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294A - 자동차 변속기용 윤활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변속기용 윤활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294A
KR20230042294A KR1020237003923A KR20237003923A KR20230042294A KR 20230042294 A KR20230042294 A KR 20230042294A KR 1020237003923 A KR1020237003923 A KR 1020237003923A KR 20237003923 A KR20237003923 A KR 20237003923A KR 20230042294 A KR20230042294 A KR 20230042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ubricant composition
sulfur
additives
phospho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굴벤 부뷔에흐
하킴 엘-바히
Original Assignee
토탈에너지스 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탈에너지스 원테크 filed Critical 토탈에너지스 원테크
Publication of KR20230042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29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 C10M137/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
    • C10M137/04Phosphate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10M135/32Heterocycl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 C10M135/36Heterocycl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 ring containing sulfur and carbon with nitrogen o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 C10M137/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
    • C10M137/04Phosphate esters
    • C10M137/10Thio derivatives
    • C10M137/105Thio derivatives not containing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1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phosphorus-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5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 C10M153/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nd a non-macromolecular compound,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10M169/04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the additives being a mixture of non-macromolecular an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003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in the ring
    • C10M2219/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in the ring containing sulfur and carbon with nitrogen or oxygen in the ring
    • C10M2219/106Thi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10M2223/047Thioderivatives not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5/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4Molecular weight;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40Low content or no content compositions
    • C10N2030/43Sulfur free or low sulfur cont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활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를 포함하고:
[화학식 1]
Figure pct00006

여기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및 Y-OH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Y는 C2-C40 알킬렌, C2-C40 알킬 락톤 기; -R7-N(R8)-R9- 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7,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C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로부터 선택되고; m은 2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인 윤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변속기용 윤활제 조성물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및 보다 특히 자동차의 변속기(transmission) 부품, 특히 내연 기관 또는 전기 모터의 변속기의 기어 장치(gearing)의 윤활을 위한, 윤활제 조성물 분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변속기 부품은 중부하(heavy load) 및 고속 하에 작동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속기용 오일은 마모 및 피로에 대하여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및 특히 스폴링(spalling) 현상에 대하여 기어 톱니(teeth)를 보호하기 위하여, 특히 우수한 성능을 가져야 한다.
스폴링은 가시적인 열화에 선행하는 긴 노화 시간 후 일어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상기 현상은 표면 아래 특정 깊이에서 균열의 개시로 시작하며, 이러한 균열은 전파되고 표면 상에 정상적인 균열이 일어날 때 물질 부분의 갑작스러운 폴-오프(fall-off)가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방지는 부품의 적절한 기하 구조에 의한 접촉 응력 감소, 및 접착 방지를 위한 마찰 감소를 필요로 한다. 윤활제 조성물은 주로 그 안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물리 화학적 반응성을 통하여 이러한 방지 공정에 참여한다.
일반적으로, 첨가는 변속기 오일에 스폴링에 대한 보호 특성을 부여하는 황-, 인-, 또는 붕소-함유 내마모(antiwear) 및 극압(extreme pressure) 첨가제로 이루어진다. 윤활제 조성물 내 함유되는 기타 첨가제들 또한 부품 내부 균열 전파, 및 따라서 스폴링 현상에 대하여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의 사용 기간 내내, 변속기 부품 내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열화되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수동 또는 자동 변속기의 부품, 특히 내연 기관 또는 전기 모터의 변속기의 기어 장치를 윤활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내구성을 가진다.
문헌 WO 2010/126760은 베이스 오일(base oil), 및 두 개의 히드록시 작용기가 4 내지 100 탄소 원자 사슬에 의하여 분리되는 디올과 산 또는 인 에스테르의 축합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인 에스테르 타입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을 기재한다.
문헌 WO 2016/089565는 베이스 오일, 및 적어도 두 개의 디올과 산 또는 인 에스테르의 축합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포스파이트 에스테르 조성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을 기재한다.
