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865A -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865A
KR20180113865A KR1020170045527A KR20170045527A KR20180113865A KR 20180113865 A KR20180113865 A KR 20180113865A KR 1020170045527 A KR1020170045527 A KR 1020170045527A KR 20170045527 A KR20170045527 A KR 20170045527A KR 20180113865 A KR20180113865 A KR 20180113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link
control signal
remote control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7836B1 (en
Inventor
최학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836B1/en
Publication of KR2018011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8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vehicle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vehicle, remotely controlling lifting work of a three-point hitch disposed in the agricultural vehicle. Moreover, the agricultural vehicle (1) comprises: a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having a lifting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three-point hitch of the agricultural vehicle (1); and a remote control processing system (100) disposed in a vehicle main body (2) of the agricultural vehicle (1), receiv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nd controlling elevation with respect to a lifting arm (120) of the three-point hitch (5)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Description

농작업차량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작업차량에 구비되는 3점링크의 승하강 작업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e work vehicle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three-point link up / down operation provided in an agriculture work vehicle.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에서는 여러 작업기를 부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트랙터(1)에서는 3점링크 등 연결링크(5)에 로터리기, 복토기, 정지기 등 다양한 작업기를 부착하여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In tractors and other farming vehicles, various machines are attached to perform various tasks. For example, in the tractor 1 illustrated in FIG. 1, various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attaching various working machines such as a rotary machine, a replicator, and a stopper to the connection link 5 such as a three-point link.

이때, 수행하는 작업의 필요에 따라 상기 작업기의 높낮이를 적절한 위치로 조절하여 주는 것이 요구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트랙터(1)는 상기 3점링크(5)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작업기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서는 트랙터(1)에서 다양한 작업기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3점링크(5)의 통상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1)의 3점링크(5)는 트랙터 차량본체(2)와 상기 작업기를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링크(5a), 상기 하부링크(5a)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기와 상기 트랙터 차량본체(2)를 연결하는 상부링크(5b) 및 상기 한 쌍의 하부링크(5a)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과 타측이 상기 하부링크(5a) 및 상기 트랙터 차량본체(2)와 연결되는 지지링크(5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required to adjust the elevation of the working machine to an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work to be performed, so that the tractor 1 can raise and lower the three-point link 5 up and down do. In this regard, FIG. 2 shows a typical structure of a three-point link 5 used for attaching various working machines in the tractor 1. 2, the three-point link 5 of the tractor 1 includes a pair of lower links 5a connecting the tractor vehicle body 2 and the working machine, An upper link 5b disposed on the lower link 5a and connected to the tractor vehicle body 2 and a lower link 5b disposed on the lower link 5a and the lower link 5a, And a support link 5c connected to the link 2.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링크(5c)에는 유압실린더(130)에 의하여 구동되는 승강암(120)이 연결되어, 상기 지지링크(5c) 및 이에 연결된 하부링크(5a)를 승하강하여 줌으로써, 상기 3점링크(5)에 부착되는 작업기를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lift arm 120 driven by a hydraulic cylinder 130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upport links 5c to lift up and down the support link 5c and the lower link 5a connected thereto, The work machine attached to the three-point link 5 can be moved up and down.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3점링크(5)의 위치를 승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레버가 위치하는 운전석(3)으로 이동하여 상기 3점링크(5)를 승하강시켜야 했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직접 보면서 승하강 작업을 수행하기는 어려워지는 바,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운전석(3)과 3점링크(5)를 오가면서 승하강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raise and lower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the operator moves to the driver's seat 3 where the up-and-down lever of the three-point link 5 is located,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perform the up / down operation while directly observing the up / down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In order to accurately adjust the up / down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It was inconvenient to repea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while moving between the driver's seat (3) and the three-point link (5).

