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007A - 약액 분사대 - Google Patents

약액 분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007A
KR20230040007A KR1020210123053A KR20210123053A KR20230040007A KR 20230040007 A KR20230040007 A KR 20230040007A KR 1020210123053 A KR1020210123053 A KR 1020210123053A KR 20210123053 A KR20210123053 A KR 20210123053A KR 20230040007 A KR20230040007 A KR 2023004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inlet end
pipe
main pip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화
Original Assignee
이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화 filed Critical 이성화
Priority to KR102021012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007A/ko
Publication of KR2023004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분사대에 관한 것이다. 약액 메인관은 입구 단을 통해 약액을 공급받아 출구 단으로 이송한다. 손잡이는 약액 메인관의 외측 둘레에 장착된다. 관절 기구는 약액 메인관의 출구 단에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약액을 유입해서 한 쌍의 분배관들을 통해 분배하는 고정자와, 분배관들에 각각 통하게 연결된 유지하면서 전후좌우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자들을 구비한다. 노즐 기구들은 해당 회전자에 통하게 연결된 상태로 약액을 전달받는 노즐관과, 노즐관에 통하게 연결된 상태로 약액을 전달받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을 각각 구비한다. 밸브는 약액 메인관의 입구 단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약액 메인관의 입구 단을 개폐한다.

Description

약액 분사대{Medicinal fluid sprayer}
본 발명은 약액 분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도밭 등과 같은 각종 농작물 재배지에서 약액 분사를 위해 사용되는 약액 분사대에 관한 것이다.
각종 농작물에는 농업용 약액이 적절하게 살포되어야 각종 질병이나 해충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약액 살포는 작물 재배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포도밭에 약액을 살포하는 경우, 포도밭의 중심부에 약액통과 약액통 내의 약액을 호스를 통해 압송시켜주기 위한 펌프를 위치시키고, 노즐을 갖는 약액 분사대를 호스에 연결하여 약액을 분사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손으로 약액 분사대를 잡고 약액 분사대 선단의 노즐을 전방 상측으로 향하게 하여 포도밭 밑을 뒷걸음으로 이동해가며 좌우로 흔들어서 고르게 분사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약액 살포 방식은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나, 넓은 지역을 장시간 작업할 경우에는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자의 피로감이 가중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258호(2018.08.28,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약액 분사 각도와 방향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약액 분사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액 분사대는 약액 메인관과, 손잡이와, 관절 기구와, 노즐 기구들, 및 밸브를 포함한다. 약액 메인관은 입구 단을 통해 약액을 공급받아 출구 단으로 이송한다. 손잡이는 약액 메인관의 외측 둘레에 장착된다. 관절 기구는 약액 메인관의 출구 단에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약액을 유입해서 한 쌍의 분배관들을 통해 분배하는 고정자와, 분배관들에 각각 통하게 연결된 유지하면서 전후좌우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자들을 구비한다. 노즐 기구들은 해당 회전자에 통하게 연결된 상태로 약액을 전달받는 노즐관과, 노즐관에 통하게 연결된 상태로 약액을 전달받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을 각각 구비한다. 밸브는 약액 메인관의 입구 단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약액 메인관의 입구 단을 개폐한다.
추가 양상으로, 약액 분사대는 약액 메인관과 밸브 사이에 장착되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필터 조인트와, 필터 하우징과, 내측 걸음망, 및 외측 걸음망을 구비할 수 있다. 필터 조인트는 중공을 갖고 출구 단이 약액 메인관의 입구 단에 나사 체결된다. 필터 하우징은 중공을 갖고 출구 단이 필터 조인트의 입구 단에 나사 체결되고 입구 단이 밸브의 출구 단에 나사 체결된다. 내측 걸음망은 한쪽 개구가 필터 조인트의 입구 단에 밀봉되게 고정된 상태로 필터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된다. 외측 걸음망은 내측 걸음망을 둘러싸고 한쪽 개구가 필터 조인트의 입구 단에 밀봉되게 고정된 상태로 필터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된다.