이러한 두 개의 문헌은 관내하력(load-carrying capacity)의 특성에 관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여기서: where :
-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기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및 Y-OH;
- Y는 하기 기들 중에서 선택되고: C2-C40 알킬렌, C2-C40 알킬 락톤, -R7-N(R8)-R9-, 여기서, R7,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중에서 선택되고;
- m은 2 내지 100의 정수이고,
-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폴리머는 30000 g/mol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20000 g/mol 분자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10 중량%를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서,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9150 중량 pp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00 중량 ppm의 인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인 내마모성 첨가제, 황 내마모성 첨가제,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 인-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황-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마모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의 인 내마모성 첨가제, 황 내마모성 첨가제,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 인-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황-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내마모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윤활제는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00 중량 ppm의 황,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00 중량 ppm의 황,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0 중량 ppm의 황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 70 내지 99 중량%의 하나 이상의 베이스 오일, 및
- 0.01 내지 10 중량%의 포스파이트 폴리머,
- 선택적으로 0.01 내지 5 중량%의 내마모성 첨가제(들)로서, 인 내마모성 첨가제, 황 내마모성 첨가제,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 인-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황-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내마모성 첨가제(들),
- 선택적으로 1 내지 30 중량%의 하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점도 지수 개선 첨가제, 항산화 첨가제, 소포 첨가제, 분산제, 세제, 점도 조절 첨가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윤활제 조성물의 관내하력을 개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서의 포스파이트 폴리머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포스파이트 중합체는 화학식 (I)에 해당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2
여기서:
-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기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및 Y-OH;
- Y는 하기 기들 중에서 선택되고: C2-C40 알킬렌, C2-C40 알킬 락톤, -R7-N(R8)-R9-, 여기서, R7,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중에서 선택되고;
- m은 2 내지 100의 정수이고,
-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변속기 부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기어 장치 내 포함되는,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기계 부품을 윤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특히 중부하 하에 및 고속 하에 사용될 때, 스폴링 현상을 감소시키는 매우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진다.
이하, 표현 "... 내지 ...", "...로부터 ...의 범위" 및 "...로부터 ...로 변하는"은 동등하며 달리 기재하지 않는 한 경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달리 기재하지 않는 한, 생성물의 양은 그 생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중량으로 표현된다.
본 발명은
-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
-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에 해당하는 포스파이트 폴리머,
-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내마모성 첨가제
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포스파이트 폴리머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에 부합하는 포스파이트 폴리머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3
여기서:
-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다음 기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및 Y-OH (말단기로서 작용함);
- Y는 다음 기들 중에서 선택되고: C2-C40 알킬렌, C2-C40 알킬 락톤, -R7-N(R8)-R9-, 여기서, R7,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중에서 선택되고,
- m은 2 내지 100의 정수이고,
-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임.
본 발명의 의미에서, "알킬"은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비-고리형 포화 탄화수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은 탄소 원자 및 수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알케닐"은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비-고리형 불포화 탄화수소 사슬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케닐은 탄소 원자 및 수소 원자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시클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알킬 또는 알케닐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가지는 포화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기를 의미하며, 상기 고리(들)은 그 자체가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알킬은 탄소 원자 및 수소 원자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시클로알케닐"은 하나 이상의 알킬 또는 알케닐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가지는 불포화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기를 의미하며, 상기 고리(들)은 그 자체가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와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알케닐은 탄소 원자 및 수소 원자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Ci-Cj기"는 i 내지 j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기이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Y 기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렌 중에서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m은 4 내지 100의 범위이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30000 g/mol 미만,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20000 g/mol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10000 g/mol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 g/mol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진다. 수 평균 분자량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1 내지 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의 범위의 다분산 지수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화학식 (I) 내 포스파이트 폴리머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 심지어 0.7 중량% 미만의 (알킬)페놀기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알킬)페놀 기와 상이한 방향족 기가 완전히 없다.
전형적으로,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액체 형태이다.
