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450A - 치간 칫솔 - Google Patents

치간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450A
KR20230039450A KR1020210122800A KR20210122800A KR20230039450A KR 20230039450 A KR20230039450 A KR 20230039450A KR 1020210122800 A KR1020210122800 A KR 1020210122800A KR 20210122800 A KR20210122800 A KR 20210122800A KR 20230039450 A KR20230039450 A KR 20230039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interdental
interdental brush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혜주
이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12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450A/ko
Priority to CN202211105629.3A priority patent/CN115804496A/zh
Priority to US17/943,855 priority patent/US20230082568A1/en
Priority to JP2022145270A priority patent/JP2023042580A/ja
Priority to TW111134808A priority patent/TW202310772A/zh
Publication of KR2023003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간 칫솔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 또는 두께가 감소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기재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미끄럼 방지부, 및 상기 코어부를 커버하고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치간 청소부를 포함하고,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연질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부는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연질부는 상기 관통 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하는 공간을 충진하며, 상기 치간 청소부는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연속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간 칫솔{INTERDENTAL BRUSH}
본 발명은 치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섭취한 후 일반 칫솔로는 닦기 어려운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쑤시개 또는 치간 칫솔(Interdental Brush)을 사용하여 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이쑤시개와 치간 칫솔은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이쑤시개는 나무, 플라스틱, 전분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치아들 사이에 간격이 좁으면 날카로운 이쑤시개의 단부가 치아 사이로 잘 들어가지 않아 음식물 찌꺼기가 잘 제거되지 못하며, 딱딱하고 뾰족한 끝부분은 쉽게 부러질 수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브러쉬가 장착된 치간 칫솔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치간 칫솔은 브러쉬가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동작과 치아 사이를 문지르게 되어 통해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며,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치간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치간 칫솔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 또는 두께가 감소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기재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미끄럼 방지부, 및 상기 코어부를 커버하고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치간 청소부를 포함하고,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연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간 청소부는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연속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속 돌기부는 상기 코어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속 돌기부 상에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상에 마련되는 돌기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속 돌기부 사이에서 노출된 코어부의 표면은 표면 거칠기가 높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속 돌기부 사이에서 노출된 코어부의 표면에 마련된 미세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속 돌기부는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부의 단면은 삼각 형상을 가지며, 삼각형의 코너부에는 코어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부 및 상기 연속 돌기부를 합친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코어 돌기를 원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 돌기 및 상기 연속 돌기부는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부는 삼각형의 각변이 코어부의 중심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간 청소부는 상기 치간 청소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연속 돌기부를 연결하는 돌기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코어부 및 상기 제1 관통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질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이 형성하는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과 상기 코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의 주변부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타영역의 두께에 비하여 두께가 작은 오목부;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코어부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홈부; 및 상기 홈부의 일부에 마련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부는 상기 홈부에 연결되는 홈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속 돌기부의 일부는 상기 홈 연장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질부는 상기 홈부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상기 미끄럼 방지부 및 상기 치간 청소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부는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연질부는 상기 관통 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하는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은 손잡이부 및 치간 청소부가 소정 각도로 구브러져,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할 수 있으며,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재부에 존재하는 관통 홀에 의해 연질부 물질의 흐름이 향상되어,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의 사출 성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간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간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간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기재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연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질부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8은 돌기부 및 돌기 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기재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연질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돌기 헤드 성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12, 도 13,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8, 도 19,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4, 도 25,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간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간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간 칫솔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기재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연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질부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8은 돌기부 및 돌기 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10)은 사용자의 치간 사이에 개재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치간 칫솔(10)은 기재부(100) 및 연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00)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연질부(200)에 비하여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부(100)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센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프로피온산 셀룰로스,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재부(100)가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재부(100)의 접힘과 같은 변형시 탄성 회복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성형 온도가 낮고 사이클 타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성형 설비에 대한 열부하가 적으므로, 기재부(100)에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또한, 기재부(100)는 합성 수지와, 합성 수지내에 분산된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등의 섬유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 수지 내에 섬유재가 포함되면, 기재부(100)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기재부(100)의 강도 강성이 높아져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 내애 섬유재가 포함되면, 기재부(100)의 열변형 온도가 높아지므로, 연질부(200)를 성형할 때의 탄성 재료의 열에 의해 기재부(100)가 연화해서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섬유재에 의해 기재부(100)의 강성도 높아지므로, 탄성 재료의 사출압에 의한 기재부(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연질부(200)의 성형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기재부(100)는 손잡이부(110) 및 코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10)는 치간 칫솔(10)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 평탄한 로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10)는 가느다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부(110)는 완만하게 만곡되는 편평한 로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치간을 청소하기 쉬운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10)의 치수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치간을 청소하기 쉬운 치수이면, 임의의 치수로 설정될 수 있다.
