 예상대로 네 그룹 모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3E, F).
상기 실험을 통해 WKDTN 펩타이드는 동맥경화 유도 모델인 ApoE-/-+HCD 생쥐에서 NO의 생성을 회복시키고 ROS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내피 의존적 Ach 이완반응의 증가와 PE 수축반응의 감소를 통해 심혈관 질환의 주요 병인 중 하나인 혈관 수축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WKDTN 펩타이드가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5> WKDTN 펩타이드의 혈압 감소 효과
WKDTN 펩타이드 주사에 의해 NO 생성 증가에 따라 혈관 이완률이 회복하는 것을 토대로 WKDTN 펩타이드를 주사하여 생쥐의 혈압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주령 야생형 (WT) 생쥐에 WKDTN 펩타이드를 총 6일에 걸쳐 0.25 mM/kg 씩 하루에 한번(총 6회) 정맥 주사하였다. WKDTN 펩타이드를 주사한 후 혈압 측정 할 생쥐들을 홀더에 고정시켜 움직이지 못하게 한 후 O-Cuff와 V-Cuff를 혈압 측정기에 연결하고 꼬리에 끼웠다. COD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혈압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기계에서 측정된 수축기, 이완기, 평균 대동맥압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는 도 4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WKDTN 펩타이드를 주사한지 4일차가 되는 시기에 수축기, 이완기, 평균 대동맥압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WKDTN 펩타이드가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day 2day 3day 4day 5day 6day
수축기 WT+ND 125.0
± 2.58
126.1
± 1.72
125.8
± 2.50
128.9
± 1.88
131.1
± 0.95
131.8
± 1.29
WT+
WKDTN
123.7
± 2.34
123.1
± 2.41
122.1
± 1.75
122.0
± 2.13
123.5
± 2.14
123.2
± 1.42
이완기 WT+ND 92.3
± 1.48
93.9
± 2.10
93.8
± 2.07
96.7
± 2.17
98.0
± 1.23
97.9
± 2.48
WT+
WKDTN
90.2
± 1.93
92.4
± 1.48
91.5
± 1.25
89.3
± 3.00
87.5
± 2.14
84.9
± 1.12
평균
대동맥압
WT+ND 103.2
± 1.78
104.6
± 2.17
104.5
± 1.45
107.4
± 1.89
109.9
± 1.78
109.3
± 2.07
WT+
WKDTN
101.5
± 1.58
102.9
± 1.23
101.3
± 0.63
100.7
± 2.49
100.5
± 1.68
97.3
± 0.93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KNU-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comprising peptides from p32 protein <130> 2021-112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 Trp Lys Asp Thr Asn 1 5

Claims (9)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p32 단백질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p32 단백질에서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 질환은 고혈압, 부정맥, 심부전, 심장발작,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협심증, 뇌졸중, 뇌출혈, 혈관종, 관상동맥질환, 대동맥질환, 뇌혈관질환, 허혈성 질환 및 말초혈관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대동맥에서 p32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혈관 수축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혈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방법.
  9.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10131091A 2021-10-01 2021-10-01 p32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7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91A KR20230047804A (ko) 2021-10-01 2021-10-01 p32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91A KR20230047804A (ko) 2021-10-01 2021-10-01 p32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804A true KR20230047804A (ko) 2023-04-10

Family

ID=8598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091A KR20230047804A (ko) 2021-10-01 2021-10-01 p32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78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7915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lon cancer, containing 3,6-anhydrol-galactose
KR101427290B1 (ko) 죽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18555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reperfusion injury comprising bile acids
KR20230047804A (ko) p32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7805A (ko) 알기나제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9691A (ko) 스퍼미딘을 포함하는 급성 폐손상 또는 폐섬유화증 치료용 조성물
KR101883096B1 (ko) 쿠퍼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급성 폐 손상 또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052221A (ko) 시호 추출물 또는 이의 성분을 포함하는 통증 치료, 완화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663146B1 (ko) 갈색거저리 유충 단백질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1141B1 (ko)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72425B1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쇼그렌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594061C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ОЧИЩЕННЫЙ ЭКСТРАКТ, ВЫДЕЛЕННЫЙ ИЗ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СОДЕРЖАЩИЙ БОЛЬШОЕ КОЛИЧЕСТВО АКТИВНОГО КОМПОНЕНТА, ИЛИ СОЕДИНЕНИЯ, ВЫДЕЛЕННЫЕ ИЗ НЕГО,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КОМПОНЕНТА,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Й ОБСТРУКТИВНОЙ БОЛЕЗНИ ЛЕГКИХ (ХОБЛ)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KR101991880B1 (ko)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674622B1 (ko) 데페록사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3511A (ko) Pat4를 포함하는 만성통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3439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9247B1 (ko) 리나릴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6998B1 (ko)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89149B1 (ko) 용담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전증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73861B1 (ko) 근육 감소 억제 및 근육량 증가 활성을 갖는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226881B1 (ko) 기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486196B1 (ko) 무당벌레 유충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220025976A (ko) 신규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근경색 후 심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144852A (ko) 가용성 trem2 단백질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