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484A - 배출 기구 및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배출 기구 및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484A
KR20230039484A KR1020217015949A KR20217015949A KR20230039484A KR 20230039484 A KR20230039484 A KR 20230039484A KR 1020217015949 A KR1020217015949 A KR 1020217015949A KR 20217015949 A KR20217015949 A KR 20217015949A KR 20230039484 A KR20230039484 A KR 20230039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unit
game
hol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고 도테
츠토무 나리타
켄타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베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베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베라스
Publication of KR2023003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5Storage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game information, e.g. video game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 A63F2009/2435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using a video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7Display screens, e.g. monitors, video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Toy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출 기구는 게임에 관련된 배출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배출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배출물을 배출 후보로서 보유하는 배출 후보 보유부; 수용부에 수용된 배출물을 배출 후보 보유부로 밀어내는 압출 기구; 및 압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배출 기구 및 게임 장치
본 발명은 배출 기구 및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임에 관련된 배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기구 및 그 배출 기구를 구비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게임 결과에 따라 다른 배출물을 배출하는 게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게임 장치는 복수개의 배출물을 수용하는 수용 수단; 수용 수단에서 내보내는 배출물을 배출 후보로서 복수개 보유하는 배출 후보 보유 수단; 배출물의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 및 판독된 식별정보에 기초해서 배출 후보 중에서 배출해야 될 배출물을 배출 대상으로 결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게임 장치에서 수용 수단 및 배출 후보 보유 수단은 배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기구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게임 장치는 하나의 제어 수단이 게임 장치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제어함과 아울러 배출 기구를 제어하고, 게임 결과에 따라 다른 배출물을 배출 대상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배출 기구에서 예를 들어 배출물이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겼을 경우, 배출 기구 자체의 수리뿐 아니라 제어 수단도 수리(모든 소프트웨어 교환 등)해야 했다. 그로 인해 배출 기구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배출 기구를 다른 게임 장치에 탑재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출물을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 기구를 구비한 게임 장치에서, 프린터 기구를 상기 배출 기구로 대체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게임 장치의 제어 수단이 배출 기구를 제어하는 점 등의 이유로 해당 게임 장치에서 배출 기구를 분리하여 다른 게임 장치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배출 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2-1576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 범용성을 갖는 배출 기구 및 그러한 배출 기구를 구비한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하기 (1) 내지 (14)의 본 발명을 통해 달성된다.
(1) 게임에 관련된 배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기구로서,
상기 배출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배출물을 배출 후보로서 보유하는 배출 후보 보유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배출물을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로 밀어내는 압출 기구; 및
상기 압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기구.
(2)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위쪽에 마련된 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는 제1 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촬상부는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배출 기구.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가 판독한 상기 제1 식별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로의 상기 배출물 배출을 제어하는 상기 (2)에 기재된 배출 기구.
(4) 상기 배출물은 제2 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가 상기 제2 식별정보를 판독함으로써, 배출되어야 할 상기 배출물을 결정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배출 기구.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동작을 더 제어하고, 상기 압출 기구의 상기 동작과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상기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출 기구.
(6)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는 원환형상을 이루고,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출 기구.
(7)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배출물을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로 밀어내는 제1 압출부; 및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에 보유된 상기 배출물을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2 압출부;를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출 기구.
(8) 상기 제2 압출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압출부와 겹쳐 있는 상기 (7)에 기재된 배출 기구.
(9) 상기 제1 압출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압출부는 장척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압출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2 압출부의 길이방향은 직교하는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배출 기구.
(10) 상기 제1 압출부 및 상기 제2 압출부는 각각 직선 운동하는 상기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출 기구.
(11) 상기 제2 압출부의 선단부는 상기 제1 압출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출 기구.
(12) 상기 수용부는 한 쌍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용부는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출 기구.
(13) 상기 압출 기구의 일부는 상기 한 쌍의 수용부 중 적어도 한쪽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배출 기구.
(14) 게임에 관련된 소정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게임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게임 제어부;
상기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작 입력을 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게임에 관련된 상기 배출물을 배출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배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 범용성을 갖는 배출 기구 및 이러한 배출 기구를 구비한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수용부의 일부는 제외)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가 구비한 얹음부 및 압출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가 구비한 압출 기구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에서 배출물 배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의 처리 일례 및 이 처리에 따른 배출 기구의 처리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에서 배출물 보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배출 기구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게임 장치 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 상측을 "위", 하측을 "아래", 좌측을 "좌", 우측을 "우", 지면(紙面) 앞쪽을 "전", 지면 안쪽을 "후"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게임 장치
본 실시형태의 게임 장치(1)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 조작부(3), 판독부(4), 스피커(5), 표시부(6), 기억부(7), 게임 제어부(8) 및 통신부(9)를 가진다. 도 1에 도시한 게임 장치(1)는 하우징(2)의 앞문이 열려 있고, 하우징(2) 내부에 배치되는 배출 기구(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각 부분을 설명하기에 앞서, 게임 장치(1)에서 실행되는 게임의 개요 및 게임 장치(1)에 사용되는 배출물을 설명한다.
게임 장치(1)는 게임에 관련된 배출물(이하, "기록 매체"라고도 함)(100)을 이용해서 예를 들면 대전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기록 매체(100)는 캐릭터의 정보(이하 "캐릭터 정보"라고 함) 등의 식별정보를 기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게임 장치(1)는 기록 매체(100)를 스캔함으로써 기록 매체(100)에 기록되어 있는 캐릭터 정보를 취득한다. 그 후, 게임 장치(1)는 표시부(6)에 캐릭터 화상을 표시한다. 이로 인해 게임 장치(1)는 해당 캐릭터와 상대 캐릭터를 대전시키는 대전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게임 종료 후 새로운 기록 매체(100)가 게임 장치(1)에서 배출된다. 또한 게임 장치(1)에서 실행되는 게임은 상기와 같은 대전 게임에 한정되지 않으며 롤 플레잉 게임이나 보드 게임, 시물레이션 게임, 액션 게임 등일 수 있다.
배출물(100)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물(100)은 표면에 2차원 코드(101)를 가진다. 이 2차원 코드(101)에 캐릭터 정보나 아이템 정보 등의 식별정보(제2 식별정보)가 기록된다. 2차원 코드(101)로는 QR 코드(등록상표)나 Zcode(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2차원 코드(101)에 기록된 제2 식별정보는 비가시광(적외선)에서 식별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되고, 가시광에서 식별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배출물(100)은 캐릭터 정보에 따라 레어 배출물(예를 들면 소정 레벨 이상의 희귀성을 갖는 캐릭터가 기록된 배출물)과 노멀 배출물(예를 들면 소정 레벨 미만의 희귀성을 갖는 캐릭터가 기록된 배출물)로 구별되어도 된다.
또한 게임 장치(1)에서는 플레이어 정보가 기록된 IC 카드나 게임 내용을 확충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 소정 티켓이 이용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게임 장치(1) 각 부분의 구성을 설명한다.
<하우징>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게임 장치(1)의 각 부재를 설치 또는 수납하는 기능을 가진다. 하우징(2)의 상면에는 조작부(3), 판독부(4), 스피커(5) 및 표시부(6)가 마련된다. 한편, 하우징(2) 내부에는 기억부(7), 게임 제어부(8), 통신부(9) 및 배출 기구(10)가 수납된다. 또한 하우징(2)은 배출물(100)의 배출구(21), 동전 투입구(22) 및 동전 반환구(23)를 가진다. 배출구(21)를 통해 배출 기구(10)에서 배출되는 배출물(100)이 방출된다. 또한 하우징(2) 내부에는 동전을 수용하는 케이스나 게임 장치(1)의 CPU 등이 수용되지만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였다. 또한 하우징(2)의 형상이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2) 개수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게임 장치(1)는 예를 들면 1개의 표시부와 1개의 제어부를 갖도록 2개의 하우징을 인접해서 마련한 구성(2 in 1 구성)이어도 된다.
