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115A - 휴대용 쑥뜸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쑥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115A
KR20230039115A KR1020210122025A KR20210122025A KR20230039115A KR 20230039115 A KR20230039115 A KR 20230039115A KR 1020210122025 A KR1020210122025 A KR 1020210122025A KR 20210122025 A KR20210122025 A KR 20210122025A KR 20230039115 A KR20230039115 A KR 20230039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a
moxibustion
power
portabl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679B1 (ko
Inventor
한성산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씨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씨티씨 filed Critical (주)코리아씨티씨
Priority to KR1020210122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6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면서 편리하게 쑥뜸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슬림화된 구조로 인하여 착용이 편리하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는 내부에 발열유닛(110)이 구비되고, 일면에 수용공(120)이 관통 형성되는 발열기(100); 상기 발열기(100)에 탈부착되며, 중앙에 뜸쑥(220)이 부착되어 있는 쑥뜸 패드(200); 및 상기 발열기(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발열기(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쑥뜸기{Portable mugwort moxibus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면서 편리하게 쑥뜸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슬림화된 구조로 인하여 착용이 편리하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의 침구치료에서는 경혈을 자극하기 위한 수단으로 침이나 뜸을 이용하고 있다. 뜸은 침에 비하여 일반인들에 의한 시술이 비교적 간편하고 부작용이 없어 널리 시술되고 있으며, 가정에서도 건강관리를 위해 뜸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한방에서 뜸이라 함은 인체의 경혈, 경락, 통증부위에 열을 가해 자극함으로써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할 있도록 한 것으로,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약쑥을 이용하는 쑥뜸 시술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약쑥을 이용한 쑥뜸법은 쑥을 일정한 크기로 말아서 형태를 갖추게 하여 쑥뜸구를 형성시키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다량의 쑥뜸구를 경혈부위에 맞추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시키고, 쑥에 불을 붙여 타들어가게 한다. 쑥이 연소되면서 열을 환부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환부는 상기 쑥으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약효성분에 의해 서서히 치료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쑥뜸법은 쑥뜸 치료 도중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아예 활동을 중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내부에는 배터리와 제어회로부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가 돌출 형성되며, 외부면에는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발열부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발열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하단 일지점으로 집중시키며,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깔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깔때기부의 외측에는 뜸액이 상기 가이드홈을 타고 흐르면서 기화되도록 뜸액을 주입하기 위한 뜸액주입관로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깔때기부를 둘러싸서 간접온열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깔때기부의 하단을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피부접촉부가 구비되는 하부베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뜸 치료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뜸액이 액화상태 및 기화방식의 습식 접촉을 통해 피부 내로 침투되어 약리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사용 시 뜸액을 주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뜸액의 성분이 충분히 훈증이 되지 않거나 치료 부위에 미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뜸액을 주입하거나 혹은 치료 부위에 착용한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뜸액이 누출되어 제어회로 측으로 유입되면서 제어회로에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저면에 중공을 갖는 패드 부착구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패드 부착구에 부착된 쑥뜸 패드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모드를 선정하게 되는 조작스위치; 및 상기 패드 부착구의 저면에 탈부착되며, 중앙에 뜸쑥이 부착되어 있는 쑥뜸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쑥뜸 패드가 부착되는 본체에 배터리가 내장되는 구조로 인하여 전체 외관이 비대해지면서 중량 및 부피가 커져 착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착용한 옷 밖으로 노출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다. 또한,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 일정 시간동안만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신체의 여러 부위를 동시에 쑥뜸 치료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911호(2014.07.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0188호(2020.04.14.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열기의 저면에 쑥뜸 패드를 부착한 상태에서 신체의 치료 부위에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면서 지속적으로 쑥뜸 치료를 할 수 있는 휴대용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전체 외관이 슬림화된 구조로 인하여 중량 및 부피가 작아져 착용이 편리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경우 사용자가 착용한 옷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휴대용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컨트롤러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이 모두 방전되더라도 보조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기존 내장 배터리에 구애받지 않고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쑥뜸 치료를 이어갈 수 있는 휴대용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컨트롤러에 복수로 구비된 접속단자에 복수의 발열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의 여러 부위를 동시에 쑥뜸 치료를 할 수 있는 휴대용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는 내부에 발열유닛(110)이 구비되고, 일면에 수용공(120)이 관통 형성되는 발열기(100); 상기 발열기(100)에 탈부착되며, 중앙에 뜸쑥(220)이 부착되어 있는 쑥뜸 패드(200); 및 상기 발열기(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발열기(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유닛(110)은, 일면에 하나 이상의 발열소자가 실장되고, 케이블(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11);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에 실장된 발열소자에서 방출되는 열을 쑥뜸 패드(200)에 