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699A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for set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modes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for set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mode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699A
KR20230040699A KR1020210124135A KR20210124135A KR20230040699A KR 20230040699 A KR20230040699 A KR 20230040699A KR 1020210124135 A KR1020210124135 A KR 1020210124135A KR 20210124135 A KR20210124135 A KR 20210124135A KR 20230040699 A KR20230040699 A KR 20230040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pr
compression
voice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환
노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2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699A/en
Publication of KR2023004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6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61N1/3904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in combination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5Heart stimulation with feedback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7Manual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61H2201/5046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ritical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which allows a rescuer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by selecting a guidance method for a CPR mode during a CPR mode, and a method for setting a CPR guidance mode thereof are disclosed.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PR guidance mode control unit, a CPR mode setting means, and a controller. The CPR guidance mode control unit executes one of a voice explanation mode for executing voice guidance for chest compressions for CPR, an output of a metronome sound effect for a chest compression speed, and voice guidance for artificial respiration, a compression-only mode for outputting the metronome sound effect to guide a speed of continuous chest compressions, and a mute mode for stopping the voice guidance for CPR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time remaining until ECG analysis is completed. The CPR mode setting means is configured to set any one of the voice explanation mode, the compression-only mode, and the mute mode. The controller controls execution of a corresponding mode set by the CPR mode set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 the CPR mode, a rescuer can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 CPR by selecting the guidance method for the CPR mode. Therefore, in situations in which a rescuer's skill level is low or an infectious disease such as COVID-19 is prevalent, a survival rate of a cardiac arrest patient can be increased by omitting CPR artificial respiration and performing CPR.

Description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심폐소생술 안내 모드 설정 방법{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FOR SET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MODES THEREOF}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its CPR guidance mode setting metho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FOR SET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MODES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제세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폐소생술 모드 시 구조조가 심폐소생술 모드에 대한 안내 방법을 선택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게 하는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심폐소생술 안내 모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that allows a rescue team to perform CPR by selecting a guidance method for the CPR mod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CPR guidance mode will be.

심정지(Cardiac arrest) 환자에 대한 신속한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CPR)과 제세동(Defibrillation)의 시행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의료인뿐 아니라 비의료인도 쉽게 제세동을 시행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가 다중이용시설, 학교, 공공기관 등의 공공장소에 비치되고 있다. 자동 제세동기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자동 분석 장치에 의해 환자의 부정맥(Arrhythmia or Cardiac dysrhythmia), 즉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T),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을 분석 및 판단하고, 부정맥이 발생된 경우 제세동 전극을 통해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는 제세동을 실시하게 된다. Promp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nd defibrillation for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can increase the patient's survival rate. Automated defibrillators, which can easily perform defibrillation not only by medical personnel but also by non-medical personnel, are provided in public places such as multi-use facilities, schools, and public institutions.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alyzes and determines the patient's arrhythmia or cardiac dysrhythmia, that is, ventricular tachycardia (VT) and ventricular fibrillation (VF), by an electrocardiogram (ECG) automatic analysis device, and determines if the arrhythmia is When it occurs, defibrill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through the defibrillation electrode.

자동 제세동기는 본체, 커버, 컨트롤러(Controller), 두 개의 제세동 전극(Defibrillation electrode) 또는 전극 패드(Electrode pad), 심전도 자동 분석 장치, 배터리 팩(Battery pack)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환자에게 부정맥 발생된 경우, 환자에게 부착되어 있는 제세동 전극들을 통해 전기 충격을 가하는 제세동을 제어한다.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consists of a main body, a cover, a controller, two defibrillation electrodes or electrode pads, an electrocardiogram automatic analyzer, and a battery pack. The controller controls defibrillation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hrough defibrillation electrodes attached to the patient when arrhythmia occurs in the patient.

