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809A - Plant Cultivation Device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809A
KR20230042809A KR1020210125501A KR20210125501A KR20230042809A KR 20230042809 A KR20230042809 A KR 20230042809A KR 1020210125501 A KR1020210125501 A KR 1020210125501A KR 20210125501 A KR20210125501 A KR 20210125501A KR 20230042809 A KR20230042809 A KR 20230042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ltivation
plant
nutrient solu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21012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2809A/en
Publication of KR20230042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8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9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device, in which a liquid accommodated inside a container unit is sprayed toward a cultivation unit through a spray unit, and the liquid falling from the cultivation unit is circulated in such a way that it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unit agai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any one of aquaponics and nutrient solution hydroponics in which plants and ornamental fish of the cultivation unit are grown and harvested together.

Description

식물 재배기 {Plant Cultivation Device}Plant Cultivation Device {Plant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서 외부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or capable of growing plants regardless of changes in external temperature in a small space.

농작물을 포함한 각종 식물은 수분 및 산소가 잘 통할 수 있도록 양분이 있는 토양으로 이루어지는 논과 밭 등의 노지에서 씨앗을 파종하거나 모종을 심어서 재배하거나,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소가 함유된 물로 이루어진 수경지에 씨앗을 파종하거나 모종을 심어서 재배하고 있다.Various plants, including crops, are cultivated by sowing seeds or planting seedlings in open fields such as paddy fields and fields made of soil with nutrients so that moisture and oxygen can pass through well, or hydroponic land made of water containing nutrients necessary for plant growth It is cultivated by sowing seeds or planting seedlings.

한편, 도시생활에서는 실내에서 관상용의 간단한 화초나 섭취용의 작물의 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인 화분을 많이 이용하고 있지만, 상기 화분에 물을 주거나 비료를 주기 위한 관리를 일일이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화분이 위치하는 일정한 공간을 집안에서 항상 확보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urban life, pots, which are cultivation devices for growing simple ornamental flowers or crops for consumption indoors, are widely used, but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manually managing to water or fertilize the po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ertain space in which the flower pot is located must always be secured in the house.

이에 따라, 최근 토양과 무관하게 액체상태의 양액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제약 없이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재배 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allows plants to be easily grown without spatial restrictions using a nutrient solution in a liquid state regardless of soil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예를들면, 특허문헌 1은 식물 재배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통체로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게이트가 타공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베이스통, 발코니 형태로 상기 베이스통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게끔 상기 게이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재배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단위재배통 마다 토양을 충전하고 식물을 식재하여 상기 베이스통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 개체의 식물을 좁은 면적에서 재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 cylinder with an open top, a base cylinder in which a plurality of gate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perfora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of the base cylinder in the form of a balcony. By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ultivation cylinders installed in the g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lants can be cultivated in a small area based on the base cylinder by filling soil and planting plants in each unit cultivation cylinder.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물 재배 기구는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개체의 식물을 생육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으나, 식물 재배기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외부환경에 따라 식물을 재배하는데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in that it enables many plants to grow in a small space, but sinc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exposed to the outside, various problems may occur in cultivating plants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 is.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5275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527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액체는 분사부를 통하여, 재배부를 향하도록 분사되고, 상기 재배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액체는 다시 상기 용기부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순환되는 식물 재배기를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liquid accommodated inside the container unit is sprayed toward the reproducing unit through the spraying unit, and the liquid falling from the reproducing unit is again Its purpose is a plant growing machine that is circulated in a way that flows into the container par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배부의 식물과 관상어류를 함께 길러 수확하는 아쿠아포닉스(Aquaponics) 및 양액수경재배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기를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 cultivator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any one of aquaponics and nutrient solution hydroponics in which plants and ornamental fish of the cultivation unit are grown and harvested togeth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here ar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clearly understoo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단부를 제 1본체부, 하단부를 제 2본체부로 각각 구획되는 본체부, 상기 제 1본체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식물을 육성할 수 있는 배지를 수용하는 재배부, 상기 제 1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분사부 및 상기 제 1본체부의 하단부에 안착되되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액체는 상기 분사부를 통하여, 상기 재배부를 향하도록 분사되고, 상기 재배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액체는 다시 상기 용기부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empty space inside so that plants can be grown, and the upper part is divided into the first body part and the lower part into the second body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 body part, a cultivation part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and accommodating a medium capable of growing the plant, a spray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part, and a spray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part, and sea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A container part connected to the spraying part and containing liquid therein, the liquid accommodated inside the container part is sprayed toward the reproducing part through the spraying part, and the liquid falling from the reproducing part is returned to the reproducing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irculated in a way that flows into the container par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부는, 내부에 수생식물과 관상어류를 서식시킬 수 있도록 물이 수용되는 수조부 및 상기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water tank part for accommodating water so that aquatic plants and ornamental fish can be inhabited therein, and a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for supplying a nutrient solution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plants.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재배부는, 내부에 배지가 수용되는 복수 개의 재배컵, 상기 재배컵의 외주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 개의 재배포트 및 상기 제 1본체부의 내측면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재배포트를 끼워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포트가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배컵이 설치되지 않는 상기 재배포트의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ltiv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ultivation cups accommodating a medium therein,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rts respectively suppor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ltivation cups, and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rt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It includes a fixing device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red pot, the red pot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xing device, and in the case of the red pot where the cup is not installed, it is selectively removed, thereby minimizing the installation space. to be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의 광합성이 이뤄지도록 상기 제 1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재배부를 향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재배부의 상방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본체 조명 및 상기 제 1본체부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사이드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조명 및 사이드 조명은 상기 식물의 상태에 따라 적색, 청색 및 백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색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ghting unit for generating light toward the cultivation unit in a stat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so that the photosynthesis of the plant takes place, the lighting unit is installed above the cultivation unit, in a vertical direction A main body light for irradiating light and a side light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first body portion for irradiating light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main body light and side light are among red, blue, and white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plant.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light with a color containing at least o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본체부 내부의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제 1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 상기 제 2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본체부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조명부, 송풍부 및 온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하고, 상기 송풍부 및 온도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 1본체부의 내부로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온도, 습도, 조도, 공기질, 양액농도 및 산성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the sensor unit for sensing th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air quality inside the first bod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blowing the internal air A blower unit, a temperature control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unit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irst bod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the blower unit,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lower unit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o obtain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ir quality,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and acidity required for plant growth into the first bod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m can be adjus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재배기는 재배부를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외부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다양한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cultivator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ultivation unit is detachable, so that various plants can be grown in a narrow space regardless of changes in external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은 용기부에 있는 액체는 분사부를 통하여 재배부를 향하여 분사되고, 재배부에서 낙하하는 액체는 다시 용기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순환되게 함으로써, 액체가 낭비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iquid in the storage unit to be sprayed toward the cultivation unit through the injection unit, and the liquid falling from the cultivation unit to be circulated in such a way that it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again, so that the liquid is not wasted and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semi-permanently.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송풍를 위한 송풍부 및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가 구비되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식물 재배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cultivation by providing a blowing unit for internal ventilation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또한, 본 발명은 수생식물과 관상어류를 기를 수 있는 수조부가 설치되어, 관상용으로 사용자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to the user for ornamental purposes by installing a water tank capable of growing aquatic plants and ornamental fish.

