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869B1 -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869B1
KR102483869B1 KR1020220139205A KR20220139205A KR102483869B1 KR 102483869 B1 KR102483869 B1 KR 102483869B1 KR 1020220139205 A KR1020220139205 A KR 1020220139205A KR 20220139205 A KR20220139205 A KR 20220139205A KR 102483869 B1 KR102483869 B1 KR 10248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legitimate
content
download servic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김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원 filed Critical 김태원
Priority to KR102022013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869B1/ko
Priority to KR1020220181793A priority patent/KR20240058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Bioeth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 방법은 플랫폼에 등록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발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플랫폼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정보 및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자격 검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이용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FORGERY USING IP TRACKING AND DID INFORMATION OF CONTENTS RELATED TO BLOCKCHAIN-BASED NF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폼에 등록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여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콘텐츠의 불법적인 다운로드나 다운로드의 정당 여부를 검증하여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음원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이 생겨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음원의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권리자들은 음원의 저작권에 대한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음원 산업과 관련된 시장의 경우, 대형 기획사나 유통 사업자를 주축으로 운영되고 있어 음원의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권리자는 저작권료(예를 들어, 음원료)에 대한 불평등한 분배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저작권 등과 같은 소유권에 대한 인증과 함께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명확하게 보장해줄 수 있는 기술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이 집중되고 있다. NFT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자산에 대한 고유한 디지털 증명서를 부여하는 신종 디지털 자산화와 관련된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산에 대하여 저작권 등과 같은 소유권을 명확히 보장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거래를 지원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는 음원 산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까지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이나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 등이 많지 않거나 거의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음원 등과 같은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불법적인 콘텐츠의 다운로드에 무방비한 상태이며, 이로 인해 플랫폼이 활성화되더라도, 플랫폼에 등록된 다양한 콘텐츠와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반드시 필요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플랫폼에 등록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여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콘텐츠의 불법적인 다운로드나 다운로드의 정당 여부를 검증하여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랫폼에 등록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여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콘텐츠의 불법적인 다운로드나 다운로드의 정당 여부를 검증하여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은 콘텐츠(content)에 대하여 발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platform)의 콘텐츠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플랫폼에 등록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발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상기 플랫폼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정보 및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VC, verifiable credentia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자격 검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되는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이용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격 검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정보 및 블록체인 기반의 DID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되는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을 기반으로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허용 I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플랫폼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IP 정보에 상응하는 IP 주소를 검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IP 주소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DID에 포함된 인증(authentication) 정보의 확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의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DID에 대한 소유권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DID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자격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접속하는 IP 주소를 미리 수집하여 생성한 IP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IP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IP 주소들 중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동일한 IP 주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IP 주소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IP 주소를 상기 플랫폼에 추가적인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IP 주소로 IP 데이터베이스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유권의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DID에 포함된 DID 문서(DID document)의 인증 정보(authenticationo information)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의 정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유권의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이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DID를 소유권이 비정상인 DID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DID의 정당 여부가 확인되지 않도록 상기 플랫폼의 DID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DID의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들 중 상기 플랫폼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1차적인 정당 여부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정보에 상응하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다운로드 서비스의 콘텐츠에 대한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확인된 종류와 동일한 종류를 가지는 블록 콘텐츠(block content)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블록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가 상기 블록 콘텐츠를 통해 덮어쓰기(overwrite) 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가 1차적으로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 정보의 검증 가능한 자료(VP, verifiable presentation)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검증 가능한 자료 정보의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2차적인 정당 여부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를 이상이 없는 정당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2차적인 정당 여부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를 이상이 없는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의 이용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가 이상이 없는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플랫폼에서 콘텐츠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워터마킹(watermarking)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발행된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다운로드 서비스에 대한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저작권이 존재하는 콘텐츠를 명확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자격 검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다운로드 서비스에 대한 1차적인 정당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다운로드 서비스가 1차적으로 정당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다운로드 서비스에 대한 2차적인 정당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은 플랫폼(또는 플랫폼의 서버 등)과 연계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폼은 플랫폼에 등록된 콘텐츠(예를 들어, 음원 및 게임 등 저작권이 부여될 수 있는 저작물 등을 의미할 수 있음)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고, 콘텐츠와 관련된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은 복수의 사용자들을 회원으로 가입 받을 수 있고, 회원으로 가입된 복수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고, 플랫폼에 등록된 블록체인 기반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에 대하여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다운로드 서비스를 위해 정당한 자격(예를 들어, 다운로드 서비스를 위한 결제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권한)의 획득이 요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및 저장 장치(4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의미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100)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과 관련된 환경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콘텐츠 관리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관리 장치(200)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와 함께 연동되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콘텐츠 관리 장치(200)와 유사 또는 동일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은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를 접속 가능한 플랫폼으로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서버(400)에 의해 운영되거나 관리되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서버(400)에 의해 운영되거나 관리되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서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콘텐츠 관리 장치(200)는 서버(400)와 별개의 요소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 관리 장치(200)는 서버(400)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콘텐츠 관리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기능들은 각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들의 형태로 변환되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콘텐츠 관리 장치(100),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콘텐츠 관리 장치(200),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구체적인 과정이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콘텐츠 관리 장치(100),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콘텐츠 관리 장치(200),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콘텐츠 관리 장치(100, 200)의 주도적인 동작에 의해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는 플랫폼에 등록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발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플랫폼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100).
