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823A -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823A
KR20230046823A KR1020210130326A KR20210130326A KR20230046823A KR 20230046823 A KR20230046823 A KR 20230046823A KR 1020210130326 A KR1020210130326 A KR 1020210130326A KR 20210130326 A KR20210130326 A KR 20210130326A KR 20230046823 A KR20230046823 A KR 20230046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information
purchase
data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유비벨록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벨록스(주) filed Critical 유비벨록스(주)
Priority to KR102021013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823A/ko
Publication of KR2023004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 개인별로 통합된 마이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전의 매뉴얼, A/S 대응 등 각종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입하려는 제품에 대한 정보 및 다른 사용자 의견을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정별로 최적화된 가전 관리 운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전정보, 가전 구매정보 및 가전 수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관리정보를 마이데이터화 하여 관리하기 위한 가전 관리서버; 및 소비자의 가전 구매일, 구매경로, 구매금액 및 구매 영수증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구매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가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가전 관리서버에서 마이데이터로서 관리되는 가전 관리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MY DATA-BASED HOME AP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SYSTEM}
본 발명은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 개인별로 통합된 마이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전의 매뉴얼, A/S 대응 등 각종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입하려는 제품에 대한 정보 및 다른 사용자 의견을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정별로 최적화된 가전 관리 운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家電)이라 함은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여러 가지 가정 생활용 전기 기계·기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현대에 들어 기술의 혁신으로 가사 노동 중에서도 힘들거나 시간 소요가 많은 일들을 기계가 대신하도록 개발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가정 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식품 보존·조리·공기 정화·조명 등의 분야로도 새롭고 효율성 높은 가전들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음과 아울러 몸의 휴식이나 미용을 위해서도 각종 가전들이 보편화됨에 따라 가족 구성원들이 윤택한 삶을 영위하는데 다양한 제품들이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런데, 다채로운 가전들이 여러 가정에 보급된 현재 상황에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관리해야 하거나 신규구입/재구입할 가전의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가정에 비치된 제품마다 일일이 매뉴얼을 보관하며 사용방법을 숙지하거나 고장 시 A/S 센터를 찾는 등 대처하기 어려울 뿐더러 동일한 제품군 중 특정 제품을 선택하여 구입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상이한 종류의 여러 가전 제품에 대해 소비자별로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하거나 제품 구입 시 유익한 각종 가전 정보를 원스톱 솔루션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마이데이터(My Data) 산업이란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관리, 통제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정보를 신용이나 자산관리 등에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마이데이터를 이용하면 각종 기관과 기업 등에 분산돼 있는 자신의 정보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업체에 자신의 정보를 제공해 맞춤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받을 수 있다.
또한, 현재 마이데이터(My Data)는 여러 기업과 기관에 금융, 의료, 통신, 유통 등의 분야로 분산되어 있으며, 정보 주체의 권리에 근거하여 해당 데이터가 개방될 경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여, 개인 정보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금융 컨설팅을 하거나 소비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마이데이터는 미국, 영국 등 데이터 산업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데이터 활용체계를 기관 중심에서 정보 주체 중심으로 전환하여,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스스로 통제 및 관리하고, 해당 정보들이 본인의 의사에 맞춰 활용될 수 있도록 개인의 정보 주권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지원하는 산업, 구체적으로 금융기관, 통신사 등에 수집돼 있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다른 기업, 기관 등으로 이동시키는 지원 역할을 하는 것을 '마이데이터 산업' 또는 '본인신용정보 관리업'이라 하며, 각 개인은 마이데이터를 통해 각종 기업이나 기관 등에 흩어져 있는 자신의 정보를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고, 자발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하면 이를 활용해 맞춤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받을 수 있다.