일 구현예에서,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포스파이트 폴리머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범위의 인 함량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문헌 WO2011102861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특히, 폴리머는 이 문헌의 문단 27 내지 32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화학식 (I)의 폴리머의 합성은 일반적으로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알킬 또는 아릴 포스파이트)가 포화 또는 불포화 알코올,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 및 디올 또는 디올 폴리머 H(OY)mOH, 여기서, m 및 Y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2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5 ℃의 온도에서 적합한 염기성 촉매를 이용하여 반응될 수 있는 에스테르 교환을 의미한다. 포화 또는 불포화 알코올의 비-제한적인 예 중에서, 데실, 이소데실, 라우릴, 트리데실, 이소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올레산 알코올, 모노히드록실화 글리콜 에테르를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상기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포스파이트 폴리머(들)를 포함한다.
베이스 오일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베이스 오일을, 바람직하게는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베이스 오일은 미네랄, 합성 또는 천연 동물성 또는 식물성유,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윤활유 분야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베이스 오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여러 베이스 오일의 혼합물, 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4개의 베이스 오일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윤활제 조성물의 베이스 오일은 특히 API 분류에 의하여 정의된 그룹들 중 그룹 I 내지 V (또는 AITEL 분류에서 그 등가물)에 속하는 미네랄 또는 합성 기원의 오일일 수 있고, 하기 표 1에 제공되며, 또는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포화 함량 황 함량 점도 지수(VI)
그룹 I
미네랄 오일
< 90 % > 0.03 % 80 ≤ VI < 120
그룹 II
수첨분해된 오일
≥90 % ≤0.03 % 80 ≤ VI < 120
그룹 III
수첨분해 또는 수소이성화된 오일
≥90 % ≤0.03 % ≥120
그룹 IV 폴리알파올레핀(PAOs)
그룹 V 에테르 및 그룹 I 내지 IV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베이스
미네랄 베이스 오일은 원유(crude oil)의 대기 또는 진공 증류 후, 용매 추출, 탈아스팔트(deasphalting), 용매 탈랍(dewaxing), 수소처리(hydrotreatment), 수첨분해(hydrocracking), 수소이성질화(hydroisomerization), 및 하이드로피니싱(hydrofinishing)과 같은 정제 작업에 의하여 얻어지는 모든 유형의 베이스 오일들을 포함한다.
합성, 및 바이오 소스일 수 있는 미네랄유의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성물 형성을 위한 상이한 베이스 오일들은,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추진 시스템(propulsion systems) 내 사용에 맞는 점도, 점도 지수 또는 내산화성에 대한 특성을 가져야 한다는 사실을 제외하고, 그 사용에 대한 제한은 일반적으로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성물의 베이스 오일은 또한, 카르복시산 및 알코올의 일부 에스테르, 폴리알파올레핀(PAOs), 및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특히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렌 옥사이드의 중합 또는 공중합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알킬렌 글리콜(PAGs)과 같은, 합성유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베이스 오일로서 사용되는 PAOs는 예를 들어, 4 내지 3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모노머, 예를 들어 옥텐 또는 데센으로부터 얻어진다. PAO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AO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600 Da보다 낮다. PAO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또한 100 내지 600 Da, 150 내지 600 Da, 또는 200 내지 600 Da의 범위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의 베이스 오일 또는 오일들은 그룹 II 또는 그룹 III의 베이스 오일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의 베이스 오일 또는 오일들은 폴리알파올레핀(PAOs), 폴리알킬렌 글리콜(PAG), 및 카르복시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다.
