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158A - A system that assists in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via human machine interface - Google Patents

A system that assists in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via human machine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158A
KR20230042158A KR1020210124512A KR20210124512A KR20230042158A KR 20230042158 A KR20230042158 A KR 20230042158A KR 1020210124512 A KR1020210124512 A KR 1020210124512A KR 20210124512 A KR20210124512 A KR 20210124512A KR 20230042158 A KR20230042158 A KR 2023004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chanical tractor
farmland
tractor
mecha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2504B1 (en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래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래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래블
Priority to KR102021012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504B1/en
Publication of KR2023004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1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3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occupant comf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B60K2370/11
    • B60K2370/17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5Agricultural vehicles
    • B60W2300/152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implemented using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The system comprises: a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through an HMI display, when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work while the HMI display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positioned in one area of the mechanical tractor; a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farmland information of a farmland in which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through the HMI display, when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the work, while the mechanical tractor and the HMI display are connected; a work data generating unit which generates work pattern data of the mechanical tractor by analyzing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when reception of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is completed, based on a pre-stored algorithm, and transmits the work pattern data to the HMI display; and a work progress unit which allows the mechanical tractor to drive autonomously by the HMI display, by requesting the HMI display to control the mechanical tractor through the received work pattern data, when the HMI display receives the work pattern data. Various other embodiments identified through the present document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s of labor shortage and agricultural labor costs can be solved.

Description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A SYSTEM THAT ASSISTS IN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VIA HUMAN MACHINE INTERFACE}A system that assists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through human machine interfaces

본 발명은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디스플레이가 기계식 트랙터과 연결되는 경우, HMI 디스플레이로부터 기계식 트랙터의 엔진 정보, 히치(hitch) 정보 및 농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엔진 정보, 히치(hitch) 정보 및 농지 정보를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분석해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HMI 디스플레이로 하여금 생성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식 트랙터를 자율 주행하도록 하여 농지에서 경작물을 수확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display is connected to a mechanical tractor, engine inform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from the HMI display, hitch ) receive information and farmland information, analyze the received engine information, hitch information, and farmland information based on pre-stored algorithms to create work pattern data of mechanical tractors, and generate work pattern data through the HMI display. Based on this, it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allows a mechanical tractor to autonomously drive to harvest crops in farmland.

트랙터(tractor)는 무거운 짐이나 농기계를 끄는 특수 자동차를 지칭하는 단어이다. 트랙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농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농촌 사회의 고령화로 인한 인력 감소, 기후 변화에 따른 수확량이 감소되면서 트랙터의 판매율이 급감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기계 업계에서는 트랙터의 판매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성비를 높인 경제형 트랙터를 대거 출시하고 있다. 다만, 경제형 트랙터의 경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기능이 제외되어,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기계 업계에서는 트랙터에 사용자의 편의를 보장하는"하이테크"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Tractor is a word that refers to a special vehicle that pulls heavy loads or agricultural machinery. Tractor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are mainly used in agriculture. However, the sales rate of tractors is rapidly declining due to the decrease in manpower due to the aging of rural communities and the decrease in yield due to climate change.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 sales rate of tractors, the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is releasing a large number of economical tractors with improved cost-effectiveness. However, in the case of an economic tractor, a function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is excluded,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operator.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is developing various technologies that combine "high-tech" technology that guarantees user convenience to tractors.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10-1339750(자율주행 트랙터)에는 트랙터의 자율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트랙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트랙터가 자율 주행 경로에 따라 주행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9750 (autonomous tractor) discloses a technology for generating an autonomous driving path for a tractor and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tractor in real time so that the tractor drives along the autonomous driving path.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에서는 단순하게 이미 만들어진 자율 주행 경로에 따라 트랙터를 주행하도록 하는 기술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트랙터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머신 러닝하여,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의 환경, 예를 들어, 지면의 경사도, 농지의 기후 변화와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트랙터를 자율 주행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only a technology for driving a tractor according to a previously created autonomous driving path is disclosed, and based on a pre-stored algorithm, machine learning is performed on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ractor to determine the farmland where the tractor is located. A technology for autonomously driving a tractor in consideration of factors such as the environment of the field, for example, the slope of the ground and the climate change of farmland, has not been disclosed, and the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solving this problem is emerging.

이에 본 발명은, HMI(human machine interface) 디스플레이가 기계식 트랙터과 연결되는 경우, HMI 디스플레이로부터 기계식 트랙터의 엔진 정보, 히치(hitch) 정보 및 농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엔진 정보, 히치(hitch) 정보 및 농지 정보를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분석해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HMI 디스플레이가 생성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식 트랙터가 농지의 환경을 고려해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기계식 트랙터가 자율적으로 농지의 환경에 적합한 작업을 수행해 작업자에게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display is connected to a mechanical tractor, engine information, hitch information, and farmland inform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are received from the HMI display, and the received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are received. and farmland information is analyzed based on pre-stored algorithms to generate work pattern data of the mechanical tractor, and based on the work pattern data generated by the HMI display, the mechanical tractor is controlled to autonomously drive in consideration of the farmland environment. Its purpose is to provide work convenience to workers by autonomously performing work suitable for the farmland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HMI(human machine interface)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일 영역에 위치한 연결 단자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엔진 정보 및 히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하는 동력 정보 수신부; 상기 기계식 트랙터와 상기 HMI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의 농지 정보를 수신하는 농지 정보 수신부;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는 경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해 상기 HMI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작업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HMI 디스플레이가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를 제어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HMI 디스플레이에 의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자율 주행되도록 하는 작업 진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Reception for receiving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through the HMI display when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working in a state in which a display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located in one area of the mechanical tractor a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a farmland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farmland information of a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through the HMI display when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working while the mechanical tractor and the HMI display are connected; When the reception of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is completed, based on a pre-stored algorithm,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are analyzed to generate work pattern data of the mechanical tractor a work data generating unit transmitting to the HMI display; and when the HMI display receives the work pattern data, requesting the HMI display to control the mechanical tractor through the received work pattern data so that the mechanical tractor autonomously drives by the HMI displa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엔진 정보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주행을 시작함에 따라,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계기판에 출력되는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로써,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엔진 회전 수 정보, 기어 상태 정보, 미션 오일 온도 정보, 냉각수 온도 정보 및 배터리 전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히치 정보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주행을 시작함에 따라,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히치(hitch)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로써,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히치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압력 정보, 상기 히치의 유량에 대한 유량 정보, 상기 히치의 위치에 대한 히치 위치 정보, 상기 히치의 수평도에 대한 히치 수평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gine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of the mechanical tractor as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driving, and includes information on engine rotation speed, gear cond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oil temperature information, and coolant temperature of the mechanical tractor.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battery voltage information, wherein the hitch information is information measured by a hitch sensor of the mechanical tractor as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driving, and applied to the hitch of the mechanical tracto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pressure information about a losing pressure, flow rate information about the flow rate of the hitch, hitch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hitch, and hitch horizontality information about the horizontality of the hitch.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기계식 트랙터와 상기 HMI 디스플레이 간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진행하며, 상기 HMI 디스플레이 및 상기 기계식 트랙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HMI 디스플레이 간 셀룰러(cellular) 통신을 진행하되,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ystem perform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the mechanical tractor and the HMI display, and performs cellular communication between the HMI display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HMI display and the mechanical tractor. When receiving of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농지 정보 수신부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농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농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및 상기 위치 확인부에 의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기후 정보를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농지의 강수량 값, 기온 값 및 풍량 값을 확인하는 기후 확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농지 정보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농지에서 경작 중인 경작물에 대한 경작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a loc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based on the received farmland information when the farmlan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HMI display; And when the location confirm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is completed by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receiving clim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location from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to check the precipitation value, air temperature value, and air volume value of the farmland A climate checking unit; however, the farmland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and crop information about crops being cultivated in the farmland.