<조작부>
조작부(3)는 플레이어가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수행하는 조작 입력을 받는 기능을 가진다. 조작부(3)는 2개의 푸시 버튼(31)과 볼형상 레버(32)를 가진다. 푸시 버튼(31)은 하우징(2) 상면의 정면측에, 하우징(2)의 폭방향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마련된다. 플레이어는 예를 들면 표시부(6)에 표시되는 화면을 선택할 때 푸시 버튼(31)을 누른다. 또한 플레이어는 배틀 시에 푸시 버튼(31)을 연타한다. 이러한 푸시 버튼(31)들 사이에 레버(32)가 마련된다. 플레이어는 예를 들면 게임 중에 소정 조건을 만족했을 때, 레버(32)를 밀어서 젖히도록 조작한다. 이로 인해 특정 연출이 발생한다. 레버(3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원기둥형상이나 정육면체여도 된다. 또한 레버(32)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푸시 버튼(31)의 앞쪽이어도 된다.
<판독부>
판독부(4)는 배출물(100), IC 카드 및 소정 티켓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기능을 가진다. 판독부(4)는 2개의 삽입구(41) 및 2개의 스캐너(42)를 가진다. 또한 각 삽입구(41)에는 촬상 장치(예를 들면 가시광 카메라)가 마련된다. 또한 각 스캐너(42)에는 촬상 장치(예를 들면 가시광 카메라) 또는 판독 장치(예를 들면 비접촉 카드 리더/라이터)가 마련된다.
플레이어는 게임에서 사용할 배출물(100)을 삽입구(41)에 꽂아넣는다. 이 상태에서 촬상 장치가 배출물(100)의 2차원 코드(101)를 촬상한다. 그 결과, 판독부(4)는 해당 배출물(100)의 2차원 코드(101)에 기록된 캐릭터 정보 등의 식별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플레이어는 배틀에서 사용할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어는 IC 카드를 스캐너(42)에 얹어서 지난 게임 결과를 새로운 게임에 반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어는 소정 티켓을 스캐너(42)에 얹어서 예를 들면 특정 플레이 필드에서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스피커>
스피커(5)는 다양한 소리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스피커(5)가 하우징(2)의 상면에 조작부(3)와 표시부(6) 사이에 마련된다. 스피커(5)가 출력하는 소리는 기억부(7)에 저장된 악곡이나 효과음 등을 포함한다. 스피커(5)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자연수로 할 수 있다.
<표시부>
표시부(6)는 게임 화상(소정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표시부(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상면 뒤쪽에 세워서 마련된다. 표시부(6)는 1개의 표시 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나 2개 이상의 표시 패널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표시 패널은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부(6)는 정면에서 봤을 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부(6)를 정면으로 봤을 때의 형상은 원형상이나 삼각형상이어도 된다.
<기억부>
다음으로 기억부(제1 기억부)(7)를 설명한다. 기억부(7)는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를 기억한다. 게임 프로그램은 게임 장치(1)에 게임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하드웨어와의 협력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게임 데이터는 게임에 관련된 데이터이며, 캐릭터 데이터, 음악 데이터, 화상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 소정 이벤트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캐릭터 데이터는 캐릭터의 이름, 필살기, 무기, 강인함, 희귀성, 화상 등의 데이터이다. 즉, 캐릭터 데이터는 전술한 캐릭터 정보에 대응하며, 각 캐릭터를 서로 식별하는 식별정보이다. 음악 데이터는 스피커(5)에서 흘러나오는 악곡 데이터이다. 음악 데이터는 예를 들면 가수의 악곡이나 게임 악곡 등 복수개의 악곡 데이터를 포함한다. 화상 데이터는 소정 화상에 관한 데이터, 즉 게임 화상 데이터이다. 게임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캐릭터 화상, 배경 화상, 필드 화상, 각종 이펙트 화상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효과음 데이터는 게임 플레이중에 재생되는 소리 데이터이다. 효과음 데이터는 예를 들면 플레이어의 조작 결과에 따라 흘러나오는 평가음 데이터를 포함한다. 소정 이벤트 데이터는 보스 캐릭터 등장 이벤트 데이터, 보너스 이벤트 데이터, 난입 배틀 이벤트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기억부(7)는 IC 카드 및 소정 티켓에서 읽어들인 정보를 기억할 수도 있다. 또한 기억부(7)는 배출 기구(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기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억부(7)는 배출 기구(10)에서 결정된 배출 후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해도 된다.
<게임 제어부>
다음으로 게임 제어부(8)를 설명한다. 게임 제어부(제1 제어부)(8)는 게임 실행에 관한 모든 기능을 제어한다. 이러한 게임 제어부(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득 수단(81), 게임 처리 수단(82), 표시 제어 수단(83), 소리 출력 제어 수단(84) 및 정보 제공 수단(85)을 가진다.
(취득 수단)
취득 수단(81)은 플레이어에 의한 조작 입력 정보, 배출물(100)의 캐릭터 정보 등을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취득 수단(81)은 플레이어의 푸시 버튼(31)을 누름으로써 조작 입력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취득 수단(81)은 판독부(4)가 판독한 캐릭터 정보 등을 취득한다. 또한 취득 수단(81)은 배출 기구(1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18)로부터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취득 수단(81)은 배출 기구(10)에서 결정된 배출 후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취득 수단(81)은 기타 정보, 예를 들면 통신부(9)를 통한 다양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게임 처리 수단)
게임 처리 수단(82)은 게임 진행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게임 처리 수단(82)은 기억부(7)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해서 게임 진행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게임 처리 수단(82)은 기억부(7)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특정 게임 화상 데이터를 결정해서 표시 제어 수단(83)에 제공한다. 또한 게임 처리 수단(82)은 기억부(7)에 기억된 음악 데이터 중에서 특정 악곡 데이터를 결정해서 소리 출력 제어 수단(84)에 제공한다.
또한 게임 처리 수단(82)은 취득 수단(81)이 취득한 정보에 기초해서 게임 진행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게임 처리 수단(82)은 배출 기구(1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18)의 정보에 기초해서 게임 진행을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처리 수단(82)은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배치되어 있는 배출물(100)의 종류에 기초해서, 및/또는 배출된 배출물(100)의 종류에 기초해서 게임 진행을 처리해도 된다. 이처럼 게임 처리 수단(82)은 게임 전체의 진행을 처리한다.
(표시 제어 수단)
표시 제어 수단(83)은 게임에 관련된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표시 제어 수단(83)은 게임 처리 수단(82)에 의해 결정된 게임 화상 데이터 등의 표시를 제어한다.
(소리 출력 제어 수단)
소리 출력 제어 수단(84)은 게임에 관련된 소리, 악곡의 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소리 출력 제어 수단(84)은 게임 처리 수단(82)에 의해 결정된 악곡 데이터 등의 출력을 제어한다. 소리 출력 제어 수단(84)이 스피커(5)에 악곡 데이터 등을 제공함으로써 스피커(5)가 소리나 악곡을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수단)
정보 제공 수단(85)은 게임 처리 수단(82)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배출 기구(10)의 제2 제어부(18)에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정보 제공 수단(85)은 게임 플레이 후에, 배출해야 될 배출물(100)에 관한 정보를 제2 제어부(18)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
통신부(9)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해서 네트워크(LAN, WAN, 인터넷 등)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로 인해 게임 장치(1)는 통신부(9)를 통해 다른 게임 장치나 정보 단말 등 다른 장치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취득 수단(81)은 통신부(9)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음악 데이터나 게임 프로그램을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 게임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되고 게임 장치(1)는 최신 게임을 플레이어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장치(1)는 통신부(9)를 갖지 않아도 된다.
