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201A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201A
KR20230042201A KR1020227027777A KR20227027777A KR20230042201A KR 20230042201 A KR20230042201 A KR 20230042201A KR 1020227027777 A KR1020227027777 A KR 1020227027777A KR 20227027777 A KR20227027777 A KR 20227027777A KR 20230042201 A KR20230042201 A KR 2023004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memory
user
infotain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박형빈
홍일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4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4Updates using techniques specially adapted for alterable solid state memories, e.g. for EEPROM or flash mem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06F9/4451User profiles; Roa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포함되고, 제1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며,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메모리는 사용자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본 명세서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식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사용되는 원동기의 종류에 따라,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터빈(gas turbine)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인포메이션(information)과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의 통합 시스템으로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차에서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와 정보(information)의 통합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고용량화 되는 추세를 고려할 때, 최신 프로세서와 최신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USB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교체하지 못하므로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교체할 수 있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교체하는 경우 기존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데이터가 소실되는 문제점 역시 발생한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손쉽게 성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장치를 교체하더라도 기존 사용자 경험 기반의 데이터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기존 사용자 경험 기반의 데이터들을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보관하고 송수신하기 위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교체되지 않는 메모리를 복수의 파티션으로 분할하여 사용하여, 보다 장기간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포함되고, 제1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며,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메모리는 사용자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저장 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제3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3 디바이스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3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앱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메모리는 복수의 파티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파티션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파티션은 상기 제1 데이터를 번갈아가며 저장하는 제1 파티션 및 제2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앱 리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앱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제3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제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에 장착된 제2 디바이스를 제3 디바이스로 교체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화 데이터를 포함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장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결합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백업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하여 무결점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가 무결점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가 무결점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메모리는 복수의 파티션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파티션은 상기 제1 데이터를 번갈아가며 저장하는 제1 파티션 및 제2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앱 데이터 또는 앱 리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 리스트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앱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제3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제3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손쉽게 성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장치를 교체하더라도 기존 사용자 경험 기반의 데이터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기존 사용자 경험 기반의 데이터들을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보관하고 송수신하기 위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교체되지 않는 메모리를 복수의 파티션으로 분할하여 사용하여, 보다 장기간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빈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시나리오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는 본 명세서의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제1 메모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을 개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행
(1) 차량 외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도로나 선로 위를 주행하는 수송 수단으로 정의된다. 차량(10)은, 자동차, 기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차량(10)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차량(10)은 개인이 소유한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은, 공유형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2) 차량의 구성 요소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운전 조작 장치(230), 메인 ECU(240), 구동 제어 장치(250), 자율 주행 장치(260), 센싱부(270) 및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운전 조작 장치(230), 메인 ECU(240), 구동 제어 장치(250), 자율 주행 장치(260), 센싱부(270) 및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각각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상호간에 전기적 신호를 교환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사용자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2) 오브젝트 검출 장치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차량(1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차량(10)과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카메라, 레이다, 라이다,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는, 센서에서 생성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차량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2.1) 카메라
카메라는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는, 다양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또는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획득된 영상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핀홀(pin hole) 모델, 노면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획득된 스테레오 영상에서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는, 차량 외부를 촬영하기 위해 차량에서 FOV(field of view) 확보가 가능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2.2) 레이다
레이다는 전파를 이용하여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다는, 전자파 송신부, 전자파 수신부 및 전자파 송신부 및 전자파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다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다(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다(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다는 연속파 레이다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다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다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2.3)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차량(1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다는, 광 송신부, 광 수신부 및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3) 통신 장치
통신 장치(220)는, 차량(10) 외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장치(220)는, 인프라(예를 들면, 서버, 방송국), 타 차량,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장치(22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220)는,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기술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V2X 통신은 PC5 인터페이스 및/또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을 새로운 RAT(new radio access technology) 또는 NR(new radio)이라 칭할 수 있다. NR에서도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5G NR은 LTE-A의 후속 기술로서, 고성능, 저지연, 고가용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Clean-slate 형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5G NR은 1GHz 미만의 저주파 대역에서부터 1GHz~10GHz의 중간 주파 대역, 24GHz 이상의 고주파(밀리미터파) 대역 등 사용 가능한 모든 스펙트럼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LTE-A 또는 5G NR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C-V2X(Cellular V2X) 기술을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V2X 기술은 LTE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 및/또는 NR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IEEE 802.11p PHY/MAC 계층 기술과 IEEE 1609 Network/Transport 계층 기술 기반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기술 또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표준을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DSRC (또는 WAVE 표준) 기술은 차량 탑재 장치 간 혹은 노변 장치와 차량 탑재 장치 간의 단거리 전용 통신을 통해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통신 규격이다. DSRC 기술은 5.9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고, 3Mbps~27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IEEE 802.11p 기술은 IEEE 1609 기술과 결합되어 DSRC 기술 (혹은 WAVE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C-V2X 기술 또는 DSRC 기술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C-V2X 기술 및 DSRC 기술을 하이브리드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4) 운전 조작 장치
운전 조작 장치(23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은, 운전 조작 장치(23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230)는, 조향 입력 장치(예를 들면, 스티어링 휠), 가속 입력 장치(예를 들면,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예를 들면, 브레이크 페달)를 포함할 수 있다.
5) 메인 ECU
메인 ECU(240)는, 차량(1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6) 구동 제어 장치
구동 제어 장치(250)는, 차량(10)내 각종 차량 구동 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구동 제어 장치(250)는, 파워 트레인 구동 제어 장치, 샤시 구동 제어 장치, 도어/윈도우 구동 제어 장치, 안전 장치 구동 제어 장치, 램프 구동 제어 장치 및 공조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 제어 장치는, 동력원 구동 제어 장치 및 변속기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샤시 구동 제어 장치는, 조향 구동 제어 장치, 브레이크 구동 제어 장치 및 서스펜션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전 장치 구동 제어 장치는, 안전 벨트 제어를 위한 안전 벨트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 장치(25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적 제어 장치(예를 들면, 제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한다.