상기 작업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엔진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엔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된 시간 범위 중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엔진 회전 수 정보, 상기 기어 상태 정보, 상기 미션 오일 온도 정보, 상기 냉각수 온도 정보 및 상기 배터리 전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주행 상태 판단부; 상기 히치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히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 중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압력 정보, 상기 유량 정보, 상기 히치 위치 정보, 상기 히치 수평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상태를 판단하는 작업 상태 판단부; 상기 농지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 중 제1 시간에서의 상기 농지 위치 정보, 상기 기후 정보 및 상기 경작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중 기후 상태를 판단하는 기후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주행 상태, 상기 작업 상태 및 상기 기후 상태의 판단이 완료되면,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기계식 트랙터에 대한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하는 조작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work data generating unit, when the reception of the engine information is completed, based on the received engine information, the engine speed information, the gear condition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oil temperature information, a driving state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a driving state of the mechanical tractor by analyzing the coolan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battery voltage information; When the reception of the hitch information is completed, based on the received hitch information,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flow rate information, the hitch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hitch horizontality information at a first time in the specified time range are analyzed, a working stat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working state of the mechanical tractor; When the reception of the farmland information is completed, a climate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limate state during oper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by analyzing the farmland location information, the climate information, and the crop information at a first time in the designated time range. ; and obtaining first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mechanical tractor at the first time based on the pre-stored algorithm 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driving state, the working state, and the weather state at the first time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includ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는, 상기 주행 상태 판단부, 상기 작업 상태 판단부 및 상기 기후 상태 판단부의 기능 수행으로 인해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시간 각각에 대한 조작 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시간 각각에 대한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조작에 대한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may, when the acquisition of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times included in the designated time range is completed due to the performance of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the work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the climate state determination unit, Based on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times, it is possible to generate work pattern data for oper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은,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면서, 상기 생성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하여, 다른 주행 상태, 다른 작업 상태 및 다른 기후 상태에 대한 다른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업데이트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tored algorithm is an algorithm for generating the work pattern data, and machine learning is performed on the generated work pattern data to obtain other work pattern data for different driving conditions, different working conditions, and different climate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update to generate.

상기 HMI 디스플레이는, 상기 작업 진행부로부터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된 기계식 트랙터가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하여 농지의 경작물을 수확하도록 하는 운행 시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운행 시작부가 상기 기계식 트랙터를 제어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를 주행됨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HMI display receives the work pattern data from the work progress unit, based on the received work pattern data, the HMI display controls the mechanical tractor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to autonomously drive to harvest crops in the farml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obtained as the mechanical tractor is driven by controlling the mechanical tractor by the driving start unit, to the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

본 발명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은, 기계식 트랙터를 탑승하는 탑승자의 트랙터 조작 방법을 머신 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HMI 디스플레이가 생성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식 트랙터를 제어하여 무인으로 기계식 트랙터를 자율 주행시킬 수 있다.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the tractor operation method of a passenger riding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machine learning to generate work pattern data, and HMI display generated work pattern data Based on this, the mechanical tractor can be autonomously driven unmanned by controlling the mechanical tractor.

이에 따라, 본 발명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은, 기계식 트랙터로 하여금 대리 경작이 가능하므로 농촌 고령화로 인한 일손 부족 및 기업농 인건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the human machine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of labor shortage and labor cost due to the aging of rural areas by allowing the mechanical tractor to perform surrogate farming.

또한,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 저장된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됨으로써, 다양한 농지 환경 및 기후 환경에 적합한 기계식 트랙터의 새로운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stored algorithm for generating work pattern data is automatically updated, new work pattern data of a mechanical tractor suitable for various farmland environments and climatic environments may be gen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동력 정보 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농지 정보 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작업 진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조작 정보 획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작업 진행부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work progressing part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a work progressing part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now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principle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bed descriptions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References to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dicating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preferable to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be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100)(이하, 보조 시스템으로 칭함)은 관리 서버(101), HMI 디스플레이(103) 및 기계식 트랙터(1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100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xiliary system) may include a management server 101 , an HMI display 103 and a mechanical tractor 105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101)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를 관리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를 제어하여 상기 HMI 디스플레이로 하여금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101 is a component that manages the HMI display 103, and controls the HMI display 103 to allow the HMI display to control the mechanical tractor 105.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103)일 수 있다. 상기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산업 및 제조 공정과 기계,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상기 HMI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자동화 현장에서 기계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MI display 103 may be a display 103 providing a human machine interface function. The human machine interface may be an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communicate with industrial and manufacturing processes and machines, computer programs or systems. That is, the HMI display may be a touch screen used by a user to operate a machine in an automation fiel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는 견인력을 이용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으로, 다양한 작업기를 탈부착함으로써,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상기 보조 시스템(100)은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를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와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101)로 하여금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를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발명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chanical tractor 105 is a vehicle that performs various tasks by using traction force, and may be a vehicle that performs various tasks by attaching and detaching various work machines. That is, the auxiliary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management server 101 to autonomously drive the mechanical tractor 105 in a state in which the HMI display 103 is connected to the mechanical tractor 105 could be an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101)는 동력 정보 수신부(101a), 농지 정보 수신부(101b), 작업 데이터 생성부(101c) 및 작업 진행부(101d)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101 may include a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a, a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b, a work data generating unit 101c and a work progressing unit 101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 정보 수신부(101a)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가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일 영역에 위치한 연결 단자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엔진 정보 및 히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작업을 시작하는 의미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주행과 경작물의 수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a is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mechanical tractor 105 starts working in a state in which the HMI display 103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located in one area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In this case,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may be received through the HMI display 103 . The meaning that the mechanical tractor 105 starts working may mean that the mechanical tractor 105 simultaneously performs driving and harvesting of crop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는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와 연결되는 경우,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1)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와 셀룰러(cellular)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MI display 103 can perform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when connected to the mechanical tractor 105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01 may perform cellular communication with the HMI display 103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 내에 설치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는 상기 ECU로부터 상기 엔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ECU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 내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예: 온도 센서, 오일 센서, 엔진 센서, 히치 센서 등)로부터 입력 값을 수신받고, 수신된 입력 값을 기계식 트랙터(105)의 계기판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와 연결되는 경우,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제어 장치들(예: 엔진 제어 장치, ECU 및 히치 제어 장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HMI display 103 is connected to the mechanical tractor 105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stalled in the mechanical tractor 105 and can be interlocked. The HMI display 103 may receive the engine information from the ECU. The ECU receives input values from various sensors (eg, temperature sensor, oil sensor, engine sensor, hitch sensor, etc.) installed in the mechanical tractor 105, and outputs the received input values to the instrument panel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can do. That is, when the HMI display 103 is connected to the mechanical tractor 105, control devices (eg, engine control device, ECU, hitch control device, etc.)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are displayed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You can control 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엔진 정보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주행을 시작함에 따라,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계기판에 출력되는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로써, 상기 기계식 트랙터 내에 위치한 엔진의 엔진 회전수 정보, 기어 상태 정보, 미션 오일 온도 정보, 냉각수 온도 정보 및 배터리 전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ngine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output on the dashboard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as the mechanical tractor 105 starts driving, and the engine rotation of the engine located in the mechanical tractor 105 Th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umber information, gear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oil temperature information, coolan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battery voltage information.

