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896A -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896A
KR20230042896A KR1020210125707A KR20210125707A KR20230042896A KR 20230042896 A KR20230042896 A KR 20230042896A KR 1020210125707 A KR1020210125707 A KR 1020210125707A KR 20210125707 A KR20210125707 A KR 20210125707A KR 20230042896 A KR20230042896 A KR 2023004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terminal
blockchain
seller
comme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059B1 (ko
Inventor
공일만
Original Assignee
공일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일만 filed Critical 공일만
Priority to KR102021012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05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NFT 기반의 온라인 컨텐츠를 고정가, 경매 또는 가격제안 방식으로 판매하는 창작자 단말;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에서 판매하는 NFT 기반의 온라인 컨텐츠를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구매하는 구매 및 판매자 단말; 및 상기 창작자 단말로 상기 온라인 컨텐츠를 판매하기 위한 스토어를 제공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에서 상기 스토어로 업로드한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급하고, 발급된 NFT(Non-Fungible Token)가 적용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과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 간의 컨텐츠 거래를 위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ing and selling NFT-based commodity content}
본 발명은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실행시킬 수 있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반의 P2P(Peer-to-Peer)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자산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에서는 디지털 자산을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현한 응용 프로그램인 토큰(Token) 형태로 관리한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에서 디지털 자산을 토큰화하여 관리하면, 불변성, 빠른 접근성, 또는 높은 유동성 등의 이점을 가지게 된다.
토큰은 크게 대체가능(Fungible) 토큰과 대체불가능(Non-Fungible) 토큰으로 분류된다. 대체가능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가능하지만 대체불가능 토큰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토큰과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블록체인에서는 상호 운용성을 위해 표준화된 토큰 프로토콜을 이용하게 되는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공개형(Public) 블록체인 중 하나인 이더리움은 상호 운용성을 위해 대체가능 토큰을 위한 표준 토큰 프로토콜과 대체불가능 토큰을 위한 표준 토큰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이에 반해, 허가된 사용자들만 참여할 수 있는 허가형(Permissioned) 블록체인에서는 대체가능 토큰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에 대한 논의 및 개발은 진행 중이지만, 대체불가능 토큰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설계 및 개발이 공개되지 않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1060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NFT 기반의 온라인 컨텐츠를 고정가, 경매 또는 가격제안 방식으로 판매하는 창작자 단말;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에서 판매하는 NFT 기반의 온라인 컨텐츠를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구매하는 구매 및 판매자 단말; 및 상기 창작자 단말로 상기 온라인 컨텐츠를 판매하기 위한 스토어를 제공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에서 상기 스토어로 업로드한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급하고, 발급된 NFT(Non-Fungible Token)가 적용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과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 간의 컨텐츠 거래, 구매 및 판매자 단말들 간의 컨텐츠 거래 및 구매를 위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은 구매한 온라인 컨텐츠를 사업 목적에 맞게 재가공하여 (재)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방법은 창작자 단말에서 창작한 온라인 컨텐츠를 등록 및 판매하거나 또는 구매 및 판매자 단말에서 구매한 온라인 컨텐츠를 (재)판매하기 위한 온라인 스토어 생성을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자상거래서버에서 온라인 스토어를 생성 후, 상기 창작자 단말 또는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로 발급된 전자지갑 주소와 상기 온라인 스토어를 연동시키는 단계; 상기 창작자 단말 또는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에서 상기 온라인 스토어로 판매 하고자 하는 온라인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에서 업로드한 온라인 컨텐츠의 건전성을 검열하는 단계; 업로드한 온라인 컨텐츠가 상기 창자자 단말로 검열이 완료된 온라인 컨텐츠일 경우, 해당 온라인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 및/또는 저작권을 식별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을 발급하고, 발급이 완료된 온라인 컨텐츠를 상기 창작자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와 연동되는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에 분산저장하는 단계; 구매 및 판매자 단말에서 판매자의 온라인 스토어에 노출된 온라인 컨텐츠를 판매자가 지정한 판매방식을 적용하여 구매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에서 상기 창작자 단말의 전자지갑과 복수 개의 구매 및 판매자 단말의 전자지갑 간의 구매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트랜잭션이 NFT 이전 조건 데이터를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온라인 컨텐츠의 소유권을 이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전자지갑 주소(개인정보 동의 없이)만으로 유저 식별을 진행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판매시에, 동의를 보다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들이 업로드한 온라인 컨텐츠의 불법성 및 건전성을 확인하여 구매자에게 안심하게 판매할 수 있고, 각 온라인 컨텐츠 마다 NFT를 발급하고, 발급된 NFT를 통해 상품을 판매/재판매/구매에 대한 이력에 대한 히스토리를 투명하게 기록 및 보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예컨대, 종래의 같이, 상품 판매 및 구매하는 과정에서 전자지갑의 주소로만 거래기록이 남겨질 경우, 본인/실명계좌 