추가 양상으로, 약액 분사대는 밸브의 입구 단에 연결되는 호스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꼬임방지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꼬임방지 커넥터는 고정 부재와, 회전 부재, 및 오링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중공을 갖고 출구 단이 밸브의 입구 단에 나사 체결된다. 회전 부재는 중공을 갖고 입구 단이 호스의 출구 단에 나사 체결되며 출구 단으로부터 지지관이 돌출되어 고정 부재의 입구 단을 통해 고정 부재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오링 부재는 지지관의 회전시 고정 부재의 중공과 지지관 사이에 밀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관의 외측 둘레에 각각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 기구들이 관절 기구에 의해 약액 메인관에 대해 전후좌우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약액 분사 각도 및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약액 메인관을 흔들지 않고 걸어가면서 한번에 약액을 분사할 수 있게 되므로 넓은 지역을 장시간 작업할 경우에도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분사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관절 기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관절 기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밸브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필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필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꼬임방지 커넥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꼬임방지 커넥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분사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관절 기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관절 기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밸브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분사대(100)는 약액 메인관(110)과, 손잡이(120)와, 관절 기구(130)와, 노즐 기구(140)들, 및 밸브(150)를 포함한다.
약액 메인관(110)은 입구 단을 통해 약액을 공급받아 출구 단으로 이송한다. 약액 메인관(110)은 농업용 약액을 담은 약액통으로부터 펌프에 의해 호스(101)를 거쳐 압송되는 약액을 입구 단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약액 메인관(110)은 양단이 개구된 원형 직선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약액 메인관(110)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120)는 약액 메인관(110)의 외측 둘레에 장착된다. 손잡이(120)는 작업자가 손으로 편안하게 쥘 수 있게 약액 메인관(1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120)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120)는 작업자가 양손으로 약액 메인관(110)을 잡을 수 있게 2개로 구비되어 약액 메인관(110)의 외측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 손잡이(120)들은 작업자가 양손으로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약액 메인관(110)에는 작업자가 바닥에 깔아놓은 호스를 원활하게 끌고 다니면서 약액 분사 작업을 할 수 있게 어깨걸이와 엑스밴드(X-band)가 결합될 수 있다.
관절 기구(130)는 약액 메인관(110)의 출구 단에 연결되어 유입관(132)을 통해 약액을 유입해서 한 쌍의 분배관(133)들을 통해 분배하는 고정자(131)와, 분배관(133)들에 각각 통하게 연결된 유지하면서 전후좌우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자(136)들을 구비한다.
고정자(131)와 회전자(136)들은 스테인리스강, 황동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자(131)의 유입관(132)은 약액 메인관(110)의 출구 단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약액 메인관(110)의 출구 단에는 중공을 갖고 외측 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된 이음매(111)가 고정될 수 있다. 유입관(132)은 내측 둘레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이음매(111)의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유입관(132)과 이음매(111)의 체결 부위는 기밀 테이프나 오링 등에 의해 밀봉 처리될 수 있다.
분배관(133)들은 유입관(132)의 양측에 직각으로 대칭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분배관(133)들은 유입관(132)으로부터 유입되는 약액을 90도씩 방향 전환해서 분배할 수 있다. 분배관(133)은 출구 단에 볼 헤드(134)를 구비할 수 있다. 분배관(133)은 내부 유로가 볼 헤드(134)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약액을 배출할 수 있다.