예컨대 소비자가 금융기관 등에 자신의 신용정보를 마이데이터 업체에 전달하라고 요구하면 업체는 관련 정보를 취합해 고객에게 제공하며, 여기에는 은행 입출금 및 대출 내역, 신용카드 사용 내역, 통신료 납부 내역 등 사실상 개인의 모든 금융정보가 그 대상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개인의 재무 현황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마이데이터 산업이 육성되려면 신용정보법 등 데이터 관련법이 우선 시행돼야 하며, 국내에서는 올해 초 데이터 3법 개정안의 통과로 마이데이터 산업 시장의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다채로운 가전들이 여러 가정에 보급된 현재 상황에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관리해야 하거나 신규구입/재구입할 가전의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가정에 비치된 제품마다 일일이 매뉴얼을 보관하며 사용방법을 숙지하거나 고장 시 A/S 센터를 찾는 등 대처하기 어려울 뿐더러 동일한 제품군 중 특정 제품을 선택하여 구입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환경을 벗어나, 소비자 개인별 마이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자 개인이 별도의 수고 없이 가정별로 최적화된 가전 관리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02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13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채로운 가전들이 여러 가정에 보급된 현재 상황에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관리해야 하거나 신규구입/재구입할 가전의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가정에 비치된 제품마다 일일이 매뉴얼을 보관하며 사용방법을 숙지하거나 고장 시 A/S 센터를 찾는 등 대처하기 어려울 뿐더러 동일한 제품군 중 특정 제품을 선택하여 구입하기에도 어려운 환경을 벗어나, 소비자 개인별로 통합된 마이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전의 매뉴얼, A/S 대응 등 각종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입하려는 제품에 대한 정보 및 다른 사용자 의견을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정별로 최적화된 가전 관리 운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전정보, 가전 구매정보 및 가전 수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관리정보를 마이데이터화 하여 관리하기 위한 가전 관리서버; 및 소비자의 가전 구매일, 구매경로, 구매금액 및 구매 영수증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구매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가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가전 관리서버에서 마이데이터로서 관리되는 가전 관리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자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온라인상의 웹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가전 관리정보에 대해 데이터 스크래핑(scraping)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스크래핑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데이터 스크래핑 모듈은, 카드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통해 소비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자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소비자가 구매한 가전 관리정보에 대해 데이터 스크래핑(scraping)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가 가전 구매일, 구매경로, 구매금액 및 구매 영수증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구매정보를 저장하여 구매 이력을 관리하거나 다른 소비자 단말기와 가전 구매정보 공유를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가전구매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에게 품목별 홈 가전 등록을 위해 사전에 마련된 가전 등록란을 제공하기 위한 가전등록 관리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가전등록 관리모듈은, 가전 관리서버에서 관리되는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및 제품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검색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홈 가전을 등록시키며 홈 가전이 배치되는 공간정보에 따라 공간별로 등록된 홈 가전을 구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가전등록 관리모듈이 IoT(Internet of Things) 홈 가전을 등록시킨 경우, 소비자 단말기는 무선으로 IoT 홈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IoT 가전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가전 관리서버에서 관리되는 가전정보로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및 제품 시리얼 번호, 매뉴얼, QnA, SNS 채널 정보 및 동영상 공유 플랫폼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가전정보 제공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 및 등록된 가전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인접한 순서로 A/S 센터 위치를 소비자 단말기로 안내하기 위한 A/S 센터 안내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가전 수리일, 수리비용, 수리부품 및 A/S 센터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수리정보를 저장하여 수리 이력을 관리하거나 다른 소비자 단말기와 가전 수리정보 공유를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가전수리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별로 관리되는 가전에 대한 성능, 가격 및 디자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만족도를 평가하여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가전 평가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다채로운 가전들이 여러 가정에 보급된 현재 상황에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관리해야 하거나 신규구입/재구입할 가전의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가정에 비치된 제품마다 일일이 매뉴얼을 보관하며 사용방법을 숙지하거나 고장 시 A/S 센터를 찾는 등 대처하기 어려울 뿐더러 동일한 제품군 중 특정 제품을 선택하여 구입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환경을 벗어나, 소비자 개인별 마이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자 개인이 별도의 수고 없이 가정별로 최적화된 가전 관리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제조사, 해외 직구를 포함한 구입 경로 등에 상관없이 소비자가 가정에 비치하고 있는 국내외 모든 가전을 등록하여 해당 등록 가전에 대한 정보를 일괄적으로 확인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소비자가 등록한 가전의 매뉴얼을 시간/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확인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SNS 채널 연동을 통해 가전 구매 가이드, 활용법 등에 대한 유익한 각종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가전 고장 시 대응 방안이나 소비자에게 가장 인접한 A/S 센터를 안내하여 신속하고 원활한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가전 종류별로 구매, 수리 내역과 같은 다른 소비자의 의견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제품 구입부터 사후 수리까지 소비자에게 필요한 관심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효과를 토대로, IoT 가전 제품의 경우 제어, 예약, 진단 등의 IoT 기능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I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가전 관리서버 및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전정보, 가전 구매정보 및 가전 수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관리정보를 마이데이터화 하여 관리하기 위한 가전 관리서버 및 소비자의 가전 구매일, 구매경로, 구매금액 및 구매 영수증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구매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가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가전 관리서버에서 마이데이터로서 관리되는 가전 관리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가전 관리서버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속모듈을 통해 접속하여 가전 관리 및 확인 등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통신하게 되고, 이러한 소비자 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dasktop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t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스마트미러(smart mirrors), 키오스크 장치(kiosk)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웹 기반 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생산공정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된 값을 송수신 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일종의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모바일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이외에도 웹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서버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 교환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서버 내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들의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나, RAM, 메모리 칩,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나, CD, DVD, 자기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적/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소비자 단말기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입력 모듈
소비자 단말기는 문자입력 방식, 터치입력 방식 및 음성입력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 방식을 통해 가전 정보 관리 등에 대응되는 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모듈은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하고, 입력 모듈은 소비자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소비자 단말기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및 터치스크린(Touch-screen)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소비자 단말기가 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 키,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를 위한 전원 키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특히, 가전 관리서버 접속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인증 정보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특정 샌드 박스 선택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콘텐츠의 색상, 투명도 변경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를 가전 관리서버에 전달할 수도 있다.
