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413A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413A
KR20230039413A KR1020210122708A KR20210122708A KR20230039413A KR 20230039413 A KR20230039413 A KR 20230039413A KR 1020210122708 A KR1020210122708 A KR 1020210122708A KR 20210122708 A KR20210122708 A KR 20210122708A KR 20230039413 A KR20230039413 A KR 20230039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rce
kneading
cooking
baking tra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정
신대기
유세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413A/ko
Publication of KR2023003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21B7/005Baking plants in combination with mixing or kn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vertically-mounted tools; Machines for whipping or b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65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제빵용 트레이에 반죽통이 얹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제빵용 트레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작으로 반죽통 내의 반죽용 회전날개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반죽용 회전날개의 동력 전달을 위한 작업이 손쉽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제빵 기능을 가지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장치는 가스 혹은, 전기를 이용하여 생성한 고온의 열기를 이용하여 가열실 내의 조리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조리 장치에는 빵을 만들기 위한 제빵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빵 용기에 반죽을 채운 후 조리 공간 내에 제공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빵을 구워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제빵 요리에 사용되는 반죽은 사용자가 직접 반죽하거나 별도의 반죽기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반죽한다.
하지만, 상기한 사용자에 의한 반죽은 일반 사용자가 하기에는 항상 일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힘들었던 단점이 있다. 또한, 반죽 기기를 이용한 반죽은 대용량의 반죽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제빵기 자체에 반죽 날개를 제공함으로써 제빵기에서 반죽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관련하여는 실용신안 실1996-0002258호, 공개실용신안 실1999-013445호, 공개특허 특1998-026372호, 공개특허 제10-2005-0110766호 등에 제공되는 바와 같다.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반죽통을 제빵기에 장착함으로써 반죽통 내의 반죽용 회전날개가 제빵기에 위치된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의 자동 반죽 기능을 제공하는 제빵기는 반죽통의 반죽용 회전날개와 모터축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두껑이 상측에 위치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상기한 자동 반죽 기능은 통상적인 조리 장치(예컨대, 오븐 레인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오븐 내의 바닥에 모터축이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반죽통은 오븐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모터축과 반죽통의 바닥에 위치된 반죽용 회전날개를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구조 역시 모터축과 반죽용 회전날개 간의 결합을 위해 일정 거리의 상하 간격이 필요하고, 그만큼 오븐 내의 조리 공간을 크게 형성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제품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오븐은 트레이에 각종 조리물을 얹은 상태로 슬라이딩시켜 조리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트레이의 수용을 위해 소요되는 힘이 적게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반죽용 회전날개가 제공되는 구조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트레이를 안착시킬 경우 조리 공간 내의 바닥에 위치되는 모터축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써 트레이는 들어서 조리 공간 내에 수용시켜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트레이를 수용시키는 과정에서도 모터축과 반죽용 회전날개를 일치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장착 작업의 불편함이 매우 컸다.
또한, 종래에는 반죽통이 제빵기 내에 장착된 상태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반죽용 회전날개가 회전될 경우 상기 반죽통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반죽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실용신안 실1996-0002258호 공개실용신안 실1999-013445호 공개특허 특1998-026372호 공개특허 제10-2005-0110766호 등에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죽을 자동을 수행하면서 제빵 운전이 수행될 수 있는 오븐 구조의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빵 기능을 가지는 조리챔버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트레이를 장착하더라도 트레이에 얹히는 제빵통 내의 반죽용 회전날개와 조리 공간 저부에 위치된 모터축 간의 동력 전달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의 상면에 얹히는 반죽통이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반죽 불량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조리챔버 내에 취출 가능하게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죽통이 얹히는 제빵용 트레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반죽통 내에는 반죽용 회전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캐비넷 내에는 반죽용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반죽용 회전날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력 전달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1구동력 전달부는 제빵용 트레이의 저부로 일부 노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력 전달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2구동력 전달부는 조리챔버 내의 바닥면에 일부 노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1구동력 전달부와 제2구동력 전달부는 제빵용 트레이가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혹은,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반죽통의 저면에는 결합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플랜지가 수용되는 관통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결합플랜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원주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관통슬롯은 결합플랜지가 삽입됨과 더불어 관통슬롯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비관통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단과 비관통단의 구조에 의해 반죽통은 항상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결합플랜지의 외주면에는 비관통단이 수용되도록 걸림턱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반죽통의 결합플랜지를 관통슬롯에 삽입한 후 회전하게 되면 상기 비관통단에 걸림턱이 위치되면서 반죽통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빵용 트레이에는 관통슬롯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구속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반죽통의 