회전자(136)들은 각각 분배관(133)들로부터 분배된 약액을 입구 단을 통해 전달받아 내부 유로를 거쳐 출구 단을 통해 배출한다. 회전자(136)는 입구 단에 해당 분배관(133)의 볼 헤드(134)를 끼운 상태로 전후좌우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자(136)는 입구 단의 내측에 볼 헤드(134)와의 사이를 밀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패킹재(137)를 장착할 수 있다. 패킹재(137)는 회전자(136)의 내면과 볼 헤드(134)의 외면에 밀착되어 밀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자(136)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패킹재(137)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 기구(140)들은 해당 회전자(136)에 통하게 연결된 상태로 약액을 전달받는 노즐관(141)과, 노즐관(141)에 통하게 연결된 상태로 약액을 전달받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142)들을 각각 구비한다. 노즐관(141)들과 노즐(142)들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관(141)은 입구 단이 회전자(136)의 출구 단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노즐관(141)은 중간 부위와 선단 부위에 노즐(142)들을 장착할 수 있다. 노즐관(141)은 2회 이상 구부려진 형태로 이루어져 구부러진 영역들에 노즐(142)들을 장착함으로써, 노즐(142)들의 분사 각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노즐(142)들은 노즐관(141)으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초미립자 형태로 고르게 분사하고, 약액 소모량이 1/3 가량 절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즐 기구(140)들은 어느 하나의 노즐관(141)에 2개의 노즐(142)들을 장착하고 다른 하나의 노즐관(141)에 3개의 노즐(142)들을 장착하여 5구 노즐 형태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 기구(140)들은 어느 하나의 노즐관(141)에 3개의 노즐(142)들을 장착하고 다른 하나의 노즐관(141)에 3개의 노즐(142)들을 장착하여 6구 노즐 형태로 조합되어 구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관절 기구(130)에 장착된 상태로 약액 메인관(110)에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다용도로 분사 반경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밸브(150)는 약액 메인관(110)의 입구 단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약액 메인관(110)의 입구 단을 개폐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약액 메인관(110)을 잡은 상태로 밸브(150)를 조작해서 약액 분사를 개시하거나 중단해가며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밸브(150)는 암수 볼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150)는 밸브 하우징(151)과, 밸브체(152)와, 밸브 시트(153), 및 조작 레버(154)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151)은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후술하겠지만, 밸브 하우징(151)은 입구 단이 꼬임방지 커넥터(170)의 고정 부재(171)와 체결되고, 출구 단이 필터(160)의 필터 하우징(162)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151)의 입구 단의 내측 둘레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고정 부재(171)의 수나사와 체결되고, 출구 단의 외측 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필터 하우징(162)의 암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151)은 고정 부재(171)와 필터 하우징(162)과 체결되는 각 부위가 기밀 테이프나 오링 등에 의해 밀봉 처리될 수 있다.
밸브체(152)는 관통홀을 갖는 구형으로 이루어진다. 밸브체(152)는 회전 동작에 따라 관통홀이 밸브 하우징(151)의 유로와 대응되거나 벗어남으로써, 밸브 하우징(151)의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게 한다. 밸브 시트(153)는 밸브 하우징(151) 내에서 밸브체(152)를 안착시켜 개폐 동작을 안내한다.
조작 레버(154)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밸브체(152)를 회전 동작시켜 약액 메인관(154)의 입구 단을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조작 레버(154)는 밸브 하우징(151)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부가 밸브 하우징(151)을 관통해서 밸브체(152)와 고정된 상태로 밸브 하우징(1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밸브(150)는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도 1과 함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약액 분사대(100)는 약액 메인관(110)과 밸브(150) 사이에 장착되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60)는 필터 조인트(161)와, 필터 하우징(162)과, 내측 걸음망(163), 및 외측 걸음망(164)을 구비할 수 있다.
필터 조인트(161)는 중공을 갖고 출구 단이 약액 메인관(110)의 입구 단에 나사 체결된다. 약액 메인관(110)의 입구 단에는 중공을 갖고 내측 둘레에 암나사가 형성된 이음매(112)가 고정될 수 있다. 필터 조인트(161)는 출구 단의 외측 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이음매(112)의 암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필터 조인트(161)와 이음매(112)의 체결 부위는 기밀 테이프나 오링 등에 의해 밀봉 처리될 수 있다.