내마모성 첨가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내마모성 첨가제는 인 내마모성 첨가제, 황 내마모성 첨가제,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첨가되는 내마모성 첨가제는 전형적으로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와 상이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인 내마모성 첨가제"는 적어도 하나의 인 원자를 포함하고 황을 포함하지 않는 내마모성 첨가제를 지칭하고, 인 내마모성 첨가제는 (탄소 및 수소 원자 외에)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는 "인-아민 내마모성 첨가제"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황 내마모성 첨가제"는 적어도 하나의 황 원자를 포함하고 인을 포함하지 않는 내마모성 첨가제를 지칭하며, 황 내마모성 첨가제는 (탄소 및 수소 원자 외에)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는 "황-아민 내마모성 첨가제"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는 적어도 하나의 인 원자 및 적어도 하나의 황 원자를 포함하는 내마모성 첨가제를 지칭하며,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는 (탄소 및 수소 원자 외에)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는 "황-인-아민 내마모성 첨가제"로 명명될 수 있다.
인 내마모성 첨가제 중, 포스페이트,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네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인산(phosphoric acid), 아인산(phosphorous acid), 포스폰산(phosphonic acid) 및 그의 모노-, 디- 및 트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포스포네이트, 및 그의 염, 예를 들어 아민 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는 (모노- 또는 디-) 티오포스페이트 및 티오포스파이트일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티오인산(thiophosphoric acid) 및 티오아인산(thiophosphorous acid), 이러한 산의 에스테르, 그의 염, 디티오포스파이트 및 디티오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의 예로서, 모노부틸티오포스페이트, 모노옥틸티오포스페이트, 모노라우릴티오포스페이트, 디부틸티오포스페이트, 디라우릴티오포스페이트, 트리부틸티오포스페이트, 트리옥틸티오포스페이트, 트리페닐티오포스페이트, 모노옥틸티오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티오포스파이트, 모노라우릴티오포스파이트, 모노부틸티오포스파이트, 디부틸티오포스파이트, 디라우릴티오포스파이트, 트리부틸티오포스파이트, 트리옥틸티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티오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티오포스파이트 및 그의 염을 언급할 수 있다.
티오인산 및 티오아인산의 에스테르 염의 예는 암모니아 또는 아민과 같은 질소-함유 화합물 또는 산화아연 또는 염화아연과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들이다.
특정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마모성 첨가제(들)는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 황-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의 내마모성 첨가제(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의 내마모성 첨가제(들)를 포함할 수 있다.
내마모성 첨가제의 양은 윤활제 조성물 내 5 내지 9150 중량 ppm의 인 함량을 얻도록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 내 인 함량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500 중량 ppm이다.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와 인, 황 또는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의 조합이 상기 조합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의 내구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추가적인 첨가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정의된 포스파이트 폴리머 및 내마모성 첨가제와 상이한 임의의 유형의 추가적인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자동차용 윤활제, 특히 자동차의 수동 또는 자동 변속기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자동차 윤활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이러한 첨가제는 세제, 분산제, 항산화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점도 지수 개선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제, 분산제, 항산화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점도 지수 개선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존재할 때, 이러한 추가적인 기능성 첨가제는 (함께)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중량%에 해당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Europe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ACEA) 및/또는 the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PI)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과 같은 성능 수준을 가지는, 자동차용 상업적 윤활제 제제 내, 단독으로 및/또는 이미 시판 중인 것들과 같은 혼합물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항산화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가동 중인 조성물의 분해를 지연시킨다. 이러한 분해는 특히 침전물(deposits)의 형성, 슬러지의 존재 또는 조성물의 점도 증가로서 해석될 수 있다.