결합플랜지를 관통슬롯에 삽입한 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구속부재로 구속할 경우 상기 반죽통의 역회전이 방지되어 반죽통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반죽통과 구속부재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각 구속부재는 연동부재에 연결되어 각 반죽통을 동시에 구속하거나 동시에 구속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연동부재에는 적어도 일부가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으로 노출되면서 수동 조작되는 조작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1구동력 전달부는 반죽통의 저면에 구비되면서 반죽용 회전날개와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동력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1구동력 전달부는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제1동력부재가 맞물리는 제2동력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1구동력 전달부는 제2동력부재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제빵용 트레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구동력 전달부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동력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1동력부재와 제2동력부재에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면서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맞물리는 요철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3동력부재의 저면에는 전후 방향을 향하는 직선형의 결합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2구동력 전달부의 상면에는 결합돌부와 맞물리는 결합홈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2구동력 전달부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은 조리챔버의 전후 방향을 향하여 직선으로 형성되면서 결합돌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결합홈의 선단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양 측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면서 확장된 확장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2구동력 전달부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구동축은 조리챔버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제2구동력 전달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빵용 트레이의 저면에는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조리챔버 내의 바닥에는 가이드홈 내로 수용되는 돌출 부위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반죽통과 제1구동력 전달부는 각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제2구동력 전달부와 구동원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각 제1구동력 전달부에 각각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각 반죽통은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 양 측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각 제1구동력 전달부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각각의 반죽통에 각각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아래의 각종 효과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반죽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제빵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제1구동력 전달부와 제2구동력 전달부가 제빵용 트레이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문에 제빵용 트레이를 조리챔버 내에 투입하는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에 얹히는 반죽통이 제빵 기능을 위한 운전 중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반죽 도중 반죽통이 흔들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에 반죽통을 얹을 경우 각 결합플랜지와 관통슬롯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 반죽통이 정확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반죽통에 위치된 제1동력부재의 제1요철부가 제빵용 트레이에 위치된 제2동력부재의 제2요철부에 부정확히 맞물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전방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후방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내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빵용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빵용 트레이와 반죽통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빵용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빵용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5의 “A”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2구동력 전달부의 상측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2구동력 전달부와 구동원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2구동력 전달부와 구동원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2구동력 전달부의 저부측 구조를 나타낸 요부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빵용 트레이 저면 구조를 나타낸 요부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제빵용 트레이(700)에 반죽통(620)이 얹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제빵용 트레이(700)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작으로 반죽통(620) 내의 반죽용 회전날개(622)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각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후방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캐비넷(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0)은 조리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이다.
상기 캐비넷(100)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비넷(100)의 후면은 후면커버(11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폐쇄되거나 혹은, 캐비넷(100) 내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100) 내부는 복수의 서로 구분된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5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100) 내부는 전후구획벽(120)에 의해 전방측 공간과 후방측 공간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조리챔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챔버(200)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이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7는 조리챔버가 도시되고 있다. 