또한, 본 발명은 양액공급부에 의해 양액수경재배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used for nutrient solution hydroponics by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의 제 1본체부 상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의 제 1본체부 하단부에 안착된 수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의 본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재배부가 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의 본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재배컵이 재배포트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의 의 본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재배포트가 고정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2실시예의 제 1본체부 하단부에 안착된 양액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온도조절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조명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송풍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2실시예의 양액공급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water tank se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ltivation unit is detached.
5 i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ltivation cup is seated in the cultivation pot.
6 i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plant cultiva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ltivation pot is installed in the fixing devic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se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trol flow chart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lighting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trol flow chart of the blowing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ontrol flow chart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preceden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specific details, including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의 제 1본체부 상단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의 제 1본체부 하단부에 안착된 수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의 본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재배부가 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의 본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재배컵이 재배포트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의 의 본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재배포트가 고정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2실시예의 제 1본체부 하단부에 안착된 양액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온도조절부의 제어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조명부의 제어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송풍부의 제어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 제 2실시예의 양액공급부의 제어 흐름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upper part of a first main body of a first embodiment of a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irst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id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ultivation unit is detached,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ultivation unit is detached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ltivation cup is seated in the repot, FIG. 6 is a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id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nutrient solution supply se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in body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FIG. 12 is a control flow chart of the lighting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flowchart of the blower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14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10)의 제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10)는 협소한 공간에서 외부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고, 관상어류를 함께 길러 수확하는 아쿠아포닉스(Aquaponics) 및 양액수경재배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nt cultiv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row plants regardless of external temperature changes in a small space, and selectively selects any one of aquaponics and nutrient solution hydroponics in which ornamental fish are grown and harvested toge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10)는 본체부(100), 재배부(200), 분사부(300) 및 용기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plant grow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0, a cultivation part 200, a spraying part 300, and a container part 400.

