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250A - 반려동물을 위한 펫드라이룸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을 위한 펫드라이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250A
KR20230039250A KR1020210122315A KR20210122315A KR20230039250A KR 20230039250 A KR20230039250 A KR 20230039250A KR 1020210122315 A KR1020210122315 A KR 1020210122315A KR 20210122315 A KR20210122315 A KR 20210122315A KR 20230039250 A KR20230039250 A KR 20230039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et
accommodation space
spac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제이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제이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제이유
Priority to KR102021012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250A/ko
Publication of KR2023003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펫 드라이 룸에 관한 것으로,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수용공간 내로 공기를 분사하고 순환시키기 위해 모터/
팬/유로/노즐/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기순환 모듈을 구비한 펫 드라이 룸에 있어서, 수용공간 바닥면에 설
치되는 배변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의 분사공 및 수용공간 측면과 후면에 형성된 노즐에서 분사된 공기가 수용
공간 천정면 전방측에 위치한 제 1 흡입구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을 위한 펫드라이룸{Pet Dry Room for Pets}
본 발명은 펫 드라이 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나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후 털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산책 등 야외활동 후 강한 바람으로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각종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하기 위한 펫 드라이 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독신 가구의 증가, 인구의 고령화 등에 따라 애완동물과의 교감을 통한 정서적 위로를 얻기 위해 개나 고
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아파트 뿐만 아니라 단독주택의 경우에도 실내에서 애완동물과 같이 생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애완동물의
오염된 털이나 이물질은 사람의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위생 청결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애완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펫샵(Pet Shop)에 애완동물의 목욕을 의뢰하거나, 개인이 직접 애완동물
을 목욕시키게 되는데, 목욕 후 털을 잘 건조시키지 않으면 감기나 피부병의 원인이 된다.
건조를 위해 일반 헤어 드라이어나 거치대에 거치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를 사용하면 건조 과정에서 빠진 털을
포집할 수 없고, 건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수용하여 털을 말릴 수 있는 펫 드라이 룸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
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8-0068977호에는 도 1과 같이 애완동물이 수용된 수용공간(1)의 내부 벽면을 따라 온풍이
하향으로 이동한 후, 털을 건조시키면서 상향으로 이동하는 애완동물용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결국 수용공간 내 공기의 흐름 방향 및 세기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애완동물의
자세, 털의 길이에 따른 제어 등이 불가능하여 건조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609559호에는 도 2와 같이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 바닥면(2) 및 측면(3)에서 온풍이 공급
될 수 있는 드라이 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이 개시되어 있다. 바닥면(2)과 측면(3)에서 온풍이 공급
되는 경우 건조효율은 뛰어나지만, 가방의 형태를 구비한 것이어서 대형 애완동물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
고 또한 바닥면(2)을 이루는 벽체가 메쉬망으로 충진되어 있어 공기의 흐름을 약하게 하며 가방 내에서 애완동
물이 배변활동을 하는 경우 바닥벽체 및 가방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672185호에는 도 3과 같이 애완동물의 자세 등을 고려하여 수용공간의 천정면과 측면에서
온풍이 공급되도록 노즐(4)을 배치한 애완동물용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전방 상부 영역에서 가장 많은 온풍
이 공급되고, 후방으로 공기가 흐르는 형태의 유동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애완동물의 머
리가 위치하는 전방 상부 영역이 고온 건조하여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애완동물의 호흡기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애완동물의 측면 및 후면을 통해
수용공간 내로 공기를 토출한 후 천정면 전방측에서 공기를 수용실 밖으로 배출하도록 함에 따라 애완동물의 털
을 일으켜 세우며 건조시켜 건조효율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닥면에서 온풍을 분사하도록 하여 애완동물이 앉거나 엎드린 자세에서도 배나 엉덩이 부분이 잘 건조되
도록 하며 바닥면이 젖은 털에서 흘러내리는 물이나 애완동물의 소변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순환 모듈의 고장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주변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청결한 사용분위기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펫 드라이 룸은,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수용공간 내로 공기를 분사하고 순환시키기 위해 모터, 팬, 유로, 노즐 및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기순환 모듈을 구비한 펫 드라이 룸에 있어서,
함체로 이루어진 트레이 본체부와, 트레이 본체부 상측에 장착되며 판재에 다수의 분사공을 구비한 형태의 발판
부와, 상기 발판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수용공간 후면에 형성된 제 1 배출구에 접속되어 상기 트레이 본
체부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트레이 본체부, 발판부 및 접속부가 서로 분리가능한 배변
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를 수용공간 바닥면에 설치하고;
배변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의 분사공 및 수용공간 측면과 후면에 형성된 노즐에서 분사된 공기가 수용공간 천
정면 전방측에 위치한 제 1 흡입구로 흡입되도록 하여 수용공간 내의 공기가 전방 상측으로 흐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순환 모듈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제 2 흡입구는 펫 드라이 룸 외면 상측에 위치되며, 수용공간 내의 공기
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출구는 도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2 흡입구 및 제 2 배출구는 교체 또는 세척가능한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의 노즐은 도어 쪽을 향한 애완동물의 형상에 따라 배치하고, 측면과 후면의 노즐은 수용공간을 이루는 측
면 벽체 및 후면 벽체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애완동물의 털의 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동을 일으키며 건조시킴에 따라 건조효율이 높아
지며 건조 후 애완동물의 용태가 미려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닥면에서 온풍을 분사할 수 있어