필터 조인트(161)는 중앙에 스패너 작업을 위한 육각 헤드를 가질 수 있다. 필터 조인트(161)는 입구 단의 외측 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필터 하우징(162)의 암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필터 조인트(161)의 입구 단에는 링형 블록(161a)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링형 블록(161a)은 내외측에 내측 걸음망(163)과 외측 걸음망(164)을 일부 끼워서 고정한다. 필터 조인트(161)는 스테인리스 강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하우징(162)은 중공을 갖고 출구 단이 필터 조인트(161)의 입구 단에 나사 체결되고 입구 단이 밸브(150)의 출구 단에 나사 체결된다. 필터 하우징(162)은 출구 단의 내측 둘레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필터 조인트(161)의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62)은 입구 단의 내측 둘레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밸브 하우징(151)의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62)은 필터 조인트(161)와 밸브 하우징(151)과 체결되는 각 부위가 기밀 테이프나 오링 등에 의해 밀봉 처리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62)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걸음망(163)은 한쪽 개구가 필터 조인트(161)의 입구 단에 밀봉되게 고정된 상태로 필터 하우징(162)의 중공에 수용된다. 내측 걸음망(163)은 메쉬가 각각 형성된 원형 둘레면과 바닥면을 갖고 한쪽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걸음망(163)은 한쪽 개구 부위가 필터 조인트(161)의 링형 블록(161a) 내측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외측 걸음망(164)은 내측 걸음망(163)을 둘러싸고 한쪽 개구가 필터 조인트(161)의 입구 단에 밀봉되게 고정된 상태로 필터 하우징(162)의 중공에 수용된다. 외측 걸음망(164)은 메쉬가 각각 형성된 원형 둘레면과 바닥면을 갖고 한쪽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걸음망(164)은 한쪽 개구 부위가 필터 조인트(161)의 링형 블록(161a) 외측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160)는 밸브(150)를 통과한 약액을 전달받아 외측 걸음망(164)과 내측 걸음망(163)을 거쳐 2중으로 약액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이 제거된 약액을 노즐(142)들로 공급함으로써, 노즐(142)들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추가 양상으로, 도 1과 함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약액 분사대(100)는 밸브(150)의 입구 단에 연결되는 호스(101)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꼬임방지 커넥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꼬임방지 커넥터(170)는 고정 부재(171)와, 회전 부재(172), 및 오링 부재(173)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부재(171)는 중공을 갖고 출구 단이 밸브(150)의 입구 단에 나사 체결된다. 고정 부재(171)는 출구 단의 외측 둘레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밸브 하우징(151)의 암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171)는 밸브 하우징(151)과 체결되는 부위가 기밀 테이프나 오링 등에 의해 밀봉 처리될 수 있다. 고정 부재(171)는 중앙에 스패너 작업을 위한 육각 헤드를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171)는 스테인리스 강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부재(172)는 중공을 갖고 입구 단이 호스(101)의 출구 단에 나사 체결되며 출구 단으로부터 지지관(172a)이 돌출되어 고정 부재(171)의 입구 단을 통해 고정 부재(171)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회전 부재(172)는 입구 단의 내측 둘레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호스(101)의 출구 단에 고정된 이음매(102)의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다. 회전 부재(172)는 이음매(102)와 체결되는 부위가 기밀 테이프나 오링 등에 의해 밀봉 처리될 수 있다. 회전 부재(172)는 중앙에 스패너 작업을 위한 육각 헤드를 가질 수 있다. 회전 부재(172)는 스테인리스 강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링 부재(173)는 지지관(172a)의 회전시 고정 부재(171)의 중공과 지지관(172a) 사이에 밀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관(172a)의 외측 둘레에 각각 장착된다. 오링 부재(173)는 지지관(172a)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장착홈에 끼워질 수 있다.
오링 부재(173)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관(172a)이 고정 부재(171)의 중공에 끼워지면, 오링 부재(173)는 탄성 변형되어 지지관(172a)과 고정 부재(171) 사이를 밀봉시킨 상태로 지지관(172a)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고정 부재(171)는 입구 단에 탄성 링을 장착해서 탄성력으로 지지관(172a)을 끼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꼬임방지 커넥터(170)는 호스(101)를 장착한 회전 부재(172)가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 부재(171)에 결합되게 할 뿐 아니라, 회전 부재(172)가 고정 부재(171)에 대해 밀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하므로 호스(101)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호스(101)의 꼬임 없이 편리하게 약액 분사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약액 분사대(100)에 의하면, 노즐 기구(140)들이 관절 기구(130)에 의해 약액 메인관(110)에 대해 전후좌우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약액 분사 각도 및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약액 분사대(100)에 의하면, 작업자가 약액 메인관(110)을 흔들지 않고 걸어가면서 한번에 약액을 분사할 수 있게 되므로 넓은 지역을 장시간 작업할 경우에도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약액 메인관 120..손잡이