손잡이부(110)에는 복수의 관통홀(111, 112)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110)에는 손잡이부(110)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관통홀(111) 및 제2 관통홀(11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관통홀(112)은 제1 관통홀(111)에 비하여 코어부(1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관통홀(112)은 제1 관통홀(111) 및 코어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11) 및 제2 관통홀(112)에 의해, 사용자는 손잡이부(110)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게 할 수 있다.
손잡이부(110)의 측부에는 연결 돌기(114, 115)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돌기(114, 115)는 서로 인접하는 손잡이부(110)를 연결하며, 기재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기재부(100)가 연결 돌기(114, 115)를 통해 연결되어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연결 돌기(114, 115)는 서로 인접하는 손잡이부(110)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돌기(114)와 서로 인접하는 손잡이부(110)의 상단, 즉, 서로 인접하는 손잡이부(110)의 코어부(120)에 인접한 영역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돌기(114) 및 제2 연결 돌기(115)는 박형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절단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연결 돌기(114) 및 제2 연결 돌기(115)를 절단하여 하나의 치간 칫솔(10)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손잡이부(110)에는 오목부(116) 및 홈부(117)가 마련될 수도 있다. 오목부(116) 및 홈부(117)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오목부(116)는 손잡이부(110)의 타 영역의 두께에 비하여 두께가 작은 영역으로, 손잡이부(110)의 하단과 코어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116)는 홈부(117)에서 연결되고, 제1 관통홀(111)의 주변부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116)에는 연질부(200)의 일부가 마련되며, 오목부(116)에 마련된 연질부(200)의 표면의 높이는 기재부(100)의 타 영역의 표면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제1 관통홀(111)의 폭(W1)은 제1 관통홀(111)에 대응하는 손잡이부(110)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특히, 제1 관통홀(111)의 폭(W1)은 손잡이부(110)의 폭(W2)의 35% 내지 90%일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홀(112)는 연질부(200)를 구성하는 물질의 흐름성을 높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10)의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질부(200)를 구성하는 물질의 흐름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2 관통홀(112)은 0.8㎟ 이상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홈부(117)는 오목부(116)의 상단 일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오목부(116)에서 코어부(120)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부(117)에는 연질부(200)의 일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홈부(117)에 마련된 연질부(200) 표면의 높이는 기재부(100)의 오목부(116)에 마련된 연질부(200) 표면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홈부(117)의 일부에는 제3 관통홀(113)이 마련될 수 있다. 즉, 기재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111, 112, 113)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코어부(120)는 손잡이부(110)에서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가늘고 긴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120)는 선단측으로 갈수록, 즉, 손잡이부(11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 또는 두께이 감소하는 완만하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코어부(120)의 테이퍼 형상이 이루는 각도는 코어부(120)의 전장에 걸쳐 같은 각도로 설정할 수도 있고, 코어부(120)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연속적 혹은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연질부(200)는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질부(200)는 스티렌계, 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열가소성 탄성 물질, 또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고무, 불소 고무, 천연 고무, 합성고무 등의 열경화성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연질부(200)는 기재부(100)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재와의 상용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부(100)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질부(200)는 폴리올레핀계 탄성 물질, 또는 스티렌계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질부(200)는 기재부(100)의 일부에서 연장되어 코어부(120)를 감싸는 피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연질부(200)는 미끄럼 방지부(210), 연결부(220) 및 치간 청소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210)는 오목부(116)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210)는 사용자가 치간 칫솔(10)을 파지하는 경우, 치간 칫솔(10)이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210)는 제1 관통홀(111)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개구부(213)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치간 칫솔(10)을 손가락으로 고정하게 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210)는 제2 관통홀(1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210)가 제2 관통홀(1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충진함으로써, 기재부(100) 및 연질부(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210)는 제2 관통홀(112)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마련되는 돌출 돌기(214)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서 치간 칫솔(1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 