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050A -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난연성 중합체를 위한 난연제-안정제 배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난연성 중합체를 위한 난연제-안정제 배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050A
KR20230045050A KR1020237007350A KR20237007350A KR20230045050A KR 20230045050 A KR20230045050 A KR 20230045050A KR 1020237007350 A KR1020237007350 A KR 1020237007350A KR 20237007350 A KR20237007350 A KR 20237007350A KR 20230045050 A KR20230045050 A KR 20230045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weight
mixture
tert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바스티안 회롤트
에바 마리아 로이슈너
Original Assignee
클라리언트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언트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클라리언트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05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8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93Phosphonous compounds, e.g. R—P(OR')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08L2203/162Applications used for films sealable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성분 A로서 선택된 포스핀산 염, 성분 B로서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및 성분 C, D 및/또는 G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성분 C는 입체 장애 페놀이고, 성분 D는 유기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이고, 성분 G는 윤활제 또는 이형제이다. 상기 혼합물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난연성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향상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난연성 중합체를 위한 난연제-안정제 배합물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개선된 화재 성질, 우수한 가수분해 내성 및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난연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미드 화합물을 위한 난연제, 항-가수분해 첨가제 및 추가의 혼합물의 혼합물, 및 이러한 난연제-첨가제 배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체성 성형 화합물 및 성형물(moulding)에 관한 것이다.
많은 플라스틱은, 이의 화학적 조성으로 인해 쉽게 가연성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가공업자에 의해 그리고 일부 경우에 입법자에 의해 요구되는 높은 난연성을 달성하기 위해,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난연제로 개질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수의 상이한 난연제 및 난연성 상승제가 공지되어 있고,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우레탄은 이들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 및 전기적 성질로 인해 오랫 동안 재료로서 사용되어 왔다. 이들의 열적 성질 및 화학적 성질 및 가수분해 안정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의 예는 전자 부문(예를 들면, 회로 차단기용 커버) 및 자동차 부문(예를 들면, 플러그, 센서, 하우징 부품)에서의 적용이다. 언급된 분야에서, 습하고 따뜻한 조건 하에 저장하는 경우 개선된 안정성이 요구된다.
또한, 할로겐-비함유 난연성을 갖는 중합체 성형 화합물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난연제에 대한 필수 요구사항은 밝은 고유 색상, 중합체 가공 동안의 적절한 열 안정성 및 강화 중합체 및 비강화 중합체에서의 난연 효능이다. 그러나,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성형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감소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데, 이는 첫째, 중합체 매트릭스의 비율이 감소되고, 둘째, 물, 난연제 및 중합체 매트릭스 사이의 불리한 상호작용 및 난연제와 항-가수분해 첨가제 사이의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할로겐-비함유 난연제 중에서, 특히 포스핀산의 염(포스피네이트)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DE-A-2252258 및 DE-A-2447727). 칼슘 포스피네이트 및 알루미늄 포스피네이트는 폴리에스테르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개시되었으며,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염보다 덜한 정도로 중합체 성형 화합물의 재료 성질을 손상시킨다(EP-A-0699708).
또한, 포스피네이트와 다양한 질소 화합물의 상승적 배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포스피네이트 단독보다 전체 중합체 시리즈에서 난연제로서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WO 97/39053 A1, DE-A-19734437, DE-A-19737727 및 US-A-6,255,371).
난연성 중합체성 재료는, 용도에 따라, 또한 이의 기계적 성질들 중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면서 수중에서의 또는 습하고 따뜻한 조건 하에서의 저장을 견뎌야 한다. 예를 들면, 기후-제어 캐비닛에서의 일반적인 저장 조건은 40일 동안 85℃ 및 85%의 상대 습도이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미드의 가수분해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첨가제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종종 난연제와 함께 사용할 수 없다.
DE10359816 A1은 포스피네이트에 의해 유발되는 쇄 분해를 막기 위해, 포스피네이트, 및 비스락탐, 비스옥사졸린, 다염기성 카복실산의 무수물 및 에폭시 화합물의 종류로부터 선택되는 쇄 연장제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용 난연제-안정제 배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에 개시된 화합물은 배합시 중합체 분해의 감소를 보여주지만, 난연성 중합체의 가수분해 성질에는 어떠한 유의한 개선도 가져오지 않는다.
DE-B-1285747은 에스테르 그룹을 함유하는 플라스틱에서 열 및 수분의 영향에 대한 안정제로서의 분자량이 500을 초과하고 3개 이상의 카보디이미드 그룹의 함량을 갖는 폴리카보디이미드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난연제의 첨가에 대한 설명은 없다.
DE 19920276 A1은 열가소성 중합체, 인 화합물 및 카보디이미드 안정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화합물, 예를 들면,
Figure pct00001
를 개시하고 있다.
실시예에 개시된 인 화합물은 레조르시놀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이고, 개시된 안정제 화합물은 예를 들면, Stabaxol P(제조원; Lanxess)
Figure pct00002
이고, 개시된 중합체는 PBT 및 PET 혼합물이다. 개시된 안정제 화합물의 단점은 이들이 독성학적 우려의 대상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단량체성 카보디이미드는 발암성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문제는 중합체 가공(배합, 사출 성형, 압출) 과정에서의 배출일 수 있다. 낮은 구리 부식이 유리한 것으로 언급되었다. 개시된 조성물의 가수분해 안정성에 대한 지침은 없다.
WO 2004/069912 A1 및 WO 2006/120184 A1 및 US 7375167 B2는 가수분해 안정성을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에폭시화 천연 오일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성형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JP01/221448은 할로겐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성형 화합물이 에폭시 화합물 및 폴리올레핀의 첨가에 의해 가수분해-안정화될 수 있음을 개시한다.
EP 2989153 B1은 응력 균열-내성 및 할로겐-비함유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성형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DIN EN ISO 3001에 따른 에폭시 당량이 100 내지 400eq/g인 에폭시화 천연 오일, 포스피네이트 및 멜라민 화합물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성형 화합물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단점은 배합 과정에서 액체 에폭시화 오일의 투여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우수한 응력 균열 내성은 차아인산알루미늄으로는 달성되지만,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로는 달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차아인산알루미늄은 폴리에스테르에서 높은 내화 등급을 달성할 수 없다.
DE 102010053483 A1은, 금속 디알킬포스피네이트-함유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용융물의 열 분해를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N=C=N-함유 화합물의 용도 및 금속 디알킬포스피네이트-함유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용융물의 열 분해의 방지 또는 감소에서의 -N=C=N-함유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실시예에서, 용융 지수(MVR)는 5분 후 및 20분 후에 측정되고, 용융물의 열 분해의 척도로서 인용된다. 용융물에서 폴리에스테르의 가수분해 특징에 대한 지침은 없다.
EP 2365028은 용융물 중 금속 디알킬포스피네이트-함유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열 분해를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N=C=N-함유 화합물의 용도를 개시한다. 용융물 중 폴리에스테르의 가수분해 성질에 대한 지침은 없다.
(폴리)카보디이미드(EP-A-794974) 또는 (폴리)에폭시 화합물(DE T1 69231831)의 사용이 용융 안정성의 개선으로 이어지지만, 개시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특히 분자량의 증가 및 이에 따른 높은 용융 점도의 결과로서 가공 단점을 갖는다.