* 단말기 제어모듈
소비자 단말기의 전송받고자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및 소비자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모듈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 및 소비자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측정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전 관리서버에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가전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데이터 스크래핑 모듈
소비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자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온라인상의 웹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가전 관리정보에 대해 데이터 스크래핑(scraping)을 수행함으로써, 각 온라인상에서 소개되거나 판매되는 가전 제품에 대한 정보(예: 가전 제품에 대한 소개, 구성, 출시년도, 생산년도, 제조회사, 유통회사 등과 같은 가전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등) 혹은 리뷰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여 가전 정보관리에 기초가 되는 데이터 구축 자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카드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통해 소비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자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소비자가 구매한 가전 관리정보에 대해 데이터 스크래핑(scraping)을 수행함으로써, 각 소비자별 카드사를 통한 가전 제품 구매에 대한 정보 수집이 개별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개인별 가전 정보관리에 기초가 되는 데이터 구축 자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크롤링 및 스크래핑은 각 검색 사이트, 가전 제품 소개 사이트, SNS 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등(예: 각종 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는 카페, 뉴스, 블로그, 지식 게시판, 가전 제품 관련 애플리케이션 등) 콘텐츠를 수집하는 작업으로,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통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원하는 내용 부분을 수집하고, 브라우저 간의 네트워트를 분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여기서 웹페이지 크롤링 및 오픈 API를 통한 스크래핑은 자명하게 공지된 기술 내용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 가전구매 관리모듈
소비자 단말기가 가전 구매일, 구매경로, 구매금액 및 구매 영수증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구매정보를 저장하여 구매 이력을 관리하거나 다른 소비자 단말기와 가전 구매정보 공유를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소비자가 자신의 가전 구매정보에 대한 구매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여 향후 동일 제품군 구매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며, 여러 소비자들이 가전 구매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동일 홈 가전을 보다 저렴하게 구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가전등록 관리모듈
소비자 단말기에게 품목별 홈 가전 등록을 위해 사전에 마련된 가전 등록란을 제공한다.
또한, 가전 관리서버에서 관리되는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및 제품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검색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홈 가전을 등록시키며 홈 가전이 배치되는 공간정보에 따라 공간별로 등록된 홈 가전을 구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일례로, 품목별 홈 가전 등록을 위해 사전에 마련된 가전 등록란을 제공하고, 가전 관리서버에 저장된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제품 시리얼 번호 등의 가전 검색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홈 가전을 등록시키며 홈 가전이 배치되는 공간정보에 따라 공간별로 등록된 홈 가전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홈 가전에 대한 QR 코드, 바코드 인식을 통해 홈 가전을 등록시킬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토스터, 에어 프라이어, 로봇 청소기, 공기 청정기, 무선 청소기,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텔레비전 등의 홈가전 등록란을 사전에 제공하면서 추가로 다른 가전 등록란을 생성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홈 가전마다 가전 명칭을 부여하고 등록란을 생성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홈 가전 등록 시 거실, 주방, 안방, 서재, 화장실 등 공간정보를 입력받아 공간별로 구분된 홈 가전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홈 가전의 공간별 비치 상태를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동일한 홈 가전을 가정에서 복수개 사용할 경우 공간으로 구분된 위치에 따라 가전을 식별할 수 있으며, 홈 가전이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기능을 구비할 시에는 이하 기술되는 IoT 가전 제어모듈을 통해 공간별 홈 가전 제어 또한 가능할 수 있게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홈 가전 등록 시 홈 가전에 대응하는 QR 코드, 바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제품 시리얼 번호 등을 입력할 필요없이 그 QR 코드, 바코드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등록시킬 수도 있다.