먼저, 상기 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식물 재배기(10)의 본체를 구성하며, 내부에 식물을 안착시켜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상기 식물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면은 개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ㄷ’ 자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식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크기와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First, the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The main body part 100 constitutes the main body of the plant cultivator 10, and is configured to allow plants to be placed therein and cultivated.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has an empty space inside to grow plants. In additi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to have an opening so that the plant can flow in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0 .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in a shape like a 'c'. Of course, the body part 10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plan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단부를 제 1본체부(110), 하단부를 제 2본체부(120)로 각각 구획된다.More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100 is partitioned into a first body portion 110 at the upper end and a second body portion 120 at the low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1본체부(110)는 내부에 상기 식물을 안착시켜 재배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본체부(120)보다 더욱 큰 부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본체부(110)에는 상기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설치된다.The first body part 110 is formed with a larger volume than the second body part 120 so that the plant can be seated and cultivated therein, and the first body part 110 has the plant to be cultivated. configuration is installed.

상기 제 2본체부(12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설치된다.The second body portion 120 is located below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is installed.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본체부(110)는 선반(111), 고정걸이(112) 및 지지대(113)를 포함한다.Also, 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body part 110 includes a shelf 111 , a fixing hanger 112 and a support 113 .

상기 선반(111)은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구성이다. 수평으로 구획된 상기 선반(10) 위에는 식물의 모종을 미리 심어서 재배하는 재배키트 혹은 다양한 재배용기가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식물의 크기와 종류는 다양한 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상기 선반(10)은 그 수직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e shelf 111 is installed horizontally inside to partition the space. On the shelf 10 partitioned horizontally, a cultivation kit or various cultivation containers for planting and cultivating plant seedlings in advance may be placed. Since the sizes and types of plants vary,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helf 10 may be adjusted for efficient us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

상기 고정걸이(112)는 상기 선반(111)의 좌우양단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걸이(112)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ㄴ’자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걸이(112)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대(113)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걸이(112)의 상단으로 상기 선반(10)의 좌우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걸이(112)는 상기 선반(111)을 전후좌우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4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hangers 112 suppor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helf 111 .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fixing hanger 112 is formed in a 'b' shape. One end of the fixing hanger 112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113,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hanger 112 can suppor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helf 1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hanger 112 is provided in four pieces so as to stably support the shelf 111 in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지지대(113)는 상기 고정걸이(112)의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113)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측면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측면에 2개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13)가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측면에도 2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지지대(113)의 개수는 상기 선반(111)을 지지하는 상기 고정걸이(112)의 개수 및 상기 선반(111)의 무게에 따라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 113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first main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xing hanger 112 .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113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on the side of the first body 110, provided in two on the side of the first body 110, the support 113 It is preferable that two are also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installed. Of course, the number of supports 113 can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xing hooks 112 supporting the shelf 111 and the weight of the shelf 111 .

또한, 상기 지지대(113)에는 높이조절 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 홈(114)은 상기 지지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 홈(114)은 상기 고정걸이(112)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 홈(114)은 상기 고정걸이(112)의 수직위치를 조절할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선반(110)의 수직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height adjustment groove 114 is formed on the support 113.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114 is form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13). One end of the fixing hanger 112 may be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114 . Accordingly,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114 is formed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xing hanger 112 and consequently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helf 110 .

또한, 상기 제 1본체부(110)는 도어(115)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115)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본체부(110)를 여닫는 구성이다. 즉, 상기 도어(115)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개구진 부분을 막아줄 수 있으며, 상기 제 1본체부(110)를 밀폐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115)는 외부에서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115)는 예를들면 아크릴판 및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portion 110 includes a door 115. The door 115 is installed at an outer edg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to open and close the first body portion 110 . That is, the door 115 may block the opening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seal the first body portion 110 . In addition, the door 115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e door 115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n acrylic plate or glass.

다음으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재배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재배부(20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측면에 복수 개로 설치되며, 상기 식물을 육성할 수 있는 배지를 수용하는 구성이다.Next, referring to FIG. 1 again, the redistribution unit 200 is provided. The cultivation unit 200 is installed in pluralit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110 and has a configuration for accommodating a medium capable of growing the plants.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재배부(200)는 재배컵(210), 재배포트(220) 및 고정장치(23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4 to 6 , the cultivation unit 200 includes a cultivation cup 210 , a cultivation port 220 and a fixing device 230 .

상기 재배컵(210)은 상기 식물을 육성할 수 있는 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배컵(210)은 컵과 같은 형태로,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내주면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재배컵(210)은 내부에 배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재배컵(210)은 물론 복수 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재배컵(21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211)는 상기 재배컵(210)의 내부에 통기성을 제공하고, 상기 배지에서 낙하하는 액체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211)는 도 4 내지 도 6에서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211)의 크기는 상기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재배컵(210)은 재배되는 상기 식물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직경을 달리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cup 210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a medium capable of cultivating the plant. More specifically, the cultivation cup 210 is formed in a cup-like shape,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upper end.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he cultivation cup 210 to accommodate a medium. The cultivation cup 210 is of cour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ltivation cup 210 . The through hole 211 provides ventilation to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cup 210 and is formed so that the liquid falling from the culture medium can fall down. Although the through-hole 211 is illustrated as a rectangle in FIGS. 4 to 6 ,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the size of the through-hole 211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lant. Similarly, the diameter of the cultivation cup 210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the plant to be cultivated.