전달하는 방열판(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11)과 방열판(112) 사이에는 방열판(112)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커버(1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쑥뜸 패드(200)는, 저면에 피부와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제층(211)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층(211)의 일측 테두리에 제1 박리지(212)가 부착되는 외피(210); 상기 접착제층(211)에 부착되며, 중앙에 배치된 약쑥가루 덩어리 형태의 뜸쑥(220)을 고정시키는 뜸쑥 고정부(230); 상기 뜸쑥 고정부(230)를 커버하는 부직포 재질의 뜸쑥 커버(240); 상기 외피(210)의 접착제층(211)에 부착되어 접착제층(211)을 보호하는 제2 박리지(250); 및 상기 외피(2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뜸쑥 고정부(2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양면테이프(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00)는, 내부에 부품들이 구비되고, 일면에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311)가 구비되는 케이스(310);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20); 상기 케이스(3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320)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330); 상기 배터리(320)의 전원을 제어하고, 일면에 전원스위치(311)와 접점되는 접점부가 구비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340); 상기 배터리(320)의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350); 상기 전원스위치(311)의 누름 동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발열기(100)의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조절부(360); 및 상기 전원스위치(311)의 조작에 따라 LED(35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원스위치(311)의 조작 횟수에 따라 3가지의 온도조절모드를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면서 온도조절부(360)를 제어하며, 전원스위치(311)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단자(330)는 USB 포트와 미니 USB 포트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기(100)에 연결된 케이블(400)의 일단에는 커넥터(410)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300)에는 상기 커넥터(410)가 연결되도록 복수의 접속단자(3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는 신체의 치료 부위에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면서 쑥뜸 치료를 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뛰어나고, 치료의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쑥뜸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 외관이 슬림화된 구조로 인하여 중량 및 부피가 작아져 착용이 편리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경우 사용자가 착용한 옷 밖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 보기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기존 내장 배터리에 구애받지 않고,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쑥뜸 치료를 이어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발열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의 여러 부위를 동시에 쑥뜸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쑥뜸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쑥뜸 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쑥뜸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면서 편리하게 쑥뜸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슬림화된 구조로 인하여 착용이 편리하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발열기(100), 쑥뜸 패드(200) 및 컨트롤러(30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기(100)는 내부에 발열유닛(110)이 구비되고, 일면에 수용공(12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발열기(100)는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열기(100)의 내부에는 발열유닛(110)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뜸쑥(2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1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열기(100)의 일측에는 케이블(400)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400)은 일단이 컨트롤러(300)의 메인 인쇄회로기판(340)에 연결되고, 타단이 발열기(100)의 인쇄회로기판(111)에 연결된다.
상기 수용공(120)은 뜸숙(220)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뜸쑥(22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거나 이보다 좀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기(100)는 두께가 대략 1~1.5㎝ 정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발열기(100)는 내부에 발열유닛(110)만 수용되기 때문에 전체 외관이 슬림화된 구조로 인하여 중량 및 부피가 작아져 착용이 편리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경우 사용자가 착용한 옷 밖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 보기에도 좋다.
상기 발열기(10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열기(100)의 내부에는 발열유닛(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유닛(110)은 발열기(100)의 저면에 부착된 쑥뜸 패드(200)에 열을 전달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111)과 방열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1)과 방열판(11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은 일면에 하나 이상의 발열소자가 실장되고, 케이블(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에는 여러 가지 발열소자가 실장되는데, 그 중에는 작동 중 발열이 심하게 일어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냉각이 필요한 소자도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112)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에 실장된 발열소자에서 방출되는 열을 쑥뜸 패드(200)에 전달한다.
상기 방열판(112)은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라믹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판(112)은 인쇄회로기판(111)에 실장된 발열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열함으로써, 방열판(112)의 상부에 근접 위치한 뜸쑥(220)에 열을 공급하여 뜸쑥(220)을 연소시킨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111)과 방열판(112) 사이에는 방열판(112)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커버(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113)는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인쇄회로기판(111)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인쇄회로기판(111)보다 큰 형상으로 이루어져 인쇄회로기판(111)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쑥뜸 패드(200)는 상기 발열기(100)에 탈부착되며, 중앙에 뜸쑥(220)이 부착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쑥뜸 패드(200)는 외피(210), 제1 박리지(212), 뜸쑥(220), 뜸쑥 고정부(230), 뜸쑥 커버(240), 제2 박리지(250 및 양면테이프(260)를 포함한다.
