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511B1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9511B1 KR101029511B1 KR1020090123120A KR20090123120A KR101029511B1 KR 101029511 B1 KR101029511 B1 KR 101029511B1 KR 1020090123120 A KR1020090123120 A KR 1020090123120A KR 20090123120 A KR20090123120 A KR 20090123120A KR 101029511 B1 KR101029511 B1 KR 1010295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 guide
- noise
- unit
- mo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1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07515 Cardiac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0496 Heart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1183 Brain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74 brain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680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119 Arrhyth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07521 Cardiac arrhythmia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2434 Sudden d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12 respi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제세동기를 사용하는 주변 환경의 소음 레벨에 따라 음성 안내의 음량 또는 크기를 능동적으로 가변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utomatic defibrillato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ctively adjust the volume or the volume of the voice guidance according to the noise level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which the defibrillator is used. It provides an automatic defibrillato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국내 40 대의 돌연사 원인의 1위는 심장질환이다. 특히, 급성 심장질환 중 대표적인 것이 심근경색이다. 일단 심근경색이 생기면 환자의 55% 정도는 응급실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사망한다. 심장마비는 암 등 기타 질병과 달리 산소 부족으로 뇌 손상이 되는 5분 이내에 기초적인 심폐소생술과 전기쇼크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회복될 수 있다. The number one cause of sudden death in Korea in the forties is heart disease. In particular, myocardial infarction is a representative of acute heart disease. Once myocardial infarction develops, about 55% of patients die before they arrive in the emergency room. Unlike other diseases such as cancer, a heart attack can most often be recovered with basic CPR and electroshock treatment within 5 minutes of brain damage due to lack of oxygen.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가족, 목격자, 구급대원 등의 교육/인식 부족으로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이뤄지는 경우가 3~4%에 머물러 있다. 이 때문에 살 수 있는 환자들이 허망한 죽음을 맞거나, 살더라도 뇌 손상 등 심각한 후유증에 시달리게 된다. However, in Korea, 3 to 4% of CPRs occur in the field due to lack of education / awareness of family members, witnesses, and paramedics. Because of this, patients who can live suffer a devastating death or suffer serious aftereffects such as brain damage.
더욱이 최근에는 비만, 고지혈증 인구 증가로 심장병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그 만큼 심장마비 위험이 잠재된 응급 심장병 환자도 급속히 늘고 있는 상황이다.Moreover,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obese and hyperlipidemic population has led to an explosion of heart disease patients. The number of emergency heart disease patients with a potential risk of heart attack is increasing rapidly.
그런데 심장질환은 환자 및 환자의 주변인들이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게 대부분이고, 특히 갑자기 심장질환이 발생할 경우 환자 본인이 직접 병원의 응급실 또는 119 등에 구조 요청을 하게 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However, most of the heart disease occurs when the patient and the people around him unforeseen, especially when sudden heart disease,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patient to make a rescue request directly to the emergency room or 119 of the hospital.
최근에는 심장질환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의료기기인 자동 제세동기가 공공장소에 비치되어 응급 상황 발생시 누구나 손쉽게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동 제세동기는 급심정지 환자의 심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전기 충격이 필요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음성 메시지 등으로 안내하여 비의료인 또는 비전문가라고 하더라도 손쉽게 응급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Recently, an automatic defibrillator, which is a medical device for resuscitation of the hear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a patient having a heart disease, is provided in a public place so that anyone can easily treat the patient in case of an emergency. The automatic defibrillator has a built-in program that can determine the cardiac condition of a sudden cardiac arrest patient. It determines whether an electric shock is necessary and guides you by voice message. It provides an environment.
그러나, 자동 제세동기가 설치된 공공장소 예를 들면, KTX 등 철도 역사, 공항, 병원 등의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제세동기를 사용하는 비의료인 또는 비전문가에게 제공되는 안내 음성 또는 메시지가 정확히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자동 제세동기에서 제공되는 안내 음성 또는 메시지의 크기 또는 음량 보다 주변 소음이 커서 안내 음성이 정확히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ailway stations, airports, and hospitals, for example, public places where automatic defibrillators ar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guidance voices or messages provided to non-medical personnel or non-specialists who use the defibrillator are not accurately delivered. . That is, because the ambient noise is greater than the size or volume of the guide voice or message provided by the AED, the guide voice may not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user.
자동 제세동기가 사용되어야 하는 상황은 환자가 갑자기 심장이 멎는 긴급한 상황이고 자동 제세동기를 사용하는 사람이 비전문가일 경우 당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주변 소음에 안내 음성이 묻혀 잘 들리지 않을 수 있다.The situation in which the AED should be used is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patient suddenly stops having a heartbeat and the person who uses the AED may be embarrassed and may hear the guidance noise in the surrounding noise and may not hear it well.