구종 제어 장치(250)는, 자율 주행 장치(26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250)는, 자율 주행 장치(26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 트레인, 조향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7) 자율 주행 장치
자율 주행 장치(260)는,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위한 패스를 생성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생성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기 위한 드라이빙 플랜을 생성 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드라이빙 플랜에 따른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생성된 신호를 구동 제어 장치(250)에 제공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적어도 하나의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ADAS는,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ACC : Adaptive Cruise Control), 자동 비상 제동 시스템(AEB :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전방 충돌 알림 시스템(FCW : Foward Collision Warning),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KA : Lane Keeping Assist), 차선 변경 보조 시스템(LCA : Lane Change Assist), 타겟 추종 보조 시스템(TFA : Target Following Assist), 사각 지대 감시 시스템(BSD : Blind Spot Detection), 적응형 하이빔 제어 시스템(HBA : High Beam Assist), 자동 주차 시스템(APS : Auto Parking System), 보행자 충돌 알림 시스템(PD collision warning system), 교통 신호 검출 시스템(TSR : Traffic Sign Recognition), 교통 신호 보조 시스템(TSA : Trafffic Sign Assist), 나이트 비전 시스템(NV : Night Vision),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DSM : Driver Status Monitoring) 및 교통 정체 지원 시스템(TJA : Traffic Jam Assis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자율 주행 모드에서 수동 주행 모드로의 전환 동작 또는 수동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의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장치(2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에서 수동 주행 모드로 전환하거나 수동 주행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8) 센싱부
센싱부(27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스티어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페달 포지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상태 데이터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센싱부(270)는, 차량 자세 데이터, 차량 모션 데이터, 차량 요(yaw) 데이터, 차량 롤(roll) 데이터, 차량 피치(pitch) 데이터, 차량 충돌 데이터, 차량 방향 데이터, 차량 각도 데이터, 차량 속도 데이터, 차량 가속도 데이터, 차량 기울기 데이터, 차량 전진/후진 데이터, 차량의 중량 데이터, 배터리 데이터, 연료 데이터, 타이어 공기압 데이터, 차량 내부 온도 데이터, 차량 내부 습도 데이터,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데이터, 차량 외부 조도 데이터,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데이터,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데이터 등을 생성할 수 있다.
9)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차량(1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GPS 및 DG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센싱부(270)의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및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의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로 명명될 수 있다.
차량(10)은, 내부 통신 시스템(5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자 장치는 내부 통신 시스템(50)을 매개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신호에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내부 통신 시스템(50)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CAN, LIN, FlexRay, MOST, 이더넷)을 이용할 수 있다.
(3) 자율 주행 장치의 구성 요소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율 주행 장치(260)는, 메모리(140), 프로세서(170), 인터페이스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자율 주행 장치(26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하위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1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8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운전 조작 장치(230), 메인 ECU(240), 구동 제어 장치(250), 센싱부(270) 및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80)는, 통신 모듈, 단자, 핀, 케이블, 포트, 회로, 소자 및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자율 주행 장치(2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10)에 포함된 파워 소스(예를 들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율 주행 장치(260)의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메인 ECU(24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 인터페이스부(280), 전원 공급부(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원 공급부(19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고,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차량(10) 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차량(10) 내 다른 전자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260)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 인터페이스부(180), 전원 공급부(190) 및 프로세서(170)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4) 자율 주행 장치의 동작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신호 흐름도이다.
1) 수신 동작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 통신 장치(220), 센싱부(270) 및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로부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통신 장치(220)로부터, HD 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센싱부(270)로부터, 차량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위치 데이터 생성 장치(280)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2) 처리/판단 동작
프로세서(170)는, 처리/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데이터, HD 맵 데이터, 차량 상태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처리/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1) 드라이빙 플랜 데이터 생성 동작
프로세서(170)는, 드라이빙 플랜 데이터(driving plan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데이터(Electronic Horizon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데이터는, 차량(10)이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호라이즌(horizon)까지 범위 내에서의 드라이빙 플랜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호라이즌은, 기 설정된 주행 경로를 기준으로, 차량(10)이 위치한 지점에서 기설정된 거리 앞의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호라이즌은, 기 설정된 주행 경로를 따라 차량(10)이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차량(10)이 소정 시간 이후에 도달할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데이터는, 호라이즌 맵 데이터 및 호라이즌 패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2.1.1) 호라이즌 맵 데이터
호라이즌 맵 데이터는, 토폴로지 데이터(topology data), 도로 데이터, HD 맵 데이터 및 다이나믹 데이터(dynamic dat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호라이즌 맵 데이터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라이즌 맵 데이터는, 토폴로지 데이터에 매칭되는 1 레이어, 도로 데이터에 매칭되는 제2 레이어, HD 맵 데이터에 매칭되는 제3 레이어 및 다이나믹 데이터에 매칭되는 제4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호라이즌 맵 데이터는, 스태이틱 오브젝트(static object)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폴로지 데이터는, 도로 중심을 연결해 만든 지도로 설명될 수 있다. 토폴로지 데이터는, 차량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표시하기에 알맞으며, 주로 운전자를 위한 내비게이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형태일 수 있다. 토폴로지 데이터는, 차로에 대한 정보가 제외된 도로 정보에 대한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토폴로지 데이터는, 통신 장치(220)를 통해, 외부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토폴로지 데이터는, 차량(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도로 데이터는, 도로의 경사 데이터, 도로의 곡률 데이터, 도로의 제한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로 데이터는, 추월 금지 구간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로 데이터는, 통신 장치(220)를 통해, 외부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도로 데이터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에서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HD 맵 데이터는, 도로의 상세한 차선 단위의 토폴로지 정보, 각 차선의 연결 정보, 차량의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을 위한 특징 정보(예를 들면, 교통 표지판, Lane Marking/속성, Road furniture 등)를 포함할 수 있다. HD 맵 데이터는, 통신 장치(220)를 통해, 외부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다이나믹 데이터는, 도로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동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나믹 데이터는, 공사 정보, 가변 속도 차로 정보, 노면 상태 정보, 트래픽 정보, 무빙 오브젝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나믹 데이터는, 통신 장치(220)를 통해, 외부 서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다이나믹 데이터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210)에서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10)이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호라이즌까지 범위 내에서의 맵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2.1.2) 호라이즌 패스 데이터
호라이즌 패스 데이터는, 차량(10)이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호라이즌까지의 범위 내에서 차량(10)이 취할 수 있는 궤도로 설명될 수 있다. 호라이즌 패스 데이터는, 디시전 포인트(decision point)(예를 들면, 갈림길, 분기점, 교차로 등)에서 어느 하나의 도로를 선택할 상대 확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 확률은, 최종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시전 포인트에서, 제1 도로를 선택하는 경우 제2 도로를 선택하는 경우보다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더 작은 경우, 제1 도로를 선택할 확률은 제2 도로를 선택할 확률보다 더 높게 계산될 수 있다.