돌기(214)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손잡이부(11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210)의 일부에는 제2 연결 돌기(115)가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 홀(215)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홈부(117)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미끄럼 방지부(210)와 치간 청소부(23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제3 관통홀(1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즉, 연결부(220)는 제3 관통홀(1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충진함으로써, 기재부(100) 및 연질부(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치간 청소부(230)는 코어부(120)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120)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치간 청소부(230)는 사용자의 치간을 청소할 수 있다. 치간 청소부(230)는 연결부(220)를 통하여 미끄럼 방지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미끄럼 방지부(210), 연결부(220) 및 치간 청소부(230)는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치간 청소부(230)는 삽입 방지부(231), 피복부(232) 및 돌기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방지부(231)는 사용자가 치간을 청소하는 경우, 치간 청소부(230) 이외의 손잡이부(110)의 일부가 사용자의 치간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삽입 방지부(231) 표면의 높이는 미끄럼 방지부(210), 연결부(220) 및 피복부(232) 표면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피복부(232)는 코어부(120)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피복부(232)의 일부에는 통공(233)이 마련될 수 있으며, 통공(233)은 피복부(232)에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공(233)은 코어부(12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돌기부(234)는 피복부(232)와 함께 사용자의 치간으로 삽입되어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돌기부(234)는 피복부(232)의 표면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돌기부(234)는 피복부(232)에서 멀어질수록 직경 또는 두께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부(234)는 원뿔 형상 또는 다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부(234)가 원뿔 형상 또는 다각뿔 형상을 가짐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돌기부(234)는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을 가지고, 피복부(232)에서 멀어질수록 타원의 장축 및 단축의 길이가 감소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11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돌기부(234)의 돌출 길이 및 직경은 손잡이부(120)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돌기부(234)의 돌출 길이 및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돌기부(234)는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부(234)는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돌기부(234)는 코어부(12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인접하는 가상의 라인들 상에서 서로 교번 배치될 수도 있다.
돌기부(234)의 상단에는 돌기 헤드(235)가 마련될 수 있다. 돌기 헤드(235)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 헤드(235)는 구 형상, 타원체 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돌기 헤드(235)는 돌기부(234) 상단의 직경 또는 두께보다 큰 직경 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치간 칫솔(10)이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왕복 운동하는 경우, 돌기 헤드(235)는 치간 사이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치간 칫솔(10)은 제1 관통홀(111)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치간 칫솔(10)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치간 칫솔(10)은 연질부(200)의 일부가 제2 관통홀(112)가 형성하는 공간을 충진함으로써, 연질부(200)가 기재부(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치간 칫솔(10)은 돌기 헤드(235)를 통하여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기재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연질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돌기 헤드 성형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은 치간 칫솔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수직 단면도이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기재부(100) 제조를 위한 제1 내부 공간이 마련된 제1 금형을 준비한다. 제1 금형은 제1 상부 금형(M11) 및 제1 하부 금형(M12)을 포함하고, 제1 상부 금형(M11) 및 제1 하부 금형(M12)은 결합되어, 기재부(100)에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 즉, 제1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상부 금형(M11) 및 제1 하부 금형(M12)은 기재부(100)의 손잡이부(110) 및 코어부(120)에 대응하는 손잡이 성형부(M110) 및 코어 성형부(M120)를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 성형부(M110)는 기재부(100)의 제1 관통홀(111), 제2 관통홀(112), 제3 관통홀(113), 제1 연결 돌기(114) 및 제2 연결 돌기(115)에 대응하는 제1 관통홀 성형부(M111), 제2 관통홀 성형부(M112), 제3 관통홀 성형부(M113), 제1 연결 돌기 성형부(M114), 및 제2 연결 돌기 성형부(M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 성형부(M111), 제2 관통홀 성형부(M112) 및 제3 관통홀 성형부(M113)는 제1 관통홀(111), 제2 관통홀(112) 및 제3 관통홀(113)의 형성을 위하여 제1 상부 금형(M11) 및 제2 상부 금형(M12)에서 돌출된 돌기가 서로 맞닿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 돌기 성형부(M114), 및 제2 연결 돌기 성형부(M115)는 제1 연결 돌기(114) 및 제2 연결 돌기(115)의 형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 성형부(M110)에서 기재부(100)의 오목부(116) 및 홈부(117)에 대응하는 영역은 타 영역에 비하여 높이가 낮을 수 있다.