즉, 상기 동력 정보 수신부(101a)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가 CAN 통신을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로부터 상기 엔진 정보를 수신 완료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와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로부터 상기 엔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at is, the power information receiver 101a performs cellular communication with the HMI display 103 when the HMI display 103 completes receiving the engine information from the mechanical tractor 105 through CAN communication. , the engin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HMI display 103.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히치 정보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주행을 시작함에 따라,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히치(hitch)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로써,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히치(hitch)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압력 정보, 상기 히치의 유량에 대한 유량 정보, 상기 히치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상기 히치의 수평도에 대한 히치 수평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치는, 기계식 트랙터(105)에 장착되는 작업기가 실질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itch information is information measured by a hitch sensor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as the mechanical tractor 105 starts driving, and the hitch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essure information about pressure applied to the hitch, flow rate information about the flow rate of the hitch,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hitch, and hitch horizontality information about the horizontality of the hitch. The hitch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working machine mounted on the mechanical tractor 105 is substantially coupl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ECU는 상기 히치 센서로부터 입력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ECU는 계기판에 상기 히치와 관련된 다양한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계기판에 출력되는 히치와 관련된 다양한 값은 상기 히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CU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may receive an input value from the hitch sensor. Accordingly, the ECU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may output various values related to the hitch to the instrument panel. That is, various values related to the hitch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may be included in the hitch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 정보 수신부(101a)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로부터 상기 엔진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동일하게 상기 히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a may receive the hitch information in the same manner as receiving the engine information from the HMI display 103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지 정보 수신부(101b)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와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위치한 농지의 농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b is connected to the mechanical tractor 105 and the HMI display 103, when the mechanical tractor 105 starts working, the HMI display 103 ) It is possible to receive farmland inform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105 is loc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지 정보 수신부(101b)는, 상기 동력 정보 수신부(101a)가 상기 엔진 정보 및 상기 히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로부터 상기 농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armland information receiver 101b receives the farmland information from the HMI display 103 in the same manner as the power information receiver 101a receives the engine information and the hitch information.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지 정보 수신부(101b)는 위치 확인부(미도시) 및 기후 확인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rmland information receiver 101b may include a location checker (not shown) and a climate checker (not show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로부터 상기 농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농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armlan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HMI display 103,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105 is located based on the received farmlan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지 정보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위치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농지에서 경작 중인 경작물에 대한 경작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 및 기계식 트랙터(105)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위치 추적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armland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105 is located and crop information about crops being cultivated in the farml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location tracking module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HMI display 103 and the mechanical tractor 105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작물에 대한 경작물 정보는 경작물의 명칭, 경작물의 수확 방법, 경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적정 온도, 경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적정 강수량, 경작물의 적정 성장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농지 정보는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데스크 탑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인 드론과 같은 비행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관리 서버(101) 또는 HMI 디스플레이(103)가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경작물에 대한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획득된 경작물에 대한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경작물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석 결과에 기반한 경작물에 대한 경작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rop information about the crops may include the name of the crops, a harvesting method of the crops, an appropriate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 crops, an appropriate amount of precipitation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 crops, an appropriate growth period of the crop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farmland information may be acquired through other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the other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mart phone and a desktop, and may be obtained through a vehicle such as an unmanned drone. That is, when the management server 101 or the HMI display 103 acquires image or video information on crops throug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obtained image or video information on crops is analyzed, and in the crops database It is possible to obtain crop information on crop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는 별도의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는 상기 위치 확인부에게 실시간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농지에 대한 영상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를 통해 트랙터가 작업 중인 농지에 대한 정보(예: 농지의 경사도, 농지의 면적, 경작물의 생장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HMI display 103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amera module. The HMI display 103 ma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in real time and simultaneously provide image information on farmland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Accordingly, the positioning unit may grasp information on farmland where the tractor is working (eg, slope of farmland, area of farmland, growth state of cultivated crops, etc.) through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작물 정보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에 기 입력된 경작물에 대한 정보로써, 경작물의 명칭, 품종, 수확 시기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작물 정보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경작물에 대한 영상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rop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crops previously input to the HMI display 103,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variety, and harvest time of the crop. At this time, the crop information may also includ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crops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HMI display 103 .

즉, 상기 위치 확인부는 외부(예: 공공기관 서버, 사기업 서버(구글 어스 서버, 네이버 맵 서버))에서 상기 농지에 대한 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맵 데이터 상에 상기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해준 외부는 상기 관리 서버(101)와 협약된 외부일 수 있다.That is,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receives map data for the farmland from an outside (eg, public institution server, private company server (Google Earth server, Naver map server)), and map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map data to obtain the mechanical The exact position of the tractor 105 can be checked in real time. In this case, the outside that provided the map data may be an outside contracted with the management server 101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내에 위치한 지형이 상기 외부에서 맵 데이터 내 지형과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해 준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ositioning unit provid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the map data when the topography located in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HMI display 103 is different from the topography in the map data from the outside. can be provided external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후 확인부는 상기 위치 확인부에 의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기후 정보를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농지의 강수량 값, 기온 값 및 풍량 값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imate confirmation unit receives clim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location from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when the location confirm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105 is located is completed by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You can check the precipitation value, temperature value, and wind volume value.

