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315A -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315A
KR20230041315A KR1020210124771A KR20210124771A KR20230041315A KR 20230041315 A KR20230041315 A KR 20230041315A KR 1020210124771 A KR1020210124771 A KR 1020210124771A KR 20210124771 A KR20210124771 A KR 20210124771A KR 20230041315 A KR20230041315 A KR 20230041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water
falling water
nois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046B1 (ko
Inventor
정현철
Original Assignee
프롬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롬비 (주) filed Critical 프롬비 (주)
Priority to KR1020210124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046B1/ko
Publication of KR2023004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가습기, 특히 초음파 가습기 사용 중 많은 분무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낙수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대용량 가습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분무홀을 관체형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낙수 소음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도홀을 구비한 분무관; 및 상기 분무관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낙수 소음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DRIPPING NOISE REDUCER AND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가습기, 특히 초음파 가습기 사용 중 많은 분무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낙수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대용량 가습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건조한 곳에 습기를 제공하여 실내 상태를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습도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수증기를 만들어 내는 방식에 따라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켜 미세 입자화하여 분무하는 초음파 가습기와, 가열을 통해 물을 기화시켜 분무하는 기화식 가습기와, 초음파식과 기화식이 병행되는 복합식 가습기 등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기화식 가습기의 경우 전력 소모가 크고, 분무되는 수증기가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주로 초음파 가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초음파 가습기는 기화식 가습기에 비해 분무양이 매우 많은 장점이 있으나, 많은 양의 수증기가 분무될 때, 수증기 일부가 분무관의 내벽에 부딪혀 물방울로 맺힌 후 흐르면서 발생하는 소리, 그리고 낙수되는 물방울이 수면에 충돌하는 소리 등이 복합된 낙수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낙수 소음은 생활 소음이 큰 장소나 낮 시간대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생활 소음이 적은 독서실 등의 장소나 밤에 수면하는 시간대에 낙수 소음이 특히 크게 들리게 됨에 따라, 집중력을 저하시킴은 물론 수면을 방해하여, 이를 위한 해결책이 필요하였다.
이에 최근 출시되는 가습기, 특히 초음파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자의 위치를 조정하고 측방향에서 송풍이 발생하게 하여 낙수가 분무관의 특정 내벽 부분에서만 발생하게 하고, 낙수가 발생하는 내벽 부분의 경사도를 조절하거나, 경사벽을 추가하거나, 소음 방지 캡을 설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인 30dB 수준으로 낙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낙수 소음 저감 방식은 낙수 소음의 발생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해 여전히 귀에 거슬릴 정도의 낙수 소음이 발생하고, 대용량 가습기, 즉 시간당 500cc(ml) 이상의 분무량을 제공하는 가습기의 경우 상기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낙수 소음이 매우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714773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습기, 특히 초음파 가습기 사용 중 많은 분무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낙수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대용량 가습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분무홀을 구비한 관체형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낙수 소음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에서,
상기 바디는 일측면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송풍구를 구비하되,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는 상기 송풍구의 반대편인 상기 바디의 타측 내주면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에서,
상기 바디는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도홀을 구비한 분무관; 및
상기 분무관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낙수 소음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는,
상향 분무되면서 발생한 물방울이 바디의 내주면 또는 분무관의 내주면에 장착된 다공성 소재의 낙수 소음 저감부재로 흡수되면서 낙수 소음 저감부재를 타고 흐르게 함으로써, 종래의 가습기에 채용된 각종 낙수 소음 방지 기술과 달리 낙수 소음의 발생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분무 방향을 고려한 유체 공학적 설계로 낙수 소음 저감부재를 특정 위치에 국한하여 장착시켜, 구조 간소화를 이루면서,
가이드를 이용한 낙수 소음 저감부재의 탈착 방식으로 낙수 소음 저감부재의 교체 및 바디나 분무관의 세척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분무홀(11)과, 송풍구를 구비한 관체형 바디(10); 및
상기 바디(10)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상하 양면이 개구된 분무홀(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10)의 내벽에 소정의 경사도를 주어 낙수가 보다 잘 흐르도록 바디(10)의 직경이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송풍구는 가습기의 분무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분무홀(11)의 하측 개구부 자체가 송풍구로 기능할 수도 있다. 즉, 송풍구가 없이 별도의 수증기 발생실에서 송풍을 타고 상기 분무홀(11)로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초음파 가습기의 구조를 감안하여, 상기 바디(10)는 일측면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송풍구(12)를 구비한다.
