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642A - 단말,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642A
KR20230039642A KR1020237000888A KR20237000888A KR20230039642A KR 20230039642 A KR20230039642 A KR 20230039642A KR 1020237000888 A KR1020237000888 A KR 1020237000888A KR 20237000888 A KR20237000888 A KR 20237000888A KR 20230039642 A KR20230039642 A KR 20230039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ta
transmission
control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후미 다카타
다카시 이와이
요시오 우라베
레이 후앙
로잔 치트라카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23003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단말간 통신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로의 간섭을 억제한다.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의 제1 링크의 상태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과의 사이의 제2 링크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와, 송신전력 제어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단말, 및, 통신 방법
본 개시는, 단말,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802.11의 규격인 IEEE 802.11ax(이하, 「11ax」라고 부름)의 후계 규격으로서, IEEE 802.11be(이하, 「11be」라고 부름)의 기술 사양 책정이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면, 11be에서는, 액세스 포인트(「기지국」이라고도 불림, 이하 「AP(Access Point)」라고 부름)가 단말(이하, 「STA(Station)」라고 부름)과 단말 사이의 통신(예를 들면, 단말간 통신, peer to peer(P2P) 또는 Direct Link(DiL)라고 부름)을 트리거하는 방법(예를 들면, Triggered P2P)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5를 참조).
[비특허 문헌 1] IEEE 802.11-19/1604 r1, Triggered P2P [비특허 문헌 2] IEEE 802.11-20/0095 r1, Triggered P2P transmissions [비특허 문헌 3] IEEE 802.11-19/1117 r2, Direct Link MU transmissions [비특허 문헌 4] IEEE 802.11-20/0813 r0, Triggered P2P transmissions follow up [비특허 문헌 5] IEEE 802.11-20/0871 r1, Triggered P2P for 11be Release 1 [비특허 문헌 6] IEEE P802.11ax/D6.0, November 2019 [비특허 문헌 7] IEEE 802.11-2016, December 2016
그렇지만, 단말간 통신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로의 간섭을 억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고 있지 않다.
본 개시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는, 단말간 통신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로의 간섭을 억제하는 단말, 및, 통신 방법의 제공에 이바지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제1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초로, 다른 단말에 대한 제2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송신전력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링크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양상은,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어도 좋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적인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간 통신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로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더한층의 이점 및 효과는, 명세서 및 도면으로 분명해 진다. 그러한 이점 및/또는 효과는, 몇가지의 실시형태 및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 각각 제공되지만, 1개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특징을 얻기 위해 반드시 전부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도1은 Common Info field(공통 정보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User Info field(사용자 정보 필드)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Medium Access Control (MAC) frame(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Frame Control field(프레임 컨트롤 필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Frame Control field에 있어서의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Quality of Service (QoS) Control field(서비스 품질 컨트롤 필드)에 있어서의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Control ID subfield(컨트롤 ID 서브필드)에 있어서의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AP에 있어서의 수신 전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11은 STA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12는 AP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13은 ST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14는 target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RSSI)(목표 수신신호 강도 표시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5는 Common Info field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User Info field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7은 User Info field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8은 UL Target RSSI subfield에 있어서의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9는 우선도(優先度)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0은 우선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1은 우선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2는 우선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3은 ST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24는 Buffer Status Report(BSR)(버퍼 상태 보고)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5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26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27은 QoS Control field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8은 QoS Control field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9는 Control ID subfield에 있어서의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30은 Traffic Identify (TID) - based BSR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31은 TID - based BSR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32는 Control ID subfield에 있어서의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33은 Required Target RSSI report(RTRR)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34는 RTRR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35는 RTRR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36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37은 Triggered Response Scheduling(트리거된 응답 스케줄링)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1ax의 송신 수속]
예를 들면, 11ax는, 상향 링크(UL:Uplink)에 있어서 멀티유저(Multi-User (MU)) 전송을 서포트한다. UL MU송신에는, 예를 들면, MU-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MU-MIMO)(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및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OFDMA)(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등이 있다. 11ax에 있어서의 UL MU송신 수속에서는, 예를 들면, AP는, 수용하는 복수의 STA에 대해서, 상향 링크 신호의 트리거인 신호(예를 들면, 「Trigger frame」라고도 불림) 를 송신해도 좋다. 단말은, 예를 들면, Trigger frame 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신호(예를 들면, 상향 응답신호라고도 부름)를 AP에 송신해도 좋다. 또한, 상향 응답신호는, 예를 들면, Trigger based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TB PPDU)라고도 불린다.
상향 응답신호의 송신시에는, 예를 들면, STA에 있어서 상향 링크 송신전력 제어가 적용되어도 좋다. 상향 링크 송신전력 제어는, 예를 들면, 도1에 나타내는 Trigger frame내의 Common Info field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DL:Downlink)에 있어서의 AP의 송신 전력과 관련된 「AP TX Power」필드의 설정값, 및, 도2에 나타내는 Trigger frame내의 User Info field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AP의 목표 수신신호 강도(예를 들면, target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RSSI))에 관한 「UL Target RSSI」필드의 설정값을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1) 및 수학식(2)를 따라 계산되어도 좋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6을 참조).
또한, 목표 수신신호 강도(target RSSI)는 목표 수신 전력(target receive power)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 Common Info field는, 예를 들면, 복수의 STA에 공통된 정보(예를 들면, 「공통 정보」 또는 「STA 공통 정보」라고도 부름)를 포함해도 좋다. 또, User Info field는, 예를 들면, STA 마다의 개별적인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 「STA 개별 정보」, 또는 「유저 개별 정보」라고 부름)를 포함해도 좋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수학식(1) 및 수학식(2)에 있어서, PLDL은,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패스로스(path loss)([dBm])를 나타내고, Txpwr AP는, AP TX Power 필드의 설정값(예를 들면, 송신 전력값)([dBm])을 나타내고, DLRSSI는, STA에 있어서 추정(또는 측정)되는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강도(예를 들면, RSSI)(dBm)를 나타내고, TargetRSSI는, UL Target RSSI 필드의 설정값([dBm])을 나타낸다.
도3은, 11ax에 있어서의 Medium Access Control(MAC) frame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6 및 7을 참조). MAC frame에는, 예를 들면, 「Frame Control」필드, 「Quality of Service(QoS) Control」필드, 및, 「High Throughput(HT) Control」필드가 포함되어도 좋다.
도4는, MAC frame내의 Frame Control 필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5는, Frame Control 필드의 설정값(예를 들면, Type value 및 Subtype value)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에 있어서, 예를 들면, Frame Control 필드의 Type 필드의 값(Type value)이 「Data」(예를 들면, 필드값이 “10”)이고, SubType 필드의 값(Subtype value)의 비트#7(B7)이 “1”인 경우(도5에 있어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범위), MAC frame내의 QoS Control 필드의 사이즈는 2 byte가 된다. 그런 한편, Type 필드의 값이 「Data」 및 Subtype 필드의 값의 비트#7(B7)이 “1”의 조합과 다른 Type에서는, QoS Control 필드의 사이즈는 0 byte가 된다.
도6은, MAC frame내의 QoS Control 필드의 각 비트(예를 들면, Bits 0-15)에 의해 표시되는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QoS Control 필드에는, 예를 들면, 보유하는 트래픽의 종별을 나타내는 「Traffic Identify(TID)」, 또는, 보유하는 트래픽량(예를 들면, 큐 사이즈)을 나타내는 「Queue Size」등의 파라미터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 MAC frame내의 HT Control 필드에는, 예를 들면, 도3에 나타내는 것처럼, 한 개 이상의 Control subfield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 Control subfield에는, 예를 들면, 제어 정보의 종별을 식별하는 Control ID가 포함되어도 좋다. 도7은, Control ID의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에 나타내는 것처럼, STA은, Control ID에 의해서, 제어 정보의 종별을 구별할 수 있다.
[Triggered P2P]
Triggered P2P에서는, 11ax에 있어서의 UL MU전송과 마찬가지로, AP가, P2P에 의해 송신을 개시하는 단말(예를 들면, 「Direct Link Scheduled (DLS) STA」라고 부름)에 대해서, P2P 신호의 트리거인 제어신호(예를 들면, Trigger frame)를 송신해도 좋다. Trigger frame에는, 예를 들면, P2P 링크 송신에 사용되는 리소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단말은, 예를 들면, Trigger frame을 수신한 후, P2P 링크(또는, Direct Link라고 부름)에 있어서 STA(예를 들면, 「Direct Link Peer (DLP) STA」라고 부름) 앞으로 데이터를 송신해도 좋다.
또, Triggered P2P에서는, 예를 들면,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 링크의 리소스(예를 들면, 상향 링크 리소스라고 부름)와 P2P의 리소스(예를 들면, P2P 리소스라고 부름)를 시간 영역에서 나누는 방법(time resource sharing라고 부른다), 및, 상향 링크 리소스와 P2P 리소스를 주파수 영역에서 나누는 방법(frequency resource sharing라고 부름)이 검토되고 있다.
그렇지만, Triggered P2P의 송신전력 제어의 방법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Triggered P2P의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적절히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P2P 링크의 송신 제어(예를 들면, 송신전력 제어)에는, P2P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AP로의 간섭에 관한 제어를 행하지 않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 기초한 P2P 링크의 송신 제어에서는, P2P 리소스와 상향 링크 리소스가 주파수 다중될 경우에,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AP의 수신에 있어서, 상향 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과 P2P 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 사이에서 큰 전력차이(예를 들면, 임계값 이상의 전력차)가 발생할 경우, 서로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간에 있어서 간섭(예를 들면, 인접 채널간 간섭(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또는 인접 RU간섭(Inter-RU Interference)이라고도 불림)이 발생할 수 있다.
도8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또,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AP에서의 수신 전력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8에서는, 예를 들면, AP는, STA1에 대해서, 상향 링크의 송신(예를 들면, STA1와 AP 사이의 통신)을 Trigger frame(예를 들면, TF라고 나타냄)을 이용하여 트리거해도 좋다. 또, 도8에서는, 예를 들면, AP는, STA2에 대해서, P2P 링크의 송신(예를 들면, STA2와 STA3 간의 통신)을 Trigger frame을 이용하여 트리거해도 좋다.
도8에 나타내는 것처럼, Trigger frame에 의해 트리거된 상향 링크의 송신 및 P2P 링크의 송신의 양쪽이 행해지는 경우, STA2에 의한 P2P 링크의 송신에 의해 AP에 간섭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내는 것처럼, AP에 있어서, P2P 링크(예를 들면, STA2-STA3 통신)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전력이, 상향 링크(예를 들면, STA1-AP통신)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전력보다 클 경우, 간섭(예를 들면,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인접 채널 간섭))의 영향에 의해, 상향 링크 신호의 수신 성능이 열화할 가능성이 있다.