호라이즌 패스 데이터는, 메인 패스와 서브 패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패스는, 선택될 상대적 확률이 높은 도로들을 연결한 궤도로 이해될 수 있다. 서브 패스는, 메인 패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디시전 포인트에서 분기될 수 있다. 서브 패스는, 메인 패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디시전 포인트에서 선택될 상대적 확률이 낮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로를 연결한 궤도로 이해될 수 있다.
3) 제어 신호 생성 동작
프로세서(170)는, 제어 신호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일렉트로닉 호라이즌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워트레인 제어 신호, 브라이크 장치 제어 신호 및 스티어링 장치 제어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구동 제어 장치(250)에 전송할 수 있다. 구동 제어 장치(250)는, 파워 트레인(251), 브레이크 장치(252) 및 스티어링 장치(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캐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빈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1) 캐빈의 구성 요소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캐빈 시스템(300)(이하, 캐빈 시스템)은 차량(10)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편의 시스템으로 정의될 수 있다. 캐빈 시스템(300)은, 디스플레이 시스템(350), 카고 시스템(355), 시트 시스템(360) 및 페이 먼트 시스템(365)을 포함하는 최상위 시스템으로 설명될 수 있다. 캐빈 시스템(300)은, 메인 컨트롤러(370), 메모리(340), 인터페이스부(380), 전원 공급부(390), 입력 장치(310), 영상 장치(320), 통신 장치(330), 디스플레이 시스템(350), 카고 시스템(355), 시트 시스템(360) 및 페이먼트 시스템(36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캐빈 시스템(3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1) 메인 컨트롤러
메인 컨트롤러(370)는, 입력 장치(310), 통신 장치(330), 디스플레이 시스템(350), 카고 시스템(355), 시트 시스템(360) 및 페이먼트 시스템(36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는, 입력 장치(310), 통신 장치(330), 디스플레이 시스템(350), 카고 시스템(355), 시트 시스템(360) 및 페이먼트 시스템(365)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370)는, 복수의 서브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컨트롤러는 각각이, 그루핑된 캐빈 시스템(300)에 포함된 장치 및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캐빈 시스템(300)에 포함된 장치 및 시스템은, 기능별로 그루핑되거나, 착좌 가능한 시트를 기준으로 그루핑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7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메인 컨트롤러(370)가 하나의 프로세서(371)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나, 메인 컨트롤러(371)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71)는, 상술한 서브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71)는, 통신 장치(3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캐빈 시스템(300)에 신호,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71)는, 영상 장치에 포함된 내부 카메라 및 외부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71)는, 영상 데이터에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71)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와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는, 사용자의 경로 정보, 신체 정보, 동승자 정보, 짐 정보, 위치 정보, 선호하는 컨텐츠 정보, 선호하는 음식 정보, 장애 여부 정보 및 이용 이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는, 인공지능 에이전트(artificial intelligence agent)(372)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에이전트(372)는, 입력 장치(310)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인공지능 에이전트(372)는, 기계 학습된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350), 카고 시스템(355), 시트 시스템(360) 및 페이먼트 시스템(3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2) 필수 구성 요소
메모리(340)는, 메인 컨트롤러(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3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메인 컨트롤러(37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메인 컨트롤러(3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캐빈 시스템(3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메인 컨트롤러(37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80)는, 차량(1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80)는, 통신 모듈, 단자, 핀, 케이블, 포트, 회로, 소자 및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캐빈 시스템(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차량(10)에 포함된 파워 소스(예를 들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캐빈 시스템(300)의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메인 컨트롤러(37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공급부(390)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캐빈 시스템(30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 메모리(340), 인터페이스부(380) 및 전원 공급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3) 입력 장치
입력 장치(3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310)는, 사용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입력 장치(310)에 의해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 신호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 시스템(350), 카고 시스템(355), 시트 시스템(360) 및 페이먼트 시스템(3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 또는 캐빈 시스템(3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입력 장치(31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장치(310)는, 터치 입력부, 제스쳐 입력부, 기계식 입력부 및 음성 입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캐빈 시스템(3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는, 기계식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물리적인 입력(예를 들면, 누름 또는 회전)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스쳐 입력부와 기계식 입력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장치(310)는, 제스쳐 센서가 포함되고, 주변 구조물(예를 들면, 시트, 암레스트 및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분에서 출납 가능하게 형성된 조그 다이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 장치가 주변 구조물과 평평한 상태를 이룬 경우, 조그 다이얼 장치는 제스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 장치가 주변 구조물에 비해 돌출된 상태의 경우, 조그 다이얼 장치는 기계식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는, 빔 포밍 마이크(Beam foaming MIC)를 포함할 수 있다.
4) 영상 장치
영상 장치(32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장치(320)는, 내부 카메라 및 외부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는, 캐빈 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외부 카메라는, 차량 외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는, 캐빈 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장치(320)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장치(320)는, 탑승 가능 인원에 대응되는 갯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장치(320)는, 내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 또는 캐빈 시스템(3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내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검출하고, 검출된 모션에 기초하여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350), 카고 시스템(355), 시트 시스템(360) 및 페이먼트 시스템(3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카메라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장치(3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장치(320)는, 탑승 도어에 대응되는 갯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장치(320)는, 외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 또는 캐빈 시스템(3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 또는 캐빈 시스템(3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정보(예를 들면, 신장 정보, 체중 정보 등), 사용자의 동승자 정보, 사용자의 짐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5) 통신 장치
통신 장치(330)는,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장치(33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하거나, 직접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서버, 이동 단말기 및 타 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3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장치(33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330)는,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통신 장치(330)는, 이동 단말기와의 거리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C-V2X(Cellular V2X) 기술을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V2X 기술은 LTE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 및/또는 NR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IEEE 802.11p PHY/MAC 계층 기술과 IEEE 1609 Network/Transport 계층 기술 기반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기술 또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표준을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DSRC (또는 WAVE 표준) 기술은 차량 탑재 장치 간 혹은 노변 장치와 차량 탑재 장치 간의 단거리 전용 통신을 통해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통신 규격이다. DSRC 기술은 5.9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고, 3Mbps~27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IEEE 802.11p 기술은 IEEE 1609 기술과 결합되어 DSRC 기술 (혹은 WAVE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C-V2X 기술 또는 DSRC 기술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C-V2X 기술 및 DSRC 기술을 하이브리드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6)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은,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은, 공용으로 이용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와 개별 이용 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 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6.1) 공용 디스플레이 장치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는, 시각적 컨텐츠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411)는, 평면 디스플레이. 곡면 디스플레이,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는, 시트 후방에 위치하고, 캐빈 내로 출납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디스플레이(411)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4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메카니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411)는, 시트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슬롯에 출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는, 플렉서블 영역 조절 메카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의 플렉서블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는, 캐빈내 천장에 위치하고, 롤러블(rollable)하게 형성된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감거나 풀기 위한 제2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는, 양면에 화면 출력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는, 캐빈내 천장에 위치하고, 플렉서블(flexible)하게 형성된 제3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를 휘거나 펴기위한 제3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메인 컨트롤러(370), 입력 장치(310), 영상 장치(320) 및 통신 장치(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은, 제1 영역(411a) 및 제2 영역(4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411a)은, 컨텐츠를 표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영역(411)은,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예를 들면, 영화, 스포츠, 쇼핑, 음악 등), 화상 회의, 음식 메뉴 및 증강 현실 화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역(411a)은, 차량(10)의 주행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주행 상황 정보는,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차량(30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차량(300)과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자세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기울기 정보, 차량의 중량 정보, 차량의 방향 정보, 차량의 배터리 정보, 차량의 연료 정보,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 차량의 스티어링 정보, 차량 실내 온도 정보, 차량 실내 습도 정보, 페달 포지션 정보 및 차량 엔진 온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411b)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영역(411b)은, 인공 지능 에이전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영역(411b)은, 시트 프레임으로 구분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시트 사이로 제2 영역(411b)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바라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는,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410)는, 복수의 사용자별로 홀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여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만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게 할 수 있다.
