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725A - Multi-joint robot - Google Patents

Multi-joint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725A
KR20230040725A KR1020210124182A KR20210124182A KR20230040725A KR 20230040725 A KR20230040725 A KR 20230040725A KR 1020210124182 A KR1020210124182 A KR 1020210124182A KR 20210124182 A KR20210124182 A KR 20210124182A KR 20230040725 A KR20230040725 A KR 2023004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achining machine
holder
grip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헌
장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21012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725A/en
Publication of KR2023004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7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7Picking-up and plac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3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gripping surfaces having special shapes
    • B25J15/0038Cylindrical gripp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special application, e.g. multi-arm co-operation, assembly, gras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joint robot comprising a head unit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holders capable of holding a workpiece; a multi-joint robot arm provided with the head unit at the distal end, and having degrees of freedom to grip and supply the unprocessed workpiece to a processing machine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nd to grip and extract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processing machin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so that the robot arm grips and supplies the unprocessed workpiece to the processing machine, and grips and extracts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processing machine, wherein the supply and extraction of the workpiece to the processing machine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Description

다관절 로봇 {MULTI-JOINT ROBOT}Multi-joint robot {MULTI-JOINT ROBOT}

본 발명은 다관절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이 요구되는 피가공물을 가공머신에 공급하고,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가공머신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다관절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ulated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ticulated robot capable of supplying a workpiece to be machined to a machining machine and withdrawing a machined workpiece from the machine.

각종 부품 따위를 절삭이나 소성 등을 통해 만드는 머신(machine)으로서, 선반, 밀링머신, 평삭기, 연삭기 등을 통칭하여 공작기계라고 하고, 이러한 공작기계를 작업자의 수동 조작없이 수치 데이터를 입력하여 가공하도록 하는 것을 NC(Numercial Control) 공작기계라고 한다.As a machine that makes various parts through cutting or firing, lathes, milling machines, planers, grinding machines, etc.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chine tools, and these machine tools are processed by inputting numerical data without operator manual manipulation. It is called NC (Numercial Control) machine tool.

이러한 NC 공작기계 조작은 작업자에게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작업할 수 있고, 특히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다.Since this NC machine tool operation does not require a high level of skill from the operator, anyone can operate it, and i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small quantity production of various types.

다만, 다량으로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매번 미가공된 피가공물을 NC 공작기계(또는 가공머신)에 일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고,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거나 작업 피로도가 높은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process in large quantities, since the worker must provide unprocessed workpieces to the NC machine tool (or processing machine) every day, work efficiency is reduced,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occur or work fatigue is high for workers. there is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공머신에 피가공물을 인출입시키는 컨베이어 따위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온 적재물을 자동으로 목표 위치에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automatically loading the load transported by a conveyor such as a conveyor that pulls in and out of the workpiece to the target position in multiple stages.