제1 금형을 준비한 후에는, 기재부(100)를 구성하는 물질을 주입하여,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기재부(100)를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금형에 물질이 주입되는 제1 게이트(도시되지 않음)는 손잡이 성형부(M110)의 후단 또는 코어 성형부(M120)의 선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기재부(100)를 구성하는 물질은 합성 수지재로,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센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프로피온산 셀룰로스,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합성 수지재 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기재부(100)를 성형한 후, 연질부(200) 제조를 위한 제2 내부 공간이 마련된 제2 금형을 준비한다. 제2 내부 공간에는 기재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금형은 제2 상부 금형(M21) 및 제2 하부 금형(M22)을 포함하고, 제2 상부 금형(M21) 및 제2 하부 금형(M22)은 결합되어, 연질부(200)에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 즉 제2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상부 금형(M21) 및 제2 하부 금형(M22)은 연질부(200)의 미끄럼 방지부(210), 연결부(220) 및 치간 청소부(230)에 대응하는 미끄럼 방지부 성형부(M210), 연결부 성형부(M220) 및 연결부 성형부(M230)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 성형부(M230)는 치간 청소부(230)의 삽입 방지부(231), 피복부(232), 돌기부(234) 및 돌기 헤드(235)를 형성할 수 있는 삽입 방지부 성형부(M231), 피복부 성형부(M232), 돌기부 성형부(M234) 및 돌기 헤드 성형부(M235)를 제공할 수 있다. 돌기 성형부(M234) 및 돌기 헤드 성형부(M235)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성형부(M230)는 피복부(232)의 통공(233)에 대응하는 통공 성형부(M233)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공 성형부(M233)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통공 성형부(M234)는 제2 금형 내에 배치된 기재부(100)의 코어부(120)의 일부에 맞닿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금형은 제2 상부 금형(M21) 및 제2 하부 금형(M22) 중 하나에 마련되어, 연질부(200)를 구성하는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제2 게이트(IJH)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IJH)는 기재부(100)의 홈부(1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게이트(IJH)는 기재부(100)의 홈부(1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제2 게이트(IJH)를 통해 주입되는 연질부(200)를 구성하는 물질이 기재부(100)의 외관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제2 게이트(IJH)는 연질부(200)가 형성되는 공간의 중앙에 마련되어, 제2 게이트(IJH)의 양측으로 연질부(200)를 구성하는 물질이 균일하게 공급됨은 물론, 제2 게이트(IJH)의 양측으로 연질부(200)를 구성하는 물질이 동일한 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게이트(IJH)는 기재부(100)의 홈부(1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게이트(IJH)는 제2 게이트(IJH)의 양측으로 연질부(200)를 구성하는 물질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는 위치로 변경이 가능하다.
제2 금형을 준비한 후에는, 연질부(200)를 구성하는 물질을 제2 게이트(IJH)를 통하여 주입하여,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연질부(100)를 성형할 수 있다.
