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290A - 트랜스포밍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밍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290A
KR20230047290A KR1020210130298A KR20210130298A KR20230047290A KR 20230047290 A KR20230047290 A KR 20230047290A KR 1020210130298 A KR1020210130298 A KR 1020210130298A KR 20210130298 A KR20210130298 A KR 20210130298A KR 20230047290 A KR20230047290 A KR 20230047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cosmetic composition
transforming
capsul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은
문선영
김기선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7290A/ko
Publication of KR2023004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활성성분을 캡슐화하여 제조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이며, 제형의 외관적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도포시 수상 및 유상의 유화 작용으로 인해 제1 활성성분과 제2 활성성분의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밍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ransforming capsules}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세 먼지 등으로 예민해진 피부에 휴직은 줄 수 있는 마스크나 보습 제품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오일 제형의 보습 제품이나 마스크 제품은 홈케어에 중요한 아이템이지만, 흘러내리는 사용감으로 인해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우수한 흡수성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제형으로 트렌스포밍 화장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트랜스포밍 화장품은 피부에 닿으면 피부의 온도에 따라 상이한 제형으로 바뀌는데, 예를 들어, 밤 형태의 제형이 피부에 닿으면 오일 제형으로 전환되는 오일밤 제품, 겔 제형에서 액상으로 전환되는 제품 등이 있다.
한편, 종래 캡슐 내 생리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밍 제형의 경우, 피부에 도포하여 롤링하였을 때 캡슐의 깨짐성이 좋지 않아 피부에 캡슐의 잔여감이 남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펌프 용기에 담겨 있어 펌프질에 의해 캡슐이 깨져, 생리활성성분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 공기 중에 노출되는 바 오염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캡슐의 피부 도포시 깨짐성을 향상시켜 사용감이 개선된 트랜스포밍 화장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 양상은 제1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제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제1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제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트랜스포밍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트랜스포밍(transforming) 제형"이란 화장 제품을 사용 또는 사용하기 전, 어느 하나의 제형에서 또 다른 제형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는 조성 또는 조성물을 총칭한다. 상기 트랜스포밍 제형은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우수한 흡수성을 모두 제공할 수 있으며, 제형의 변화로 인한 외관 퍼포먼스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제형에서 높은 점도를 갖는 제형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상 제형에서 겔 또는 크림 제형으로 전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제2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캡슐이 깨지면서 제1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수상부와 반응하여 크림 제형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캡슐의 깨짐성을 향상시켜 트랜스포밍 제형을 구현하는 바 차별화된 외관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겔 제형의 수상부와 크림 제형의 유상부(캡슐)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2 이상의 제형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화장품의 개수가 증가하면 피부 표면과 손의 마찰이 증가하여 피부에 자극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2 이상의 제형이 동시에 적용됨으로써 사용하는 화장품 수를 줄일 수 있는 바, 피부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활성성분 및 제2 활성성분은 피부 미용의 기능성을 가진 성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활성성분 및 제2 활성성분은 동일한 기능성을 가지는 활성성분이거나 또는 상이한 기능성을 가지는 활성성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활성성분 및 제2 활성성분이 동일한 기능성을 가지는 경우, 제1 활성성분 및 제2 활성성분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활성성분 및 제2 활성성분이 각각 상이한 기능성을 가지는 경우, 제1 활성성분 및 제2 활성성분에 의한 2 이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2-in 1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활성성분은 예를 들어, 판테놀(Panthenol),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diol),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글리세린(Glycerin), 디에톡시에틸 석시네이트(Diethoxyethyl Succinate), 베타인(Betaine),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등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성분은 디에톡시에틸 석시네이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에톡시에틸 석시네이트는 보습력을 유지 및 개선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활성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 1 내지 20 중량%, 1 내지 10 중량%,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5 중량%, 7 내지 12 중량%, 또는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활성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보습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활성성분은 예를 들어,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레시틴(Lecithin),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세라마이드(Ceramide), 콜레스테롤(Cholesterol) 등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활성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활성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내지 15 중량%, 5 내지 12 중량%, 8 내지 10 중량%, 8 내지 9 중량%, 9 내지 10 중량% 또는 8.5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활성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방부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캡슐의 깨짐성이 낮아져 롤링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활성성분은 캡슐 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활성성분은 캡슐 내에 포함됨으로써, 제형 내에서 제1 활성성분과의 접촉을 차단하여 경시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시 제1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수상부와의 유화 작용으로 인해 트랜스포밍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2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캡슐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5 중량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25 내지 80 중량%, 30 내지 80 중량%, 35 내지 70 중량%, 40 내지 65 중량% 또는 5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트랜스포밍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뻣뻣한 사용감을 나타내어 소비자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캡슐은 1 내지 3㎜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캡슐은 다양한 형태, 색상 및 질감을 갖도록 제조됨으로써 차별적인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물에 용해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예를 들어, 정제수,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부는 점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예를 들어,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잔탄검, 젤라틴, 구아검, 카시아검, 젤란검, 캐럽콩검, 한천, 알진, 만난, 펙틴, 셀룰로오스 등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수상부에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에서 트랜스포밍 효과가 구현되는 반면, 에탄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는 트랜스포밍 효과에 따른 제형 변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탄올은 거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에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유상의 캡슐과 유화 현상을 발생시키는 바, 트랜스포밍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제품, 로션, 에센스, 크림, 선로션, 선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스틱상 제품 또는 밤(Balm) 타입 제품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추가로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향료 등을 선택하여 배합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 광산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제형 및 첨가성분이 상기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즉, 항산화제, 다가알콜, 히알루 론산 등의 보습성분, 각종 비타민류, 방부제, 착색제, 향료 및 자외선 차단 성분 등을 선정하여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에탄올을 포함하는 수상부와 캡슐을 포함하는 유상부가 유화 작용에 의해 크림 제형으로 전환되는 바, 사용감 및 흡수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활성성분이 고농축된 세럼(serum)과 크림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가벼운 텍스처로 피부에 산뜻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성분을 캡슐화하여 제조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이며, 제형의 외관적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도포시 수상 및 유상의 유화 작용으로 인해 제1 활성성분과 제2 활성성분의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트랜스포밍 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후 시간에 따른 피부수분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 1~2. 