상기 재배포트(220)는 상기 재배컵(210)의 외주면을 각각 지지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배포트(220)는 전체적으로 원형과 같은 형태이며, 상기 재배포트(220)의 내주면이 상기 재배컵(210)의 외주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재배컵(210)을 안착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재배포트(22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장치(230)와 연결되기 위한 결속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재배포트(220)는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재배컵(2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물론 복수 개로 구성된다.The redistribution port 22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ltivation cup 210,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redistribution port 220 has a circular shape as a whol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distribution port 220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ultivation cup 210, a state in which the cultivation cup 210 is seated. to be able to support In addition, a binding member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device 2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distribution port 220 . The redistribution port 220 is of course composed of a plurality so as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the redistribution cups 210 .

상기 고정장치(23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측면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재배포트(220)를 끼워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장치(23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23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개구지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둘러서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장치(230)는 상기 도어(115)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230)는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 결합방식으로 상기 제 1본체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230)는 일측으로 삽입공간 및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재배포트(220)를 상기 삽입공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xing device 230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distribution port 220 is inserted and fixed.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device 230 is installed in plurality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rst body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fixing device 230 is installed around th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except for the surface of the opening. In other words, the fixing device 23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door 115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fixing device 230 has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nd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110 in a bolt coupling method. In addition, the fixing device 230 has an insertion space and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redistribution port 220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space in a sliding manner.

종합해보면, 상기 재배포트(220)가 상기 고정장치(23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배컵(210)이 설치되지 않는 상기 재배포트(220)의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In summary, the redistribution port 220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xing device 230, and in the case of the redistribution port 220 in which the cultivation cup 210 is not installed, it is selectively removed,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that can be minimized.

다음으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분사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분사부(30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부(30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Next, referring to FIG. 1 again, the injection unit 300 is provided. The injection unit 30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110 . More specifically, the injection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또한, 상기 분사부(300)는 배관(310) 및 노즐(32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njection unit 300 includes a pipe 310 and a nozzle 320 .

상기 배관(310)은 상기 제 1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로 액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배관(310)은 물론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는 내부의 액체가 분사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pipe 31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liquid can be transferred to the inside. The pipe 310 is of cours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length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liquid inside is injected.

상기 노즐(320)은 상기 배관(3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310)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액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노즐(320)은 바람직하게 상기 배관(310)에서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상단부에 위치한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본체부(110)에 설치된 상기 재배부(200)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The nozzle 3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ipe 310 and is configured to spray the liquid transported inside the pipe 310 . The nozzle 320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ipe 310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110, and sprays evenly to the cultivation unit 200 installed in the first body 110. It is provided in a plurality so as to be possible, but is installed to face different directions.

또한, 상기 노즐(320)은 상기 액체가 분출되는 홀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320)은 상기 액체를 원추상, 부채상, 봉상 및 방사상 중에 적어도 어느 한가지로 분사되어, 상기 재배부(200)로 상기 액체를 보다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Also, the nozzle 320 may adjust a cross-sectional area of a hole through which the liquid is ejected. Accordingly, the nozzle 320 sprays the liquid in at least one of a conical shape, a fan shape, a rod shape, and a radial shape, so that the liquid can be more easily supplied to the cultivation unit 200 .

다음으로, 상기 용기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용기부(40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하단부에 안착되되, 상기 분사부(300)와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부(40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하단부에 안착되며, 상기 재배부(200)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용기부(400)는 내부에 수생식물과 관상어류를 서식시킬 수 있도록 물이 수용되는 수조부(410)를 포함한다.Next, the container part 400 is provided. The container part 400 is sea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part 300,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liquid is accommodated. More specifically, the container part 400 is sea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10 and is located below the cultivation part 200 . The container part 400 includes a water tank part 410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so that aquatic plants and ornamental fish can be inhabited therei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조부(41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조부(410)에는 물이 채워지게 되고, 상기 물속에서는 수생식물 및 관상어류가 서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water tank part 4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o accommodate the water. The water tank 410 is filled with water, and aquatic plants and ornamental fish may inhabit the water.

또한, 상기 수조부(410)는 상기 수조부(4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프(411)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411)는 바람직하게 상기 수조부(410)에 수용된 상기 물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상기 펌프(4110)는 일측으로 상기 배관(310)과 연결되어, 상기 배관(310)으로 상기 물이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펌프(411)의 내부에는 상기 수조부(410)의 상기 물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센서는 후술할 제어부(900)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part 410 includes a pump 411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part 410 and generating pressure to transfer the water. The pump 411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submerged i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410 . The pump 4110 is connected to the pipe 310 to one side, so that the water is transferred to the pipe 310. In addition, a water level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height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unit 410 may be included inside the pump 411 . At this time, the water level sensor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ler 900 to be described later.