한국 등록특허 제10-1049273호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은 구조자에게 환자에 대한 처치 단계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와, 음성 안내부의 안내 음성의 각 단계마다 실행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실행 평가부와, 실행 평가부의 평가 결과에 따라 음성 안내부의 안내 음성 단계를 변경하는 안내 음성 변경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세동기의 사용자를 위한 안내 그림들이 커버와 본체에 안내 그림들이 표시되어 있다. 이 특허는 사용자의 제세동기 사용 정도를 평가하여 사용자 수준에 따른 맞춤별 음성 안내를 제공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49273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iscloses a voice guidance unit for guiding a rescuer through the treatment steps of a patient by voice, and a step for evaluating the execution level of each step of the guidance voice of the voice guidance unit. It includes an execution evaluation unit and a guidance voice changing unit that changes the guidance voice level of the voice guidance uni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xecution evaluation unit. In addition, guide pictures for users of the defibrillator are displayed on the cover and main body. This patent evaluates the user's defibrillator usage level and provides customized voice guidance according to the user's level.

국제특허출원공개 WO 2005/099818 A2호 '자동 소아 제세동기(Automated pediatric defibrillator)'는 커버에 구빈된 그래피컬 표시부 및 문자 표시부, 구조자에게 프롬프트(Prompt)를 주어 환자의 치료를 시행할 때 구조자를 보조하는 표시부 또는 음성 스피커를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구조자에게 음성 또는 문자 프롬프트를 출력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제세동을 시행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위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WO 2005/099818 A2 'Automated pediatric defibrillator' provides a graphic display unit and a text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cover, and a prompt to the rescuer to assist the rescuer when treating the patient It includes a user interface (User interface) having a display unit or a voice speaker to. It outputs voice or text prompts to the rescuer to understand the patient's condition and guides them to perform defibrillation.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 제세동기는 사용법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설명하는 그림과 주석이 기재되어 있는 설명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자는 설명서를 보면서 스피커를 통한 음성 안내를 받아 제세동을 시행할 수 있으나, 자동제세동기의 사용법을 잘 알고 있지 못한 일반인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세동과 CPR을 시행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가 요구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has an instruction manual with pictures and annotations that visually explain how to use it. Therefore, rescuers can perform defibrillation by receiving voice guidance through the speaker while looking at the manual. there is.

한편, 자동 제세동기는 CPR에 대한 음성 안내 및 일시 정지 모드로 작동한다. CPR의 음성 안내의 경우, 가슴(흉부) 압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메트로놈 효과음(Metronome sound effect)으로 가슴 압박 속도를 안내한다. 훈련된 응급 구조자의 경우, 음성 안내가 처치하는 과정에서 구조자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어 음성 안내를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automated defibrillator operates in pause mode and voice guidance for CPR. In the case of voice guidance of CPR, information on chest compressions is output, and chest compression speed is guided by a metronome sound effect. In the case of a trained first responder, voice guidance may confuse the rescuer in the course of treatment and may cause the voice guidance to be paused.