이와 같이 안내 음성의 크기가 소음 보다 작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안내 음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도 음성 크기의 조절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아주 짧은 시간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 제세동기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당황하는 경우 음성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잊고 허둥지둥할 수 있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user can adjust the size of the guide voice in order to solve a problem in which the size of the guide voice is smaller than the noi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ice volume is not easily adjusted. This is because, in a situation where a user needs to use the AED quickly and accurately in a very short time, the user may be overwhelmed and forgotten to adjust the volume of the vo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세동을 수행하는 자동 제세동기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주변 소음의 크기 또는 레벨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utomatic defibrillator that can change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automatic defibrillator performing the defibrillation according to the size or level of the ambient noise and its Provide a method of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 제세동기가 사용되는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고, 그 결과값과 안내 음성의 크기를 비교하여 안내 음성의 크기 또는 음량을 능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자동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fibrillato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o detect the ambient noise used by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to actively change the volume or volume of the guided voice by comparing the result value and the guided voice.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 제세동기가 사용되는 주변의 소음 정도에 따라 상세한 음성 안내를 송출하거나 축약화된 음성 안내를 송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안내 음성에 대한 집중도 내지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can transmit detailed voice guidance or attenuated voice guidance according to the ambient noise level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use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r understanding of the guide vo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 제세동기가 사용되는 주변 또는 환경의 소음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defibrillato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o minimize the effect of noise by detecting the real-time noise level of the surrounding or environment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는 사람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분석 프로그램으로 상기 측정된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제세동을 수행하는 제세동 분석 처리부; 상기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제세동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처치자에게 환자에 대한 처치 단계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 상기 생체 신호 측정부가 사용되는 주변의 소음 레벨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 및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의 레벨에 따라 상기 음성 안내부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를 포함한다.An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osignal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biosignal of a person; A defibrillation analyzer for analyzing the measured bio-signals with an analysis program and performing defibril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efibri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iosignal; A voice guide unit for guiding a treatment person to a worker by voice; A nois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n ambient noise level at which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is used; And 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noise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여기서, 상기 음량 조절부는 상기 음성 안내부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와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을 비교하여, 소음 레벨이 안내 음성 보다 크면 상기 음성 안내부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Here, the volume control unit compares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and the noise level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and if the noise level is greater than the guide voice, the volum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You can increase it.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소음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안내 음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소음에 의해 안내 음성이 잘 들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guide voic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noise detector, thereby preventing the guide voice from being heard by the noise.
한편, 상기 음량 조절부는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에 따라 상기 음성 안내부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감지된 소음의 레벨에 따라 상기 음성 안내부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소음에 의해 안내 음성을 듣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에 지나치게 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olum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noise level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That is,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may be increased or reduced according to the detected noise level. As a result,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user from hearing the guide voice due to the noise, but also to not generate excessive noise in the surroundings.
또한, 상기 소음 감지부는 상기 생체 신호 측정부가 작동함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동 제세동기를 사용하는 사람이 소음 감지부를 켜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고, 처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자동 제세동기의 커버를 열면 바로 전원이 켜지면서 소음 감지부도 함께 작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detector may operate as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operates. This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that the person us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has to turn on the noise detector, and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treatment. For example, when the cover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opened, the power may be turned on and the noise detector may be configured to work together.
이 때, 상기 음성 안내부는 상세 안내 모드 또는 축약 안내 모드를 구비하며,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이 상기 음성 안내부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 보다 크면 상기 축약 안내 모드가 수행되며, 상기 소음 감지부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이 상기 음성 안내부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 보다 작으면 상기 상세 안내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주변의 소음 레벨이 높아서 안내 음성이 잘 들리지 않는 경우라면 필수 단계만 안내하는 축약 안내 모드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이해도 내지 편의성을 높이고, 주변의 소음 레벨이 낮아서 안내 음성의 전달에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상세한 사용 방법을 안내하여 초보자나 비전문가의 실수를 줄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voice guide unit has a detailed guide mode or a reduced guide mode, and if the noise level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is greater than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the reduced guide mode is performed and the noise detection is performed. The detailed guide mode may be performed when the noise level detected by the unit is smaller than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In other words, if the guidance noise is not heard well because the surrounding noise level is high, the user performs the abbreviated guidance mode that guides only the necessary steps to increase the user's understanding or convenience, and the surrounding noise level is low, so there is no problem in the delivery of the guidance voice. In this case, you can reduce the mistakes of beginners or non-experts by guiding you through detailed instructions.