선행 기술 공정의 단점은 중합체의 부적절한 가수분해 안정성, 및 독성학적 우려가 있는 단량체 카보디이미드의 사용이다. 에폭시 화합물이 열가소성 중합체에서, 특히 난연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중합체 쇄의 가교결합이 추가로 발생하여 점도가 상당히 상승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해 해결되는 과제는 난연성 가수분해-내성 중합체 조성물을 개질하기 위한 난연제-안정제 배합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추가적으로 우수한 기계적 값, 변색 없음, 가공시 중합체 분해 없음 및 독성학적 우려가 있는 화합물의 사용 없음을 특징으로 한다.
과제에 대한 해결책 및 본 발명의 주제는 디알킬포스피네이트-함유 중합체의 가수분해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선택된 안정제 및/또는 윤활제와 중합체성 -N=C=N-함유 화합물의 배합물의 사용이다.
놀랍게도, 선택된 안정제 및/또는 윤활제 및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과 디알킬포스피네이트와의 혼합물의 사용은 우수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우레탄 성형 화합물의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시에, 난연성 성질 및 기계적 성질, 광학적 성질 및 전기적 성질이 언급된 분야의, 특히 운송 부문 및 전기 및 전자 부문에서의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본 발명은 혼합물로서,
- 성분 A로서, 5 내지 95중량%의 화학식 V의 포스핀산 염, 화학식 VI의 디포스핀산 염 또는 이들의 중합체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
- 성분 B로서, 0.5 내지 20중량%의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 성분 C로서, 0 내지 20중량%의 입체 장애 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
- 성분 D로서, 0 내지 20중량%의 유기 포스파이트 및/또는 유기 포스포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 성분 E로서, 0 내지 50중량%의 멜라민 염, 멜라민의 축합 생성물 또는 멜라민과 인산 및/또는 축합된 인산과의 반응 생성물 또는 멜라민의 축합 생성물과 인산 및/또는 축합된 인산과의 반응 생성물 및/또는 언급된 생성물들의 혼합물 및/또는 상기 이외의 질소-함유 난연제,
- 성분 F로서, 0 내지 90중량%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 성분 G로서, 0 내지 40중량%의 윤활제 및/또는 이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 성분 H로서, 0 내지 40중량%의 성분 A 내지 G 이외의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성분들의 총합은 100중량%이고, 단, 상기 혼합물이 성분 C, D 및/또는 G 중 적어도 2개 및 성분 A 및 B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V]
Figure pct00003
[화학식 VI]
Figure pct00004
상기 화학식 V 및 VI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H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6-알킬 및/또는 아릴이고,
R3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10-알킬렌, C6-C10-아릴렌, -알킬아릴렌 또는 -아릴알킬렌이고,
M은 H, Mg, Ca, Al, Sb, Sn, Ge, Ti, Fe, Zn, Zr, Ce, Bi, Sr, Mn, Li, Na, K 및/또는 양성자화된 질소 염기이고,
m은 1 내지 4이고,
n은 1 내지 4이고,
x는 1 내지 4이다.
이하의 용어 "포스핀산 염"은 포스핀산의 염 및 디포스핀산의 염 및 이들의 중합체의 염 및 포스핀산 자체의 염을 포함한다. 수성 매질에서 생성되는 포스핀산 염은 본질적으로 단량체성 화합물이다. 반응 조건에 따라, 중합체성 포스핀산 염은 일부 환경 하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포스핀산 염의 성분으로서 적합한 포스핀산은, 예를 들면, 디메틸포스핀산, 에틸메틸포스핀산, 디에틸포스핀산, 메틸-n-프로필포스핀산, 메탄디(메틸포스핀산), 벤젠-1,4-(디메틸포스핀산), 메틸페닐포스핀산 및 디페닐포스핀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핀산의 염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EP-A-0699708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포스핀산 염은 사용되는 중합체의 종류 및 원하는 성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안정제 혼합물 또는 중합체 화합물에 대해 다양한 물리적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스핀산 염은 중합체에서 보다 더 우수한 분산을 달성하기 위해 미분된 형태로 그라인딩될 수 있다. 상이한 포스핀산 염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포스핀산 염은 열적으로 안정하고, 혼입시 중합체를 분쇄하지 않으며, 중합체 성형 화합물의 제조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포스핀산 염은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대한 통상적인 제조 및 가공 조건 하에 비휘발성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성분 A의 포스핀산 염은, R1 및 R2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ert-부틸, n-펜틸 및/또는 페닐,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프로필 및/또는 n-부틸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인 화학식 VII 및 VII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성분 A의 추가의 포스핀산 염은 R3이 메틸렌, 에틸렌, n-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n-부틸렌, tert-부틸렌, n-펜틸렌, n-옥틸렌, n-도데실렌, 페닐렌, 나프틸렌, 메틸페닐렌, 에틸페닐렌, tert-부틸페닐렌, 메틸나프틸렌, 에틸나프틸렌, tert-부틸나프틸렌, 페닐메틸렌, 페닐에틸렌, 페닐프로필렌 또는 페닐부틸렌,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n-프로필렌, n-부틸렌 또는 페닐렌인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성분 A의 포스핀산 염은 M이 Mg, Ca, Al, Ti, Fe, Zn, Ce, Bi, Sr 또는 Mn인 화학식 VII 및 VIII의 화합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M은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또는 아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아연이다.
바람직하게는, m은 2 또는 3이고, n은 1 또는 3이고, x는 1 또는 2이다.
첨가되는 성분 A의 포스핀산 염의 바람직한 양은, 성분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H를 포함하는 난연제-안정제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80중량%이다.
본원의 맥락에서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분자당 적어도 2개의 -N=C=N- 그룹, 바람직하게는 분자당 적어도 5개의 -N=C=N- 그룹, 가장 바람직하게는 분자당 적어도 10개의 -N=C=N- 그룹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바람직한 성분 B는 적어도 2,000, 특히 적어도 3,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0의 분자량을 갖는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이다.
카보디이미드의 분자량은,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을 표준으로 하는 4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서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자 크기가 5μm이고, 공극 크기가 100 내지 500Å이고, 유속이 1ml/min인 PSS PolymerStandards Service GmbH로부터의 3개의 직렬-연결된 컬럼(디비닐벤젠-가교결합된 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EP 2430062 B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성분 B의 중합체성 -N=C=N-함유 화합물은 화학식 II 및 III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05
상기 화학식 II에서,
R4는 NCO이고,
R5, R6, R7, R8, R9, R10,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알킬, C6- 내지 C12-아릴, C7- 내지 C13-아르알킬 및 C7- 내지 C13-알킬아릴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의 라디칼이고,
g는 0 내지 5의 정수이고,
h는 2 내지 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06
상기 화학식 III에서,
m은 2 내지 5,0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의 정수이고,
R3은, 아릴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4,4'-메틸렌비스(2,6-디알킬페닐) 라디칼이고, 상기 아릴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4,4'-메틸렌비스(2,6-디알킬페닐) 라디칼은, -N=C=N- 그룹을 갖는 방향족 탄소 원자에 대한 오르토 위치 적어도 하나에서, 바람직하게는 오르토 위치 둘 다에서,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치환체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형 또는 지환족 라디칼을 포함하고,
R'는 아릴, 아르알킬, 아릴-NCO 또는 아르알킬-NCO이고,
R''는 -N=C=N-아릴, -N=C=N-아르알킬 또는 -NCO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N=C=N-함유 화합물"은, 이중 결합을 함유하고 적어도 하나의 -N=C=N- 그룹을 갖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N=C=N-함유 중합체를 포함한다.