예를 들어, 상기 기후 확인부는 상기 위치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농지의 위치가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내에 위치한 4번 농지"인 경우, 상기 기상청 서버로부터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에 대한 기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location of the farmland confirmed by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is "Farmland No. 4 located in Jakcheon-myeon, Gangjin-gun, Jeollanam-do", the weather confirmation unit may receive climate information about "Jakcheon-myeon, Gangjin-gun, Jeollanam-do" from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데이터 생성부(101c)는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는 경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의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해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ork data generation unit 101c, when receiving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is completed, based on a pre-stored algorithm,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work pattern data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HMI display 103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가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를 자율 주행시켜, 농지의 경작물을 수확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작업 패턴 데이터는 농지의 기후, 상황(예: 경사도)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를 조작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작업 데이터 생성부(101c)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ork pattern data may be data for allowing the HMI display 103 to autonomously drive the mechanical tractor 105 to harvest crops in farmland. That is, the work pattern data may be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mechanical tractor 105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limate and situation (eg, slope) of farmland.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work data generator 101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진행부(101d)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가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를 제어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HMI display 103 receives the work pattern data, the work progress unit 101d causes the HMI display 103 to perform the mechanical tractor (through the received work pattern data). 105) can be requested to contro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진행부(101d)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에게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를 제어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상기 HMI 디스플레이(103)에 의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105)가 자율 주행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ork progressing unit 101d requests the HMI display 103 to control the mechanical tractor 105, so that the mechanical tractor 105 is driven autonomously by the HMI display 103. can be mad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동력 정보 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100)(이하, 보조 시스템으로 칭함)은 관리 서버(예: 도 1의 관리 서버(101)), HMI 디스플레이(203)(예: 도 1의 HMI 디스플레이(103)) 및 기계식 트랙터(예: 도 1의 기계식 트랙터(1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ystem 100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xiliary system) is a management server (e.g. management server 101 in FIG. 1), an HMI display 203 (e.g. HMI display 103 in FIG. 1) and a mechanical tractor (e.g. a mechanical tractor in FIG. 1 ( 105)).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 서버는 동력 정보 수신부(201)(예: 도 1의 동력 정보 수신부(101a))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1 (eg, the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a of FIG. 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 정보 수신부(201)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엔진 정보 및 히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엔진 정보와 상기 히치 정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1을 참고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information receiver 201 may receive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through the HMI display 203 .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ngine information and the hitch information, refer to FIG. 1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 정보 수신부(201)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203)가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일 영역에 위치한 연결 단자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엔진 정보 및 히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1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HMI display 203 when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working in a state in which the HMI display 203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located in one area of the mechanical tractor ( Through 203),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may be receiv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 정보 수신부(201)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203)가 상기 기계식 트랙터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수행하여, 엔진 정보 및 히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와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HMI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엔진 정보 및 상기 히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201 may perform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mechanical tractor and receive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when the HMI display 203 receives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The engine information and the hitch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HMI display by performing cellular communication with the HMI displ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MI 디스플레이(203)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연결 단자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계식 트랙터 내에 설치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205)와 연동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HMI display 203 is connected to the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mechanical tractor, it may be interlocked with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205 installed in the mechanical tractor.

상기 ECU(205)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 내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예: 온도 센서(205a), 오일 센서(205b), 엔진 센서(205c), 히치 센서(205d), 기어 포지션 센서 등)로부터 입력 값을 수신받고, 수신된 입력 값을 기계식 트랙터의 계기판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CU(205)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 내에 위치한 엔진 제어 장치(EMS ECU: Engine Management System 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엔진과 관련된 다양한 입력 값(예: 엔진 회전 수)을 수신할 수 있다.The ECU 205 receives input values from various sensors (eg, temperature sensor 205a, oil sensor 205b, engine sensor 205c, hitch sensor 205d, gear position sensor, etc.) installed in the mechanical tractor. received, and the received input value can be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of the mechanical tractor. In addition, the ECU 205 may receive various engine-related input values (eg, engine speed) from an engine management system electronic control unit (EMS ECU) located in the mechanical tract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CU(205)는 상기 히치 센서(205d)로부터 기계식 트랙터의 히치(hitch)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압력 값, 상기 히치의 유량에 대한 유량 값, 상기 히치의 위치에 대한 위치 값, 상기 히치의 수평도에 대한 히치 수평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히치 값을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CU 205 may generate a pressure value for pressure applied to a hitch of a mechanical tractor from the hitch sensor 205d, a flow rate value for a flow rate of the hitch, and a location of the hitch. A hitch valu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osition value and a hitch horizontality value relative to the horizontality of the hitch may be received.

즉, 상기 HMI 디스플레이(203)는 상기 ECU(205)에 입력된 다양한 입력 값을 기반으로 하는 엔진 정보 및 히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동력 정보 수신부(201)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HMI display 203 may generate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based on various input values input to the ECU 205 and provide the generated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to the power information receiver 201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농지 정보 수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100)(이하, 보조 시스템으로 칭함)은 관리 서버(예: 도 1의 관리 서버(101)), 및 기계식 트랙터(303)(예: 도 1의 기계식 트랙터(1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system 100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xiliary system) may include a management server (eg, management server 101 of FIG. 1 ) and a mechanical tractor 303 (eg, mechanical tractor 105 of FIG. 1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는 연결 단자를 통해 HMI 디스플레이(예: 도 1의 HMI 디스플레이(103))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chanical tractor 303 may be connected to an HMI display (eg, the HMI display 103 of FIG. 1 )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지 정보 수신부(301)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와 상기 HMI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가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가 위치한 농지의 농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301 is connected to the mechanical tractor 303 and the HMI display, when the mechanical tractor 303 starts working, the mechanical tractor through the HMI display Farmland information of farmland where 303 is located may be receiv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지 정보 수신부(301)는 위치 확인부(미도시) 및 기후 확인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301 may include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not shown) and a climate confirmation unit (not show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농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농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receiving the farmland information from the HMI display, the positioning unit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303 is located based on the received farmlan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지 정보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가 위치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농지에서 경작 중인 경작물에 대한 경작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기계식 트랙터(303)에 포함된 위치 추적 모듈(303a)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위치 추적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armland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303 is located and crop information about crops being cultivated in the farml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location tracking module 303a included in the mechanical tractor 303. For anothe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location tracking module included in the HMI display.

즉,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ing unit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303 is located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303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작물 정보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에 기 입력된 경작물에 대한 정보로써, 경작물의 명칭, 품종, 수확 시기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위치 확인부는 외부(예: 공공기관 서버, 사기업 서버(구글 어스 서버, 네이버 맵 서버))에서 상기 농지에 대한 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맵 데이터 상에 상기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ultivated crop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cultivated crops previously input to the HMI display,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variety, and harvest time of the cultivated crop. At this time,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receives map data for the farmland from an outside (eg, public institution server, private company server (Google Earth server, Naver map server)), map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map data, and The exact posi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303 can be checked in real ti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후 확인부는 상기 위치 확인부에 의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기후 정보(305a)를 기상청 서버(305)로부터 수신하여, 농지의 강수량 값, 기온 값 및 풍량 값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location confirm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303 is located is completed by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the weather confirmation unit transmits climate information 305a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location to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305. It is received from ,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value of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wind volume of the farmland.