<배출 기구>
게임 장치(1)에는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 범용성을 갖는 배출 기구(10)가 마련된다. 배출 기구(10)는 본 발명의 배출 기구 일례이다. 이하, 배출 기구(10)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A. 배출 기구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수용부의 일부는 제외)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가 구비한 얹음부 및 압출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가 구비한 압출 기구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기구(10)는 얹음부(11), 수용부(12), 배출 후보 보유부(13), 압출 기구(14), 촬상부(15), 검출부(16), 게이트부(17), 제2 제어부(18), 제2 기억부(19) 및 받침대(台座部;pedestal section)(20)를 가진다.
(얹음부)
얹음부(11)는 원반형상을 이루며, 그 상면(얹음면)에 각종 부재를 얹어놓는 기능을 가진다. 얹음부(11)에는 수용부(12), 압출 기구(14), 촬상부(15) 및 제2 제어부(18)가 놓인다. 또한 얹음부(11)의 중앙부는 컷아웃되어 있다. 따라서 얹음부(11)를 통해 압출 기구(14)의 제1 압출부(141)를 효율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도 8 및 도 9). 얹음부(11)는 받침대(20) 중앙에 마련되고, 받침대(20)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얹음부(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상 등이어도 된다.
(수용부)
수용부(12)는 복수개의 배출물(100)을 수용하는 기능을 가진다. 수용부(12)는 복수개의 수용부로서 복수개의 저장고(stocker)(121)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수용부(12)는 제1 및 제2 저장고(121)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저장고(121)는 서로 대향하도록 얹음부(11)의 상면에 마련된다. 즉, 제1 및 제2 저장고(121)는 한 쌍의 수용부(12)를 구성한다. 이러한 한 쌍의 수용부(12)가 후술하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내측에 마련됨으로써, 배출 기구(10)를 컴팩트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배출물(100)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저장고(121)는 얹음부(11)에 대해 고정되어 있지만, 얹음부(11)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도 된다. 이로 인해 수용부(12)에 대해 배출물(100)의 보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저장고(121)의 개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자연수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저장고(121)에 수용 가능한 배출물(1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50개로 할 수 있다. 각 저장고(121)에는 일반적으로 레어 배출물(100) 및 노멀 배출물(100)이 랜덤으로 꾸려진 세트(슈링크)가 수용된다. 복수개의 저장고(121)는 각각 다른 종류의 배출물(100)을 수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저장고(121)마다 각종 배출물(100)을 소정 비율로 수용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배치할 배출물(100) 종류의 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다. 그 결과, 배출 기구(10)는 게임 결과에 따라 다른 배출물(100)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저장고(121)는 타워형상을 이룬다. 저장고(121)는 본체부(122), 중간부(123) 및 다리부(124)를 가진다. 본체부(122)는 통형상을 이루며, 복수개의 배출물(100)을 보유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체부(122)를 평면으로 봤을 때 형상은 배출물(100) 형상에 대응하도록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체부(122)는 그 하나의 측면에 컷아웃부(122c)를 가진다. 컷아웃부(122c)를 통해, 예를 들면 손의 일부(손가락)를 본체부(122)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배출물(100)을 손으로 지지하면서 저장고(121)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컷아웃부(122c)를 통해 후술하는 검출부(16)의 센서로 저장고(121)에 수용된 배출물(100) 개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하우징(2)의 앞문을 열었을 때, 수용된 배출물(100)을 육안으로 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게임 장치(1)를 관리하기 쉽다는 이점도 있다. 이로 인해 저장고(121)에 배출물(100)이 전혀 수용되지 않은 상태를 피할 수 있어 배출물(100)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체부(122)는 그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4개의 빔부(beam section)(122a)를 가진다. 빔부(122a)는 본체부(122)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빔부(122a)의 하단에는 중간부(123)를 통해 다리부(124)와 접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중간부(123)는 본체부(122)를 다리부(124)에 접합하기 위한 중간재로 기능한다. 중간부(123)는 저장고(121)를 평면으로 봤을 때의 형상을 따라 튀어나오게끔 형성된다(도 6). 이로 인해 본체부(122)를 다리부(124)에 확실하게 접합하는 데에 기여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124)는 얹음부(11)에 2개 마련된다. 즉, 다리부(124)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얹음부(11)의 중심선(도 7에서 수평방향을 따른 얹음부(11) 직경에 해당하는 선)을 통해 대칭으로 마련된 한 쌍의 다리부(124)를 구성한다. 한 쌍의 다리부(124)는 후술하는 제1 압출부(141)를 마련할 수 있도록 이간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124)의 높이(얹음부(11)의 얹음면에서 다리부(124)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제1 압출부(141) 두께 및 배출물(100) 두께 각각과 동일 정도이다. 그리고 한 쌍의 다리부(124) 사이이자 본체부(122)의 아래쪽에 저장고(121)에 수용되는 배출물(100) 중 맨 아래에 있는 배출물(100)이 위치한다(도 6).
(배출 후보 보유부)
배출 후보 보유부(13)는 수용부(12)에서 내보낸 배출 후보가 될 복수개의 배출물(100)을 보유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배출 후보 보유부(13)는 동작(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후보 보유부(13)는 지지부(131), 배열부(132) 및 제1 모터(D1)를 구비한다. 제1 모터(D1)는 제1 기어(D1a)를 가지며, 지지부(131)에 동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도 6).
지지부(131)는 원환형상을 이루며 배열부(132)를 지지하는 기능, 및 제1 모터(D1)로부터 동력을 받는 기능을 가진다. 지지부(131)의 측부(둘레 측부)는 톱니바퀴형상을 이루며, 제1 모터(D1)의 기어(D1a)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31)의 상면은 배열부(132)로 덮여 있다.
배열부(132)는 원환형상을 이루며,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16개)의 보유 포켓(132a)을 가진다. 복수개의 보유 포켓(132a) 각각에 보유되는 배출물(100)이 배출 후보가 된다. 따라서 보유 포켓(132a) 수가 많을수록 배출 후보 수가 증가하고, 배출 기구(10)가 온 디맨드(on demand)처럼 배출물(100)을 배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부(132)의 상면에는 배열부(132)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보유 포켓(132a)이 마련된다. 각 보유 포켓(132a)은 배열부(132)의 둘레방향을 따라 벽을 가진다. 이 벽은 평면으로 봤을 때 삼각형상을 이룬다. 벽의 높이는 배출물(100)의 두께와 동일 정도이다. 또한 각 보유 포켓(132a)은 배열부(132)의 직경방향으로 벽을 갖지 않는다. 이로 인해 배열부(132)의 내측에서 배출물(100)을 보유 포켓(132a)으로 내보낼 수 있으면서 보유 포켓(132a)에서 배열부(132)의 외측으로 배출물(100)을 방출할 수 있다.
보유 포켓(132a)의 상면에는 배출물(100)이 보유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기 위한 포켓 식별 코드(132b); 및 각 보유 포켓(132a)을 육안으로 구별하기 위한 번호 기재란(132c);이 마련된다. 번호 기재란(132c)에 숫자가 기재됨으로써 각 보유 포켓(132a)을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어 배출 기구(1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포켓 식별 코드(132b)는 후술하는 촬상부(15)가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면 마이크로 QR 코드이다. 포켓 식별 코드(132b)에는 해당 보유 포켓(132a)의 위치정보(포켓 번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포켓 식별 코드(132b)에 기록된 정보를 제1 식별정보라고 한다. 촬상부(15)가 포켓 식별 코드(132b)에 기록된 제1 식별정보를 판독했을 때, 해당 보유 포켓(132a)은 배출물(100)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빈 상태)이다.
