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172B1 -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172B1
KR102406172B1 KR1020210113640A KR20210113640A KR102406172B1 KR 102406172 B1 KR102406172 B1 KR 102406172B1 KR 1020210113640 A KR1020210113640 A KR 1020210113640A KR 20210113640 A KR20210113640 A KR 20210113640A KR 102406172 B1 KR102406172 B1 KR 102406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nft
ownership
bi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젠
Priority to KR102021011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계약을 이용하여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판매, 양도 또는 소유권 이전에 대한 거래를 수행하고, 판매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로열티 및 활용여부, 유통경로에 대한 정보를 추적 및 제공받는 공급처 단말; 상기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을 이용하여 사업에 필요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공급하는 데이터 공급처를 추천받고, 추천받은 데이터 공급처로부터 필요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스마트 컨트랙트 계약을 통해 구매시에 소유권을 이전받고, 상기 창작한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필요에 맞게 가공하여 판매 또는 재판매하는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 및 상기 공급처 단말로 상기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가공하여 판매한 수요처 정보, 가공상태, 소유권 이전과정, 거래금액에 대한 빅데이터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의 액션을 통해 블록에 기록 및 저장하고, 빅데이터의 유통 경로를 추적한 결과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서울특별시 서울산업진흥원 2021년도 서울혁신챌린지(예선) (SC210069) "ERC1155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비교 견적 솔루션" 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다.

Description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FT-based eco-friendly big data distribution platform services}
본 발명은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데이터유통 과정은 정부지원금 또는 기업의 자체 비용으로 데이터를 구매하는 형태이다. 데이터 유통은 크게 데이터를 정부지원금을 통해 구매,가공 하거나 데이터 클라우드 소싱 기업을 통해 데이터 공급자(창작자),가공자에게 비용을 주고 데이터를 구매,가공해오는 형태이다. 이러한 데이터 유통 방식은 인공지능 기업입장에서 1회성의 구매, 가공 형태이다. 지속적인 데이터 확보를 해야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1회성의 구매, 가공의 형태가 매우 부담스러운 실정이다. 이러한 유통 및 데이터 생태계를 인지하고 있는 정부는 최대한 인공지능 기업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인공지능 기업이 증가하는 것에 비해 정부지원금은 매우적어 데이터 구매,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그 과제에 선정되어야만 그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경쟁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스타트업은 선정되기가 힘들며, 선정 된다고 할지라도 1회~2회에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다시 과제를 지원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이는 인공지능 기업 그리고 산업에 제약점이다. 데이터를 공급하는 공급자 입장에서도 데이터의 유통과정이 투명하지 않기 때문에(클라우드 소싱 기업에서 데이터 금액 및 비용을 산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또한,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비용을 받지 못하고 있어서, 노동력 대비 비용이 너무 낮다.
또한, 본인의 데이터가 한번 기업에 넘어가게 되면 그 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유출되는지에 대한 유통경로를 알 수 없어서, 데이터 공급을 꺼리게 된다. 이로써, 데이터 공급자가 데이터 제공을 꺼리게 되면서 많은 데이터 (빅데이터)가 필요한 인공지능 기업은 또다시 데이터 부족에 시달리게 된다. 또한, 웃돈을 주면서 데이터를 찾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자 하며, 본 발명은 서울특별시 서울산업진흥원 2021년도 서울혁신챌린지(예선) (SC210069) "ERC1155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비교 견적 솔루션" 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951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계약을 이용하여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판매, 양도 또는 소유권 이전에 대한 거래를 수행하고, 판매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로열티 및 활용여부, 유통경로에 대한 정보를 추적 및 제공받는 공급처 단말; 상기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을 이용하여 사업에 필요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공급하는 데이터 공급처를 추천받고, 추천받은 데이터 공급처로부터 필요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스마트 컨트랙트 계약을 통해 구매시에 소유권을 이전받고, 상기 창작한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필요에 맞게 가공하여 판매 또는 재판매하는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 및 상기 공급처 단말로 상기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가공하여 판매한 수요처 정보, 가공상태, 소유권 이전과정, 거래금액에 대한 빅데이터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의 액션을 통해 블록에 기록 및 저장하고, 빅데이터의 유통 경로를 추적한 결과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를 포함하고,상기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는 상기 공급처 단말 또는 상기 수요 및 판매처 단말에서 스마트컨트랙트 진행시에 필요한 신원증명을 위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발급하고,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개인 또는 법인 DID의 사용자에 대한 신원증명, 사용자가 소지한 비밀키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에 저장된 개인 또는 법인 DID의 DID 도큐먼트에 포함된 공개키를 검증하는 DID 신원증명/인증부; 상기 공급처 단말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에서 업로드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인공지능 학습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분류 및 탈지하는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 및 IPFS에서 각 데이터(군집) 별로 발급된 URL(해시값)의 스캔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군집)의 이전경로를 추적하고, 추적경로를 데이터 또는 컨텐츠 공급자가 요청시 제공하는 데이터 경로 추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에서 분류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을 생성하여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에 분산저장하고, IPFS를 통해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의 판별결과(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결과)를 기초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될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고유 URL(해쉬값)을 발급하고,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는 다중 데이터 인식, 분류 솔루션을 이용하여 객체인식, DBGAN, 자기지도학습을 수행하고, 실시간 데이터 탐지 솔루션을 통해 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를 상기 IPFS의 각 노드로 이전된 기록을 기초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은 각 단말에서 생성된 전자지갑 주소만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공급처 단말 또는 상기 수요 및 판매처 단말에서 스마트컨트랙트 진행 또는 업로드/다운로드시에 필요한 신원증명을 위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은 공급처에서 업로드한 상기 데이터 또는 컨텐츠가 복수의 수요처로 유통되는 판매횟수에 따라 금액이 가변되는 로열티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는 상기 NFT를 통해 발행된 URL과 전자지갑 주소의 매칭을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통 동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는 상기 공급처 단말과 상기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 간의 소유권 이전의 트랜잭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 간의 소유권 이전의 트랜잭션이 존재하는 경우, 트랜잭션이 조건 데이터를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소유권 이전계약을 진행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은 공급처 단말에서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플랫폼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에서 단말(창작자 또는 재판매자)에서 등록 또는 업데이트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인공지능 