상기 축약 안내 모드의 안내 음성 크기는 상기 상세 안내 모드의 안내 음성 크기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축약 안내 모드는 주변의 소음 레벨이 높은 상황 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소음의 영향을 덜 받도록 음성의 크기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voice size of the reduced guide mode may be set larger than the guide voice size of the detailed guide mode. Since the abbreviated guide mode is used in a situation where the ambient noise level is high, it is desirable to set the loudness of the voice to be less affected by the noise.
여기서, 상기 음성 안내부는 상기 상세 안내 모드 또는 상기 축약 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상기 안내 음성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guide unit may further include the guide voice selector which selects one of the detailed guide mode and the reduced guide mode.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체 신호를 분석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제세동을 수행하는 자동 제세동기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자에게 환자에 대한 처치 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단계; 상기 자동 제세동기가 사용되는 주변의 소음 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소음의 레벨과 상기 안내 음성의 크기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소음 레벨에 따라 상기 안내 음성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n automatic defibrillator that analyzes a bio-signal using an analysis program and performs defibril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Guiding a treatment method to a voice; Detecting an ambient noise level in which the AED is used;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detected noise with the size of the guide voice; And determining the loudness of the guide voice according to the sensed noise level.
여기서, 상기 안내 음성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소음 레벨이 상기 안내 음성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안내 음성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size of the guide voice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guide vo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noise level is greater than the guide voice.
상기 안내 음성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소음 레벨의 크기에 따라 축약 안내 모드 또는 상세 안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size of the guide voice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one of a reduced guide mode and a detailed guide mode according to the sensed loudness level.
상기 감지된 소음 레벨의 크기가 상기 안내 음성의 크기 보다 크면 상기 축약 안내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감지된 소음 레벨의 크기가 상기 안내 음성의 크기 보다 작으면 상기 상세 안내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The abbreviated guidance mode may be performed when the magnitude of the sensed noise level i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guidance voice, and the detailed guidance mode may be performed when the magnitude of the sensed noise level is smaller than that of the guidance voice.
상기 축약 안내 모드는 상기 상세 안내 모드 보다 음성의 크기가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reduced guide mode may be set to have a louder voice than the detailed guide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은 주변 소음에 따라 안내 음성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소음에 의해 안내 음성이 들리지 않는 것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실수를 줄일 수 있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ability to hear the guide voice by the nois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guide voice according to the ambient noise, thereby reducing the user's mistak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은 주변 소음에 연동하여 안내 음성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조절함으로써 비전문가 또는 초보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처치를 도울 수 있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lp accurate treatment when used by non-experts or beginners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guidance voice in real time in conjunction with ambient no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은 주변 소음의 레벨에 따라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단계 또는 내용을 다르게 함으로써 주변 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ambient noise by varying the level or content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ambient no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은 자동 제세동기의 전원이 켜지면 자동으로 주변 소음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안내 음성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detect ambient noise whe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turned on and adjust user's convenienc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guide voice according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작동 방법은 자동 제세동기가 사용되는 주변 또는 환경의 소음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비전문가 또는 초보자가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에 실수할 확률을 줄일 수 있고 처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noise level of the surrounding or environment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used in real time and minimizes the effect of the noise so that a non-expert or a beginner may make a mistake in us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You can reduce your chances and increase your skill comple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FIG. 1 is opened. One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는 대략 육면체 형태의 자동 제세동기 본체(100), 본체(10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101), 커버(101)의 일단에 형성되어 본체(100)와 커버의 결속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락(102, lock)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an automatic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omatic defibrillator main body 100 having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and a cover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 101, a lock 10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ver 101 to maintain or release the binding state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락(102)은 끝단을 당김으로써, 커버(101)와 본체(100)의 결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닫을 때에는 락(102)을 눌러주면 커버(101)와 본체(100)가 결속될 수 있다.The lock 102 may release the binding state between the cover 101 and the main body 100 by pulling the ends. When the lock 102 is closed, the cover 101 and the main body 100 may be bound by pressing the lock 102. have.
자동 제세동기(1)의 본체(100) 상단부측에는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전원 버튼(109)이 구비되며, 그 일측에는 사용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버튼(107)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버튼(109) 또는 메뉴 버튼(107)에는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색깔이 부가되거나 조명이 부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긴급 상황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못 켜거나 메뉴를 선택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ower button 109 for supplying power and shutting off is provided at an upper end side of the main body 100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nd a menu button 107 for selecting a use menu may be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Here, the power button 109 or the menu button 107 may be added with color or illumination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user. This can prevent the user from turning on the power or selecting a menu in an emergency situation.