예를 들어, 상기 기후 확인부는 상기 위치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농지의 위치가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내에 위치한 4번 농지"인 경우, 상기 기상청 서버로부터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에 대한 기후 정보(305a)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location of the farmland confirmed by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is "Farmland No. 4 located in Jakcheon-myeon, Gangjin-gun, Jeollanam-do", the climate confirmation unit receives climate information 305a for "Jakcheon-myeon, Gangjin-gun, Jeollanam-do"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can receiv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농지 정보 수신부(301)는 상기 기후 정보(305a)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기후 정보(305a)를 기반으로, 상기 농지 환경에 적합한 기계식 트랙터(303)의 조작 방법 정보를 기 저장된 조작 테이블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계식 트랙터(303)는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직접 운용을 해야되는데, 이 때, 사용자에게 기후의 영향을 받는 농지에 적합한 기계식 트랙터의 조작 방법 정보를 상기 기 저장된 조작 테이블에서 추출하여, 상기 HMI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작 방법 정보는 기 저장된 알고리즘이 머신 러닝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reception of the climate information 305a is completed, the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301 operates a method of operating the mechanical tractor 303 suitable for the farmland environment based on the received climate information 305a.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from a pre-stored operation table. In general, the mechanical tractor 303 needs to be directly op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user is on board. can be extracted from and output through the HMI display. In this case, the operation metho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as a pre-stored algorithm performs machine learn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작업 진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work progressing part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100)(이하, 보조 시스템으로 칭함)은 관리 서버(예: 도 1의 관리 서버(101)),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작업 진행부(400)(예: 도 1의 작업 진행부(10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진행부(400)와 관련된 대략적인 설명은 도 1을 참고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a system 100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xiliary system) may include a management server (eg, the management server 101 of FIG. 1). The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task progressing unit 400 (eg, the task progressing unit 101d in FIG. 1 ). For a brief description of the work proceeding unit 400, refer to FIG. 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진행부(400)는 주행 상태 판단부(401), 작업 상태 판단부(403), 기후 상태 판단부(405) 및 조작 정보 획득부(407)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ork progress unit 400 may include a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401, a work state determination unit 403, a climate state determination unit 405, and an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 상태 판단부(401)는 동력 정보 수신부(예: 도 1의 동력 정보 수신부(101a))에 의해 엔진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엔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된 시간 범위 중 제1 시간에서의 엔진 회전 수 정보, 기어 상태 정보, 미션 오일 온도 정보, 냉각수 온도 정보 및 배터리 전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엔진 정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1을 참고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engin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power information receiver (eg, the power information receiver 101a of FIG. 1 ),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401, based on the received engine information, Engine speed information, gear cond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oil temperature information, coolan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battery voltage information at a first time within a specified time range may be analyzed.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ngine information, refer to FIG. 1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 상태 판단부(401)는 상기 엔진 회전 수 정보, 상기 기어 상태 정보, 상기 미션 오일 온도 정보, 상기 냉각수 온도 정보 및 배터리 전압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계식 트랙터(예: 도 1의 기계식 트랙터(105))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401 determines the mechanical tractor based on a result of analyzing the engine speed information, the gear state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oil temperature information, the coolan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battery voltage information. (eg, the driving state of the mechanical tractor 105 of FIG. 1) can be determin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 상태는, 기계식 트랙터가 제1 시간에서 주행 중일 때, 기계식 트랙터에 탑승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기어, 브레이크 및 악셀의 상태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기어, 브레이크 및 악셀의 상태에 따른 미션 상태, 냉각수 상태 및 배터리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state, when the mechanical tractor is running at the first time, the state of the gear, brake and accelerator operated by the user riding on the mechanical tractor and the gear, brake and accelerator operated by the user It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all of the mission state, the coolant state, and the battery stat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상태 판단부(403)는 상기 동력 정보 수신부에 의해 히치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히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 중 제1 시간에서의 압력 정보, 유량 정보, 히치 위치 정보 및 히치 수평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히치 정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1을 참고하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state determining unit 403, when receiving the hitch information by the pow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is completed, based on the received hitch information, the pressure information at the first time of the designated time range , flow information, hitch location information and hitch level information can be analyzed.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hitch information, refer to FIG. 1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상태 확인부(403)는 상기 압력 정보, 상기 유량 정보, 상기 히치 위치 정보 및 히치 수평도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ork state confirmation unit 403 may determine the work state of the mechanical tractor based on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flow rate information, the hitch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hitch level information. .

상기 히치는 기계식 트랙터에 장착되는 작업기와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동력 정보 수신부가 상기 히치에 부하되는 외력을 히치 센서를 통해 히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The hitch is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connected to a work machine mounted on a mechanical tractor, and the power information receiver may receive hitch information about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itch through a hitch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상태는, 기계식 트랙터가 제1 시간에서 작업 중일 때, 기계식 트랙터에 탑승한 사용자에 의해 기계식 트랙터가 조작됨에 따라 상기 히치와 연결된 작업기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 때, 히치에 부하되는 압력, 히치의 유량, 히치의 위치, 히치의 수평도에 대한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작업 상태는 상기 히치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기의 상태를 판단 가능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치의 수평도가 수평하지 않고 일정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기계식 트랙터가 현재 경사진 영역 상에서 작업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히치의 압력이 지정된 압력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기가 장애물에 걸린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working state, when the mechanical tractor is working at the first time, the working machine connected to the hitch is moved as the mechanical tractor is operated by a user riding the mechanical tractor. At this time, the hitch is loaded. It may be information that includes all conditions of the applied pressure, the flow rate of the hitch, the position of the hitch, and the horizontality of the hitch. That is, the work state may be information capable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work machine based on the hitch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horizontality of the hitch is not horizontal but forming a certain angl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echanical tractor is currently working on an inclined area. For another example, when the pressure of the hitch exceeds a specified pressur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echanical tractor's work machine is caught in an obstac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후 상태 판단부(405)는 농지 정보 수신부(예: 도 1의 농지 정보 수신부(101b))에 의해 농지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 중 제1 시간에서의 농지 위치 정보, 기후 정보 및 경작물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농지 정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1을 참고하도록 한다. 상기 기후 상태 판단부(405)는 상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중 기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imatic state determining unit 405, when receiving farmland information by the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eg, the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b of FIG. 1 ) is completed, at a first time in the designated time range of farmland location information, climate information, and crop information can be analyzed. For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farmland information, refer to FIG. 1 . The climate state determination unit 405 may check the climate state during oper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후 상태는 기계식 트랙터의 주행 또는 작업 시,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기후를 확인하는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imate condition may be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climate of an area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while the mechanical tractor is driving or work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주행 상태, 상기 작업 상태 및 상기 기후 상태의 판단이 완료되면,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제1 시간에서의 기계식 트랙터에 대한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은 HMI 디스플레이(예: 도 1의 HMI 디스플레이(103))로 하여금 상기 기계식 트랙터를 제어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자율 주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인 조작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알고리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riving state, the working state, and the climate state at the first time are determined,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performs a mechanical operation at the first time based on a pre-stored algorithm. First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tractor may be acquired. The pre-stored algorithm may be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tractor through an HMI display (eg, the HMI display 103 of FIG. 1 ) to obtain manipul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mechanical tractor to autonomously dri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제1 조작 정보 생성 시, 상기 주행 상태, 작업 상태 및 기후 상태뿐만 아니라, HMI디스플레이에 입력된 경작물 정보 및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농지의 환경에 따른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에 적합한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manipul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the pre-stored algorithm,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includes not only the driving state, working state and climate state, but also crop information and mechanical information input to the HMI display. By analyzing the operation image information of the tractor, it is possible to generate operation information suitable for autonomous driving of the mechanical tractor according to the farmland environment.