(압출 기구)
압출 기구(14)는 배출물(100)을 밀어내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압출 기구(14)는 수용부(12)에 수용된 배출물(100)을 배출 후보 보유부(13)로 밀어내는 기능(제1 기능); 및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보유된 배출물(100)을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기능(제2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들을 발휘하도록 본 실시형태에서 압출 기구(14)는 제1 기능을 발휘하는 제1 압출부(배치용 압출부)(141); 및 제2 기능을 발휘하는 제2 압출부(방출용 압출부)(142);를 가진다. 즉, 제1 압출부(141)와 제2 압출부(142)가 각각 단독 기능을 가진다. 이로 인해 제1 압출부(141) 및 제2 압출부(142)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압출부(141) 및 제2 압출부(142)가 고장나기 어려워져 배출 기구(10)의 견고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압출부(141)는 판형상을 이루며, 제1 압출부(141)의 두께는 배출물(100) 두께와 동일 정도이다. 이로 인해 제1 압출부(141)는 수용부(12)에 수용된 배출물(100)을 밀어내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출부(141)는 한 쌍의 수용부(12) 사이, 즉 제1 저장고(121) 및 제2 저장고(121) 사이에 마련된다. 이로 인해 제1 압출부(141)를 효율적으로 얹음부(11)에 마련할 수 있으며, 배출 기구(10)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출 기구(10)를 다양한 게임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배출 기구(10)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압출부(141)는 판형상 지지판(141a) 및 제2 모터(D2)를 가진다. 제2 모터(D2)는 제2 기어(D2a)를 가지며, 지지판(141a)에 동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도 8 및 도 9).
지지판(141a)은 얹음부(11)를 통해 제1 압출부(141)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2 모터(D2)의 동력을 받는 기능을 가진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141a)의 1개의 측부는 톱니바퀴형상을 이루며 제2 모터(D2)의 기어(D2a)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1 압출부(141)는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압출부(141)는 얹음부(11)의 얹음면상에서 제1 저장고(121)에 수용된 배출물(100)과 제2 저장고(121)에 수용된 배출물(100)을 번갈아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1 압출부(141)는 배출물(100)을 효율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제1 압출부(141)의 일부는 한 쌍의 수용부(12)인 제1 저장고(121) 및 제2 저장고(121)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압출부(141)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제1 압출부(141)를 효율적으로 얹음부(11)에 얹어놓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 크기의 배출물(100)을 확실하게 밀어낼 수 있으면서 배출 기구(10)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출 기구(10)를 다양한 게임 장치에 적용하기 쉬워 배출 기구(10)의 범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압출부(142)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압출부(142)는 장척형상을 이루며,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보유된 배출물(100)을 게이트부(17)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압출부(142)의 일부(얹음부(11)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제1 압출부(141)와 겹쳐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출부(141) 및 제2 압출부(142)를 효율적으로 얹음부(11)에 얹어놓을 수 있어 배출 기구(10)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데 기여한다. 그 결과, 배출 기구(10)를 다양한 게임 장치에 적용할 수 있어 배출 기구(10)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압출부(142)는 접촉부(142a), 리시빙부(receiving section)(142b), 레일부(142c) 및 제3 모터(D3)를 가진다. 제3 모터(D3)는 제3 기어(D3a)를 가지며 리시빙부(142b)에 동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도 8).
접촉부(142a)는 제2 압출부(142)의 선단부를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접촉부(142a)의 두께는 배출물(100)의 두께와 동일 정도이다. 이로 인해 접촉부(142a)는 배출물(100)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리시빙부(142b)는 장척형상을 이루며 제2 압출부(142)의 상부에 마련된다. 또한 리시빙부(142b)의 측부는 톱니바퀴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모터(D3)의 기어(D3a)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리시빙부(142b)는 제1 압출부(141)와 겹치도록 튀어나와 있다. 이로 인해 제2 압출부(142)의 크기를 억제하면서 리시빙부(142b)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압출부(142)의 가동영역을 넓힐 수 있고 배출 기구(10)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데 기여함과 동시에 다양한 형상, 크기의 배출물(100)을 확실하게 밀어낼 수 있다.
레일부(142c)는 한 쌍의 레일 부재로 구성된다. 한 쌍의 레일 부재는 보유 포켓(132a)의 폭에 수용되도록 이간되어 얹음부(11)에 마련된다. 한편,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압출 기구(14)의 일부(레일 부재의 일부 등)를 생략하였다. 레일부(142c)의 한쪽 단부(배열부(132)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얹음부(11)에서 배열부(132)에 걸쳐 튀어나와 있다. 이로 인해 제2 압출부(142)는 보유 포켓(132a)에 겹쳐지도록 이동(직선 운동)할 수 있어,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된 배출물(100)을 확실하게 밀어낼 수 있다.
또한 레일부(142c)의 다른 쪽 단부(얹음부(11)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제1 압출부(141)의 위쪽까지 튀어나와 있다. 이로 인해 제2 압출부(142)의 일부가 제1 압출부(141)와 겹쳐질 때까지 이동(직선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2 압출부(142)는 얹음부(11)에서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걸쳐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2 압출부(142)는 배출물(100)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압출부(142)는 제1 압출부(14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한 쌍의 수용부(12) 사이에서 얹음부(11)의 중심선(도 7에서 수직방향을 따른 얹음부(11)의 직경에 대응하는 선)을 따라 마련된다. 즉, 배출 기구(10)를 평면으로 봤을 때 제1 압출부(141)의 길이방향과 제2 압출부(142)의 길이방향이 직교한다. 이로 인해 배출 기구(10)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그 결과 배출 기구(10)를 다양한 게임 장치에 적용할 수 있어 배출 기구(10)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압출부(142)의 접촉부(선단부)(142a)는 제1 압출부(141)와 동일 평면상(얹음면상)에 위치하여 배출물(100)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 압출부(141)와 제2 압출부(142)를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대해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배출물(100)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압출 기구(14)는 배출물(100)을 수용부(12)에서 배출 후보 보유부(13)로, 또한 배출 후보 보유부(13)에서 게이트부(17)로 내보내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각 부분 사이에서 배출물(100)을 내보내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 압출 기구(14)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압출 기구(14)는 배출물(100)의 각 부분으로 내보내는 송출부로서 기능하는 구성을 가지면 된다.