애완동물이 앉거나 엎드린 자세에서도 배나 엉덩이 부분이 잘 건조될 뿐 만 아니라, 건조시간 동안 수용공간 내
에서 애완동물이 배변활동을 하더라도 수용공간 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 및 배출구의 필터에 의해 애완동물의 털 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어 공기순환
모듈의 고장을 방지하는 한편, 주변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5는 본 발명 일 실시예 펫 드라이 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 배변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를 나타낸 도.
도 7은 측면 노즐의 배치를 나타낸 도.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의 공기 순환 형태를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5는 본 발명 일 실시예 펫 드라이 룸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펫 드라이 룸은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
간(1)을 밀폐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도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 전면 상부에는 수용공간(1) 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흡입구(42)와 수용공간(1) 내로 공급될 공기의 양, 온도, 시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패널(11)이 구비되어 있다.
수용공간(1)은 바닥면(2), 측면(3), 후면(5), 천정면(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측면(3)과 후
면(5)에는 수용공간 내로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4)이 배치되어 있으며, 천정면(6)의 전방부에는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 1 흡입구(41)가 배치되어 있다. 바닥면(2)에는 배변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30)가 장착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변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30)는 트레이 본체부(31)와, 애완동물이 올라서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 본체부(31) 상측에 장착되는 다수의 분사공(34)을 구비한 발판부(32), 상기 발판부(32)보다 상측
에 배치되며 수용공간 후면(5)의 제 1 배출구(51)와 접속하여 트레이 본체부(3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접속
부(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접속부(33)로 유입되는 공기는 트레이 본체부(31)를 통과한 후 발판부(32)의 분사공
(34)을 통하여 수용공간(1) 내로 분사된다.
트레이 본체부(31)는 수용공간(1) 내의 애완동물의 젖은 털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나 소변을 담을 수 있도록 함
체로 이루어져 있다. 발판부(32)와 접속부(33)는 트레이 본체부(31)에 끼워지는 형태 등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
립되는 것이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접속부(33)는 발판부(32)보다 상측에 배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트레이 본체
부(31)의 물이나 소변이 제 1 배출구(51)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수용공간(1) 내에 애완동물을 수용하게 되면, 애완동물은 그 특성상 투명 창(21)이 구비된 도어(20)를 향해 앉
거나 서 있게 된다.
도 7과 같이 측면(3)의 노즐(4)은 도어(20) 쪽을 향한 애완동물의 형상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측면을 전방
부와 후방부로 나누었을 때, 전방부의 송풍량이 후방부의 송풍량보다 많게 노즐을 배치하고, 후방부의 상부측보
다 하부측에서 송풍량이 많게 노즐을 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노즐의 배치에 따라 애완동물의 몸통으로 공기
를 분사할 수 있게 되므로, 건조 및 세정 효과가 높아지고 필요없는 부분의 노즐을 폐쇄하거나 조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측면(3)과 노즐(4)을 단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공기순환 모듈에 의해 펫 드라이 룸에 형성되는 유동을 도시한 것이다.(측면 노즐에 의한 유동은 도시하
지 않음).
모터(61)와 팬(62)은 수용공간(1)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용공간(1) 내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흡입하는 유동을 발
생시키게 되고, 히터(63)는 수용공간(1)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유로는 수용공간을
이루는 벽체와 펫 드라이 룸의 외벽을 이루는 벽체 사이로 형성되며, 노즐(4)은 수용공간(1)의 측면(3)과 후면
(5)에 각각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배변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30)의 분사공(34) 및 상기 노즐(4)을 통하여
수용공간(1) 내로 공기가 분사된다.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말릴 경우에는 열풍이 공급되어야 하지만, 먼지나 이물질을 털기 위한 경우에는 공기를
굳이 가열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펫 드라이 룸의 외면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구(42) 및 수용공간(1)의 천정면(6) 전방
측에서 배치되어 수용공간(1) 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구(41)로 흡입된 공기는 모터(61)와 팬(62)에 의
해 유로를 따라 이동된 뒤, 측면(3)과 후면(5)의 노즐(4)과 배변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30)의 분사공(34)를
통해 수용공간(1) 내로 분사된다. 노즐(4)과 분사공(34)을 통해 분사된 공기는 애완동물의 털을 말리고 난 후
수용공간(1)의 천정면(6) 전방측에서 배치된 제 1 흡입구(41)로 유입된다.
수용공간(1) 내의 이러한 공기 유동, 즉 후방에서 전방으로, 그리고 하방에서 상방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동은,
전방의 도어를 향하고 있는 애완동물의 털의 결 방향과 역방향의 흐름이어서 털 깊숙이 열풍이 공급될 수 있고
효과적인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방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애완동물의 두부 쪽을 흐르는 공기는 애완동
물의 몸통을 따라 제습된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호흡기를 건조하게 하지도 않게 되는 것이다.
수용공간(1) 내를 흐르는 공기 중 일부는 도어(20)의 하단에 마련된 제 2 배출구(52)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외부 공기의 유입 또는 외부로의 공기 배출은 필요에 따라 차단할 수 도 있는데, 이는 제 2 흡입구(42) 및/또는
제 2 배출구(52)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로부터 펫 드라이 룸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수용공간(1) 내의 털이나 이물질이 모터나 팬, 또는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2 흡입구(41,42) 및 제 2 배출구(52)에는 교체할 수 있거나 세척
가능한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공기가 공급되는 제 2 흡입구(42)에는 아로마 향이나 산소를 발생시키는 카
트리지(도시하지 않음)를 더 설치하게 되면, 폐쇄된 수용공간 내의 애완동물이 보다 안정감을 얻을 수 있게 된
다.
또한, 수용공간(1) 내에는 LED조명을 설치하여 애완동물을 보다 잘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면 애완동물의 피부내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모발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1: 수용공간 2: 바닥면 3 : 측면 4 : 노즐 5 : 후면 6: 천정면
10 : 본체 11 : 제어 패널
20 : 도어 21 : 투명 창 22: 록킹부 23 : 패킹부
30 : 배변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 31 : 트레이 본체부 32 : 발판부
33 : 접속부 34 : 분사공
41 : 제 1 흡입구 42 : 제 2 흡입구
51 : 제 1 배출구 52 : 제 2 배출구
60 : 공기순환 모듈 61 : 모터 62 : 팬 63 : 히터