예를 들어,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상기 주행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악셀과 브레이크가 현재 교차되면서 작동되되, 악셀이 누름 정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상기 주행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기어 상태가 "드라이브 모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상기 작업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히치가 우측 방향으로 40P의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상기 작업 상태를 확인하여, 히치의 수평도가 아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상기 기후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에 비가 내리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checks the driving state and confirms that the accelerator and brake of the mechanical tractor are currently operated while being crossed, but the degree of pressing the accelerator is gradually increasing. . In addi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may check the driving state and confirm that the gear state of the mechanical tractor is "drive mode".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may check the working state and confirm that the hitch of the mechanical tractor applies a pressure of 40P in the 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may confirm that the horizontality of the hitch is formed downward by checking the working state.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may check the climate condition and confirm that rain is falling on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이에 따라,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상기 판단이 완료된 주행 상태, 작업 상태 및 기후 상태에 기반한 제1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 현재 농지에 비가 오고 있기 때문에 지면이 튼튼하지 않아 작업기의 일부가 지면에 박힌 상태(수평이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고, 기계식 트랙터에 탑승한 탑승자가 작업기에 접촉되는 지면 및 경작물에 의한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브레이크와 악셀을 교차로 작동시켜, 점차적으로 악셀을 세게 밟아 엔진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may generate first manipul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driving state, working state, and climate state through a pre-stored algorithm.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can confirm that a part of the work machine is stuck in the ground (the level is lowered down) because the ground is not strong because it is currently raining on the farmland through the pre-stored algorithm, and mechanical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occupant riding the tractor alternately operates the brake and the accelerator to overcome the pressure caused by the ground and crops in contact with the work machine, and gradually presses the accelerator hard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engine.

즉,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상기 판단 내용을 고려하여,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우천 시, 기계식 트랙터에 탑승한 탑승자의 트랙터 조작 방법에 기반한 제1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may generat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a tractor operation method of a passenger riding a mechanical tractor in rainy weather, based on the pre-stored algorithm,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ation. .

이 때,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407)는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HMI디스플레이에 입력된 경작물 정보 및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내용이 반영된 제1 조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제1 시간에서의 기계식 트랙터가 조작된 정보(작업 및 주행을 수행하기 위해 작동된 구성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조작 정보는 제1 시간에서의 농지의 상황에 적합한 기계식 트랙터의 조작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07 may analyze the crop information input to the HMI display and the work image inform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based on a pre-stored algorithm, and generate first manipulation information reflecting the analyzed content. .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at the first time (information on states of operating components to perform work and travel). That is,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may refer to operation information of a mechanical tractor suitable for farmland conditions at the first tim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조작 정보 획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100)(이하, 보조 시스템으로 칭함)은 조작 정보 획득부(501)(예: 도 4의 조작 정보 획득부(407))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system 100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xiliary system) may include a manipul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501 (eg,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407 of FIG. 4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501)는 주행 상태 판단부(예: 도 4의 주행 상태 판단부(401)), 작업 상태 판단부(예: 도 4의 작업 상태 판단부(403)) 및 기후 상태 판단부(예: 도 4의 기후 상태 판단부(405))의 기능 수행으로 인해 지정된 시간 범위(503)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시간(503a, 503b, 503c) 각각에 대한 조작 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시간(503a, 503b, 503c) 각각에 대한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조작에 대한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501 includes a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eg,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401 of FIG. 4 ), a work state determination unit (eg, the work state determination unit 403 of FIG. 4 ) )) and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times 503a, 503b, and 503c included in the designated time range 503 due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the climate state determination unit (eg, the climate state determination unit 405 of FIG. 4) When acquisition of is completed, work pattern data for manipul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may be generated based on manipul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imes 503a, 503b, and 503c.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501)는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503) 중 제1 시간에서의 제1 조작 정보(503a)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정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4를 참고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501)는 상기 제1 조작 정보(503a)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503) 중 제2 시간에서의 제2 조작 정보(503b)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501)는 상기 제2 조작 정보(503b)의 획득이 완료되면,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503) 중 제3 시간에서의 제3 조작 정보(503c)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501 may acquire first manipulation information 503a at a first time in the designated time range 503 . For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refer to FIG. 4 . When the acquisition of the first manipulation information 503a is completed,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501 may obtain second manipulation information 503b at a second time in the designated time range 503 . In addition, when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manipulation information 503b is completed,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501 may acquire third manipulation information 503c at a third time in the designated time range 503.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501)는 상기 제1 조작 정보(501a), 상기 제2 조작 정보(501b) 및 상기 제3 조작 정보(501c)를 시간 순서로 나열하여, 지정된 시간 동안 주행 및 작업을 진행한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는 HMI 디스플레이(예: 도 1의 HMI 디스플레이(103))로 하여금, 상기 기계식 트랙터를 제어하여 자율 주행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자율 주행 및 자율 작업 데이터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501 arranges the first manipulation information 501a, the second manipulation information 501b, and the third manipulation information 501c in chronological order, and sets the specified time It is possible to generate work pattern data of mechanical tractors that have been driven and worked while driving. The work pattern data may be autonomous driving and autonomous work data necessary for an HMI display (eg, the HMI display 103 of FIG. 1 ) to autonomously drive by controlling the mechanical tract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501)는 상기 획득한 작업 패턴 데이터를 카테고리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 테이블은,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가 작업 과정 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데이터 테이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테고리 테이블은 복수 개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복수 개의 카테고리 각각은 서로 다른 작업 과정에 대한 카테고리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카테고리 중 제1 카테고리는 우천 시 획득된 작업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카테고리일 수 있다. 제2 카테고리는 폭염 시 획득된 작업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카테고리일 수 있다. 제3 카테고리는 다수의 자갈을 포함하는 농지에서 획득된 작업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카테고리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501 may store the acquired work pattern data in a category table. The category table may be a data table in which the work pattern data is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work process. For example, the category tab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tegories.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may be a category for different work processes. A first category among the plurality of categories may be a category in which work pattern data obtained during rainy weather is stored. The second category may be a category in which work pattern data obtained during a heat wave is stored. The third category may be a category in which work pattern data obtained from farmland including a plurality of gravel is sto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은 상기 생성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은 상기 생성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머신 러닝함으로써, 다른 주행 상태, 다른 작업 상태 및 다른 기후 상태에 대한 다른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은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 패턴 데이터와 상기 제2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 패턴 데이터를 머신 러닝함으로써, 새로운 내용을 포함하는 주행 상태, 작업 상태 및 기후 상태에 대한 새로운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tored algorithm may machine-learn the generated work pattern data. The pre-stored algorithm may be updated to generate different working pattern data for different driving conditions, different working conditions, and different climate conditions by machine learning the generated working pattern data. In more detail, the pre-stored algorithm performs machine learning on the work pattern data stored in the first category and the work pattern data stored in the second category to determine driving conditions, working conditions, and climate conditions including new contents. New work pattern data can be created.