학습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분류 또는 탈지하는 단계; 실시간 데이터 탐지 솔루션을 통해 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를 IPFS의 각 노드로 이전된 기록을 기초로 판별하는 단계; 상기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에서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의 판별결과(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결과)를 기초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될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고유 URL(해쉬값) 및 소유권을 발급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에서 사업에 이용가능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요 및 판매처 단말에서 구매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사업에 맞게 가공하여 판매 및 재판매를 수행하는 단계; 거래 횟수에 따른 트랜잭션을 통해 해당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로열티를 배분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통 진행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유권을 발급하는 단계는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에서 분류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IPFS에서 각 데이터(군집) 별로 발급된 URL(해시값)의 스캔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군집)의 소유권 이전경로 또는 유통경로를 추적하고, 추적된 경로를 데이터 또는 컨텐츠 공급자가 요청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에서 분류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을 생성하여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에 분산저장하고,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는 다중 데이터 인식, 분류 솔루션을 이용하여 객체인식, DBGAN, 자기지도학습을 수행하고, 실시간 데이터 탐지 솔루션을 통해 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를 상기 IPFS의 각 노드로 이전된 기록을 기초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처 단말에서 전자지갑 로그인 인증 후, 신원증명(DID)을 발급받는 단계; 상기 신원증명(DID) 확인 후, 데이터 또는 컨텐츠 업로드 및 다운로드 접근권한을 부여받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갑 주소와 연동되는 데이터 망에 해당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데이터 창작자(공급자)는 로열티를 통해 데이터 및 컨텐츠 재판매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마이데이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 및 소유권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업(수요)의 경우, IPFS 기반의 빅데이터를 관리받을 수 있고, 구입한 컨텐츠를 재가공하여 재판매가 가능함으로 구매에 따른 지출비용을 재판매로 통해 상쇄시킬 수 있고 정부의 경우, 탄소 중립 프로세스 구축으로 인한 친환경 빅데이터 공급 및 수요 시장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기존의 개인정보 동의를 위해서는 데이터 판매 기업이 해당 개인의 연락처/이메일등의 개인정보를 가지고 있어야하는 개인정보 판매를 위해 개인정보를 가지고 있어야하는 아이러니한 구조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한명 한명 연락을 취하여, 개인정보동의를 구해야 했으며, 이과정에서 현재 개인정보 동의와 관련해 동의/미동의 시에 일정비용 및 상품을 전달까지 해주는 상황이였다.
이에 반해, 본원의 경우, 기존에 개인들이 가입/로그인한 전자지갑 주소(개인정보 동의 없이)만으로 유저 식별을 진행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판매시에, 동의를 보다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개인들이 데이터를 올릴때에 DID를 통해 신원증명과정을 거치고 데이터 업로드 및 다운로드(접근권한)가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근은 불가능함으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또한, 이러한 DID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전달 속도 또한 굉장히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NFT 발행 및 소유권 이전에 따른 비용절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데이터 공급자, 데이터 수요자 간의 정보 흐름을 보여준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은 NFT 발행 및 소유권 이전에 따른 비용절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데이터 공급자, 데이터 수요자 간의 정보 흐름을 보여준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100)은 공급처 단말(200), 수요 및 판매처 단말(300) 및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각 구성들은 네트워크로 통신하며, 네트워크는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 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공급처 단말(200)은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판매 및 소유권 이전하고, 구매처에서 구매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가공여부(가공 정도 등 포함), 활용여부, 판매유통경로를 추적 및 확인하고, 소유권 이전에 따른 로열티를 지급받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공급처 단말(200)은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창작한 데이터를 판매, 로열티 설정, 소유권 이전 및 창작한 데이터의 가공여부 및 유통과정을 제공받는 이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공급처 단말(200)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후술하는 복수 개의 수요처 단말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거래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은 수요처 단말과의 스마트컨트랙트에 따른 데이터 또는 컨텐츠 거래시에 데이터판매수량별 로열티(수수료)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공급처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트랙잰션 메타정보는 해당 데이터판매 횟수별 로열티 설정값을 포함한다.
일 예로, 0<데이터 판매 횟수<10이면 로열티 5%으로 설정할 수 있고, 10<데이터 판매 횟수< 20이면 로열티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로열티 설정기능을 통해 개인의 데이터 공급활성화와 개인정보 동의를 장려할 수 있고, 나아가 NFT 발행을 통해 적용된 데이터팩(데이터 뭉치/패키지)의 가치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떨어지는 문제점을 막을 수 있다.
가령, 1차로 NFT소유권을 구매한 1차 수요 기업 입장에서는 데이터를 최소한 본인이 산 금액만큼 팔고 싶을 것이고, 따라서, 1차 수요기업은 본인이 구입했던 금액과 동일하거나 더 높은 금액에 판매한다.
이는 데이터 판매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개인정보동의횟수가 많아지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높은 로열티를 받는 개인들은 개인정보 동의를 지속/많이하게 될 것이고 이는 궁극적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기업들의 데이터의 다양성 및 기회 증가로 이어져 인공지능 산업 진흥을 야기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처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300)은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공하는 유통거래 서비스 관련 플랫폼을 이용하여 사업에 필요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공급하는 데이터 공급처와의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데이터(NFT) 소유권을 이전받고, 상기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필요에 맞게 가공하여 (재)판매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300)은 구입한 컨텐츠를 사업 목적에 맞게 재가공하여 판매할 경우, 데이터 공급자의 지위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300)은 상기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을 이용하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견적를 제공받을 수 있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가공된 데이터 및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300)은 상기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을 이용하여, 재가공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400)는 공급처 단말로 상기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가공하여 판매한 수요처 정보, 가공상태, 소유권 이전과정, 거래금액에 대한 빅데이터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의 액션을 통해 블록에 기록 및 저장하고, 빅데이터의 유통경로을 추적하고 추적한 결과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400)는 DID 신원증명/인증부(401),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410), 소유권 생성부(420), IPFS(430), 스마트 컨트랙트부(440) 및 데이터경로 추적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DID 신원증명/인증부(401)는 공급처 및/또는 수요처 단말에서 스마트컨트랙트 진행 시에 필요한 신원증명을 위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발급하고,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여기서, DID는 개인 또는 법인일 수 있다.