확인과 추적이 불가능하여, 자금세탁/테러자금조달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부분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유형/무형 자산을 법정화폐(Fiat-Money)로 간편결제(카드/계좌이체/네이버/카카오/알리/구글/라인 페이 등)를 이용하여 거래를 하고, 거래되는 자산의 히스토리는 블록체인 기술 NFT로 안전하고 투명하게 기록/보관하고, 이와 같이, 블록체인 기술 NFT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운영할 경우, 특금법에 가상자산 정의의 예외 조항 중, (가)항 "화폐/재화/용역 등으로 교환될 수 없는 전자적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정보로서 발행인이 사용처와 그 용도를 제한한 것"에 속하여 본원에서 제시하는 형태로 거래되는 유형/무형의 자산은 가상자산이 아닌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는 구매자의 온라인 컨텐츠 구매방식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최초 판매자와 최초 구매자 간의 거래과정, 후속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과정, 2차 창작물 창작자와 제휴사 간의 거래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창작자 및 후속 판매자가 판매하는 온라인 컨텐츠의 유통에 따른 수익구조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용어를 정리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창작자는 온라인 컨텐츠를 최초 창작 및 판매하는 자를 지칭하며, 구매 및 판매자는 창작자의 온라인 컨텐츠를 구매한 후, 원본 그대로 재판매하거나 또는 사업 목적에 맞게 가공하여 재판매 하는 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듀얼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100)은 창작자 단말(200), 구매 및 판매자 단말(300) 및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400)를 포함한다.
각 구성들은 네트워크로 통신하며, 네트워크는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 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창작자 단말(200)은 전자상거래를 통해 창작한 온라인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단말로서, 후술하는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스토어에 판매하고자 하는 컨텐츠(온라인 상품)를 등록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창작자 단말(200)은 온라인 스토어에 판매하고자 하는 온라인 컨텐츠를 업로드(등록)하기 위하여 본인인증 후, 전자지갑을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300)로부터 발급받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창작자 단말(200)은 사업자 정보(개인/법인), 입급계좌를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300)로부터 인증받고, 판매하고자 하는 온라인 컨텐츠를 후술하는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스토어 지원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스토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라인 스토어 내에 온라인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창작자 단말(200)은 업로드한 온라인 컨텐츠에 대한 검열정보를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400)로부터 제공받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검열대상은 불건전한 컨텐츠, 저작권 도용 등과 관련된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창작자 단말(200)은 상기 온라인 스토어에 업로드된 컨텐츠 또는 판매상품을 판매하는 방식, 판매방식에 따른 상품가격, 재판매권, 사용권 설정 등에 대한 판매정책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판매방식은 고정가, 경매 또는 가격제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참고로, 고정가는 판매자가 설정한 가격으로 구매자가 구매하는 방식이고, 경매는 판매자가 설정한 최소 경매가, 입찰가, 바로 구매가로 진행하는 방식이고, 가격제안은 판매자가 구매 가격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판매자가 구매 가격 승인시 거래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또한, 창작자 단말(200)은 검열이 완료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 및 불법유통을 식별 및 차단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을 제공받는 구성일 수 있다.
참고로, NFT(Non-Fungible Token)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따라서 최초 발행자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어 위조 등이 불가능하다. 또한, NFT(Non-Fungible Token)는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담고 있어 서로 교환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창작자 단말(200)은 NFT 기반의 온라인 컨텐츠를 고정가, 경매 또는 가격제안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온라인 스토어에 등록된 온라인 컨텐츠를 판매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창작자 단말(200)은 판매된 온라인 컨텐츠의 재판매권 비율을 설정할 수 있고, 판매한 온라인 컨텐츠의 재판매가 이루어질 경우, 설정한 재판매권 비율에 맞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매 및 판매자 단말(300)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 또는 구매 및 판매자 단말에서 판매하는 NFT 기반의 온라인 컨텐츠를 구매하기 위하여 창작자 단말 또는 구매 및 판매자 단말과 스마트컨트랙트를 체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300)은 구매자와 판매자의 지위를 갖는 자의 단말로서, 창작자로부터 온라인 컨텐츠를 구매한 후, 소유권을 이전받아 재판매를 수행하거나 또는 창작자로부터 온라인 컨텐츠를 구매하여 소유권을 이전받고, 구매한 온라인 컨텐츠를 사업 목적에 맞게 재가공한 후, 재판매하는 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300)은 NFT 기반의 온라인 컨텐츠 구매시에, 창작자 단말(200) 또는 구매 및 판매자 단말(300)과 스마트컨트랙트를 체결 후, 구매한 온라인 컨텐츠의 소유권을 창작자 단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이전받는 단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300)은 온라인 컨텐츠 구매시에 판매자(창작자 또는 구매 및 판매자)가 지정한 판매방식, 예컨대, 고정가 구매, 경매, 가격제안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가 구매는 판매자 설정한 가격으로 구매자가 구매하는 방식이고, 경매는 복수의 구매자가 입찰경쟁을 통해 최대 입찰가를 제시한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이고, 가격제안 방식은 판매자가 구매 가격을 구매자에게 제안하면 구매자가 승인시 거래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300)은 실물화폐를 통해 해당 온라인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표와 같이, 창작자 및 후속 판매자가 판매하는 온라인 컨텐츠의 유통에 따른 수익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최초 판매의 경우, 판매 수수료 구성은 기본 판매수수료 5%, 중개수수료(필요시) 5%, 재판매권(설정시) 5%로 책정될 수 있다.