상기 외피(210)는 저면에 피부와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제층(211)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층(211)의 일측 테두리에 제1 박리지(212)가 부착된다. 이러한 외피(210)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뜸쑥(220)은 약쑥가루를 덩어리 형태로 만든 것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뜸쑥 고정부(230)는 상기 접착제층(211)에 부착되며, 중앙에 배치된 약쑥가루 덩어리 형태의 뜸쑥(220)을 고정시킨다.
상기 뜸쑥 고정부(230)에는 상기 발열기(100)의 수용공(120)에 대응되는 관통공(2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31)에는 뜸쑥(220)이 고정된다.
상기 뜸쑥 고정부(230)는 스펀지, 실리콘, 고무, 기타 합성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뜸쑥 고정부(230)는 뜸쑥(220)을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휴대용 쑥뜸기를 사용자의 치료 부위에 부착한 경우, 휴대용 쑥뜸기를 사용자 피부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이동 중에 발생하는 흔들림에도 휴대용 쑥뜸기의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뜸쑥 커버(240)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뜸쑥 고정부(230)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박리지(250)는 상기 외피(210)의 접착제층(211)에 부착되어 접착제층(211)을 보호한다.
상기 양면테이프(260)는 상기 외피(2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뜸쑥 고정부(2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양면테이프(260)의 상면에는 양면테이프의 접착층을 보호하도록 박리지가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쑥뜸 패드(200)는 발열기(100)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먼저, 포장지에 담겨진 쑥뜸 패드(200)를 꺼낸 후, 양면테이프(260)에 부착되어 있는 박리지를 벗겨낸다. 이후, 양면테이프(260)의 접착면을 발열기(100)의 저면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외피(210)의 접착제층(211)에 부착되어 있는 제2 박리지(250)를 벗겨낸 후, 외피(210)를 사용자의 신체 치료 부위에 부착한다.
이러한 쑥뜸 패드(200)는 한번 사용하고 난 후 재사용하지 않는 일회용 제품으로서, 별도의 포장지를 이용하여 포장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발열기(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발열기(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으로, 케이스(310), 배터리(320), 충전단자(330), 메인 인쇄회로기판(340), LED(350), 온도조절부(36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37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10)는 내부에 부품들이 구비되고, 일면에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311)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311)는 상기 케이스(310)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부(312)에 의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배터리(32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한다.
상기 케이스(31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10)의 일측에는 충전단자(330)와 연통되도록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케이블(400)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메인 인쇄회로기판(340) 등 컨트롤러(300) 관련 부품들이 구비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케이스(310)의 일면에는 사용자의 옷 등에 컨트롤러(3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클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20)는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320)는 일회용 배터리 혹은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충전 배터리가 적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충전 배터리가 적용되는 것이 좋다. 충전 배터리가 적용된 경우 충전단자(330)를 통해 어댑터를 연결하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330)는 상기 케이스(3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320)를 충전시킨다.
상기 충전단자(330)는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320)의 전기에너지가 모두 소모되었을 때 외부 기기의 커넥터를 연결시켜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배터리(32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340)은 상기 배터리(320)의 전원을 제어하고, 일면에 전원스위치(311)와 접점되는 접점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전원스위치(311)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인 인쇄회로기판(340)의 접점부에 전기 전원을 통전시킨다.
상기 LED(350)는 상기 배터리(320)의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즉, 상기 LED(350)는 전원스위치(311)에 의해 3초간 누름 시 점등되어 배터리(320)의 전원 인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360)는 상기 전원스위치(311)의 누름 동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발열기(100)의 온도로 조절한다.