상기 DID 신원증명/인증부(401)는 개인 또는 법인 DID(Decentralized ID)의 사용자에 대한 신원 증명, 사용자가 소지한 비밀키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에 저장된 개인 또는 법인 DID의 DID 도큐먼트에 포함된 공개키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사용자, 즉 개인 또는 기업 담당자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ID 신원증명/인증부(401)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에만 한정하지는 않고, DID를 분산저장할 수 있는 모든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크워크를 일 예로, DID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사용자가 법인일 경우,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에 등록된 법인 DID를 통해 식별되는 DID 도큐먼트를 참조하여 법인DID의 DID 소유권, 사용 목적 및 범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패브릭은 프라빗 블록체인으로, 종래의 퍼블릭 블록체인은 가지지 않는 또는 필요없는 합의 알고리즘의 선택적 사용, 네트워크 참여 권한 통제, 채널 및 멀티 장부 사용 등의 추가적인 여러 기능들을 가진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허가형 블록체인으로서 허가 받은 참여자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 컨트랙트에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스마트 컨트랙트를 일부 노드만 실행하므로 다수의 거래를 병렬적으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넷째, 채널을 이용해 허가받은 사람들에게만 장부(ledger)를 공개할 수 있다.
다섯째, 교체 가능한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SOLO, Kafka 방식, PBFT 등)
여섯째, 허가형 블록체인으로써 네트워크 참여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 발생시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
한편,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은 기본적으로 SOLO(Single Ordering Service Node)라는 싱글 노드 방식과 Kafka 방식이라는 CFT(Crash fault tolerance) 기반 합의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Kafka 방식이 가지는 성질인 CFT(Crash fault tolerance)란 일부 시스템 구성 요소들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올바른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기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주로 사용되는 BFT(Byzantine fault tolerance) 시스템은 시스템 구성요소의 기능적 문제뿐 아니라 악의적인 공격(Malicious attack)까지 고려하므로 CFT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더욱 복잡하며 느리다.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 특정 주체의 승인(Permission)이 필요하지 않은 퍼블릭 블록체인들과는 달리 프라이빗 블록체인에는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참여자만 관리자의 승인을 받고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되므로 악의적인 주체(Malicious actors)의 공격 확률이 매우 작을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는 BFT 기반 합의 프로토콜보다 더 빠르고 간단한 합의 프로토콜 또한 허용 가능한 범위로 간주된다.
패브릭을 사용하는 조직은 지원하는 합의 방식을 사용하거나 직접 구현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합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특성을 패브릭에서는 '교체 가능한 합의 프로토콜(Pluggable consensus)을 지원한다'고 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는 어떤 네트워크 참여자가 어떤 권한을 가지는지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그룹 별로 네트워크의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은 관리자에 의해 정해져 Network Configuration에 저장된다. 또한, 이를 위해 참여자의 ID와 권한을 관리할 주체가 필요하므로, Certificate Authority(이하 CA)가 필요하다. 간단히 말해 CA는 디지털 증명서(Digital certificate)를 발급하는 기관이다. 패브릭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그룹들은 모두 개별 CA를 이용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그룹 또는 조직(Group or organization)
·오더링 서비스 노드들 (Ordering service nodes)
·CA(Certificate Authority)
·컨소시엄(Consortium)
·채널(Channel)
·채널 설정(Channel configuration)
·장부(Ledger)
·피어(Peer)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Client application)
위의 요소들은 모두 하나 또는 여러 개가 네트워크에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요소들은 추가되어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컨소시엄(Consortium)의 사전적 정의는 '함께 협력하기로 동의한 사람 또는 회사의 집단'이다. 하이퍼레져 패브릭에서는 조직들이 하나의 컨소시엄을 구성하면 그 조직들은 트랜잭션 내역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하이퍼레져 패브릭안의 컨소시엄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트랜잭션 내역을 공유하며 협력하는 집단'이라고 볼 수 있겠다. 하나의 네트워크에는 여러 컨소시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어떤 그룹들이 어떤 컨소시엄을 이루는지는 네트워크 설정 안에 정의된다.
다음으로, 채널(Channel)은 하이퍼레져 패브릭에서 매우 중요한 컨소시엄 내 그룹간 커뮤니케이션 메커니즘이다. 채널은 데이터 분리(data isolation)와 기밀화를 가능케 하며, 채널용 장부(channel-specific ledger)는 채널 사용 허가를 받은 컨소시엄 멤버들만이 접근 가능하다. 네트워크 설정(Network Configuration)과 별개로 채널 설정(Channel configuration)이 존재하여, 채널 설정 정보에는 채널(Channel)에 접근할 수 있는 피어(peer)의 권한 정보 등 채널 운영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
채널 설정 정보는 블록에 담겨 장부에 기록된다. 채널(Channel)은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지만 네트워크 설정(Network configuration)과 채널 설정 사이 중복되는 설정이 없으므로, 네트워크 설정이 변경되어도 채널 설정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
프라이버시(Privacy)를 유지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data sharing)가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채널은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은 가지지 못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능이다.
한 네트워크 안에는 여러 컨소시엄들이 사용하는 채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에서 장부(Ledger)란 '변경 불가능한 상태 데이터 베이스(immutable state database)'이다. 하이퍼레져 패브릭에서는 한 채널이 한 장부를 가진다. 이 장부를 물리적으로 호스팅 하는 노드들은 피어(Peer)라고 불리며, 한 채널 안의 여러 피어들이 한 장부의 복사본을 가진다.
장부의 업데이트는 여러 피어들의 합의(Consensus)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피어(Peer)는 장부(Ledger)를 물리적으로 호스팅하고 Chaincode(하이퍼레져 패브릭의 smart contract)를 저장하고 있는 독립체(entity)이다. 피어(Peer)는 CA로부터 Identity를 배정 받고 채널에 참여할 수 있다.
한편,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는 아래와 같은 순으로 트랜잭션이 일어난다.
1.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SDK를 통해 트랜잭션 제안(transaction proposal)을 발생시킨다.
2.체인코드의 보증 정책(endorsing policy)에 명시된 노드들(endorsing peers)은 체인코드를 실행한다.
3.각 결과값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4.결과값이 보증 정책을 만족시키면, 결과값은 오더링 서비스(ordering service) 전달된다.