한편, 본체(100)의 상단에는 제세동기(1)를 손쉽게 휴대하거나 옮길 수 있도록 손잡이(H)가 제공될 수 있다. 손잡이(H)는 부드러운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Meanwhile, a handle H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defibrillator 1 can be easily carried or moved. Handle (H)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oft rubber can increase the user convenience.
자동 제세동기(1)가 사용되는 상황은 아주 긴급한 상황이며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환자를 처치해야만 한다. 또한, 공공장소에 비치된 자동 제세동기의 경우 제세동을 할 수 있는 전문가가 아니라 비전문가가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당황한 비전문가 사용자의 경우 전원 버튼(109)의 시인성을 높였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전원 버튼(109)을 누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전원 버튼(109)을 누르지 않더라도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인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락(102)을 해제하여 커버(101)가 본체(100)와 분리되면 자동으로 본체(1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원 버튼(109)을 눌러야 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락(102)에 조명을 부가하는 등 시인성을 높이는 구성을 부가할 수도 있다.The situation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s used is a very urgent situation and the patient must be treated in a very short time. In addition, automatic defibrillators in public places are often used by non-experts, not experts who can defibrillate. Therefore, in the case of an embarrassed non-expert user, even though the visibility of the power button 109 is increased, the power button 109 may not be easily pressed. In this way, an auxiliar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100 may be required even when the power button 109 is not pressed. When the cover 101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by releasing the lock 102, the step of pressing the power button 109 may be omitted by automatically configuring the main body 100 to supply power. In this case, the structure which improves visibility, such as adding illumination to the lock 102, can also be added.
본체(100)의 상측부에 별도의 LCD 창 등으로 된 디스플레이부(108)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08)가 본체(100)의 한정된 부분에 제공되고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시된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커버(101)의 내측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커버(101)가 본체(100)에 대해 프리스탑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내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체(100)에 대해 커버(101)가 프리스탑(Free Stop)한다는 의미는 원하는 각도에서 커버(101)가 열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프리스탑이 가능한 힌지(미도시)를 사용하여 본체(100)와 커버(101)를 연결할 수 있다.A display unit 108 formed of a separate LCD window or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However, since the display unit 108 is provided in a limited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is fixed, the user may not accurately recogniz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8. In this case, a separate display unit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101, and the cover 101 is formed to be free stop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user accurately recognizes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an do. The free stop of the cover 101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means that the cover 101 can be kept open at a desired angle. For this purpose, a hinge (not shown) capable of freestop is provided. By us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101 can be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에는 각종 시각 안내 수단 또는 음성 안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초보 사용자 또는 비전문가의 편의성을 높여 처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visual guidance means or voice guidance means, thereby improving the treatment accuracy 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a novice user or a non-exper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1)를 열었을 때 커버(101)의 내측면에는 자동 제세동기(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 그림(F1)이 도시되어 있다. 즉, 단계별로 자동 제세동기(1)를 사용하여 환자를 처치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커버(101)가 개방된 본체(100)의 상면에도 사용자를 위한 안내 그림(F2)이 도시되어 있다. 본체(100)의 상면에 도시된 안내 그림(F2)은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등 응급구조 방법이 도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cover 101 is opened, a picture F1 is illustr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101 to explain how to us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That is, a method of treating a patient using the AED 1 is shown step by step. In addition, the guide figure F2 for the user is also sh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with the cover 101 open. Guide picture (F2) sh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ay be shown emergency rescue methods such a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한편, 본체(100)의 일측에는 환자의 가슴에 부착하는 전극 패드(미도시)의 커넥터가 연결되는 포트(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를 포트(106)에 정확히 연결할 수 있도록 포트(106)에는 커넥터의 단자 극성에 따른 색깔 표시 및 그림 안내가 첨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 port 106 to which a connector of an electrode pad (not shown) attached to the chest of the patient is connected. In order to connect the connector to the port 106 accurately, the port 106 may be attached with a color indication and a picture guide according to the terminal polarity of the connector.
또한, 본체(100)의 상면에는 쇼크 버튼(105)이 구비되어 있다. 쇼크 버튼(105)을 누름으로써 상기 전극 패드에 200 J 정도의 출력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처치 단계가 출력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이므로, 쇼크 버튼(105)은 본체(100)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조명 등의 시인 성 증대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hock button 10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By pressing the shock button 105, the output energy of about 200 J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de pad. Since the most important treatment step is to supply output energy, the shock button 105 may be formed relatively large in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add visibility enhancement functions such as lighting.