* IoT 가전 제어모듈
가전등록 관리모듈이 IoT(Internet of Things) 홈 가전을 등록시킨 경우, 소비자 단말기는 무선으로 IoT 홈 가전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IoT(Internet of Things) 홈 가전은, IoT 기기/장비/센서로서, 전기적으로 구동되면서 작동과 관련된 신호를 유선/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며, 가전 관리 등과 관련된 기기/제품에 부착된 IoT 센서 혹은 내장된 IoT 센서를 통해 해당 기기/제품 등의 성능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해당 기기/제품 데이터가 통신망을 통해 별도의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되며, IoT 연동은 자명하게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가전등록 관리모듈이 IoT 통신 기능을 갖는 홈 가전을 등록시킨 경우, 소비자 단말기가 무선으로 IoT 홈 가전을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일례로, 가정에 비치된 홈 가전이 WiFi를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소비자 단말기와 접속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접속 상태에서 실내외 상관없이 소비자가 IoT 홈 가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전등록 관리모듈에서 가정의 공간별로 구분하여 홈 가전을 등록시킬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공간별로 비치된 홈 가전을 공간 단위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거실의 공기청정기, 주방의 로봇청소기를 각각 ON/OFF 시킬 수 있고, 공기청정기의 경우 풍량, 작동시간을 제어하면서 실내 대기 상태 또한 소비자 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례로, IoT 홈 가전의 스케줄 설정이 가능하고 사용에 따른 소모 전력량 및 결과를 리포팅할 수도 있으며, IoT 홈 가전이 스케줄 설정에 따라 작동한 이후로 홈 가전별 고유의 작동 시간에 따른 소모 전력량, 사용 결과를 통보하고, 공기청정기의 스케줄 설정에 따른 작동 시간동안 소모 전력량(사용 전력량), 사용 결과에 따른 실내 대기 상태를 수치, 그래프, 음성 등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IoT 홈 가전의 작동 예약 기능을 제공하면서 동작 후 사용 전력량, 사용 결과를 소비자에게 알려 가전 관리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홈 가전의 정상작동/이상작동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 가전정보 제공모듈
가전 관리서버에서 관리되는 가전정보로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및 제품 시리얼 번호, 매뉴얼, QnA, SNS 채널 정보 및 동영상 공유 플랫폼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일례로, 가전 관리서버에서 관리되는 매칭된 홈 가전에 대한 가전정보로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제품 시리얼 번호, 매뉴얼, QnA, SNS 채널 정보 및 동영상 공유 플랫폼 정보(예: 유튜브 등) 등을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제품 시리얼 번호 등을 통해 검색된 홈 가전이 실제 보유하고 있는 가전과 동일한 것을 확인하여 소비자 단말기가 홈 가전을 등록하게 되면 해당 홈 가전에 대해 위와 같은 가전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일례로, 홈 가전마다 매뉴얼을 모두 보관하거나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 줄 수 있고 매뉴얼 분실 시에도 대비가 가능하며, QnA에 의해 소비자 단말기로 등록한 홈 가전에 대한 주요 소비자 질의사항 및 답변을 확인할 수 있고, 유튜브, 카페, 블로그, 페이스북 등과 같은 SNS 채널 및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형태로 홈 가전 활용법, 후기, 평가 등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가전 관리서버를 거쳐 소비자 단말기간에 중고 가전 거래를 지원하면서 가전구매 관리모듈 및 가전수리 관리모듈 각각으로부터 홈 가전의 가전 구매정보 및 가전 수리정보를 수신하여 중고 가전 거래 시 공유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가전 구매일, 구매경로, 구매금액, 구매 영수증 이미지, 가전 수리일, 수리비용, 수리부품, 수리받은 A/S 센터 위치를 중고가전 거래를 희망하는 소비자들이 공유하여 객관적인 홈 가전 정보를 바탕으로 중고 가전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 있다.