5.오더링 서비스는 먼저 도착한 순으로 블록을 만들어 채널의 모든 피어(peer)들에게 전달한다.
6.모든 피어는 도착한 블록이 보증 정책을 만족시키는지, 장부 상태(ledger state)가 트랜잭션이 일어나는 동안 바뀌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7.각 피어들은 블록을 채널의 체인에 덧붙이며, 장부의 상태를 업데이트 한다.
여기까지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조 및 트랜잭션 순서를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410)는 단말(창작자 또는 재판매자)에서 등록 또는 업데이트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인공지능 학습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분류 및 탈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410)는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구조특성을 인식할 수 있고, 구조적특성정보는 빅데이터가 구조화(structured) 상태, 반구조화(semi-structured) 상태, 비구조화(unstructured) 상태 중 어떤 상태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410)는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등록한 단말로 등록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기본 메타데이터 및 샘플링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를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410)는 실시간 데이터 탐지 솔루션을 통해 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를 후술하는 IPFS(430)의 각 노드로 이전된 기록을 기초로 판별한다.
다음으로, 소유권 생성부(420)는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410)에서 분류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발행하는 NFT(Non-Fungible Token)는 ERC721/ERC1155 등 현존 또는 미래에 발생가능한 모든 토큰일 수 있으며, 본원에서는 ERC 1155의 경우를 일 예로 NFT 발행 및 소유권 이전에 따른 탄소발생비용절약을 설명한다(도 3 참조).
참고로, NFT(Non-Fungible Token)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따라서 최초 발행자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어 위조 등이 불가능하다. 또한, NFT(Non-Fungible Token)는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담고 있어 서로 교환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NFT(Non-Fungible Token)의 일 예인 ERC1155의 경우, 200개의 URL=NFT1개 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ERC721의 경우 1개의 URL=NFT1개이기 때문에, ERC1155을 활용한다면 1/200수준으로 가스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을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430)는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410)의 판별결과(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결과)를 기초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될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고유 URL(해쉬값)을 발급한다.
참고로, IPFS는 모든 컴퓨터 노드를 연결하고자 하는 분산된 P2P 파일 시스템이며, IPFS Web은 기존의 HTTP Web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완한 새로운 Web이다. IPFS의 특징으로는, 중앙화된 서버 없이 노드들의 P2P 통신으로 실현된 더욱 빠르고 안전하고 개방된 네트워크이다. 대형 서버의 연결이 차단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 과거 HTTP Web 과는 달리, IPFS에서는 몇몇 노드들이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고용량의 파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BitSwap), 파일들의 중복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저장소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Merkle DAG, contents-addressed). IPFS 상에 업로드된 파일의 이름은 영원히 기록되며, 만약 IPFS 상에서 보존하고 싶은 파일은 반영구적으로 보존이 가능하다(pinning). 또한, 파일의 버전 관리(Git)가 가능하다.
IPFS에서는 각각의 파일이 여러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블록은 해시로 표현된 고유의 이름이 있다. IPFS는 모든 파일의 이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동일 파일의 중복을 배제하며, 각 파일의 버전 정보를 트래킹한다. 각 노드는 본인이 관심있는 파일만 저장소에 보관하며, 인덱싱 정보를 통해 누가 어떤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파일을 찾기 위해서는, 파일명을 조회하고 해당 파일을 갖고 있는 노드를 추적하면 된다. IPNS를 통해 모든 파일명은 인간이 읽기 쉬운 형태(DNS와 유사한 개념)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본원에서 소개하는 IPFS(430)는 NFT 기반으로 생성된 소유권 및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분산저장하기 위한 블록체인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블록들은 일정 기간 내의 거래 내역, 즉 트랜잭션(transaction)들을 포함한다. 상기 노드들은 각각 역할에 따라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함으로써 트랜잭션들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은 다양한 형태의 거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잭션은 정보의 기록, 저장 및 이송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 공유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에서 적용가능한 각 블록체인의 간단한 개념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 없이 노드의 자유의사에 따라 네트워크 참여가 가능한 블록체인이다. 조직이 블록체인을 활용한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비즈니스가 효과성, 효율성,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준거성, 신뢰성의 7가지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조직이 퍼블릭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하면 퍼블릭 블록체인의 고질적인 4가지 한계점으로 인해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없다. 퍼블릭 블록체인의 4가지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낮은 트랜잭션 처리량 및 높은 지연시간으로 인해 비즈니스의 효과성, 효율성과 가용성이 저하된다. 퍼블릭 블록체인인 이더리움에서는 초당 20개의 트랜잭션이 처리되며 한 트랜잭션 당 10~20초의 지연시간이 발생한다. 신용카드 결제로 초당 2000개의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것과 비교할 때 퍼블릭 블록체인은 신속한 결제가 요구되는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큰 한계가 있다. 둘째, 프라이버시 및 기밀성 보호 부재로 인해 비즈니스의 기밀성과 준거성이 저하된다. 퍼블릭 블록체인에서는 블록의 무결성 및 투명성을 위해 각 노드들이 개인 식별정보와 조직의 거래정보들이 포함된 블록들을 저장하고 처리한다. 이는 개인정보보호법에서 명시하는 개인정보 취급 요구사항에 위반될 뿐만 아니라 기밀에 해당하는 조직의 거래활동내역들이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공개되어 비즈니스 수행에 큰 지장을 주게 된다.
