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109A -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109A
KR20230040109A KR1020210123315A KR20210123315A KR20230040109A KR 20230040109 A KR20230040109 A KR 20230040109A KR 1020210123315 A KR1020210123315 A KR 1020210123315A KR 20210123315 A KR20210123315 A KR 20210123315A KR 20230040109 A KR20230040109 A KR 20230040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
passage
noise reduction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452B1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민 filed Critical (주)정민
Priority to KR102021012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4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는 전방측이 개방되고 공기흡입공간이 형성된 중심 프레임과, 상기 중심 프레임의 좌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전방측이 개방되며 상기 공기흡입공간에 연통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된 좌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공기흡입공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로 상기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 상기 공기흡입공간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해가스 및 미세입자 등을 걸러내는 공기청정부; 상기 공기청정부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프레임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청정부를 덮는 커버; 상기 좌측 프레임의 제1 유로의 전면부를 덮고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1 배출홀이 형성된 제1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송풍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Air purifier with noise reduction flow path}
본 발명은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세균에 대한 공포감의 증가와 공동주택 단열 성능 향상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다양한 시스템의 적용을 통한 실내 공기질 향상에 대한 관심은 이슈가 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사스, 메르스, 신종플루, COVID19 등의 바이러스 유행에 따라 공동주택,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 및 유통 공기의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시스템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존 환기 시스템의 내부에 항바이러스 모듈을 장착하여 재순환하는 시스템은 덕트의 이송길이 및 시공 수준에 의해 2차오염에 노출됨에 따라, 공기질 및 살균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공기청정기가 있다. 실내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는 팬(fan) 등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킨 후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청정기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5915호 '실내 천장용 공기청정기'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배기유로의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배기휀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배기유로를 지날 때 큰 유로저항이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 배출된 공기가 적체되었으며 배기휀에 부하가 걸려 큰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배기유로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아 배기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그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의 면적이 확보되고, 유로가 길게 형성되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는 전방측이 개방되고 공기흡입공간이 형성된 중심 프레임과, 상기 중심 프레임의 좌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전방측이 개방되며 상기 공기흡입공간에 연통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된 좌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공기흡입공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유로로 상기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 상기 공기흡입공간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해가스 및 미세입자 등을 걸러내는 공기청정부; 상기 공기청정부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프레임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청정부를 덮는 커버; 상기 좌측 프레임의 제1 유로의 전면부를 덮고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1 배출홀이 형성된 제1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송풍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중심 프레임의 우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전방측이 개방되며 상기 공기흡입공간에 연통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된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프레임의 제2 유로의 전면부를 덮고 상기 제2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배출홀이 형성된 제2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공기흡입공간의 하측부에 일단부가 연통되고 직선구간으로 형성되는 제11 유로와, 상기 제11 유로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1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는 제12 유로와, 상기 제11 유로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2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는 제13 유로와, 상기 제11 유로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3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는 제14 유로와, 상기 제11 유로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4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며 전면측이 상기 제1 배출홀에 연통되는 제15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유로 및 제12 유로의 사이부분과, 상기 제12 유로 및 제13 유로의 사이부분과, 상기 제13 유로 및 제14 유로의 사이부분과, 상기 제14 유로 및 제15 유로의 사이부분은 공기저항이 감소되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유로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고, 상기 제12 유로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상기 제13 유로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고, 상기 제14 유로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상기 제12 유로는 상기 제11 유로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3 유로는 상기 제12 유로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4 유로는 상기 제13 유로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덮개 및 제2 덮개의 후면에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부는, 상기 공기흡입공간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프레임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탈착틀; 및 상기 탈착틀에 고정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해가스 및 미세입자 등을 걸러내는 복합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공간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복합필터부를 살균하는 UV-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외부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외부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 