이에 대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1698호에서는 상기 3점링크(5)에서의 승하강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작업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려운 바,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On the other han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31698, information o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three-point link (5) is displayed so that the operator can view the three-point link 5). However, even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for an operator to accurat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in the driver's seat, It was still difficult to accurately adjust the rising and falling positions of the light sourc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1698호(2015.03.2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31698 (Feb. 25, 20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농작업차량(1)의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직접 보면서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작업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농작업차량(1)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ree-point link (5) And to provide a controllable agriculture work vehicle (1).

나아가, 본 발명은 작업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농작업차량(1)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1) in which an operator can adjust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은, 차량본체(2);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에 구비되어, 농업용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와 연결되는 3점링크(5);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3점링크(5)에 대한 승하강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원격제어장치(200); 및 상기 차량본체(2)에 구비되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송신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50); 및 상기 차량본체(2)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 including a vehicle body (2); A three-point link (5)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2) and connected to a working machine for performing agricultural work; A remote control device (20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up / down control signal for the three-point link (5) by a user's input; A receiving unit 150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2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 first controller (160)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2) for controll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three-point link (5)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제1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3점링크(5)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130); 상기 유압실린더(130)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140); 및 상기 3점링크(1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제1센서(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hydraulic cylinder 130 for raising or lowering the three-point link 5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160; A hydraulic pump 140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130; And a first sensor 110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120. [

이때, 상기 제1제어부(160)는, 상기 제1센서(110)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3점링크(5)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로 상기 3점링크(5)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ler 160 may us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10 to detect the three-point link 5 at a position input by the user, Can be raised or lowered.

또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220);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210);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220 for processing the input of the user; A second controller 210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And a transmitter 230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이때, 상기 입력부(220)는 소정의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제2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버튼을 누르는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unit 22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button,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10 may generate the control signal in consideration of a pattern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button for a predetermined time.

나아가,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농작업차량(1)에 대한 원격 시동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키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a smart key including a remote start function for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은, 3점링크(5)에 대한 승하강 기능을 가지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직접 보면서 승하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agriculture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perator us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having the function of raising and lowering the three-point link 5 to ascend and descend the three- So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의 농작업차량(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통상의 농작업차량(1)의 3점링크(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3점링크(3) 승하강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agricultural work vehicle 1.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ree-point link 3 of a typical agricultural work vehicle 1.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hree-point link 3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in the agricultural equipment vehic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Further,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아래에서는 주로 트랙터에 구비되는 3점링크(5)에서의 승강에 대한 제어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3점링크(5)가 구비되는 농작업차량(1)에 대한 제어 시스템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directed to the control of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three-point link 5 provided in the tracto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 / RTI >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통상의 농작업차량(1)의 구조 및 상기 농작업차량(1) 및 이에 구비되는 3점링크(5)의 기본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핀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nd the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nd the three-point link 5 included therein are briefly reviewed,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트랙터 등의 농작업차량(1)은 차량본체(2)와 상기 차량본체(2)에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링크를 가지는 3점링크(3 points linkage)(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본체(2)는 엔진(도시되지 않음)과 변속기(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농작업차량(1)의 구동과 작업에 필요한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1, an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 such as a normal tractor is provided with a three-point link 3 having a vehicle body 2 and a connecting link for connecting the working machine to the vehicle body 2 points linkage (5). At this time, the vehicle body 2 may include an engine (not shown) and a transmission (not shown), and various devices necessary for driving and working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may be installed .