(촬상부)
촬상부(15)는 보유 포켓(132a)에 마련된 포켓 식별 코드(132b); 및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된 배출물(100)의 2차원 코드(101)에 기록된 제2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촬상부(15)는 식별정보 판독부로 기능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15)는 배열부(132) 위쪽에 마련된 카메라(151)를 가진다. 카메라(15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가시광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풀 스펙트럼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카메라(151)는 가시광 카메라로 구성된다. 카메라(151)의 아래쪽에서 배출 후보 보유부(13)가 회전하므로 카메라(151)는 각 보유 포켓(132a)의 포켓 식별 코드(132b); 및 각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된 배출물(100)의 2차원 코드(101);를 촬상하여 이들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검출부)
검출부(16)는 배출 기구(10)의 상태(예를 들면 각 부재의 위치정보나 각 저장고(121)에 수용된 배출물(100)의 개수 정보 등)를 검출,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검출부(16)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마련된 각 보유 포켓(132a)의 위치정보(포켓 번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 검출부(16)는 제1 센서(161) 및 제2 센서(162)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검출부(16)는 각 보유 포켓(132a) 중 기준이 되는 보유 포켓(132a)을 검출하기 위한 제1 센서(인덱스 센서)(161); 및 기준이 되는 보유 포켓(132a)부터 순서대로 각 보유 포켓(132a)의 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162);를 가진다. 제1 센서(161) 및 제2 센서(162)는 각 보유 포켓(132a)의 아래쪽부터 각 보유 포켓(132a)의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게 배치된다(도 6).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16)는 후술하는 게이트부(17)에 인접해서 마련된 제3 센서(163)를 가진다. 제3 센서(163)는 게이트부(17)를 통과하는 배출물(100)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로 인해 검출부(16)는 배출물(100)이 게이트부(17)를 통해 방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즉, 검출부(16)는 배출물(100)의 방출 이상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취득부(181)는 방출 이상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도 된다. 또한 정보 제공부(184)가 방출 이상 정보를 게임 제어부(8)에 제공함으로써 게임 처리 수단(82)이 게임을 일시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부(16)는 저장고(121)에 수용된 배출물(100) 개수를 검출하기 위한 제4 센서를 가질 수도 있다. 제4 센서는 저장고(121)의 본체부(122)의 컷아웃부(122c)를 통해 배출물(100) 개수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센서는 저장고(121)에 수용된 배출물(100)이 소정 개수 이상인지 소정 개수 이하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출물(100) 보충(교체)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제4 센서의 설치 위치나 개수는 수용부(12)의 구성(예를 들면 컷아웃부(122c)의 위치)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각 센서는 반사형 광전 센서, 투과형 광전 센서, 자기 센서,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기계식 접촉 센서 등 어느 센서여도 된다. 또한 각 센서의 종류, 개수, 설치 위치는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부)
게이트부(17)는 보유 포켓(132a)에서 밀려나온 배출물(100)을 배출구(21)로 유도하는 배출 기구(10)의 출구로서 기능한다. 게임 장치(1)의 구성에 따라 게이트부(17)의 개수는 적절히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게이트부(17)가 게임 장치(1)의 정면에 대응하도록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인접해서 마련된다. 게이트부(17)는 플랩(171) 및 배출로(172)를 가진다.
플랩(171)은 배출 후보 보유부(13)에서 밀려나온 배출물(100)이 접촉함으로써 가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동을 제3 센서(163)가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검출부(16)는 배출물(100)이 게이트부(17)를 통해 방출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배출로(172)는 플랩(171)을 통과한 배출물(100)을 배출구(21)까지 유도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한 기능을 갖는 한, 배출로(172)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배출로(172)는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경사면을 통해 배출물(100)이 자체 중량에 의해 배출구(21)까지 미끄러져 떨어져서 방출된다.
(제2 제어부)
제2 제어부(18)는 게임 제어부(8)와는 독립적으로 배출 기구(10)에 관한 처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2 제어부(18)는 정보 취득부(181), 정보 처리부(182), 동작 제어부(18) 및 정보 제공부(184)를 가진다.
정보 취득부(181)는 배출 기구(10)에 관련해서 각종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정보 취득부(181)는 검출부(16)에 의해 검출된 복수개의 보유 포켓(132a) 각각의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취득부(181)는 촬상부(15)에 의해 판독된 각 보유 포켓(132a)의 포켓 식별 코드(132b)에 기록된 제1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취득부(181)는 촬상부(15)에 의해 판독된 각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된 배출물(100)의 제2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취득부(181)는 정보 제공 수단(85)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182)는 정보 취득부(181)가 취득한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부(182)는 각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된 배출물(100)의 제2 식별정보에 기초해서 배출 후보가 될 배출물(배출되어야 할 배출물)(100)을 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보유된 복수개의 배출물(100) 중에서 희귀성이 가장 높은 배출물(100)을 배출 후보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정보 처리부(182)는 배출 후보를 조정할 수 있어 게임 장치(1)의 취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182)는 플레이어 정보(플레이어에 연결된 캐릭터 정보 등)에 따라 배출 후보가 될 배출물(100)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부(182)는 정보 취득부(181)에 의해 취득된 각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된 배출물(100) 종류에 기초해서, 배출된 배출물(10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182)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보유된 배출물(100)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기구(10)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동작 제어부(183)는 정보 취득부(181)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해서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과 압출 기구(14)의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용부(12)에서 배출 후보 보유부(13)로 배출물(100)을 배치하는 것과, 배출 후보 보유부(13)에서 배출물(100)을 방출하는 것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제어부(183)는 이들의 회전 속도를 자유자재로 변경 가능해도 된다. 이처럼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기구(10)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84)는 배출 기구(10)에 관한 정보를 게임 장치(1)의 게임 제어부(8)에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정보 제공부(184)는 정보 처리부(182)에 의해 결정된 배출 후보가 될 배출물(100)의 정보를 게임 제어부(8)에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배출 기구(10)는 게임 제어부(8)와는 독립적으로 배출 기구(10)의 배출물(100)에 관한 처리를 제어할 수 있는 제2 제어부(18)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배출 기구(10)를 게임 장치(1)에서 분리하여 종래형 게임 장치(예를 들면 프린터 기구를 구비한 게임 장치)에 프린터 기구 대신 탑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출 기구(10)는 높은 범용성을 가진다. 또한 배출 기구(10)가 제2 제어부(18)를 가짐으로써, 예를 들면 배출물(100)이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게임 제어부(8)가 아니라 제2 제어부(18)를 필요에 따라 수리하면 된다. 따라서 배출 기구(1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제어부(8)가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배출 기구(10)를 수리하기도 용이해진다.
(제2 기억부)
또한 배출 기구(10)는 게임 장치(1)의 기억부(7)와는 독립적으로 제2 기억부(19)를 구비한다. 제2 기억부(19)는 배출 기구(10)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2 기억부(19)는 검출부(16)에 의해 검출된 각 부분의 위치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얹음부(11)는 가동하지 않기 때문에 얹음부(11)에 마련된 제1 저장고(121), 제2 저장고(121), 제2 압출부(142) 및 촬상부(15)의 위치정보는 제2 기억부(19)에 미리 기억되어도 된다. 즉, 도 7에서 위쪽(12시 방향)에 촬상부(15)가 마련되고, 오른쪽(3시 방향)에 제2 저장고(121)가 마련되고, 아래쪽(6시 방향)에 제2 압출부(142)가 마련되고, 왼쪽(9시 방향)에 제1 저장고(121)가 마련되어 있음을 제2 기억부(19)는 기억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12)가 복수개의 저장고(121)를 가지기 때문에 제2 기억부(19)는 복수개의 저장고(121)에 관한 정보(이하 "저장고 정보"라고 함)를 기억해도 된다. 저장고 정보로는 예를 들면 저장고(121)에 수용되는 배출물(100) 종류에 관한 정보나 저장고(121)에 수용되는 배출물(100) 개수 등에 관한 정보를 들 수 있다. 또한 제2 기억부(19)에 기억되는 정보는 기억부(7)에 기억되어도 된다.
(받침대)
받침대(20)는 각 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받침대(20)는 얹음부(11), 수용부(12), 배출 후보 보유부(13), 압출 기구(14), 촬상부(15), 검출부(16), 게이트부(17), 제2 제어부(18) 및 제2 기억부(19)를 지지한다. 또한 받침대(20)는 게임 장치(1)의 기억부(7) 등을 수납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받침대(20)는 이러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구성이어도 된다.
B. 배출 기구의 동작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배출 기구의 동작 방법 일례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에서 배출물 배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의 처리 일례 및 이 처리에 따른 배출 기구의 처리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에 마련된 배출 기구에서 배출물 보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1) 배출물 배치 방법
도 10을 참조하여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배출물(100)이 전혀 배치되지 않은 상태(초기 상태)에서 수용부(12)의 제1 및 제2 저장고(121)에 수용된 배출물(100)을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제1~제16 보유 포켓(132a)에 배치하는 제어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 배출물(100) 배치를 시작한다(S100). 그리고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를 회전시킨다(S101). 이 때 검출부(16)가 제1~제16 보유 포켓(132a)의 위치정보를 검출한다(S102). 구체적으로 검출부(16)는 제1 센서(161)를 통해, 기준이 되는 보유 포켓(132a)의 위치정보(인덱스 정보)를 검출함과 아울러, 제2 센서(162)를 통해, 기준이 되는 보유 포켓(132a)부터 순서대로 각 보유 포켓(132a)의 위치정보(인덱스에 대한 위치)를 검출한다. 이로 인해 정보 취득부(181)는 제1~제16 보유 포켓(132a)의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검출된 위치정보는 제2 기억부(19)에 기억된다.