6.2)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
제2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개개의 탑승자만 디스플레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디스플레이(421)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421)은, 시트의 암 레스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탑승 가능 인원에 대응되는 갯수의 디스플레이(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시트 조정 또는 실내 온도 조정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7) 카고 시스템
카고 시스템(355)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카고 시스템(355)은, 입력 장치(310) 또는 통신 장치(330)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카고 시스템(355)은, 카고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카고 박스는, 상품들이 적재된 상태로 시트 하단의 일 부분에 은닉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전기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카고 박스는, 캐빈으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출된 카고 박스에 적재된 물품 중 필요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카고 시스템(355)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카고 박스의 노출을 위해, 슬라이딩 무빙 메카니즘, 상품 팝업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카고 시스템은(355)은,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카고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카고 박스에는, 상품별로 제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게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8) 시트 시스템
시트 시스템(360)은, 사용자에 맞춤형 시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트 시스템(360)은, 입력 장치(310) 또는 통신 장치(330)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시트 시스템(360)은, 획득된 사용자 신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조정할 수 있다. 시트 시스템(360)은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 센서(예를 들면,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시스템(360)은,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착좌할 수 있는 복수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시트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다른 하나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캐빈 내부의 적어도 두명의 사용자는 서로 마주보고 앉을 수 있다.
9) 페이먼트 시스템
페이먼트 시스템(365)은, 결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페이먼트 시스템(365)은, 입력 장치(310) 또는 통신 장치(330)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페이먼트 시스템(365)은, 사용자가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가격을 산정하고, 산정된 가격이 지불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2) 자율 주행 차량 이용 시나리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시나리오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1) 목적지 예측 시나리오
제1 시나리오(S111)는, 사용자의 목적지 예측 시나리오이다. 사용자 단말기는 캐빈 시스템(300)과 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컨텍스트추얼 정보(user's contextual information)를 기초로, 사용자의 목적지를 예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캐빈 내의 빈자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 캐빈 인테리어 레이아웃 준비 시나리오
제2 시나리오(S112)는, 캐빈 인테리어 레이아웃 준비 시나리오이다. 캐빈 시스템(300)은, 차량(300)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스캐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캐닝 장치는, 사용자를 스캐닝하여,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 및 수하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 및 수하물 데이터는, 레이아웃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는, 사용자 인증에 이용될 수 있다. 스캐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가시광 대역 또는 적외선 대역의 광을 이용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시트 시스템(360)은,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 및 수하물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캐빈 내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 시스템(360)은, 수하물 적재 공간 또는 카시트 설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3) 사용자 환영 시나리오
제3 시나리오(S113)는, 사용자 환영 시나리오이다. 캐빈 시스템(300)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라이트는, 캐빈 내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캐빈 시스템(300)은, 사용자의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시트 중 기 설정된 시트에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가이드 라이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컨트롤러(370)는, 오픈된 도어에서부터 기 설정된 사용자 시트까지 시간에 따른 복수의 광원에 대한 순차 점등을 통해, 무빙 라이트를 구현할 수 있다.
4) 시트 조절 서비스 시나리오
제4 시나리오(S114)는, 시트 조절 서비스 시나리오이다. 시트 시스템(360)은, 획득된 신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매칭되는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조절할 수 있다.
5) 개인 컨텐츠 제공 시나리오
제5 시나리오(S115)는, 개인 컨텐츠 제공 시나리오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은, 입력 장치(310) 또는 통신 장치(330)를 통해, 사용자 개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은, 사용자 개인 데이터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6) 상품 제공 시나리오
제6 시나리오(S116)는, 상품 제공 시나리오이다. 카고 시스템(355)은, 입력 장치(310) 또는 통신 장치(330)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의 선호도 데이터 및 사용자의 목적지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고 시스템(355)은,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7) 페이먼트 시나리오
제7 시나리오(S117)는, 페이먼트 시나리오이다. 페이먼트 시스템(365)은, 입력 장치(310), 통신 장치(330) 및 카고 시스템(3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가격 산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페이먼트 시스템(365)은,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차량 이용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 페이먼트 시스템(365)은, 산정된 가격으로 사용자(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요금 지불을 요청할 수 있다.