상기 송풍구(12)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장홀 형상으로, 상기 바디(10)의 중단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바디(10)는 상기 송풍구(12)의 하부로 연결되면서 일측면 하단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급수 개구부(13)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 개구부(13)는 다량의 물 공급을 위해 상기 송풍구(12)보다 큰 높이와 너비를 갖는 장방형으로 개구되며, 이때 상기 급수 개구부(13)의 상단 일측 끝단부에 상기 송풍구(12)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바디(10)는 가습기의 분무관(110)에 끼워져, 물통으로부터 가습기 본체로 유입된 물에 상기 급수 개구부(13)가 잠긴 상태로 장착되어, 초음파 진동 등으로 수증기가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송풍구(12)로 공급되는 송풍(A)과 함께 상향 기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분무홀(11)을 타고 분무된다.
이때 대용량 초음파 가습기의 경우, 시간당 500cc(ml) 이상의 많은 분무량으로 인해 분무되는 수중기(V) 중 일부가 물방울(D)로 맺혀지면서 흐르거나, 흐르는 물방울이 수면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낙수 소음이 발생하는 바,
본 발명은 상기한 다공성 소재의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를 상기 바디(10)의 내주면에 장착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는, 물의 흡수가 빠르면서 저속으로 물이 흡수방식으로 흐를 수 있도록 미세 기공이 다수개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면 족하고, 그 소재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의 교체에 따른 비용 절감, 간편한 탈부착 및 세척, 제조 용이성 등을 위해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근 출시되는 가습기, 특히 초음파 가습기는 분무에 필요한 송풍 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하는 방식을 택하는 바,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형성하지 않게 소형화할 수 있도록,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는 상기 송풍구(12)의 반대편인 상기 바디(10)의 타측 내주면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그 폭과 너비 및 두께 등은 가습기의 분무 용량, 즉 가습기의 분무관 직경(보다 엄밀하게는 바디(10)의 내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분무 중 물방울 흡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구(12)보다 큰 좌우 너비를 가지면서, 상기 송풍구(12)의 하측단에서 상기 바디(10)의 상측 끝단까지 커버할 수 있는 크기(면적)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의 탈착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디(10)는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가 끼워지는 끼움부(14a)를 형성하는 가이드(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14)는 초음파 가습기의 송풍 구조에 맞춰, 상기 바디(10)의 타측 내주면, 즉 상기 송풍구(12)의 반대편 내주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14)는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의 좌우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좌우 이격하여 배열되면서,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각 가이드(14)의 끝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유사'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의 노출 면적을 확보하면서 낙수 소음 저감부재(20)가 바디(10)의 타측 내주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14)의 하측단 사이에는 바디(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받침부(14b)가 연결되어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의 과삽입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14b)의 저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형태의 유선형 만곡부(14c)로 형성되어,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로 흡수되어 흐른 물방울이 상기 받침부(14b)를 타고 넘을 때 상기 만곡부(14c)의 경사도를 따라 흘러서 낙수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나아가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디(10)의 내주면과 각 가이드(14) 사이의 너비는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로 갈수록 각 가이드(14) 내부의 공간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14a)의 