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828A -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828A
KR20230040828A KR1020210124394A KR20210124394A KR20230040828A KR 20230040828 A KR20230040828 A KR 20230040828A KR 1020210124394 A KR1020210124394 A KR 1020210124394A KR 20210124394 A KR20210124394 A KR 20210124394A KR 20230040828 A KR20230040828 A KR 20230040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microholes
inlet
outlet
micro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홍
Original Assignee
(주)티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티에스 filed Critical (주)티티에스
Priority to KR1020210124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828A/ko
Publication of KR2023004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59Diffusion of reactive gas to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41/14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very small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11Micro dri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63Gas nozzles
    • C23C16/45565Showe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퓨져의 미세홀의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퓨져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가공을 통해 제1 인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인릿 미세홀을 플랫 가공하여 제2 인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디퓨져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가공을 통해 제1 아웃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아웃릿 미세홀을 형상 가공하여 제2 아웃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인릿 미세홀과 제2 아웃릿 미세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디퓨져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가공을 통해 중간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Diffuser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퓨져의 미세홀의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 및 디스플레이 증착 공정에 사용되는 화학적 기상 증착(CVD)은 웨이퍼나 글래스에 박막을 균일하게 증착하기 위해 디퓨져(또는 샤워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웨이퍼나 글래스의 박막 증착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디퓨져의 정밀함이 요구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10)에 박막을 증착하기 위해 백킹 플레이트(100)와 백킹 플레이트(100)에 지지되는 디퓨져(200)가 배치된다. 백킹 플레이트(100)는 외부로부터 공정가스를 주입 받아 이를 다시 디퓨져(200)로 보내며, 디퓨져(200)는 백킹 플레이트(100)로부터 유입된 공정가스를 미세홀(210)을 통해 균일하게 분사하여 서셉터(300) 위에 재치된 글래스(10)에 박막이 균일하게 증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디퓨져 미세홀(210) 중 어느 하나의 예를 들어 디퓨져 미세홀(210)의 가공하는 것을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디퓨져 플레이트(200a)의 상측에서 하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상측 미세홀(211)을 드릴 가공을 통해 형성한다. 이때 드릴 가공에 의해 상측 미세홀(211)의 하부면은 대략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져 플레이트(200a)의 하측에서 상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하측 미세홀(213)을 드릴 가공을 통해 형성한다. 이때 드릴 가공에 의해 하측 미세홀(213)의 전체 형상은 대략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미세홀(211)과 하측 미세홀(213)이 서로 연통되도록 디퓨져 플레이트(200a)의 하측에서 상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중간 미세홀(212)을 가공을 통해 형상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미세홀(211)의 하부면과 하측 미세홀(213)의 상부면을 서로 관통하여 형성된 중간 미세홀(222)의 길이(L1과 L21 또는 L1과 L22)가 가공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거나 또는 불규칙하여 미세홀의 수직도, 동심도, 위치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가공 환경의 일예로서 가공 툴이 마모되거나, 주위 온도의 변화, 1차 가공과 2차 가공시 가공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경우 등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JP 2005-32802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인릿 미세홀을 플랫 가공하고, 아웃릿 미세홀을 형상 가공하여 중간 미세홀의 길이를 일정하게 가공할 수 있어 수직도 및 동심도를 좋게 하여 균일한 박막증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퓨져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가공을 통해 제1 인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인릿 미세홀을 플랫 가공하여 제2 인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디퓨져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가공을 통해 제1 아웃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아웃릿 미세홀을 형상 가공하여 제2 아웃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인릿 미세홀과 제2 아웃릿 미세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디퓨져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가공을 통해 중간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릿 미세홀은 제1 인릿 미세홀을 가공하는 드릴 가공과 다른 플랫 가공에 의해 이루어지며,
플랫 가공은 드릴 가공에 따라 형성된 제1 인릿 미세홀의 폭보다 적어도 일면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적어도 하부면이 플랫하게 형성되도록 디퓨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가공된다.