이에 따라, 상기 수조부(410)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액체는 상기 분사부(300)를 통하여, 상기 재배부(200)를 향하도록 분사되고, 상기 재배부(200)에서 낙하하는 상기 액체는 다시 상기 수조부(410)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순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quid accommodated inside the water tank 410 is sprayed toward the cultivation unit 200 through the injection unit 300, and the liquid falling from the cultivation unit 200 is again It can be circulated in such a way that it flows into the water tank part 410.

또한, 상기 수조부(410)는 상기 재배부(200)와 관상어류를 함께 길러 수확하는 아쿠아포닉스(Aquaponics)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unit 410 can be used as aquaponics for growing and harvesting the cultivation unit 200 and ornamental fish together.

물론, 상기 수조부(41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 폭과 상기 재배부(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형태와 크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Of course, the water tank part 41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inner width of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ultivation part 200 .

다음으로, 상기 조명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조명부(500)는 상기 식물의 광합성이 이뤄지도록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재배부(200)를 향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부(50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에서 상기 재배부(200)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식물의 광합성이 이뤄지도록 다양한 색상을 조합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Next, the lighting unit 500 is provided. The lighting unit 500 is configured to generate light toward the cultivation unit 200 in a stat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110 so that photosynthesis of the plant takes place. More specifically, the lighting unit 500 is installed from the first body unit 110 toward the cultivation unit 200, and can generate light combining various colors so that the photosynthesis of the plant takes place.

또한, 상기 조명부(500)는 본체 조명(510) 및 사이드 조명(5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조명(510)은 상기 선반(111)의 하단부, 즉 상기 재배부(200)의 상방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성이며, 상기 사이드 조명(520)은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500 includes a body light 510 and a side light 520 . The main body lighting 51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helf 111, that is, above the cultivation unit 200, and is configured to emit l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side lighting 520 is installed on the first body part. It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110) and irradiates light in a horizontal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 조명(510)은 상기 선반(111)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 조명(510)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불빛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불빛 소자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형태로, 상기 본체 조명(510)의 내부에 전류를 흘려 빛을 발산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 the body lighting 51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helf 111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 plurality of light elements are installed in the body lighting 510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the light element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type element that emits light by flowing current into the body light 510.

상기 사이드 조명(520)은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조명(52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 조명(510)과 동일한 불빛 소자가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게 된다. The side lights 520 are installed in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orners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In addition, the same light element as the body light 510 is installed inside the side light 520 to emit light.

상기 본체 조명(510) 및 사이드 조명(520)은 상기 식물의 상태에 따라 적색, 청색 및 백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색상으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body lighting 510 and the side lighting 520 may generate light in a color including at least one of red, blue, and whit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lant.

다음으로, 센서부(600)가 마련된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선반(11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본체부(110) 내부의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을 센싱하는 구성이다. Next, the sensor unit 600 is provided. The sensor unit 60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helf 111 and senses th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air quality inside the first body unit 11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60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및 공기질 센서를 통합한 형태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센서부(600)는 물론, 후술할 제어부(900)와 연동되어, 측정된 상기 제 1본체부 내부의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 데이터 값을 후술할 제어부(900)로 전달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600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n air quality sensor are integrated,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In conjunction with the sensor unit 600 as well as the control unit 900 to be described later, the measured data values of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and air quality inside the first body unit are transferred to the control unit 900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송풍부(700)가 마련된다. 상기 송풍부(700)는 상기 제 1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송풍시키는 구성이다. Next, referring to FIG. 1 again, a blower 700 is provided. The blower 7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to blow internal ai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부(700)는 상기 도어(115)와 마주보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lower 70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body 110 facing the door 115 and can blow air inside the first body 110 .

상기 송풍부(700)는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를 포함한다. 상기 흡기구(710)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며, 상기 배기구(72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The blower 700 includes an intake port 710 and an exhaust port 720 . The intake port 710 is configured to introduce external air in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exhaust port 720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inside the first body portion 110 to the outside. .

다시 말하면, 상기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에는 내부에 팬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이 서로 다르게 구성됨으로써 공기의 이동 방향이 달라진다.In other words, a fan is installed inside the intake port 710 and the exhaust port 72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ir movement direction is changed.