본체(100)의 일측에는 일회용 배터리 팩(103)이 제공되며, IrDA 포트(104)가 형성될 수 있다. IrDA 포트(104)는 컴퓨터로 환자의 처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본체(100) 내부에는 각종 처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disposable battery pack 103, the IrDA port 104 may be formed. The IrDA port 104 is for transmitting treatment data of a patient to a computer, and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various treatment data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는 커버(101)의 내측면 및 본체(100)의 상면에 표시된 안내 그림(F1,F2) 뿐만 아니라, 음성 안내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음성 안내는 전기 충격과 심폐소생술에 대한 단계별 자세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성 안내와 관련된 내용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oice guidance function as well as guide pictures F1 and F2 display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0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voice prompt may include detailed voice prompts for each step of the electric shock and CPR. Hereinafter,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oice guidan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는 심장질환자의 심장 상태를 판단하고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 또는 심정지시 환자에 전기 충격을 가하여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장치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세동 분석 처리부(111), 생체 신호 측정부(112), 위치 확인부(113), 제어부(114), 저장부(115), 분석 프로그램 업데이트부(116) 및 통신부(117)를 포함한다.An automatic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etermining a heart condition of a heart disease and restoring to normal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a patient at abnormal heart rhythm or cardiac arrest, as shown in FIG. 4. The analysis processor 111,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12, the position checking unit 113, the control unit 114, the storage unit 115, the analysis program updater 116,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7 are included.
먼저, 생체 신호 측정부(112)는 환자의 생체 신호, 즉 심전도, 혈압, 혈중산소포화도, 호흡, 체온, 움직임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측정한다.First,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12 measures a part or all of a patient's biosignal, that is,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blood oxygen saturation, respiration, body temperature, and movement.
제세동 분석 처리부(111)는 상기 생체 신호 측정부(112)에서 측정된 환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환자의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예컨대, 부정맥), 또는 심정지를 진단하여 알람 또는 표시장치에 결과를 표시하고, 이상 징후 발견에 따라 환자에 전기 충격을 가한다.The defibrillation analysis processor 111 analyzes the patient's biosignal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12 to diagnose abnormal heartbeat (eg, arrhythmia) or cardiac arrest of the patient and display the result on an alarm or display device. In case of abnormal symptoms, apply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위치 확인부(113)는 GPS 위성 신호 또는 이동통신망의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제세동기 본체(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 The positioning unit 113 measur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defibrillator main body 100 using a GPS satellite signal or a communication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어부(114)는 제세동기 본체(100)를 전체적으로 운영하며 각 구성요소들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4)는 상기 생체 신호 측정부(112)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 데이터와, 상기 제세동 분석 처리부(111)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 및 제세동 수행 정보(제세동 과정에서 요구되며 또는 제세동 과정 중 발생하는 정보: 제세동 시간, 환자의 전기적인 물성, 전기 충격을 가했는지 여부, 전기 충격 횟수, 심폐소생술 시행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부(115)에 저장한다. The control unit 114 operates the defibrillator body 100 as a whole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14 is the bio-signal data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12, the bio-signal analysis results and defibrill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required during the defibrillation process or generated during the defibrillation process) of the defibrill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111 Information: includes the defibrillation tim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patient, whether or not the electric shock, the number of electric shock, CPR execu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5.
또한, 제어부(114)는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와, 상기 생체 신호 분석 결과 및 제세동 수행 정보, 그리고 위치 정보 및 제세동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제세동 정보를 통신부(117)를 통해 컴퓨터 또는 제세동기 관리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4 is a computer or defibrillator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7 the defibrill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io-signal data, the bio-signal analysis results and defibrill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defibrillator identification code. (Not shown).
한편, 제어부(114)에는 안내 음성을 송출하는 음성 안내부(121), 자동 제세동기(1)가 사용되는 환경 또는 주변의 소음 레벨(level)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123), 소음 감지부(123)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에 따라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124)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안내부(121)에는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종류 또는 모드를 선택하는 안내 음성 선택부(122)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14 includes a voice guide unit 121 for transmitting a guide voice, a noise detector 123 for detecting a noise level of an environment or surroundings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s used, and a noise detector. The volume control unit 124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according to the noise level detected at 123 may be connected. In addition, the voice guide uni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voice selection unit 122 for selecting the type or mod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다시 설명하면, 음성 안내부(121)는 처치자 또는 제세동기(1)의 사용자에게 환자에 대한 처치 방법 또는 제세동기(1)의 사용 방법을 단계적인 음성으로 안내하며, 소음 감지부(123)는 생체 신호 측정부(112)를 포함한 제세동기(1)가 사용되는 주변의 소음 레벨을 감지하고, 음량 조절부(124)는 소음 감지부(123)에서 감지된 소음의 레벨에 따라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voice guide unit 121 guides the operator or the user of the defibrillator 1 in a step-by-step manner to the patient or the method of using the defibrillator 1, the noise detection unit 123 Detects the ambient noise level at which the defibrillator 1 including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12 is used, and the volume adjusting unit 124 is a voice guide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noise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3. The volum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121 may be adjusted.