여기서,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빵용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챔버(200)는 전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챔버(200)는 상기 캐비넷(100) 내부의 각 공간 중 전방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챔버(200)의 개방된 전면과 상기 캐비넷(100)의 개방된 전면은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챔버(200)는 상기 캐비넷(10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면서 상기 캐비넷(100) 내의 전방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캐비넷(100) 내부는 상기 조리챔버(200)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및 후방측의 설치 공간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조리챔버(200)의 저면은 캐비넷(100)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챔버(200)의 저면과 캐비넷(100) 내의 바닥면 사이에는 구동원(61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610)은 조리챔버(200) 내에 반죽통(620)이 수용될 경우 상기 반죽통(620) 내의 반죽을 교반하는 교반용도의 모터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조리챔버(200)의 상면은 캐비넷(100) 내의 상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챔버(200)의 상면과 캐비넷(100) 내의 상측 벽면 사이(이하, “챔버 상측공간”이라 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챔버 상측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론(6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마그네트론(630)은 도파관(도시는 생략됨)을 통해 상기 조리챔버(200)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0) 내에 제공되는 전후구획벽(120)은 상기 조리챔버(200)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캐비넷(100) 내부는 상기 조리챔버(200)가 위치된 전방측 공간 및 상기 전후구획벽(120)에 의해 설치 공간이 제공되는 후방측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가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00)는 상기 캐비넷(100) 내의 조리 공간으로 열기를 제공하도록 제공되는 가열원이다. 즉, 상기 가열부(300)의 제공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고온의 열기로 조리물을 조리하는 오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00)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제1시스히터(sheath heater)(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스히터(310)는 상기 조리챔버(200) 내의 상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시스히터(310)에 의해 조리챔버(200) 내의 상측 공간으로부터 고온의 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300)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제2시스히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시스히터(320)는 상기 조리챔버(200) 내의 바닥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시스히터(320)는 상기 조리챔버(200)의 외측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시스히터(320)에 의해 조리챔버(200) 내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고온의 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열부(300)는 면발열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스를 이용한 버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냉각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400)는 상기 캐비넷(100) 내의 조리 공간으로 냉각 공기를 제공하도록 제공되는 냉기열원이다. 즉, 상기 냉각부(400)의 제공에 의해 조리 공간 내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리(예컨대, 발효 기능 등)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냉각부(400)는 상기 캐비넷(100) 내의 후방측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부(400)는 조리챔버(200)의 후방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조리챔버(200)로 냉각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챔버(200)의 후벽면에는 냉각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공기통공(210)은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면서도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부(4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냉각부(400)는 압축기(410)와 응축기(도시는 생략됨)와 증발기(430) 및 팽창기(도시는 생략됨)를 가지는 냉동싸이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부(400)는 냉매의 유동 및 상변화 특성을 이용하여 냉각 공기를 생성한 후 캐비넷(100)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냉각부(400)는 열전소자(도시는 생략됨)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에 따른 흡열 반응으로 조리챔버(200)를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400)가 열전소자로 구성될 경우 상기 조리챔버(200)의 어느 한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도어(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500)는 캐비넷(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500)는 조리챔버(200)의 조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500)의 개폐 동작에 의해 조리 공간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거나 혹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500)는 캐비넷(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00)는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 중 양측 저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면서 전후(상하)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반죽통(62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반죽통(620)은 반죽을 담기위해 제공되는 저면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으로써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의 상면에 얹힌 상태로 조리챔버(200) 내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반죽통(620)의 저면에는 결합플랜지(621)가 하향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랜지(621)는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의 상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면서 해당 반죽통(620)이 제빵용 트레이(700)의 정위치에 얹힌 상태를 이루기 위해 제공된다. 즉, 상기 결합플랜지(621)에 의해 후술될 제1구동력 전달부(810)의 각 요철부(811b,812b)는 각 이빨이 서로 어긋남 없이 정확히 마주보면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결합플랜지(62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플랜지(621)는 복수로 형성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11과 같이 상기 반죽통(620) 내에는 반죽용 회전날개(6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죽용 회전날개(622)는 상기 반죽통(620) 내의 조리물을 지속적으로 교반하는 날개이며, 상기 반죽통(62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죽용 회전날개(622)는 캐비넷(100) 내에 제공되는 구동원(610)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반죽통(620)은 원형의 통체나 다각형의 통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반죽통(620)은 좌우로 긴 형태의 통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의 경우에는 해당 반죽통(620) 내의 저면 중 양 측에 반죽용 회전날개(62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제빵용 트레이(7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는 상기 조리챔버(200)의 조리 공간 내에 수용되거나 혹은, 취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쟁반이다. 