도10은, 상향 링크 송신 및 P2P 링크 송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10에 나타내는 것처럼, 예를 들면, AP는, 시간 리소스(예를 들면, transmission opportunity(TXOP))를 취득하면, Trigger frame을 송신해도 좋다.
또, Trigger frame을 수신한 STA(예를 들면, 도10에서는, STA#1 및 STA#2)는, Trigger frame의 송수신으로부터 규정 시간(예를 들면, Short Inter Frame Space(SIFS)) 경과 후에, 상향 링크(예를 들면, STA#1-AP)의 신호(예를 들면, TB-PPDU), 또는, P2P 링크(예를 들면, STA2-STA3)의 신호(예를 들면, P2P-PPDU)를 송신해도 좋다. 또한, P2P-PPDU는, 예를 들면, single user(SU)-PPDU, multi user(MU)-PPDU, 또는, trigger based(TB)-PPDU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도10에 있어서, STA#3(예를 들면, DLP STA) 또는 AP는, 예를 들면, PPDU의 수신으로부터 SIFS 경과후에 응답신호(예를 들면, ACK)를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10에 나타내는 것처럼,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되는 P2P 링크의 송신 처리는, AP가 취득한 TXOP내에서 행해져도 좋다. 또한, 도10에 있어서, STA2와 STA3은 동일 BSS (Basic Service Set) 이어도 좋고, 다른 BSS이어도 좋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 링크 송신과 P2P 링크 송신이 주파수 다중되는 경우에,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P2P 링크의 송신이 AP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의 수신 처리에 미치는 간섭을 저감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P2P 링크의 송신이 AP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의 수신 처리에 주는 간섭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상향 링크의 스루풋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AP(100), 및, STA(200)을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AP(100)는, 상향 링크 및 P2P 링크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제어에 관한 정보를 Trigger frame을 이용해 STA(200)에 통지해도 좋다. 「통지」는, 「송신」 또는 「지시」로 바꿔 읽어도 좋다. STA(200)은, 예를 들면, AP(100)로부터 통지되는 Trigger frame 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송신, 및, P2P 링크 송신의 적어도 한쪽을 행해도 좋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AP(100) 및 STA(200)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STA(200)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1에 나타내는 STA(200)에 있어서, 제어부(예를 들면, 제어 회로에 상당)는, AP(100)에 대한 제1 링크(예를 들면, AP-STA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다른 STA에 대한 제2 링크(예를 들면, STA-STA 링크 또는 DiL)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한다. 송신부(예를 들면, 송신 회로에 상당)는, 송신전력 제어에 따라, 제2 링크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한다.
[AP(100)의 구성예]
도12는, AP(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2에 나타내는 AP(100)는, 예를 들면, 스케줄러 부(101)와, 제어신호 생성부(102)와, 송신신호 생성부(103)와, 무선 송수신부(104)와, 수신신호 복조·복호부(105)를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스케줄러부(101)와, 제어신호 생성부(102)는, 액세스 제어부(예를 들면, MAC 처리부)에 포함되어도 좋고, 송신신호 생성부(103) 및 수신신호 복조·복호부(105)는, 베이스밴드(baseband(BB)) 처리부에 포함되어도 좋다.
스케줄러부(101)는, 예를 들면, STA(200)에 대한 스케줄링을 제어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스케줄러부(101)는, 수신신호 복조·복호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예를 들면,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각 STA(200)의 리소스 할당, 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변조 및 코딩 방식) 등의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해도 좋다. 또, 스케줄러부(101)는, 예를 들면, AP(100)의 송신 전력 및 Target RSSI 등의, 상향 링크용 또는 P2P 링크용의 송신전력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예를 들면,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해도 좋다. 스케줄러부(101)는, 예를 들면, 결정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한 제어정보를 제어신호 생성부(102)에 출력해도 좋다. 또한, P2P 링크용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예를 들면, Target RSSI)의 설정 방법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신호 생성부(102)는, 예를 들면, STA(200)용 제어신호(예를 들면, Trigger frame)를 생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신호 생성부(102)는, 스케줄러부(101)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정보(예를 들면, 각 STA(200)으로의 리소스 할당 결과, 또는,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해도 좋다.
제어신호에는, 예를 들면,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정보(예를 들면, Resource Unit(RU) 할당 정보, TXOP, LENGTH 등),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예를 들면, AP100의 송신 전력, 또는 Target RSSI 등), 상향 링크 또는 P2P 링크의 송신 신호 생성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MCS, guard interval(GI), long training field(LTF) mode 등), 제어신호의 종별을 통지하는 Trigger type, 및, 단말 식별 정보(예를 들면, association ID(AID))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P2P 링크의 송신신호 생성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MCS, GI, LTF mode 등)는, AP(100)에 의해 결정(또는, 지시)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DLS STA이 결정해도 좋다. 이 경우, MCS, GI, LTF mode 등의 정보는, AP(100)로부터 통지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P2P 링크용 Trigger frame format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신호 생성부(102)는, 예를 들면, 생성한 제어신호를 송신신호 생성부(103)에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103)는, 예를 들면, 제어신호 생성부(10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 및 ACK/Block-ACK에 대해서, 부호화 및 변조 처리를 행한다. 송신신호 생성부(103)는, 예를 들면, 변조 후의 신호에 대해서, 수신측(예를 들면, STA200)에 있어서의 주파수 동기 또는 타이밍 동기에 이용할 파일럿 신호, 채널 추정용 신호(예를 들면, LTF, 또는, Extremely High Throughput(EHT)-LTF) 등을 부가하여, 무선 프레임(송신 신호)을 생성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103)는, 생성한 송신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104)에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부(104)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103)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신호에 대해서, D/A변환, 캐리어 주파수로 업 컨버트 등의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하고, 무선 송신 처리 후의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하여 송신한다.
AP(100)는, 예를 들면, STA(200)으로부터 송신된 상향 링크 신호(예를 들면, 상향 응답신호(TB-PPDU)) 및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경우, 이하와 같이 동작해도 좋다.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는, 무선 송수신부(104)에 입력된다. 무선 송수신부(104)는, 예를 들면, 수신한 무선신호에 대해서 캐리어 주파수의 다운 컨버트 등의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하고, 무선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수신신호 복조·복호부(105)에 출력한다.
수신신호 복조·복호부(105)는, 예를 들면, 무선 송수신부(1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자기 상관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하여, 수신한 무선 프레임을 추출해도 좋다. 또, 수신신호 복조·복호부(105)는, 예를 들면, 추출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STA(200)으로부터의 상향 응답신호(예를 들면, TB-PPDU) 및 피드백 정보를 복호 및 복조해도 좋다. 수신신호 복조·복호부(105)는, 예를 들면, 피드백 정보를, 스케줄러부(101)에 출력해도 좋다.
[STA(200)의 구성예]
도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STA(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3에 나타내는 STA(200)은, 예를 들면, 무선 송수신부(201)와,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와, 송신 전력 산출부(203)와, 신호 생성부(204)와, 송신 제어부(205)와, 송신신호 생성부(206)를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11에 나타내는 제어부는, 도13에 있어서 송신신호의 생성에 관한 처리부(예를 들면,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 송신 전력 산출부203, 신호 생성부204, 송신 제어부205와, 및, 송신신호 생성부206 등)에 대응해도 좋다. 또, 도11에 나타내는 송신부는, 예를 들면, 도13에 나타내는 무선 송수신부(201)에 대응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송신전력 산출부(203), 신호 생성부(204), 및, 송신 제어부(205)는, 액세스 제어부에 포함되어도 좋고,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 및 송신신호 생성부(206)는, 베이스밴드 처리부에 포함되어도 좋다.
무선 송수신부(201)는, 예를 들면, AP(100) 또는 다른 STA(2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다운 컨버트, A/D변환 등의 무선수신 처리를 행하고, 무선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에 출력한다. 또, 무선 송수신부(2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20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D/A변환, 캐리어 주파수로의 업 컨버트 등의 무선송신 처리를 행해도 좋다. 또, 무선 송수신부(201)는, 예를 들면, 송신전력 산출부(203)로부터 지시되는 송신전력에 기초하여, 무선 송신 처리 후의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하여 송신해도 좋다.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는, 예를 들면, 무선 송수신부(2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자기 상관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하여, 수신한 무선 프레임을 추출해도 좋다.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는, 예를 들면, 추출한 무선 프레임내에 포함된 제어신호(예를 들면, Trigger frame)를 복조 및 복호하여, 예를 들면, AP TX Power 또는 Target RSSI 등의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전력 산출부(203)에 출력해도 좋다.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는, 예를 들면, 추출한 무선 프레임이 다른 STA(200)으로부터의 신호일 경우, 무선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 제어신호, 및, 피드백 정보를 복조 및 복호해도 좋다.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는, 예를 들면, 추출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 제어부(205)에 출력해도 좋다.
또한, STA(200)은, Trigger frame으로 지시된 송신이, 상향 링크 송신 및 P2P 링크 송신의 어느것인지에 대해서, 예를 들면, Trigger frame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판단해도 좋다. Trigger frame에 포함된 제어 정보는, 예를 들면, 상향 링크 송신과 P2P 링크 송신을 구별하는 1 bit의 시그널링 이어도 좋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4를 참조).
또, STA(200)은, 상술한 1 bit의 시그널링 대신에, AID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송신과 P2P 링크 송신의 구별을 판단해도 좋다. AID에 기초한 판단일 경우, STA(200)은, 예를 들면, 상향 링크 통신용 AID 및 P2P 링크 통신용 AID의 2개의 AID를 가져도 좋다. AID에 기초해 상향 링크 송신과 P2P 링크 송신을 구별하는 제어에 의해, 추가 시그널링이 없어도 된다.
또, STA(200)은, 상술한 1 bit의 시그널링 대신에, Trigger frame의 MCS 필드에 있어서 미사용 설정값(예를 들면, 15)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송신과 P2P 링크 송신의 구별을 판단해도 좋다. P2P 링크 송신일 경우, MCS는, AP(100)가 아니라, DLS STA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따라서, STA(200)은, P2P 링크 송신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MCS 필드에 있어서, 상향 통신용 Trigger frame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MCS의 설정값을 기초로, Trigger frame으로 지시된 송신이 상향 링크 송신 및 P2P 링크 송신의 어느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MCS 필드의 설정값에 기초한 상향 링크 송신과 P2P 링크 송신을 구별하는 제어에 의해, 추가 시그널링이 없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상향 링크 송신과 P2P 링크 송신을 구별하는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CS 필드의 미사용 설정값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필드의 미사용 설정값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또,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는, 예를 들면,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정보(예를 들면, RU할당 정보, TXOP, LENGTH 등) 또는 MCS, GI, LTF mode 등의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신호 생성부(206)에 출력해도 좋다.