즉, 최초 판매자(창작자)가 온라인 컨텐츠를 1000.000원에 판매할 경우, 판매수수료 5%, 승인대행 수수료 5%, 재판매권 설정비 5%를 차감한 금액인 850.000원을 판매대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재판매의 경우, 판매자가 2.000.000원으로 구매한 온라인 컨텐츠를 재판매할 경우, 판매 수수료, 창작자 수수료를 차감한 금액인 1.860.000원의 판매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재판매권은 창작자가 최초 판매시 설정하는 구성으로, 창작자가 재판매권(%)을 설정해두면, 창작품이 2차 판매될 경우, 설정한 재판매권 % 만큼 수익을 수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400)는 상기 창작자 단말로 상기 온라인 컨텐츠를 판매하기 위한 스토어를 제공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에서 상기 스토어로 업로드한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급하고, 발급된 NFT(Non-Fungible Token)가 적용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과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 간의 컨텐츠 거래를 위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지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400)는 전자지갑 발급부(410), 온라인 컨텐츠 스토어 생성부(420), 검열부(430), 스마트 컨트랙트부(440), IPFS(450) 및 NFT 발행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지갑 발급부(410)는 가입된 회원(판매자 및 구매자)에게 온라인 컨텐츠를 판매 및 구매를 위한 스마트컨트랙트 체결하기 위한 전자지갑을 발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전자지갑은 하드웨어 지갑과 소프트웨어 지갑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지갑은 물리적인 전자 장치로, 컴퓨터, 스마트 폰 또는 테블릿 PC 등에 연결하여 암호화폐를 사용(블록체인에 접근 가능)할 수 있으며, 암호화폐를 소프트웨어 지갑에 비해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간편하게 백업 및 보호를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지갑은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 등과 같은 인터넷 연결 기기에서 실행되는 온라인 지갑으로, 개인 키가 암호가 되고, 인터넷 연결 기기에서 개인 키를 생성하여 암호화폐를 사용(블록체인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전자지갑 주소는 암호화폐의 종류마다 다른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식별문자에 비해 긴 숫자 및 영문자(대문자, 소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온라인 컨텐츠 스토어 생성부(420)는 창작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컨텐츠 등록 및 판매를 위한 온라인 스토어 생성을 요청받으면, 창작자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와 연동되는 온라인 온라인 컨텐츠 스토어를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컨텐츠 스토어 생성부(420)는 스토어 생성시 판매자 정보(사업자정보, 또는 개인정보) 인증 및 입금계좌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온라인 컨텐츠 관리부(430)는 온라인 스토어로 업로드된 온라인 컨텐츠의 건전성을 검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창작자 단말에서 상기 스토어로 업로드한 컨텐츠의 형태, 종류, 사용연령에 대해 심의한 후, 컨텐츠 내용에 대한 불건전성 검사를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검사가 완료된 온라인 컨텐츠의 판매리스트 및 판매(거래)형식을 설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판매(거래)형식은 창작자 단말에서 제시한 판매방식으로 설정한다. 상기 판매방식은 고정가 구매방식, 경매방식 또는 가격제안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가 구매는 판매자 설정한 가격으로 구매자가 구매하는 방식이고, 경매는 복수의 구매자가 입찰경쟁을 통해 최대 입찰가를 제시한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이고, 가격제안 방식은 판매자가 구매 가격을 구매자에게 제안하면 구매자가 승인시 거래되는 방식일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부(440)는 창작자 단말(200)의 전자지갑과 구매 및 판매자 단말(300)의 전자지갑 간의 온라인 컨텐츠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이 존재하는 경우, 트랜잭션이 조건 데이터를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소유권 이전계약을 진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미리 부여한 조건의 성취에 따라 블록체인에 담긴 자산에 대하여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스로 이행이 되는 자동화된 약정(Automated self-enforced agreements)으로 계약의 성립과 이행이라는 두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하나로 합친 개념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술적 개념은 거래기록이 분산되어 저장되고 탈중앙화하여 공유되며, 복제된 원장이 작동 및 보관됨과 동시에 다시 그 원장에 자산의 이전을 지시하는 사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일종(event-driven program)이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는 법적으로 ①2 명 이상의 당사자가 있어야 하고, ②일방 당사자로부터 다른 당사자로의 자산이전과 관련되고, ③그 이행(implementation)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계약이 개시(initiated)된 이후에는 인간의 개입이 요구되지 않는 계약개념이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보면 계약법적 요소로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알고리즘 계약의 일종인데, 알고리즘 계약에서는 일방 당사자 또는 쌍방 모두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약의 체결 여부 및 조건을 결정하기로 약속한다.