130..관절 기구 131..고정자
132..유입관 133..분배관
134..볼 헤드 136..회전자
137..패킹재 140..노즐 기구
141..노즐관 142..노즐
150..밸브 160..필터
161..필터 조인트 162..필터 하우징
163..내측 걸음망 164..외측 걸음망
170..꼬임방지 커넥터 171..고정 부재
172..회전 부재 172a..지지관
173..오링 부재

Claims (3)

  1. 입구 단을 통해 약액을 공급받아 출구 단으로 이송하는 약액 메인관;
    상기 약액 메인관의 외측 둘레에 장착된 손잡이;
    상기 약액 메인관의 출구 단에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약액을 유입해서 한 쌍의 분배관들을 통해 분배하는 고정자와, 상기 분배관들에 각각 통하게 연결된 유지하면서 전후좌우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자들을 구비하는 관절 기구;
    해당 회전자에 통하게 연결된 상태로 약액을 전달받는 노즐관과, 상기 노즐관에 통하게 연결된 상태로 약액을 전달받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들을 각각 구비하는 노즐 기구들; 및
    상기 약액 메인관의 입구 단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약액 메인관의 입구 단을 개폐하는 밸브;
    를 포함하는 약액 분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메인관과 밸브 사이에 장착되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중공을 갖고 출구 단이 상기 약액 메인관의 입구 단에 나사 체결되는 필터 조인트와,
    중공을 갖고 출구 단이 상기 필터 조인트의 입구 단에 나사 체결되고 입구 단이 상기 밸브의 출구 단에 나사 체결되는 필터 하우징과,
    한쪽 개구가 상기 필터 조인트의 입구 단에 밀봉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되는 내측 걸음망, 및
    상기 내측 걸음망을 둘러싸고 한쪽 개구가 상기 필터 조인트의 입구 단에 밀봉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되는 외측 걸음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분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입구 단에 연결되는 호스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꼬임방지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꼬임방지 커넥터는,
    중공을 갖고 출구 단이 상기 밸브의 입구 단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부재와,
    중공을 갖고 입구 단이 호스의 출구 단에 나사 체결되며 출구 단으로부터 지지관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 부재의 입구 단을 통해 상기 고정 부재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 부재, 및
    상기 지지관의 회전시 상기 고정 부재의 중공과 지지관 사이에 밀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관의 외측 둘레에 각각 장착되는 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분사대.
KR1020210123053A 2021-09-15 2021-09-15 약액 분사대 KR20230040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053A KR20230040007A (ko) 2021-09-15 2021-09-15 약액 분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053A KR20230040007A (ko) 2021-09-15 2021-09-15 약액 분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007A true KR20230040007A (ko) 2023-03-22

Family

ID=8600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053A KR20230040007A (ko) 2021-09-15 2021-09-15 약액 분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0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58Y1 (ko) 2017-08-03 2018-08-28 김태균 약액 살포기의 약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58Y1 (ko) 2017-08-03 2018-08-28 김태균 약액 살포기의 약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2742B2 (en) Applicator with collapsible wand
US11744171B2 (en) Ready-to-use hose end sprayer
US20100282866A1 (en) Chemical injector for spray device
US10967392B2 (en) Hose end sprayer with trigger operated ball valve
KR20230040007A (ko) 약액 분사대
KR101827367B1 (ko) 농약용 살포기 어셈블리
KR200487258Y1 (ko) 약액 살포기의 약대
WO2018201207A1 (en) Portable hand-operated agricultural sprayer
JP6105915B2 (ja) 散布装置
KR20110134534A (ko) 농약 살포기
KR200418909Y1 (ko) 약액 분사 장치
JPH0632813Y2 (ja) 噴霧ノズル
KR102471038B1 (ko) 이동식 분무기
KR200441017Y1 (ko) 약제 살포 장치
CN219042541U (zh) 一种可调节的农药喷洒器
KR200356349Y1 (ko) 농약 분사구
US20020190134A1 (en) Method of maintaining a yard having a sprinkling system
KR100505551B1 (ko) 주행용 소독장치
JP3009596U (ja) 薬液散布用スプレーノズル
WO2009135314A1 (en) Reduced water usage sprayer
KR20220153915A (ko)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KR200232472Y1 (ko) 휴대용 분무기의 약제교반장치
KR20230063568A (ko) 노즐 교체형 분무 분사장치
JPS5815013Y2 (ja) 噴霧器
KR920000211Y1 (ko) 농약 혼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