8)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 시나리오
제8 시나리오(S118)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 시나리오이다. 입력 장치(31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은,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9) AI 에이전트 시나리오
제9 시나리오(S119)는,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멀티 채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에이전트 시나리오이다. 인공 지능 에이전트(372)는, 복수의 사용자 별로 사용자 입력을 구분할 수 있다. 인공 지능 에이전트(372)는, 복수의 사용자 개별 사용자 입력이 전환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350), 카고 시스템(355), 시트 시스템(360) 및 페이먼트 시스템(3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10) 복수 사용자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나리오
제10 시나리오(S120)는, 복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나리오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은, 모든 사용자가 함께 시청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은, 시트별로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동일한 사운드를 복수의 사용자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은, 복수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 시스템(350)는, 시트별로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개별적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11) 사용자 안전 확보 시나리오
제11 시나리오(S121)는, 사용자 안전 확보 시나리오이다. 사용자에게 위협이되는 차량 주변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메인 컨트롤러(37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을 통해, 차량 주변 오브젝트에 대한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2) 소지품 분실 예방 시나리오
제12 시나리오(S122)는, 사용자의 소지품 분실 예방 시나리오이다. 메인 컨트롤러(370)는, 입력 장치(310)를 통해, 사용자의 소지품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는, 입력 장치(310)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는, 소지품에 대한 데이터 및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소지품을 두고 하차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37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350)을 통해, 소지품에 관한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3) 하차 리포트 시나리오
제13 시나리오(S123)는, 하차 리포트 시나리오이다. 메인 컨트롤러(370)는, 입력 장치(310)를 통해, 사용자의 하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하차 이후, 메인 컨트롤러(370)는, 통신 장치(33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하차에 따른 리포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리포트 데이터는, 차량(10) 전체 이용 요금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이하,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탈착 방식으로 구성의 교체가 가능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메모리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시스템 상에 설치되어, SoC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SoC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연산을 수행하고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주로, 중앙 연산 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그래픽스 처리 장치(GPU)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CPU, AP 또는 GPU는 그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CPU, AP 또는 GPU는 작동 전압과 클락 신호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다만, CPU 또는 AP는 직렬 처리에 최적화된 몇 개의 코어로 구성된 반면, GPU는 병렬 처리용으로 설계된 수 천 개의 보다 소형이고 효율적인 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10)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50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500)은 제1 디바이스(510), 인터페이스부(520) 및 제2 디바이스(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500)은 제3 디바이스(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530)와 제3 디바이스(540)는 서로 교체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510)는 제1 메모리(511) 및 제1 SoC(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510)는 차량(10)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차량(10)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500)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510)는 차량(10) 자체이거나 차량(10)에 포함되어 있어 쉽게 교체되지 못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530)는 제2 메모리(531) 및 제2 SoC(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530)는 탈착 방식으로 교체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530)는 차량(10)에서 제거되고, 제3 디바이스(540)가 차량(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510)와 제2 디바이스(530) 또는 제3 디바이스(54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540)는 제3 메모리(541) 및 제3 Soc(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540)의 성능은 제2 디바이스(530)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Soc(542)의 클럭이 제2 SoC(532)의 클럭보다 높거나 제3 메모리(541)의 용량이 제2 메모리(531)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530)를 제3 디바이스(540)로 교체하여 차량(10)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500)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는 업그레이드 경우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의 교체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20)는 제1 디바이스(510)와 다른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인터페이스부(520)는 제1 디바이스(510)와 다른 디바이스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보다 효율적인 송수신을 위하여 다양한 규격의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의 송수신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500)은 암호화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500)은 다양한 암호화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화 데이터 등은 보안이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510) 및 다른 디바이스들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암호화 과정을 통하여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프로파일이 제2 디바이스(530)에 입력되면, 제2 디바이스(530)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암호화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530)는 자체 OS에 포함된 암호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암호화하고, 제2 메모리(53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530)는 차량(10) 또는 제1 디바이스(510)에 포함된 암호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암호화하고 제2 메모리(531)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프로파일이 암호화되어 제2 메모리(531)에 저장되면, 제2 메모리(531)에 저장된 암호화된 파일은 암호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호화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530)의 제2 SoC(532)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제1 디바이스(510)에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다시 암호화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사용되는 암호화 방법은 난수를 활용한 암호화 방법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화 데이터는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530) 또는 제2 디바이스(5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510)는 상기 난수에 대한 복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510)는 자체 OS에 포함된 암호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복호화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암호화하고, 제1 메모리(51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위 예시들은 제2 디바이스(530)를 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위 예시들은 제3 디바이스(540)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위 예시들은 제2 디바이스(530)에서 제1 디바이스(510)로 데이터를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위 예시들은 반대로 제1 디바이스(510)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명세서의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제2 디바이스(530) 및 제3 디바이스(540)는 각각 제2 연결부(52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522)는 차량(10) 또는 제1 디바이스(510)와 연결된 제1 연결부(5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520)는 제1 연결부(522) 및 제2 연결부(5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522)는 제1 디바이스(510)와 연결되고, 제2 연결부(523)는 제2 디바이스(530) 및/또는 제3 디바이스(54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522)와 제2 연결부(523)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530)와 제3 디바이스(540)는 제1 디바이스(510)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54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제3 디바이스(540)의 제3 메모리(541)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530)에 A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A 어플리케이션을 차량(10)의 사용자가 사용함으로써 사용자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제1 데이터는 제1 디바이스(510)에 전송되고, 제1 디바이스(5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제2 디바이스(530)는 제3 디바이스(540)와 교체될 수 있다. 교체된 제3 디바이스(540)는 제1 디바이스(510)로부터 사용자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540)는 수신된 제1 데이터의 사용자화 데이터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54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제1 데이터를 기초로 실행되므로, 제2 디바이스(530)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던 설정 등의 앱 데이터 뿐만 아니라, 사용자 정보 등의 사용자화 데이터들을 그대로 불러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530)에서 사용하던 사용자 경험을 제3 디바이스(540)에서도 느낄 수 있다. 앱 데이터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생성된 데이터로서, 사용자화 데이터의 일종일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실행시에 사용한 파일들을 메모리에 임시로 백업해둘 수 있고, 제2 실행시 임시로 백업해둔 파일들을 다시 불러옴으로써 보다 빠른 실행이 가능할 수 있다. 