상기 농작업차량(1)은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작업기를 교체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작업기를 승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3점링크(5)에 구비되는 승강암(120)을 구동시켜 상기 작업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The agriculture work vehicle 1 is adapted to change the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to be performed and adjust the height by moving the work machine up and down according to need, The arm 120 is driven to raise or lower the work machine.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의 3점링크(5)는 트랙터 차량본체(2)와 상기 작업기를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링크(5a), 상기 하부링크(5a)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기와 상기 트랙터 차량본체(2)를 연결하는 상부링크(5b) 및 상기 한 쌍의 하부링크(5a)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과 타측이 상기 하부링크(5a) 및 상기 트랙터 차량본체(2)와 연결되는 지지링크(5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can be seen from Fig. 2, the three-point link 5 of the agriculture work vehicle 1 such as a tractor includes a pair of lower links 5a connecting the tractor vehicle body 2 and the work machine, An upper link 5b disposed above the lower link 5a and connecting the working machine to the tractor vehicle body 2 and a lower link 5b disposed on the lower link 5a and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lower link 5a, (5a) and a support link (5c) connected to the tractor vehicle body (2).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지지링크(5c)에는 유압실린더(130)에 의하여 구동되는 승강암(120)이 연결되어, 상기 지지링크(5c) 및 이에 연결된 하부링크(5a)를 승강하여 줌으로써, 상기 3점링크(5)에 부착되는 작업기를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The lifting arm 120 driven by the hydraulic cylinder 130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upport links 5c so that the support link 5c and the lower link 5a connected thereto are raised and lowered, The work machine attached to the three-point link 5 can be moved up and down.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위치를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레버가 위치하는 운전석(3)으로 이동하여 상기 3점링크(5)를 승하강시켜야 했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직접 보면서 승하강 작업을 수행하기는 어려워지는 바, 상기 작업기의 승하강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운전석(3)과 3점링크(5)를 오가면서 승하강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raise and lower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the operator moves to the driver's seat 3 where the up-and-down lever of the three-point link 5 is located,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perform the up / down operation while directly observing the up / down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In order to accurately adjust the up / down position of the work machine, It was inconvenient to repea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while moving the three-point link (5).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은, 작업자의 입력에 의해 3점링크(5)에 대한 승하강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원격제어장치(200) 및 상기 농작업차량(1)의 차량본체(2)에 구비되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송신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3점링크(5)의 승강암(120)에 대한 승하강을 제어하여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원격제어처리시스템(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the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 device 20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up / down control signal for the three-point link 5 by an operator's input, Point link 5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is provided to the vehicle body 2 of the working vehicle 1, And a remote control processing system 100 for controll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three-point link 5 by controll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three-point link 5.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3점링크(5)에 대한 승하강 기능을 가지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직접 보면서 승하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3, the agriculture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having the up / down function for the three-point link 5 The worker can perform the ascending / descending work while directly observing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so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mor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구성도를 예시하고 있다. More specifically, FIG. 4 illustrate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 예시되어 있다.5 illustrates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gricultural and agriculture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4 and 5,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원격제어처리시스템(100)은,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50)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유압펌프(14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실린더(130)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암(12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and 5, the remote control processing system 100 i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 processing system 100, A first controller 160 for controlling up / down movement of the lift arm 120 by controlling a hydraulic cylinder 130 receiving a hydraulic pressure from the hydraulic pump 140 using the control signal, ). ≪ / RTI >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원격제어처리시스템(100)은 상기 승강암(120)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3점링크(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160)는 상기 제1센서(110)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3점링크(5)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로 상기 3점링크(5)를 승하강시킬 수도 있다.Further, the remote control processing system 100 i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lift arm 120 The first sensor 1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nsor 110. Accordingly, the first controller 160 may us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10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at a position input by the user, Up and down.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원격제어장치(200)에 대한 설명과 함께 보다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At this time, various schemes can be used as a method for the user to input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escribed below.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220),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210)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220 for processing an input of a user, a control unit 220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user A second controller 210 and a transmitter 230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상기 입력부(220)는 상승 버튼 및 하강 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상승 버튼을 누르는 동안에는 상기 3점링크(5)를 상승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사용자가 상기 하강 버튼을 누르는 동안에는 상기 3점링크(5)를 하강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mbodiment,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220 may include a rising button and a falling button, and thus, while the user presses the up button, A control signal for raising the point link 5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nd a control signal for lowering the three-point link 5 while the user presses the down button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나아가, 상기 제2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상승 버튼 또는 하강 버튼을 누르는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기 상승 버튼 또는 하강 버튼을 누르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cond control unit 210 may generate the control signal in consideration of a pattern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up button or the down button for a predetermined time.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presses the up button or down butt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can be generated.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예를 들어 1초 이내에) 상승 버튼을 두번 누르면 상기 3점링크(5)를 가장 높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예를 들어 1초 이내에) 상승 버튼을 세번 또는 네번 누르면 상기 3점링크(5)를 미리 정해진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예를 들어, 0.3m 높이 또는 0.5m) 등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f the user presses the up button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ithin one second), the three-point link 5 can be moved to the highest position, and if the user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oint link 5 to a predetermined first position or second position (for example, 0.3 m height or 0.5 m) by pressing the rise button three or four times within one second .