캡슐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캡슐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성분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상온에서 아지믹서(Agi mixer)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평균 직경이 1 내지 3 ㎜인 캡슐을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함량은 중량%이다.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증류수 25.806 17.204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0.84 0.56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0.81 0.54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0.75 0.5
1,2-헥산디올(1,2-Hexanediol) 0.6 0.4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0.6 0.4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0.3 0.2
칸데릴라왁스(Euphorbia Cerifera(Candelilla) Wax) 0.03 0.02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0.15 0.1
팔미트산(Palmitic Acid) 0.0465 0.031
스테아릭산(Stearic Acid) 0.0375 0.025
세라마이드(Ceramide NP) 0.0201 0.0134
콜레스테롤(Cholesterol) 0.0099 0.0066
[실시예]
실시예 1. 트랜스포밍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밍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의 각 성분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이를 상온에서 아지믹서(Agi mixer)/호모믹서(Homo mixer)를 사용하여 5분 동안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제조예 1의 캡슐을 평량한 후, 수상에 투입 및 혼합하여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수상 증류수 To 100
중화제 0.08
방부제 2.04
보습제 11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Diethoxyethyl Succinate) 1
점증제(카보머) 0.15
가용화제 0.3
유상 제조예 1 30
비교예 1. 트랜스포밍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트랜스포밍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수상 증류수 To 100
중화제 0.08
방부제 2
보습제 11
점증제(카보머) 0.15
가용화제 0.3
방부제 0.04
에탄올 3
유상 제조예 2 20
[실험예]
트랜스포밍 효과 확인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트랜스포밍(transforming)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손등에 일정량 도포한 후 제형이 변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트랜스포밍 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그 결과, 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도포된 면적의 대부분에서 캡슐이 깨지면서 크림 제형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도포 후 크림 제형으로 변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에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유상과 유화 현상이 발생하여 트랜스포밍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습 효과 확인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지속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피험자의 시험부위를 미온수로 세정한 후 10분 동안 항온항습실에서 대기한 뒤 피부수분도를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이후, 실시예 1을 시험부위에 적용한 뒤, 사용 직후, 2시간, 4시간 및 8시간 후의 피부수분도를 각각 3회씩 측정하여 평균을 도출하였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후 시간에 따른 피부수분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도포 30분 후 피부수분도는 각각 56.7 AU 및 175.3%로 도포 전과 비교하여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도포 8시간 후까지 133.1%의 피부수분도를 나타내어 장시간 보습 지속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즉각적인 보습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장기간 지속적으로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제1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제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캡슐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성분은 판테놀(Panthenol),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diol), 글리세리스-26(Glycereth-26), 글리세린(Glycerin), 디에톡에틸 시석시네이트(Diethoxyethyl Succinate), 베타인(Betaine) 및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2 활성성분은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레시틴(Lecithin),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세라마이드(Ceramide), 콜레스테롤(Cholestero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활성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부에 적용시 상기 제1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제2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캡슐의 혼합에 의해 크림 제형을 형성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30298A 2021-09-30 2021-09-30 트랜스포밍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7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298A KR20230047290A (ko) 2021-09-30 2021-09-30 트랜스포밍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298A KR20230047290A (ko) 2021-09-30 2021-09-30 트랜스포밍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290A true KR20230047290A (ko) 2023-04-07

Family

ID=8597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298A KR20230047290A (ko) 2021-09-30 2021-09-30 트랜스포밍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72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3111B2 (ja) 半透明のナノ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品、皮膚科、及び/または眼科におけるその使用
JP4286451B2 (ja) 皮膚水和力が改良されたスキンケア組成物
US20020006419A1 (en) Emulsion comprising a hydrophilic thickening compound and a lipophilic thickening copolymer, compositions and products comprising the emulsion, and uses thereof
CN111568782B (zh) 一种具有改善皮肤屏障的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KR102298806B1 (ko)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5060B1 (ko) 제형 안정성을 개선시킨 o/w 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4797A (ko) 수용성 계면활성제 및 유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N115006285A (zh) 冰沙状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643755B1 (ko) 감소된 잔류물을 갖는 조성물
CN106176478A (zh) 一种防晒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H06503566A (ja) 改善された油コントロール性を有するゲルタイプ組成物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CN101496777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KR20230047290A (ko) 트랜스포밍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063206B2 (ja) ゲル状整髪料
JP3479048B2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JP7256624B2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JP7298863B2 (ja) 乳化化粧料
JP2022548683A (ja) 高オイル含有量のゲル組成物、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6392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1754B1 (ko) 늘어나는 질감과 형상복원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3490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28480A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