송신전력 산출부(203)는, 예를 들면, 상향 링크 신호(예를 들면, 상향 응답신호) 또는 P2P 신호의 송신 전력을 산출해도 좋다. 예를 들면, 송신전력 산출부(203)는,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예를 들면, AP TX Power 및 Target RSSI), 및, 하향 링크 신호로부터 추정한 패스로스(도면표시하지 않음)에 기초하여, 상향 응답신호 또는 P2P 신호의 송신 전력을 산출해도 좋다. 송신전력 산출부(203)는, 예를 들면, 산출한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201)에 출력해도 좋다. 또한, 송신전력 산출부(203)에 있어서의 P2P 링크 송신용의 송신전력 산출 방법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산출」은, 「결정」으로 바꿔 읽어도 좋다.
신호 생성부(204)는, 예를 들면, 상향 응답신호, 또는, P2P용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향 응답신호 또는 P2P용 신호를 송신신호 생성부(206)에 출력해도 좋다. 상향 응답신호에는, 예를 들면, STA(200)의 ID, 및, STA(200)의 송신정보(예를 들면, 데이터, 송신 버퍼 상태 통지(예를 들면, BSR:Buffer Status Report), 또는, DL Data 요구 등)가 포함되어도 좋다.
송신 제어부(205)는, 예를 들면,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로부터 입력되는, 다른 STA(200)으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MCS, GI 또는 LTF mode 등의 P2P 링크의 송신에 관련된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한 제어 파라미터를 송신신호 생성부(206)에 출력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206)는, 예를 들면,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파라미터(예를 들면, MCS, GI, LTF mode 등) 또는 송신 제어부(20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신호 생성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응답신호 또는 P2P용 신호에 대해서 부호화 및 변조를 행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206)는, 예를 들면, 변조 후의 신호에 대해서, 수신측(예를 들면, AP100 또는 다른 STA200)에 있어서의 주파수 동기 또는 타이밍 동기에 이용할 파일럿 신호, 채널 추정용 신호 등의 제어신호(프리앰블)를 부가하여, 무선 프레임(송신 신호)을 생성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206)는, 예를 들면, 생성한 송신 신호를, 무선 송수신부(201)에 출력한다.
[AP 및 STA의 동작예]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AP(100) 및 STA(20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TA(200)(예를 들면, DLS STA)은, 예를 들면, AP(100)와 STA(200) 사이의 링크(예를 들면, AP-STA 링크 또는 상향 링크)에 관련된 파라미터(예를 들면, 패스로스)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해도 좋다. AP-STA 링크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AP-STA 링크의 품질(또는, AP-STA 링크 상태)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AP(100)는, DLS STA인 STA(200)에 대해서, AP(100)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 및, P2P 링크의 Target RSSI(예를 들면, AP100에 있어서의 DLS STA로부터의 신호의 목표 수신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STA(200)에 송신해도 좋다. STA(200)은, 예를 들면, AP(100)의 송신 전력, P2P 링크의 Target RSSI, 및, AP(100)와 STA(200) 사이의 링크에 있어서의 패스로스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AP(100)는, 상향 링크 리소스에 설정되는 Target RSSI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Target RSSI를 설정해도 좋다. 도14는, P2P 링크의 Target RSSI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P2P 링크(또는, STA-STA 링크)에 할당되는 주파수 리소스(예를 들면, RU)와, 상향 링크(또는, AP-STA 링크)에 할당되는 주파수 리소스는 서로 이웃한다. 이 경우, AP(100)는, 예를 들면, P2P 리소스와 서로 이웃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에 설정된 Target RSSI에 기초하여, P2P 리소스의 Target RSSI를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AP(100)는, P2P 리소스와 서로 이웃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의 Target RSSI 중, 최소값, 최대값 및 평균값의 어느것인가를, P2P 리소스의 Target RSSI에 설정해도 좋다.
P2P 링크의 Target RSSI 설정에 의해, 예를 들면, AP(100)에 있어서 간섭이 될 수 있는 P2P 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은, AP(100)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과 동일한 정도로 되기 쉽다. 이 때문에, AP(100)에서는, P2P 링크 신호와 상향 링크 신호 사이의 수신 전력차가 저감하므로, P2P 링크 신호에 의한 상향 링크 신호로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P2P 리소스의 Target RSSI 설정은, 서로 이웃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에 설정된 Target RSSI의 최소값, 최대값 및 평균값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AP(100)는, P2P 리소스와 서로 이웃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에 설정되는 Target RSSI(예를 들면, 최소값, 최대값 또는 평균값)에 대해서, 허용가능한 간섭량에 기초한 오프셋(offset)을 가산한 값을 P2P 리소스의 Target RSSI에 설정해도 좋다.
또, P2P 리소스의 Target RSSI 설정은, P2P 리소스와 서로 이웃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의 Target RSSI에 기초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P2P 리소스로부터 규정 범위내의 상향 링크 리소스의 Target RSSI의 적어도 1개에 기초해도 좋다.
다음에, P2P용 송신 전력의 산출 방법, 및, Trigger frame 포맷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 1>
예1에서는, STA(200)(예를 들면, DLS STA)은, 예를 들면, 상향 링크(예를 들면, AP-STA 링크)의 상태, 및, Trigger frame으로 지시된 정보(예를 들면, P2P 링크의 Target RSSI 및 AP100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 전력을 제어해도 좋다.
AP-STA 링크 상태의 일례로서, AP-STA 링크에 있어서의 패스로스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STA(200)은, AP-STA 링크에 있어서의 패스로스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 전력을 제어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P2P용 Trigger frame은, 11ax의 상향 링크에 대한 Trigger frame과 동일한 포맷이어도 좋다. 도15는, P2P용 Trigger frame에 포함되는 Common info field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16은, P2P용 Trigger frame에 포함되는 User Info field의 일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15에 나타내는 Common info field에는, AP(100)의 송신전력을 나타내는 필드(예를 들면, AP TX Power)가 설치되고, 도16에 나타내는 User info filed에는, Target RSSI를 나타내는 필드(UL Target RSSI)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도15 및 도16에 나타내는 Trigger frame 포맷에 있어서 일부 필드가 존재하지 않아도 좋고, 새로운 필드가 추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되는 P2P 링크의 Target RSSI는, AP(100)에 있어서 허용할 수 있는 간섭량으로 간주해도 좋다.
일례로서 도8에 나타내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STA2(예를 들면, DLS STA)는, 예를 들면, AP-STA2 링크의 패스로스,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된 Target RSSI 및 AP의 송신전력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송신전력(다시말하면, 송신전력의 상한값) 이하의 송신전력을, P2P 링크의 송신전력으로 설정해도 좋다.
다시말하면, STA(200)은, 예를 들면, AP(100)에 있어서의 P2P 신호의 수신전력이 Trigger frame으로 지시된 Target RSSI 이하로 설정되도록,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STA(200)은, AP(100)로부터의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전력(예를 들면, DLRSSI),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된 AP(100)의 송신전력(예를 들면, Txpwr AP)에 기초하여, 수학식(3)을 따라 AP-STA 링크의 패스로스(예를 들면, PLAP-STA)를 산출해도 좋다.
Figure pct00003
또, STA(200)은, 예를 들면, 산출한 패스로스(예를 들면, PLAP-STA), 및,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된 P2P 링크의 Target RSSI(예를 들면, TargetRSSI)에 기초하여, 수학식(4)를 따라 AP(100)가 허용할 수 있는 P2P 링크의 송신전력(예를 들면, Txpwr_limit)을 산출해도 좋다.
Figure pct00004
그리고, STA(200)은, 예를 들면, 수학식(5)와 같이, P2P 링크 송신의 송신전력(예를 들면, Txpwr P2P)을, 산출한 송신전력(Txpwr_limit) 이하의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Figure pct00005
아래에, 상술한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다.
(스텝 1) STA(200)은, 예를 들면, P2P 링크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 전력(Txpwr)을 결정해도 좋다. P2P 링크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P2P 링크의 MCS, 패스로스, 또는, 패킷 오류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STA(200)은, 예를 들면, 미리 규정된 송신 전력(예를 들면, 최대 송신전력 등의 고정 송신전력)을 P2P 링크 송신전력으로 설정해도 좋다.
(스텝 2) STA(200)은, 예를 들면, AP(100)로부터의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전력(예를 들면, DLRSSI)을 측정하고, 측정한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전력 및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된 AP(100)의 송신전력(예를 들면, Txpwr AP)에 기초하여, 수학식(3)을 따라, AP-STA 링크의 패스로스(예를 들면, PLAP-STA)를 산출해도 좋다. 그리고, STA(200)은, 예를 들면, 패스로스 및,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된 Target RSSI(예를 들면, TargetRSSI)에 기초하여, 수학식(4)를 따라, AP(100)가 허용할 수 있는 P2P 링크의 송신전력(예를 들면, Txpwr_limit)을 구한다.
(스텝 3) STA(200)은, 예를 들면, 수학식(6)을 따라, 스텝 1에서 산출한 송신전력 Txpwr, 및, 스텝 2에서 산출한 송신전력 Txpwr_limit 중, 작은 전력값을, P2P 링크 송신의 송신전력으로 설정해도 좋다.
Figure pct00006
이와 같이, STA(200)은, 예를 들면, AP-STA 링크의 패스로스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P2P 링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송신전력 Txpwr이, AP(100)가 허용할 수 있는 P2P 링크의 송신전력 Txpwr_limit보다 클 경우, STA(200)은, P2P 링크의 송신전력을 Txpwr_limit로 설정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P2P 링크 신호가 AP(100)에 대해 간섭을 줄 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AP(100)에서는, P2P 링크 신호의 간섭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P2P 링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송신전력 Txpwr이, AP(100)가 허용할 수 있는 P2P 링크의 송신전력 Txpwr_limit 이하일 경우, STA(200)은, P2P 링크의 송신전력을 Txpwr로 설정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STA(200)은, 예를 들면, AP(100)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고, P2P 링크의 상태(예를 들면, 품질)에 적합한 송신 전력으로 P2P 링크 송신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P2P 링크 송신이 AP(100)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의 수신 처리에 미치는 간섭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상향 링크의 스루풋을 향상할 수 있다.