또한, 일례로, 가전 관리서버를 통해 관리되는 가전 관리정보(예: 소비자별 구매 및 관리되는 가전에 대한 정보 등)를 해당 소비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기와 연동된 소비자 SNS 계정을 통하여, 해당 가전 정보를 게시하여 해당 가전이 홍보되도록 지원함으로써, 효율적인 마케팅 활동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소비자 SNS 계정을 통해 가전 정보가 게시된 경우, 해당 소비자 단말기에 해당 가전 할인 쿠폰, A/S 무료 쿠폰 등을 지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해당 소비자가 가전 홍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SNS 서버로부터 업로드된 가전 정보에 대응하는 가전 주문 요청을 해당 가전을 구매한 이력이 없는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가능하게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SNS에 업로드된 가전을 구매한 이력이 없는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SNS 서버로부터 업로드된 가전 주문부터 결제까지 완료된 횟수를 카운터 하여 SNS를 업로드한 소비자 단말기 및 가전 관리서버 간 수익 분배 시 주문 요청된 횟수를 반영하여 분배되도록 지원할 수도 하여, 소비자 단말기가 해당 가전 홍보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 A/S 센터 안내모듈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 및 등록된 가전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인접한 순서로 A/S 센터 위치를 소비자 단말기로 안내한다.
또한, 일례로, 소비자가 가정에 비치하고 있는 여러 홈 가전들을 가전 관리서버를 통해 등록한 이후로 특정 홈 가전의 고장으로 인해 수리가 필요할 경우 등록된 홈 가전을 선택하면 소비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가장 가까운 순서로 A/S 센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A/S 센터의 지도상 위치, 연락처, 주소, 홈페이지 등을 함께 안내할 수 있다.
* 가전수리 관리모듈
가전 수리일, 수리비용, 수리부품 및 A/S 센터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수리정보를 저장하여 수리 이력을 관리하거나 다른 소비자 단말기와 가전 수리정보 공유를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일례로, 소비자가 자신의 가전 수리정보에 대한 수리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여 향후 동일 제품군 수리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며, 여러 소비자들이 가전 수리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에 따라 동일 홈 가전의 A/S 과정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받도록 할 수 있다.
* 가전 평가모듈
소비자 단말기별로 관리되는 가전에 대한 성능, 가격 및 디자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만족도를 평가하여 공유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일례로, 소비자가 소유하고 있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홈 가전과 관련하여 다른 소비자의 평가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동일한 제품군에서도 다양한 홈 가전이 판매 중임에 따라, 예를 들어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과 같은 홈 가전에 대해 제조사별로 여러 소비자 평가를 확인한 다음 제품 구매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 가전 정보 분석모듈
소비자 단말기가 전송하는 홈 가전 이미지를 분석하여 분석된 이미지 정보에 따라 가전등록 관리모듈이 자동으로 홈 가전을 등록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홈 가전 이미지에 표시된 텍스트를 판독하여 그 판독된 텍스트로부터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제품 시리얼 번호 등을 추출하거나 소비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자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온라인상의 웹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카드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통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가전 관리정보에 대해 데이터 스크래핑(scraping)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홈 가전을 자동 등록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일례로, 소비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자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온라인상의 웹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카드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통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가전 관리정보에 대해 데이터 스크래핑(scraping)한 데이터를 기초로,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제품 시리얼 번호 등을 입력받아 소비자 단말기가 가전 관리서버로 전송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홈 가전을 등록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방법은 기본적으로 웹페이지 스크래핑 단계, 카드사 정보 스크래핑 단계, 가전 정보 관리단계 및 가전 관리정보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전 관리서버가 소비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자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온라인상의 웹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가전 관리정보에 대해 데이터 스크래핑(scraping)을 수행하는 웹페이지 스크래핑 단계, 상기 가전 관리서버가 카드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통해 소비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자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소비자가 구매한 가전 관리정보에 대해 데이터 스크래핑(scraping)을 수행하는 카드사 정보 스크래핑 단계, 상기 가전 관리서버가 스크래핑된 정보를 기초로 하는 소비자의 가전 구매일, 구매경로, 구매금액 및 구매 영수증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구매정보를 통해 가전정보, 가전 구매정보 및 가전 수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관리정보를 마이데이터화 하여 관리하는 가전 정보 관리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가전 관리서버에서 마이데이터로서 관리되는 가전 관리정보를 확인하는 가전 관리정보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가전정보, 가전 구매정보 및 가전 수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관리정보를 마이데이터화 하여 관리하기 위한 가전 관리서버; 및
    소비자의 가전 구매일, 구매경로, 구매금액 및 구매 영수증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구매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가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가전 관리서버에서 마이데이터로서 관리되는 가전 관리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자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온라인상의 웹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가전 관리정보에 대해 데이터 스크래핑(scraping)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스크래핑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크래핑 모듈은,
