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285A -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 Google Patents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285A
KR20230047285A KR1020210130276A KR20210130276A KR20230047285A KR 20230047285 A KR20230047285 A KR 20230047285A KR 1020210130276 A KR1020210130276 A KR 1020210130276A KR 20210130276 A KR20210130276 A KR 20210130276A KR 20230047285 A KR20230047285 A KR 2023004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ain body
disposed
washing
menstr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351B1 (ko
Inventor
김예지
황유라
홍주표
민동혁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3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2Devices for holding articles durin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agitated containers in which the liquid and articles or material are pla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는, 본체부, 밑커버, 컵 디스펜서, 컵 홀더, 앞커버, 압력센서, 초음파 진동기, 워커 펌프 및 제1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파이프 형상을 갖고서 중간 영역 일부가 절개되어 파이프 형상인 본체 하단부와 측면이 절개된 파이프 형상인 본체 상단부으로 구분되고, 공공화장실의 벽면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측면에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다. 밑커버는 본체 하단부의 상면에 배치된다. 컵 디스펜서는 본체 상단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세척컵을 수용한다. 컵 홀더는 밑커버의 상면에 배치되고, 세척컵을 지지한다. 앞커버는 본체 상단부의 측면에 체결되어 컵 디스펜서를 커버한다. 압력센서는 밑커버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컵을 감지한다. 초음파 진동기는 밑커버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컵에 초음파를 인가한다. 워터 펌프는 본체 상단부와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세척컵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제1 콘트롤러는 압력센서에 의해 세척컵이 감지됨에 따라 세척컵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워터 펌프를 제어하고, 세척수가 공급된 세척컵에 초음파 진동을 통해 진동 세척이 되도록 초음파 진동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MENSTRUAL CUP CLEANER FOR PUBLIC RESTROOMS}
본 발명은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리대 속 유해 성분 논란 이후 대안 월경 용품이 크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저소득층 여성의 생리 빈곤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는 가운데 경제적 장점으로 생리컵이 주목받고 있으며, 기존 생리대들의 안전성과 환경오염 논란으로 인해 많은 여성들이 생리컵으로 갈아타고 있다.
식약처 조사 결과 사용자의 대부분이 생리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지만, 위생관리가 불편하고 판매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단점으로 꼽았다. 위생적 제품인 생리컵이 아이러니하게도 위생관리 문제로 인하여 사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특히, 실태조사 결과 생리컵 사용자 중 대부분이 공공화장실을 이용할 때 세척과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났다. 외출 시 공공 화장실에서 생리컵을 교체하는 방법으로는 세척 전용 컵을 소지하며 세면대에서 물을 받아 칸 안에서 세척하고 물을 따라 버리는 방법이나 세면대에서 직접 세척을 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는 번거롭고 비위생적이다. 여분의 생리컵을 가지고 다니거나 다른 생리용품과 병행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번거로움 때문에 간혹 세면대가 있는 장애인 화장실을 이용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또한 생리컵은 손을 몸 안에 넣어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손 위생을 위하여 물티슈나 손소독제 소지는 필수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9246호(2019. 07. 05. 등록)(생리컵 멸균 장치 및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876345호(2018. 07. 03. 등록)(생리컵 살균장치) 한국공개특허 제2021-0069252호(2021. 06. 11. 공개)(생리컵 살균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2080930호(2020. 02. 18. 등록)(생리컵 세척기구)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공화장실 칸 안에서 생리컵을 간편하게 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위생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는, 본체부, 밑커버, 컵 디스펜서, 컵 홀더, 앞커버, 압력센서, 초음파 진동기, 워커 펌프 및 제1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파이프 형상을 갖고서 중간 영역 일부가 절개되어 파이프 형상인 본체 하단부와 측면이 절개된 파이프 형상인 본체 상단부으로 구분되고, 공공화장실의 벽면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측면에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밑커버는 상기 본체 하단부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컵 디스펜서는 상기 본체 상단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세척컵을 수용한다. 상기 컵 홀더는 상기 밑커버의 상면에 배치되고, 세척컵을 지지한다. 상기 앞커버는 상기 본체 상단부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컵 디스펜서를 커버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밑커버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컵을 감지한다. 상기 초음파 진동기는 상기 밑커버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컵에 초음파를 인가한다. 