<예 2>
예2에서는, 예를 들면, 예1과 마찬가지로, STA(200)(예를 들면, DLS STA)는, 상향 링크 상태(예를 들면, AP-STA 링크의 패스로스), 및,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된 정보(예를 들면, P2P 링크의 Target RSSI 및 AP100의 송신전력)를 기초로, P2P 링크의 송신 전력을 제어해도 좋다.
예2에서는, STA(200)은, 예를 들면, STA(200)에 있어서의 빔포밍(beamforming)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초로, P2P 링크의 송신 전력을 제어해도 좋다. 예를 들면, 빔포밍 제어에 의해 AP(100) 방향으로 NULL을 향하게 하는 제어가 행해질 경우, STA(200)으로부터 송신되는 P2P 링크 신호에 의한 AP(100)로의 간섭은 저감된다. 이 경우, STA(200)은, 예를 들면, P2P 링크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다시말하면, STA(200)에 있어서의 P2P 링크의 송신 전력의 제한을 완화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예2에 있어서의 P2P용 Trigger frame은, 예를 들면, 예1(예를 들면, 도15 및 도16)과 동일해도 좋다.
아래에, 상술한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다.
(스텝 1) STA(200)은, 예를 들면, P2P 링크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전력(Txpwr)을 결정해도 좋다. P2P 링크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P2P 링크의 MCS, 패스로스, 또는, 패킷 오류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STA(200)은, 예를 들면, 미리 규정된 송신 전력(예를 들면, 최대 송신전력 등의 고정적인 송신전력)을 P2P 링크 송신 전력으로 설정해도 좋다.
(스텝 2) STA(200)은, 예를 들면, AP(100)로부터의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전력(예를 들면, DLRSSI)을 측정하고, 측정한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전력 및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된 AP(100)의 송신전력(예를 들면, Txpwr AP)에 기초하여, 수학식(3)을 따라, AP-STA 링크의 패스로스(예를 들면, PLAP-STA)를 산출해도 좋다. 그리고, STA(200)은, 예를 들면, 패스로스 및,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된 Target RSSI(예를 들면, TargetRSSI)에 기초하여, 수학식(4)을 따라, AP(100)가 허용할 수 있는 P2P 링크의 송신전력(예를 들면, Txpwr_limit)을 구한다.
(스텝 3) STA(200)은, 예를 들면, 스텝 1에서 산출한 송신 전력 Txpwr이, 스텝 2에서 산출한 송신 전력 Txpwr_limit 이하일 경우, P2P 링크의 송신 전력을, Txpwr로 설정하고, P2P를 위한 송신 전력의 산출 처리를 종료해도 좋다.
그 한편, STA(200)은, 예를 들면, 송신전력 Txpwr이 송신전력 Txpwr_limit 보다 클 경우, 스텝 4이후의 처리를 행해도 좋다.
(스텝 4)
STA(200)은, 예를 들면, STA(200)에 있어서 적용되는 빔포밍(예를 들면, 프리코딩(Precoding), 안테나 전환 제어 등), 및, AP-STA간의 채널 추정값에 기초하여, AP(100)에 미치는 간섭의 저감 정도에 관한 정보(다시말하면, 빔포밍에 관한 파라미터. 예를 들면, BFeffect)를 추정해도 좋다. 또한, AP-STA간의 채널 추정값은, 예를 들면, Trigger frame이 포함되는 PPDU의 EHT-LTF 및 LTF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정되어도 좋고, 하향 링크의 Null Data Packet(NDP)에 기초하여 추정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STA(200)은, NDP를 AP(100)에 송신하고, AP(100)에 있어서 NDP에 기초하여 추정된 채널 추정값을 포함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해도 좋다.
STA(200)은, 예를 들면, 수학식(7)을 따라, AP(100)에 미치는 간섭의 저감 정도에 따른 오프셋(예를 들면, BFeffect)을 송신전력 Txlimit에 더하고, 오프셋 가산 후의 AP(100)가 허용할 수 있는 P2P 링크의 송신 전력 Tx'pwr_limit를 산출해도 좋다. 예를 들면, AP(100)에 미치는 간섭의 저감 정도가 클수록, BFeffect의 값이 크게 설정되어도 좋다.
Figure pct00007
(스텝 5) STA(200)은, 예를 들면, 스텝 1에서 산출한 송신전력 Txpwr, 및, 스텝 4에서 산출한 송신전력 Tx'pwr_limit 중, 작은 전력값을, P2P 링크 송신의 송신 전력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STA(200)은, 예를 들면, AP-STA 링크의 패스로스, 및, STA(200)에 있어서의 빔포밍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예 1과 마찬가지로, P2P 링크의 송신이 AP(100)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의 수신 처리에 미치는 간섭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상향 링크의 스루풋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예2에서는, 빔포밍 제어에 따라, P2P 링크에 있어서, AP(100)로의 간섭 억제를 위한 송신 전력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다(다시말하면, P2P 링크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키기 쉬워 진다).
<예 3>
예1 또는 예2에서는, Trigger frame에 의해 통지되는 허용 간섭량(예를 들면, Target RSSI)이 1개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예3에서는, Trigger frame에 의해 통지되는 허용 간섭량(예를 들면, Target RSSI)이 복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Target RSSI 각각은, 예를 들면, P2P 링크의 송신에 대한 우선도(優先度)에 대응화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우선도가 보다 높은 P2P 링크의 송신에 대응하는 Target RSSI(또는, 허용 간섭량)는 높게 설정되고, 우선도가 보다 낮은 P2P 링크의 송신에 대응하는 Target RSSI(또는, 허용 간섭량)는 낮게 설정되어도 좋다. 다시말하면, 우선도가 보다 높은 P2P 링크의 송신일수록, 높은 송신전력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17은, 2개의 우선도(예를 들면, 높은 우선도(high priority) 및 낮은 우선도(low priority)가 설정되는 경우의 Trigger frame format(User Info field)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설정되는 우선도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도17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낸 11ax와 동일한 「UL Target RSSI」필드에, 우선도가 높은 P2P 링크 송신용의 Target RSSI가 설정되고, 「UL Target RSSI#2」필드에, 우선도가 낮은 P2P 링크 송신용의 Target RSSI가 설정되어도 좋다.
「UL Target RSSI#2」필드의 설정값은, 예를 들면, 「UL Target RSSI」필드의 설정값과 마찬가지로, 도18에 나타내는 RSSI의 절대값(예를 들면, 7bit 테이블의 어느것인가의 값)을 나타내는 값이어도 좋고, 「UL Target RSSI」필드의 설정값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오프셋을 나타내는 값이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우선도 마다의 복수의 Target RSSI가 설정(또는, 통지)되는 경우, 「UL Target RSSI」에 관한 필드의 비트수를 11ax에 있어서 규정되는 비트수와 다른 값으로 설정(또는,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17에 있어서, 「UL Target RSSI」필드를 4bit로 구성하고, 「UL Target RSSI#2」필드를 3bit로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Target RSSI의 시그널링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17에 나타내는 User Info field에 있어서, 11ax의 User Info field와 비교해 비트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UL Target RSSI」필드, 및, 「UL Target RSSI#2」필드의 비트수는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비트수이어도 좋다.
여기서, 예를 들면, UL Target RSSI에 관한 필드의 비트수가 적을수록, 통지가능한 정보량이 저감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UL Target RSSI」필드 및 「UL Target RSSI#2」필드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통지할 수 있는 최대값(예를 들면, 11ax에서는 ―20dBm) 및 최소값(예를 들면, 11ax에서는 ―110dBm)의 적어도 1개의 값을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통지가능 최대값이 보다 낮은 값으로 변경되어도 좋고, 통지가능 최소값이 보다 높은 값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다시말하면, 통지할 수 있는 값이 보다 좁은 범위의 값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또는, 예를 들면, Target RSSI의 스텝폭을 보다 크게 함으로써, 어떤 비트수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Target RSSI의 레인지를 확대해도 좋다. 예를 들면, Target RSSI의 스텝폭은, 11ax에서는 1dB단위의 스텝폭이다. 도17에서는, 예를 들면, Target RSSI의 스텝폭은, 1dB보다 큰 단위(예를 들면, 2dB, 3dB 또는, 4dB이상)의 스텝폭이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도17에 나타내는 「UL-HE-MCS」필드 또는 「UL Dual subcarrier Modulation(DCM)」필드 등을 복수의 Target RSSI의 통지 필드(예를 들면, 「UL Target RSSI#2」)로 치환해도 좋다(도면표시 하지 않음). P2P 링크에서는, 예를 들면, MCS 및 DCM은, AP(100)가 아니라, DLS STA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DLS STA에는, AP(100)로부터 「UL-HE-MCS」필드 및 「UL DCM」필드에 있어서 대응하는 설정값은 통지되지 않아도 좋다. 이 때문에, STA(200)(예를 들면, DLS STA)는, Trigger frame내의 「UL-HE-MCS」필드 및 「UL DCM」필드에 있어서, 복수의 Target RSSI에 관한 정보를 수신해도 좋다.
또한, 「UL-HE-MCS」필드 및 「UL DCM」필드에 한하지 않고, P2P 링크에 있어서 DLS STA에 의해 결정되는 파라미터(다시말하면, AP(100)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필드가, 복수의 Target RSSI의 통지 필드로 치환되어도 좋다.
우선도는, 예를 들면, P2P 링크 송신에 있어서의 PPDU의 프레임 종별(예를 들면, Management, Control frame 등의 frame type), Access category(AC), 또는, TID(또는, 트래픽 종별)에 기초하여 제어(또는, 결정, 설정)되어도 좋다.
도19, 도20, 도21및 도22는, 우선도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는, frame type의 종별에 따라 우선도가 설정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에서는, 예를 들면,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프레임(예를 들면, Management frame 또는 Control frame)의 우선도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레임(예를 들면, Data frame)의 우선도보다 높게 설정되어도 좋다. 도19에 나타내는 우선도 설정에 의해, 예를 들면, P2P 링크 송신에서는, 데이터와 비교해,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접속 처리 등의 지연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frame type의 종별은, Management frame, Control frame 및 Data frame과 다른 종별이어도 좋다.