앱 데이터는 일종의 캐시(cache) 메모리에 저장되었던 데이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2 디바이스(530)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 또는 사용자 프로파일 역시 제3 디바이스(540)에서 불러올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540)의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로그인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로그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차량(10)에 포함되고 제1 메모리(511)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510), 제1 디바이스(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1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며, 제2 메모리(531)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530) 및 제1 디바이스(510)와 제2 디바이스(5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511)는 사용자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디바이스(530)는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2 메모리(531)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제2 디바이스(530)의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2 메모리(531)에 저장되고, 제1 메모리(511)의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제2 디바이스(530)은 제3 디바이스(540)으로 교체될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540)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3 메모리(541)에 저장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540)의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제1 메모리(511)의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540)는 제1 데이터를 제1 메모리(511)에서 바로 불러들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제3 디바이스(540)는 제1 데이터를 제3 메모리(541)로 불러들여 저장하고, 제3 메모리(541)에 저장된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따르면, 제2 디바이스(530) 또는 제3 디바이스(540)는 제2 연결부(523)와 연결되며, 제2 연결부(523)는 다양한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523)는 삽입 단자 형식으로 제1 연결부(522)에 삽입(insert)되거나, 접촉 단자 형식으로 제1 연결부(522)에 접촉(attach)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제1 메모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제1 메모리(511)는 시스템 영역(511a)과 할당 영역(511b)으로 나뉠 수 있다. 다만, 해당 도면에 따른 영역들은 물리적인 분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메모리 셀(cell)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메모리(511)는 사용자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시스템 영역(511a)은 커널 파티션, 루프 파일 시스템 파티션 및 데이터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시스템 영역(511a)은 시스템(500) 동작과 관련된 메모리 셀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패키지)이 설치되더라도 시스템 영역(511a)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변경되지 않는다. 커널 파티션은 커널이 저장된 영역이고, 루프 파일 시스템 파티션은 시스템에 대한 루프 파일이 저장된 영역이며, 데이터 파티션은 시스템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일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제1 메모리(511)는 복수의 파티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특히, 할당 영역(511b)은 복수의 파티션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파티션에는 사용자화 데이터 및 앱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화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화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록, 사용자의 성향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화 데이터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의하여 생성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앱 리스트는 제2 디바이스(5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나열한 리스트일 수 있다. 앱 리스트는 제2 디바이스(530)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을 나열한 리스트일 수 있다. 앱 리스트는 제3 디바이스(54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54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과 전송받은 앱 리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540)는 앱 리스트에는 존재하나 현재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받거나 전달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외부 서버일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제1 데이터 영역(511b1)은 제1 파티션 내지 제4 파티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파티션의 개수는 하나의 예시이며,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1 파티션은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제1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영역(511b1)에 포함된 복수의 파티션에 번갈아가며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를 제1 파티션에 저장한 경우, 그 다음 디바이스에 대한 제1 데이터는 제2 파티션에 저장할 수 있다. 그 다음의 제1 데이터는 제3 파티션에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파티션들을 번갈아가면서 사용함으로써 메모리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데이터가 번갈아가면서 복수의 파티션에 저장되는 경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암호화 저장 방법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도 12에 따르면, 할당 영역(511b)은 앱 패키지 영역(511b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앱 패키지 영역(511b2)은 APK 파일로 대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메모리 영역일 수 있다. 이처럼, 앱 패키지 영역(511b2)과 제1 데이터 영역(511b1)을 분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메모리 활용이 가능하며, 메모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차량에 포함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제1 디바이스(510)의 관점에서 서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 중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은 편의상 생략되어 설명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업그레이드 방법은, 제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10)에 장착된 제2 디바이스를 제3 디바이스로 교체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업그레이드 방법은, 제2 디바이스(53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100), 수신된 제1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510)의 제1 메모리(511)에 저장하는 단계(S1200), 제2 디바이스(530)에 대한 장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1300), 제3 디바이스(540)에 대한 결합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1400) 및 제3 디바이스(540)에 대하여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해제 메시지는 제2 디바이스(530)가 인터페이스부(520) 또는 제1 디바이스(510)와 연결(또는 장착)되었다가 연결(또는 장착)이 해제되었음이 감지된 경우 생성되는 메시지(또는 시그널)일 수 있다. 장착 해제 메시지는 인터페이스부(520)로부터 제1 디바이스(5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장착 해제 메시지는 제1 디바이스(510)에 전송될 수 있다.
결합 메시지는 제2 디바이스(530) 또는 제3 디바이스(540)가 인터페이스부(520) 또는 제1 디바이스(510)에 연결되었음이 감지된 경우 생성되는 메시지(또는 시그널(일 수 있다. 결합 메시지는 인터페이스부(520)로부터 제1 디바이스(5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결합 메시지는 제3 디바이스(540)로부터 제1 디바이스(510)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결합 메시지는 제1 디바이스(51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3 디바이스(540)는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므로 이하 생략한다.
또한, 제1 메모리(511)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1 메모리(511)는 복수의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데이터는 복수의 파티션에 번갈아가며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므로 이하 생략한다.
또한, 제1 데이터는 제2 디바이스(530)로부터 수신한 앱 데이터 또는 앱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앱 리스트 정보는 제2 디바이스(530)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므로 이하 생략한다.
또한,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제2 디바이스(530) 및/또는 제3 디바이스(540)에 대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이때, 암호화 저장 및 암호화 송수신에 대한 내용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제3 디바이스(540)는 앱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제3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을 기초로 제3 어플리케이션을 제3 메모리(541)에 설치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제3 어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에는 설치되었으나 제3 디바이스(540)에는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제2 디바이스(53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100)는, 제1 데이터의 백업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S1110), 제1 데이터에 대하여 무결점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S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결점 검사 실행 결과, 제1 데이터가 무결점인 경우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30). 반대로, 무결점 검사 실행 결과, 제1 데이터가 무결점이 아닌 경우 제1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S1140). 제1 데이터 복구 후, 다시 제1 데이터에 대하여 무결점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S1120)로 돌아갈 수 있다. 이때, 백업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데이터를 제1 메모리(511)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5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수신된 제1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510)의 제1 메모리(511)에 저장하는 단계(S1200)는, 제1 데이터와 이전 백업 데이터에 대한 비교하는 단계(S1210), 제1 데이터와 백업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S12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수신된 제1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510)의 제1 메모리(511)에 저장하는 단계(S1200)는, 제1 데이터와 이전 백업 데이터에 대한 비교하는 단계(S1210), 제1 데이터와 백업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1 데이터를 저장할 파티션이 이전 백업 이벤트에서 사용한 파티션과 동일한지를 체크하는 단계(S1220), 체크결과 양 파티션이 동일한 경우 다음 파티션을 할당하는 단계(S1231) 및 할당된 다음 파티션에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수신된 제1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510)의 제1 메모리(511)에 저장하는 단계(S1200)는, 체크결과 양 파티션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1 데이터의 무결점을 검사하는 단계(S1230) 및 제1 데이터가 무결점인 경우 제1 데이터를 제1 메모리(511)의 현재 파티션에 저장하는 단계(S1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제3 디바이스(540)에 대하여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1500)는, 제3 디바이스(540)의 OS 종류를 체크하는 단계(S1510), 체크 결과 제2 디바이스(530)의 OS와 제3 디바이스(540)의 OS가 동일한 OS인 경우, 제1 데이터를 제3 디바이스(540)로 전송하는 단계(S1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따르면, 체크 결과 제2 디바이스(530)의 OS와 제3 디바이스(540)의 OS가 동일하지 않은 OS인 경우, 앱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제3 디바이스(540)로 전송하는 단계(S15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OS가 서로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OS의 종류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530)의 OS가 안드로이드 계열의 OS이고 제3 디바이스(540)의 OS가 IOS인 경우 서로 다른 OS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530)의 OS가 안드로이드 계열의 A 버전이고, 제3 디바이스(540)의 OS가 안드로이드 계열의 B 버전인 경우는 버전의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OS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을 개괄한 도면이다.