상기 워터 펌프는 상기 본체 상단부와 상기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컵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상기 제1 콘트롤러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세척컵이 감지됨에 따라 세척컵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워터 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세척수가 공급된 세척컵에 초음파 진동을 통해 진동 세척이 되도록 상기 초음파 진동기를 제어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는, 움직임 감지 센서(PIR 센서), 소독제 박스, 및 모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PIR 센서)는 상기 본체 하단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소독제 박스는 상기 본체 하단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손소독제를 수용한다. 상기 모터 모듈은 상기 본체 하단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소독제 박스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콘트롤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모터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소독제 박스에 수용된 손소독제가 낙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는, 서보 모터, 모터 드라이버. UVC-LED 모듈, 및 제2 콘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보 모터는 상기 본체 상단부와 상기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컵 디스펜서에 수용된 하나의 세척컵을 낙하시킨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본체 상단부와 상기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서버 모터를 구동한다. 상기 UVC-LED 모듈은 상기 본체 상단부와 상기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컵에 단파장 자외선을 인가한다. 상기 제2 콘트롤러는 상기 본체 상단부와 상기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드라이버의 동작을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드라이버에 제공하고, 상기 UVC-LED 모듈의 동작을 위한 자외선 제어 신호를 상기 UVC-LED 모듈에 제공한다.
이러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에 의하면, 상단부분에 세척컵을 보관하고 메인 부분에서 출수와 UVC-LED 모듈에 의한 살균이 진행되고 하단부에 초음파 진동자와 손소독기가 있는 구조를 통해 공공화장실 칸 안에서 생리컵을 간편하게 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위생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예시적으로 제조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촬영한 사진들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의 화장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의 사용설명서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이용하여 생리컵을 세척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의 구조는 상단부분에 세척컵을 보관하고 메인 부분에서 출수와 UVC-LED 모듈에 의한 살균이 진행되고 하단부에 초음파 진동자와 손소독기가 있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는 본체부(102), 밑커버(108), 컵 디스펜서(110), 컵 홀더(112), 앞커버(114), 압력센서(116), 초음파 진동기(118), 워터 펌프(120), 및 제1 콘트롤러(122)를 포함한다.
본체부(102)는 길다란 파이프 형상을 갖고서 중간 영역 일부가 절개되어 파이프 형상인 본체 하단부(104)와 측면이 절개된 파이프 형상인 본체 상단부(106)으로 구분된다. 본체부(102)의 후면, 즉 측면에는 공공화장실의 벽면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다.
밑커버(108)는 본체 하단부(104)의 상면에 배치된다. 밑커버(108)는 도우넛 형상(링 형상 또는 환 형상)을 갖고서 본체부(102) 하단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컵 홀더(112)를 지지한다.
컵 디스펜서(110)는 본체 상단부(106)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세척컵을 수용한다.
컵 홀더(112)는 밑커버(108)의 상면에 배치되고, 세척컵을 지지한다. 컵 홀더(112)는 초음파 진동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하여 스테인리스로 제작될 수 있다.
앞커버(114)는 본체 상단부(106)의 측면에 체결되어 컵 디스펜서(110)를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앞커버(114)는 본체 상단부(106)에 감싸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기능 조작부의 역할과 기기의 상태를 알 수 있는 디스플레이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원 버튼과 아이콘 상태 표시등이 있으며 LED 모듈과 터치 센서로 작동한다.
압력센서(116)는 밑커버(108)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컵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1 콘트롤러(122)에 제공한다.
초음파 진동기(118)는 밑커버(108)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컵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진동에 의해 기포들이 발생될 수 있고, 기포들이 터질 때마다 생기는 강력한 압력과 기포가 터지며 생기는 화학작용을 통해 과산화수소가 생성되어 세척, 살균은 물론 박테리아까지 파괴할 수 있다. 즉, 물리적 현상으로 세척하고자 하는 물질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하고, 제거된 오염물이 다시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세척방법인 초음파 세척이 초음파 진동기(11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 진동기(118)는 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하 움직임이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워터 펌프(120)는 본체 상단부(106)와 앞커버(114)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세척컵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워터 펌프(120)의 수도 연결은 비데와 동일한 방식으로 T형 밸브와 정수필터를 사용하여 수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출수량은 예를 들어 150ml로 설정한다.