항산화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라디칼 억제제 또는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분해제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중에서, 페놀계 유형 항산화제, 아민 유형 항산화제, 황 및 인을 함유하는 항산화제가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제제 중 일부, 예를 들어 황과 인을 포함하는 항산화제는 회분을 생성할 수 있다. 페놀계 항산화제 첨가제는 무-회분일 수 있고, 또는 중성 또는 염기성 금속염의 형태일 수 있다. 항산화 첨가제는 특히 입체 장애 페놀, 입체 장애 페놀 에스테르, 티오에테르 브릿지를 포함하는 입체 장애 페놀, 디페닐아민, 적어도 하나의 C1 내지 C12 알킬기로 치환된 디페닐아민, N,N'-디알킬-아릴- 디아민,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입체 장애 페놀은 알코올 작용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 탄소는 적어도 하나의 C1 내지 C10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6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tert-부틸기로 치환되는, 페놀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아민 화합물은 선택적으로 페놀계 항산화 첨가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부류의 항산화 첨가제를 형성한다. 아민 화합물의 예로는 방향족 아민, 예를 들어 화학식 NR10R11R12 을 가지는 방향족 아민이고, 여기서 R10이 선택적으로 치환된 지방족 기 또는 방향족 기이고, R11이 선택적으로 치환된 방향족 기이고, R12가 수소 원자, 알킬기, 아릴기 또는 화학식 R13S(O)zR14 의 기이고, 여기서 R13은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이고, R14는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기이고 z는 0, 1 또는 2이다.
황화된 알킬-페놀 또는 이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또한 항산화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항산화 첨가제의 또 다른 부류는 구리-함유 화합물, 예를 들어 구리 티오- 또는 디티오-포스페이트, 구리 및 카르복실산의 염,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설포네이트, 페네이트를 포함한다. 구리 I 및 II의 염, 숙신산 또는 무수물의 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유형의 항산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무-회분 항산화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세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산화 및 연소의 2차 생성물을 용해하여 금속 부분의 표면 상에 침전물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세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세제 첨가제는 긴 친유성 탄화수소 사슬 및 친수성 헤드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화합물일 수 있다. 관련 양이온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양이온일 수 있다.
세제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산의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설포네이트(sulfonates), 살리실레이트(salicylates), 나프테네이트(naphthenates) 및 페네이트(phenates) 염 중에서 선택된다.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은 바람직하게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또는 바륨이다.
이러한 금속염은 일반적으로 금속을 화학량론적양 또는 과량, 즉 화학량론적 함량보다 큰 양으로 포함한다. 이어서 이는 과염기화(overbased) 세제 첨가제이고; 세제 첨가제에 과염기화 성질을 부여하는 과량의 금속은 이어서 일반적으로 오일-불용성 금속염, 예를 들어, 카보네이트(carbonate), 히드록사이드(hydroxide), 옥살레이트(oxalate), 아세테이트(acetate), 글루타메이트(glutamate), 바람직하게는 카보네이트 형태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윤활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4 중량%의 세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분산제는 윤활제 조성물이 사용 중일 때 형성되는 산화의 2차 생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체 불용성 오염물의 배출, 및 현탁액 유지를 허용할 것이다.
분산제는 만니히(Mannich) 염기 또는 폴리이소부틸렌 숙신이미드 (PIBSIs)와 같은 숙신이미드 유형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의 분산제(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포제는 실리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 또는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 또는 0.1 내지 2 중량%의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동점 강하제(pour point depressant additive (PPD))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핀 결정의 형성을 느리게 함으로써, 유동점 강하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저온 특성(cold properties)을 개선한다. 유동점 강하 첨가제의 예로서, 알킬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릴아미드, 폴리알킬페놀, 폴리알킬나프탈렌, 알킬화 폴리스티렌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점도 지수를 개선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점도 지수 개선 첨가제(VI 개선제)를 포함할 수 있다. VI 개선제의 예로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텐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언급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첨가제는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의 1 내지 25 중량%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윤활제 조성물의 제제에 대하여, 포스파이트 폴리머, 및 선택적으로 내마모성 및 극압 첨가제가 베이스 오일 또는 베이스 오일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고, 이어서 기타 추가적인 첨가제들이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포스파이트 폴리머, 및 선택적으로 내마모성 및 극압 첨가제가, 특히 하나 이상의 베이스 오일 및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형적인 이미 존재하는 윤활제 제제에 첨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포스파이트 폴리머, 및 선택적으로 내마모성 및 극압 첨가제는, 포함된다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첨가제와 조합되고, 이렇게 형성된 첨가제들의 "패키지"를 베이스 오일 또는 베이스 오일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5 내지 300 mm2/s, 특히 10 내지 25 mm2/s 범위의 ASTM D445에 따라 40 ℃에서 측정된 동점도(kinematic viscosity)를 가진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1 내지 20 mm2/s, 특히 2 내지 15 mm2/s 범위의 ASTM D445에 따라 100 ℃에서 측정된 동점도를 가진다.