이러한 제빵용 트레이(700)는 상기 조리챔버(200) 내의 바닥을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조리 공간 내로 수용되거나 혹은, 취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2 및 도 13은 이러한 제빵용 트레이(70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는 단일의 판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판재가 결합된 어셈블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시예로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제빵용 트레이(700)는 상기 반죽통(620)의 안정적인 장착 및 후술될 제1구동력 전달부(810)의 제공을 위해 복수의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어셈블리 구조의 제빵용 트레이(700)의 경우 첨부된 도 13과 같이 상판(710)과 하판(720) 및 내장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710)은 제빵용 트레이(700)의 상면으로 제공되고, 상기 하판(720)은 제빵용 트레이(700)의 저면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장부(730)는 상기 상판(710)과 하판(720) 사이에 위치되는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710)에는 상기 반죽통(620)의 결합플랜지(621)가 관통되어 수용되는 관통슬롯(7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슬롯(711)은 상기 결합플랜지(621)와 대응되는 수량으로 제공되면서 각 결합플랜지(621)가 삽입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플랜지(621)와 관통슬롯(711)에 의해 반죽통(620)은 특정 방향성(특정한 어느 한 방향을 향할 수 있음)을 가지면서 제빵용 트레이(700)에 결합된다. 이로써 후술될 제1구동력 전달부(800)를 이루는 제1동력부재(811)의 제1요철부(811b)와 제2동력부재(812)의 제2요철부(812b)가 서로 일치되면서 정확히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플랜지(621)의 외주면에는 걸림턱(621a)이 요입 형성(첨부된 도 9 및 도 14 참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621a)은 상기 결합플랜지(621)가 상기 관통슬롯(721)을 관통하여 제빵용 트레이(700)의 상판(710)과 내장부(730)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의 내장부(730)에는 상기 결합플랜지(621)와 관통슬릿(721)의 원치않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구속부재(7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740)는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턱(621a) 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거나 혹은,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속부재(740)가 상기 걸림턱(621a) 내에 수용되도록 위치됨으로써 반죽통(620)은 제빵용 트레이(700)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첨부된 도 14는 구속부재(740)가 걸림턱(621a) 내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반죽통(620)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죽통(620)은 두 개로 제공되면서 제빵용 트레이(700)의 상면 양 측에 각각 얹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구속부재(740)도 두 개로 제공되면서 그 각각이 상기 두 반죽통(620)의 결합플랜지(621)를 각각 구속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두 구속부재(740)는 동시에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두 구속부재(740)는 연동부재(750)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연동부재(750)의 좌우 이동 조작에 의해 두 반죽통(620)의 결합플랜지(621)에 형성된 각 걸림턱(621a)을 동시에 구속하거나 동시에 구속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부재(750)의 상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를 구성하는 상판(710)으로부터 상향 노출되면서 수동 조작되는 조작돌기(75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각 구속부재(740)는 서로 개별적으로 제공되면서 사용자가 각각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610)(첨부된 도 5 참조)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원(610)이 제공하는 회전 구동력으로 반죽용 회전날개(622)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동원(610)은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원(610)은 액츄에이터나 리니어모터 등 다양한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원(610)은 상기 캐비넷(100)의 저면과 상기 조리챔버(200)의 바닥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610)은 후술될 동력전달축(811)을 매개로 제2구동력 전달부(820)와 직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원(610)은 별도의 동력 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820) 혹은, 동력전달축(811)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예컨대, 체인이나 벨트 혹은, 기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제1구동력 전달부(81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구동력 전달부(810)는 반죽용 회전날개(62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의 저부로 일부 노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력 전달부(810)는 반죽용 회전날개(622)와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동력부재(811)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부재(811)는 상기 반죽통(620)의 저면 중 결합플랜지(62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부재(811)는 상면으로 반죽용 회전날개(622)와 축결합되는 결합축(811a)이 돌출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둘레를 따라 요철이 형성된 제1요철부(811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력 전달부(810)는 상기 제1동력부재(811)가 맞물리는 제2동력부재(812)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동력부재(812)는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부재(812)의 상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동력부재(811)의 제1요철부(811b)와 맞물리도록 요철이 형성된 제2요철부(812b)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부재(812)의 저면에는 형합돌기(812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력 전달부(810)는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82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동력부재(813)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동력부재(813)는 제빵용 트레이(70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제2동력부재(812)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동력부재(813)의 상면에는 상기 제2동력부재(812)의 형합돌기(812c)와 맞물리는 형합홈(813c)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동력부재(813)의 저면에는 전후 방향을 향하는 직선형의 결합돌부(813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합돌기(812c) 및 형합홈(813c)은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일자, 십자, 다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제2구동력 전달부(8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820)는 상기 구동원(6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단은 상기 조리챔버(200) 내의 바닥면에 노출되고 하단은 조리챔버(200)의 저면과 캐비넷(100)의 저면 사이에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구동력 전달부(82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돌부(813d)와 맞물리도록 제1결합홈(821)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홈(821)은 조리챔버(200)의 전후 방향을 향해 결합돌부(813d)가 직선 이동되면서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14 및 도 15와 같다.