제1 콘트롤러(122)는 압력센서(116)에 의해 세척컵이 감지됨에 따라 세척컵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워터 펌프(120)를 제어하고, 세척수가 공급된 세척컵에 초음파 진동을 통해 진동 세척이 되도록 초음파 진동기(118)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는 앞커버(114)의 전면부에 배치된 전원 버튼(124), 앞커버(114)의 후면부에 배치된 터치 센서(126), 및 앞커버(114)의 후면부에 배치된 LED 모듈(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압되는 버튼 신호를 터치 센서(126)가 감지하고,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의 동작에 대응하는 각종 광을 발광한다. 예를 들어, 전원이 누름에 따라 세척컵을 낙하하는 경우 첫번째 아이콘에 대응하여 LED가 점멸하고, LED가 점멸하는 동안 세척컵이 사용자에 의해 꺼내어지면 두번째 아이콘에 대응하는 LED가 점등하고, 세척컵이 놓여져 출수와 진동 세척이 진행됨에 따라 세번째 아이콘에 대응하는 LED가 점등할 수 있다. 이러한 LED 점멸이나 점등을 통해 사용자는 생리컵의 세척 동작에 보다 주의깊게 주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는 손소독기로서 움직임 감지 센서(130), 소독제 박스(132), 및 모터 모듈(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30)는 본체 하단부(104)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움직임 감지 센서(130)는 PIR(Passive Infrared Senso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PIR 센서는 피동형 적외선센서를 의미하며 프레넬 렌즈를 통해 9~12도의 예각으로 일정 구간의 인체 이동을 감지한다. 센서의 특성상 마스킹이펙트 등으로 인해 계수인원의 오차가 발생(약 15%내외) 할 수 있으나 통계적 기법으로 장기적으로 오차의 범위를 줄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다. 대신 매우 적은 전류 소모량으로 외부 전원없이 장기간 운영이 가능하며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방수 방적설계가 용이하고 특별한 유지보수 없이 1년이상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소독제 박스(132)는 납작한 원통 형상을 갖고서 본체 하단부(104)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손소독제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독제 박스(132)의 상면 중앙부에 초음파 진동기(118)가 배치되고, 소독제 박스(132)의 상면 주변 영역에 압력센서(116)가 배치된다. 압력센서(116)는 컵 홀더(112)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컵 홀더(112)에 세척컵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한다.
모터 모듈(134)은 본체 하단부(104)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소독제 박스(132)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독제 박스(132)를 통해 소독제가 하방으로 일정 량이 낙하할 수 있다.
이처럼,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의 하단부에 있는 손소독기는 적외선 자동센서 감지(PIR)을 이용한 비대면 손소독으로 사용자간 접촉을 최소화한다. 손소독기의 최대 용량은 약 200ml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콘트롤러(122)는 움직임 감지 센서(130)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감지됨에 따라 모터 모듈(134)을 제어하여 소독제 박스(132)에 수용된 손소독제가 낙하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는 서보 모터(136), 모터 드라이버(138), UVC-LED 모듈(140), 제2 콘트롤러(142), 윗커버(144), 및 컵 홀딩부재(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보 모터(136)는 본체 상단부(106)와 앞커버(114)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컵 디스펜서(110)에 수용된 하나의 세척컵을 하방으로 낙하시킨다.
모터 드라이버(138)는 본체 상단부(106)와 앞커버(114)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서보 모터(136)를 구동한다.
UVC-LED 모듈(140)은 본체 상단부(106)와 앞커버(114)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세척컵에 단파장 자외선을 인가한다. 즉, UVC-LED 모듈(140)은 출수 입구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소독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작동상태를 나타내어준다.