또한, 제2 아웃릿 미세홀은 제1 아웃릿 미세홀을 가공하는 드릴 가공과 다른 형상 가공에 의해 이루어지며,
형상 가공은 드릴 가공에 따라 형성된 제1 아웃릿 미세홀의 폭보다 적어도 일면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적어도 상부면이 플랫하게 형성되도록 디퓨져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가공된다.
또한, 플랫 가공 및 형상 가공에 따라 제2 인릿 미세홀의 하부면 및 제2 아웃릿 미세홀의 상부면이 플랫하게 가공 형성됨으로써 제2 아웃릿 미세홀의 상부면에서 제2 인릿 미세홀의 하부면까지의 길이가 일정하게 가공 형성된다.
또한, 제1 인릿 미세홀을 가공한 후에 제1 인릿 미세홀의 하부면이 플랫하도록 제2 인릿 미세홀을 가공 형성하고,
제1 아웃릿 미세홀을 가공한 후에 제1 아웃릿 미세홀의 상부면이 플랫하도록 제2 아웃릿 미세홀을 가공 형성함으로써 제2 인릿 미세홀의 하부면과 제2 아웃릿 미세홀의 상부면이 서로 쌍으로 플랫하도록 가공 형성되고,
쌍으로 형성된 플랫한 면을 관통하도록 중간 미세홀을 가공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가스를 외부로부터 디퓨져 내로 유입하며, 가공에 의해 하부면이 플랫하게 형성된 인릿 미세홀, 가공에 의해 상부면이 플랫하게 형성된 아웃릿 미세홀, 인릿 미세홀의 플랫한 하부면과 아웃릿 미세홀의 플랫한 상부면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미세홀을 포함하며, 쌍으로 형성된 플랫한 면을 관통하도록 중간 미세홀을 가공 형성함으로써 아웃릿 미세홀의 상부면에서 인릿 미세홀의 하부면까지의 길이가 일정하게 가공 형성된다.
또한, 인릿 미세홀의 형상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아웃릿 미세홀의 형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릿 미세홀을 플랫 가공하고, 아웃릿 미세홀을 형상 가공하여 중간 미세홀의 길이를 일정하게 가공할 수 있어 수직도 및 동심도를 좋게 하여 균일한 박막증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CVD 공정의 챔버 내부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홀의 가공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된 미세홀의 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인릿 미세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인릿 미세홀과 제2 인릿 미세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인릿 미세홀과 제1 아웃릿 미세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a),(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아웃릿 미세홀과 제2 아웃릿 미세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인릿 미세홀, 제2 아웃릿 미세홀, 중간 미세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은 디퓨져 미세홀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공정가스의 분사를 원활히 함으로써 글래스(10)의 박막 증착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제1 인릿 미세홀(221a)을 디퓨져 플레이트(200a)의 상측에서 하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소형 드릴 가공을 통해 형성한다. 이때, 제1 인릿 미세홀(221a)의 하부면은 드릴 가공에 의해 그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릿 미세홀(221a)이 형성된 위치에 디퓨져 플레이트(200a)의 상측에서 하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플랫 가공을 한다. 플랫 가공에 의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플랫한 제2 인릿 미세홀(221b)이 형성된다. 이때 형성되는 제2 인릿 미세홀(221b)은 1차 가공된 제1 인릿 미세홀(221a)이 형성된 위치에서 제1 인릿 미세홀(221a)의 폭보다 넓게 2차적으로 가공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적으로 제1 아웃릿 미세홀(223a)을 디퓨져 플레이트(200a)의 하측에서 상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드릴 가공을 통해 형성한다. 이때, 제1 아웃릿 미세홀(223a)은 드릴 가공에 의해 그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아웃릿 미세홀(223a)은 제1 인릿 미세홀(221a)에 비해 그 폭이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술한 제1 인릿 미세홀(221a)과 제1 아웃릿 미세홀(223a)의 가공 순서는 가공 환경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으며 가공 순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웃릿 미세홀(223a)이 형성된 위치에 디퓨져 플레이트(200a)의 하측에서 상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형상 가공을 한다. 형상 가공에 의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플랫한 제2 아웃릿 미세홀(223b)이 형성된다. 