제1~제16 보유 포켓(132a)의 위치정보를 검출한 후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S103). 그 후,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을 제어하고, 소정 보유 포켓(132a)(예를 들면 제1 보유 포켓(132a))을 소정 저장고(121)(예를 들면 도 7에서 9시 방향에 위치하는 제1 저장고(121))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S104). 이 때 도 7에서 3시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저장고(121)에 대해서도 소정 보유 포켓(132a)(제9 보유 포켓(132a))이 위치하게 된다. 즉,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을 제어하여 소정 2개의 보유 포켓(132a)을 제1 및 제2 저장고(121)에 각각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
제1 및 제9 보유 포켓(132a)이 각각 제1 및 제2 저장고(121)에 대향한 상태에서 동작 제어부(183)는 제1 압출부(141)의 동작을 제어한다(S105). 이로 인해 제1 압출부(141)는 제1 저장고(121)의 배출물(100)과 제2 저장고(121)의 배출물(100)을 번갈아 밀어내도록 직선 운동한다. 바꿔 말하면, 동작 제어부(183)는 제1 압출부(141)가 한 쌍의 수용부(12) 사이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제1 압출부(141)의 동작을 제어한다(S105).
그 결과, 제1 저장고(121)의 최하부에 수용되어 있던 배출물(100)(얹음부(11)의 얹음면에 접하는 배출물(100))이 제1 압출부(141)에 의해 밀려나와 제1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된다. 이 때 제1 압출부(141)는 배출물(100)을 밀어낸 상태, 즉 제1 저장고(121)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해도 된다.
이어서 제1 압출부(141)는 제2 저장고(121)의 최하부에 수용되는 배출물(100)을 밀어내도록 직선 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9 보유 포켓(132a)이 제2 저장고(121)에 대향한 상태에 있으므로 제1 압출부(141)는 제9 보유 포켓(132a)을 향해 직선 운동한다. 그 결과, 제2 저장고(121)의 최하부에 수용되어 있던 배출물(100)이 제1 압출부(141)에 의해 밀려나와 제9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된다. 제1 압출부(141)는 배출물(100)을 밀어낸 상태, 즉 제2 저장고(121)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모든 보유 포켓(132a)에 배출물(100)이 배치될 때까지 단계 104~단계 105가 반복된다(S106). 모든 보유 포켓(132a)에 배출물(100)이 배치된 후(S106의 Yes), 처리는 단계 107로 진행된다. 즉,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대한 배출물(100) 배치에 이어서,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을 제어하고 소정 보유 포켓(132a)을 촬상부(15) 아래쪽에 위치시킨다(S107). 그리고 촬상부(15)의 카메라(151)는 소정 보유 포켓(132a)에 배치된 배출물(100)의 2차원 코드(101)를 촬영한다. 이로 인해 정보 취득부(181)는 소정 보유 포켓(132a)에 배출물(100)이 배치되었다는 정보 및 이 배출물(100)의 종류에 관한 정보(이하 "보유 포켓 정보"라고 함)를 취득한다(S108).
그리고 모든 보유 포켓(132a)에 대해 보유 포켓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 단계 107~단계 108이 반복된다(S109). 구체적으로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 보유 포켓(132a)을 촬상부(15) 아래쪽에 위치시킨다(S107). 그리고 촬상부(15)의 카메라(151)는 제1 보유 포켓(132a)에 배치된 배출물(100)의 2차원 코드(101)를 촬영한다. 이처럼 단계 107~단계 108이 반복되어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모든 보유 포켓(132a), 즉 제1~제16 보유 포켓(132a)에 대한 보유 포켓 정보를 취득했을 경우(단계 109 Yes), 배출물(100)의 배치는 종료된다(S110).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과 제1 압출부(141)의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대한 배출물(100)의 배치를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배출 후보 보유부(13)는 얹음부(11) 주위에 마련된다. 따라서 배출 후보 보유부(13)는 얹음부(1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얹음부(11)에 마련된 복수개의 저장고(121)의 소정 저장고(121)와, 복수개의 보유 포켓(132a)의 소정 보유 포켓(132a)을 효율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동작 제어부(183)는 제1 압출부(141)의 동작을 제어하여 소정 저장고(121)의 최하부에 수용되어 있던 배출물(100)을 소정 보유 포켓(132a)에 효율적으로 내보낼 수 있다.
또한 단계 108에서 정보 취득부(181)가 포켓 식별 코드(132b)에 기록된 제1 식별정보를 취득했을 경우, 보유 포켓(132a)에 배출물(100)이 배치되지 않았다는 정보(위치 오류 정보)를 정보 취득부(181)가 취득하게 된다. 정보 처리부(182)는 배치 오류 정보를 처리하여 배출 기구(10)를 일시 정지해도 된다. 또한 정보 취득부(181)가 배출물(100)의 2차원 코드(101) 및 보유 포켓(132a)의 포켓 식별 코드(132b) 중 어느 것도 취득하지 못했을 경우(예를 들면 이물질이 보유 포켓(132a)에 부착된 경우), 정보 취득부(181)가 이물질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도 된다. 정보 제공부(184)가 이물질 정보를 게임 제어부(8)에 제공함으로써 게임 처리 수단(82)이 게임 시작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제1~제16 보유 포켓(132a)에 배출물(100)이 배치된다. 저장고(121)에 수용된 배출물(100)에 소정 비율로 레어 배출물(100) 및 노멀 배출물(100)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그 비율에 따라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배치된 배출물(100)은 레어 배출물(100) 및 노멀 배출물(100)을 포함한다. 배출물(100)이 배치된 제1~제16 보유 포켓(132a) 정보(이하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라고 함)의 일례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는 정보 취득부(181)에 의해 취득되어 제2 기억부(19)에 기억된다. 정보 제공부(184)는 제2 기억부(19)에 기억된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를 게임 제어부(8)에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취득 수단(81)은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를 취득하고, 게임 처리 수단(82)은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를 게임 진행에 이용할 수 있다.
제1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A)
제2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B)
제3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C)
제4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D)
제5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E)
제6 보유 포켓(132a) 레어 배출물(100A)
제7 보유 포켓(132a) 레어 배출물(100B)
제8 보유 포켓(132a) 레어 배출물(100C)
제9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F)
제10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G)
제11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H)
제12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I)
제13 보유 포켓(132a) 레어 배출물(100D)
제14 보유 포켓(132a) 레어 배출물(100E)
제15 보유 포켓(132a) 레어 배출물(100F)
제16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J)
(2) 게임 플레이에 따른 배출 처리 방법
도 11을 참조하여 게임 플레이가 시작되고 배출물(100)이 배출구(21)에서 배출되기까지의 제어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플레이어의 조작에 따라 게임 제어부(8)는 게임을 스타트한다(S1). 이 때 정보 제공 수단(85)이 게임이 스타트되었다는 정보를 배출 기구(10)의 제2 제어부(18)에 제공한다(S2). 이로 인해 배출 기구(10)의 정보 취득부(181)는 게임이 스타트되었다는 정보를 취득한다(S3). 그리고 정보 제공부(184)는 제2 기억부(19)에 기억된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를 게임 제어부(8)에 제공한다(S4). 이로 인해 취득 수단(81)은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를 취득한다(S5). 취득된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는 기억부(7)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또한 정보 제공부(184)는 제2 기억부(19)에 기억된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를 게임 스타트 전에 게임 제어부(8)에 제공해도 된다. 또한 단계 1에서 취득 수단(81)은 스캐너(42)에 놓인 IC 카드나 소정 티켓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다음으로 게임 처리 수단(82)이 배출 후보가 될 배출물(배출되어야 할 배출물)(100)을 결정한다(S6). 여기서는 게임 처리 수단(82)이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3개의 배출 후보가 될 배출물(100)을 결정한다. 또한 취득 수단(81)이 스캐너(42)에 놓인 IC 카드 정보를 취득했을 경우, 배출 후보 결정은 플레이어 정보에 기초해서 이루어져도 된다.