특히, 상기 제1결합홈(821)의 선단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양 측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면서 확장된 확장단(8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820)가 일부 회전되어 결합돌부(813d)와 제1결합홈(821)이 정확히 일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1결합홈(821) 내에 결합돌부(813d)가 원활히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610)은 제빵 기능의 수행이 종료되는 경우나 제빵 기능이 시작될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경우에 상기 제1결합홈(821)의 확장단(821a)이 전방을 향하게 위치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실시예로 제시되지 않은 기구적 구조에 의해 수행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820)의 저면에는 구동원(610)의 동력전달축(611)과 결합되는 제2결합홈(8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축(611)과 상기 제2결합홈(822)은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8과 같다.
한편, 상기 제1구동력 전달부(810)와 제2구동력 전달부(820)는 각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반죽통(620)이 동시에 설치된 제빵용 트레이(700)를 조리챔버(200) 내에 장착하더라도 구동원(610)의 구동력이 각 구동력 전달부(810,820)를 통해 각각의 반죽용 회전날개(622)에 정확히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원(610)도 각 반죽통(620)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반죽통(620)만 제공될 경우 해당측의 구동원(610)만 구동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나의 구동원(610)에 의해 두 반죽통(620)의 반죽용 회전날개(622)를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와 조리챔버(200) 간의 대향면에는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를 상기 조리챔버(200) 내에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의 정확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19와 같이 제빵용 트레이(700)의 저면(하판의 저면)에는 가이드홈(701)이 요입 형성되고, 조리챔버(200) 내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홈(701) 내로 수용되는 돌출 부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가 조리챔버(200) 내의 바닥에 얹혀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 상기 돌출 부위와 가이드홈(701)의 안내에 의해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는 조리챔버(200) 내의 정위치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 부위는 제2구동력 전달부(820)가 될 수 있다. 즉, 제2구동력 전달부(820)의 상단을 조리챔버(200) 내의 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701)의 안내를 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돌출 부위는 제2구동력 전달부(820)와는 다른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제빵 용도가 아닌 일반 조리 용도로 조리 장치가 사용될 경우에는 제빵용 트레이(700)가 아닌 일반용 트레이(도시는 생략됨)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반용 트레이는 제빵용 트레이(700)와는 달리 반죽통(620)을 장착하거나 반죽용 회전날개(622)를 회전하기 위한 구조가 제공되지 않는다. 즉, 일반용 트레이는 일반 오븐에 사용되는 트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조리챔버(200)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구동력 전달부(820)가 돌출되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일반용 트레이의 저면에도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820)가 수용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조리 장치는 전자레인지, 오븐레인지, 발효기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 장치를 전자레인지로 사용할 경우 마그네트론(630)의 동작 제어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의 제공으로 조리챔버(200) 내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만일, 조리 장치를 오븐레인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가열부(300)의 발열 제어에 의한 고온 열기의 제공으로 조리챔버(200) 내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만일, 조리 장치를 제빵기나 발효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가열부(300)의 발열 제어 혹은, 냉각부(400)의 동작 제어에 의한 고온 열기와 냉각 공기의 선택적인 공급으로 조리챔버(200) 내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즉, 가열부(300)와 냉각부(400)가 동시에 제공되기 때문에 조리챔버(200) 내에 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고 이로써 저온 숙성이나 고온 숙성 등 다양한 방식의 발효나 숙성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리 장치를 전자레인지나 오븐레인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 트레이에 조리물을 얹은 상태로 해당 트레이를 조리챔버(200) 내에 위치시켜 사용한다.