KRKR 10-1161056 10-1161056 B1B1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가공머신에 자동으로 공급하고, 동시에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는 다관절 로봇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culated robot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a workpiece to a processing machine by gripping it, and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withdrawing a workpiece that has been process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파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 홀더가 마련된 헤드부, 말단부에 상기 헤드부가 마련되어,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머신에 공급하고, 상기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자유도를 가진 다관절의 로봇암, 및 상기 로봇암이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상기 가공머신에 공급하고, 상기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인출하되, 상기 제1 및 제2 홀더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머신에 상기 피가공물의 공급 및 인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로봇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관절 로봇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d portion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holders capable of holding a workpiece, and the head portion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to hold the unprocessed workpiece and process the workpiece. A multi-joint robot arm having degrees of freedom to grip and withdraw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and the robot arm holding the unprocessed workpiece and supplying the workpiece to the machining machine And, holding and withdrawing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is controlled so that the workpiece is supplied to and withdrawn from the machining machine at the same time using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Provided is an articulated robot includ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은 파이프이되, 파이프공급기에 의해 다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는 취출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홀더가 상기 취출된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orkpiece may be a pipe, and at least one pipe among a plurality of pipes may be taken out by a pipe feeder, and the first or second holder may be provided to hold the taken out pipe. .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홀더는, 각각이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였을 때, 상기 피각공물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나란하지 않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may not be arranged side by sid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objects to be processed when each grips the object to be process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홀더가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상기 가공머신에 공급한 이후, 상기 가공머신이 상기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도중, 상기 제1 홀더가 또 다른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고, 상기 제2 홀더가 상기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고, 상기 제1 홀더가 상기 가공머신에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after the first holder grips the unprocessed workpiece and supplies it to the machining machine, while the machining machine is processing the workpiece, the first holder is another one. The unprocessed workpiece may be held, the second holder may hold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and the first holder may supply the unprocessed workpiece to the machining machin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홀더가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상기 가공머신에 공급한 이후, 상기 가공머신이 상기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도중, 상기 제2 홀더가 또 다른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고, 상기 제1 홀더가 상기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고, 상기 제2 홀더가 상기 가공머신에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after the first holder grips the unprocessed workpiece and supplies it to the machining machine, while the machining machine is processing the workpiece, the second holder is another The unprocessed workpiece may be held, the first holder may hold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and the second holder may supply the unprocessed workpiece to the machining machin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둘 이상의 교시 자세에 따라 상기 로봇암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according to two or more preset teaching posture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인접한 위치의 배출함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hold the workpiece, which has been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and move it to an adjacent discharge box.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가공머신에 자동으로 공급하고, 동시에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ip the workpiece and automatically supply it to the machining machine, and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take out the workpiece that has been process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장착된 다관절 로봇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파이프를 파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A is a diagram showing an articulate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view showing an articulated robot equipped with a he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head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d part grips a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장착된 다관절 로봇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파이프를 파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A is a diagram showing an articulate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diagram showing an articulated robot equipped with a hea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head part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part grips a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적재 능력을 가진 다관절 로봇은, 피가공물을 파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 홀더(31, 32)가 마련된 헤드부(20)와, 말단부에 헤드부(20)가 마련되어, 미가공된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머신(미도시)에 공급하고,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자유도를 가진 다관절의 로봇암(10)을 포함하되, 로봇암(10)이 미가공된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가공머신에 공급하고,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인출하되, 제1 및 제2 홀더(31, 32)를 이용하여 가공머신에 피가공물의 공급 및 인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로봇암(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A to 3, the articulated robot having multi-stage loading capac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d portion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holders 31 and 32 capable of holding a workpiece. (20), and a head portion 20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grips the unprocessed workpiece, supplies it to a processing machine (not shown)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nd grips and withdraws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processing machine. It includes a multi-joint robot arm 10 having degrees of freedom so that the robot arm 10 grips the unprocessed workpiece and supplies it to the processing machine, and grips and withdraws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processing machine. Howeve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10 so that the workpiece is supplied to and taken out of the machining machine using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1 and 32 at the same time.

여기서, 피가공물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관형의 파이프(pipe)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피가공물"과 "파이프"는 혼용될 수 있다.Here, the workpie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tubular pi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nd among the terms used herein, “workpiece” and “pip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다관절의 로봇암(10)은 바람직하게 파이프를 공급하는 파이프공급기(pipe-feeder)에 의해 제공된 파이프(1)를 파지할 수 있고, 이후, 로봇암(10)은 파지한 미가공된 파이프(1)를 가공머신(미도시)에 공급할 수 있다.The multi-joint robot arm 10 can preferably grip the pipe 1 provided by the pipe-feeder that supplies the pipe, and then the robot arm 10 grips the unprocessed pipe 1 ) can be supplied to a processing machine (not shown).