도 17에 따르면, 제2 디바이스(530)는 인터페이스부(520)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하고(S101), 인터페이스부(520)는 제1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510)로 전송할 수 있다(S102). 제2 디바이스(530)는 인터페이스부(520)로부터 장착 해제될 수 있고(S103), 제2 디바이스(530)는 인터페이스부(520)로 장착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며(S106), 인터페이스부(520)는 제1 디바이스(510)로 장착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07).
도 17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510)는 전송된 제1 데이터의 무결점 검사를 수행한 후(S104) 무결점의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105). 제3 디바이스(540)는 제2 디바이스(530)가 장착 해제된 인터페이스부(520)에 결합할 수 있고(S108), 제3 디바이스(540)는 인터페이스부(520)에 결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S109), 인터페이스부(520)는 제1 디바이스(510)에 결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0).
도 17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510)는 제3 디바이스(540)에 OS 확인 요청하고(S111), 제3 디바이스(540)는 제1 디바이스(510)에 OS 확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S112). 제1 디바이스(510)는 상기 응답을 기초로 제2 디바이스(530)의 OS와 제3 디바이스(540)의 OS가 서로 동일한 OS인지를 체크할 수 있고(S113), 양 OS가 서로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하면(S114), 제1 디바이스(510)는 제3 디바이스(540)에 앱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디바이스(540)는 앱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의 무결점을 검사하고 앱 리스트에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할 수 있다(S116). 그 결과, 제3 디바이스(540)는 앱 리스트에 없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에 요청하고,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7과 달리, 제2 디바이스(530)의 OS와 제3 디바이스(540)의 OS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510)는 제1 데이터를 제3 디바이스(5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체크섬(checksum)은 중복 검사의 한 형태로, 오류 정정을 통해, 공간(전자 통신)이나 시간(기억 장치) 속에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체크섬 데이터는 체크섬을 수행한 결과 생성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제2 디바이스(530)의 제2 메모리(531)는 데이터를 저장하고(S201), 데이터 저장 이벤트 발생을 제2 SoC(532)에 전송할 수 있다(S202). 제2 SoC(532)는 제2 메모리(531)로 저장영역 체크섬(checksum)을 요청할 수 있다(S203). 요청에 따라 제2 메모리(531)는 제2 SoC(532)로 체크섬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S204).
도 18에 따르면, 제2 SoC(532)는 제1 디바이스(510)의 제1 SoC(512)에 대하여 데이터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S205). 이 경우, 제1 SoC(512)는 제2 SoC(532)로 체크섬 데이터를 요청하고(S206), 그에 따라 제2 SoC(532)는 제1 SoC(512)로 체크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S207). 또한, 제1 SoC(512)는 제1 메모리(511)로 체크섬을 요청하고(S208), 제1 메모리(511)는 체크섬 결과를 제1 SoC(512)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8에 따르면, 제1 SoC(512)는 제2 디바이스(530)로부터 수신한 체크섬과 제1 메모리(511)로부터 수신한 체크섬을 비교하고(S210), 그 결과 체크섬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며(S211), 그에 따라 제1 SoC(512)는 제2 SoC(532)로 저장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212). 제2 SoC(532)는 제2 메모리(531)로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S213), 제2 메모리(531)는 제2 SoC(532)로 저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S214). 제2 SoC(532)는 제1 SoC(512)로 저장 데이터를 전달하고(S215), 제1 SoC(512)는 제1 메모리(511)로 저장 데이터를 전달하며(S216), 제1 메모리(511)는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217).
도 19는 본 명세서의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따르면, 제2 디바이스(530)는 제1 프로파일 모듈(533)을 더 포함하고, 제1 디바이스(510)는 전원부(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 모듈(533)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등록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부(513)는 모든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510) 또는 차량(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9에 따르면, 제1 프로파일 모듈(533)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S301), 제1 프로파일 모듈(533)은 제2 메모리(531)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전달하며(S302), 제2 메모리(531)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S203). 제2 메모리(531)는 새로운 사용자 프로파일이 저장됨을 제2 SoC(532)에 알릴 수 있고(S304), 제2 SoC(532)는 제2 메모리(531)로 저장영역 체크섬을 요청할 수 있다(S305). 제2 메모리(531)는 제2 SoC(532)로 체크섬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S306).
도 19에 따르면, 제2 SoC(532)는 제1 디바이스(510)의 제1 SoC(512)로 데이터 변경을 알리고(S307), 제1 SoC(512)는 제2 SoC(532)로 체크섬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308). 그에 따라 제2 SoC(532)는 제1 SoC(512)로 체크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고(S309), 제1 SoC(512)는 제1 메모리(511)로 체크섬을 요청하며(S310), 제1 메모리(511)는 제1 SoC(512)로 체크섬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S311).
도 19에 따르면, 제1 SoC(512)는 양 체크섬 결과를 비교하고(S312), 양 체크섬이 서로 다른지를 확인하며(S313), 서로 다르다면, 제1 SoC(512)는 제2 SoC(532)로 저장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314). 위 요청을 받은 제2 SoC(532)는 제2 메모리(531)로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고(S315), 제2 메모리(531)는 제2 SoC(532)로 저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S316). 그에 따라. 제2 SoC(532)는 제1 SoC(512)로 저장 데이터를 전달하고(S317), 제1 SoC(512)는 제1 메모리(511)로 저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S318), 제1 메모리(511)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319).