반대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예를 들어 1초 이내에) 하강 버튼을 두번 누르면 상기 3점링크(5)를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상승 버튼과 하강 버튼을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함께 또는 교대로 누르는 경우를 인식하여 상기 3점링크(5)를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Conversely, if the user presses the drop button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ithin one second), the three-point link 5 may be moved to the lowest position or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Further, the user may recognize the case where the user presses the up button and the down button together or alternately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pattern to move the three-point link 5 to a specific position.

나아가,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버튼을 누르면 상기 3점링크(5)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점링크(5)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Further,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pattern,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is stored, or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is adjusted using information on the stored position You may.

예를 들어, 작업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예를 들어 1초 이내에) 상승 버튼을 두번 누르면 상기 3점링크(5)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 나중에 작업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예를 들어 1초 이내에) 하강 버튼을 두번 누르면 상기 3점링크(5)를 저장되어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operator presses the rise button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ithin one second),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is stored, (For example, within one second), the depression button is pressed twice to move the three-point link 5 to the stored position.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상기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버튼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220)에서 상기 3점링크(5)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예를 들어, 위치 1 내지 위치 5 버튼을 구비), 사용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 등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터치스크린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n the remote controll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220 may include a button or the like for allowing the user to directly input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 For example, the input unit 2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for example, having a position 1 to a position 5 button) Point link 5 to allow the user to input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and furthermore, a touch screen or the like may be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input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hree- have.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농작업차량(1)에 대한 원격 시동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키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키의 다양한 기능을 누릴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스마트키를 사용하여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시동을 걸어야 하는데, 상기 스마트키에 원격시동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농작업차량(1)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농작업차량(1)의 운전석으로 이동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a smart key including a remote start function for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 In this case, the user can enjoy various functions of the smart key, and also can easily and accurately adjust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using the smart key. Further, in order to adjust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the agriculture work vehicle 1 must be started, and the start of the agriculture work vehicle 1 is started by using a remote start button on the smart key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adjust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without having to move to the driver's seat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농작업차량 (2) : 차량본체
(3) : 운전석 (5) : 3점링크
(100) : 원격제어처리시스템 (110) : 제1센서
(120) : 승강암 (130) : 유압실린더
(140) : 유압펌프 (150) : 수신부
(160) : 제1제어부 (200) : 원격제어장치
(210) : 제2제어부 (220) : 입력부
(230) : 송신부
(1): agricultural work vehicle (2): vehicle body
(3): driver's seat (5): 3 point link
(100): remote control processing system (110): first sensor
(120): a lift arm (130): a hydraulic cylinder
(140): Hydraulic pump (150): Receiver
(160): first control unit (200): remote control device
(210): second control section (220): input section
(230): Transmitter

Claims (6)