또한, 상기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는 물론,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측면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 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천장에도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천장에 설치된 상기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측면에 설치된 다른 상기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보다 더욱 큰 외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take port 710 and the exhaust port 72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s well.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the intake port 710 and the exhaust port 720 ar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so that the internal air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can be more easily circulated. can be installed At this time, the intake port 710 and the exhaust port 72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re more than the other intake port 710 and the exhaust port 720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It may be formed with a large outer diameter.

다음으로, 온도조절부(800)가 마련된다. 상기 온도조절부(800)는 상기 제 2본체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Next, a temperature controller 800 is provided. The temperature controller 8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20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irst body 11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조절부(800)는 상기 제 2본체부(12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 1본체부(110)와 연결된다. 상기 온도조절부(800)는 내부에 전류가 흘러서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냉온장치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온도조절부(800)는 예를들면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와 같은 원리로 구동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ler 8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12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800 is composed of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or absorbing heat as current flows therein,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The temperature controller 800 may be driven by a principle such as, for example, a Peltier effect.

다음으로, 제어부(90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센서부(600)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조명부(500), 상기 송풍부(700) 및 상기 온도조절부(800)를 제어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900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900 may control the lighting unit 500 , the blower unit 700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800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60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 2본체부(120)에 설치되되, 상기 온도조절부(80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센서부(600)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조명부(500)의 조도를 조절하고, 상기 송풍부(700) 및 상기 온도조절부(8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로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식물 재배기(10)를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센서부(600)에 의해 상기 온도조절부(8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조절부 제어단계(S100), 상기 센서부(600)에 의해 상기 조명부(500)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명부 제어단계(S200) 및 상기 센서부(600)에 의해 상기 송풍부(7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풍부 제어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900 is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120 and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emperature controller 800 . The control unit 900 can control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500 and the operation of the blower unit 700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800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600. there i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900 can control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air quality required for plant growth into the first body unit 110 .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900 can comprehensively control the plant grower 10,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800 by the sensor unit 600 ( S100), a lighting unit control step (S200) of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500 by the sensor unit 600, and a blower control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unit 700 by the sensor unit 600. Step S300 may be performed.

상기 온도조절부 제어단계(S100)는,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센서부(600)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기준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기준값 이상이라고 한다면, 상기 온도조절부(800)의 히터를 작동시켜 온도 및 습도를 기준범위에 속하도록 내릴 수 있고, 반대로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기준값 이하라고 한다면, 상기 온도조절부(800)의 냉각을 작동시켜 온도 및 습도를 기준범위에 속하도록 올릴 수 있다.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control step (S100), referring to FIG. 11 , the controller 90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within a reference range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600. Next, the controller 90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if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900 may low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fall within the reference range by operating the heater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800, and vice versa. If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oling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800 may be operated to rais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fall within the reference range.

또한, 상기 조명부 제어단계(S200)는,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센서부(600)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측정된 조도가 기준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조도가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조도가 기준값 이상이라고 한다면, 상기 조명부(500)의 밝기를 감소시켜 조도를 기준범위에 속하도록 내릴 수 있고, 반대로 측정된 조도가 기준값 이하라고 한다면, 상기 조명부(500)의 밝기를 증가시켜 조도를 기준범위에 속하도록 올릴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ing unit control step (S200), referring to FIG. 12, the controller 90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illuminance is within a reference range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600. Next, the controller 90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illumin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if the measured illumin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900 may decrease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500 to lower the illuminance to fall within the reference range. Conversely, if the measured illumina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lighting unit By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500), the illuminance can be raised to fall within the standard range.

또한, 상기 송풍부 제어단계(S300)는,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센서부(600)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측정된 공기질이 기준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공기질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0)는 측정된 공기질이 기준값 이상이라고 한다면, 상기 송풍부(700)의 동작을 감소시켜 공기질을 기준범위에 속하도록 내릴 수 있고, 반대로 측정된 공기질이 기준값 이하라고 한다면, 상기 송풍부(700)의 동작을 증가시켜 공기질을 기준범위에 속하도록 올릴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lowing unit control step (S300), referring to FIG. 13, the controller 90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air quality is within a reference range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sensor unit 600. Next, the controller 90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air qual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if the measured air qual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900 may decrease the operation of the blower 700 to lower the air quality to fall within the reference range. By increas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700, the air quality may be raised to fall within the standard rang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기(10) 제 2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lant cultiv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수용부(400) 및 제어부(900)의 구성이 추가되는 차이점이 있으며, 상기 수용부(400) 및 제어부(90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This embodiment has a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nfigurations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900 are added,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accommodation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9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 s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제 2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10)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400)는 상기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공급부(4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in the plant cultivato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art 400 includes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supplying nutrient solution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plant.