셋째,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부재로 인해 비즈니스의 효과성, 효율성과 준거성이 저하된다. 하드포크(Hard fork)가 가능하고 노드 통제가 어려운 퍼블릭 블록체인은 조직이 강력하고 일관된 전략 및 정책으로 비즈니스를 수행을 할 수 없게 한다. 이러한 환경은 조직이 비즈니스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할뿐더러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게한다. 넷째, 비효율적인 에너지 소모로 인해 비즈니스 효율성이 저하된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작업증명을 위해 컴퓨팅 파워와 전력 등의 에너지가 소모된다.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작업증명으로 연간 14.96 Twh의 전력과 7억4천7백만 달러를 소모하는 것을 고려할 때 지나친 에너지 소모와 비 친환경적인 요인은 비효율적인 비즈니스를 초래한다. 이러한 퍼블릭 블록체인의 한계 때문에 조직은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선택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해야 한다.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큰 의의는 서로를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뢰를 보증하는 중개자 없이도 개인 간의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개인 간의 거래가 위 변조되지 않았다는 신뢰를 보증하기 위해 퍼블릭 블록체인은 비즈니스 수행에 필수적인 효율성, 기밀성과 가용성의 측면에서 치명적인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조직이 비즈니스를 하고 거래를 하는 실제환경은 퍼블릭 블록체인이 전제하는 무신뢰 네트워크만큼 극단적이지 않다. 조직은 통상적으로 신뢰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대상과 거래를 하고 협력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즉, 퍼블릭 블록체인이 비즈니스에 활용되는데 생기는 한계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신뢰라는 극단적인 전제에서 비롯된 것이고 해당 전제를 신뢰할 수 있는 환경으로 전환하면 기존에 발생했던 한계들을 해결할 수 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거버너(Governor)와 멤버(Members)라는 두 주체에 의해 운영된다. 거버너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화된 거버넌스를 통해 핵심 의사결정을 하는 주체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6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멤버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실질적인 운영 및 관리 주체로서 블록체인 시스템의 개발, 운영, 보안, 개인 식별정보 및 기밀성 보호, 노드관리, 원장 관리와 트랜잭션 관리의 7가지 기능수행한다. 또한, 멤버들은 협조하여 합의를 통해 컨소시엄을 운영하고 블록체인 활용의 제안 및 계획과 성과 적합성을 거버너에게 보고한다. 이에 따라, 거버너는 전략과 정책을 멤버에게 지시하고 컨소시엄의 블록체인 활용을 통제한다.
각 멤버는 개인키(초기생성키)와 공개키를 소유하며 해당 키들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운영 주체로 식별되고 블록을 생성 및 검증할 권리를 갖는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주체가 아닌 일반 사용자는 직접 네트워크에 트랜잭션을 전송할 수 없지만 멤버의 서비스 시스템을 거쳐서 비즈니스 수행이나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 사용자가 특정 멤버의 서비스 시스템에 트랜잭션을 전송하면 서비스 시스템이 멤버의 개인키를 사용하여 컨소시엄 네트워크에 해당 트랜잭션을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 사용자는 직접적인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주체로서는 활동할 수 없지만 멤버를 통해 거래하고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군사 또는 공공기관에서 관리하는 블록체인으로, 각 개인의 개인정보와 인증정보를 보관하고 이를 복구하는데 관리를 하는 블록체인으로 정의한다.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 주체간의 관계와 역할 및 책임은 이하 표 1과 같다.
Governor Members
Roles Decide the configuration & ongoing enforcement of the systems Trusted partyDecide of the revision to use for the node updateDecide of the transactions & code execution
At 51% power of decision on global security of the ledger content
Initiate the business model
Business as a Service
Responsibilities To maintain the blockchain platform safe & operational for business logic To verify the identity/authenticity of theusersUpdate & maintenance of their devices
Responsible of the transactions and data handled
To include the correct transactions
ledger & to eliminate the improper transactions without errors
Responsible of consensus
To provide safe code & 'user-friendly'
interfaces
Quality of Service
Accountabilit
ies
Should serve the interest of the whole blockchain
actors
Accountable of the information treated
Non repudiation of the data
Non repudiation of the process of verification
Non repudiation of the blockchain
The code provided should be without bug
Provide software & hardware without botnet, spy, viru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엑세스 시간이나 속도가 짧고 빨라야 하는 데이터는 라이트 노드에 저장하고, 그 외의 개인정보나 인증정보와 같은 속도가 느려도 기밀성을 유지해야 하는 데이터는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에 저장한다.
이때, 라이트 노드는 블록체인에 참여하여 거래를 수행하는 노드로, 풀노드에 거래 데이터를 요청하여 개별 거래를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풀노드처럼 모든 블록 정보의 원본을 가지고 있지는 않고 일종의 요약본, 즉 블록헤더에 있는 중요한 데이터만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100GB 저장 공간을 가진 폰이 아직 많지 않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모바일 비트코인 지갑은 라이트 노드로 사용된다. 참고로 데스크톱 컴퓨터의 비트코인 지갑은 풀노드로 사용된다.
라이트 노드는 모든 블록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떤 새로운 거래 정보를 수신받았을 경우 이 거래가 정상적인지 검증할 수 없다. 반대로 풀노드의 경우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컬에 있는 블록 정보를 조회하여 검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트 노드는 개별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을 확인하기 위한 SPV(Simple Payment Verify, 단순 지불 검증)를 사용한다. SPV는 라이트 노드에서 거래를 검증하기 위해 풀노드에게 블록정보를 요청하여 머클트리를 통해 이 거래가 검증된 거래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 관리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개인의 서버들이 모여 네트워크를 유지 및 관리한다. 이 개개인의 서버, 즉 참여자를 노드라고 한다. 중앙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블록을 배포하는 노드의 역할이 중요하며, 참여하는 노드들 가운데 절반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새 블록이 생성된다. 노드들은 블록체인을 컴퓨터에 저장해 놓고 있는데, 일부 노드가 해킹을 당해 기존 내용이 틀어져도 다수의 노드에게 데이터가 남아 있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으면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 머클트리만 가지고 있으면 라이트 노드(Lightweight Node)라고 부른다.
따라서, 블록체인의 모든 노드는 풀노드와 라이트 노드로 나뉜다. 풀노드는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정보를 전부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지갑을 관리한다. 라이트 노드는 사용자 지갑을 저장하지만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풀노드에 의존한다. 노드는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이며 풀노드는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것, 라이트 노드는 참여자를 위해 접속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금고와 파수꾼 비유를 예로 들면, 풀노드는 군대급의 강화된 파수꾼이고, 라이트 노드는 금고를 활용해 입출금을 시도하는 통로로 볼 수 있다. 풀노드와 라이트 노드 중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가 큰 것은 역시 풀노드이다. 결국 라이트 노드와 개별 노드는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읽어 와서 네트워크에 참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풀노드의 장점은, 예를 들어, 비트코인 전송에 대한 완전한 보안이 가능하다. 자체 노드에서 전송데이터가 발송되기 때문에 이 전송이 어디에서 생성된 것인지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한다. 라이트 노드는 전송데이터가 중앙서버를 통해 나가기 때문에 완전한 보안이 가능하지는 않다. 다만, 완전한 보안이 아니라고 해서 비트코인 해킹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노출될 수 있는 정보는 어떤 주소가 어떤 IP에서 발송이 됐는지에 대한 정보가 서버에 남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에 반해 풀노드는 어떤 주소가 어떤 IP에서 발송됐는지 알지 못한다. 임의의 노드에서 코인 전송을 다른 PC에 전달하는 경우 임의의 브로드캐스트를 받은 PC는 이 전송이 내가 보낸 것인지 혹은 다른 것을 전달한 것인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풀노드는 개인키의 쉬운 입출력이 가능하다. 풀노드 Bitcoin Core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데, 종이지갑을 만드는 경우 개인키의 추출이 필요한데 다른 라이트 노드 지갑에 비해 개인키의 추출 및 입력이 간단하다.