그러나 스마트계약은 탈중앙화된 자율조직의 일종인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알고리즘 계약과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당사자의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약의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계약의 불이행 문제가 상대방의 신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위 조건부 계약(conditional nature)의 일종이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랙트에서는 조건 성취 여부를 해석, 판단, 평가하는 것이 법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조건의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처 단말(200)에서 설정하나, 수요 및 판매처 단말(300)과 합의로 설정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①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②코드 서명, ③블록체인 저장, ④거래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 결과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Block)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모든 참여자가 거래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거래내역과 계약내용은 추가나 변경 없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상호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참여자들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 주소(Wallet address)를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은 계약의 수행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거나 입증이 쉽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토콜(Protocol)이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추적이 가능하지만, 거래기록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변경할 수 없는 불가역성을 가진다. 이때, 튜링-완전(Turing-completeness), 가치 인지능력(value-awareness), 블록체인 인지능력(blockchain-awareness), 상태(state) 개념 등이 포함된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NFT 발행부(460)는 판매방식이 설정된 온라인 컨텐츠의 소유권 및 저작권을 식별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를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온라인 컨텐츠에 발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발급된 NFT(Non-Fungible Token)는 창작자 단말의 전자지갑 내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450)는 NFT가 적용된 온라인 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참고로, IPFS는 모든 컴퓨터 노드를 연결하고자 하는 분산된 P2P 파일 시스템이며, IPFS Web은 기존의 HTTP Web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완한 새로운 Web이다. IPFS의 특징으로는, 중앙화된 서버 없이 노드들의 P2P 통신으로 실현된 더욱 빠르고 안전하고 개방된 네트워크이다. 대형 서버의 연결이 차단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 과거 HTTP Web 과는 달리, IPFS에서는 몇몇 노드들이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고용량의 파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BitSwap), 파일들의 중복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저장소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Merkle DAG, contents-addressed). IPFS 상에 업로드된 파일의 이름은 영원히 기록되며, 만약 IPFS 상에서 보존하고 싶은 파일은 반영구적으로 보존이 가능하다(pinning). 또한, 파일의 버전 관리(Git)가 가능하다.
IPFS에서는 각각의 파일이 여러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블록은 해시로 표현된 고유의 이름이 있다. IPFS는 모든 파일의 이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동일 파일의 중복을 배제하며, 각 파일의 버전 정보를 트래킹한다. 각 노드는 본인이 관심있는 파일만 저장소에 보관하며, 인덱싱 정보를 통해 누가 어떤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파일을 찾기 위해서는, 파일명을 조회하고 해당 파일을 갖고 있는 노드를 추적하면 된다. IPNS를 통해 모든 파일명은 인간이 읽기 쉬운 형태(DNS와 유사한 개념)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본원에서 소개하는 IPFS(450)는 NFT 기반으로 생성된 소유권 및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분산저장하기 위한 블록체인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블록들은 일정 기간 내의 거래 내역, 즉 트랜잭션(transaction)들을 포함한다. 상기 노드들은 각각 역할에 따라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함으로써 트랜잭션들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은 다양한 형태의 거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잭션은 정보의 기록, 저장 및 이송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 공유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에서 적용가능한 각 블록체인의 간단한 개념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 없이 노드의 자유의사에 따라 네트워크 참여가 가능한 블록체인이다. 조직이 블록체인을 활용한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비즈니스가 효과성, 효율성,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준거성, 신뢰성의 7가지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조직이 퍼블릭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하면 퍼블릭 블록체인의 고질적인 4가지 한계점으로 인해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없다. 퍼블릭 블록체인의 4가지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낮은 트랜잭션 처리량 및 높은 지연시간으로 인해 비즈니스의 효과성, 효율성과 가용성이 저하된다. 퍼블릭 블록체인인 이더리움에서는 초당 20개의 트랜잭션이 처리되며 한 트랜잭션 당 10~20초의 지연시간이 발생한다. 신용카드 결제로 초당 2000개의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것과 비교할 때 퍼블릭 블록체인은 신속한 결제가 요구되는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큰 한계가 있다. 둘째, 프라이버시 및 기밀성 보호 부재로 인해 비즈니스의 기밀성과 준거성이 저하된다. 퍼블릭 블록체인에서는 블록의 무결성 및 투명성을 위해 각 노드들이 개인 식별정보와 조직의 거래정보들이 포함된 블록들을 저장하고 처리한다. 이는 개인정보보호법에서 명시하는 개인정보 취급 요구사항에 위반될 뿐만 아니라 기밀에 해당하는 조직의 거래활동내역들이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공개되어 비즈니스 수행에 큰 지장을 주게 된다.