성분 B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N=C=N-함유 화합물은 화학식 IV 및 V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V]
Figure pct00007
[화학식 V]
Figure pct00008
상기 화학식 IV 및 V에서,
R은 =NCO이고,
n은 2 내지 200의 정수이다.
다른 양태에서, 화학식 II 내지 V의 화합물의 말단 -NCO 그룹은 독립적으로, 또한 -NCO 반응 생성물이다. 이는 화학식 -NHCOOX의 우레탄을 제공하는 알코올과의 반응(여기서, -OX는 알킬 폴리에테르 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코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라디칼이다), 화학식 -NHCONY의 우레아 유도체를 제공하는 아민과의 반응(여기서, -NY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르알킬 라디칼을 갖는 1급 및 2급 아민 및 아미노알킬트리알콕시실란을 나타낸다) 및 옥사졸리돈을 제공하는 글리시딜 에테르와 반응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레탄을 제공하는 알코올과의 반응 생성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R=NCO인 화학식 IV의 -N=C=N-함유 중합체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는 Lanxess AG로부터 Stabaxol® P로서 입수 가능하고, 50℃ 이상의 융점을 갖는다.
Lanxess AG로부터 Stabaxol® P100으로 입수 가능하고, 75℃ 이상의 융점을 갖고, 적어도 3,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N=C=N-함유 고분자량 중합체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B의 화합물 중 카보디이미드 그룹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몰%이다.
첨가되는 성분 B의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의 바람직한 양은, 성분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H를 포함하는 난연제-안정제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0중량%이다.
유기 카보디이미드가 공지되어 있다. 이의 화학은, 예를 들면, 문헌[Chemical Reviews, Vol. 53 (1953), page 145 to and Angewandte Chemie 74 (1962), page 801 to 806]에 기재되어 있다.
카보디이미드는, 예를 들면, 입체 장애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한 염기성 촉매의 작용 및 이산화탄소의 제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염기성 촉매는, 예를 들면, GB-A-1 083 410에 따른 결합된 인을 함유하는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DE-A-11 30 594(GB-A-851 936)에 따른 포스폴렌 및 포스폴리딘 및 이들의 산화물 및 황화물이다. 카보디이미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플라스틱의 가수분해 절단에 대한 안정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성분 C로서 첨가되는 입체 장애 페놀은 그 자체로 공지된 항산화제이다.
성분 C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 들면,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또는 2,6-디-tert-부틸-4-메톡시페놀; 입체 장애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 들면, 2,4-디옥틸티오메틸-6-tert-부틸페놀, 입체 장애 하이드록실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 들면, 2,2'-티오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sec-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디설파이드; 입체 장애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6급-부틸-4-메틸페놀); 입체 장애 벤질페놀, 예를 들면, 3,5,3',5'-테트라-tert-부틸-4,4'-디하이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입체 장애 하이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 들면, 디옥타데실 2,2-비스(3,5-디-tert-부틸-2-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입체 장애 하이드록시벤질방향족, 예를 들면,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페놀; 입체 장애 페놀계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 들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입체 장애 페놀계 벤질포스포네이트, 예를 들면, 디메틸 2,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알킬 N-(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카바메이트; β-(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β-(5-tert-부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β-(3,5-디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β-(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 들면, N,N'-비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민 또는 N,N'-비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하이드라진이다.
첨가되는 성분 C의 입체 장애 페놀의 바람직한 양은, 성분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H를 포함하는 난연제-안정제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0중량%, 특히 1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중량%이다.
성분 D로서 본 발명에 따라 첨가되는 유기 포스파이트 및/또는 유기 포스포나이트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는 항산화제에 대한 공-안정제이다.
유기 포스파이트는 화학식 P(OR)3을 갖고, 여기서 R은 1가 유기 라디칼이다.
유기 포스포나이트는 화학식 PR'(OR)2를 갖고, 여기서 R 및 R'는 1가 유기 라디칼이다.
적합한 유기 포스파이트의 예는 트리아릴 포스파이트, 디아릴 알킬 포스파이트, 아릴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알킬 포스파이트이다.
트리아릴 포스파이트의 예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특히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또는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이다.
디아릴 알킬 포스파이트의 예는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특히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 메틸 포스파이트 또는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 에틸 포스파이트이다.
아릴 디알킬 포스파이트의 예는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이다.
트리알킬 포스파이트의 예는 C12-C18-트리알킬 포스파이트, 특히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또는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이다.
추가의 적합한 유기 포스파이트의 예는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예를 들면,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또는 비스(2,4,6-트리스(tert-부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이다.
추가의 적합한 유기포스파이트는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2,2',2"-니트릴로[트리에틸 트리스(3,3',5,5'-테트라-ter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또는 2-에틸헥실(3,3',5,5'-테트라-ter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이다.
성분 C로서, N,N'-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예를 들면, Irganox® 1098, BASF) 및 성분 D로서,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예를 들면, Irgafos® 168, BASF)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C로서, N,N'-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예를 들면, Irganox® 1098, BASF) 및 성분 D로서,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1,1-비페닐]-4,4'-디일 비스포스포나이트(예를 들면, Sandostab® P-EPQ, Clariant)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첨가되는 성분 D의 유기 포스파이트 및/또는 유기 포스포나이트의 바람직한 양은, 성분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H를 포함하는 난연제-안정제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0중량%, 특히 1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안정제 배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성분 E로서, 멜라민 염, 멜라민의 축합 생성물 또는 멜라민과 인산 및/또는 축합된 인산과의 반응 생성물 또는 멜라민의 축합 생성물과 인산 및/또는 축합된 인산과의 반응 생성물 및/또는 언급된 생성물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안정제 배합물은, 성분 E로서, 20 이상의 평균 축합도(degree of condensation)를 갖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난연제로서 성분 E로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20 이상의 축합도를 갖는 멜라민의 폴리포스페이트 유도체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DE 102005016195 A1은 99 내지 1중량%의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1 내지 99중량%의 예비 알칼리도(reserve alkalinity)를 갖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안정화된 난연제를 개시한다. 상기 문헌은 또한 이러한 난연제가 포스핀산 및/또는 포스핀산 염과 조합될 수 있음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우 특히 바람직한 난연제-안정제 배합물은, 성분 E로서, 20 내지 200, 특히 40 내지 150의 평균 축합도를 갖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욱 바람직한 난연제-안정제 배합물은, 성분 E로서, 320℃ 이상, 특히 36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의 파괴 온도를 갖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성분 E로서, WO 2006/027340 A1(EP 1789475 B1에 상응함) 및 WO 2000/002869 A1(EP 1095030 B1에 상응함)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내지 200, 특히 40 내지 150의 평균 축합도를 갖고, 인 원자 몰당 1.1 내지 2.0몰, 특히 1.2 내지 1.8몰의 멜라민 함량을 갖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를 성분 E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평균 축합도(수-평균)가 >20이고, 파괴 온도가 320℃ 초과이고, 1,3,5-트리아진 화합물 대 인의 몰 비가 1.1 미만, 특히 0.8 내지 1.0이고, 25℃에서의 물 중 10% 슬러리의 pH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6.9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를 성분 E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안정제 배합물은, 성분 E로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한다.
성분 E로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는, 예를 들면, WO 97/39053 A1로부터, 중합체성 성형 화합물을 위한 난연제에서 디에틸포스피네이트와 함께 상승제로서 공지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분 E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멜람 폴리포스페이트, 멜렘 폴리포스페이트 및/또는 멜론 폴리포스페이트이다.