반대로 라이트 노드의 장점은 사용이 쉽다는 것인데, 자체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서버에서 나의 잔고가 얼마나 있는지 체크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 설치부터 사용까지의 시간이 얼마 안 걸리며 사용이 간편하다. 풀노드의 경우 블록 데이터가 140GB에 이르기 때문에 이 블록을 모두 받아오는데 2일에서 7일까지 걸릴 수 있다. 또, 라이트 노드는 복구가 간편하다. 시드(Seed) 방식을 이용하여 주소를 관리하기 때문에 지갑 복구가 간편하다. 12/18/24개의 영어 단어를 잘 적어두면 혹시라도 지갑이 분실되어도 이 단어를 이용해 지갑 복구가 가능하다. 반대로 풀노드는 PC 명령어 사용에 어느정도 능숙해야 지갑 손실없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부(440)는 공급처 단말(200)과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300) 간의 소유권 이전의 트랜잭션이 존재하는 경우, 트랜잭션이 조건 데이터를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소유권 이전계약을 진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미리 부여한 조건의 성취에 따라 블록체인에 담긴 자산에 대하여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스로 이행이 되는 자동화된 약정(Automated self-enforced agreements)으로 계약의 성립과 이행이라는 두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하나로 합친 개념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술적 개념은 거래기록이 분산되어 저장되고 탈중앙화하여 공유되며, 복제된 원장이 작동 및 보관됨과 동시에 다시 그 원장에 자산의 이전을 지시하는 사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일종(event-driven program)이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는 법적으로 ①2 명 이상의 당사자가 있어야 하고, ②일방 당사자로부터 다른 당사자로의 자산이전과 관련되고, ③그 이행(implementation)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계약이 개시(initiated)된 이후에는 인간의 개입이 요구되지 않는 계약개념이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보면 계약법적 요소로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알고리즘 계약의 일종인데, 알고리즘 계약에서는 일방 당사자 또는 쌍방 모두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약의 체결 여부 및 조건을 결정하기로 약속한다.
그러나 스마트계약은 탈중앙화된 자율조직의 일종인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알고리즘 계약과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당사자의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약의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계약의 불이행 문제가 상대방의 신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위 조건부 계약(conditional nature)의 일종이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랙트에서는 조건 성취 여부를 해석, 판단, 평가하는 것이 법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조건의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처 단말(200)에서 설정하나, 수요 및 판매처 단말(300)과 합의로 설정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①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②코드 서명, ③블록체인 저장, ④거래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 결과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Block)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모든 참여자가 거래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거래내역과 계약내용은 추가나 변경 없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상호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참여자들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 주소(Wallet address)를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은 계약의 수행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거나 입증이 쉽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토콜(Protocol)이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추적이 가능하지만, 거래기록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변경할 수 없는 불가역성을 가진다. 이때, 튜링-완전(Turing-completeness), 가치 인지능력(value-awareness), 블록체인 인지능력(blockchain-awareness), 상태(state) 개념 등이 포함된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경로 추적부(450)는 IPFS에서 각 데이터(군집) 별로 발급된 URL(해시값)의 스캔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군집)의 이전경로 즉, 유통경로를 추적하고, 추적경로를 데이터 또는 컨텐츠 공급자가 요청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400)는 AI 견적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AI 견적서비스부는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희소성, 유사성에 따른 가치에 대한 견적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S700)은 먼저, 공급처 단말(200)에서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플랫폼을 통해 공급(등록)(S710)하면,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410)에서 단말(창작자 또는 재판매자)에서 등록 또는 업데이트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인공지능 학습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분류 또는 탈지(S720)한 후, 실시간 데이터 탐지 솔루션을 통해 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를 IPFS(430)의 각 노드로 이전된 기록을 기초로 판별(S730)한다.
이후,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430)에서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410)의 판별결과(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결과)를 기초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될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고유 URL(해쉬값) 및 소유권을 발급(S740). 이때, 소유권은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을 생성된 전자문서일 수 있다.
상기 S740 과정이 이후, NFT 발행시 로열티 설정 및 IDs(토큰값)에 전자지갑 URL이 매칭 및 연동된다.
이후, 데이터 수요자(1차 수요기업)가 사업에 이용가능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공급하는 공급처와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공급처와 소유권 이전에 대한 거래, 예컨대, 데이터의 유통를 수행한 후, 구매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사업에 맞게 가공하여 판매 및 재판매를 수행(S750)한다.
참고로, 1차 수요기업이 구매하였을 때의 NFT의 소유권이 공급처에서 1차 수요기업으로 이전되며, 1차 수요기업은 데이터 학습이 끝나게되면 또 다른 수요 기업에게 데이터를 판매(재판매)한다.
이후, 거래 횟수에 따른 트랜잭션을 통해 해당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로열티를 배분(S760)하고, 상기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통 진행 경로를 추적 및 제공(S770)한다.