최근 CPR의 가이드라인(Guideline)에서는 인공호흡을 하면서 발생하는 가슴 압박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등 전염병이 유행하는 상황 시 CPR의 인공호흡이 생략된 CPR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자가 CPR의 안내에 대한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가 요구되고 있다. The recent guideline for CPR suggests CPR in which ventilation of CPR is omitted when the chest compression time that occurs during artificial respiration is delayed or when an infectious disease such as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19) is prevalent. are doing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n automatic defibrillator in which a rescuer can set an operation for CPR guid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자동 제세동기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CPR 모드 시 구조조가 CPR 모드에 대한 안내 방법을 선택하여 CPR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심폐소생술 안내 모드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s described above, and a new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its cardiopulmonary bypass that allow rescuers to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 CPR by selecting a guide method for the CPR mode in the CPR mode.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the resuscitation guidance mo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 제세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는, 두 개의 제세동 전극을 환자에게 부착하여 제세동 및 CPR 모드를 시행하는 자동 제세동기에 있어서, CPR을 위한 가슴 압박에 대한 음성 안내, 가슴 압박 속도에 대한 메트로놈 효과음의 출력 및 인공호흡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는 음성 설명 모드와, 연속된 가슴 압박 속도를 안내하기 위한 메트로놈 효과음을 출력하는 압박 전용 모드와, CPR에 대한 음성 안내를 중지하며 심전도 분석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안내하는 음소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CPR 안내 모드 제어부와; 음성 설명 모드, 압박 전용 모드와 음소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는 CPR 모드 설정 수단과; CPR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해당 모드의 실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s provided.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defibrillation and CPR mode by attaching two defibrillation electrodes to a patient, and provides voice guidance for chest compressions for CPR, output of metronome sound effects for chest compression speed, and artificial defibrillation. Voice guidance mode that executes voice guidance for breathing, compression-only mode that outputs a metronome sound effect to guide the rate of continuous chest compressions, and mute mode that stops voice guidance for CPR and announces the remaining time until ECG analysis is completed a CPR guidance mode control unit executing any one of the modes; CPR mode setting means capable of setting any one of a voice explanation mode, a compression-only mode, and a mute mode;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corresponding mode set by the CPR mode setting mean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CPR 안내 모드 설정 방법은, CPR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CPR 모드 설정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CPR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CPR을 위한 가슴 압박에 대한 음성 안내, 가슴 압박 속도에 대한 메트로놈 효과음의 출력 및 인공호흡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는 음성 설명 모드와, 연속된 가슴 압박 속도를 안내하기 위한 메트로놈 효과음을 출력하는 압박 전용 모드와, CPR에 대한 음성 안내를 중지하며 심전도 분석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안내하는 음소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와; 음성 설명 모드, 압박 전용 모드와 음소거 모드 중에서 설정되는 해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setting a CPR guidance mode of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ecuting the CPR mode; activating a CPR mode setting means; A voice explanation mode that executes voice guidance for chest compression for CPR, metronome sound effect sound output for chest compression speed, and voice guidance for artificial respiration by CPR mode setting means, and a metronome for guiding continuous chest compression speed setting one of a compression-only mode that outputs sound effects and a mute mode that stops voice guidance for CPR and guides the remaining time until electrocardiogram analysis is completed; and executing a corresponding mode set among a voice explanation mode, a compression-only mode, and a mute mode.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및 CPR 안내 모드 설정 방법은, CPR 모드 시 구조조가 CPR 모드에 대한 안내 방법을 선택하여 CPR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구조자의 숙련도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등 전염병이 유행하는 상황 시 CPR의 인공호흡을 생략하고 CPR을 시행하여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nd the method for setting the CPR guide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rescue team can quickly and accurately perform CPR by selecting a guide method for the CPR mode in the CPR mode.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by omitting artificial respiration of CPR and performing CPR in situations where rescuers are skilled or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are preval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CPR 안내 모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CPR guide mode of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 .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ther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r shap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0)는 본체(20), 커버(30), 두 개의 제세동 전극(40, 42)을 구비한다. 커버(30)는 본체(20)에 힌지(Hinge: 22)를 중심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폴더 타입(Folder type)으로 구성되어 있다. 힌지(22)는 본체(20)에 대하여 커버(30)를 원하는 위치 및 각도에 고정할 수 있는 프리 스톱 힌지(Free stop hing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동 제세동기(10)는 본체(20) 또는 커버(30)에 장착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스피커(50), 버저(Buzzer), 디스플레이(Display) 등을 구비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20 , a cover 30 , and two defibrillation electrodes 40 and 42 . The cover 30 is composed of a folder type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around a hinge 22 in the main body 20 . The hinge 22 is composed of a free stop hinge capable of fixing the cover 30 at a desired position an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 In addition, the AED 10 includes a speaker 50, a buzzer, a display, and the like as a user interface mounted on the main body 20 or the cover 30.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0)는 CPR 안내 모드 제어부(60)에 의해 세 가지 모드로 CPR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CPR의 세 가지 안내 모드는 음성 설명 모드(Voice instruction mode: 62), 압박 전용 모드(Compression only mode: 64)와 음소거 모드(Mute mode: 66)이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AE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guide CPR in three modes by a CPR guidance mode controller 60 . The three guided modes of CPR are Voice instruction mode (62), Compression only mode (64) and Mute mode (66).