연질부(200)를 구성하는 물질은 탄성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질부(200)를 구성하는 물질은 스티렌계, 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열가소성 탄성 물질, 또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고무, 불소 고무, 천연 고무, 합성고무 등의 열경화성 탄성 물질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치간 칫솔(10)과 치간 청소부(230)에 대응하는 영역의 구조가 상이한 치간 칫솔의 다양한 예를 설명한다. 이에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치간 칫솔(10)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2, 도 13,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치간 칫솔(10)은 기재부(100) 및 연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00)는 손잡이부(110) 및 코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120)는 손잡이부(110)에서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가늘고 긴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질부(200)는 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질부(200)는 기재부(100)의 일부에서 연장되며, 코어부(120)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치간 청소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치간 청소부(230)는 사용자의 치간을 청소할 수 있다. 치간 청소부(230)는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 및 돌기 연결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는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120)의 외주면 상에서 코어부(12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도 15에 도시된 치간 칫솔(10)이 도 12에 도시된 치간 칫솔(10)보다 다수의 연속 돌기부(234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는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고, 코어부(120)의 외주면을 복수회 감싸는 나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다만, 도 16에 도시된 치간 칫솔(10)이 도 13에 도시된 치간 칫솔(10)보다 다수의 연속 돌기부(234C)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 연결부(236)는 치간 청소부(230)의 끝단에 마련되어,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가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므로, 코어부(120)의 일부는 노출될 수 있다. 코어부(120)의 노출된 표면은 표면 거칠기(Roughness)가 높거나, 미세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표면 거칠기가 높거나 미세 돌기가 마련된 코어부(120)의 표면은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치간 청소시, 치간 사이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18, 도 19,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치간 칫솔(10)은 기재부(100) 및 연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00)는 손잡이부(110) 및 코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120)는 손잡이부(110)에서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가늘고 긴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질부(200)는 기재부(100)의 일부에서 연장되며, 코어부(120)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치간 청소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치간 청소부(230)는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 및 돌기 연결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는 도 1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120)의 외주면 상에서 코어부(12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도 21에 도시된 치간 칫솔(10)이 도 18에 도시된 치간 칫솔(10)보다 다수의 연속 돌기부(234C)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 상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234P)가 마련되고, 각 돌출부(234P) 상에는 돌기 헤드(235C)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234P) 및 돌기 헤드(235)는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는 도 19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고, 코어부(120)의 외주면을 복수회 감싸는 나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다만, 도 22에 도시된 치간 칫솔(10)이 도 19에 도시된 치간 칫솔(10)보다 다수의 연속 돌기부(234C)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 연결부(236)는 치간 청소부(230)의 끝단에 마련되어,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돌기부(234C)의 일부는 코어부(120)에 마련되고, 홈부(117)에 연결된 홈 연장부(120H)에 마련될 수 있다. 홈 연장부(120H)에 연속 돌기부(234)의 일부가 마련되면, 기재부(100) 및 연질부(200)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속 돌기부(234C) 사이에서 노출되는 코어부(120)의 표면은 표면 거칠기(Roughness)가 높거나, 미세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표면 거칠기가 높거나 미세 돌기가 마련된 코어부(120)의 표면은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치간 청소시, 치간 사이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24, 도 25,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6은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29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치간 칫솔의 치간 청소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치간 칫솔(10)은 기재부(100) 및 연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00)는 손잡이부(110) 및 코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120)는 손잡이부(110)에서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가늘고 긴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120)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120)의 단면은 삼각형이며, 삼각형의 코너부에는 코어 돌기(120C)가 마련될 수 있다. 코어 돌기(120C)는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120)의 단면은 삼각형의 각 변이 코어부(120)의 중심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삼각형의 코너부는 치간 청소부(230)의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코어부(120) 단면에서, 삼각형의 코너부는 코어 돌기(120C)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각 변이 삼각형의 내부로 만곡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코어부(120)는 높은 굴곡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연질부(200)는 기재부(100)의 일부에서 연장되어 코어부(120)을 감싸는 피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질부(230)는 코어부(120)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치간 청소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부(120)와 연속 돌기부(234C)를 합친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치간 청소부(230)는 코어부(120)의 일부, 예를 들면, 코어 돌기(120C)를 노출시킬 수 있다. 즉, 코어 돌기(120C)는 코어부(120)와 연속 돌기부(234C)가 형성하는 원 형상의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어 돌기(120C)는 도 24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12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도 24에 도시된 코어 돌기(120C)의 노출 면적이 도 27에 도시된 코어 돌기(120C)의 노출 면적보다 작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돌기(120C)는 도 25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고, 코어부(120)의 외주면을 복수회 감싸는 나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코어 돌기(120C)의 표면은 표면 거칠기(Roughness)가 높을 수 있다. 표면 거칠기가 높은 코어 돌기(120C)의 표면은 마찰력이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치간 청소시, 치간 사이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이나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치간 칫솔 100: 기재부