상기 양액공급부(42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하단부에 안착되되, 내부에는 양액을 공급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액공급부(4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내부에는 물론, 양액을 제어할 수 있도록 히팅장치, 쿨러장치, 살균장치. 자외선장치 및 가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양액공급부(420)는 상기 분사부(300)와 연결되어, 내부의 양액을 연무가습 방식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양액수경재배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is seat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110, and is composed of a device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to the inside. More specifically,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the heating device, cooler device, and sterilization device can control the nutrient solution as well as the inside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A UV device and a humidifier may be included. That is,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300 and is composed of a device that sprays the nutrient solution inside in a mist-humidifying manner, so that it can be used for nutrient solution hydroponics.

따라서, 종합해보면 상기 용기부(400)는, 상기 재배부(200)의 상기 식물과 관상어류를 함께 길러 수확하는 아쿠아포닉스(Aquaponics) 및 양액수경재배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in summary, the container unit 400 allows selective use of either aquaponics or nutrient solution hydroponics in which the plants and ornamental fish of the cultivation unit 200 are grown and harvested together. .

또한,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상단부에는 순환팬(421), 연결홀(422) 및 제어부(91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circulation fan 421, a connection hole 422, and a control unit 910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상기 순환팬(421)은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상단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 공기를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는 팬이 설치된다.The circulation fan 421 is installed at the upper edge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and a fan is installed inside to introduce air inside the first body unit 110 into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do.

상기 연결홀(422)은 상기 배관(310)과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422)은 바람직하게 상기 배관(310)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31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The connection hole 42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to be connected to the pipe 310. The connection hole 422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310 so that it can be press-fitted into the pipe 310 .

상기 제어부(910)는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어부(910)는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상단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910)는 상기 센서부(600)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조명부(500)의 조도를 조절하고, 상기 송풍부(700) 및 상기 온도조절부(8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920)는 상기 제 1본체부(110)의 내부로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910 is installed to be recessed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That is, the control unit 910 does not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but is formed inside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The control unit 910 can control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500 and the operation of the blower unit 700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800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600. there i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920 can control th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air quality necessary for plant growth inside the first body unit 110 .

또한, 상기 제어부(910)는 물론,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부(910)는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양액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기 히팅장치, 쿨러장치, 살균장치. 자외선장치 및 가습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920)는 양액농도 및 산성도를 조절하는 양액공급부 제어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910 as well as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can be controlled.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910 is provided to control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ed inside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the heating device, the cooler device, and the sterilization device. It can control ultraviolet light and humidifier. Accordingly, the controller 920 may perform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control step (S400) of adjusting the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and acidity.

상기 양액공급부 제어단계(S400)는,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910)는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양액농도 및 산성도가 기준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910)는 측정된 양액농도 및 산성도가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910)는 측정된 양액농도 및 산성도가 기준값 이상이라고 한다면,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온도를 증가시켜 양액농도 및 산성도를 기준범위에 속하도록 낮추게 하고, 반대로 측정된 양액농도 및 산성도가 기준값 이하라고 한다면, 상기 양액공급부(420)의 온도를 감소시켜 농도 및 산성도를 기준범위에 속하도록 높이게 할 수 있다.In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control step (S400), referring to FIG. 14, the control unit 910 determines whether the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and acidity are within a standard range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Next, the controller 91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and acidity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if the measured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and acidity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910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to lower the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and acidity to fall within the standard range, and conversely, the measured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and acidity If the acidity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temperature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0 may be reduce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and acidity to fall within the reference range.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식물 재배기
100 : 본체부
110 : 제 1본체부
111 : 선반
112 : 고정걸이
113 : 지지대
114 : 높이조절 홈
115 : 도어
120 : 제 2본체부
200 : 재배부
210 : 재배컵
211 : 관통구
220 : 재배포트
230 : 고정장치
300 : 분사부
310 : 배관
320 : 노즐
400 : 용기부
410 : 수조부
411 : 펌프
420 : 양액공급부
421 : 순환팬
422 : 연결홀
500 : 조명부
510 : 본체 조명
520 : 사이드 조명
600 : 센서부
700 : 송풍부
710 : 흡기구
720 : 배기구
800 ; 온도조절부
900 : 제어부
910 : 제어부
S100 : 온도조절부 제어단계
S200 : 조명부 제어단계
S300 : 송풍부 제어단계
S400 : 양액공급부 제어단계
10: plant grower
100: body part
110: first body part
111: shelf
112: fixed hanger
113: support
114: height adjustment groove
115: door
120: second body part
200: redistribution
210: cultivation cup
211: through hole
220: Redoport
230: fixture
300: injection part
310: piping
320: nozzle
400: container part
410: water tank
411: pump
420: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421: circulation fan
422: connection hole
500: lighting unit
510: body lighting
520: side light
600: sensor unit
700: blower
710: intake
720: exhaust
800; temperature control part
900: control unit
910: control unit
S100: Temperature controller control step
S200: lighting unit control step
S300: blower control step
S400: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control step