폭 너비가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펀지 등의 연질 소재로써, 길이가 길 경우 바디(10) 내부로 손을 넣어서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상기 바디(10)는 상기 송풍구(12)의 상측에서 일측면 상단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낙수 소음 저감부재(20) 탈착용 탈착 보조 개구부(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탈착 보조 개구부(15)는 사용자가 바디(10) 내부로 깊숙이 손을 넣어서 손가락으로 이용해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를 보다 쉽게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바디(10)는 상기 송풍구(12) 상부에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맞춤돌기(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맞춤돌기(16)는 후술하는 가습기의 분무관(110)에 구비된 끼움홈(미도시)에 끼워지는 것으로, 낙수 소음 저감기 조립 시 상기 송풍구(12)가 송풍관(2)에 맞춰지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바디(10)는 하측 내주면에서 돌출된 분리돌기(1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리돌기(17)는 가습기의 분무관(110)에서 낙수 소음 저감기를 빼낼 때, 사용자가 분리돌기(17)를 잡아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도홀(111)과, 송풍구를 구비한 분무관(110); 및
상기 분무관(110)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분무관(110)은 내주면에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가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상기 바디(10)의 가이드(14)가 상기 분무관(110)의 내주면 구비되어, 낙수 소음 저감부재(20)가 분무관(110)에 직접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디(10)를 포함한 낙수 소음 저감기(N)가 상기 분무관(110) 내부에 탈착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가 분무관(110)에 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10)가 상기 유도홀(111)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의 분무관(110) 직접 탈착 방식은 분무관(110) 자체로 수증기가 상향 유도됨에 반해,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의 바디(10) 탈착 방식은 분무관(110) 내부에 상기 낙수 소음 저감기(N)가 추가 장착되어 실제로는 수증기가 낙수 소음 저감기의 바디(10)를 통해 상향 유도되어 분무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낙수 소음 차단 효과는 동일하다.
또한 상기 분무관(110)은 송풍에 의해 상향 기류로 분무되는 수증기를 가습기의 분무구(미도시)로 유도하는 관체로써, 가습기의 종류에 따라 그 연결 부품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가습기의 종류에 따라 가습기를 구성하는 기본 구성, 즉 수증기 발생 수단, 송풍 수단에 맞춰 다양하게 변형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물통을 사용하면서, 가습기 본체의 저수부 중앙에 상기 분무관(110)이 직접 입설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대용량 물통(100)의 중앙에 상기 분무관(110)이 입설된 형태로써, 가습기 본체의 저수부에 구비된 초음파 진동자(1) 위에 상기 분무관(110)이 위치하여 수증기 분부되는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의 바디(10) 탈착 방식과 함께, 가습기 본체에 초음파 진동자(1) 및 송풍팬(2)이 구비된 초음파 가습기를 대표하여 본 발명의 가습기를 설명한다.
상기 물통(100)은 가습기 본체(미도시)로부터 탈착 가능한 형태로써, 상부 뚜껑(미도시)에 의해 상측 개구부가 밀폐되며, 이때 상기 분무관(110)은 상부 뚜껑의 관로에 연결되어 수증기가 상기 분무홀(11)을 타고 올라가 상기 관로를 지나 분무구(미도시)를 통해 가습기 외부로 분무된다.
상기 물통(100)은 상기 분무관(110) 일측에 송풍팬(2)에 연결된 송풍관(2)이 입설되는 별도의 공간 구조물이 구비된다.
이러한 물통(100)의 분무관(110)에 상기 맞춤돌기(16)를 맞춰서 낙수 소음 저감기(N)를 끼워서 조립한 후, 물통(100)에 물을 채운 다음 가습기 본체에 장착하면,
상기 바디(10)가 가습기 본체의 초음파 진동자(1)를 덮으면서, 물통(100)의 물(W2)이 정화기 등을 거쳐서 물통(100) 하부의 저수부로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되는 저수부의 물(W1)이 상기 급수 개구부(13)를 통해 상기 바디(10) 내부로 유입되어 초음파 진동자(1) 상부 공간에 물이 채워진다.
그리고 가습기를 작동하면, 초음파 진동자(1)로 바디(10) 내부의 물이 미세 입자화 되면서 수증기(V)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관(2)에서 토출되는 송풍은 상기 분무관(110)의 외벽을 타고 하향 기류를 형성한 후 상기 송풍구(12)를 통해 바디(10) 내부로 유입된 이후 상기 바디(10)의 내벽을 타고 상향 기류를 형성하여 상기 바디(10)의 상단 개구부로 배출됨에 따라, 초음파 진동자(1)로 인해 발생한 수증기가 함께 분무된다.