음성 설명 모드(62)는 가슴 압박에 대한 상세한 음성 안내, 가슴 압박 속도에 대한 메트로놈 효과음의 출력 및 인공호흡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는 모드로, CPR의 시행 과정 전체를 안내하는 풀 모드(Full mode)이다. 압박 전용 모드(64)는 연속된 가슴 압박 속도를 안내하기 위한 메트로놈 효과음을 출력하는 모드이다. 압박 전용 모드(64)에서 구조자는 가슴 압박을 연속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음소거 모드(66)는 무음 상태로 CPR에 대한 음성 안내를 중지하며, 심전도 분석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안내하는 베이식 모드(Basic mode)이다. The voice explanation mode (62) is a mode that executes detailed voice guidance for chest compressions, metronome sound effect output for chest compression speed, and voice guidance for artificial respiration. )am. The compression-only mode 64 is a mode that outputs a metronome effect sound for guiding a continuous chest compression speed. In the compression-only mode 64, the rescuer may perform chest compressions continuously. The mute mode 66 is a basic mode in which voice guidance for CPR is stopped in a silent state and the remaining time until electrocardiogram analysis is completed is guid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0)는 CPR에 대한 음성 설명 모드(62), 압박 전용 모드(64)와 음소거 모드(66)를 설정할 수 있는 CPR 모드 설정 수단(70)으로 CPR 모드 설정 버튼(72), 컨트롤러(Controller: 80)와 제1 내지 제3 LED 인디케이터(Light Emitting Diode indicator, LED indicator: )를 구비한다.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PR mode setting means 70 capable of setting a voice explanation mode 62 for CPR, a compression only mode 64 and a mute mode 66, and a CPR mode setting button ( 72), a controller (80), and first to third LED indicators (Light Emitting Diode indicator, LED indicator: ).

CPR 모드 설정 버튼(72)은 CPR 모드에서만 활성화된다. CPR 모드 설정 버튼(72)은 본체(20)의 윗면에 장착되어 있다. CPR 모드 설정 버튼(72)의 조작 회수나 시간에 의해 CPR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음성 설명 모드(62)는 CPR 모드 설정 버튼(72)을 1회 누르면 설정되고, 압박 전용 모드(64)는 CPR 모드 설정 버튼(72)을 2회 누르면 설정되며, 음소거 모드(66)는 CPR 모드 설정 버튼(72)을 3회 누르면 설정될 수 있다. CPR 모드 설정 버튼(72)의 조작 회수에 따라 설정되는 음성 설명 모드(62), 압박 전용 모드(64)와 음소거 모드(66)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CPR 모드 설정 버튼(72)의 조작 시간은 몇 초마다 음성 설명 모드(62), 압박 전용 모드(64)와 음소거 모드(66)의 순서로 설정될 수 있다.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is activated only in CPR mode.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The CPR mode can be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and the time. Voice description mode (62) is set by pressing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once, compression only mode (64) is set by pressing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twice, and mute mode (66) is set by CPR mode It can be set by pressing the setting button 72 three times. The voice explanation mode 62, the compression-only mode 64, and the mute mode 66, which are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nipulations of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can be changed as needed. The operation time of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may be set in the order of voice explanation mode 62, compression only mode 64, and mute mode 66 every few seconds.