또한, 이와 반대로, 다관절의 로봇암(10)은 가공머신으로부터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1)를 파지할 수 있고, 이후, 로봇암(10)은 파지한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1)를 분류하기 위해, 인접한 위치의 배출함으로 이동시켜 적재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contrary, the multi-joint robot arm 10 can grip the pipe 1 that has been processed from the machining machine, and then the robot arm 10 can sort the pipe 1 that has been processed. For this purpose, it can be moved and loaded into an adjacent discharge box.

파이프공급기는 다수의 파이프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취출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홀더(31, 32)가 취출된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pipe fee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provided to take out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pipes so that the first or second holders 31 and 32 can hold the taken out pipes.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이프공급기는, 경사면(slope)을 갖되,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는 파이프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파이프승강부(미도시)가 마련되어, 파이프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파이프를 로봇암(10)이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pipe feeder has a slope, and at the lower end of the slope, a pipe lifting part (not shown) is provided to raise at least a portion of the pipes descending along the slope, It is possible to enable the robot arm 10 to grip the pipe elevated by the pipe elevating unit.

한편, 로봇암(10)의 말단부에 마련된 헤드부(20)에는 파이프(1)를 파지할 수 있는 홀더가 마련되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두 개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 holder capable of holding the pipe 1 is provided in the head 20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bot arm 10, and two hol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홀더는 파이프(1)를 파지할 수 있는 것이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인 일 예로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 형태를 갖되, 마주하는 집게의 내주면은 파지하는 피가공물의 외관에 따른 홈을 가질 수 있다. 피가공물이 파이프(1)인 경우, 마주한 집게의 내주면이 파이프(1)의 단면인 원형을 갖도록 각 집게의 내측에는 원호 형태의 홈을 가질 수 있다.As long as the holder can grip the pipe 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s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S. It may have a groove according to the appearance. When the workpiece is the pipe 1, each of the tongs may have an arc-shaped groove on the inside of each tong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ngs facing each other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pipe 1.

이 이외에, 상기 홀더는 파이프(1)를 들어 올려 리프팅(lifting)하기 위한 포크(fork) 형태 등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o thi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holder may be in the form of a fork for lifting and lifting the pipe 1.

로봇암(10)의 말단부에 두 개의 홀더, 즉 제1 및 제2 홀더(31, 32)를 마련하기 위해 홀더플레이트(21)가 마련될 수 있다.A holder plate 21 may b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bot arm 10 to provide two holders, that is, first and second holders 31 and 32 .

즉, 로봇암(10)의 말단부에 마련된 홀더플레이트(21) 위에 제1 및 제2 홀더(31, 3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및 제2 홀더(31, 32)는 각각이 피가공물인 파이프(1)를 파지하였을 때, 파지된 두 파이프(1)들 간에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1 and 32 may be disposed on the holder plate 21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bot arm 10.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1 and 32 are respectively When the pipe 1, which is the workpiece, is grippe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gripped two pipes 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홀더(31, 32)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홀더플레이트(21)가 사각의 판형인 경우, 홀더플레이트(21)의 위에 가상의 4사분면 중 1사분면과 3사분면, 또는 2사분면과 4사분면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제1 및 제2 홀더(31, 32)가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1 and 32 are preferably arranged so as not to be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holder plate 21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first and second quadrants are located on the holder plate 21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third quadrants, or the second and fourth quadrants, respectively, among imaginary four quadrants. 2 holders 31 and 32 may be dispos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로봇암(10)의 동작을 제어하되, 기 설정된 명령에 의해 로봇암(10)의 위치 및 방향, 그리고 홀더(31, 32)의 그립(grip)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제1 홀더(31)가 미가공된 파이프(1)를 파지하여 가공머신에 공급한 이후, 가공머신이 파이프(1)를 가공하는 도중, 상기 제1 홀더(31)가 또 다른 미가공된 파이프(1)를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10, bu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robot arm 10 and the grips of the holders 31 and 32 ( grip operation, etc.,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control unit grips the unprocessed pipe 1 by the first holder 31 and supplies it to the processing machine, and then the processing machine pulls the pipe 1 During processing, the first holder 31 can be made to hold another unprocessed pipe 1 .