플레이어
레어 배출물(100A)
(제6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I)
(제12 보유 포켓(132a))
노멀 배출물(100J)
(제16 보유 포켓(132a))
이렇게 결정된 배출 후보는 기억부(7)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그리고 게임 처리 수단(82)은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S7).
게임 플레이 후 게임 처리 수단(82)은 결정된 배출 후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고, 표시부(6)는 선택된 배출 후보를 표시한다(S8). 여기서는 표 2에 기재된 배출 후보 전부가 게임 처리 수단(82)에 의해 선택된다.
다음으로 조작부(3)가 플레이어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고(S9), 표시된 배출 후보 중에서 배출해야 될 배출물이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다. 예를 들면 레어 배출물(100A)(제6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되어 있는 배출물(100))이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다. 이에 따라 배출해야 될 배출물이 결정되고(S10), 배출해야 될 배출물의 정보를 취득 수단(81)이 취득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 수단(85)이 배출해야 될 배출물 정보를 제2 제어부(18)에 제공한다(S11).
그리고 정보 취득부(181)는 배출해야 될 배출물 정보를 취득한다(S12). 배출해야 될 배출물 정보에 기초해서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과 제2 압출부(142)의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S13~S14). 이로 인해 제2 압출부(142)가 제6 보유 포켓(132a)에서 레어 배출물(100A)을 밀어내고 레어 배출물(100A)이 게임 장치(1)에서 방출된다(S15).
단계 13~단계 15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레어 배출물(100A)을 배출하기 위해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6 보유 포켓(132a)을 제2 압출부(142)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S13).
이 상태에서 동작 제어부(183)는 제2 압출부(142)의 동작을 제어한다(S14). 제3 모터(D3)의 구동에 의해 제2 압출부(142)는 레일부(142c)를 따라 직선 운동하고, 제2 압출부(142)의 접촉부(142a)가 제6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된 배출물(100)에 접촉한다. 그리고 제2 압출부(142)는 제6 보유 포켓(132a)에 보유되어 있던 레어 배출물(100A)을 밀어낸다. 그 결과, 레어 배출물(100A)은 게이트부(17)로 내보내진다. 그 후, 레어 배출물(100A)은 자체 중량으로 인해 배출구(21)로 이동하여 방출된다(S15). 또한 제3 모터(D3)가 역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제2 압출부(142)는 레일부(142c)를 따라 되돌아온다. 이처럼 제2 압출부(142)는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2 압출부(142)는 배출물(100)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처럼 동작 제어부(183)가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과 제2 압출부(142)의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배출 후보 보유부(13)로부터 배출물(100)을 방출하는 것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배출 후보 보유부(13)는 얹음부(11) 주위에 마련된다. 따라서 배출 후보 보유부(13)는 얹음부(1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얹음부(11)에 마련된 제2 압출부(142)와, 복수개의 보유 포켓(132a)의 소정 보유 포켓(132a)을 서로 효율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보유된 복수개의 배출물(100) 중에서 소정 배출물(100)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 후보 보유부(13)는 복수개의 저장고(121) 및 제2 압출부(142)에 대해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얹음부(11)와 배출 후보 보유부(13)는 인접하도록 대응해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183)는 얹음부(11)에 놓이는 각 부분에 대해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각 보유 포켓(132a)을 효율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배출 기구(10)는 배출물(100)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를 통해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레어 배출물(100A)을 방출할 수 있다. 그 후, 게임이 종료된다(S16). 또한 게임 내용에 따라서 플레이어는 복수개의 배출물(100)을 선택할 수 있어도 되고, 그 경우 단계 13~단계 15가 반복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제6 보유 포켓(132a)에서 레어 배출물(100A)이 배출된다. 따라서 제6 보유 포켓(132a)은 배출물(100)이 배치되지 않은 상태(빈 상태)가된다. 이 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를 회전시켜 제6 보유 포켓(132a)을 촬상부(15) 아래쪽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촬상부(15)가 제6 보유 포켓(132a)에 마련된 포켓 식별 코드(132b)를 촬영한다. 이로 인해 정보 취득부(181)가 제6 보유 포켓(132a)이 빈 상태라는 정보(제1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처럼 정보 취득부(181)는 각 보유 포켓(132a)의 제1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182)는 몇 번째 보유 포켓(132a)이 빈 상태인지에 관한 정보(이하 "보유 포켓 공백 정보"라고 함)를 관리할 수 있다. 보유 포켓 공백 정보는 제2 기억부(19)에 기억된다. 보유 포켓 공백 정보에 기초해서 동작 제어부(183)는 수용부(12)에 수용된 배출물(100)을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대한 배출물(100) 보충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게임 종료 후마다 배출물(100)을 보충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배출물(100) 보충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배출물(100) 보충은 게임 종료 후마다가 아니라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보유된 나머지 배출물(100)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이루어져도 된다. 예를 들면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보유된 배출물(100) 수가 절반 이하(8개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배출물(100) 보충이 이루어져도 된다.
(3) 배출물 보충 방법
제2 기억부(19)에 기억되는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 및 보유 포켓 공백 정보에 기초해서 동작 제어부(183)가 배출물(100) 보충을 시작한다(S201).
여기서는 제1 보유 포켓(132a)이 공백 상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처리는 단계 202로 진행되고, 동작 제어부(183)가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로 인해 제1 보유 포켓(132a)을 제1 저장고(121)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동작 제어부(183)가 제1 압출부(141)의 동작을 제어한다(S203). 이로 인해 제1 저장고(121)의 최하부에 수용된 배출물(100)이 제1 압출부(141)에 의해 밀려나와 빈 상태인 제1 보유 포켓(132a)에 배치된다.
제1 보유 포켓(132a)에 새로운 배출물(100)이 배치된 후, 동작 제어부(183)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 보유 포켓(132a)을 촬상부(15) 아래쪽에 위치시킨다(S204). 그리고 촬상부(15)의 카메라(151)는 제1 보유 포켓(132a)에 배치된 새로운 배출물(100)의 2차원 코드(101)를 촬영한다. 이로 인해 정보 취득부(181)는 제1 보유 포켓(132a)에 새로 배치된 배출물(100)에 관한 보유 포켓 정보를 취득한다(S205).
여기서는 제1 보유 포켓(132a)에 새로운 배출물(100)이 배치됨으로써, 모든 보유 포켓(132a)에 배출물(100)이 배치되므로 보충은 종료된다(S206).
또한 복수개의 배출물(100)을 보충해야 할 경우, 정보 처리부(182)는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 및 보유 포켓 공백 정보에 기초해서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모든 보유 포켓(132a)에 배출물(100)이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단계 205 후에 실행된다. 이 경우, 모든 보유 포켓(132a)에 배출물(100)이 배치될 때까지 단계 202~단계 205가 반복된 후 보충은 종료된다.
전술한 보충 결과, 정보 취득부(181)는 새로운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를 취득 가능하다. 새로운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는 제2 기억부(19)에 기억된다. 또한 전술한 보충 결과에 기초해서, 정보 처리부(182)는 보유 포켓 테이블 정보를 갱신할 수 있어도 된다.