컨트롤러(80)는 CPR 모드 설정 버튼(72)과 연결되어 있으며, CPR 모드에서 CPR 모드 설정 버튼(72)을 활성화시킨다. CPR 모드 설정 버튼(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음성 설명 모드(62), 압박 전용 모드(64)와 음소거 모드(66) 중 설정된 모드를 판단하고, 설정된 모드를 시행한다. The controller 80 is connected to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and activates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in the CPR mode. A signal input from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is processed to determine a set mode among voice explanation mode 62, compression only mode 64, and mute mode 66, and the set mode is implemented.

제1 내지 제3 LED 인디케이터(90, 92, 94)는 본체(20)의 윗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컨트롤러(80)에 연결되어 있다. 제1 LED 인디케이터(90)는 풀 모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LED 인디케이터(92)는 하프 모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3 LED 인디케이터(94)는 베이식 모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LED 인디케이터(90, 92, 94)는 커버(3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80)는 CPR 모드 설정 버튼(72)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따라 제1 내지 제3 LED 인디케이터(94) 중 해당 LED 인디케이터를 점등시켜 표시한다. The first to third LED indicators 90 , 92 , and 94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80 . The first LED indicator 90 can be configured to indicate full mode, the second LED indicator 92 can be configured to indicate half mode, and the third LED indicator 94 can be configured to indicate basic mode. It can be.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o third LED indicators 90 , 92 , and 94 may be mounted on the cover 30 . The controller 80 lights up and displays corresponding LED indicators among the first to third LED indicators 94 according to the mode set by manipulating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0)에 의한 심폐소생술 안내 모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컨트롤러(80)는 CPR 모드가 실행되면(S200), CPR 모드 설정 버튼(72)을 활성화시킨다(S202). 컨트롤러(80)는 CPR 모드 설정 버튼(72)의 조작에 의해 음성 설명 모드(62), 압박 전용 모드(64)와 음소거 모드(66)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설정되면(S206), 해당 모드를 실행시킨다(S208). Referring to FIGS. 2 and 3, in the method for setting the CPR guide mode by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80, when the CPR mode is executed (S200), CPR mode setting button 72 ) is activated (S202). When any one of the voice explanation mode 62, the compression only mode 64, and the mute mode 66 is set by the operation of the CPR mode setting button 72 (S206), the controller 80 selects the corresponding mode. It is executed (S208).

이와 같이 구조자는 CPR에 대한 숙련도에 따라 음성 설명 모드(62), 압박 전용 모드(64)와 음소거 모드(66) 중 하나를 설정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세동과 CPR을 시행함으로써,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scuer sets one of the voice explanation mode (62), compression-only mode (64), and mute mode (66)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ficiency in CPR to perform defibrillation and CPR accurately and quickly, thereby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of cardiac arrest patients. can be raised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자동 제세동기(10A)와 앞에서 설명한 자동 제세동기(10)의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의 자동 제세동기(10A)는 CPR에 대한 음성 설명 모드(62), 압박 전용 모드(64)와 음소거 모드(66)를 설정할 수 있는 CPR 모드 설정 수단(70)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74)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74)은 커버(30)의 내면에 장착될 수 있다.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same components of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10A of another embodiment and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10 described above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10A) of another embodiment has a touch screen (Touch screen: 74) is provided. As shown in FIG. 1 , the touch screen 74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30 .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터치스크린(74)은 음성 설명 모드(62), 압박 전용 모드(64)와 음소거 모드(66) 각각을 설정할 수 있는 음성 설명 모드 버튼(100), 압박 전용 모드 버튼(102)과 음소거 모드 버튼(105)을 구비한다. 컨트롤러(80)는 터치스크린(74)에 연결되어 CPR 모드에서 음성 설명 모드 버튼(100), 압박 전용 모드 버튼(102)과 음소거 모드 버튼(104)을 표시한다. 구조자는 터치스크린(74)에 표시되는 음성 설명 모드 버튼(100), 압박 전용 모드 버튼(102)과 음소거 모드 버튼(104) 중 하나를 조작하여 음성 설명 모드(62), 압박 전용 모드(64)와 음소거 모드(66) 중 하나를 설정한다. Referring back to FIG. 4 , the touch screen 74 includes a voice explanation mode button 100 capable of setting a voice explanation mode 62, a compression only mode 64 and a mute mode 66, respectively, and a compression only mode button ( 102) and a mute mode button 105. The controller 80 is connected to the touch screen 74 and displays a voice explanation mode button 100, a compression only mode button 102 and a mute mode button 104 in CPR mode. The rescuer manipulates one of the voice explanation mode button 100, compression only mode button 102, and mute mode button 104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74 to activate the voice explanation mode 62 or the compression only mode 64. and mute mode 66.