형상 가공은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아웃릿 미세홀(223a)의 단면을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가공하면서 동시에 상부면이 플랫하도록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아웃릿 미세홀(223b)은 3차 가공된 제1 아웃릿 미세홀(223a)이 형성된 위치에서 제1 아웃릿 미세홀(223a)의 폭보다 넓게 4차적으로 가공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아웃릿 미세홀(223b)의 폭은 제2 인릿 미세홀(221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릿 미세홀(221b)과 제2 아웃릿 미세홀(223b)을 서로 연통시키면서, 제2 인릿 미세홀(221b)의 하부면과 제2 아웃릿 미세홀(223b)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중간에 형성되는 중간 미세홀(222)을 디퓨져 플레이트(200a)의 하측에서 상측방향(화살표 참조)으로 5차적으로 가공한다. 가공된 중간 미세홀(222)은 제2 인릿 미세홀(221b)의 하부면이 플랫하고, 이와 쌍으로 대향되는 제2 아웃릿 미세홀(223b)의 상부면이 플랫하기 때문에 중간 미세홀(222)의 길이(L3)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수직도 및 동심도를 좋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공정가스의 미세홀 내의 흐름에 비해 더욱 직직성 있게 흐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1차 및 3차 미세홀 가공과 1차 및 3차에 각각 대응되는 2차 및 4차 미세홀 가공에 사용되는 툴은 각기 다른 툴을 사용한다. 또한, 1차 및 3차 미세홀 가공에 비해 2차 및 4차 미세홀 가공이 면적을 더 넓게 가공하고, 일면을 플랫하게 가공한다(플랫 가공 및 형상 가공). 플랫 가공 및 형상 가공을 통해 중간 미세홀(222)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글래스
100 : 백킹 플레이트
200 : 디퓨져
200a : 디퓨져 플레이트
210 : 미세홀
211 : 상측 미세홀
212 : 중간 미세홀
213 : 하측 미세홀
220 : 미세홀
221a : 제1 상측 미세홀(또는 제1 인릿 미세홀)
221b : 제2 상측 미세홀(또는 제2 인릿 미세홀)
222 : 중간 미세홀
223a : 제1 하측 미세홀(또는 제1 아웃릿 미세홀)
223b : 제2 하측 미세홀(또는 제2 아웃릿 미세홀)
300 : 서셉터
310 : 샤프트
400 : 챔버

Claims (7)

  1. 디퓨져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가공을 통해 제1 인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인릿 미세홀을 플랫 가공하여 제2 인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디퓨져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가공을 통해 제1 아웃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아웃릿 미세홀을 형상 가공하여 제2 아웃릿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인릿 미세홀과 제2 아웃릿 미세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디퓨져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가공을 통해 중간 미세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릿 미세홀은,
    상기 제1 인릿 미세홀을 가공하는 드릴 가공과 다른 플랫 가공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플랫 가공은,
    상기 드릴 가공에 따라 형성된 상기 제1 인릿 미세홀의 폭보다 적어도 일면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적어도 하부면이 플랫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디퓨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웃릿 미세홀은,
    상기 제1 아웃릿 미세홀을 가공하는 드릴 가공과 다른 형상 가공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형상 가공은,
    상기 드릴 가공에 따라 형성된 상기 제1 아웃릿 미세홀의 폭보다 적어도 일면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적어도 상부면이 플랫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디퓨져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가공 및 형상 가공에 따라 상기 제2 인릿 미세홀의 하부면 및 제2 아웃릿 미세홀의 상부면이 플랫하게 가공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아웃릿 미세홀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2 인릿 미세홀의 하부면까지의 길이가 일정하게 가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릿 미세홀을 가공한 후에 상기 제1 인릿 미세홀의 하부면이 플랫하도록 상기 제2 인릿 미세홀을 가공 형성하고,
    상기 제1 아웃릿 미세홀을 가공한 후에 상기 제1 아웃릿 미세홀의 상부면이 플랫하도록 상기 제2 아웃릿 미세홀을 가공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인릿 미세홀의 하부면과 상기 제2 아웃릿 미세홀의 상부면이 서로 쌍으로 플랫하도록 가공 형성되고,
    상기 쌍으로 형성된 플랫한 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중간 미세홀을 가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6. 공정가스를 외부로부터 디퓨져 내로 유입하며, 가공에 의해 하부면이 플랫하게 형성된 인릿 미세홀,