특정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 또는 심지어 하기로 이루어진다:
- 베이스 오일 또는 베이스 오일 혼합물;
- 화학식 (I)에 해당하는 포스파이트 폴리머;
- 선택적으로 황-인 및/또는 황-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 선택적으로 점도 지수 개질제, 세제, 분산제, 항산화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첨가제.
특정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 또는 심지어 하기로 이루어진다:
- 적어도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중량%의 베이스 오일;
- 0.05 내지 10 중량%, 특히 0.1 내지 7 중량%, 더 특히 1 내지 5 중량%의 화학식 (I)에 해당하는 포스파이트 폴리머(들);
- 0.05 내지 10 중량%, 특히 0.1 내지 7 중량%, 보다 특히 1 내지 5 중량%의 황-인 및/또는 황-아민 내마모성 첨가제(들);
- 선택적으로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의 하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점도 지수 개질제, 세제, 분산제, 항산화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9150 중량 ppm의 인,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00 중량 ppm의 인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00 중량 ppm의 황,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00 중량 ppm의 황,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0 중량 ppm의 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포스파이트 중합체를 사용하여 상기 윤활제 조성물의 관내하력을 개선시키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대상은 자동차 변속기(transmissions), 특히 변속기의 기어(gear)를 윤활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의 용도이다. 변속기는 수동 또는 자동 변속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자동차 변속기의 기계적 부품, 특히 자동차의 기어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변속기 기어 장치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자동차 변속기의 기계적 부품의 스폴링, 특히 자동차 내 기어의 스폴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유리한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은 자동차 변속기의 기계적 부품, 특히 자동차의 기어의 마모 감소 및 스폴링 감소 모두를 위하여 사용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나아가, 자동차 변속기의 적어도 일 부분, 특히 자동차의 기어 장치를 윤활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법은 적어도 부분을 앞서 기재한 것과 같은 윤활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나아가 윤활제 조성물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포스파이트 폴리머를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는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된 내마모성 첨가제와 혼합된다.
본 발명의 윤활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대하여 기재된 모든 특징 및 선호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별한, 유리하거나 바람직한 특징들은 또한 특별한, 유리하거나 바람직한 본 발명의 용도의 정의를 허용한다.
본 발명은 이제 예시 목적으로 명백히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기재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윤활제 조성물의 제조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성분들을 약 40℃의 온도에서 혼합함으로써 윤활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및 시험된 윤활제 조성물을 하기 표 2에 상세히 기재한다.
인 및 황의 원소 함량을 그 성분들의 원소 조성의 함수로서 계산하였으며, 표 2에 중량 ppm으로 기재한다.
마지막으로, 40℃ 및 100℃에서 동점도를 ASTM D445 방법에 따라 결정하였으며 표 2에 기재한다.