제2 콘트롤러(142)는 본체 상단부(106)와 앞커버(114)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모터 드라이버(138)의 동작을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모터 드라이버(138)에 제공하고, UVC-LED 모듈(140)의 동작을 위한 자외선 제어 신호를 UVC-LED 모듈(14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는 윗커버(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윗커버(144)는 원형 형상을 갖고서, 본체 상단부(106)의 상부에 배치되어, 컵 디스펜서(110)에 수용된 세척컵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윗커버(144)는 본체 상단부(106)와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힌지 구조이며, 윗커버(144)를 열어 본체(102)에 세척컵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는 컵 홀딩부재(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컵 홀딩부재(146)는 컵 디스펜서(110)의 하부에 체결되어 컵 디스펜서(110)에서 낙하하는 세척컵을 홀딩한다. 컵 홀딩부재(146)에 의해 홀딩된 세척컵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예시적으로 제조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촬영한 사진들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의 화장실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의 사용설명서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공공화장실 칸 내에서 간편하게 생리컵을 세척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변기에 앉았을 때 손에 닿는 곳에 위치한 벽걸이형으로 제작되어 배치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또는 해당 세척기의 근처에는 설명서가 부착되어 사용자들에게 제품 사용방법을 알려줄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이용하여 생리컵을 세척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세척컵이 나온다. 이때, 첫 번째 아이콘이 점등될 수 있다.
이어, LED가 깜빡일 동안 사용자는 세척컵을 꺼내 세척컵 안에 생리컵을 넣는다. 이때, 두 번째 아이콘이 점등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가 하단부에 생리컵이 든 세척컵을 놓으면 자동으로 출수와 진동 세척이 진행된다. 이때, 세 번째 아이콘이 점등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는 세척이 완료된 세척컵 안에 든 물을 변기에 버린다.
이어, 사용자는 손을 소독한 후 생리컵을 꺼내 재착용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부분에 세척컵을 보관하고 메인 부분에서 출수와 UVC-LED 모듈에 의한 살균이 진행되고 하단부에 초음파 진동자와 손소독기가 있는 구조를 통해 공공화장실 칸 안에서 생리컵을 간편하게 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위생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생리컵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용하지 않는 이유 중 가장 큰 요소는 외부에서의 생리컵 교체와 이에 따른 위생 문제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를 통해 외부에서의 생리컵 교체에 대한 부담감과 위생 관련 불안감을 낮추어 생리컵 사용률 증가 효과가 기대된다. 그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리를 고려함과 동시에 세척용기 분실을 예방하며,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올인원 제품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생리컵 사용자의 대부분이 주로 SNS로 생리컵을 접한다는 점을 보았을 때 공공 장소라는 특성을 활용하여 생리컵에 대한 홍보 영역을 넓혀 사람들의 관심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102 : 본체부 104 : 본체 하단부
106 : 본체 상단부 108 : 밑커버
110 : 컵 디스펜서 112 : 컵 홀더
114 : 앞커버 116 : 압력센서
118 : 초음파 진동기 120 : 워터 펌프
122 : 제1 콘트롤러 124 : 전원 버튼
126 : 터치 센서 128 : LED 모듈
130 : 움직임 감지 센서 132 : 소독제 박스
134 : 모터 모듈 136 : 서보 모터
138 : 모터 드라이버 140 : UVC-LED 모듈
142 : 제2 콘트롤러 144 : 윗커버
146 : 컵 홀딩부재

Claims (4)

  1. 파이프 형상을 갖고서 중간 영역 일부가 절개되어 파이프 형상인 본체 하단부와 측면이 절개된 파이프 형상인 본체 상단부으로 구분되고, 공공화장실의 벽면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측면에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 하단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밑커버;
    상기 본체 상단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세척컵을 수용하는 컵 디스펜서;
    상기 밑커버의 상면에 배치되고, 세척컵을 지지하는 컵 홀더;
    상기 본체 상단부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컵 디스펜서를 커버하는 앞커버;
    상기 밑커버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컵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밑커버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컵에 초음파를 인가하는 초음파 진동기;
    상기 본체 상단부와 상기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컵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 펌프; 및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세척컵이 감지됨에 따라 세척컵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워터 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세척수가 공급된 세척컵에 초음파 진동을 통해 진동 세척이 되도록 상기 초음파 진동기를 제어하는 제1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단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움직임 감지 센서(PIR 센서);
    상기 본체 하단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손소독제를 수용하는 소독제 박스; 및