셋째,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부재로 인해 비즈니스의 효과성, 효율성과 준거성이 저하된다. 하드포크(Hard fork)가 가능하고 노드 통제가 어려운 퍼블릭 블록체인은 조직이 강력하고 일관된 전략 및 정책으로 비즈니스를 수행을 할 수 없게 한다. 이러한 환경은 조직이 비즈니스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할뿐더러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게한다. 넷째, 비효율적인 에너지 소모로 인해 비즈니스 효율성이 저하된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작업증명을 위해 컴퓨팅 파워와 전력 등의 에너지가 소모된다.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작업증명으로 연간 14.96 Twh의 전력과 7억4천7백만 달러를 소모하는 것을 고려할 때 지나친 에너지 소모와 비 친환경적인 요인은 비효율적인 비즈니스를 초래한다. 이러한 퍼블릭 블록체인의 한계 때문에 조직은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선택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해야 한다.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큰 의의는 서로를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뢰를 보증하는 중개자 없이도 개인 간의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개인 간의 거래가 위 변조되지 않았다는 신뢰를 보증하기 위해 퍼블릭 블록체인은 비즈니스 수행에 필수적인 효율성, 기밀성과 가용성의 측면에서 치명적인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조직이 비즈니스를 하고 거래를 하는 실제환경은 퍼블릭 블록체인이 전제하는 무신뢰 네트워크만큼 극단적이지 않다. 조직은 통상적으로 신뢰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대상과 거래를 하고 협력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즉, 퍼블릭 블록체인이 비즈니스에 활용되는데 생기는 한계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신뢰라는 극단적인 전제에서 비롯된 것이고 해당 전제를 신뢰할 수 있는 환경으로 전환하면 기존에 발생했던 한계들을 해결할 수 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거버너(Governor)와 멤버(Members)라는 두 주체에 의해 운영된다. 거버너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화된 거버넌스를 통해 핵심 의사결정을 하는 주체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6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멤버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실질적인 운영 및 관리 주체로서 블록체인 시스템의 개발, 운영, 보안, 개인 식별정보 및 기밀성 보호, 노드관리, 원장 관리와 트랜잭션 관리의 7가지 기능수행한다. 또한, 멤버들은 협조하여 합의를 통해 컨소시엄을 운영하고 블록체인 활용의 제안 및 계획과 성과 적합성을 거버너에게 보고한다. 이에 따라, 거버너는 전략과 정책을 멤버에게 지시하고 컨소시엄의 블록체인 활용을 통제한다.
각 멤버는 개인키(초기생성키)와 공개키를 소유하며 해당 키들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운영 주체로 식별되고 블록을 생성 및 검증할 권리를 갖는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주체가 아닌 일반 사용자는 직접 네트워크에 트랜잭션을 전송할 수 없지만 멤버의 서비스 시스템을 거쳐서 비즈니스 수행이나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 사용자가 특정 멤버의 서비스 시스템에 트랜잭션을 전송하면 서비스 시스템이 멤버의 개인키를 사용하여 컨소시엄 네트워크에 해당 트랜잭션을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 사용자는 직접적인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주체로서는 활동할 수 없지만 멤버를 통해 거래하고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군사 또는 공공기관에서 관리하는 블록체인으로, 각 개인의 개인정보와 인증정보를 보관하고 이를 복구하는데 관리를 하는 블록체인으로 정의한다.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 주체간의 관계와 역할 및 책임은 이하 표 1과 같다.
Governor Members
Roles Decide the configuration & ongoing enforcement of the systems Trusted partyDecide of the revision to use for the node updateDecide of the transactions & code execution
At 51% power of decision on global security of the ledger content
Initiate the business model
Business as a Service
Responsibilities To maintain the blockchain platform safe & operational for business logic To verify the identity/authenticity of theusersUpdate & maintenance of their devices
Responsible of the transactions and data handled
To include the correct transactions
ledger & to eliminate the improper transactions without errors
Responsible of consensus
To provide safe code & 'user-friendly'
interfaces
Quality of Service
Accountabilit
ies
Should serve the interest of the whole blockchain
actors
Accountable of the information treated
Non repudiation of the data
Non repudiation of the process of verification
Non repudiation of the blockchain
The code provided should be without bug
Provide software & hardware without botnet, spy, viru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엑세스 시간이나 속도가 짧고 빨라야 하는 데이터는 라이트 노드에 저장하고, 그 외의 개인정보나 인증정보와 같은 속도가 느려도 기밀성을 유지해야 하는 데이터는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에 저장한다.
이때, 라이트 노드는 블록체인에 참여하여 거래를 수행하는 노드로, 풀노드에 거래 데이터를 요청하여 개별 거래를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풀노드처럼 모든 블록 정보의 원본을 가지고 있지는 않고 일종의 요약본, 즉 블록헤더에 있는 중요한 데이터만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100GB 저장 공간을 가진 폰이 아직 많지 않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모바일 비트코인 지갑은 라이트 노드로 사용된다. 참고로 데스크톱 컴퓨터의 비트코인 지갑은 풀노드로 사용된다.