UV-C 모듈, 미세먼지센서, 가스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송풍부, UV-C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송풍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는 제1 유로가 길게 형성되어 송풍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유로가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정압 부하를 줄임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는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유로의 면적이 확보되어 송풍부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는 UV-C 모듈을 통해 복합필터부를 살균할 수 있어, 살균 및 공기정화능력 향상시킬 수 있고, 2차오염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는 구조가 간단하므로 작업자가 실내의 천장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의 중심 프레임측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의 본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의 제1 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의 복합필터부 및 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는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10)는 본체(100), 송풍부(200), 공기청정부(300), 커버(OC), 제1 덮개(400), 제2 덮개(500), UV-C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중심 프레임(110), 좌측 프레임(120) 및 우측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프레임(110)은 전방측이 개방되고 공기흡입공간(110s)이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프레임(120)은 중심 프레임(110)의 좌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전방측이 개방되며 공기흡입공간(110s)에 연통되는 제1 유로(U1)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 프레임(130)은 중심 프레임(110)의 우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전방측이 개방되며 공기흡입공간(110s)에 연통되는 제2 유로(U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로(U1)와 제2 유로(U2)가 공기흡입공간(110s)에 연통되는 위치는 송풍부(200)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시계 방향으로 정회전하여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200)가 마련되는 경우, 제1 유로(U1)는 공기흡입공간(110s)의 하측부에 연통될 수 있고, 제2 유로(U2)는 공기흡입공간(110s)의 상측부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하여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200)가 마련되는 경우, 제1 유로(U1)는 공기흡입공간(110s)의 상측부에 연통될 수 있고, 제2 유로(U2)는 공기흡입공간(110s)의 하측부에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로(U1)는 제12 유로(U12), 제13 유로(U13), 제14 유로(U14), 제15 유로(U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유로(U11)는 공기흡입공간(110s)의 하측부에 일단부가 연통되고 직선구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 유로(U12)는 제11 유로(U1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제11 유로(U11)의 타단부에 연통될 수 있다.
제13 유로(U13)는 제11 유로(U11)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제12 유로(U12)의 타단부에 연통될 수 있다.
제14 유로(U14)는 제11 유로(U1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제13 유로(U13)의 타단부에 연통될 수 있다.
제15 유로(U15)는 제11 유로(U11)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제14 유로(U14)의 타단부에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5 유로(U15)는 전면측이 제1 덮개(400)의 제1 배출홀(400h)에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U1)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배출홀(400h)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U1)가 길게 형성되어 송풍부(2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로(U1)는 소용돌이 형상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1 유로(U11) 및 제12 유로(U12)의 사이부분과, 제12 유로(U12) 및 제13 유로(U13)의 사이부분과, 제13 유로(U13) 및 제14 유로(U14)의 사이부분과, 제14 유로(U14) 및 제15 유로(U15)의 사이부분은 둥글게 형성되어,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1 유로(U11)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제12 유로(U12)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제13 유로(U13)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제14 유로(U14)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제12 유로(U12)는 제11 유로(U11)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고, 제13 유로(U13)는 제12 유로(U12)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며, 제14 유로(U14)는 제13 유로(U13)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U1)가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정압 부하를 줄임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유로(U2)는 제1 유로(U1)와 송풍부(200)를 기준으로 점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로(U2)는 제1 유로(U1)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송풍부(200)는 공기흡입공간(110s)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제1 유로(U1) 및 제2 유로(U2)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부(200)의 전방에는 중심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송풍부(200)를 지지하는 지지판(IP)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IP)에는 송풍부(200)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장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부(300)는 공기흡입공간(110s)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송풍부(200)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해가스 및 미세입자 등을 걸러낼 수 있다.
그리고, 공기청정부(300)는 탈착틀(310) 및 복합필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틀(310)은 공기흡입공간(110s)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중심 프레임(110)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탈착틀(310)은 중심부가 개방된 틀로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중심 프레임(110)에는 탈착홈(110a)이 형성되고, 탈착틀(310)에는 탈착홈(110a)에 삽입되는 탈착턱(310a)이 마련되어, 탈착틀(310)은 중심 프레임(110)에 장착되거나 중심 프레임(11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손잡이(310b)를 잡고 누른 채로 당겨 탈착틀(310)을 중심 프레임(110)으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다.
복합필터부(320)는 탈착틀(310)에 고정되고 송풍부(200)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해가스 및 미세입자 등을 걸러낼 수 있다.
그리고, 복합필터부(320)는 프리 필터, 탈취 필터, 헤파 필터가 적층된 형태의 필터로 마련될 수 있다.
프리 필터는 동물의 털, 보푸라기, 머리카락, 큰 먼지 등의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 필터는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필터로서, 탈취 필터, 헤파 필터와 같은 고성능 필터를 보호하고 수명을 늘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프리 필터는 물세척이 가능하며, 오랜시간 사용해도 성능 저하가 없어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다.