    상기 본체 하단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소독제 박스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모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트롤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모터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소독제 박스에 수용된 손소독제가 낙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단부와 상기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컵 디스펜서에 수용된 하나의 세척컵을 낙하시키는 서보 모터;
    상기 본체 상단부와 상기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서버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드라이버;
    상기 본체 상단부와 상기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컵에 단파장 자외선을 인가하는 UVC-LED 모듈; 및
    상기 본체 상단부와 상기 앞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드라이버의 동작을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 드라이버에 제공하고, 상기 UVC-LED 모듈의 동작을 위한 자외선 제어 신호를 상기 UVC-LED 모듈에 제공하는 제2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원형 형상을 갖고서, 상기 본체 상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컵 디스펜서에 수용된 세척컵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윗커버; 및
    상기 컵 디스펜서에서 낙하하는 세척컵을 홀딩하는 컵 홀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KR1020210130276A 2021-09-30 2021-09-30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KR102600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276A KR102600351B1 (ko) 2021-09-30 2021-09-30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276A KR102600351B1 (ko) 2021-09-30 2021-09-30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285A true KR20230047285A (ko) 2023-04-07
KR102600351B1 KR102600351B1 (ko) 2023-11-10

Family

ID=8597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276A KR102600351B1 (ko) 2021-09-30 2021-09-30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3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012A (ja) * 1994-04-21 1995-11-07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カップ型超音波洗浄装置
KR100199246B1 (ko) 1996-07-19 1999-06-15 유현식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00007800U (ko) * 2009-01-27 2010-08-05 류학선 일회용 구강청정제 자판기
KR101876345B1 (ko) 2017-12-18 2018-07-09 안창선 생리컵 살균장치
KR102080930B1 (ko) 2018-07-31 2020-02-24 루나컵 주식회사 생리컵 세척기구
KR20210069252A (ko) 2019-12-03 2021-06-11 김남주 생리컵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012A (ja) * 1994-04-21 1995-11-07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カップ型超音波洗浄装置
KR100199246B1 (ko) 1996-07-19 1999-06-15 유현식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00007800U (ko) * 2009-01-27 2010-08-05 류학선 일회용 구강청정제 자판기
KR101876345B1 (ko) 2017-12-18 2018-07-09 안창선 생리컵 살균장치
KR102080930B1 (ko) 2018-07-31 2020-02-24 루나컵 주식회사 생리컵 세척기구
KR20210069252A (ko) 2019-12-03 2021-06-11 김남주 생리컵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351B1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430A (en) Automatic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including combined blow drying means, towel dispensing means and waste disposal means
JP2002364055A (ja) 衛生洗浄便座装置
AU6269899A (en)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CA2666827C (en) Cleaning container
WO2007063540A2 (en) Domestic bottle cleaner and sterilizer
KR20090059354A (ko) 자동 손 살균 세척장치
CA2635940A1 (en) Counter-mounted solution dispenser with counter-protective platform
KR100712147B1 (ko) 이동식 세면대
KR101468112B1 (ko)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KR102600351B1 (ko) 공공화장실용 생리컵 세척기
KR100875726B1 (ko) 위생적으로 인출 가능한 수저통
JP2007244787A (ja) 義歯洗浄機
KR101466865B1 (ko) 이동식 사용기능을 갖는 다기능 손 세정장치
KR20100006693A (ko) 물비누 자동디스펜서
KR101116463B1 (ko) 싱크볼 구조
KR200368440Y1 (ko) 손 소독기
JP2001095699A (ja) 衛生設備の殺菌構造
US20220395148A1 (en) Infection reducing Toilet seat cover
WO2022136395A1 (en) Menstrual cup cleaner
US20180266091A1 (en) Sanitary and hygenic device
KR102023552B1 (ko) 이동식 세면대
KR101538436B1 (ko) 소독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는 일회용 변기커버
KR20120001647A (ko) 손 세척기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CN212679001U (zh) 婴幼儿便后清洁器具及冲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