구체적으로, 플랫폼은 음원 및 게임 등과 같은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등록된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의 저작권 및 소유권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미리 설명된 바 있는 플랫폼의 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의 서버는 플랫폼에 등록된 콘텐츠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할 수 있고, 발행된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플랫폼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도 2를 참조하여 미리 설명된 바 있는 사용자 단말(300)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에서 발행된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 플랫폼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플랫폼에서 발행된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 장치는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의 통신 정보 및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VC, verifiable credential)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자격 검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200).
여기서, 콘텐츠 관리 장치에서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의 통신 정보 및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자격 검증 절차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자격 검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IP 정보 및 블록체인 기반의 DID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되는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210).
다시 말해, 콘텐츠 관리 장치에서 자격 검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정보는 IP 정보 및 블록체인 기반의 DID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콘텐츠 관리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의 IP 정보 및 블록체인 기반의 DID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되는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다운로드 서비스에 대한 1차적인 정당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허용 IP 정보에 기초하여 플랫폼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IP 정보에 상응하는 IP 주소를 검증하여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11).
여기서, 콘텐츠 관리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허용 IP 정보에 기초하여 플랫폼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IP 정보에 상응하는 IP 주소를 검증하여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는 플랫폼에서 다운로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자격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접속하는 IP 주소를 미리 수집하여 생성한 IP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S211-1).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장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을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들 중 NFT가 발행된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자격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플랫폼에 접속하는 IP 주소를 수집할 수 있ㄷ다. 이후, 콘텐츠 관리 장치는 수집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IP 주소를 플랫폼의 IP 데이터베에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IP 데이터베이스는 플랫폼에 등록된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정당한 자격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복수의 IP 주소들이 저장된 상태일 수 있으며, 콘텐츠 관리 장치는 실시간으로 판단되는 IP 주소의 정당 여부에 기초하여 IP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장치는 IP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IP 주소들 중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동일한 IP 주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S11-2).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장치는 IP 주소의 정당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고, IP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IP 주소들 중 확인된 IP 주소와 동일한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장치는 IP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IP 주소들 중 확인된 IP 주소와 동일한 IP 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는 정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콘텐츠 관리 장치는 IP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IP 주소들 중 확인된 IP 주소와 동일한 IP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는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장치는 IP 주소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IP 주소를 플랫폼에 추가적인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IP 주소로 IP 데이터베이스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당말의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는 IP 주소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의 DID에 포함된 인증(authentication) 정보의 확인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의 정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12).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DID에 포함된 DID 문서(DID document)의 인증 정보(authenticationo information)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DID 문서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의 정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 장치는 DID 문서의 인증 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DID 문서의 공개키(publickey)를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의 정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 장치는 DID 문서에 공개키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해당 DID에 대한 소유권의 정당 여부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이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DID를 소유권이 비정상인 DID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DID의 정당 여부가 확인되지 않도록 플랫폼의 DID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DID를 소유권이 정상인 DID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DID의 정당 여부가 확인되지 않도록 플랫폼의 DID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관리 장치는 DID에 대한 소유권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DID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213).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장치는 DID의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들 중 플랫폼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된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록체인 기반의 DID 문서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는 해당 DID와 연계하여 상호 작용이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태일 수 있으며,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하는 콘텐츠와 관련된 다운로드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 장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 문서의 서비스 정보에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하는 콘텐츠와 관련된 다운로드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가 1차적으로 정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관리 장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 문서의 서비스 정보에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하는 콘텐츠와 관련된 다운로드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가 1차적으로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관리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되는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가 1차적으로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다운로드 서비스가 1차적으로 정당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1차적인 정당 여부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IP 정보에 상응하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을 추적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다운로드 서비스의 콘텐츠에 대한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S213-1).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장치는 다운로드 서비스의 1차적인 정당 여부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장치는 확인된 사용자 단말의 주소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었거나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종류는 음원 콘텐츠, 영상 콘텐츠 및 이미지 콘텐츠 등의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장치는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확인된 종류와 동일한 종류를 가지는 블록 콘텐츠(block content)를 생성할 수 있다(S213-2).