탈취 필터는 활성탄 필터 혹은 카본 필터라고 많이 불리고, 각종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헤파 필터는 집먼지 진드기나 매우 작은 벌레 등과 같이 미세입자를 걸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헤파 필터는 미세입자나 세균을 99.7% 이상 제거할 수 있다.
커버(OC)는 공기청정부(300)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중심 프레임(110)에 장착되며, 공기가 외부로부터 중심 프레임(110) 측으로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덮개(400)는 좌측 프레임(120)의 제1 유로(U1)의 전면부를 덮고 제1 유로(U1)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1 배출홀(400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덮개(400)의 후면에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재(SQ)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덮개(400)의 전면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분배하는 제1 분배판(4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덮개(500)는 우측 프레임(130)의 제2 유로(U2)의 전면부를 덮고 제2 유로(U2)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배출홀(500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덮개(500)의 후면에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재(SQ)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덮개(500)의 전면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분배하는 제2 분배판(510)이 배치될 수 있다.
UV-C 모듈(600)은 공기흡입공간(110s)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중심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복합필터부(320)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UV-C 모듈(600)은 자외선을 발생시켜 복합필터부(320)를 살균하는 것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10)는 제1 유로(U1) 및 제2 유로(U2)가 길게 형성되어 송풍부(2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10)는 UV-C 모듈(600)을 통해 복합필터부(320)를 살균할 수 있어, 살균 및 공기정화능력 향상시킬 수 있고, 2차오염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10)는 미세먼지센서(MM), 가스센서(GS),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센서(MM)는 본체(100)에 설치되고 외부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센서(MM)는 대기중 공기 투명도를 측정하는 방식의 원리를 통해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미세먼지센서(MM)에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있고, 발광부에서 빛을 발생시키며, 이때 수광부에서 빛을 검출하고, 검출되는 빛에 따라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가스센서(GS)는 본체(100)에 설치되고 외부의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센서(GS)는 VOC(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센서(GS)로 마련될 수 있고, VOC 가스센서(GS)는 시중에 유통되는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본체(100)에 설치되고 송풍부(200), UV-C 모듈(600), 미세먼지센서(MM), 가스센서(GS)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센서(MM) 및 가스센서(GS)로부터 미세먼지농도정보 및 가스감지정보를 전달받아 미세먼지농도 및 가스감지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송풍부(200), UV-C 모듈(600)을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어부(700)는 송풍부(20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고, 송풍부(200)의 작동 상태 및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UV-C 모듈(600)을 작동시켜 복합필터부(320)를 살균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부(700)는 기설정된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미세먼지센서(MM)로부터 전달되는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송풍부(200)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송풍부(200)를 일정시간동안 작동시킨 뒤 정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10)는 제1 유로(U1)가 길게 형성되어 송풍부(2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U1)가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정압 부하를 줄임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10)는 송풍부(20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1 유로(U1) 및 제2 유로(U2)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유로의 면적이 확보되어 송풍부(200)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10)는 UV-C 모듈(600)을 통해 복합필터부(320)를 살균할 수 있어, 살균 및 공기정화능력 향상시킬 수 있고, 2차오염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10)는 구조가 간단하므로 작업자가 실내의 천장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공기청정기
100 : 본체 110 : 중심 프레임
110s : 공기흡입공간 110a : 탈착홈
120 : 좌측 프레임 U1 : 제1 유로
U11 : 제11 유로 U12 : 제12 유로
U13 : 제13 유로 U14 : 제14 유로
U15 : 제15 유로 130 : 우측 프레임
U2 : 제2 유로 200 : 송풍부
IP : 지지판 300 : 공기청정부
310 : 탈착틀 310a : 탈착턱
310b : 손잡이 320 : 복합필터부
OC : 커버 400 : 제1 덮개
400h : 제1 배출홀 410 : 제1 분배판
500 : 제2 덮개 500h : 제2 배출홀
510 : 제2 분배판 600 : UV-C 모듈
SQ : 흡음재 MM : 미세먼지센서
GS : 가스센서 700 : 제어부

Claims (10)

  1. 전방측이 개방되고 공기흡입공간이 형성된 중심 프레임과, 상기 중심 프레임의 좌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전방측이 개방되며 상기 공기흡입공간에 연통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된 좌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공기흡입공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유로로 상기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
    상기 공기흡입공간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해가스 및 미세입자 등을 걸러내는 공기청정부;
    상기 공기청정부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프레임에 장착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청정부를 덮는 커버;