    가공에 의해 상부면이 플랫하게 형성된 아웃릿 미세홀,
    상기 인릿 미세홀의 플랫한 하부면과 상기 아웃릿 미세홀의 플랫한 상부면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미세홀을 포함하며,
    쌍으로 형성된 플랫한 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중간 미세홀을 가공 형성함으로써 상기 아웃릿 미세홀의 상부면에서 상기 인릿 미세홀의 하부면까지의 길이가 일정하게 가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릿 미세홀의 형상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아웃릿 미세홀의 형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KR1020210124394A 2021-09-16 2021-09-16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KR20230040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394A KR20230040828A (ko) 2021-09-16 2021-09-16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394A KR20230040828A (ko) 2021-09-16 2021-09-16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828A true KR20230040828A (ko) 2023-03-23

Family

ID=8579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394A KR20230040828A (ko) 2021-09-16 2021-09-16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8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8021A (ja) 2004-05-12 2005-11-24 Applied Materials Inc ガスディフューザのホールデザインによるプラズマ均一性制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8021A (ja) 2004-05-12 2005-11-24 Applied Materials Inc ガスディフューザのホールデザインによるプラズマ均一性制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8559B2 (en) Integrated showerhead with thermal control for delivering radical and precursor gas to a downstream chamber to enable remote plasma film deposition
US11605546B2 (en) Moveable edge coupling ring for edge process control during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KR101850255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US10825659B2 (en) Substrate processing chamber including multiple gas injection points and dual injector
US10658222B2 (en) Moveable edge coupling ring for edge process control during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US20190115237A1 (en) Cassette holder assembly for a substrate cassette and holding member for use in such assembly
TWI697952B (zh) 用於晶圓副產物分佈及蝕刻特徵部輪廓均勻性之透過可調式電漿解離的氣體反應軌跡控制
US10113231B2 (en) Process kit including flow isolator ring
KR102178150B1 (ko) 반도체 장비를 위한 밀봉 홈 방법
US10755902B2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focus ring
US11443975B2 (en) Planar substrate edge contact with open volume equalization pathways and side containment
KR100283833B1 (ko) 성막처리장치
US20170178867A1 (en) Gas diffuser having grooved hollow cathodes
US10460977B2 (en) Lift pin holder with spring retention for substrate processing systems
JP2020061549A (ja) 基板処理装置
KR20230040828A (ko) 디퓨져 및 디퓨져 미세홀의 가공 방법
TW201516178A (zh) 用於一沉積腔體之擴散件
KR20190092154A (ko) 반도체 설비의 실링 장치 및 기류 산포 제어 장치
KR102585595B1 (ko) 배플을 갖는 가스 공급 부재
KR20210141361A (ko) 에칭 방법 및 에칭 장치
US11035040B2 (en) Showerhea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230099332A1 (en) Wafer lift pin mechanism for preventing local backside deposition
KR101326386B1 (ko) 반도체 공정챔버
US20240060183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US20230166371A1 (en) Grouping features of showerheads in substrate process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