자동 제세동기(1)가 사용되는 공공장소의 경우 소음이 상대적으로 적지 않기 때문에 제세동기(1)의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이 제대로 들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세동기(1)를 사용하는 사람이 제세동에 대해 비전문가이거나 초보자인 경우 당황하여 공공장소의 소음이 크지 않아도 안내 음성을 정확히 알지 못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public place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s used,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of the defibrillator 1 may not be properly heard because the noise is relatively low. In addition, if the person using the defibrillator 1 is a non-professional or a novice for the defibrillation, it may be embarrassing and may not accurately know the guidance voice even if the noise of the public place is not loud.
이와 같이, 안내 음성이 사용자에게 정확히 전달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공공장소 또는 제세동기(1)가 사용되는 주변 내지 환경의 소음 수준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안내 음성의 크기를 변동할 필요가 있다.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noise level of the surrounding or environment where the public voice or the defibrillator 1 is used in case the guide voice is not transmitted to the user accurately, and change the size of the guide voice according to the result. hav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1)의 음량 조절부(124)는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와 소음 감지부(123)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 내지 소음 크기를 비교하고, 소음 레벨이 안내 음성 보다 큰 경우에는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크게 하여 소음에 의해 안내 음성이 잘 들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volume control unit 124 of the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evel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and the noise level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3. When the noise level is compared, and the noise level is larger than the guide voice,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may be increased to prevent the guide voice from being easily heard by the nois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소음 감지부(123)의 감지 결과에 따라 안내 음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소음에 의해 안내 음성이 잘 들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size of the guide voi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noise detector 123, thereby preventing the guide voice from being easily heard by the noise.
한편, 음량 조절부(124)는 소음 감지부(123)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에 따라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 또는 출력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 내지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소음 감지부(123)에 의해 감지된 소음의 레벨에 따라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소음에 의해 안내 음성을 듣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세동기(1)가 사용되는 곳의 주변으로 지나치게 큰 소음을 발생되어 주변 사람에게 소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volume controller 124 may determine the size or level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or output from the voice guide 121 according to the noise level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3. That is,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noise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3. This not only prevents the user from hearing the guide voice due to the noise, but also prevents the user from hearing too much noise around the place where the defibrillator 1 is used and causing damage to the surrounding people. have.
여기서, 소음 감지부(123)는 생체 신호 측정부(112) 또는 제세동기(1)가 작동함에 따라 작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동 제세동기(1)를 사용하는 사람이 소음 감지부(123)를 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환자 처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Here, the noise detector 123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12 or the defibrillator 1 operates. As a result, the user who uses the AED 1 may reduce the trouble of turning on the noise detector 123 and ma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patient treatment.
예를 들면, 자동 제세동기(1)의 전원 버튼(109)을 누르거나 제세동기(1)의 커버(101)를 열면 바로 전원이 켜지면서 소음 감지부(123)도 함께 작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긴급 상황 하에서 소음 감지부(123)를 켜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실시간으로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여 안내 음성을 최적의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wer button 109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s pressed or the cover 101 of the defibrillator 1 is opened, the power may be turned on and the noise detector 123 may be formed to operate together. .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turning on the noise detector 123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guidance voice to the optimum size by detecting the noise in real time.
한편, 음성 안내부(121)는 상세 안내 모드 및 축약 안내 모드에 따라 안내 음성을 송출할 수 있고, 안내 모드의 선택을 위해 안내 음성 선택부(122)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음성 선택부(122)는 음성 안내부(121)와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voice guide unit 121 may transmit the guide voice according to the detailed guide mode and the abbreviated guide mode, and the guide voice selector 122 may be provided to select the guide mode. Here, the guide voice selection unit 122 may be formed integrally or separately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소음 감지부(123)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이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 보다 크면 음성 안내부(121)는 축약 안내 모드에 따른 안내 음성을 송출하며, 소음 감지부(123)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이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 보다 작으면 음성 안내부(121)는 상세 안내 모드에 따른 안내 음성을 송출할 수 있다. If the noise level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3 is greater than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the voice guide unit 121 transmits the guide voice according to the abbreviated guide mode. If the detected noise level is smaller than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the voice guide unit 121 may transmit the guide voice according to the detailed guide mode.