    상기 좌측 프레임의 제1 유로의 전면부를 덮고 상기 제1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1 배출홀이 형성된 제1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송풍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중심 프레임의 우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전방측이 개방되며 상기 공기흡입공간에 연통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된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프레임의 제2 유로의 전면부를 덮고 상기 제2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배출홀이 형성된 제2 덮개를 포함하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공기흡입공간의 하측부에 일단부가 연통되고 직선구간으로 형성되는 제11 유로와, 상기 제11 유로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1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는 제12 유로와, 상기 제11 유로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2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는 제13 유로와, 상기 제11 유로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3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는 제14 유로와, 상기 제11 유로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4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며 전면측이 상기 제1 배출홀에 연통되는 제15 유로를 포함하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유로 및 제12 유로의 사이부분과, 상기 제12 유로 및 제13 유로의 사이부분과, 상기 제13 유로 및 제14 유로의 사이부분과, 상기 제14 유로 및 제15 유로의 사이부분은 공기저항이 감소되도록 둥글게 형성되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유로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고,
    상기 제12 유로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상기 제13 유로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고,
    상기 제14 유로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상기 제12 유로는 상기 제11 유로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3 유로는 상기 제12 유로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4 유로는 상기 제13 유로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 및 제2 덮개의 후면에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재가 마련되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부는,
    상기 공기흡입공간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프레임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탈착틀; 및
    상기 탈착틀에 고정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유해가스 및 미세입자 등을 걸러내는 복합필터부를 포함하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공간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복합필터부를 살균하는 UV-C 모듈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외부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외부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 UV-C 모듈, 미세먼지센서, 가스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송풍부, UV-C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송풍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KR1020210123315A 2021-09-15 2021-09-15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KR102546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315A KR102546452B1 (ko) 2021-09-15 2021-09-15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315A KR102546452B1 (ko) 2021-09-15 2021-09-15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109A true KR20230040109A (ko) 2023-03-22
KR102546452B1 KR102546452B1 (ko) 2023-06-23

Family

ID=8600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315A KR102546452B1 (ko) 2021-09-15 2021-09-15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4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516A (ja) * 1999-07-23 2001-02-16 Daikin Ind Ltd 脱臭機及び空気清浄機
KR200296823Y1 (ko) * 2002-08-17 2002-12-05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저소음형 공기 청정장치
KR20070067974A (ko) * 2005-12-26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11594B1 (ko) * 2012-06-15 2012-12-12 (주)지브텍 흡음루버
KR20210065430A (ko) * 2019-11-27 2021-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516A (ja) * 1999-07-23 2001-02-16 Daikin Ind Ltd 脱臭機及び空気清浄機
KR200296823Y1 (ko) * 2002-08-17 2002-12-05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저소음형 공기 청정장치
KR20070067974A (ko) * 2005-12-26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11594B1 (ko) * 2012-06-15 2012-12-12 (주)지브텍 흡음루버
KR20210065430A (ko) * 2019-11-27 2021-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452B1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772B1 (ko) 공기 청정기
KR101693494B1 (ko) 이동형 음압기
KR101860904B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
US20070209373A1 (en) Air Conditioner
KR10221935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457444B1 (ko) 플라즈마 공기 청정장치
KR20180067465A (ko)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102546452B1 (ko) 소음 저감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KR20120018767A (ko) 이온 발생 장치 및 공기 청정 장치
KR101249507B1 (ko) 자외선 램프를 구비한 가습 공기청정기
KR101083478B1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0872123B1 (ko) 정수장의 환기장치
KR20090018406A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20230040423A (ko) 양방향 유로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KR100593336B1 (ko) 공기 조화기
KR20190055869A (ko) 공기 청정기
KR200448177Y1 (ko) 멸균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공기배출장치
KR100685766B1 (ko) 공기청정기 겸 공기조화기의 살균장치 설치구조
KR20210024817A (ko) 강제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102116370B1 (ko) 공기청정 살균기
KR20220130890A (ko) 풍압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JP2006141848A (ja) 解剖台ユニット
KR102594289B1 (ko) 미세먼지와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살균장치
WO2022176479A1 (ja) 空気調和機
KR20170086315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