라이트 노드는 모든 블록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떤 새로운 거래 정보를 수신받았을 경우 이 거래가 정상적인지 검증할 수 없다. 반대로 풀노드의 경우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컬에 있는 블록 정보를 조회하여 검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트 노드는 개별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을 확인하기 위한 SPV(Simple Payment Verify, 단순 지불 검증)를 사용한다. SPV는 라이트 노드에서 거래를 검증하기 위해 풀노드에게 블록정보를 요청하여 머클트리를 통해 이 거래가 검증된 거래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 관리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개인의 서버들이 모여 네트워크를 유지 및 관리한다. 이 개개인의 서버, 즉 참여자를 노드라고 한다. 중앙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블록을 배포하는 노드의 역할이 중요하며, 참여하는 노드들 가운데 절반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새 블록이 생성된다. 노드들은 블록체인을 컴퓨터에 저장해 놓고 있는데, 일부 노드가 해킹을 당해 기존 내용이 틀어져도 다수의 노드에게 데이터가 남아 있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으면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 머클트리만 가지고 있으면 라이트 노드(Lightweight Node)라고 부른다.
따라서, 블록체인의 모든 노드는 풀노드와 라이트 노드로 나뉜다. 풀노드는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정보를 전부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지갑을 관리한다. 라이트 노드는 사용자 지갑을 저장하지만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풀노드에 의존한다. 노드는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이며 풀노드는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것, 라이트 노드는 참여자를 위해 접속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금고와 파수꾼 비유를 예로 들면, 풀노드는 군대급의 강화된 파수꾼이고, 라이트 노드는 금고를 활용해 입출금을 시도하는 통로로 볼 수 있다. 풀노드와 라이트 노드 중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가 큰 것은 역시 풀노드이다. 결국 라이트 노드와 개별 노드는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읽어 와서 네트워크에 참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풀노드의 장점은, 예를 들어, 비트코인 전송에 대한 완전한 보안이 가능하다. 자체 노드에서 전송데이터가 발송되기 때문에 이 전송이 어디에서 생성된 것인지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한다. 라이트 노드는 전송데이터가 중앙서버를 통해 나가기 때문에 완전한 보안이 가능하지는 않다. 다만, 완전한 보안이 아니라고 해서 비트코인 해킹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노출될 수 있는 정보는 어떤 주소가 어떤 IP에서 발송이 됐는지에 대한 정보가 서버에 남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에 반해 풀노드는 어떤 주소가 어떤 IP에서 발송됐는지 알지 못한다. 임의의 노드에서 코인 전송을 다른 PC에 전달하는 경우 임의의 브로드캐스트를 받은 PC는 이 전송이 내가 보낸 것인지 혹은 다른 것을 전달한 것인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풀노드는 개인키의 쉬운 입출력이 가능하다. 풀노드 Bitcoin Core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데, 종이지갑을 만드는 경우 개인키의 추출이 필요한데 다른 라이트 노드 지갑에 비해 개인키의 추출 및 입력이 간단하다.
반대로 라이트 노드의 장점은 사용이 쉽다는 것인데, 자체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서버에서 나의 잔고가 얼마나 있는지 체크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 설치부터 사용까지의 시간이 얼마 안 걸리며 사용이 간편하다. 풀노드의 경우 블록 데이터가 140GB에 이르기 때문에 이 블록을 모두 받아오는데 2일에서 7일까지 걸릴 수 있다. 또, 라이트 노드는 복구가 간편하다. 시드(Seed) 방식을 이용하여 주소를 관리하기 때문에 지갑 복구가 간편하다. 12/18/24개의 영어 단어를 잘 적어두면 혹시라도 지갑이 분실되어도 이 단어를 이용해 지갑 복구가 가능하다. 반대로 풀노드는 PC 명령어 사용에 어느정도 능숙해야 지갑 손실없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방법(S700)은 창작자 단말에서 창작한 온라인 컨텐츠를 등록 및 판매하거나 또는 구매 및 판매자 단말에서 구매한 온라인 컨텐츠를 (재)판매하기 위한 온라인 스토어 생성을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로 요청(S710)하면, 상기 전자상거래서버에서 온라인 스토어를 생성 후, 상기 창작자 단말 또는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로 발급된 전자지갑 주소와 상기 온라인 스토어를 연동(S720)시킨 후, 상기 창작자 단말 또는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에서 상기 온라인 스토어로 판매 하고자 하는 온라인 컨텐츠를 업로드(S730)한다.