도20은, 도19에 있어서의 frame type의 종별에 더해, 동일한 frame type 중, 송신 종별에 따라 우선도가 설정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20에서는, Control frame 중, ACK 및 Block-ACK의 우선도가, ACK 및 Block-ACK와 다른 기타 종별의 우선도보다 높게 설정되어도 좋다. 도20에 나타내는 우선도 설정에 의해, 예를 들면, P2P 링크 송신에서는, 다른 제어 정보와 비교해, ACK 및 Block-ACK의 수신 품질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재송 처리 등의 지연(遲延)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21은, AC(액세스 카테고리)에 의해서 우선도가 설정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에서는, 예를 들면, 지연의 요구 조건이 보다 높은 AC(예를 들면, AC_VO(access category voice), AC_VI(access category video))의 우선도가, 지연의 요구 조건이 보다 낮은 AC(예를 들면, AC_BK(access category background), AC_BE(access category best effort))의 우선도보다 높게 설정되어도 좋다. 도21에 나타내는 우선도 설정에 의해, 예를 들면, P2P 링크 송신에서는, 예를 들면, 지연의 요구 조건이 보다 높은 AC에 대응하는 정보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AC의 종별은, 도21에 나타낸 종별과 다른 종별이어도 좋다.
도22는, TID에 의해 우선도가 설정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에서는, 예를 들면, TID에 대응하는 지연의 요구 조건에 따라 우선도가 설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4이상 TID의 우선도가, 4 미만 TID의 우선도보다 높게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도22에 있어서, 우선도 설정에 관한, TID에 대한 임계값은 4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값이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11ax에 있어서 사용되지 않는 TID(예를 들면, 7보다 큰 값)에 대해서, 긴급도(緊急度)가 보다 높은 서비스로서 가장 높은 우선도가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도19, 도20, 도21 및 도22각각에 나타내는 우선도의 설정을 조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19와 도21을 조합하여, Management frame, Control frame 및 Data frame의 일부 AC(예를 들면, AC_VO 및 AC_VI)의 우선도가, Data frame의 다른 AC(예를 들면, AC_BK 및 AC_BE)의 우선도보다 높게 설정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예3에서는, AP(100)는, STA(200)에 대해서, P2P 링크 송신의 우선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Target RSSI를 지시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우선도가 보다 높은 P2P 링크 송신에 대해서, 대응하는 Target RSSI(또는, 허용 간섭량)가 보다 높게 설정되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STA(200)은, 예를 들면, 우선도가 높은 P2P 링크 송신의 송신전력을 높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P2P 링크의 통신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우선도는 2종류(예를 들면, 「고(High priority)」 및 「저(low priority)」)로 한정되지 않고, 3종류 이상 설정되어도 좋다.
이상, P2P용 송신 전력의 산출 방법, 및, Trigger frame 포맷의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STA(200)은, AP(100)에 대한 AP-STA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예를 들면, 패스로스)에 기초하여, 다른 STA에 대한 P2P 링크(또는, STA-STA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고, 송신전력 제어에 따라 P2P 링크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한다.
이 송신전력 제어에 의해, 예를 들어, 도8에 나타내는 것처럼, Trigger frame에 의해 트리거 된 상향 링크의 송신 및 P2P 링크의 송신의 양쪽이 행해질 경우, STA2에 의한 P2P 링크의 송신에 의해 AP에 미치는 간섭(예를 들면,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향 링크 신호의 수신 성능의 열화를 억제하여, 상향 링크의 스루풋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STA(200)가, AP-STA 링크 상태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동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STA(200)은, AP(100)로부터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AP-STA 링크 상태에 기초한 송신전력 제어와, P2P(STA-STA) 링크 상태에 기초한 송신전력 제어를 전환해도 좋다.
송신전력 제어의 전환에 관한 지시 정보는, 예를 들면, Trigger frame, 비콘(Beacon), 또는, 다른 제어 정보에 의해 AP(100)로부터 STA(200)에 통지되어도 좋다.
송신전력 제어의 전환의 통지 방법은, 예를 들면, Trigger frame의 User Info field 또는 Common info field에 있어서, 상술한 2종류 송신전력 제어의 어느것인가 한쪽을 지시하는 플래그(예를 들면, 1bit 플래그)를 통지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또, 송신전력 제어의 전환은, 예를 들면, Trigger frame의 User Info field의 「UL Target RSSI」필드에, 어떤 값을 설정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UL Target RSSI」필드의 설정값(예를 들면, 도18)이 ‘127'인 경우, STA(200)은 P2P 링크 상태에 기초하는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고, 「UL Target RSSI」필드의 설정값이 ‘127'과 다른 값일 경우, STA(200)은, AP-STA 링크 상태에 기초하는 송신전력 제어를 행해도 좋다.
AP(100)는, 예를 들면, 상향 링크 및 P2P 링크의 리소스 할당 결과, 또는, 상향 링크에 설정되는 파라미터를 기초로, AP-STA 링크의 상태에 기초한 송신전력 제어와, P2P (STA-STA) 링크의 상태에 기초한 송신전력 제어의 전환을 판단해도 좋다. 예를 들면, AP(100)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에 의해, P2P 리소스와 서로 이웃하는 리소스가, 상향 링크에 할당되지 않는 경우는, 상향 링크에 대해서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의 영향을 주기 어렵다. 또는, 상향 링크에 대해서 로버스트(robust)한 파라미터(예를 들면, MCS)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향 링크에 대해서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의 영향을 주기 어렵다. 이와 같이, AP(100)는, P2P 링크로부터 상향 링크에 줄 수 있는 간섭의 영향 정도에 기초하여, STA(200)에 대해서,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 방법의 전환을 지시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P2P 링크 송신에 의한 UL링크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여, P2P 링크의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AP-STA 링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여기서, AP-STA 링크 상태에 기초한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에서는, P2P 링크의 품질이 담보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AP-STA 링크 상태에 더해, P2P 링크(또는, STA-STA 링크) 상태에 기초한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AP(100), 및, STA(300)를 포함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STA(300)(예를 들면, DLS STA)는, P2P 링크 상태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품질 정보)를 AP(100)에 피드백하고, AP(100)는, 피드백된 P2P 링크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P2P 링크에 대한 Target RSSI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STA(300)는, 예를 들면, AP-STA 링크 상태, 및, P2P 링크 상태에 기초한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할 수 있다.
P2P 링크 상태에 관한 정보에는, 예를 들면, DLS STA가 요구하는 Tareget RSSI(허용 간섭량)(이하, 「Required Target RSSI」라고 부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STA(300)(DLS STA)은, P2P 링크의 품질정보에 기초하여, Required Target RSSI를 산출하고, 산출한 Required Target RSSI에 관한 정보를 AP(100)에 통지(또는, 피드백)해도 좋다. AP(100)는, 예를 들면, STA(300)으로부터 통지된 Required Target RSSI에 기초하여, P2P 링크 리소스의 Target RSSI를 결정(또는, 조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에 있어서, AP-STA 링크의 상태에 더해, P2P 링크의 상태에 기초함으로써, P2P 링크의 품질을 담보할 수 있고, P2P 링크 송신이 AP(100)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의 수신 처리에 주는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AP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AP(100)의 구성예는, 실시형태 1의 구성예와 동일해도 좋다. AP(100)는, 예를 들면, STA(300)으로부터 통지되는 Required Target RSSI에 기초하여, P2P용 Target RSSI를 설정(또는, 조정)해도 좋다.
또한, Required Target RSSI를 이용한 P2P용 Target RSSI의 설정 방법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STA의 구성]
도2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STA(3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23에 있어서, 실시형태 1(도13)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3에 있어서, Required Target RSSI 산출부(301)는, 예를 들면, 수신신호 복조·복호부(202)로부터 입력되는, 다른 STA(예를 들면, DLP STA)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예를 들면, CSI 또는 패스로스), 또는, P2P 링크의 패킷 오류율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이 AP(100)에 미치는 간섭량의 허용값(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을 산출해도 좋다. Required Target RSSI 산출부(301)에 있어서의 Required Target RSSI의 산출 방법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Required Target RSSI 산출부(301)는, 예를 들면, 규정 포맷에 기초하여, 산출한 Required Target RSSI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 정보를 송신신호 생성부(206)에 출력해도 좋다.
또한, Required Target RSSI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제어 정보의 포맷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P 및 STA의 동작예]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AP(100) 및 STA(30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P2P용 Target RSSI의 설정 방법>
AP(100)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1(예를 들면, 도14)과 마찬가지로, 스케줄링에 의해 할당한 P2P 리소스(예를 들면, RU)와 서로 이웃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에 설정되는 Target RSSI에 기초하여, P2P 리소스의 Target RSSI(예를 들면, 설정 Target RSSI라고 부름)를 설정해도 좋다.
또, AP(100)는, 예를 들면, STA(300)으로부터 피드백되는 Required Target RSSI에 기초하여, 설정 Target RSSI를 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가 설정 Target RSSI보다 높은 경우, AP(100)는, 허용가능한 간섭 레벨까지 P2P 리소스의 Target RSSI를 증가시켜도 좋다.
또, AP(100)는, P2P 리소스의 Target RSSI를 증가시킬 경우, P2P 리소스와 인접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의 MCS를 저감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P2P 리소스로부터의 간섭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AP(100)에 있어서 상향 링크의 데이터의 수신 오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P2P 리소스의 Target RSSI의 조정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파라미터는 MCS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파라미터도 좋다.
또, 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가 설정 Target RSSI 이하일 경우, AP(100)는, 설정 Target RSSI를 적용해도 좋다(다시말하면, 조정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AP(100)는, P2P 리소스와 서로 이웃하는 상향 링크 리소스에 설정된 Target RSSI보다 큰 Required Target RSSI를 피드백한 STA(300)에 대해서, P2P 리소스를 할당하지 않아도 좋다. 해당 STA(300)에 리소스를 할당하지 않음으로써, 예를 들면, P2P 링크의 송신이 상향 링크의 수신에 주는 간섭을 없앨 수 있다.
<Required Target RSSI 산출 방법>
STA(300)에 있어서의 Required Target RSSI의 산출 방법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STA(300)는, 예를 들면, P2P 링크에 있어서의 다른 STA(예를 들면, DLP STA)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예를 들면, CSI 또는 패스로스 등)에 기초하여, P2P 링크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예를 들면, Txpwr P2P)을 산출해도 좋다. 또한, P2P 링크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 Txpwr P2P은, 미리 규정된 고정된 송신 전력(예를 들면, 최대 송신 전력) 이어도 좋다.
또, STA(300)는, 예를 들면, AP(100)로부터의 하향 링크 신호(예를 들면, 비콘, 또는, Trigger frame 등)에 기초하여, AP-STA간의 패스로스(예를 들면, PLAp-STA)를 추정해도 좋다.