만일, 상기 조리 장치를 제빵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제빵용 트레이(700)와 반죽통(620)을 준비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반죽통(620) 내에 반죽을 담은 상태에서 해당 반죽통(620)을 제빵용 트레이(700)에 얹어 고정한다. 즉, 반죽통(620)의 결합플랜지(621)를 제빵용 트레이(700)의 관통슬롯(711)에 관통시켜 결합한 후 구속부재(740)의 조작을 통해 해당 구속부재(740)가 결합플랜지(621)의 걸림턱(621a)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로써 반죽통(620)은 제빵용 트레이(700)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에는 하나의 반죽통(620)만 설치될 수도 있고, 두 개의 반죽통(620)이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죽통(620)을 제빵용 트레이(700)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반죽통(620)의 저면에 위치된 제1동력부재(811)의 제1요철부(811b)는 제빵용 트레이(700)에 위치된 제2동력부재(812)의 제2요철부(812b)와 맞물려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반죽통(620)은 복수의 결합플랜지(621)와 복수의 관통슬릿(711)에 의해 정확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제빵용 트레이(700)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 요철부(811b,812b)의 요철이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반죽통(620)을 제빵용 트레이(700)에 얹어 고정한 이후에는 해당 제빵용 트레이(700)를 조리챔버(200) 내에 삽입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는 상기 조리챔버(200) 내의 바닥에 얹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조리챔버(200) 내로 삽입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701)으로 조리챔버(200) 내의 바닥에 돌출된 제2구동력 전달부(820)가 수용되어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는 정위치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설정 위치에까지 정확히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빵용 트레이(70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도중 제3동력부재(813)의 결합돌부(813d)는 조리챔버(200) 내의 바닥에 위치된 제2구동력 전달부(820)의 제1결합홈(821) 내로 수용되면서 맞물린다. 이때 상기 제1결합홈(821)의 선단에는 전방측 끝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확장단(821a)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돌부(813d)가 나란히 일치되도록 위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1결합홈(821) 내로 정확히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 의해 제빵용 트레이(700)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어(500)를 닫아 조리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한 후 가열부(300) 혹은, 냉각부(400)의 동작 제어를 통해 제빵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빵 기능이 수행되는 도중 구동원(610)은 설정된 제어에 의해 동작 혹은, 동작 중단되면서 반죽용 회전날개(622)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구동원(610)의 회전 구동력은 제2구동력 전달부(820)로 전달되고,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820)로 전달된 구동력은 결합돌부(813d)를 통해 제3동력부재(813)로 전달된다. 계속해서 제3동력부재(813)는 제2동력부재(812)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동력부재(812)는 제1동력부재(811)로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제1동력부재(811)에 축 결합된 반죽용 회전날개(622)가 회전되면서 반죽통(620) 내의 반죽을 교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빵 기능의 동작이 종료되면 구동원(610)의 동작에 의해 제2구동력 전달부(820)는 제1결합홈(821)의 확장단(821a)이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로 정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5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빵용 트레이(70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빵용 트레이(700)를 취출한 이후에는 구속부재(740)의 조작을 통해 각 반죽통(620)의 구속을 해제한 후 각 반죽통(620)을 들어올려 제빵용 트레이(700)로부터 분리하고 조리된 빵을 취출함으로써 제빵이 완료된다.
이상에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반죽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제빵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제1구동력 전달부(810)와 제2구동력 전달부(820)가 제빵용 트레이(7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문에 제빵용 트레이(700)를 조리챔버(200) 내에 투입하는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제빵용 트레이(700)의 상면에 얹히는 반죽통(620)이 구속부재(740)에 의해 제빵 기능을 위한 운전 중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반죽 도중 반죽통(620)이 흔들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제빵용 트레이(700)의 상면에 반죽통(620)을 얹을 경우 각 결합플랜지(621)와 관통슬롯(711)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 반죽통(620)이 정확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반죽통(620)에 위치된 제1동력부재(811)의 제1요철부(811b)가 제빵용 트레이(700)에 위치된 제2동력부재(812)의 제2요철부(812b)에 정확히 맞물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기능과, 오븐레인지의 기능, 발효나 반죽이 가능한 제빵기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제빵 기능과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로도 구성될 수가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의 제공이 가능하다.