    카드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통해 소비자 단말기를 통한 소비자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소비자가 구매한 가전 관리정보에 대해 데이터 스크래핑(scraping)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가 가전 구매일, 구매경로, 구매금액 및 구매 영수증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구매정보를 저장하여 구매 이력을 관리하거나 다른 소비자 단말기와 가전 구매정보 공유를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가전구매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에게 품목별 홈 가전 등록을 위해 사전에 마련된 가전 등록란을 제공하기 위한 가전등록 관리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가전등록 관리모듈은,
    가전 관리서버에서 관리되는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및 제품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검색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홈 가전을 등록시키며 홈 가전이 배치되는 공간정보에 따라 공간별로 등록된 홈 가전을 구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가전등록 관리모듈이 IoT(Internet of Things) 홈 가전을 등록시킨 경우, 소비자 단말기는 무선으로 IoT 홈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IoT 가전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가전 관리서버에서 관리되는 가전정보로 브랜드명, 모델명, 제품명 및 제품 시리얼 번호, 매뉴얼, QnA, SNS 채널 정보 및 동영상 공유 플랫폼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가전정보 제공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 및 등록된 가전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인접한 순서로 A/S 센터 위치를 소비자 단말기로 안내하기 위한 A/S 센터 안내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가전 수리일, 수리비용, 수리부품 및 A/S 센터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가전 수리정보를 저장하여 수리 이력을 관리하거나 다른 소비자 단말기와 가전 수리정보 공유를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가전수리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전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별로 관리되는 가전에 대한 성능, 가격 및 디자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만족도를 평가하여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가전 평가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KR1020210130326A 2021-09-30 2021-09-30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KR20230046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326A KR20230046823A (ko) 2021-09-30 2021-09-30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326A KR20230046823A (ko) 2021-09-30 2021-09-30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823A true KR20230046823A (ko) 2023-04-06

Family

ID=8591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326A KR20230046823A (ko) 2021-09-30 2021-09-30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682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348B1 (ko) 2017-08-11 2019-08-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010295B1 (ko) 2012-09-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이의 푸시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295B1 (ko) 2012-09-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이의 푸시 서비스 방법
KR101971348B1 (ko) 2017-08-11 2019-08-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35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l-time monitoring of spending limits
Babich et al. Managing opportunistic supplier product adulteration: Deferred payments, inspection, and combined mechanisms
US8504410B2 (en) Method for improving customer survey system
US20200342421A1 (en) Home maintenance and repair information technology methods and systems
KR101894678B1 (ko) 음식주문에 기반한 소비패턴 분석을 통한 소비자-판매자 중심의 맞춤 서비스 방법
US201501425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int-of-sale electronic receipt storage
Assimakopoulos et al. Online reviews as a feedback mechanism for hotel CRM systems
JP2007011539A (ja) 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
KR20160124763A (ko) 시간을 단위로 하는 판촉 포인트의 유통 방법
US117487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user interface for making recommendations
WO2020027134A1 (ja) 情報処理装置
EP3304357A1 (en) Asset communication hub
JP2016071586A (ja) 家計簿管理装置、家計簿管理方法及び家計簿管理プログラム
Zhao Your (country’s) reputation precedes you: Information asymmetry, externalities and the quality of exports
Xu et al. Coordination between a supplier and a retailer in terms of profit concession for a two-stage supply chain
Ahmed et al. The implication of e-commerce emerging markets in post-COVID era
Larsen et al. The marketing firm: Retailer and consumer contingencies
KR101681534B1 (ko)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지급결제수단 추천 시스템
US11727390B2 (en) Wallet server, wallet system,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7413933B2 (ja) ウォレットサーバ、ウォレット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87338B1 (ko) 맞춤형 의료관광 서비스 정보제공 시스템
JP6218086B2 (ja) 購買決済システム
KR20230046823A (ko)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가전 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KR102266921B1 (ko) 빅데이터 기반 홈 중고 가전 거래 플랫폼 시스템
KR10226964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o2o 기반의 종합 이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