도 19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하여 차량(10)이 운행되고(S320), 운행 종료 후 전원이 오프(acc off)되면(S321), 전원부(513)는 제1 SoC(512)로 데이터 변경 금지를 요청하고(S322), 제1 SoC(512)는 진행중이던 데이터 프로세스를 홀딩하며(S323), 전원부(513)는 제1 SoC(512)에 전원 오프(off)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S324). 그 후, 전원부(513)는 최종적으로 차량(10) 전체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S325).
도 20은 본 명세서의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또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 따르면, 제3 디바이스(540)는 제2 프로파일 모듈(543) 및 앱 설치 모듈(5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로파일 모듈(543)은 제2 디바이스(530)이 제1 프로파일 모듈(533)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모듈일 수 있다. 다만, 제2 프로파일 모듈(543)은 사용자 프로파일 등의 사용자화 데이터를 사용자의 입력(input)으로부터 획득하지 않고, 제1 메모리(511)에 저장된 제1 데이터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앱 설치 모듈(544)은 APK 파일 등의 앱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도 20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530)를 제3 디바이스(540)로 교체하여 업그레이드하고(S401), 차량(10)의 시동을 켤 수 있다(S402). 제1 SoC(512)는 제3 Soc(542)로 업그레이드 버전을 요청할 수 있고(S403), 요청에 따라 제3 Soc(542)는 제1 SoC(512)로 버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404). 제1 SoC(512)는 버전 정보를 기초로 버전이 업그레이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405). 제1 SoC(512)는 제1 메모리(511)에 저장된 제1 데이터가 있음을 제3 Soc(542)에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S406), 제3 Soc(542)는 제3 메모리(541)에 데이터 저장 준비를 요청하고(S407), 제3 메모리(541)는 제3 Soc(542)에 데이터 저장 준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08).
도 20에 따르면, 제3 Soc(542)는 제1 SoC(512)로 제1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S409), 제1 SoC(512)는 제1 메모리(511)로 사용자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요청하고(S410), 제1 메모리(511)는 제1 SoC(512)로 제1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S411). 제1 SoC(512)는 제3 Soc(542)로 제1 데이터를 전달하고(S412), 제3 Soc(542)는 제3 메모리(541)로 제1 데이터를 전달하며(S413), 제3 메모리(541)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414). 제3 메모리(541)는 제3 Soc(542)로 제1 데이터 저장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S415), 제3 Soc(542)는 제2 프로파일 모듈(543)에 제1 데이터 업데이트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416). 제2 프로파일 모듈(543)은 제3 메모리(541)로 제1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417), 제3 메모리(541)는 제2 프로파일 모듈(543)로 제1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S418).
도 20에 따르면, 제2 프로파일 모듈(543)은 제3 Soc(542)에 제1 데이터 업데이트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S419), 제3 Soc(542)는 제3 메모리(541)로 앱 리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S420), 제3 메모리(541)는 제3 Soc(542)로 앱 리스트를 전달할 수 있다(S421). 제3 Soc(542)는 제1 SoC(512)로 앱 패키지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422), 제1 SoC(512)는 제1 메모리(511)로 앱 패키지 전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23). 제1 메모리(511)는 제1 SoC(512)로 앱 패키지를 전달할 수 있고(S424), 제1 SoC(512)는 제3 Soc(542)로 앱 패키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S425), 제3 Soc(542)는 앱 설치 모듈(544)에 앱 패키지를 전달할 수 있다(S426). 앱 설치 모듈(544)은 앱 패키지를 저장하고(S427), 앱 설치 모듈(544)은 제3 Soc(542)로 앱 패키지 저장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28). S422 내지 S428 과정은 일련의 루프 알고리즘으로서 앱 리스트의 앱 패키지를 다 설치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명세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포함되고, 제1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며,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메모리는 사용자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제3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3 디바이스로 교체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3 메모리에 저장된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앱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복수의 파티션으로 분할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티션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파티션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티션은,
    상기 제1 데이터를 번갈아가며 저장하는 제1 파티션 및 제2 파티션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앱 리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앱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제3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11. 제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에 장착된 제2 디바이스를 제3 디바이스로 교체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화 데이터를 포함한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장착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결합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백업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하여 무결점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가 무결점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가 무결점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복수의 파티션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티션은,
    상기 제1 데이터를 번갈아가며 저장하는 제1 파티션 및 제2 파티션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앱 데이터 또는 앱 리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 리스트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인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앱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제3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설치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상기 제3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것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방법.
KR1020227027777A 2020-08-04 2020-08-04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KR20230042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0256 WO2022030658A1 (ko) 2020-08-04 2020-08-04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201A true KR20230042201A (ko) 2023-03-28

Family

ID=8011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777A KR20230042201A (ko) 2020-08-04 2020-08-04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83828A1 (ko)
EP (1) EP4195034A4 (ko)
KR (1) KR20230042201A (ko)
WO (1) WO2022030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476A1 (ko) * 2022-09-29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7656A (en) * 2000-10-06 2002-04-10 Hewlett Packard Co Self-repairing operating system for computer entities
US20030140057A1 (en) * 2001-12-18 2003-07-24 Shawn Thomas Method and system for leased asset management
KR101952238B1 (ko) * 2011-12-27 2019-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309862A1 (en) *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User profile exchange via vehicle supported communications protocol
KR102400384B1 (ko) * 2015-06-26 2022-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장 메모리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47495B1 (ko) * 2015-08-31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9892006B (zh) * 2016-11-07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利用外置sim卡切换车载业务的方法及装置
KR102544475B1 (ko) * 2018-02-05 2023-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3828A1 (en) 2023-09-07
EP4195034A4 (en) 2024-04-03
WO2022030658A1 (ko) 2022-02-10
EP4195034A1 (en)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751B1 (ko) 차량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56800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100896A (ko)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US12060075B2 (en) Update of seamless container in vehicles system based on container
US11972268B2 (en) Activating new device based on container in vehicle
KR101887077B1 (ko) 차량용 전자 디바이스 해킹 테스트 장치
US11584397B2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EP413792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on display included in vehicle
KR20230042201A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EP4209401A1 (en) System for vehicle ar screen image, and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ar screen image service
KR102679338B1 (ko) 의류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42738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mov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210057575A (ko)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경로 제공 방법
KR20220061956A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11377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EP41777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EP4098151A1 (en) Seat for mobile device, seat control device, and seat control method
CN113165664B (zh) 设置于车辆的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20119640A (ko) 멀티 모달 입력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70875A (ko) 차량용 의류관리장치
US11795607B2 (en) Clothing management device for vehicle
US1207518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KR20190017549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WO2023171401A1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WO202225962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