그 다음에 제2 홀더(32)가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1)를 파지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홀더(31)는 가공머신에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n, the second holder 32 can hold the pipe 1 that has been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and at this time, the first holder 31 can supply the unprocessed workpiece to the machining machine.

즉, 제1 및 제2 홀더(31, 32)는 가공머신에서 가공된 파이프(1)를 파지할 때, 미가공된 파이프(1)를 공급함으로써, 로봇암(10)의 동작을 간소화하여, 가공머신이 피가공물의 가공행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1 and 32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10 by supplying the unprocessed pipe 1 when the processing machine grips the pipe 1, The machine can make the machining process of the work piece continuously.

이때, 가공머신에서 제2 홀더(32)가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1)를 파지하고, 제1 홀더(31)는 가공머신에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공급할 수도 있지만, 이와 반대로, 제1 홀더(31)가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1)를 파지하고, 제2 홀더(32)가 가공머신에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the machining machine, the second holder 32 grips the pipe 1 that has been processed by the machine, and the first holder 31 may supply the unprocessed workpiece to the machining machine, but on the contrary, The first holder 31 may hold the pipe 1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and the second holder 32 may supply the unprocessed workpiece to the machining machine.

즉, 제어부는, 제1 홀더(31)가 미가공된 파이프(1)를 파지하여 가공머신에 공급한 이후, 가공머신이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도중, 제2 홀더(32)가 또 다른 미가공된 파이프(1)를 파지하고, 그 다음에 제1 홀더(31)가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파이프(1)를 파지하고, 이때 제2 홀더(32)가 가공머신에 미가공된 파이프(1)를 공급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first holder 31 grips the unprocessed pipe 1 and supplies it to the processing machin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holder 32 to hold another unprocessed pipe while the processing machine processes the workpiece. (1), and then the first holder 31 grips the pipe 1 that has been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and at this time, the second holder 32 holds the unprocessed pipe 1 in the machining machine. can supply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헤드부는, 파이프(1)를 파지할 수 있는 홀더 이외에, 피가공물의 중량을 측장할 수 있는 로드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art may further include a load cell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a workpiece in addition to a holder capable of holding the pipe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셀은, 피가공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type of load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measure the weight of a workpiece.

이에 따라, 제어부는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피가공물의 중량을 근거로, 홀더가 피가공물을 파이프공급기로부터 미가공된 파이프를 파지하였는지, 또는 가공머신으로부터 가공된 파이프를 파지하였는지를 판정할 수 있고, 로봇암(10)이 피가공물을 파지하지 못한채로 불필요한 이동이나 불필요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holder grips the unprocessed pipe from the pipe feeder or the processed pipe from the processing machine based on the weight of the workpiece measured by the load cell, and the robot arm (10) can prevent unnecessary movement or unnecessary operation without holding the workpiece.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파이프
10: 로봇암
20: 헤드부
21: 홀더플레이트
31: 제1 홀더
32: 제2 홀더
100: 다관절 로봇
1: pipe
10: robot arm
20: head part
21: holder plate
31: first holder
32: second holder
100: articulated robot

Claims (6)