Claims (5)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단부를 제 1본체부, 하단부를 제 2본체부로 각각 구획되는 본체부;
상기 제 1본체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식물을 육성할 수 있는 배지를 수용하는 재배부;
상기 제 1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분사부; 및
상기 제 1본체부의 하단부에 안착되되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액체는 상기 분사부를 통하여, 상기 재배부를 향하도록 분사되고, 상기 재배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액체는 다시 상기 용기부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so that plants can be grown, and the body portion is divided into a first body portion at an upper end and a second body portion at a low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ultivation unit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unit and accommodating a medium capable of growing the plant;
a spray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and
A container part se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connected to the injection part, and containing a liquid therein;
The plant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accommodated inside the container unit is sprayed toward the cultivation unit through the spray unit, and the liquid falling from the cultivation unit is circulated in a manner that flows back into the container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내부에 수생식물과 관상어류를 서식시킬 수 있도록 물이 수용되는 수조부; 및
상기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part,
A water tank unit for accommodating water so that aquatic plants and ornamental fish can be inhabited therein;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plant; Plant cultivator comprising at least one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부는,
내부에 배지가 수용되는 복수 개의 재배컵;
상기 재배컵의 외주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 개의 재배포트; 및
상기 제 1본체부의 내측면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재배포트를 끼워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포트가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배컵이 설치되지 않는 상기 재배포트의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ultivation department,
A plurality of cultivation cups in which the medium is accommodated;
a plurality of redistribution ports each suppor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ltivation cup;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xing device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to insert and fix the redistribution port,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minimized by forming the cultivation port detachably from the fixing device and selectively removing the cultivation port in the case of the cultivation cup not instal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광합성이 이뤄지도록 상기 제 1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재배부를 향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재배부의 상방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본체 조명; 및
상기 제 1본체부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사이드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조명 및 사이드 조명은 상기 식물의 상태에 따라 적색, 청색 및 백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색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ing unit for generating light toward the cultivation unit in a stat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so that the photosynthesis of the plant takes place,
the lighting unit,
a main body light that is installed above the cultivation unit and emits l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ing; side lights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first body and radiating light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plant gr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lighting and the side lighting generate light in a color including at least one of red, blue and whit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lan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본체부 내부의 온도, 습도, 조도 및 공기질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제 1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
상기 제 2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본체부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조명부, 송풍부 및 온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하고, 상기 송풍부 및 온도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 1본체부의 내부로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온도, 습도, 조도, 공기질, 양액농도 및 산성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According to claim 4,
a sensor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to sens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air quality inside the first body unit;
a blow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unit to blow internal air;
a temperature control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unit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irst body unit;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the blowing unit,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unit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o obtain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ir quality,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and acidity required for plant growth into the first body. A plant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n be adjusted.
KR1020210125501A 2021-09-23 2021-09-23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2300428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501A KR20230042809A (en) 2021-09-23 2021-09-23 Plant Cultiv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501A KR20230042809A (en) 2021-09-23 2021-09-23 Plant Cultiv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809A true KR20230042809A (en) 2023-03-30

Family

ID=8598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501A KR20230042809A (en) 2021-09-23 2021-09-23 Plant Cultiv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280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75Y1 (en) 2016-06-24 2017-12-14 김필주 Apparatus For Breeding Pla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75Y1 (en) 2016-06-24 2017-12-14 김필주 Apparatus For Breeding Pl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715B2 (en) Vertical planter
KR101422636B1 (en) A hydroponics culture apparatus
CN100407896C (en) Apparatus for culturing seedling
CN204540246U (en) Plant cultivation facility
CN203788814U (en) Multilayer shelf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s and plant cultivating system
US20180359946A1 (en) Apparatus for growing vegetables, mushrooms, ornamental plants and the like
KR101424058B1 (en) Industrial hydroponic system for ginseng
WO2002100162A2 (en) Plant growing system
KR20120094769A (en) Plant growing system
KR200476709Y1 (en) Water culture apparatus
KR102444052B1 (en) Medicinal crop sprout vegetable regeneration multi-stage material system
JP2011055738A (en) Plant cultivation rack
KR20200002432A (en)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KR101582388B1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20110051934A (en) A plant culturing unit using led
KR20130127652A (en) Exchange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cultivation module
KR20180096115A (en) Hydroponics Device Combined Domestic Aquarium
KR102175322B1 (en) Plant Culturing Device for Controlling Growth Temperature of Self Ntritive Circulating Type
KR200309893Y1 (en) water culture
KR20230042809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140107020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of fishbowl
KR100290730B1 (en) Growing system of an orchid
KR20110051917A (en) A plant culturing unit having a ventilating device
KR200357431Y1 (en) Vegatation Cultivating Equipment for Home Use
KR101260430B1 (en)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