그리고, STA(300)는, 예를 들면, 다음 수학식(8)을 따라, Required Target RSSI(RequiredTargetRSSI)를 산출해도 좋다.
Figure pct00008
<Required Target RSSI에 관한 제어 정보 포맷>
STA(300)으로부터 AP(100)에 통지되는 Required Target RSSI에 관한 제어 정보의 포맷의 예(예를 들면, 포맷 1~4)에 대해 설명한다.
<포맷 1>
도24는, 포맷1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4에 나타내는 포맷은, 예를 들면, 11ax에 있어서 규정된 Buffer Status Report(BSR)의 포맷(다시말하면, BSR에 관한 제어 필드)을 일부 변경시킨 포맷이어도 좋다. BSR의 포맷은, 예를 들면, MAC frame의 HT Control 필드에 포함되는 BSR Control subfield에 있어서의 Control Information subfield의 포맷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11ax에 있어서 규정되는 제어 정보(예를 들면, 도7)는 최대 26비트이다. 또, 11ax의 BSR 포맷에서는, 26비트 각각이 어떤 제어정보의 통지에 사용된다. 이 때문에, Required Target RSSI가 BSR과 함께 송신될 경우, 11ax의 BSR에 있어서 통지되는 제어정보의 일부 비트를 줄인 분량으로 Required Target RSSI가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24에서는, Queue 사이즈(예를 들면, High 및 All)의 비트 사이즈를, 11ax에 있어서의 8비트로부터 각각 2비트(예를 들면, 합계 4비트) 줄여, Required Target RSSI가 4비트로 송신되어도 좋다.
BSR에 포함되는 Required Target RSSI는, 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내는 것처럼, 절대값을 나타내는 값이어도 좋고, Trigger frame에 의해서 통지된 Target RSSI, 또는, 과거에 AP(100)에 통지된 Required Target RSSI로부터의 상대적인 오프셋값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24에서는, Required Target RSSI의 비트 사이즈는 4비트이며, 도18에 나타내는 11ax의 Target RSSI의 비트 사이즈(예를 들면, 8비트)보다 적다. 그래서, 도24에 나타내는 Required Target RSSI 필드(4비트)에 있어서 통지 가능한 범위(또는, 최대값(11ax에서는 ―20dBm) 또는 최소값(11ax에서는 ―110dBm))를 변경해도 좋고, 1dB단위의 스텝폭이 아니라, 2dB 또는 3dB등 보다 큰 스텝폭으로 해도 좋다.
또한, Required Target RSSI의 통지 비트는, 4비트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비트 사이즈이어도 좋다. 또, Required Target RSSI의 통지 비트의 위치는, BSR의 포맷의 말미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위치이어도 좋다. 또, Required Target RSSI가 통지되는 BSR의 포맷에 있어서 비트 사이즈가 삭감되는 제어 정보는, Queue 사이즈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제어 정보이어도 좋다.
여기서, Required Target RSSI는, 예를 들면, P2P 링크에 있어서 송신되는 데이터에 부수(附隨)하는 정보이다. 다시말하면, 예를 들면, P2P 링크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Required Target RSSI는 통지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포맷 1과 같이, STA(300)은, BSR와 함께 Required Target RSSI를 AP(100)에 송신함으로써, STA(300)으로부터 AP(100)로의 통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 Required Target RSSI의 통지에, 11ax에 규정된 BSR의 포맷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Control frame format을 정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BSR의 송신 방법에는, 예를 들면, AP(100)로부터 송신되는 Trigger frame에 의해 BSR 송신이 트리거되는 방법(예를 들면, 「Solicited BSR」라고 부름), 및, STA(300)이 자발적으로 BSR을 송신하는 방법(예를 들면, 「Unsolicited BSR」라고 부름)의 2가지가 있다.
도25는, Solicited BSR에 있어서의 AP(100)(예를 들면, AP), 및, STA(300)(예를 들면, STA#1, STA#2 및 STA#3)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25에 있어서, AP는, 상향 링크 및 P2P 링크 각각의 제어를 행해도 좋다. 또, 도25에 있어서, 예를 들면, STA#1은, AP에 대해서 상향 링크 통신을 행해도 좋다. 또, 도25에 있어서, 예를 들면, STA#2(DLS STA) 및 STA#3(DLP STA)은 P2P 통신을 행해도 좋다.
도25에 있어서, AP는, TXOP를 취득하면, 종별(type)이 Buffer States Report Poll(BSRP)인 Trigger frame(또는, 제어신호)을, STA#1, 및, STA#2(예를 들면, DLS STA)에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AP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STA#1, 및, P2P 링크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STA#2의 양쪽에 대해서, 공통(또는, 동일)된 Trigger frame을 송신해도 좋다.
STA#1 및 STA#2는, Trigger frame을 수신하면, BSR(예를 들면, TB-PPDU)을 AP에 송신해도 좋다. 또한, STA#1은, 예를 들면, 11ax와 동일한 BSR(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를 포함하지 않는 BSR)을 AP에 송신해도 좋다. 그 한편, STA#2는, 예를 들면, 도24에 나타내는 포맷의 BSR(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를 포함하는 BSR)을 AP에 송신해도 좋다.
AP는, 예를 들면, STA#1및 STA#2로부터 통지되는 BSR에 기초하여, P2P 링크 송신 및 상향 링크 송신을 트리거하는 Trigger frame을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AP는, STA#2로부터 통지되는 BSR에 포함되는 Required Target RSSI에 기초하여, P2P 링크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제어(예를 들면, Target RSSI의 설정)를 행해도 좋다.
STA#1은, 예를 들면, AP로부터 송신되는 Trigger frame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송신을 행해도 좋다. 또, STA#2는, 예를 들면, AP로부터 송신되는 Trigger frame에 기초하여, STA#3에 대한 P2P 링크의 송신(또는, 송신전력 제어)을 행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Trigger frame에는, 상향 링크용 데이터의 Buffer status, 및, P2P 링크용 데이터의 Buffer status 중 요구하는 Buffer status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예를 들면, 추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User Info field내의 Trigger Dependent User info 필드에 있어서, BSR의 종별(예를 들면, 상향 링크용, 또는, P2P 링크용)을 나타내는 BSR type 필드가 설정(예를 들면, 추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BSR type의 비트 사이즈는 1비트이어도 좋다. 일례로서 BSR type이 0일 경우는 상향 링크를 나타내고, BSR type이 1일 경우는 P2P 링크를 나타내도 좋다.
또, P2P 링크의 BSR을 요구할 경우에, STA(300)이 Required Target RSSI를 통지하는 리소스를 지시하는 정보가 Trigger frame에 설정(또는, 추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Trigger Dependent User info 필드에 있어서, RU인덱스, 또는, 채널 인덱스(예를 들면, 20MHz 채널의 위치)의 통지 필드가 설정되어도 좋다. STA(300)는, 예를 들면, RU인덱스 또는 채널 인덱스에 의해 통지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Required Target RSSI를 AP(100)에 피드백해도 좋다.
또, STA(300)는, 예를 들면, UL-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A) -based random access(UORA)에 있어서 P2P 링크용 BSR을 송신해도 좋다.
도26은, Unsolicited BSR에 있어서의 AP(100)(예를 들면, AP), 및, STA(300)(예를 들면, STA#1, STA#2 및 STA#3)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26에 있어서, AP는, 상향 링크 및 P2P 링크의 양쪽 제어를 행해도 좋다. 또, 도26에 있어서, 예를 들면, STA#1은, AP에 대해서 상향 링크 통신을 행해도 좋다. 또, 도26에 있어서, 예를 들면, STA#2(DLS STA) 및 STA#3(DLP STA)은 P2P 통신을 행해도 좋다.
도26에 있어서, STA#2는, 예를 들면, TXOP를 취득하면, 예를 들면, 도24에 나타내는 포맷의 BSR(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를 포함한 BSR)(예를 들면, Single User(SU) - PPDU) 을 AP에 송신해도 좋다. 또, STA#1은, 예를 들면, 11ax와 동일한 BSR(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를 포함하지 않는 BSR)을 AP에 송신해도 좋다(도면표시하지 않음).
AP는, 예를 들면, STA#1 및 STA#2로부터 통지되는 BSR을 기초로, P2P 링크의 송신 및 상향 링크의 송신을 트리거하는 Trigger frame을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AP는, STA#2로부터 통지되는 BSR에 포함된 Required Target RSSI에 기초하여, P2P 링크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제어(예를 들면, Target RSSI의 설정)를 행해도 좋다.
STA#1은, 예를 들면, AP로부터 송신되는 Trigger frame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송신을 행해도 좋다. 또, STA#2는, 예를 들면, AP로부터 송신되는 Trigger frame에 기초하여, STA#3에 대한, P2P 링크의 송신(예를 들면, 송신전력 제어)을 행해도 좋다.
또한, STA(300)는, 상향 링크용 데이터의 Buffer status, 및, P2P 링크용 데이터의 Buffer status 중, AP(100)에 송신하는 Buffer status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한 정보를 AP(100)에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STA(300)는, QoS Control 필드의 TID 필드(예를 들면, 도3)를 이용해, 상향 링크용 데이터의 Buffer status, 및, P2P 링크용 데이터의 Buffer status의 어느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AP(100)에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링크에 있어서 미사용(未使用) TID의 값(예를 들면, TID > 7)이 설정되었을 경우, P2P 링크용 BSR을 나타내고, 상향 링크에 있어서 사용되는 TID(예를 들면, TID≤7)가 설정되었을 경우, 상향 링크용의 BSR을 나타내도 좋다. 또한, P2P 링크용 BSR이란, 예를 들면, 도24와 같이 Required Target RSSI를 포함하는 BSR이고, 상향 링크용 BSR이란, 예를 들면, 11ax와 동일한 BSR이어도 좋다.
<포맷 2>
도27은, 포맷2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7에 나타내는 포맷은, 예를 들면, 11ax에 있어서 규정된 QoS Control field의 포맷(다시말하면,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제어 필드)을 일부 변경한 포맷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27에 나타내는 것처럼, QoS Control field의 일부에 있어서, Required Target RSSI가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27에서는, 11ax에 있어서 규정된 QoS Control field 중, Queue Size 필드 대신에, Required Target RSSI 필드가 설정된다.