즉, 주변의 소음 레벨이 높아서 안내 음성이 잘 들리지 않는 경우라면 제세동기(1) 사용의 필수 단계만 안내하는 축약 안내 모드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이해도 내지 편의성을 높이고, 주변의 소음 레벨이 낮아서 안내 음성의 전달에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상세한 사용 방법을 안내하여 초보자나 비전문가의 실수를 줄일 수도 있다.In other words, if the guidance sound is not heard well due to the high noise level in the surroundings, the reduced guidance mode guides only the essential steps of using the defibrillator 1 to increase the user's understanding or convenience, and the guidance is due to the low noise level in the surroundings. If you do not have trouble with voice transmission, you can reduce the mistakes of beginners or non-experts by providing detailed instructions.
여기서, 음성 안내부(121)가 상세 안내 모드에서 작동하는 것이 기본 설정이 되고, 소음 감지부(123)에서 감지한 주변 소음의 레벨이 기본 설정된 상세 안내 모드의 안내 음성 보다 크면 음성 안내부(121)가 축약 안내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축약 안내 모드에서 음성 안내부(121)가 작동될 때, 음량 조절부(124)에 의해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voice guide unit 121 operates in the detailed guide mode, the default setting is set. When the level of the ambient noise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3 is greater than the guide voice in the preset detailed guide mode, the voice guide unit 121 is used. ) Can be operated in the abbreviated guidance mode. When the voice guide unit 121 is operated in the reduced guide mode,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by the volume adjusting unit 124.
음성 안내부(121)의 축약 안내 모드에서의 안내 음성 크기는 상세 안내 모드 에서의 안내 음성 크기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축약 안내 모드는 주변의 소음 레벨이 높은 상황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소음의 영향을 덜 받도록 음성의 크기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voice size in the abbreviated guide mode of the voice guide unit 121 may be set larger than the guide voice size in the detailed guide mode. Since the abbreviated guide mode is used in a situation where the ambient noise level is high, it is desirable to set the loudness of the voice to be less affected by the noise.
음량 조절부(124)는 소음 감지부(123)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에 따라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크거나 작게 할 수 있으며,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모드를 조절할 수도 있다.The volume control unit 124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according to the noise level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3, and output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You can also adjust the mode of the announcement voice.
또한, 음량 조절부(124)는 소음 감지부(123)에서 감지된 소음의 레벨 뿐만 아니라,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단계별 수행 여부 또는 수행 속도 등을 평가하여 음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단계별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기준 시간 보다 긴 시간이 소요되면 음성 안내부(121)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크게 하여 사용자를 환기시키거나 집중력을 높여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olume control unit 124 may adjust the volume by evaluating whether or not the level of the noise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3 is performed,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step-by-step or the execution speed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have. For example, if the step-by-step performanc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is not performed or take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ransmitted from the voice guide unit 121 is increased to ventilate the user. Or increase your concentration.
뿐만 아니라, 소음 감지부(123)에서 감지된 주변 환경의 소음 레벨이 높은 경우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파형의 소음을 발생시켜서, 제세동기(1)의 주변 일정 반경 내의 소음을 강제적으로 줄일 수 있는 소음 감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generating a noise of a waveform that can attenuate the noise when the noise level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etected by the noise detector 123 is high, the noise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defibrillator 1 can be forcibly reduced. A noise attenuation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의 안내 음성 조절을 포함한 작동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ooks at the operating method including the guide voice control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의 작동 방법은, 자동 제세동기(1)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하는 단계(10), 제세동 기(1)의 사용자에게 환자에 대한 처치 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단계(20), 자동 제세동기(1)가 사용되는 주변의 소음 레벨을 감지하는 단계(30), 감지된 소음의 레벨과 안내 음성의 크기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40) 및 감지된 소음 레벨에 따라 안내 음성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upplying power to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nd operating the defibrillator 1. Step 20 of voice guidance to the user of the treatment method for the patient, the step of detecting the ambient noise level (30) wher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s used, the level of the detected noise and the size of the guide voice Comparing and determining 40 and determining the size of the guide voice according to the sensed noise level (50).
여기서, 안내 음성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50)는 주변 소음 레벨을 감지하는단계(30)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이 음성 안내 단계(20)에서의 안내 음성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안내 음성의 크기를 크게 한다.Herein, in the determining of the size of the guide voice 5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noise level is greater than the guide voice in the voice guide step 20, the detected voice level may be determined. Increase the size.
또한, 안내 음성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50)는 주변 소음 레벨을 감지하는 단계(30)에서 감지된 소음 레벨의 크기에 따라 축약 안내 모드(70) 또는 상세 안내 모드(60) 단계 중 어느 하나를 결정 또는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udness of the guide voice 50 may include either the reduced guide mode 70 or the detailed guide mode 6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tected noise level in the step 30 of detecting the ambient noise level.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or performing.