CC1 CI1 CI2 CI3 CI4
베이스 오일 97.97% 97.75% 97.65% 97.65 97.05%
포스파이트 폴리머 0.5% 0.5% 0.5% 0.5%
인 내마모제 0.28%
황-인 내마모제 0.1% 0.1%
황-아민 내마모제 0.1% 0.1%
분산제 0.5%
항산화제 1% 1% 1% 1% 1%
내부식제 0.1% 0.1% 0.1% 0.1% 0.1%
세제 0.1% 0.1% 0.1% 0.1% 0.1%
첨가제 패키지 0.55% 0.55% 0.55% 0.55% 0.55%
총 (중량%) 100% 100% 100% 100% 100%
P 함량 (ppm) 227 225 318 225 318
S 함량 (ppm) 15 15 213 315 513
KV40 (mm²/s) 18.59 18.86 18.84 18.86 19.31
KV100 (mm²/s) 4.145 4.215 4.186 4.204 4.267
표 2의 조성물에서:
- 베이스 오일은 그룹 III 베이스 오일이고,
-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화학식 (I)에 해당하고, 4.50 중량%의 인을 포함하고 황을 포함하지 않으며, 약 1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약 3000 g/mol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이는 예를 들어, 문헌 WO 2011/102861의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얻어질 수 있고,
- 인 내마모제는 tert-부틸페닐 포스페이트 (화학식 (I)에 해당하지 않음)이고, 8.10중량%의 인을 포함하고, 황을 포함하지 않으며,
- 황-인 내마모제는 포스포로티오네이트 유형이고, 9.30 중량%의 인과 19.80 중량%의 황을 포함하고,
- 황-아민 내마모제는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형이고 30 중량%의 황 및 4.04 중량%의 질소를 포함하고,
- 분산제는 3.20 중량%의 질소를 포함하고, 붕소, 황 및 인을 포함하지 않는 PIBSI 분산제이고,
- 항산화제는 알킬화 디페닐아민 항산화제이고,
- 내부식제는 톨리트리아진이며,
- 세제는 과염기화 칼슘 설포네이트 세제이고,
- 첨가제 패키지는 유동점 개선제 및 소포제를 함유한다.
실시예 2: 윤활제 조성물의 성능에 대한 연구
FZG A/8,3/90 방법 (표준 ISO 14635-1에 따름)으로 표 2에 설명된 윤활제 조성물의 스커핑(scuffing) 관내하력을 시험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주어진다.
CC1 CI1 CI2 CI3 CI4
FZG 5 7 14 11 >14
이소-인(iso-phosphorus) 함량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C11은 조성물 CC1보다 우수한 관내하력을 나타낸다.
조성물 CI2, CI3 및 CI4는 매우 우수한 관내하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관내하력은 특히 변속기에 사용하기 위한 윤활제 조성물의 매우 우수한 내구성을 보여준다.

Claims (10)

  1. 윤활제 조성물로서,
    -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base oil),
    -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포스파이트 폴리머
    를 포함하고:
    [화학식 1]
    Figure pct00004

    여기서,
    -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및 Y-OH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 Y는 C2-C40 알킬렌, C2-C40 알킬 락톤, -R7-N(R8)-R9-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R7,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중에서 선택되고;
    - m은 2 내지 100의 정수이고,
    -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인, 윤활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폴리머는 30000 g/mol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2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윤활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상기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 내지 10 중량%에 해당하는, 윤활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9150 중량 pp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00 중량 ppm의 인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 내마모성 첨가제, 황 내마모성 첨가제,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 인-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황-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마모성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1 내지 5 중량%의, 인 내마모성 첨가제, 황 내마모성 첨가제,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 인-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황-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내마모성 첨가제(들)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00 중량ppm의 황,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00 중량ppm의 황,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0 중량ppm의 황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 70 내지 99 중량%의 하나 이상의 베이스 오일, 및
    - 0.01 내지 10 중량%의 포스파이트 폴리머,
    - 선택적으로, 0.01 내지 5 중량%의 내마모성 첨가제(들)로서, 인 내마모성 첨가제, 황 내마모성 첨가제, 황-인 내마모성 첨가제, 인-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황-아민 내마모성 첨가제,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내마모성 첨가제(들)
    - 선택적으로, 1 내지 30 중량%의 하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점도 지수 개선 첨가제, 항산화 첨가제, 소포 첨가제, 분산제, 세제, 점도 조절 첨가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
    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9. 윤활제 조성물의 관내하력을 개선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오일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 내의 포스파이트 폴리머의 용도로서,
    상기 포스파이트 폴리머는 화학식 (I)에 해당하고:
    [화학식 1]
    Figure pct00005

    여기서,
    -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및 Y-OH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말단기로서 작용함);
    - Y는 C2-C40 알킬렌, C2-C40 알킬 락톤, -R7-N(R8)-R9-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R7,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 C3-C22 알케닐, C6-C40 시클로알킬, C7-C40 시클로알케닐, C1-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중에서 선택되고;
    - m은 2 내지 100의 정수이고,
    -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인, 용도.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로서,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변속기 부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기어 장치 내 포함되는,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기계 부품을 윤활하기 위한, 용도.