또, 예를 들면, STA(300)는, P2P 링크의 Required Target RSSI가 QoS Control field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AP(100)에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STA(300)는, TID의 설정값을 이용하여, Required Target RSSI의 유무를 AP(100)에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링크에 있어서 미사용 TID의 값(예를 들면, TID >7)이 설정되었을 경우, P2P 링크용 Required Target RSSI를 통지하는 QoS Control field의 포맷을 나타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상향 링크에 있어서 사용되는 TID(예를 들면, TID≤7)가 설정되었을 경우, 11ax와 동일한 QoS Control field의 포맷(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를 포함하지 않는 포맷)을 나타내도 좋다. 또한, Required Target RSSI의 유무 통지는, TID에 한하지 않고, 다른 정보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Required Target RSSI의 통지에, 11ax에 규정된 QoS Control field의 포맷을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Control frame format를 정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27에서는, 일례로서 11ax에 있어서 규정된 QoS Control field 중, Queue Size 필드 대신에, Required Target RSSI 필드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Required Target RSSI 필드는, 예를 들면, QoS Control field내의 다른 필드 대신에 설정되어도 좋다. 또, 도27에 있어서, Required Target RSSI의 비트 사이즈는 8비트에 한하지 않고, 다른 비트 사이즈(예를 들면, 4비트) 이어도 좋다.
또, QoS Control field에는, 예를 들면, 도28에 나타내는 것처럼, Queue size 필드 및 Required Target RSSI 필드의 양쪽이 포함되어도 좋다. 여기서, Required Target RSSI는, 예를 들면, P2P 링크에 있어서 송신되는 데이터에 부수하는 정보이다. 다시말하면, 예를 들면, P2P 링크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Required Target RSSI는 통지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도28에 나타내는 것처럼, Required Target RSSI가 Queue size와 함께 송신됨으로써, STA(300)으로부터 AP(100)로의 통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Queue size 및 Required Target RSSI 각각의 송신 비트수는, 도28에 나타내는 값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28에 나타내는 것처럼 Queue size 및 Required Target RSSI 각각이 4비트이어도 좋고, 4비트보다 적은 비트수이어도 좋고, 4비트보다 많은 비트수이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Queue size와 Required Target RSSI에서 송신 비트수가 달라도 좋다.
<포맷 3>
포맷 3에서는, 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용 제어 정보가 정의되어도 좋다. 다시말하면, 포맷 3에서는, 예를 들면, 11ax에 있어서 규정된 포맷(또는, 제어 필드)과 다른 포맷에 있어서 Required target RSSI가 송신되어도 좋다.
도29는, 예를 들면, HT Control 필드내의 Control subfield에 포함되는 Control ID(예를 들면, 제어 정보의 종별을 식별하는 정보)의 설정값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29에 나타내는 것처럼, 11ax에 있어서 미사용 Control ID의 어느것인가(예를 들면, Control ID=7)에, 포맷1과 동일한 BSR 및 Required Target RSSI를 통지하는 제어 정보의 포맷(예를 들면,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라고 부름)이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P2P 링크용 Required Target RSSI가 정의되는 Control ID는, Control ID=7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값이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포맷1(예를 들면, 도24)에서는, BSR 포맷에는, ACI(access category indicator)가 포함된다. 그런 한편, 포맷3에서는, 예를 들면, TID가 포함되어도 좋다. 도30은, 포맷 3에 있어서의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0에 나타내는 포맷에는, 예를 들면, TID, Queue 사이즈, 및, Required Target RSSI가 포함되어도 좋다.
포맷 1과 마찬가지로, Required Target RSSI는, 예를 들면, P2P 링크에 있어서 송신되는 데이터에 부수하는 정보이다. 다시말하면, 예를 들면, P2P 링크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Required Target RSSI는 통지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포맷 3과 같이, STA(300)는, Queue 사이즈와 함께 Required Target RSSI를 AP(100)에 송신함으로써, STA(300)으로부터 AP(100)로의 통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포맷 3에서는, TID 필드를 이용하여, 상향 링크용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예를 들면, 도31), 및, P2P 링크용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예를 들면, 도30) 중, AP(100)에 송신하는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의 전환이 제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링크에 있어서 미사용 TID의 값(예를 들면, TID >7)이 설정되었을 경우, 도30에 나타내는 P2P 링크용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를 나타내고, 상향 링크에 있어서 사용되는 TID(예를 들면, TID≤7)가 설정되었을 경우, 도31에 나타내는 상향 링크용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를 나타내도 좋다. 또한, P2P 링크용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는, 예를 들면, 도30과 같이 Required Target RSSI를 포함해도 좋다. 또, 상향 링크용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는, 예를 들면, 도31에 나타내는 것처럼, Required Target RSSI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또,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는, 예를 들면, 도30 및 도31에 나타내는 필드와 다른 다른 필드가 포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에는, BSR에 포함되는 Aggregated MAC Service Data Unit(A-MSDU) present 필드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 AP(100)로부터 STA(300)에 통지되는 제어신호(예를 들면, Trigger frame)에는, TID-based Buffer status report를 트리거하는 Trigger type이 설정되어도 좋다.
또, 포맷 3에 있어서 Required Target RSSI를 통지하는 포맷은, 도30 및 도31에 나타내는 포맷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30 및 도31에 나타내는 TID 필드가 포함되지 않는 포맷이 정의되어도 좋다.
<포맷 4>
포맷 4에서는, 예를 들면, 포맷 3과 마찬가지로, Required Target RSSI용의 제어 정보가 정의되어도 좋다. 다시말하면, 포맷 4에서는, 예를 들면, 11ax에 있어서 규정된 포맷(또는, 제어 필드)과 다른 포맷에 있어서 Required target RSSI가 송신되어도 좋다.
도32는, 예를 들면, HT Control 필드내의 Control subfield에 포함되는 Control ID(예를 들면, 제어 정보의 종별을 식별하는 정보)의 설정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32에 나타내는 것처럼, 11ax에 있어서 미사용 Control ID의 어느것인가(예를 들면, Control ID=7)에, Required Target RSSI를 통지하는 제어 정보의 포맷(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 report(RTRR)라고 부름)이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RTRR가 정의되는 Control ID는, Control ID=7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값이어도 좋다.
도33, 도34 및 도35는, RTRR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3에 나타내는 RTRR 포맷은, 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 필드를 포함하고, 다른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 포맷이어도 좋다. Required Target RSSI는, 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내는 Trigger frame에 포함되는 UL Target RSSI와 동일한 7비트의 값이어도 좋고, 다른 값(예를 들면, UL Target RSSI 또는 과거의 Required Target RSSI에 대한 오프셋값) 이어도 좋다. 도33에 나타내는 RTRR 포맷에는, Required Target RSSI와 다른 기타 필드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도34에 나타내는 RTRR 포맷은, 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 필드 및 MCS 필드를 포함한 포맷이어도 좋다. RTRR 포맷에 있어서, Required Target RSSI에 더해, MCS가 AP(100)에 통지되므로, AP(100)는, 예를 들면, Target RSSI를 조정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RTRR 포맷에 의해 통지된 MCS가 높은 경우(예를 들면, MCS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AP(100)는, P2P 링크에 설정하는 Target RSSI를 저감해도 좋다. 예를 들면, AP(100)는, Required target RSSI보다 낮은 Target RSSI를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MCS가 높을수록, STA(300)에서는, MCS를 저감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STA(300)는, 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보다 낮은 Target RSSI가 통지될 경우, P2P 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PPDU)에 대한 MCS의 저감 등의 송신 제어에 의해, P2P 링크의 수신 품질을 유지하며, 송신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 한편, 예를 들면, RTRR 포맷에 의해 통지된 MCS가 낮은 경우(예를 들면, MCS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AP(100)는, P2P 링크에 설정하는 Target RSSI를 저감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AP(100)는, Required target RSSI와 동일한 정도의 Target RSSI를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STA(300)는, Required target RSSI와 동일한 정도의 Target RSSI가 통지되므로, P2P 링크에 있어서 송신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PPDU)의 MCS의 저감 및 송신 전력의 억제를 행하지 않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RTRR 포맷에 있어서, Required Target RSSI는 MCS마다 통지되어도 좋다.
도35에 나타내는 포맷은, 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 필드 및 TID(또는, ACI) 필드를 포함하는 포맷이어도 좋다. RTRR 포맷에 있어서, TID가 통지됨으로써, AP(100)는, 예를 들면, P2P 링크의 송신 긴급도(다시말하면, 지연 허용량)를 판단할 수 있다. AP(100)는, 예를 들면, P2P 링크의 송신 긴급도에 기초하여, P2P 링크에 우선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할지의 여부를 판단해도 좋다.
또한, AP(100)로부터 STA(300)에 통지되는 제어신호(예를 들면, Trigger frame)에는, Required Target RSSI report를 트리거하는 Trigger type이 설정되어도 좋다.
이상, Required Target RSSI를 통지하는 제어 정보의 포맷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STA(300)는, P2P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예를 들면, Required target RSSI)를 AP(100)에 송신하고, AP(100)에 있어서 AP-STA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 및 P2P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Target RSSI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STA(300)은, 예를 들면, AP-STA 링크 상태에 더해, P2P 링크 상태에 기초하여,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STA(300)는, P2P 링크의 품질을 담보하며, STA(300)에 의한 P2P 링크의 송신에 의해 AP(100)에 주는 간섭(예를 들면,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다.