피가공물을 파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 홀더가 마련된 헤드부;
말단부에 상기 헤드부가 마련되어,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가공머신에 공급하고, 상기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자유도를 가진 다관절의 로봇암; 및
상기 로봇암이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상기 가공머신에 공급하고, 상기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인출하되, 상기 제1 및 제2 홀더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머신에 상기 피가공물의 공급 및 인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로봇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다관절 로봇.
a head portion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holders capable of holding a workpiece;
The head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to grip the unprocessed workpiece and supply it to a machining machine that processes the workpiece, and to grip and withdraw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s robot arm; and
The robot arm grips and supplies the unprocessed workpiece to the machining machine, and grips and withdraws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and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are used to transfer the workpiece to the machining machine.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robot arm so that the workpiece is supplied and taken out simultaneously;
An articulated robo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은 파이프이되,
파이프공급기에 의해 다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는 취출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홀더가 상기 취출된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머신에 피가공물을 인출입시키는 다관절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piece is a pipe,
At least one pipe among a plurality of pipes is taken out by the pipe feeder, and the first or second holder is provided to hold the taken-out pipe. rob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홀더는, 각각이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였을 때, 상기 피각공물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나란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
According to claim 1,
An articulated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are disposed not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workpieces does not occur when each grips the workpie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홀더가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상기 가공머신에 공급한 이후, 상기 가공머신이 상기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도중, 상기 제1 홀더가 또 다른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고,
상기 제2 홀더가 상기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가공머신에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fter the first holder grips the unprocessed workpiece and supplies it to the machining machine, while the machining machine processes the workpiece, the first holder grips another unprocessed workpiece,
The articulated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older grips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and the first holder supplies the unprocessed workpiece to the machining mach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홀더가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상기 가공머신에 공급한 이후, 상기 가공머신이 상기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도중, 상기 제2 홀더가 또 다른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고,
상기 제1 홀더가 상기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고, 상기 제2 홀더가 상기 가공머신에 미가공된 상기 피가공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fter the first holder grips the unprocessed workpiece and supplies it to the machining machine, while the machining machine processes the workpiece, the second holder grips another unprocessed workpiece,
The articulated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older grips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machining machine, and the second holder supplies the unprocessed workpiece to the machining mach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머신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인접한 위치의 배출함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 articulated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piece, which has been processed by the processing machine, is gripped and moved to an adjacent discharge box.
KR1020210124182A 2021-09-16 2021-09-16 Multi-joint robot KR202300407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182A KR20230040725A (en) 2021-09-16 2021-09-16 Multi-joint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182A KR20230040725A (en) 2021-09-16 2021-09-16 Multi-joint rob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725A true KR20230040725A (en) 2023-03-23

Family

ID=8579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182A KR20230040725A (en) 2021-09-16 2021-09-16 Multi-joint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72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056B1 (en) 2009-09-25 2012-06-29 이윤규 robot having multi-joi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056B1 (en) 2009-09-25 2012-06-29 이윤규 robot having multi-jo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0554B2 (en) Work processing apparatus and work processing method
US4716647A (en) Machine tool
KR101521142B1 (en) Machine tool
SU1716959A3 (en) Machine tool for machining workpieces by rotary tool
JP4955522B2 (en) Automatic chuck claw change system for multi-tasking lathe
JP6944530B2 (en) Machine tool system
CN102357660B (en) Automatic feed lathe
US20090053000A1 (en) Compact High Precision Multiple Spindle Computer Controlled Machine Tool
JP2018039082A (en) Robot system
JPH071204A (en) Vertical turret lathe
KR20130029028A (en) Machine tools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work
KR20230040725A (en) Multi-joint robot
US9844850B2 (en) Machine tool
WO2019166443A3 (en) Machine tool, in particular grinding and/or eroding machine, and method for exchanging a tool assembly
JP5732855B2 (en) Work transfer device
JP6469540B2 (en) Machining center
JP5808226B2 (en) In-machine transfer device for machine tool workpieces
CN215091376U (en) CNC production line automatic feeding system
CN210255407U (en) Machining lathe
JP2017007061A (en) Machining center
KR101434617B1 (en) Supply is equipped with automatic center alignment for the reputation of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s
WO2023276270A1 (en) Opposed twin-spindle lathe
CN217572046U (en) Rotary material warehouse
CN213289541U (en) Swing arm type mechanical arm for numerical control lathe
US20210008680A1 (en) Method of positioning a workpiece on a machine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