한편, 감지된 소음의 레벨과 안내 음성의 크기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40)에서 소음 레벨이 안내 음성의 크기 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세 안내 모드(60)를 수행할 수 있다. 감지된 소음의 레벨과 안내 음성의 크기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40)에서 소음 레벨이 안내 음성의 크기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축약 안내 모드(70)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40 that the detected noise level is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guide voice,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level is not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he detailed guide mode 60 may be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 that the detected noise level is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guide voice,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level i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guide voice, the reduced guide mode 70 may be performed.
여기서, 축약 안내 모드(70)에서의 안내 음성의 크기는 상세 안내 모드(60)에서의 안내 음성의 크기 보다 크도록 설정함으로써, 주변 소음에 의한 영향을 덜 받고 사용자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guide voice in the abbreviated guide mode 70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guide voice in the detailed guide mode 60, thereby reducing the influence of ambient noise and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FIG. 1.
도 3은 도 1의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cover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자동 제세동기 1: automatic defibrillator
100: 제세동기 본체 101: 커버100: defibrillator main body 101: cover
102: 락 103: 배터리 팩102: lock 103: battery pack
105: 쇼크 버튼 106: 패드 커넥터 포트105: shock button 106: pad connector port
107: 메뉴 버튼 109: 전원 버튼107: Menu button 109: Power button
121: 음성 안내부 122: 안내 음성 선택부121: voice guidance unit 122: guide voice selection unit
123: 소음 감지부 124: 음량 조절부123: noise detector 124: volume control unit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3120A KR101029511B1 (en) | 2009-12-11 | 2009-12-11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3120A KR101029511B1 (en) | 2009-12-11 | 2009-12-11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29511B1 true KR101029511B1 (en) | 2011-04-18 |
Family
ID=4405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3120A KR101029511B1 (en) | 2009-12-11 | 2009-12-11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951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56357A (en) * | 2013-03-21 | 2014-09-24 |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 Defibrillator, and voice volume automatic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KR20150065368A (en) | 2013-12-05 | 2015-06-15 | 박시은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1944431B1 (en) | 2018-06-20 | 2019-01-30 | 주식회사 라디안큐바이오 |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82878A (en) | 1994-12-07 | 1998-07-21 | Heartstream, Inc. | External defibrillator with communications network link |
KR20060134064A (en) * | 2004-02-19 | 2006-12-27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audible information prompts from an external defibrillator |
US20070032830A1 (en) * | 2005-08-04 | 2007-02-08 | Bowers Kyle R |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
-
2009
- 2009-12-11 KR KR1020090123120A patent/KR1010295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82878A (en) | 1994-12-07 | 1998-07-21 | Heartstream, Inc. | External defibrillator with communications network link |
KR20060134064A (en) * | 2004-02-19 | 2006-12-27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audible information prompts from an external defibrillator |
US20070032830A1 (en) * | 2005-08-04 | 2007-02-08 | Bowers Kyle R |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56357A (en) * | 2013-03-21 | 2014-09-24 |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 Defibrillator, and voice volume automatic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KR20150065368A (en) | 2013-12-05 | 2015-06-15 | 박시은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1944431B1 (en) | 2018-06-20 | 2019-01-30 | 주식회사 라디안큐바이오 |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method thereof |
WO2019245127A1 (en) * | 2018-06-20 | 2019-12-26 | 주식회사 라디안큐바이오 | Defibrillato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80690B2 (en) | Automated caregiving device with prompting based on caregiver progress | |
US6351671B1 (en) |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ardio-pulmonary-resuscitation (CPR) parameters for use with and by an external defibrillator (AED) or a training defibrillator | |
US7164945B2 (en) | Defibrillators | |
US11116426B2 (en) | Device administered tests and adaptive interactions | |
JP2010500144A (en) | Extracorporeal defibrillator for analysis of multiple arrhythmia conditions | |
KR101049273B1 (en) | Automatic defibrillator and how it works | |
KR101029511B1 (en)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EP1157717B1 (en) |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s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parameters for use with and by an external defibrillator (AED) | |
CN205458658U (en) | Life information monitor with heart survival kit | |
KR101069421B1 (en) | Automatic defibrillator include moving picture announcement function | |
KR101968492B1 (en) | Taser aed | |
KR200475681Y1 (en)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
KR102211140B1 (en) | Monitor type defibrillator | |
WO2021202292A1 (en) | Portable medical treatment apparatus with interactive guidance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ve functionality | |
AU781601B2 (en) | External defibril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