차량본체(2);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에 구비되어, 농업용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와 연결되는 3점링크(5);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3점링크(5)에 대한 승하강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원격제어장치(200); 및
상기 차량본체(2)에 구비되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송신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50); 및
상기 차량본체(2)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3점링크(5)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A vehicle body 2;
A three-point link (5)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2) and connected to a working machine for performing agricultural work;
A remote control device (20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up / down control signal for the three-point link (5) by a user's input; And
A receiving unit 150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2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 first controller (160)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2) and controlling up / down of the three-point link (5)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3점링크(5)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130);
상기 유압실린더(130)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140); 및
상기 3점링크(1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제1센서(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ydraulic cylinder 130 for raising or lowering the three-point link 5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160;
A hydraulic pump 140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130;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sensor (110)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hree-point link (1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160)는, 상기 제1센서(110)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기 3점링크(5)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로 상기 3점링크(5)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trol unit 160 us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hree-point link 5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10 to move the three-point link 5 to a position input by the user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220);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210);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 input unit 220 for processing the input of the user;
A second controller 210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of the user; And
A transmission unit 230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1). ≪ / RTI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220)는 소정의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제2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버튼을 누르는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put unit 220 includes a predetermined button,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210)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in consideration of a pattern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button for a predetermined ti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농작업차량(1)에 대한 원격 시동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a smart key including a remote start function for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KR1020170045527A 2017-04-07 2017-04-07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KR1020878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527A KR102087836B1 (en) 2017-04-07 2017-04-07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527A KR102087836B1 (en) 2017-04-07 2017-04-07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65A true KR20180113865A (en) 2018-10-17
KR102087836B1 KR102087836B1 (en) 2020-03-11

Family

ID=6409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527A KR102087836B1 (en) 2017-04-07 2017-04-07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8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158A (en) * 2021-09-17 2023-03-28 주식회사 크래블 A system that assists in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via human machine interfa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8123B2 (en) * 1985-08-14 1996-10-30 井関農機株式会社 Tractor lifting control
JP2007166970A (en) * 2005-12-21 2007-07-05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Controller for lifting and lowering of implement of work vehicle
KR20100053969A (en) * 2008-11-13 2010-05-24 대동공업주식회사 Limote control lifting device of agriculture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 same
JP2015008678A (en) * 2013-06-28 2015-01-19 井関農機株式会社 Working vehicle
KR20150031698A (en) 2013-09-16 2015-03-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A Disrlay Device Of Hybrid Tractor and Interface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8123B2 (en) * 1985-08-14 1996-10-30 井関農機株式会社 Tractor lifting control
JP2007166970A (en) * 2005-12-21 2007-07-05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Controller for lifting and lowering of implement of work vehicle
KR20100053969A (en) * 2008-11-13 2010-05-24 대동공업주식회사 Limote control lifting device of agriculture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 same
JP2015008678A (en) * 2013-06-28 2015-01-19 井関農機株式会社 Working vehicle
KR20150031698A (en) 2013-09-16 2015-03-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A Disrlay Device Of Hybrid Tractor and Interface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158A (en) * 2021-09-17 2023-03-28 주식회사 크래블 A system that assists in autonomous driving of mechanical tractors via human machine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836B1 (en)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6982B1 (en) Tactile feedback system for a remotely controlled work machine
JP4023876B2 (en) Bulldozer ripper auto return device
CA2696137C (en) An automated control module for a power machine
US201701645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owed Implement, which can be Activated Hydraulically, on a Vehicle
AU20142264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atures
US116190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upled work tool identification
CN112840283A (en) Remote operation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KR20180113865A (en)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CN113597772A (en) Remote operation system
CN108323259B (en) Work vehicle and other vehicle monitoring system
EP3739131B1 (en) Construction machine
CN110716457A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tool of a machine
DE102015216482A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aterial handling vehicle, op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terial handling vehicle and picking system
US20200407947A1 (en) Construction machine
US20220002968A1 (en) Teleoperation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20170101745A (en) A tractor loader horizontal auto-control system using can comunication
KR20210044493A (en) Alarm action control system of a construction machinery
KR20170101743A (en) A tractor auto spedd-control system using can comunication
WO2003007266B1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electrical devices
US11747803B2 (en) Remote control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remote control station
WO2023195489A1 (en) Construction machine opera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operating system using said operating device
KR20110071684A (en) Operat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equipment united to armtest
US20230272595A1 (en) Remote control operation of a machine using a light beam for depth perception
JP2000272379A (en) Tractor
JP2012055284A (en) Work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