(다른 실시형태)
(1)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P2P 링크(예를 들면, 도8에 나타내는 STA2-STA3의 링크)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STA-AP의 링크(예를 들면, 도36에 나타내는 STA2-AP#2의 링크)에 적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36에 있어서, AP#1은, STA2의 AP#2용 상향 링크 송신을 Trigger frame을 이용해 지시할 경우에, STA2의 상향 링크(STA2-AP#2의 링크)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상술한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의 적어도 한쪽에 기재한 방법을 적용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36에 있어서, STA2의 상향 링크 송신이 AP#1에 있어서의 STA1로부터의 상향 링크 신호의 수신 처리에 주는 간섭을 저감할 수 있어, 상향 링크의 스루풋을 향상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AP가 트리거하는 STA2의 송신은, P2P용 송신으로 한정되지 않고, 해당 AP(예를 들면, 도8의 AP 또는 도36의 AP#1) 앞과 다른 행선지로의 송신에 대해서, 동일한 송신전력 제어 방법이 적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STA2의 상향 링크 송신의 행선지는, STA2가 다른 BSS의 AP(예를 들면, 복수 AP협조 통신을 행할 경우의 협조 AP(도면표시하지 않음)) 이어도 좋다. 이 경우, Trigger frame에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상향 링크 송신인지 P2P 링크 송신인지를 구별하는 제어 정보」대신에, 「상향 링크 송신인지, 해당 상향 링크 송신과 다른 송신(예를 들면, P2P를 포함함) 인지를 구별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 Trigger frame에 의한 송신 지시 방법의 변형으로서, 예를 들면, 상향 링크 송신을 포함한 임의의 송신을 허용해도 좋다. 다시말하면, 지정된 STA은, Trigger frame에 계속되는 TXOP내에서 임의의 통신(예를 들면, P2P 통신)을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Trigger frame내의 제어 정보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 송신으로 한정하는지, 상향링크 송신과 다른 기타 송신을 허용하는지」를 구별하는 제어 정보로 해도 좋다. Trigger frame을 수신한 STA은, Trigger frame의 Target RSSI의 의미를, 송신 종별에 따라 해석하여, 송신전력 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Trigger frame을 송신한 AP를 향해 상향링크 송신을 행할 경우는 11ax에서 규정된 송신전력 제어 방법을 적용하고, 상향링크 송신과 다른 송신(예를 들면, P2P 링크송신을 포함함)을 행할 경우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송신전력 제어 방법을 적용해도 좋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Trigger frame에 의해 지시되는 P2P 링크 송신에 관한 송신전력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의 방법은, Trigger frame에 기초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AP(100)로부터 송신되는 다른 제어 정보(Control frame 또는 Management frame)에 의해 트리거되는 P2P 링크 송신에 적용가능하다. 제어 정보의 일례로서는, Triggered response scheduling(TRS) Control(이하, TRS라고 부름)을 들 수 있다. 도37은, TRS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7에 나타내는 것처럼, TRS에는, Trigger frame와 마찬가지로, AP TX Power 필드, 및, UL Target RSSI 필드가 포함되기 때문에, TRS의 경우에도 Trigger frame과 동일한 송신전력 제어가 가능하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Trigger frame에 포함되는 Target RSSI를 AP(100)에 있어서의 허용 간섭량으로 간주하여,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는, 예를 들면, Target RSSI 대신에, Trigger frame에 포함되는 UL spatial Reuse 필드의 설정값에 기초해도 좋다. 예를 들면, UL spatial Reuse를 P2P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에 적용할 경우, STA은, 예를 들면,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에 기초한 간섭 전력이 UL spatial Reuse로 정의된 허용 간섭량 이하가 되도록, 송신전력 제어를 행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11ax의 제어신호의 포맷을 베이스로 한 구성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는 포맷은, 11ax의 포맷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포맷은, 일례이며, 본 개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포맷에 포함되는 필드 및 서브필드의 일부가 생략되어도 좋고, 다른 정보를 통지하는 필드 및 서브필드가 추가되어도 좋고, 필드 및 서브필드의 배열 순서가 변경되어도 좋다. 또, 「필드」 및 「서브필드」라는 용어는, 서로 바꿔 읽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정보 및 필드의 호칭은, 일례이며, 본 개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상향 링크의 통신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향 링크의 통신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라는 표기는, 「···회로(circuitry)」, 「···디바이스」, 「···유닛」, 또는, 「···모듈」 등의 다른 표기로 치환되어도 좋다.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제휴한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되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프로세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1개의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해 제어되어도 좋다. LSI는 개개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개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LSI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구비해도 좋다.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기도 한다.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통신 장치로 총칭)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무선 송수신기(트랜시버)와 처리/제어 회로를 포함해도 좋다.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부와 송신부, 또는 그것들을 기능으로서 포함해도 좋다. 무선 송수신기(송신부, 수신부)는, RF(Radio Frequency) 모듈과 1개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해도 좋다. RF모듈은, 증폭기, RF변조기/복조기, 또는 그것들과 유사한 것을 포함해도 좋다. 통신 장치의,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전화기(휴대 전화, 스마트폰 등),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PC)(랩톱, 데스크톱, 노트북 등), 카메라(디지털 스틸/비디오 카메라 등), 디지털 플레이어(디지털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등),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웨어러블 카메라, 스마트 워치, 트랙킹 디바이스 등), 게임 콘솔, 디지털 북 리더, 텔레 헬스·텔레 메디신(원격 헬스케어·약품 처방) 디바이스, 통신기능 붙은 탈 것 또는 이동 수송기관(자동차, 비행기, 배 등), 및 상술한 각종 장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운반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운반할 수 없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 예를 들면, 스마트·홈·디바이스(가전 기기, 조명 기기, 스마트 미터 또는 계측 기기, 컨트롤·패널 등), 자동 판매기, 기타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상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물건(Things)」도 포함한다.
통신에는, 셀룰러 시스템, 무선 LAN 시스템, 통신위성 시스템 등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더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한 데이터 통신도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본 개시에 기재된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접속 또는 연결되는, 컨트롤러나 센서 등의 디바이스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의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제어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나 센서가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상기의 비한정적인 각종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또는 이러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설비, 예를 들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기타 모든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이 포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제1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에 대한 제2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송신전력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링크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링크의 품질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있어서의 상기 신호의 목표 수신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목표 수신신호 강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전력 제어를 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신호의 빔포밍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전력 제어를 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상기 제2 링크의 송신에 대한 우선도 마다의 상기 목표 수신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선도는, 액세스 카테고리, 트래픽 종별, 및, 프레임 종별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는, 상기 목표 수신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단말 개별정보 필드내의 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 필드에 있어서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상기 송신전력 제어와,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상기 송신전력 제어를 전환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Trigger frame, 비콘, 또는, 제어 정보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더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목표 수신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는, 상기 단말이 설정한 상기 신호의 목표 수신신호 강도가 포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는,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를, 버퍼 상태 보고에 관한 제어 필드에 있어서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는,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를,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제어 필드에 있어서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를, IEEE802.11ax에 규정된 필드와 다른 제어 필드에 있어서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필드에는, 트래픽 종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는, 트래픽 종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표 수신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신호 포맷, 및, 상기 목표 수신신호 강도를 포함하지 않는 신호 포맷을 전환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제1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에 대한 제2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고, 상기 송신전력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링크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한다.
2020년 7월 17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특원 2020-122948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유용하다.
100 AP
101 스케줄러 부
102 제어신호 생성부
103, 206 송신신호 생성부
104, 201 무선 송수신부
105, 202 수신신호 복조·복호부
200, 300 STA
203 송신전력 산출부
204 신호 생성부
205 송신 제어부
301 Required target RSSI 산출부

Claims (15)

  1.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제1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초로, 다른 단말에 대한 제2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송신전력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링크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하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링크의 품질을 나타내는,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있어서의 상기 신호의 목표 수신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목표 수신신호 강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는,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신호의 빔포밍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는,
    단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회로는, 상기 제2 링크의 송신에 대한 우선도 마다의 상기 목표 수신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도는, 액세스 카테고리, 트래픽 종별, 및, 프레임 종별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회로는, 상기 목표 수신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단말 개별 정보 필드내의 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 필드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지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상기 송신전력 제어와,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상기 송신전력 제어를, 전환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Trigger frame, 비콘, 또는, 제어정보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더 구비하는,
    단말.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 회로는, 상기 제1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목표 수신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는, 상기 단말이 설정한 상기 신호의 목표 수신신호 강도가 포함되는,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는,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를, 버퍼 상태 보고에 관한 제어 필드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는,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를, 서비스 품질에 관한 제어 필드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회로는, 상기 제2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를, IEEE802.11ax에 규정된 필드와 다른 제어 필드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말.
  15.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제1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에 대한 제2 링크의 송신전력 제어를 행하고,
    상기 송신전력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링크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방법.
KR1020237000888A 2020-07-17 2021-06-03 단말, 및, 통신 방법 KR202300396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22948 2020-07-17
JP2020122948 2020-07-17
PCT/JP2021/021282 WO2022014192A1 (ja) 2020-07-17 2021-06-03 端末、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642A true KR20230039642A (ko) 2023-03-21

Family

ID=7955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888A KR20230039642A (ko) 2020-07-17 2021-06-03 단말,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47562A1 (ko)
EP (1) EP4185065A4 (ko)
JP (1) JPWO2022014192A1 (ko)
KR (1) KR20230039642A (ko)
CN (1) CN115943682A (ko)
BR (1) BR112023000554A2 (ko)
WO (1) WO2022014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32351A1 (en) * 2020-10-26 2022-04-28 Mediatek Singapore Pte. Ltd. Efficient Trigger-Based Multi-User Uplink Transmiss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8807B2 (en) * 2012-03-19 2016-05-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mobile communications power control
EP3451750B1 (en) * 2012-05-31 2021-04-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vice-to-device (d2d) cross link power control
JP6396507B2 (ja) * 2014-08-01 2018-09-2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基地局、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送信電力設定方法
CN109803365B (zh) * 2017-11-17 2021-06-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36036B (zh) * 2019-01-11 2022-03-29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及功率控制装置
JP7232653B2 (ja) 2019-01-31 2023-03-03 株式会社第一興商 カラオケ装置
WO2020106336A1 (en) * 2019-08-06 2020-05-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idelink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문헌 1] IEEE 802.11-19/1604 r1, Triggered P2P
[비특허 문헌 2] IEEE 802.11-20/0095 r1, Triggered P2P transmissions
[비특허 문헌 3] IEEE 802.11-19/1117 r2, Direct Link MU transmissions
[비특허 문헌 4] IEEE 802.11-20/0813 r0, Triggered P2P transmissions follow up
[비특허 문헌 5] IEEE 802.11-20/0871 r1, Triggered P2P for 11be Release 1
[비특허 문헌 6] IEEE P802.11ax/D6.0, November 2019
[비특허 문헌 7] IEEE 802.11-2016, December 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85065A1 (en) 2023-05-24
JPWO2022014192A1 (ko) 2022-01-20
CN115943682A (zh) 2023-04-07
EP4185065A4 (en) 2024-01-03
US20230247562A1 (en) 2023-08-03
BR112023000554A2 (pt) 2023-01-31
WO2022014192A1 (ja)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2423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identification metho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program
WO2018141272A1 (zh) 终端、网络设备和通信方法
US10667241B2 (en) Signalling report transmission in carrier aggregation
US1102618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064499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611885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3370470A1 (en)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8476529A (zh)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8983485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scheduling method
WO2020108475A1 (zh) 一种功率差信息的通知方法、设备及系统
KR20230039642A (ko) 단말, 및, 통신 방법
EP3369279A1 (en)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240958A1 (ja) アクセスポイント、端末、及び、通信方法
US11985513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4247089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hip
US2023005729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