성분 E는 예외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축합 생성물, 예를 들면, 멜람, 멜렘 및/또는 멜론, 특히 멜렘이다.
첨가되는 성분 E의 멜라민(유도체)의 바람직한 양은, 성분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H를 포함하는 난연제-안정제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40중량%이다.
성분 F의 예는 활석, 운모, 실리케이트, 석영, 이산화티탄, 규회석, 카올린, 비결정성 실리카, 탄산마그네슘, 백악, 장석 및/또는 황산바륨 및/또는 유리 섬유를 기본으로 하는 미네랄 미립자 충전제이다. 유리 섬유가 가장 바람직하다.
첨가되는 성분 F의 충전제 및/또는 강화제의 바람직한 양은, 성분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G를 포함하는 난연제-안정제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70중량%, 특히 15 내지 50중량%이다.
성분 G는 윤활제 및/또는 이형제를 포함한다. 이들의 예는 장쇄 지방산, 이의 염,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또는 아미드 유도체, 몬탄 왁스 및/또는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이다.
첨가되는 성분 G의 바람직한 양은, 성분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H를 포함하는 난연제-안정제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30중량%, 특히 5 내지 2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안정제 혼합물에는, 필수 성분 A 및 B, 및 성분 C, D 및/또는 G 중 적어도 2개가 존재한다. 이들의 예는 A, B, C 및 D, A, B, C 및 G 또는 A, B, D 및 G의 조합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안정제 혼합물은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성분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H 및 추가의 성분 I로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성분 I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열가소성-엘라스토머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엘라스토머성 폴리아미드 또는 열가소성-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이다.
40 내지 94.9중량%의 성분 I, 10 내지 20중량%의 성분 A, 0.3 내지 3중량%의 성분 B, 0 내지 3중량%의 성분 C, 0 내지 3중량%의 성분 D, 0 내지 10중량%의 성분 E, 15 내지 35중량%의 성분 F, 0 내지 2중량%의 성분 G 및 0 내지 2중량%의 성분 H를 함유하는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량 성분들의 총합은 100중량%이고, 성분 C, D 및/또는 G 중 적어도 2개가 존재해야 한다.
40 내지 72.9중량%의 성분 I, 10 내지 15중량%의 성분 A, 0.3 내지 2중량%의 성분 B, 0 내지 3중량%의 성분 C, 0 내지 3중량%의 성분 D, 2 내지 10중량%의 성분 E, 15 내지 30중량%의 성분 F, 0 내지 2중량%의 성분 G 및 0.1 내지 2중량%의 성분 H를 함유하는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며, 상기 중량 성분들의 총합은 100중량%이고, 성분 C, D 및/또는 G 중 적어도 2개가 존재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성분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H 또는 성분 A 및 B 및 I 및 임의로 C 내지 H가 언급된 중량 비율로 용융 압출에 의해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안정제 혼합물 및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된 섬유, 필름 및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러그, 스위치, 커패시터, 절연 시스템, 램프 소켓, 코일 형태(coil form), 하우징 및 제어장치 및 기타 물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된 섬유, 필름 및 성형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국내 부문(domestic sector), 산업, 의료, 자동차, 항공기, 선박, 사무실 핏아웃(office fitout), 및 강화된 화재 방지를 필요로 하는 물품 및 건축물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된 섬유, 필름 및 성형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중합체(성분 I)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I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칸디올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단량체 단위로서 헥산-1,6-디올 및/또는 2-메틸펜탄-1,5-디올을 최대 1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0.75중량% 함유하는 PET 및/또는 PBT가 추가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I의 점도 수는 일반적으로 ISO 1628에 따라 50 내지 22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60ml/g(페놀/o-디클로로벤젠 혼합물 중 0.5% 용액에서 측정(25℃에서 중량비 1:1))의 범위이다.
카복실 말단 그룹 함량이 폴리에스테르의 최대 100meq/kg, 바람직하게는 최대 40meq/kg,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eq/kg 미만인 폴리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DE-A 44 01 055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카복실 말단 그룹 함량은 일반적으로 적정 방법(예를 들면, 전위차법)에 의해 측정된다.
특히 바람직한 성형 화합물은, 성분 I로서, PBT 이외의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예를 들면, 혼합물 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비율은, 성분 H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최대 50중량%, 특히 1.0 내지 35중량%이다.
또한, 임의로 PBT와 같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혼합하여 PET 재순환물(recyclate)(스크랩 PET라고도 함)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재순환물은 일반적으로 다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 산업화-후 재순환물(Post-industrial recyclate): 이는 중축합 또는 가공의 생산 폐기물,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한 가공의 경우 스프루(sprue), 사출 성형 또는 압출에 의한 가공의 경우 스타트업 재료 또는 압출 시트 또는 필름으로부터의 에지 컷-오프 재료를 포함한다.
2) 소비-후 재순환물(Post-consumer recyclate): 이는 최종 사용자가 사용한 후 수집 및 가공되는 플라스틱 물품을 포함한다. 체적 측면에서 지금까지 지배적인 물품은 미네랄 워터, 청량 음료 및 주스용 취입-성형된 PET 병이다.
두 가지 유형의 재순환물 모두 그라인딩된 재료 또는 펠릿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펠릿의 경우, 가공되지 않은 재순환물은, 분리 및 세척 후, 압출기에서 용융되고 펠릿화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추가의 가공 단계를 위한 취급, 자유 유동 및 계량도입성(meterability)을 용이하게 한다.
폴리에스테르 I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이다.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는 C2-C6 디올과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디올을 반응시켜 수득되는 중합체이다. C2-C6 디올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며, 부틸렌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디카복실산은 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디올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올,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 디올("PTMEG")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성분 I의 중합체는 열가소성-엘라스토머성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당업계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중합체 I는 바람직하게는 디아민 및 디카복실산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아미노카복실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나일론-2,12, 나일론-4, 나일론-4,6,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9, 나일론-6,10, 나일론-6,12, 나일론-6,66, 나일론-7,7, 나일론-8,8, 나일론-9,9, 나일론-10,9, 나일론-10,10, 나일론-11, 나일론-12 등이다. 이들은, 예를 들면, DuPont으로부터의 상품명 Nylon®, BASF로부터의 상품명 Ultramid®, DSM으로부터의 상품명 Akulon® K122, DuPont으로부터의 상품명 Zytel® 7301, Bayer로부터의 상품명 Durethan® B 29 및 Ems Chemie로부터의 상품명 Grillamid®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m-크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으로부터 진행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소- 및/또는 테레프탈산 및 임의로 개질제로서의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상기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그래프트된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과의 블록 공중합체가 적합하다. 또한, EPDM- 또는 ABS-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가공 동안 축합된 폴리아미드("RIM 폴리아미드 시스템").
성분 I의 중합체는 열가소성-엘라스토머성 폴리아미드일 수도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당업계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열가소성-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은 열가소성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예를 들면, Desmopan®(Bayer)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성분 F로서, 활석, 규회석, 카올린 및/또는 유리 섬유를 기본으로 하는 미네랄 미립자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치수 안정성 및 높은 열 치수 안정성 측면에서 등방성이 요구되는 응용 분야, 예를 들면, 외부 차체 부품용 자동차 응용 분야의 경우, 성분 F로서, 미네랄 충전제, 특히 활석, 규회석 또는 카올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F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를 포함한다.