이후,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400)에서 업로드한 온라인 컨텐츠의 건전성을 검열(S740)한 후, 업로드한 온라인 컨텐츠가 상기 창자자 단말로 검열이 완료된 온라인 컨텐츠일 경우, 해당 온라인 컨텐츠에 대한 판매자의 소유권 및 저작권을 식별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을 발급하고, 발급이 완료된 온라인 컨텐츠를 상기 창작자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와 연동되는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에 분산저장(S750)한다.
이후, 구매 및 판매자 단말(300)에서 판매자의 온라인 스토어에 노출된 온라인 컨텐츠를 판매자가 지정한 판매방식을 적용하여 구매(S760)한 후,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에서 상기 창작자 단말의 전자지갑과 복수 개의 구매 및 판매자 단말의 전자지갑 간의 구매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트랜잭션이 NFT 이전 조건 데이터를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온라인 컨텐츠의 NFT를 이전되도록 처리(S770)한다.
상기 S700 과정은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창작자 단말 및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로 전자지갑을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방식은 고정가 구매방식, 경매방식 또는 가격제안 방식으로, 여기서, 고정가 구매는 판매자 설정한 가격으로 구매자가 구매하는 방식이고, 경매는 복수의 구매자가 입찰경쟁을 통해 최대 입찰가를 제시한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방식이고, 가격제안 방식은 판매자가 구매 가격을 구매자에게 제안하면 구매자가 승인시 거래되는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전자지갑 주소(개인정보 동의 없이)만으로 유저 식별을 진행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판매시에, 동의를 보다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들이 업로드한 온라인 컨텐츠의 불법성 및 건전성을 확인하여 구매자에게 안심하게 판매할 수 있고, 각 온라인 컨텐츠 마다 NFT를 발급하고, 발급된 NFT를 통해 상품을 판매/재판매/구매에 대한 이력에 대한 히스토리를 투명하게 기록 및 보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예컨대, 종래의 같이, 상품 판매 및 구매하는 과정에서 전자지갑의 주소로만 거래기록이 남겨질 경우, 본인/실명계좌 확인과 추적이 불가능하여, 자금세탁/테러자금조달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부분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유형/무형 자산을 법정화폐(Fiat-Money)로 간편결제(카드/계좌이체/네이버/카카오/알리/구글/라인 페이 등)를 이용하여 거래를 하고, 거래되는 자산의 히스토리는 블록체인 기술 NFT로 안전하고 투명하게 기록/보관하고, 이와 같이, 블록체인 기술 NFT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운영할 경우, 특금법에 가상자산 정의의 예외 조항 중, (가)항 "화폐/재화/용역 등으로 교환될 수 없는 전자적 증표 또는 그 증표에 관한 정보로서 발행인이 사용처와 그 용도를 제한한 것"에 속하여 본원에서 제시하는 형태로 거래되는 유형/무형의 자산은 가상자산이 아닌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
200: 창작자 단말
300: 구매 및 판매자 단말
400: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
410: 전자지갑 발급부
420: 상품컨텐츠 스토어 생성부
430: 온라인 컨텐츠 관리부
440: 스마트컨트랙트부
450: IPFS
460: NFT 발행부

Claims (9)

  1.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NFT 기반의 온라인 컨텐츠를 고정가, 경매 또는 가격제안 방식으로 판매하는 창작자 단말;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에서 판매하는 NFT 기반의 온라인 컨텐츠를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구매하는 구매 및 판매자 단말; 및
    상기 창작자 단말로 상기 온라인 컨텐츠를 판매하기 위한 스토어를 제공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에서 상기 스토어로 업로드한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급하고, 발급된 NFT(Non-Fungible Token)가 적용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과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 간의 컨텐츠 거래, 구매 및 판매자 단말들 간의 컨텐츠 거래 및 구매를 위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지원하는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은 판매하는 온라인 컨텐츠의 재판매권 비율을 설정하고,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은 구매한 온라인 컨텐츠를 사업 목적에 맞게 재가공하여 (재)판매하는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 및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에 본인인증 후, 전자지갑을 발급하는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에서 상기 스토어로 업로드한 컨텐츠의 형태, 종류, 사용연령에 대해 심의한 후, 컨텐츠 내용에 대한 불건전성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의 듀얼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는
    검사가 완료된 온라인 컨텐츠들의 상품 리스팅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창작자 단말 및/또는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로 판매방식에 대한 정책을 요청하고,
    상기 판매방식은
    고정가 구매방식, 경매방식 또는 가격제안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는
    상기 검사가 완료된 상품 컨테츠들 각각에 판매자의 소유권, 판매주최를 식별하기 위한 NFT를 발급하고,
    상기 NFT가 발급된 온라인 컨텐츠를 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에 분산저장하는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는
    상기 창작자 단말의 전자지갑과 복수 개의 구매 및 판매자 단말의 전자지갑 간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트랜잭션이 조건 데이터를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NFT의 소유권 이전을 위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지원하는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
  7. 창작자 단말에서 창작한 온라인 컨텐츠를 등록 및 판매하거나 또는 구매 및 판매자 단말에서 구매한 온라인 컨텐츠를 (재)판매하기 위한 온라인 스토어 생성을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자상거래서버에서 온라인 스토어를 생성 후, 상기 창작자 단말 또는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로 발급된 전자지갑 주소와 상기 온라인 스토어를 연동시키는 단계;