이때 송풍관(2)과 송풍구(12)의 위치 구조로 인해 상향 기류를 타는 수증기는 상기 송풍구(12)의 반대편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발산각을 가지면서 분무되며,
이에 수중기에 포함된 일부 물방울(D)은 상기 바디(10)의 타측 내주면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방울은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에 충돌하면서 흡수됨에 따라, 경질 내벽과의 충돌로 인한 낙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로 흡수된 물방울이 중력 및 흡수 작용으로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를 매개로 아래로 흡수되면서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를 타고 흐름에 따라, 낙수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를 타고 흐른 물방울은 상기 받침부(14b) 저면의 만곡부(14c)를 타고 저수부의 물에 안착되므로, 낙수의 낙하 충격으로 인한 낙수 소음 역시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20)가 상기 분무관(110)에 직접 장착될 경우, 바디(10)만이 생략된 형태로써, 낙수 소음 차단 원리의 핵심은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는, 종래의 가습기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 낙수 소음 장지 구조와 다르게 낙수 소음의 발생을 완벽 차단하며, 특히 시간당 500cc(ml) 이상의 분무량을 제공하는 대용량 가습기라도 낙수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 11 : 분무홀
12 : 송풍구 13 : 급수 개구부
14 : 가이드 14a : 끼움부
14b : 받침부 14c : 만곡부
15 : 탈착 보조 개구부 16 : 맞춤돌기
17 : 분리돌기
20 : 소음 저감부재
100 : 분무관 111 : 유도홀

Claims (4)

  1.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분무홀을 구비한 관체형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낙수 소음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일측면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송풍구를 구비하되,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는 상기 송풍구의 반대편인 상기 바디의 타측 내주면 일부 영역을 커버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 소음 저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낙수 소음 저감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4.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도홀을 분무관; 및
    상기 분무관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낙수 소음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210124771A 2021-09-17 2021-09-17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 KR102602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771A KR102602046B1 (ko) 2021-09-17 2021-09-17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771A KR102602046B1 (ko) 2021-09-17 2021-09-17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315A true KR20230041315A (ko) 2023-03-24
KR102602046B1 KR102602046B1 (ko) 2023-11-15

Family

ID=8587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771A KR102602046B1 (ko) 2021-09-17 2021-09-17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0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883Y1 (ko) * 1987-04-09 1990-08-02 대우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무화실의 소음방지 장치
KR101728057B1 (ko) * 2015-11-18 2017-04-18 (주)이엠케이트레이딩코퍼레이션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883Y1 (ko) * 1987-04-09 1990-08-02 대우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무화실의 소음방지 장치
KR101728057B1 (ko) * 2015-11-18 2017-04-18 (주)이엠케이트레이딩코퍼레이션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046B1 (ko)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1276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921274B1 (ko) 측부배출형 무지향성 공기청정기
CN205372900U (zh) 一种空气加湿净化装置
CA2305092A1 (en) Combination humidifier and air purifier
CN104019515B (zh) 一种加湿器
KR101916886B1 (ko) 가습기
JP5052433B2 (ja) 加湿機
JP2008039326A (ja) 加湿装置
CN201484121U (zh) Usb车载加湿器
KR20230041315A (ko) 가습기용 낙수 소음 저감기 및 가습기
KR20110012436A (ko) 폭포형 공기 청정기
JP4545773B2 (ja) 気化式加湿機
JPH05180471A (ja) 超音波加湿器
KR101728056B1 (ko) 상부급수형 가습기
KR101669644B1 (ko) 공기 청정 겸용 가습기
US20050133942A1 (en) Cartridge humidifier
KR20110012428A (ko) 폭포형 공기 청정기
KR102500340B1 (ko)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JP2013257144A (ja) 加湿器フィルター
JP2005003304A (ja) 加湿機
KR20170077644A (ko) 가습장치
JP5830922B2 (ja) 加湿器の吹出構造
KR20210065528A (ko) 회전 물공급 방식 가습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CN219572149U (zh) 一种带香薰盒结构的加湿器
CN218672497U (zh) 消声减噪结构、超声波加湿组件和取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