섬유성 또는 미립자 충전제 F는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유리 비드, 비결정성 실리카, 석면, 규산칼슘, 메타규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백악, 분말 석영, 운모, 황산바륨 및 장석을 포함하며, 이들은,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최대 60중량%, 특히 최대 5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섬유성 충전제는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며, 특히 E 유리 형태의 유리 섬유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표준 상업적 형태의 그라인딩된 글래스(ground glass), 로빙(roving) 또는 촙드 글래스(chopped glass)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와의 보다 우수한 상용성을 위해, 섬유성 충전제는 실란 화합물로 표면적으로 전처리되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란 화합물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부틸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부틸트리에톡시실란, 및 글리시딜 그룹을 치환체 X로서 함유하는 상응하는 실란이다.
실란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F를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 특히 0.8 내지 1중량%의 양으로 표면 코팅에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상 미네랄 충전제가 성분 F로서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침상 미네랄 충전제는 고도로 뚜렷한 침상 특징을 갖는 미네랄 충전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이해된다. 예는 침상 규회석이다. 미네랄은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35:1,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9:1, 가장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2:1의 길이:직경 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침상 미네랄의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20μ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5μ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μm 미만이다.
충전제 및/또는 강화제는 임의로, 예를 들면, 실란을 기본으로 하는 접착 촉진제 또는 접착 촉진제 시스템으로 표면-개질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전처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특히,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실란 이외에, 중합체 분산액, 필름 형성제, 분지화제 및/또는 유리 섬유 가공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성형 화합물 또는 성형물을 제공하기 위한 가공의 결과로서, 미립자 충전제는 성형 화합물 또는 성형물에서 원래 사용되는 충전제보다 더 작은 d90 또는 d50을 가질 수 있다. 성형 화합물 또는 성형물을 제공하기 위한 가공의 결과로서, 유리 섬유는 성형 화합물 또는 성형물에서 원래 사용되는 것보다 더 짧은 길이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추가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성형 화합물은, 성분 A 내지 F 이외에, 추가의 첨가제 G로서 적어도 하나의 윤활제 및 이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예는 장쇄 지방산(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 이의 염(예를 들면, 칼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아연 스테아레이트) 및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아미드 유도체(예를 들면,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몬탄 왁스(28 내지 32개의 탄소 원자의 쇄 길이를 갖는 직쇄 포화 카복실산의 혼합물) 및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이다.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왁스 및 8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카복실산과 2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포화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그룹으로부터의 윤활제 및/또는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며,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PETS)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의 사용 가능한 첨가제 H는, 예를 들면, 추가의 안정제(예를 들면, UV 안정제), 대전방지제, 추가의 난연제, 유화제, 핵형성제, 가소제, 가공조제, 충격 개질제, 염료 및 안료이다. 추가의 첨가제 H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또는 마스터배취 형태로 사용될 수 있거나, 성분 I보다 앞서 용융물 내로 혼합되거나 이의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추가의 안정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로퀴논, 방향족 2급 아민, 예를 들면, 디페닐아민, 치환된 레조르시놀, 살리실레이트, 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페논 및 상기 그룹의 다양하게 치환된 대표들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UV 안정제는 다양한 치환된 레조르시놀, 살리실레이트, 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페논을 포함한다.
충격 개질제(엘라스토머 개질제, 개질제)는 매우 일반적으로 다음 단량체들 중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공중합체이다: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이소부텐,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알코올 성분에 1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크릴 및 메타크릴 에스테르.
착색제로서 무기 안료,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울트라마린 블루, 산화철, 황화아연 및 카본 블랙 및 유기 안료,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 퀴나크리돈, 페릴렌 및 염료, 예를 들면, 니그로신 및 안트라퀴논 및 기타 착색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카본 블랙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핵형성제는, 예를 들면, 나트륨 페닐포스피네이트 또는 칼슘 페닐포스피네이트, 알루미늄 옥사이드 또는 이산화규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활석이다.
사용되는 가공조제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α-올레핀과 지방족 알코올의 적어도 하나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α-올레핀이 에텐 및/또는 프로펜으로부터 형성되고,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가 알코올 성분으로서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예는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벤질 프탈레이트,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탄화수소 오일 및 N-(n-부틸)벤젠설폰아미드를 포함한다.
성분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H는, 예를 들면, 혼합기에서 분말 및/또는 펠릿으로서 모든 성분을 예비혼합한 다음, 배합 장치(예를 들면, 이축 압출기)에서 이들을 중합체 용융물로 균질화시킴으로써 열가소성 중합체로 혼입될 수 있다. 용융물은 일반적으로 압출, 냉각 및 펠릿화된다. 개별 성분들은 계량도입 유닛을 통해 배합 장치에 별도로 직접 도입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완성된 중합체 펠릿 또는 분말에 첨가물 A 및 B 및 임의로 C 내지 H를 첨가하고, 사출 성형기에서 직접 혼합물을 가공하여 성형품(shaped article)을 제공할 수 있다.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 압출 또는 프레싱에 의해 성형물, 필름, 필라멘트 및 섬유를 제조하는 데 적합하다.
실시예
1. 사용되는 성분
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I: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Ultradur® 4500 (BASF, D)
열가소성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C):
Riteflex® 655 TPC 충전되지 않음(Celanese, 쇼어 D 경도 55), TPC-55로 나타냄
Riteflex® 440 TPC 충전되지 않음(Celanese, 쇼어 D 경도 40)
나일론-6,6: Ultramid® A27, BASF
TPU: Elastollan® 1185, BASF
성분 A: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 염, 이하 DEPAL로 나타냄.
성분 B:
Stabaxol® P,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용융 범위 50 내지 60℃, Lanxess
Stabaxol® P100, 고분자량 카보디이미드, 용융 범위 75 내지 85℃, Lanxess
Stabaxol® P110, 고분자량 카보디이미드, 용융 범위 60 내지 70℃, Lanxess
Stabaxol® PLF, 단량체 성분이 없는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Lanxess
Lubio® AS 3,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Schaefer Additivsysteme, AS 3으로 나타냄
Lubio® AS 18, 고분자량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Schaefer Additivsysteme, AS 18로 나타냄
성분 C:
Irganox® 1010(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BASF, 입체 장애 페놀로 나타냄
Irganox® 1330(3,3',3',5,5',5'-헥사-tert-부틸-a,a',a'-(메시틸렌-2,4,6-트리일)트리-p-크레졸), BASF, 입체 장애 페놀로 나타냄
Irganox® 245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비스(3-(5-tert-부틸-4-하이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 입체 장애 페놀로 나타냄
성분 D:
Melapur® MC 50(멜라민 시아누레이트), BASF, MC로 나타냄
Melapur® 200/70(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 MPP), BASF, MPP로 나타냄
Delflam 20(멜렘), Delamin, UK, 멜렘으로 나타냄
성분 F:
PPG HP 3610 EC 10 4.5mm 유리 섬유
PPG HP 3786 EC 10 4.5mm 유리 섬유, Nippon Electric Glass, NL
성분 G:
윤활제: Licowax® E, 몬탄 왁스, Clariant, CH
비교자
Araldite GT 7072; Huntsman, CH, 에폭사이드로 나타냄
Lotader AX8900, Arkema,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충격 개질제, AX 8900으로 나타냄
2.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제조, 가공 및 시험
난연제 성분들을 표에 명시된 비로 중합체 펠릿 및 임의의 첨가제와 혼합하고, 240 내지 280℃의 온도에서 2축 압출기(Leistritz ZSE 27/HP-44D)에 혼입하였다. 균질화된 중합체 스트랜드를 인발 제거하고, 수욕에서 냉각시킨 다음 펠릿화하였다.