    상기 창작자 단말 또는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에서 상기 온라인 스토어로 판매 하고자 하는 온라인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에서 업로드한 온라인 컨텐츠의 건전성을 검열하는 단계;
    업로드한 온라인 컨텐츠가 상기 창자자 단말로 검열이 완료된 온라인 컨텐츠일 경우, 해당 온라인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 및/또는 저작권을 식별하기 위한 NFT(Non-Fungible Token)을 발급하고, 발급이 완료된 온라인 컨텐츠를 상기 창작자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와 연동되는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에 분산저장하는 단계'
    구매 및 판매자 단말에서 판매자의 온라인 스토어에 노출된 온라인 컨텐츠를 판매자가 지정한 판매방식을 적용하여 구매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에서 상기 창작자 단말의 전자지갑과 복수 개의 구매 및 판매자 단말의 전자지갑 간의 구매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트랜잭션이 NFT 이전 조건 데이터를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온라인 컨텐츠의 소유권을 이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창작자 단말 및 상기 구매 및 판매자 단말로 전자지갑을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방식은
    고정가 구매방식, 경매방식 또는 가격제안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KR1020210125707A 2021-09-23 2021-09-23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10252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707A KR102528059B1 (ko) 2021-09-23 2021-09-23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707A KR102528059B1 (ko) 2021-09-23 2021-09-23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896A true KR20230042896A (ko) 2023-03-30
KR102528059B1 KR102528059B1 (ko) 2023-05-03

Family

ID=8598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707A KR102528059B1 (ko) 2021-09-23 2021-09-23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0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53A (ko) * 2018-07-25 2020-02-04 임성우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방법
KR102110605B1 (ko) 2018-04-10 2020-05-14 (주)키스톤랩 암호화폐 거래소내 실거래 전자지갑 기반의 블록체인 거래 처리 방법
KR20210024994A (ko) * 2018-03-30 2021-03-08 엑스포지션 파크 홀딩스 에스이지씨 디지털 자산 교환
KR20210045793A (ko) * 2019-10-17 2021-04-27 (주)에프앤에스홀딩스 Ar/vr기반의 인터렉티브 패션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JP2021131779A (ja) * 2020-02-20 2021-09-09 株式会社Tart 情報処理装置、管理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994A (ko) * 2018-03-30 2021-03-08 엑스포지션 파크 홀딩스 에스이지씨 디지털 자산 교환
KR102110605B1 (ko) 2018-04-10 2020-05-14 (주)키스톤랩 암호화폐 거래소내 실거래 전자지갑 기반의 블록체인 거래 처리 방법
KR20200011853A (ko) * 2018-07-25 2020-02-04 임성우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방법
KR20210045793A (ko) * 2019-10-17 2021-04-27 (주)에프앤에스홀딩스 Ar/vr기반의 인터렉티브 패션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JP2021131779A (ja) * 2020-02-20 2021-09-09 株式会社Tart 情報処理装置、管理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059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172B1 (ko)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O'Shields Smart contracts: Legal agreements for the blockchain
CN110178338B (zh) 用于创建加密安全数字资产的计算机实现方法
Zhang et al. A design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mechanis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US20190066206A1 (en) Peer-to-peer trading with blockchain technology
US9830580B2 (en) Virtual currency system
US10776761B2 (en) Virtual currency system
CA2943230C (en) Virtual currency system
JPWO2020080537A1 (ja) 取扱管理装置
WO2020123464A1 (en) Decentralized marketplace and ecosystem powered by blockchain-based document delivery, collaboration, and dissemination
KR20180074655A (ko)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증권 거래들을 거래, 승인 및 결제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11936995A (zh) 海关清关数据的分布式存储
CN111989707A (zh) 管理基于区块链的海关清关服务的用户权限
CN111989663A (zh) 基于区块链的智能合约池
CN111936994A (zh) 用于海关清关的基于区块链的文档注册
Rodrigo et al. UniCon: Universal and scalable infrastructure for digital asset management
Girasa Technology Underlying Cryptocurrencies and Types of Cryptocurrencies
WO2023201359A2 (en) Method, controlle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etecting expiration of a unique cryptographic identifier on a distributed transfer network
KR102528059B1 (ko)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
Datta et al. Sanskriti—a distributed e-commerce site implementation using blockchain
Anandhi et al. NFT Club–A NFT Marketplace
Haenni White paper v15
Novoselova et al. Prospective applications of new technologi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systematizing the results of intellectual activity
Nirolia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Banking and Financial Sector in India
Zhu NFT Sneaker Marketplace Design, Testing, and Challe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