즉,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거나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가 음원 종류인 음원 콘텐츠인 경우, 음원 종류를 가지는 블록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거나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가 영상 종류인 영상 콘텐츠인 경우, 영상 종류를 가지는 블록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거나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가 이미지 종류인 이미지 콘텐츠인 경우, 이미지 종류를 가지는 블록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장치는 블록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가 블록 콘텐츠를 통해 덮어쓰기(overwrite)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S213-3).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장치는 현재 사용자 단말에게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를 블록 콘텐츠로 교체하여 전송할 수 있고, 전송된 블록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관리 장치는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었거나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거나 제공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류가 음원 종류인 음원 콘텐츠인 경우, 음원 종류를 가지는 블록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음원 콘텐츠가 출력되어 재생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블록 콘텐츠가 출력되어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음원 콘텐츠가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다운로드 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추가적인 음원 콘텐츠가 다운로드 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음원 콘텐츠를 대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블록 콘텐츠가 다운로드 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는 1차적인 다운로드 서비스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을 기반으로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220).
여기서, 콘텐츠 관리 장치에서 1차적인 다운로드 서비스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을 기반으로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에서 다운로드 서비스에 대한 2차적인 정당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는 다운로드 서비스가 1차적으로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로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 정보의 검증 가능한 자료(VP, verifiable presentation)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21).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단말의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VC) 정보에서 사용자 단말의 자격을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인 검증 가능한 자료(VP)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콘텐츠 관리 장치로부터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VC)에 기초하여 생성하거나 추출 가능한 검증 가능한 자료(VP)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자신의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VC)에 기초하여 다운로드 서비스의 자격을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ID 및 사용자의 결제 내역 등)를 추출하여 검증 가능한 자료(VP)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생성된 검증 가능한 자료 정보를 콘텐츠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검증 가능한 자료 정보의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222).
여기서, 콘텐츠 관리 장치는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플랫폼의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증 가능한 자료를 검증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2차적인 정당 여부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를 이상이 없는 정당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2차적인 정당 여부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를 이상이 없는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는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이용을 관리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장치는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가 이상이 없는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플랫폼에서 콘텐츠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워터마킹(watermarking)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 관리 장치는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가 이상이 없는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플랫폼에서 추적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워터마킹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정당 여부가 2차적으로 판단된 콘텐츠에 대한 관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2차적인 정당 여부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은 플랫폼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사용자 단말을 비정상적인 사용자 단말로 등록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 및 DID를 서로 매칭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추가적인 다운로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콘텐츠 관리 장치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송수신 장치
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160: 저장 장치 170: 버스
200: 서비스 제공 서버 300: 사용자 단말
400: 서버

Claims (4)

  1. 콘텐츠(content)에 대하여 발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platform)의 콘텐츠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플랫폼에 등록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발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상기 플랫폼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정보 및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VC, verifiable credentia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자격 검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자격 검증 절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되는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NFT와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이용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격 검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정보 및 블록체인 기반의 DID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되는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을 기반으로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허용 I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플랫폼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IP 정보에 상응하는 IP 주소를 검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IP 주소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DID에 포함된 인증(authentication) 정보의 확인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의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DID에 