충분한 건조 후, 성형 화합물을 260 내지 280℃의 용융 온도에서 사출 성형기(Arburg 320C/KT)에서 가공하여 시험 시편을 제공하였다. 성형 화합물의 난연성은 방법 UL94V(Underwriters Laboratories Inc. Standard of Safety, "Test for Flammability of Plastic Materials for Parts in Devices and Appliances", page 14 to page 18, Northbrook 1998)에 의해 시험하였다.
난연성 시험(fire test)을 UL 94 수직 시험에 의해 수행하였다. UL 94 난연성 분류는 다음과 같다:
V-0: 절대로 10초를 넘지 않는 잔염 시간, 50초 이하의 10회 화염 적용에 대한 총 잔염 시간, 불꽃 낙하(flaming drop)가 없음, 시편의 완전한 소모가 없음, 절대로 30초를 넘지 않는 화염 적용 종료 후 시편에 대한 잔광(afterglow) 시간.
V-1: 절대로 30초를 넘지 않는 화염 적용 종료 후 잔염 시간, 250초 이하의 10회 화염 적용에 대한 총 잔염 시간, 절대로 60초를 넘지 않는 화염 적용 종료 후 시편에 대한 잔광 시간, 다른 기준들은 V-0에 대한 것과 동일함.
V-2: 불꽃 낙하에 의해 발화되는 면 표시물(cotton indicator), 다른 기준들은 V-1에 대한 것과 동일함.
분류 불가(ncl): 난연성 분류 V-2에 부합하지 않음.
실시예에서는 5개의 시험 시편에 10회 화염 적용에 대한 잔염 시간을 보고한다.
가수분해 안정성의 측정은 CertoClav Sterilizer GmbH로부터의 CertoClav MultiControl 2(실험실 오토클레이브)로 수행하였다. 오토클레이브에 샘플을 저장하는 목적은 고온 및 높은 수분 함량의 결과로서 물질의 분해를 시험하기 위한 것이었다. 시험 시편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시험 시편의 수는 필요한 시험 및 예상되는 샘플링 수(존재하는 경우)에 따라 결정된다. 가수분해 안정성은 DIN EN 60749-33, 즉 121℃ 및 1barg에서 100% 상대 습도의 압력 하에서의 가열 저장에 따라 시험하였다.
또한, 가수분해 안정성은 표준 인장 시편을 85℃ 및 85% 상대 습도의 기후-제어 캐비닛에서 40일 동안 저장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중요한 수치는 가수분해 시험 전 및 후의 기계적 값들 및 백분율 단위의 저장 후 값의 유지율이다.
인장 성질은 DIN EN ISO 527-1/-2/-3에 따라 Z 010 인장 시험기(Zwic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은 시험 시편의 인장 변형 특징을 검사하고, 고정 조건 하에 인장 강도, 인장 모듈러스 및 인장 응력/변형 관계의 기타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험 시편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시험 시편의 수는 필요한 시험에 의해 결정된다. 샘플 준비를 위해, 시험 시편을 23℃/50% 상대 습도에서 기후-제어실에 적어도 16시간 동안 저장한다. 폴리아미드 시험 시편 및 높은 수분 흡수를 갖는 기타 시험 시편을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기밀 밀봉된 백에 적어도 24시간 동안 저장한다. 시험 시편을 파손될 때까지 또는 응력(힘) 또는 변형률(길이의 변화)이 정의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한 속도로 가장 큰 주축을 따라 신장시키고; 이 작업 동안, 시험 시편이 받는 응력 및 길이의 변화를 측정한다. 측정은 23℃ 및 50% 상대 습도의 기후-제어실에서 수행한다.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예
Figure pct00009
표 1은 난연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DepAl, MC,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입체 장애 페놀 및 윤활제를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카보디이미드, 입체 장애 페놀 및 윤활제의 첨가는 난연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오토클레이브에서 3일 동안 노출 후(압력 쿠커 시험, 121℃, 1barg), 최대 75%의 파단 연신률의 유지가 여전히 확인된다. 배합시 압력의 증가 및 가스 또는 냄새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PBT 실시예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표 2는 난연성 가수분해-안정성 PBT 화합물이 DepAl, MC, 유리 섬유, 입체 장애 페놀, 고분자량 카보디이미드 및 윤활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UL94 난연성 분류는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의 첨가에 의해 개선된다. 85℃ 및 85% 상대 습도에서 기후-제어 캐비닛에 40일 동안 저장 후,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에스테르로 88%의 파단 연신률이 여전히 얻어진다. 이러한 파단 연신률은 121℃ 및 1barg의 오토클레이브에서 2 내지 3일 동안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저장에 대해 매우 실질적으로 필적한다. 따라서, 오토클레이브는 PCT 조건에서 신속한 가수분해 시험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배합시 압력의 증가 및 가스 또는 냄새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pct00012
표 3은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DepAl, MC, 유리 섬유, 입체 장애 페놀,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카보디이미드들 및 윤활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유지율은 >3,000g/mol의 분자량을 갖는 카보디이미드로 달성됨을 보여준다. UL94 난연성 분류는 카보디이미드, 입체 장애 페놀 및 윤활제의 첨가를 통해 중요한 수준으로 보존되거나 개선된다. 오토클레이브에서 121℃ 및 1barg에서 3일 동안 저장 후, 카보디이미드를 추가로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거의 80%의 파단 연신률이 얻어졌다. 배합시 압력의 증가 및 가스 또는 냄새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pct00013
표 4는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DepAl, 멜렘, 유리 섬유, 입체 장애 페놀, 고분자량 카보디이미드 및 윤활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UL94 난연성 분류는 카보디이미드, 입체 장애 페놀 및 윤활제의 첨가를 통해 보존된다. 오토클레이브에서 121℃ 및 1barg에서 3일 동안 저장 후, 카보디이미드 및 입체 장애 페놀을 추가로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거의 60%의 파단 연신률이 여전히 얻어진다. 배합시 압력의 증가 및 가스 또는 냄새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나일론-6의 실시예
Figure pct00014
표 5는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아미드가 Exolit OP 1400, 유리 섬유, 입체 장애 페놀,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및 윤활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UL94 난연성 분류는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입체 장애 페놀 및 윤활제의 첨가를 통해 매우 실질적으로 보존된다. 오토클레이브에서 121℃ 및 1barg(PCT)에서 4일 동안 저장 후, 77%의 파단 연신률이 여전히 얻어진다. 여기서 포화는 24시간 후에만 확립되기 때문에, 물 저장 후 1일의 0의 신장 값이 취해졌음을 주지해야 한다. 배합시 압력의 증가 및 가스 또는 냄새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TPU 실시예
Figure pct00015
표 6은 DepAl, MC, 입체 장애 페놀, 고분자량 카보디이미드 및 윤활제를 사용하여 85℃에서 7일 동안 물에 저장 후 여전히 인장 강도가 80% 이상 유지되는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얻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배합시 가스 및 냄새 형성이 관찰되지 않으며, 시험 시편은 어떠한 변색도 보이지 않는다. UL94 난연성 분류는 고분자량 카보디이미드, 입체 장애 페놀 및 윤활제의 첨가에 의해 보존되는 반면, 카보디이미드를 첨가하지 않으면 난연성 분류의 저화가 관찰된다.