KR1020237003923A 2020-07-22 2021-07-19 자동차 변속기용 윤활제 조성물 KR20230042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007723A FR3112793B1 (fr) 2020-07-22 2020-07-22 Composition lubrifiante pour transmission automobile.
FR2007723 2020-07-22
PCT/EP2021/070072 WO2022017999A1 (fr) 2020-07-22 2021-07-19 Composition lubrifiante pour transmission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294A true KR20230042294A (ko) 2023-03-28

Family

ID=7303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923A KR20230042294A (ko) 2020-07-22 2021-07-19 자동차 변속기용 윤활제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87290A1 (ko)
EP (1) EP4185674A1 (ko)
JP (1) JP2023534530A (ko)
KR (1) KR20230042294A (ko)
CN (1) CN116171316A (ko)
FR (1) FR3112793B1 (ko)
MX (1) MX2023000841A (ko)
WO (1) WO20220179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057A (en) * 1983-08-31 1985-07-30 Mobil Oil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reaction product of a vicinal diol and a dihydrocarbyl phosphite
EP2424963B1 (en) * 2009-04-30 2018-10-10 The Lubrizol Corporation A method of lubricating a drivetrain component with a lubricant comprising polymeric phosphorus esters
WO2011102861A1 (en) 2010-02-19 2011-08-25 Dover Chemical Corporation Alkylphenol free - liquid polymeric phosphite polymer stabilizers
US10793802B2 (en) * 2014-11-12 2020-10-06 The Lubrizol Corporation Mixed phosphorus esters for lubricant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7290A1 (en) 2023-09-14
MX2023000841A (es) 2023-04-18
CN116171316A (zh) 2023-05-26
FR3112793A1 (fr) 2022-01-28
FR3112793B1 (fr) 2023-04-28
JP2023534530A (ja) 2023-08-09
EP4185674A1 (fr) 2023-05-31
WO2022017999A1 (fr)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9736B2 (en) Low viscosity, high abrasion resistance engine oil composition
JP5922449B2 (ja) 潤滑油組成物
US9574156B2 (en) Lubricant composition
WO2014129032A1 (ja) 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KR102372804B1 (ko)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윤활 조성물
EP2481790A1 (en) Lubricant composition and continuously-variable transmission
WO2015122525A1 (ja) 潤滑油組成物
JPH09132790A (ja) ギヤ油組成物
KR101545742B1 (ko) 마찰 안정성이 개선된 붕소-함유 윤활유
KR102336568B1 (ko)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윤활 조성물
US11820958B2 (en) Use of a diester to improve the anti-wear properties of a lubricant composition
JP2019123818A (ja) 潤滑油組成物
KR20230042294A (ko) 자동차 변속기용 윤활제 조성물
US11499115B2 (en) Lubricant composition
KR20230042293A (ko) 산화-안정성 자동차 변속기용 윤활제 조성물
KR20230042288A (ko) 개선된 내부식 특성을 가지는 자동차 변속기용 윤활제 조성물
EP4202023B1 (en) Mixed fleet capable lubricating compositions
JP5403970B2 (ja) ガスエンジン用潤滑油組成物
CA3237045A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WO2023089427A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for electric vehicles
CA3234926A1 (en) High efficiency engine oil compositions
US20230332067A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JP2023165448A (ja) 潤滑油組成物、潤滑方法及び変速機
JP2021080339A (ja) 潤滑油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