110: 손잡이부 120: 코어부
200: 연질부 210: 미끄럼 방지부
220: 연결부 230: 치간 청소부
M11: 제1 상부 금형 M12: 제1 하부 금형
M21: 제2 상부 금형 M22: 제2 하부 금형

Claims (20)

  1.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 또는 두께가 감소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기재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미끄럼 방지부, 및 상기 코어부를 커버하고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치간 청소부를 포함하고,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연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간 청소부는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연속 돌기부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돌기부는 상기 코어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치간 칫솔.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돌기부 상에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상에 마련되는 돌기 헤드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돌기부 사이에서 노출된 코어부의 표면은 표면 거칠기가 높은 치간 칫솔.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돌기부 사이에서 노출된 코어부의 표면에 마련된 미세 돌기를 더 포함하는 치간 칫솔.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돌기부는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나선 형태를 가지는 치간 치솔.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돌기부 상에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상에 마련되는 돌기 헤드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돌기부 사이에서 노출된 코어부의 표면은 표면 거칠기가 높은 치간 칫솔.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돌기부 사이에서 노출된 코어부의 표면에 마련된 미세 돌기를 더 포함하는 치간 칫솔.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단면은 삼각 형상을 가지며, 삼각형의 코너부에는 코어 돌기가 마련되는 치간 칫솔.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 및 상기 연속 돌기부를 합친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코어 돌기를 원의 외부로 돌출되는 치간 칫솔.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돌기 및 상기 연속 돌기부는 상기 코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나선 형태를 가지는 치간 칫솔.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삼각형의 각변이 코어부의 중심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치간 칫솔.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간 청소부는 상기 치간 청소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상기 연속 돌기부를 연결하는 돌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치간 칫솔.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코어부 및 상기 제1 관통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질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이 형성하는 공간을 충진하는 치간 칫솔.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과 상기 코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의 주변부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타영역의 두께에 비하여 두께가 작은 오목부;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코어부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홈부; 및
    상기 홈부의 일부에 마련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치간 칫솔.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홈부에 연결되는 홈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속 돌기부의 일부는 상기 홈 연장부에 마련되는 치간 칫솔.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상기 홈부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상기 미끄럼 방지부 및 상기 치간 청소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치간 칫솔.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 돌기를 포함하는 치간 칫솔.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는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연질부는 상기 관통 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하는 공간을 충진하는 치간 칫솔.
KR1020210122800A 2021-09-14 2021-09-14 치간 칫솔 KR20230039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800A KR20230039450A (ko) 2021-09-14 2021-09-14 치간 칫솔
CN202211105629.3A CN115804496A (zh) 2021-09-14 2022-09-07 牙间刷及其制造方法
US17/943,855 US20230082568A1 (en) 2021-09-14 2022-09-13 Interdental brush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2022145270A JP2023042580A (ja) 2021-09-14 2022-09-13 歯間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TW111134808A TW202310772A (zh) 2021-09-14 2022-09-14 牙間刷及其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800A KR20230039450A (ko) 2021-09-14 2021-09-14 치간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450A true KR20230039450A (ko) 2023-03-21

Family

ID=8580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800A KR20230039450A (ko) 2021-09-14 2021-09-14 치간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4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365B1 (ko) 칫솔
EP2509464B1 (en) Toothbrush
AU2020201157B2 (en) Oral care implement
US20110138560A1 (en) Toothbrush
AU2009356689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JP5485274B2 (ja) 歯ブラシ及び歯ブラシを製造する方法
KR20130113472A (ko) 칫솔
KR20100008367A (ko) 칫솔
KR102577531B1 (ko) 칫솔
JP5386259B2 (ja) 歯ブラシ
JP6721342B2 (ja) 歯間ブラシ
US20210386531A1 (en) Interdental cleaner
JP7203882B2 (ja) 歯ブラシ
KR102676173B1 (ko) 치간 칫솔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39450A (ko) 치간 칫솔
KR20230039449A (ko) 치간 칫솔 및 이의 제조 방법
EP0471312B1 (en) Toothbrush
JP2023042580A (ja) 歯間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00570A (ja) 歯間清掃具
JP2008194497A (ja) 用毛の植毛構造
JP4159381B2 (ja) 歯ブラシ
JP3242767U (ja) 歯間ブラシ
JP2022107546A (ja) 歯間清掃具
TW202123847A (zh) 牙刷
KR20060007109A (ko) 브러시를 이용한 이쑤시개 및 그 제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