이와 같이 구조자는 터치스크린(74)에 표시되는 음성 설명 모드 버튼(100), 압박 전용 모드 버튼(102)과 음소거 모드 버튼(1004) 각각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음성 설명 모드(62), 압박 전용 모드(64)와 음소거 모드(66) 중 하나를 설정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세동과 CPR을 시행함으로써,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scuer operates the voice explanation mode 62 and the compression only mode by simple manipulation of the voice explanation mode button 100, the compression only mode button 102, and the mute mode button 1004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74. By setting one of (64) and mute mode (66) to accurately and quickly perform defibrillation and CPR, the survival rate of cardiac arrest patients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erely thos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will be possible b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10A: 자동 제세동기 60: CPR 안내 모드 제어부
62: 음성 설명 모드 64: 압박 전용 모드
66: 음소거 모드 70: CPR 모드 설정 수단
72: CPR 모드 설정 버튼 74: 터치스크린
80: 컨트롤러 100: 음성 설명 모드 설정 버튼
102: 압박 전용 모드 설정 버튼 104: 음소거 모드 설정 버튼
10, 10A: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60: CPR guidance mode control unit
62: voice explanation mode 64: compression only mode
66: mute mode 70: CPR mode setting means
72: CPR mode setting button 74: touch screen
80: controller 100: voice explanation mode setting button
102: compression-only mode setting button 104: mute mode setting button

Claims (6)