100. 캐비넷 110. 후면커버
120. 전후구획벽 200. 조리챔버
210. 공기통공 300. 가열부
310. 제1시스히터 320. 제2시스히터
400. 냉각부 500. 도어
610. 구동원 611. 동력전달축
620. 반죽통 621. 결합플랜지
621a. 걸림턱 622. 반죽용 회전날개
630. 마그네트론 700. 제빵용 트레이
701. 가이드홈 710. 상판
711. 관통슬롯 720. 하판
730. 내장부 740. 구속부재
750. 연동부재 751. 조작돌기
810. 제1구동력 전달부 811. 제1동력부재
811a. 결합축 811b. 제1요철부
812. 제2동력부재 812b. 제요철부
812c. 형합돌기 813. 제3동력부재
813c. 형합홈 813d. 결합돌부
820. 제2구동력 전달부 821. 제1결합홈
821a. 확장단 822. 제2결합홈

Claims (17)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 내에 구비되어 전면이 개방된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챔버;
    상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반죽용 회전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반죽통;
    상기 조리챔버 내에 취출 가능하게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죽통이 얹히는 제빵용 트레이;
    캐비넷 내의 조리챔버 저부에 구비되며 상기 반죽용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상기 제빵용 트레이의 저부로 일부 노출되게 제공되면서 상기 반죽용 회전날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력 전달부;
    상기 조리챔버 내의 바닥면에 일부 노출되게 제공되면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력 전달부와 제2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빵용 트레이가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혹은, 분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반죽통의 저면에는 결합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플랜지가 수용되는 관통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랜지와 관통슬롯은 복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기어간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랜지의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빵용 트레이에는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결합플랜지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구속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과 구속부재는 복수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속부재는 연동부재에 연결되어 각 반죽통을 동시에 구속하거나 동시에 구속 해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에는 적어도 일부가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으로 노출되면서 수동 조작되는 조작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반죽통의 저면에 구비되면서 반죽용 회전날개와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동력부재와,
    상기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동력부재가 맞물리는 제2동력부재와,
    상기 제2동력부재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제빵용 트레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동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부재와 제2동력부재에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면서 서로 동력 전달 가능하게 맞물리는 요철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동력부재의 저면에는 전후 방향을 향하는 직선형의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결합돌부와 맞물리는 결합홈이 상면에 요입 형성된 결합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은 조리챔버의 전후 방향을 향하여 직선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돌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선단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양 측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면서 확장된 확장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조리챔버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결합축에 축결합되는 구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빵용 트레이의 저면에는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조리챔버 내의 바닥에는 상기 가이드홈 내로 수용되는 돌출 부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과 제1구동력 전달부는 각각 복수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력 전달부와 구동원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각 제1구동력 전달부에 각각의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죽통은 상기 제빵용 트레이의 상면 양 측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각 제1구동력 전달부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각각의 반죽통에 각각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KR1020210122708A 2021-09-14 2021-09-14 조리 장치 KR20230039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708A KR20230039413A (ko) 2021-09-14 2021-09-14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708A KR20230039413A (ko) 2021-09-14 2021-09-14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413A true KR20230039413A (ko) 2023-03-21

Family

ID=8580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708A KR20230039413A (ko) 2021-09-14 2021-09-14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41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258A (ko) 1994-06-21 1996-01-26 이헌조 위성방송 수신 기능 내장형 비디오 씨디피
KR19980026372A (ko) 1996-10-09 1998-07-15 구자홍 제빵기의 제빵용기 착탈장치
KR19990013445A (ko) 1997-07-03 1999-02-25 캐롤라인엠.루츠 파스너
KR20050110766A (ko) 2004-05-19 2005-11-24 주식회사 오성사 건강발효 기능을 갖는 제빵기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258A (ko) 1994-06-21 1996-01-26 이헌조 위성방송 수신 기능 내장형 비디오 씨디피
KR19980026372A (ko) 1996-10-09 1998-07-15 구자홍 제빵기의 제빵용기 착탈장치
KR19990013445A (ko) 1997-07-03 1999-02-25 캐롤라인엠.루츠 파스너
KR20050110766A (ko) 2004-05-19 2005-11-24 주식회사 오성사 건강발효 기능을 갖는 제빵기 및 그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659B2 (en) Gas oven
KR101207304B1 (ko)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EP3369353A1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for preparing ice cream
US5901637A (en) Combined baking oven and automatic bread baking apparatus
KR20070114982A (ko) 슬라이드형 트레이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
US20060081623A1 (en) Microwave oven provided with a separate heater cooking chamber
KR20150115604A (ko) 교반 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JP6866233B2 (ja) 加熱調理器
KR20230039413A (ko) 조리 장치
JP2009060932A (ja) 自動製パン器
US12061033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14052152A (ja) 加熱調理器
JPH01184332A (ja) 調理器
CN109668184B (zh) 微波炉
JPH01314819A (ja) 加熱装置
EP1474983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ead makers
JP2014042602A (ja) 加熱調理器
CN221205043U (zh) 一种投料盒及自动炒菜机
CN109668186B (zh) 微波腔体组件和微波炉
CN109668187B (zh) 微波炉
CN110652227A (zh) 烘焙器具及其控制方法
JP2003180527A (ja) 自動製パン機
JP6875153B2 (ja) 加熱調理器
CN109668188B (zh) 微波炉
KR20090062007A (ko)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