대한 소유권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DID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1차적인 정당 여부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정보에 상응하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다운로드 서비스의 콘텐츠에 대한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확인된 종류와 동일한 종류를 가지는 블록 콘텐츠(block content)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블록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가 상기 블록 콘텐츠를 통해 덮어쓰기(overwrite) 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유권의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DID에 포함된 DID 문서(DID document)의 인증 정보(authenticationo information)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의 정당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DID에 대한 소유권이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DID를 소유권이 비정상인 DID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DID의 정당 여부가 확인되지 않도록 상기 플랫폼의 DID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자격이 정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접속하는 IP 주소를 미리 수집하여 생성한 IP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IP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IP 주소들 중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동일한 IP 주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에 대한 정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가 1차적으로 정당한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검증 가능한 자격 증명 정보의 검증 가능한 자료(VP, verifiable presentation)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검증 가능한 자료 정보의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정당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KR1020220139205A 2022-10-26 2022-10-26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248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205A KR102483869B1 (ko) 2022-10-26 2022-10-26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20220181793A KR20240058734A (ko) 2022-10-26 2022-12-22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205A KR102483869B1 (ko) 2022-10-26 2022-10-26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793A Division KR20240058734A (ko) 2022-10-26 2022-12-22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869B1 true KR102483869B1 (ko) 2022-12-30

Family

ID=845389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205A KR102483869B1 (ko) 2022-10-26 2022-10-26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20220181793A KR20240058734A (ko) 2022-10-26 2022-12-22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793A KR20240058734A (ko) 2022-10-26 2022-12-22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38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099B1 (ko) * 2020-05-12 2022-04-04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블록체인 기반의 did 서비스, ipfs 기반의 데이터 공유 기술, 및 개인키 분산 저장 기술이 결합된 비대면 대용량 문서 접근 블록체인 시스템
KR102406172B1 (ko) * 2021-08-27 2022-06-10 주식회사 라젠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410006B1 (ko) * 2020-07-08 2022-06-21 비트레스 주식회사 사용자 권한 관리가 가능한 did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권한 관리 시스템
KR102451133B1 (ko) * 2022-07-04 2022-10-06 주식회사 더블유더블유디코리아 Nft 기반 언론사 콘텐츠의 거래 및 진위 여부 검증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099B1 (ko) * 2020-05-12 2022-04-04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블록체인 기반의 did 서비스, ipfs 기반의 데이터 공유 기술, 및 개인키 분산 저장 기술이 결합된 비대면 대용량 문서 접근 블록체인 시스템
KR102410006B1 (ko) * 2020-07-08 2022-06-21 비트레스 주식회사 사용자 권한 관리가 가능한 did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권한 관리 시스템
KR102406172B1 (ko) * 2021-08-27 2022-06-10 주식회사 라젠 Nft 기반 친환경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451133B1 (ko) * 2022-07-04 2022-10-06 주식회사 더블유더블유디코리아 Nft 기반 언론사 콘텐츠의 거래 및 진위 여부 검증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734A (ko)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2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100919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stallation of an application package requiring high-risk permission access
US773454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cured software for a wireless device
JP3753885B2 (ja) 国際暗号体系のホストシステム要素
RU2392659C2 (ru) Гибкая архитектура лицензирования в системе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рским правом
US20040088541A1 (en) Digital-rights management system
TW201931275A (zh) 用於具有分散式共識之分散式系統中之契約資料之存取控制方法及其契約產生器及驗證伺服器
CN111914293B (zh) 一种数据访问权限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03500722A (ja) 情報保護方法および装置
JP2008529341A (ja) プライベートな、かつ制御された所有権の共有
CN101206696A (zh) 用于保护个人信息的设备、方法和系统
CN110535807B (zh) 一种业务鉴权方法、装置和介质
JP2007072608A (ja) 機器情報送信プログラム、サービス制御プログラム、機器情報送信装置、サービス制御装置および機器情報送信方法
CN110674531B (zh) 基于区块链的居住信息管理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CN111275419A (zh) 一种区块链钱包签名确权方法、装置及系统
US20090199279A1 (en) Method for content license migration without content or license reacquisition
CN113326327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凭证查询方法、系统及装置
KR20060056319A (ko) 전자 인증서의 보안 및 확인 방법
US200801273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lectronic authorization information issuing device, electronic information utilizing device, right issuing device, recording medium storing electronic authorization information issuing program, electronic information utilizing program and right issu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H1124916A (ja) ソフトウェアライセンス管理装置および方法
KR102483869B1 (ko) 블록체인 기반 nft와 관련된 콘텐츠의 ip 추적 및 did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장치
CN111611551B (zh) 一种基于国密算法的动态链接库保护方法及其系统
JP2002063543A (ja) 電子フォーム制作装置及び提供装置
KR101012054B1 (ko) 저작권자의 저작물 직접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4011863A9 (zh) 通信方法、装置、sim卡、电子设备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