Claims (21)

  1. 혼합물로서,
    - 성분 A로서, 5 내지 95중량%의 화학식 V의 포스핀산 염, 화학식 VI의 디포스핀산 염 또는 이들의 중합체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
    - 성분 B로서, 0.5 내지 20중량%의 중합체성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 성분 C로서, 0 내지 20중량%의 입체 장애 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
    - 성분 D로서, 0 내지 20중량%의 유기 포스파이트 및/또는 유기 포스포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 성분 E로서, 0 내지 50중량%의 멜라민 염, 멜라민의 축합 생성물 또는 멜라민과 인산 및/또는 축합된 인산과의 반응 생성물 또는 멜라민의 축합 생성물과 인산 및/또는 축합된 인산과의 반응 생성물 및/또는 언급된 생성물들의 혼합물 및/또는 상기 이외의 질소-함유 난연제,
    - 성분 F로서, 0 내지 90중량%의 충전제 또는 강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 성분 G로서, 0 내지 40중량%의 윤활제 및/또는 이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 성분 H로서, 0 내지 40중량%의 성분 A 내지 G 이외의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성분들의 총합은 100중량%이고, 단, 상기 혼합물이 성분 C, D 및/또는 G 중 적어도 2개 및 성분 A 및 B를 포함하는, 혼합물.
    [화학식 V]
    Figure pct00016

    [화학식 VI]
    Figure pct00017

    상기 화학식 V 및 VI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H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6-알킬 및/또는 아릴이고,
    R3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10-알킬렌, C6-C10-아릴렌, -알킬아릴렌 또는 -아릴알킬렌이고,
    M은 H, Mg, Ca, Al, Sb, Sn, Ge, Ti, Fe, Zn, Zr, Ce, Bi, Sr, Mn, Li, Na, K 및/또는 양성자화된 질소 염기이고,
    m은 1 내지 4이고,
    n은 1 내지 4이고,
    x는 1 내지 4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ert-부틸, n-펜틸 및/또는 페닐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이 메틸렌, 에틸렌, n-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n-부틸렌, tert-부틸렌, n-펜틸렌, n-옥틸렌 또는 n-도데실렌; 페닐렌 또는 나프틸렌; 메틸페닐렌, 에틸페닐렌, tert-부틸페닐렌, 메틸나프틸렌, 에틸나프틸렌 또는 tert-부틸나프틸렌; 페닐메틸렌, 페닐에틸렌, 페닐프로필렌 또는 페닐부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의 중합체성 -N=C=N-함유 화합물이 화학식 II 또는 III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화학식 II]
    Figure pct00018

    상기 화학식 II에서,
    R4는 NCO이고,
    R5, R6, R7, R8, R9, R10,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알킬, C6- 내지 C12-아릴, C7- 내지 C13-아르알킬 및 C7- 내지 C13-알킬아릴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의 라디칼이고,
    g는 0 내지 5의 정수이고,
    h는 2 내지 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19

    상기 화학식 III에서,
    m은 2 내지 5,0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의 정수이고,
    R3은, 아릴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4,4'-메틸렌비스(2,6-디알킬페닐) 라디칼이고, 상기 아릴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4,4'-메틸렌비스(2,6-디알킬페닐) 라디칼은, -N=C=N- 그룹을 갖는 방향족 탄소 원자에 대한 오르토 위치 적어도 하나에서, 바람직하게는 오르토 위치 둘 다에서,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치환체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형 또는 지환족 라디칼을 포함하고,
    R'는 아릴, 아르알킬, 아릴-NCO 또는 아르알킬-NCO이고,
    R''는 -N=C=N-아릴, -N=C=N-아르알킬 또는 -NCO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성분 B가 화학식 IV 및 V의 -N=C=N-함유 화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화학식 IV]
    Figure pct00020

    [화학식 V]
    Figure pct00021

    상기 화학식 IV 및 V에서,
    R은 =NCO이고,
    n은 2 내지 200의 정수이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가 알킬화 모노페놀, 입체 장애 알킬티오메틸페놀, 입체 장애 하이드록실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입체 장애 알킬리덴비스페놀, 입체 장애 벤질페놀, 입체 장애 하이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입체 장애 하이드록시벤질방향족, 입체 장애 페놀계 트리아진 화합물, 입체 장애 페놀계 벤질 포스포네이트, 알킬 N-(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카바메이트, β-(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β-(5-tert-부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β-(3,5-디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β-(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가 화학식 P(OR)3의 유기 포스파이트(여기서, R은 1가 유기 라디칼이다) 및 화학식 PR'(OR)2의 유기 포스포나이트(여기서, R 및 R'는 1가 유기 라디칼이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E가 20 이상의 평균 축합도(degree of condensation)를 갖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멜람 폴리포스페이트, 멜렘 폴리포스페이트 및/또는 멜론 폴리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F가 활석, 운모, 실리케이트, 석영, 이산화티탄, 규회석, 카올린, 비결정성 실리카, 탄산마그네슘, 백악, 장석 및/또는 황산바륨 및/또는 유리 섬유를 기본으로 하는 미네랄 미립자 충전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G가 장쇄 지방산, 이의 염,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또는 아미드 유도체, 몬탄 왁스 및/또는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혼합물, 및 추가의 성분 I로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열가소성-엘라스토머성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엘라스토머성 폴리아미드 및/또는 열가소성-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40 내지 94.9중량%의 성분 I, 10 내지 20중량%의 성분 A, 0.3 내지 3중량%의 성분 B, 0 내지 3중량%의 성분 C, 0 내지 10중량%의 성분 D, 0 내지 10중량%의 성분 E, 15 내지 35중량%의 성분 F, 0 내지 2중량%의 성분 G 및 0 내지 2중량%의 성분 H를 함유하고, 상기 중량 성분들의 총합이 100중량%이고, 성분 C, D 및/또는 G 중 적어도 2개가 존재하는, 조성물.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성분 E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멜렘 또는 상기 성분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F가 활석, 운모, 실리케이트, 석영, 이산화티탄, 규회석, 카올린, 비결정성 실리카, 탄산마그네슘, 백악, 장석 및/또는 황산바륨 및/또는 유리 섬유를 기본으로 하는 미네랄 미립자 충전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성분 F가 유리 섬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I가 PBT 또는 열가소성-엘라스토머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G가 장쇄 지방산, 이의 염,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또는 아미드 유도체, 몬탄 왁스 및/또는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분 A 내지 I가 명시된 중량 비율로 용융 압출에 의해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수분해-안정성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수분해-안정성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된 섬유, 필름, 성형물(moulding) 및 성형품(shaped article).
  20. 플러그, 스위치, 커패시터, 절연 시스템, 램프 소켓, 코일 형태(coil form), 하우징, 제어 장치(control) 및 기타 물품에서의,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수분해-안정성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된 섬유, 필름 및 성형물의 용도.
  21. 국내 부문(domestic sector), 산업, 의료, 자동차, 항공기, 선박, 우주선 및 기타 이동 수단, 사무실 핏아웃(office fitout) 및 기타 물품 및 건축물에서의,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수분해-안정성 난연성 중합체 화합물로 제조된 섬유, 필름, 성형물 및 성형품의 용도.