이상, 전술한 처리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을 통해 실현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배출 기구의 제2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형태의 배출 기구(10A)는 압출 기구의 구성 및 게이트부의 배치가 다른 점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배출 기구(10)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압출 기구(14A)는 제1 압출부(141)로 구성된다. 제1 압출부(141)의 한쪽 단부(도 13의 오른쪽에 위치한 단부)는 수용부(12)에 수용된 배출물(100)을 배출 후보 보유부(13)로 밀어내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1 압출부(141)의 다른 쪽 단부(도 13의 왼쪽에 위치한 단부)는 배출 후보 보유부(13)에 보유된 배출물(100)을 배출 후보 보유부(13)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게이트부(17)가 제1 압출부(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배출 기구(10A)도 제1 실시형태의 배출 기구(10)가 갖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게임 장치 및 배출 기구를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부분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으로 수정,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임의의 수단 또는 구성물이 부가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실시형태 중 임의의 2 이상의 구성(특징)이 조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각 부분에는 커버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 부분의 구성은 그 기능을 적절히 발휘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부분은 경질 수지 재료, 금속 재료, 세라믹스 재료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출 기구는 게임에 관련된 배출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배출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배출물을 배출 후보로 보유하는 배출 후보 보유부; 수용부에 수용된 배출물을 배출 후보 보유부로 밀어내는 압출 기구; 및 압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유지 보수를 쉽게 실행할 수 있으면서 범용성을 갖는 배출 기구 및 그러한 배출 기구를 구비한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가진다.
1 : 게임 장치
2 : 하우징
3 : 조작부
4 : 판독부
6 : 표시부
7 : 기억부
8 : 게임 제어부
9 : 통신부
10 : 배출 기구
10A : 배출 기구
11 : 얹음부
12 : 수용부
13 : 배출 후보 보유부
14 : 압출 기구
14A : 압출 기구
15 : 촬상부
16 : 검출부
17 : 게이트부
18 : 제2 제어부
19 : 제2 기억부
20 : 받침대
21 : 배출구
22 : 동전 투입구
23 : 동전 반환구
31 : 푸시 버튼
32 : 레버
41 : 삽입구
42 : 스캐너
81 : 취득 수단
82 : 게임 처리 수단
83 : 표시 제어 수단
84 : 소리 출력 제어 수단
85 : 정보 제공 수단
100 : 배출물(기록 매체)
101 : 2차원 코드
121 : 제1 저장고
121 : 제2 저장고
122 : 본체부
122a : 빔부
122c : 컷아웃부
123 : 중간부
124 : 다리부
131 : 지지부
132 : 배열부
132a : 보유 포켓
132b : 포켓 식별 코드
132c : 번호 기재란
141 : 제1 압출부
141a : 지지부
142 : 제2 압출부
142a : 접촉부
142b : 리시빙부
142c : 레일부
151 : 카메라
161 : 제1 센서
162 : 제2 센서
163 : 제3 센서
171 : 플랩
172 : 배출로
181 : 정보 취득부
182 : 정보 처리부
183 : 동작 제어부
184 : 정보 제공부
D1 : 제1 모터
D1a : 제1 기어
D2 : 제2 모터
D2a : 제2 기어
D3 : 제3 모터
D3a : 제3 기어

Claims (14)

  1. 게임에 관련된 배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기구로서,
    상기 배출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배출물을 배출 후보로서 보유하는 배출 후보 보유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배출물을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로 밀어내는 압출 기구; 및
    상기 압출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위쪽에 마련된 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는 제1 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촬상부는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상기 제1 식별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배출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가 판독한 상기 제1 식별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로의 상기 배출물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 기구.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배출물은 제2 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가 상기 제2 식별정보를 판독함으로써 배출되어야 할 상기 배출물을 결정하는 배출 기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동작을 더 제어하고, 상기 압출 기구의 상기 동작과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상기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배출 기구.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는 원환형상을 이루고,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배출 기구.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배출물을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로 밀어내는 제1 압출부; 및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에 보유된 상기 배출물을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2 압출부;를 구비하는 배출 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압출부와 겹쳐 있는 배출 기구.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출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압출부는 장척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압출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2 압출부의 길이방향은 직교하는 배출 기구.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출부 및 상기 제2 압출부는 각각 직선 운동하는 배출 기구.
  11. 청구항 7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부의 선단부는 상기 제1 압출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배출 기구.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한 쌍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용부는 상기 배출 후보 보유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배출 기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압출 기구의 일부는 상기 한 쌍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배출 기구.
  14. 게임에 관련된 소정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게임 제어부;
    상기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작 입력을 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게임에 관련된 상기 배출물을 배출하는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배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KR1020217015949A 2020-07-16 2020-07-16 배출 기구 및 게임 장치 KR20230039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27642 WO2022014002A1 (ja) 2020-07-16 2020-07-16 配出機構およびゲー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484A true KR20230039484A (ko) 2023-03-21

Family

ID=7955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949A KR20230039484A (ko) 2020-07-16 2020-07-16 배출 기구 및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26664B1 (ko)
JP (2) JP7068548B1 (ko)
KR (1) KR20230039484A (ko)
CN (1) CN115666742A (ko)
AU (1) AU2020458791A1 (ko)
WO (1) WO202201400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7605A (ja) 2011-02-02 2012-08-23 Aq Interactive Inc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3817B2 (en) * 2006-10-11 2009-06-09 Dudley John D Combination hand-held game and candy dispenser
JP6268952B2 (ja) 2013-11-12 2018-01-31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ゲーム装置
JP2015226634A (ja) 2014-05-30 2015-12-17 株式会社マーベラス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6029716B2 (ja) 2015-07-07 2016-11-24 株式会社マーベラス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US10974135B2 (en) * 2017-09-28 2021-04-13 James Andrew Aman Interactive game theater with secret message imag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7605A (ja) 2011-02-02 2012-08-23 Aq Interactive Inc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66742A (zh) 2023-01-31
JP2022093556A (ja) 2022-06-23
JP7068548B1 (ja) 2022-05-16
US20230372832A1 (en) 2023-11-23
TW202204019A (zh) 2022-02-01
JPWO2022014002A1 (ko) 2022-01-20
AU2020458791A1 (en) 2023-03-02
WO2022014002A1 (ja) 2022-01-20
US11826664B1 (en)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719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a game
US20080188288A1 (en) Gaming device and method
JP5150819B2 (ja) 遊技機
US7335103B2 (en) Gaming device and method
JP2016097028A (ja) 物品排出装置
US20090117991A1 (en) Slot Machine Characterized By Displayed Symbo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39484A (ko) 배출 기구 및 게임 장치
US8393953B2 (en) Gaming machine for selecting bonus reel
JP2007282896A (ja) メダル払い出し型ゲーム機
US20160253875A1 (en) Gaming machine that changes games from first type of games to second type of games
US20160093146A1 (en) Gaming machine that shows consecutive symbols of specific kind
JP2023063539A (ja) ゲーム装置
TWI845827B (zh) 配發機構及遊戲裝置
KR20220110275A (ko) 배출 기구 및 게임 장치
JP7282852B2 (ja) 物品排出装置
US20090098927A1 (en) Gaming Machine
JP7213769B2 (ja) 物品排出装置
JP6012294B2 (ja) 遊技機
AU2009200396A1 (en) Gam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slot machines and control method of the gaming system
JP3984803B2 (ja) プッシャーゲーム機
JP6012293B2 (ja) 遊技機
JP2024058188A (ja) 遊技機
JP5284042B2 (ja) プッシャゲーム機
JP2009207921A (ja) 識別情報提供装置
JP2005218531A (ja) 操作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遊技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