두 개의 제세동 전극을 환자에게 부착하여 제세동 및 CPR 모드를 시행하는 자동 제세동기에 있어서,
CPR을 위한 가슴 압박에 대한 음성 안내, 가슴 압박 속도에 대한 메트로놈 효과음의 출력 및 인공호흡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는 음성 설명 모드와, 연속된 가슴 압박 속도를 안내하기 위한 메트로놈 효과음을 출력하는 압박 전용 모드와, CPR에 대한 음성 안내를 중지하며 심전도 분석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안내하는 음소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CPR 안내 모드 제어부와;
상기 음성 설명 모드, 상기 압박 전용 모드와 상기 음소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CPR 모드 설정 수단과;
상기 CPR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해당 모드의 실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
In an automatic defibrillator that implements defibrillation and CPR mode by attaching two defibrillation electrodes to a patient,
Voice guidance mode for performing voice guidance for chest compressions for CPR, outputting metronome sound effects for chest compression rate and voice guidance for artificial respiration, and compression-only mode that outputs metronome sound effects for guiding continuous chest compression rates a CPR guidance mode control unit executing any one of a mute mode in which voice guidance for CPR is stopped and a remaining time until electrocardiogram analysis is completed;
CPR mode setting means configured to set any one of the voice explanation mode, the compression-only mode, and the mute mode;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including a controller controlling execution of the corresponding mode set by the CPR mode set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CPR 모드 시 상기 CPR 모드 설정 수단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 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CPR mode setting unit in the CPR mo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PR 모드 설정 수단은 상기 음성 설명 모드, 상기 압박 전용 모드와 상기 음소거 모드를 순차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CPR 모드 설정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PR mode setting unit includes a CPR mode setting button capable of sequentially setting the voice explanation mode, the compression-only mode, and the mute mo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설명 모드, 상기 압박 전용 모드와 상기 음소거 모드 각각을 표시하는 제1 내지 제3 LED 인디케이터를 더 구비하는 자동 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further comprising first to third LED indicators displaying the voice description mode, the compression-only mode, and the mute mode, respectivel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PR 모드 설정 수단은 상기 음성 설명 모드, 상기 압박 전용 모드와 상기 음소거 모드 각각을 설정할 수 있는 음성 설명 모드 설정 버튼, 압박 전용 모드설정 버튼과 음소거 모드 설정 버튼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PR mode setting unit includes a voice explanation mode setting button capable of setting the voice explanation mode, the compression only mode and the mute mode, respectively, and a touch screen displaying a compression only mode setting button and a mute mode setting button. .
두 개의 제세동 전극을 환자에게 부착하여 제세동 및 CPR 모드를 시행하는 자동 제세동기에 있어서,
CPR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CPR 모드 설정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CPR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CPR을 위한 가슴 압박에 대한 음성 안내, 가슴 압박 속도에 대한 메트로놈 효과음의 출력 및 인공호흡에 대한 음성 안내를 실행하는 음성 설명 모드와, 연속된 가슴 압박 속도를 안내하기 위한 메트로놈 효과음을 출력하는 압박 전용 모드와, CPR에 대한 음성 안내를 중지하며 심전도 분석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안내하는 음소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설명 모드, 상기 압박 전용 모드와 상기 음소거 모드 중에서 설정되는 해당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의 CPR 안내 모드 설정 방법.
In an automatic defibrillator that implements defibrillation and CPR mode by attaching two defibrillation electrodes to a patient,
executing CPR mode;
activating a CPR mode setting means;
A voice explanation mode for executing voice guidance for chest compression for CPR, output of a metronome effect sound for chest compression speed, and voice guidance for artificial respiration by the CPR mode setting means, and for guiding continuous chest compression speed setting one of a compression-only mode that outputs a metronome sound effect and a mute mode that stops voice guidance for CPR and guides the remaining time until electrocardiogram analysis is completed;
and executing a corresponding mode set among the voice explanation mode, the compression-only mode, and the mute mode.
KR1020210124135A 2021-09-16 2021-09-16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for set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modes thereof KR202300406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135A KR20230040699A (en) 2021-09-16 2021-09-16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for set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mod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135A KR20230040699A (en) 2021-09-16 2021-09-16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for set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mode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699A true KR20230040699A (en) 2023-03-23

Family

ID=8579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135A KR20230040699A (en) 2021-09-16 2021-09-16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for set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mode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69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8558B2 (en) Pediatric and adult defibrillator
US20230404847A1 (en) Mobile device control
US7164945B2 (en) Defibrillators
US6327497B1 (en) Portable emergency oxygen an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therapy system
US11138905B2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trainer
USRE40365E1 (en) Portable emergency oxygen an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therapy system
US20080146973A1 (en)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on chest compression in CPR
Mosesso Jr et al. Effects of AED device features on performance by untrained laypersons
US10213124B2 (en) Electrocardiogram package
KR101406086B1 (en) First-aid training simulation Unit
KR20230040699A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for set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modes thereof
KR101029511B1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475681Y1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TWM637730U (e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teaching device
KR101069421B1 (en) Automatic defibrillator include moving picture announcement function
US20160346559A1 (en) Medical device with tacticle user interface
KR102211140B1 (en) Monitor type defibrillator
US11992692B2 (en) Pediatric and adult defibrillator
TWI805516B (en) ACLS teaching device and method
US20140182586A1 (en) Responders Support Unit
KR20170024947A (en) Cpr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device
McCallion EMS Leaders Weigh In
Strawhun et al.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How HF/E Helps Win the Race against Time
Doyle Real-World Findings
TWM509037U (en) Rhythm pen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