KR1020237007350A 2020-07-30 2021-07-15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난연성 중합체를 위한 난연제-안정제 배합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450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8649.6A EP3945110A1 (de) 2020-07-30 2020-07-30 Flammschutzmittel-stabilisator-kombinationen für flammwidrige polymere mit verbesserter hydrolysebeständigkeit und deren verwendung
EP20188649.6 2020-07-30
PCT/EP2021/069839 WO2022023064A1 (en) 2020-07-30 2021-07-15 Flame retardant-stabilizer combinations for flame-retardant polymers having improved hydrolysis stability and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050A true KR20230045050A (ko) 2023-04-04

Family

ID=7189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350A KR20230045050A (ko) 2020-07-30 2021-07-15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난연성 중합체를 위한 난연제-안정제 배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79221A1 (ko)
EP (2) EP3945110A1 (ko)
JP (1) JP2023540431A (ko)
KR (1) KR20230045050A (ko)
CN (1) CN116134083A (ko)
TW (1) TW202206529A (ko)
WO (1) WO2022023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8053B1 (fr) * 2020-12-23 2024-04-26 Naval Group Matériau pour revêtement acoustique à base de polyuréthane
CN116731512B (zh) * 2023-08-02 2023-10-31 巴斯夫新材料有限公司 热塑性聚酰胺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1936A (en) 1956-07-30 1960-10-19 Du Pon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lymeric products
DE1130594B (de) 1956-07-30 1962-05-30 Du Pon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gebenenfalls modifizierten Polykondensationsprodukten mití¬N?C?N-Brueckengliedern
FR1310138A (ko) 1960-12-02 1963-03-06
US3522303A (en) 1964-08-12 1970-07-28 Upjohn Co Phosphorous compounds
DE2252258A1 (de) 1972-10-25 1974-05-09 Hoechst Ag Schwerentflammbare thermoplastische polyester
DE2447727A1 (de) 1974-10-07 1976-04-08 Hoechst Ag Schwerentflammbare polyamidformmassen
JPH0689233B2 (ja) 1988-03-01 1994-11-09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耐加水分解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AU658436B2 (en) 1991-07-18 1995-04-13 General Electric Company Stabilization of polyesters using epoxy compounds in combination with a catalyst
DE4401055A1 (de) 1994-01-15 1995-07-2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Polyestern mit niedrigem Carboxylendgruppengehalt
DE4430932A1 (de) 1994-08-31 1996-03-07 Hoechst Ag Flammgeschützte Polyesterformmasse
DE4442724A1 (de) 1994-12-01 1996-06-05 Basf Ag Stabilisierte Polyesterformmassen
DE19614424A1 (de) 1996-04-12 1997-10-16 Hoechst Ag Synergistische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für Polymere
DE19734437A1 (de) 1997-08-08 1999-02-11 Clariant Gmbh Synergistische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für Polymere
DE19737727A1 (de) 1997-08-29 1999-07-08 Clariant Gmbh Synergistische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für Kunststoffe
NL1009588C2 (nl) 1998-07-08 2000-01-11 Dsm Nv Polyfosfaatzout van een 1,3,5-triazineverbinding met hoge condensatiegraad, een werkwijze voor de bereiding ervan en de toepassing als vlamdover in polymeersamenstellingen.
DE19920276A1 (de) 1999-05-04 2000-11-09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DE19933901A1 (de) 1999-07-22 2001-02-01 Clariant Gmbh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DE10304341A1 (de) 2003-02-03 2004-08-12 Basf Ag Hydrolysebeständige Polyester
DE10359816B4 (de) 2003-12-19 2006-11-16 Clariant Produkte (Deutschland) Gmbh Flammschutzmittel-Stabilisator-Kombination für Polyester und Polyamide sowie damit hergestellte Kunststoff-Formmassen
DE102004042833B4 (de) 2004-09-04 2022-01-05 Chemische Fabrik Budenheim Kg Polyphosphatderivat einer 1,3,5-Triazonverbindung,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DE102005016195A1 (de) 2005-04-08 2006-10-12 Clariant Produkte (Deutschland) Gmbh Stabilisiertes Flammschutzmittel
US7375167B2 (en) 2005-05-09 2008-05-20 Basf Se Hydrolysis-resistance composition
JP5179731B2 (ja) * 2005-08-11 2013-04-10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
DE102007041594A1 (de) * 2007-09-01 2009-03-05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Flammwidrige Polyestercompounds
EP1950238A3 (en) * 2008-02-22 2008-09-03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Flame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color stability
JP5377869B2 (ja) * 2008-03-07 2013-12-25 ウィンテックポリマー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被覆電線
US20120123062A1 (en) 2009-05-15 2012-05-17 Rhein Chemie Rheinau Gmbh Process for preparing carbodiimides
DE102010053483A1 (de) 2010-12-04 2012-06-06 Lanxess Deutschland Gmbh =N=C=N- enthaltende Verbindung zur Verhinderung des thermischen Abbaus in Schmelzen
CN102190866A (zh) * 2010-03-10 2011-09-21 朗盛德国有限责任公司 用于在熔融物中防止热降解的包括-n=c=n-的化合物
PL2365028T3 (pl) 2010-03-10 2013-03-29 Lanxess Deutschland Gmbh Związki zawierające ugrupowania -N=C=N- do zapobiegania rozkładowi termicznemu poli(tereftalanów alkilenowych) zawierających dialkilofosfiniany metali w stopach
DE102010049968A1 (de) * 2010-10-28 2012-05-03 Clariant International Ltd. Flammwidrige Polyestercompounds
CN105339422B (zh) 2013-04-25 2018-07-31 巴斯夫欧洲公司 耐应力开裂的无卤素阻燃聚酯
DE102016203221A1 (de) * 2016-02-29 2017-08-31 Clariant Plastics & Coatings Ltd Flammhemmende Polyamidzusammensetzung
KR20170128024A (ko) * 2016-05-13 2017-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선용 시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9221A1 (en) 2023-09-07
EP4189005A1 (en) 2023-06-07
WO2022023064A1 (en) 2022-02-03
JP2023540431A (ja) 2023-09-25
TW202206529A (zh) 2022-02-16
CN116134083A (zh) 2023-05-16
EP3945110A1 (de) 202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8741B2 (ja) 熱可塑性ポリマーのための難燃剤−安定化剤の組み合わせ
KR102297586B1 (ko)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KR102593037B1 (ko) 난연성, 비부식성, 및 안정한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제조방법
US6270560B1 (en) Flameproof polymer moulding material
US10941281B2 (en) Flame-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US20110021676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lame-retardant, Non-corrosive, and Easily flowable Polyamide and Polyester Molding Compounds
JP6986450B2 (ja) 熱可塑性ポリマーのための防食性の難燃性調合物
CN111212871B (zh) 阻燃性和颜色稳定的聚酰胺模塑料
JP2022177099A (ja) 難燃性ポリアミド組成物
US20130131235A1 (en) Flame-Proof Agent-Stabiliser Combination for Thermoplastic and Duroplastic Polymers
KR20230045050A (ko) 개선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는 난연성 중합체를 위한 난연제-안정제 배합물 및 이의 용도
JP2015523444A (ja) 難燃性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成型品
JP2022518205A (ja) 難燃剤混合物
US20100025643A1 (en) Flame-retardant mixture for thermoplastic polymers, and flame-retardant polymers
US20180244899A1 (en) Flame-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US20220195147A1 (en) Flame retardant mixture for thermoplastic polymers
TWI830717B (zh) 阻燃劑混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