예를 들어,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은 제1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우천 시 획득된 작업 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악셀 조작과 제4 카테고리에 저장되어 있는 강풍 시 획득된 작업 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악셀 조작을 머신러닝함으로써, 호우주의보 또는 태풍 상황에서의 악셀 조작 방법(새로운 내용을 포함하는 주행 상태)을 포함하는 새로운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tored algorithm performs an accelerator operation based on work pattern data obtained in rainy weather stored in a first category and an accelerator operation based on work pattern data obtained in strong winds stored in a fourth category through machine learning. , It is possible to create new work pattern data including an accelerator operation method (driving condition including new contents) in a heavy rain warning or typhoon situ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의 작업 진행부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6 is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a work progressing part of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100)(이하, 보조 시스템으로 칭함)은 작업 진행부(601)(예: 도 1의 작업 진행부(101d))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system 100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xiliary system) may include a work progress unit 601 (eg, the work progress unit 101d of FIG. 1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진행부(601)는 생성된 작업 패턴 데이터(601a)를 HMI 디스플레이(603)(예: 도 1의 HMI 디스플레이(103))로 전송하여, 상기 HMI 디스플레이(603)로 하여금 농지 내에서 기계식 트랙터(605)를 자율 주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ork progressing unit 601 transmits the generated work pattern data 601a to the HMI display 603 (eg, the HMI display 103 of FIG. 1), and the HMI display 603 may request to autonomously drive the mechanical tractor 605 within the farmlan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MI 디스플레이(603)는 운행 시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행 시작부는 상기 작업 진행부(601)로부터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601a)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작업 패턴 데이터(601a)를 기반으로, 상기 기계식 트랙터(605)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HMI 디스플레이(603)는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601a)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605)를 자율 주행시킴으로써, 농지 내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MI display 603 may include a driving start unit (not shown). When the operation start unit receives the work pattern data 601a from the work progress unit 601, the mechanical tractor 605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received work pattern data 601a. That is, the HMI display 603 can autonomously drive the mechanical tractor 605 through the work pattern data 601a to perform work within the farmlan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HMI 디스플레이(603)는, 상기 운행 시작부가 상기 기계식 트랙터(605)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기계식 트랙터(605)가 운행됨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예: 도 1의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MI display 603, when the driving start unit controls the mechanical tractor 605, the engine information obtained as the mechanical tractor 605 is operated,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management server (eg, the management server of FIG. 1) in real tim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7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unnecessary embodimen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 to 6 will be omitted. do it with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 input/output subsystem ( It may include at least an I/O subsystem (11400), a power circuit (11500),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correspon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A) or the aforementioned computing device (B).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magnetic disk, SRAM, DRAM, ROM,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there is.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a command set, or other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 to the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s of computing device 10000 to processor 11100 and memory 11200 .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process data by executing software modules or command sets stored in the memory 11200 .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Input/output subsystem 11400 can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touch screen or sensor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as need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put/output peripherals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some of the terminal's components. For exampl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a battery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power It may contain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and transmit/receive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이러한 도 7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FIG. 7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omit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7,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combining two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computer readable media.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 mobile terminal-only application. An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tended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HMI(human machine interface)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일 영역에 위치한 연결 단자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엔진 정보 및 히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하는 동력 정보 수신부;
상기 기계식 트랙터와 상기 HMI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의 농지 정보를 수신하는 농지 정보 수신부;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는 경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해 상기 HMI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작업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HMI 디스플레이가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HMI 디스플레이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통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를 제어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HMI 디스플레이에 의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자율 주행되도록 하는 작업 진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Receiving engine information and hitch inform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through the HMI display when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working in a state in which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display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located in one area of the mechanical tractor a power information receiver to receive;
a farmland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farmland information of a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through the HMI display when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working while the mechanical tractor and the HMI display are connected;
When the reception of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is completed, based on a pre-stored algorithm,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are analyzed to generate work pattern data of the mechanical tractor a work data generating unit transmitting to the HMI display; and
When the HMI display receives the work pattern data, it requests the HMI display to control the mechanical tractor through the received work pattern data, so that the HMI display autonomously drives the mechanical tractor.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comprising: a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정보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주행을 시작함에 따라,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계기판에 출력되는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로써,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엔진 회전 수 정보, 기어 상태 정보, 미션 오일 온도 정보, 냉각수 온도 정보 및 배터리 전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히치 정보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주행을 시작함에 따라,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히치(hitch)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로써,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히치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압력 정보, 상기 히치의 유량에 대한 유량 정보, 상기 히치의 위치에 대한 히치 위치 정보, 상기 히치의 수평도에 대한 히치 수평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ngine information,
As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dri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utput on the instrument panel of the mechanical tractor includes engine speed information, gear cond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oil temperature information, coolan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battery voltage inform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hitch information,
As the mechanical tractor starts driving, a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hitch sensor of the mechanical tractor, pressure information 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itch of the mechanical tractor, flow rate information on the flow rate of the hitch, the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hitch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osition of the hitch and hitch horizontality information for the horizontality of the h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기계식 트랙터와 상기 HMI 디스플레이 간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진행하며, 상기 HMI 디스플레이 및 상기 기계식 트랙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HMI 디스플레이 간 셀룰러(cellular) 통신을 진행하되,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mechanical tractor and the HMI display, and cellular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HMI display and the mechanical tractor and the HMI display,
When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are completely received,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are stored in a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A system that assists autonomous driv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지 정보 수신부는,
상기 HMI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농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농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및
상기 위치 확인부에 의해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기후 정보를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농지의 강수량 값, 기온 값 및 풍량 값을 확인하는 기후 확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농지 정보는,
상기 기계식 트랙터가 위치한 농지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농지에서 경작 중인 경작물에 대한 경작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armland information receiving unit,
When receiving the farmland information from the HMI display, based on the received farmland information, a positioning unit for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and
When the location confirm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is completed by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clim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to confirm the precipitation value, temperature value, and wind volume value of the farmland. Including; confirmation unit;
The farmland information,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rmland where the mechanical tractor is located and crop information about crops being cultivated in the farmla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엔진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엔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된 시간 범위 중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엔진 회전 수 정보, 상기 기어 상태 정보, 상기 미션 오일 온도 정보, 상기 냉각수 온도 정보 및 상기 배터리 전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주행 상태 판단부;
상기 히치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히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 중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압력 정보, 상기 유량 정보, 상기 히치 위치 정보, 상기 히치 수평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상태를 판단하는 작업 상태 판단부;
상기 농지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 중 제1 시간에서의 상기 농지 위치 정보, 상기 기후 정보 및 상기 경작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작업 중 기후 상태를 판단하는 기후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주행 상태, 상기 작업 상태 및 상기 기후 상태의 판단이 완료되면,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시간에서의 상기 기계식 트랙터에 대한 제1 조작 정보를 획득하는 조작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work data generating unit,
When the reception of the engine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engine speed information, the gear state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oil temperature information, the coolan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engine speed information at a first time in a designated time range based on the received engine information a driving state determining unit analyzing battery voltag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driving state of the mechanical tractor;
When the reception of the hitch information is completed, based on the received hitch information,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flow rate information, the hitch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hitch horizontality information at a first time in the specified time range are analyzed, a working stat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working state of the mechanical tractor;
When the reception of the farmland information is completed, a climate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limate state during oper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by analyzing the farmland location information, the climate information, and the crop information at a first time in the designated time range. ; and
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driving state, the working state, and the climate state at the first time is completed, an operation of obtaining first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mechanical tractor at the first time based on the pre-stored algorithm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comprising a;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정보 획득부는,
상기 주행 상태 판단부, 상기 작업 상태 판단부 및 상기 기후 상태 판단부의 기능 수행으로 인해 상기 지정된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시간 각각에 대한 조작 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시간 각각에 대한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계식 트랙터의 조작에 대한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When the acquisition of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times included in the designated time range is completed due to the performance of the driving state determination unit, the work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the climate state determination unit,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imes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 system for assisting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work pattern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mechanical trac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알고리즘은,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면서, 상기 생성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하여, 다른 주행 상태, 다른 작업 상태 및 다른 기후 상태에 대한 다른 작업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pre-stored algorithm,
An algorithm for generating the work pattern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ed work pattern data is machine-learned to generate other work pattern data for different driving conditions, different working conditions, and different climate conditions. A system that assists the autonomous driving of a mechanical tractor through a human machine inte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HMI 디스플레이는,
상기 작업 진행부로부터 상기 작업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작업 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된 기계식 트랙터가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하여 농지의 경작물을 수확하도록 하는 운행 시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운행 시작부가 상기 기계식 트랙터를 제어하여 상기 기계식 트랙터를 주행됨에 따라 획득되는 상기 엔진 정보, 상기 히치 정보 및 상기 농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계식 트랙터의 자율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HMI display,
When receiving the work pattern data from the work progressing unit, based on the received work pattern data, a driving start unit that controls the mechanical tractor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to autonomously drive to harvest crops in the farmland; include,
The driving start unit controls the mechanical tractor to transmit the engine information, the hitch information, and the farmland information obtained as the mechanical tractor is driven to the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A system that assists the autonomous driving of
KR1020210124512A 2021-09-17 2021-09-17 A system that assists in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via human machine interface KR102582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12A KR102582504B1 (en) 2021-09-17 2021-09-17 A system that assists in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via human machine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12A KR102582504B1 (en) 2021-09-17 2021-09-17 A system that assists in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via human machine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158A true KR20230042158A (en) 2023-03-28
KR102582504B1 KR102582504B1 (en) 2023-09-27