Claims (4)

  1.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수용공간 내로 공기를 분사하고 순환시키기 위해 모터, 팬, 유로, 노즐 및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기순환 모듈을 구비한 펫 드라이 룸에 있어서,

    함체로 이루어진 트레이 본체부와, 트레이 본체부 상측에 장착되며 판재에 다수의 분사공을 구비한 형태의 발판
    부와, 상기 발판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수용공간 후면에 형성된 제 1 배출구에 접속되어 상기 트레이 본
    체부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트레이 본체부, 발판부 및 접속부가 서로 분리가능한 배변
    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를 수용공간 바닥면에 설치하고;

    배변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의 분사공 및 수용공간 측면과 후면에 형성된 노즐에서 분사된 공기가 수용공간 천
    정면 전방측에 위치한 제 1 흡입구로 흡입되도록 하여 수용공간 내의 공기가 전방 상측으로 흐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순환 모듈에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제 2 흡입구는 펫 드라이 룸 외면 상측에 위치되며,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출구는 도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2 흡입구 및 제 2 배출구는 교체 또는 세척가능한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4. 제 1 항에 있어서, 측면의 노즐은 도어 쪽을 향한 애완동물의 형상에 따라 배치하고, 측면과 후면의 노즐은 수
    용공간을 이루는 측면 벽체 및 후면 벽체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드라이 룸.
KR1020210122315A 2021-09-14 2021-09-14 반려동물을 위한 펫드라이룸 KR20230039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15A KR20230039250A (ko) 2021-09-14 2021-09-14 반려동물을 위한 펫드라이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15A KR20230039250A (ko) 2021-09-14 2021-09-14 반려동물을 위한 펫드라이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250A true KR20230039250A (ko) 2023-03-21

Family

ID=8580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315A KR20230039250A (ko) 2021-09-14 2021-09-14 반려동물을 위한 펫드라이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2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26200B (zh) 宠物烘干室及用于其的托盘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KR101680824B1 (ko) 펫 드라이 룸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JP7004278B2 (ja) ペット乾燥装置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1595382B1 (ko) 펫 드라이 룸
KR102063213B1 (ko) 다기능 펫 드라이룸
KR102354338B1 (ko)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KR20230039250A (ko) 반려동물을 위한 펫드라이룸
GB2144317A (en) Drying animals and collecting hair
KR200398311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0437871Y1 (ko) 애완동물 건조기
KR20180067773A (ko) 애완동물을 위한 이동식 드라이룸
KR102293912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CN114623555B (zh)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KR20210002783U (ko) 반려동물 드라이 하우스
KR20080029143A (ko) 핸드 드라이어
KR200331705Y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2554818B1 (ko)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JPH11206259A (ja) ペットの洗浄および乾燥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する装置
KR102239047B1 (ko)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200340451Y1 (ko) 애완동물용 통건조기
KR102331916B1 (ko) 애완동물 관리용 하우스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