이후, 공급자 단말(200)에서 데이터 유통 요청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면, 해당 데이터는 유통과정을 거치고, 만약 미승인이 이루어지면, 해당 데이터 수정(URL 정보 수정) 후, 데이터 유통 요청에 대한 승인 후 데이터 유통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S710 과정은 상기 공급처 단말에서 전자지갑 로그인 인증 후, 신원증명(DID)을 발급받는 단계, 상기 신원증명(DID) 확인 후, 데이터 또는 컨텐츠 업로드 및 다운로드 접근권한을 부여받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갑 주소와 연동되는 데이터 망에 해당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740 과정은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에서 분류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S770 과정은 상기 IPFS에서 각 데이터(군집) 별로 발급된 URL(해시값)의 스캔정보 및 NFT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군집)의 이전경로 즉, 유통경로를 추적하고, 추적경로를 데이터 또는 컨텐츠 공급자가 요청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데이터 창작자(공급자)는 로열티를 통해 데이터 및 컨텐츠 재판매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마이 데이터의 이동 경로를 추적 및 소유권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업(수요)의 경우, IPFS 기반의 빅데이터를 관리받을 수 있고, 구입한 컨텐츠를 재가공하여 재판매가 가능함으로 구매에 따른 지출비용을 재판매로 통해 상쇄시킬 수 있고 정부의 경우, 탄소 중립 프로세스 구축으로 인한 친환경 빅데이터 공급 및 수요 시장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기존의 개인정보 동의를 위해서는 데이터 판매 기업이 해당 개인의 연락처/이메일등의 개인정보를 가지고 있어야하는 개인정보 판매를 위해 개인정보를 가지고 있어야하는 아이러니한 구조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한명 한명 연락을 취하여, 개인정보동의를 구해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현재 개인정보 동의와 관련해 동의/미동의 시에 일정비용 및 상품을 전달까지 해주는 상황이였다.
이에 반해, 본원의 경우, 기존에 개인들이 가입/로그인한 전자지갑 주소(개인정보 동의 없이)만으로 유저 식별을 진행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판매시에, 동의를 보다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개인들이 데이터를 올릴때에 DID를 통해 신원증명과정을 거치고 데이터 업로드 및 다운로드(접근권한)가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근은 불가능함으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또한, 이러한 DID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전달 속도 또한 굉장히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서울특별시 서울산업진흥원 2021년도 서울혁신챌린지(예선) (SC210069) "ERC1155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비교 견적 솔루션" 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200: 공급처 단말
300: 수요 및 판매처 단말
400: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
401: DID 신원증명/인증부
410: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
420: 소유권 생성부
430: 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
440: 스마트컨트랙트부
450: 데이터경로 추적부

Claims (13)

  1.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계약을 이용하여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판매, 양도 또는 소유권 이전에 대한 거래를 수행하고, 판매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로열티 및 활용여부, 유통경로에 대한 정보를 추적 및 제공받는 공급처 단말
    상기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을 이용하여 사업에 필요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공급하는 데이터 공급처를 추천받고, 추천받은 데이터 공급처로부터 필요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스마트 컨트랙트 계약을 통해 구매시에 소유권을 이전받고, 상기 창작한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필요에 맞게 가공하여 판매 또는 재판매하는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 및
    상기 공급처 단말로 상기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가공하여 판매한 수요처 정보, 가공상태, 소유권 이전과정, 거래금액에 대한 빅데이터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의 액션을 통해 블록에 기록 및 저장하고, 빅데이터의 유통 경로를 추적한 결과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는
    상기 공급처 단말 또는 상기 수요 및 판매처 단말에서 스마트컨트랙트 진행시에 필요한 신원증명을 위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발급하고,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개인 또는 법인 DID의 사용자에 대한 신원증명, 사용자가 소지한 비밀키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에 저장된 개인 또는 법인 DID의 DID 도큐먼트에 포함된 공개키를 검증하는 DID 신원증명/인증부;
    상기 공급처 단말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에서 업로드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인공지능 학습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분류 및 탈지하는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 및
    IPFS에서 각 데이터(군집) 별로 발급된 URL(해시값)의 스캔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군집)의 이전경로를 추적하고, 추적경로를 데이터 또는 컨텐츠 공급자가 요청시 제공하는 데이터 경로 추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에서 분류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을 생성하여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에 분산저장하고,
    IPFS를 통해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의 판별결과(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결과)를 기초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될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고유 URL(해쉬값)을 발급하고,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는 다중 데이터 인식, 분류 솔루션을 이용하여 객체인식, DBGAN, 자기지도학습을 수행하고, 실시간 데이터 탐지 솔루션을 통해 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를 상기 IPFS의 각 노드로 이전된 기록을 기초로 판별하는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은
    각 단말에서 생성된 전자지갑 주소만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공급처 단말 또는 상기 수요 및 판매처 단말에서 스마트컨트랙트 진행 또는 업로드/다운로드시에 필요한 신원증명을 위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은
    공급처에서 업로드한 상기 데이터 또는 컨텐츠가 복수의 수요처로 유통되는 판매횟수에 따라 금액이 가변되는 로열티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는
    상기 NFT를 통해 발행된 URL과 전자지갑 주소의 매칭을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통 동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빅데이터 유통관리서버는
    상기 공급처 단말과 상기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 간의 소유권 이전의 트랜잭션,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 간의 소유권 이전의 트랜잭션이 존재하는 경우, 트랜잭션이 조건 데이터를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소유권 이전계약을 진행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부를 포함하는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10. 공급처 단말에서 창작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플랫폼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에서 단말(창작자 또는 재판매자)에서 등록 또는 업데이트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인공지능 학습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분류 또는 탈지하는 단계;
    실시간 데이터 탐지 솔루션을 통해 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를 IPFS의 각 노드로 이전된 기록을 기초로 판별하는 단계;
    상기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에서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의 판별결과(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결과)를 기초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저장될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고유 URL(해쉬값) 및 소유권을 발급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요 및 판매처 단말에서 사업에 이용가능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스마트컨트랙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요 및 판매처 단말에서 구매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사업에 맞게 가공하여 판매 및 재판매를 수행하는 단계;
    거래 횟수에 따른 트랜잭션을 통해 해당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로열티를 배분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통 진행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유권을 발급하는 단계는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에서 분류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경로를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IPFS에서 각 데이터(군집) 별로 발급된 URL(해시값)의 스캔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군집)의 소유권 이전경로 또는 유통경로를 추적하고, 추적된 경로를 데이터 또는 컨텐츠 공급자가 요청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에서 분류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소유권을 생성하여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에 분산저장하고,