Family

ID=8580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512A KR102582504B1 (en) 2021-09-17 2021-09-17 A system that assists in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via human machine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50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1566A (en) * 2000-12-19 2002-06-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Work vehicle for agriculture
JP2002209421A (en) * 2001-01-17 2002-07-3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Service vehicle for agriculture
WO2013013917A1 (en) * 2011-07-22 2013-01-31 Agco International Gmbh Tractor control system
EP3090887A1 (en) * 2015-05-07 2016-11-09 BT Products AB A towing hitch assembly and a towing system
KR20180113865A (en) * 2017-04-07 2018-10-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KR20190012095A (en) * 2017-07-26 2019-02-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ate of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1566A (en) * 2000-12-19 2002-06-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Work vehicle for agriculture
JP2002209421A (en) * 2001-01-17 2002-07-3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Service vehicle for agriculture
WO2013013917A1 (en) * 2011-07-22 2013-01-31 Agco International Gmbh Tractor control system
EP3090887A1 (en) * 2015-05-07 2016-11-09 BT Products AB A towing hitch assembly and a towing system
KR20180113865A (en) * 2017-04-07 2018-10-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KR20190012095A (en) * 2017-07-26 2019-02-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ate of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504B1 (en)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0410A1 (en) Integrated platform and common software structural architecture for autonomous agricultural vehicle and machinery operation
CN111295486B (en) System and method for irrigation management
JP6059027B2 (en) Farm machine and farm work management program
BR102018001730A2 (en) WORKPLA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WORKPLACE MAP
AU2011254401B2 (en) Evaluating capability of a system to perform a task by comparing models of the system and the task
CN111301425A (en) Efficient optimal control using dynamic models for autonomous vehicles
US20200089244A1 (en) Experiments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control
Han et al. Simulation study to develop implement control and headland turning algorithms for autonomous tillage operations
Murman Flex-Ro: a robotic high throughput field phenotyping system
JP2018200639A (en) Work management system
KR20230042158A (en) A system that assists in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via human machine interface
JP6320498B2 (en) Farm machine and farm work management program
Mitrofanova et al. Development of a Robot for Agricultural Field Scouting
CN114549610A (en) Point cloud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Arfa Study and implementation of LiDAR-based SLAM algorithm and map-based autonomous navigation for a telepresence robot to be used as a chaperon for smart laboratory requirements
Katikaridis et al. A software tool for efficient agricultural logistics
EP4062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work machine approval
Guo et al. Research on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of greenhouse electric crawler tractor based on LiDAR
US20240096137A1 (en) Display method, display terminal, and display program
Marçal de Queiroz et al. Control and Automation Systems in Agricultural Machinery
KR20220104979A (en) Driving method of smart farm electric vehicle and smart farm electric vehicle therof
Balasooriya et al. AI-based Landing Zone Detection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 LiDAR Localization and Mapping Pipelines
Cho et al.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an intelligent agricultural vehicle
Zhao et al. Design and evaluate intelligent control safety systems on the TOMI robot
KR20230171311A (en) Machine guidance program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