    상기 AI 데이터 인식 및 분류부는 다중 데이터 인식, 분류 솔루션을 이용하여 객체인식, DBGAN, 자기지도학습을 수행하고, 실시간 데이터 탐지 솔루션을 통해 유사 데이터 또는 컨텐츠의 유무를 상기 IPFS의 각 노드로 이전된 기록을 기초로 판별하는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처 단말에서 전자지갑 로그인 인증 후, 신원증명(DID)을 발급받는 단계;
    상기 신원증명(DID) 확인 후, 데이터 또는 컨텐츠 업로드 및 다운로드 접근권한을 부여받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갑 주소와 연동되는 데이터 망에 해당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113640A 2021-08-27 2021-08-27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406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40A KR102406172B1 (ko) 2021-08-27 2021-08-27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40A KR102406172B1 (ko) 2021-08-27 2021-08-27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172B1 true KR102406172B1 (ko) 2022-06-10

Family

ID=8198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640A KR102406172B1 (ko) 2021-08-27 2021-08-27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17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170B1 (ko) * 2022-07-06 2022-10-31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82641B1 (ko) * 2022-09-14 2022-12-29 (주)메타믹스 노코드 기반 nft 마켓 구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83869B1 (ko) * 2022-10-26 2022-12-30 김태원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2485722B1 (ko) * 2022-09-15 2023-01-09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분산 스토리지를 기반으로 적응형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94825B1 (ko) * 2022-09-19 2023-02-06 주식회사 레드윗 Ipfs를 위해 콘텐츠 id를 분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17258B1 (ko) * 2022-06-29 2023-03-31 김미영 레시피 nft를 활용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5941282A (zh) * 2022-11-10 2023-04-07 天津理工大学 一种基于nft的区块链跨链交互系统及方法
KR102524660B1 (ko) 2022-07-08 2023-04-25 이진기 Nft 기반의 작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6245691A (zh) * 2023-03-16 2023-06-09 广州慧信档案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管理方法及装置
KR102564971B1 (ko) * 2022-06-30 2023-08-08 (주)아몬드미디어 Nft 기반 게임 에셋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03848A (ko) * 2022-07-04 2024-01-11 주식회사 에이치오토 Nft를 이용한 인테리어 활성화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066A (ko) * 2018-05-29 2019-12-10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블록체인 기반 상품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200062640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그레이월 블록체인 기반 미술작품 거래정보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의 노드 장치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59514A (ko) 2019-11-15 2021-05-2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 콘텐츠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방법
KR102269812B1 (ko) * 2020-11-12 2021-06-28 (주)아이디엔디 블록체인 기반 도면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066A (ko) * 2018-05-29 2019-12-10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블록체인 기반 상품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200062640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그레이월 블록체인 기반 미술작품 거래정보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의 노드 장치
KR102199567B1 (ko)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59514A (ko) 2019-11-15 2021-05-2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 콘텐츠 판매 시스템 및 판매 방법
KR102269812B1 (ko) * 2020-11-12 2021-06-28 (주)아이디엔디 블록체인 기반 도면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258B1 (ko) * 2022-06-29 2023-03-31 김미영 레시피 nft를 활용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64971B1 (ko) * 2022-06-30 2023-08-08 (주)아몬드미디어 Nft 기반 게임 에셋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52418B1 (ko) * 2022-07-04 2024-03-29 주식회사 에이치오토 Nft를 이용한 인테리어 활성화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20240003848A (ko) * 2022-07-04 2024-01-11 주식회사 에이치오토 Nft를 이용한 인테리어 활성화 서비스 제공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102460170B1 (ko) * 2022-07-06 2022-10-31 김한조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4010233A1 (ko) * 2022-07-06 2024-01-11 주식회사 쿵월드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24660B1 (ko) 2022-07-08 2023-04-25 이진기 Nft 기반의 작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2641B1 (ko) * 2022-09-14 2022-12-29 (주)메타믹스 노코드 기반 nft 마켓 구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85722B1 (ko) * 2022-09-15 2023-01-09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분산 스토리지를 기반으로 적응형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94825B1 (ko) * 2022-09-19 2023-02-06 주식회사 레드윗 Ipfs를 위해 콘텐츠 id를 분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92978B1 (ko) * 2022-09-19 2023-10-24 주식회사 레드윗 Ipfs를 위해 콘텐츠 id를 분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4063191A1 (ko) * 2022-09-19 2024-03-28 주식회사 레드윗 Ipfs를 위해 콘텐츠 id를 분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483869B1 (ko) * 2022-10-26 2022-12-30 김태원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CN115941282A (zh) * 2022-11-10 2023-04-07 天津理工大学 一种基于nft的区块链跨链交互系统及方法
CN116245691B (zh) * 2023-03-16 2023-08-29 广州慧信档案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管理方法及装置
CN116245691A (zh) * 2023-03-16 2023-06-09 广州慧信档案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管理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172B1 (ko)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200302410A1 (en) Virtual currency system
US105929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mmodity contracts market using a secure distributed transaction ledger
US20190173854A1 (en) Decentralized information sharing network
US9398018B2 (en) Virtual currency system
US9830580B2 (en) Virtual currency system
CA3004250C (en) Virtual currency system
US201302902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graph and graph assets valuation and monetization
TWI717927B (zh) 具有運算池之混合區塊鏈架構
US20090248535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llaborative distribution of digital merchandise
US202002507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ent Risk
US20220036323A1 (en) Electronic wallet allowing virtual currency expiration date
CN111902838A (zh) 因特网数据使用控制系统
Yadav et al. Evolution of Blockchain and consensus mechanisms & its real-world applications
CN115705571A (zh) 保护可审计的帐户的隐私
US20230060559A1 (en) Smart contracts
WO2021249208A1 (zh) 采用码链区块的数字货币模型、方法、系统及装置
JP2021530010A (ja) 電子ブロックチェーンに組み込まれる取引を検証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102528059B1 (ko)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
Truong et al. Trust-Free Blockchain Framework for AI-Generated Content Trading and Management in Metaverse
Lin et al. A Blockchain-based Flexible Traceability System for IoT Cards
Wu et al. PSM 2: A Privacy-Preserving Self-sovereign Match-Making Platform
Kushwaha et al. Hyperledger architecture for Internet of thing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ervices
US11811246B2 (en) Decentralized green-energy ecosystem
Marques et al. Creating Value with Blockchain for Organiz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