이러한 온도조절부(360)는 발열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70)는 상기 전원스위치(311)의 조작에 따라 LED(3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70)는 전원스위치(311)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가 입력된 후, 누름 동작에 의한 작동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점등 신호를 출력하고, 점등 신호 출력 후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소등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70)는 전원스위치(311)의 조작 횟수에 따라 3가지의 온도조절모드를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면서 온도조절부(36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70)는 전원스위치(311)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전원을 오프(off)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단자(330)는 USB 포트와 미니 USB 포트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을 갖는 충전단자(330)에 보조배터리가 연결될 경우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기반으로 컨트롤러(300)에 전원을 공급해줌으로써, 컨트롤러(3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이 모두 방전되더라도 보조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기존 내장 배터리에 구애받지 않고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쑥뜸 치료를 이어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기(100)에 연결된 케이블(400)의 일단에는 커넥터(410)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300)에는 상기 커넥터(410)가 연결되도록 복수의 접속단자(38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300)에 복수로 구비된 접속단자(380)에 복수의 발열기(1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의 여러 부위를 동시에 쑥뜸 치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의 일측에는 내부에 케이블(400)이 권취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작에 따른 회전 방향에 따라 케이블(400)을 감거나 풀어 케이블(4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다이얼(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다이얼(500)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권취릴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400)의 길이 조절을 편리하게 한다. 여기서, 권취롤은 일반적인 케이블 또는 와이어의 권취에 널리 이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착용이 용이한 경박단소한 구조이면서 작동의 편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발열기(100)와 컨트롤러(300)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400)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당한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400)이 상당한 길이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적절한 길이로 사용이 불가능하고, 항상 케이블(400)이 늘어진 상태로 사용됨에 따라 케이블(400)이 엉킴이나 꼬임이 발생되는 등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절다이얼(500)을 통해 케이블(400)을 감거나 풀려지도록 하여 휴대용 쑥뜸기의 사용 시 케이블(400)의 엉킴이나 꼬임 및 늘어짐을 방지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발열기 110 : 발열유닛
111 : 인쇄회로기판 112 : 방열판
113 : 단열커버 120 : 수용공
200 : 쑥뜸 패드 210 : 외피
211 : 접착제층 212 : 제1 박리지
220 : 뜸쑥 230 : 뜸쑥 고정부
231 : 관통공 240 : 뜸쑥 커버
250 : 제2 박리지 260 : 양면테이프
300 : 컨트롤러 310 : 케이스
311 : 전원스위치 312 : 절개부
320 : 배터리 330 : 충전단자
340 : 메인 인쇄회로기판 350 : LED
360 : 온도조절부 370 : 마이크로프로세서
380 : 접속단자 400 : 케이블
410 : 커넥터 500 : 조절다이얼

Claims (7)

  1. 내부에 발열유닛(110)이 구비되고, 일면에 수용공(120)이 관통 형성되는 발열기(100);
    상기 발열기(100)에 탈부착되며, 중앙에 뜸쑥(220)이 부착되어 있는 쑥뜸 패드(200); 및
    상기 발열기(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발열기(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유닛(110)은, 일면에 하나 이상의 발열소자가 실장되고, 케이블(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11);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1)에 실장된 발열소자에서 방출되는 열을 쑥뜸 패드(200)에 전달하는 방열판(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11)과 방열판(112) 사이에는 방열판(112)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커버(1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쑥뜸 패드(200)는, 저면에 피부와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제층(211)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층(211)의 일측 테두리에 제1 박리지(212)가 부착되는 외피(210);
    상기 접착제층(211)에 부착되며, 중앙에 배치된 약쑥가루 덩어리 형태의 뜸쑥(220)을 고정시키는 뜸쑥 고정부(230);
    상기 뜸쑥 고정부(230)를 커버하는 부직포 재질의 뜸쑥 커버(240);
    상기 외피(210)의 접착제층(211)에 부착되어 접착제층(211)을 보호하는 제2 박리지(250); 및
    상기 외피(2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뜸쑥 고정부(2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양면테이프(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내부에 부품들이 구비되고, 일면에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311)가 구비되는 케이스(310);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20);
    상기 케이스(3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320)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330);
    상기 배터리(320)의 전원을 제어하고, 일면에 전원스위치(311)와 접점되는 접점부가 구비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340);
    상기 배터리(320)의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350);
    상기 전원스위치(311)의 누름 동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발열기(100)의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조절부(360); 및
    상기 전원스위치(311)의 조작에 따라 LED(35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원스위치(311)의 조작 횟수에 따라 3가지의 온도조절모드를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면서 온도조절부(360)를 제어하며, 전원스위치(311)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330)는 USB 포트와 미니 USB 포트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기(100)에 연결된 케이블(400)의 일단에는 커넥터(410)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300)에는 상기 커넥터(410)가 연결되도록 복수의 접속단자(3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KR1020210122025A 2021-09-13 2021-09-13 휴대용 쑥뜸기 KR10252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025A KR102524679B1 (ko) 2021-09-13 2021-09-13 휴대용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025A KR102524679B1 (ko) 2021-09-13 2021-09-13 휴대용 쑥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115A true KR20230039115A (ko) 2023-03-21
KR102524679B1 KR102524679B1 (ko) 2023-04-21

Family

ID=8580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025A KR102524679B1 (ko) 2021-09-13 2021-09-13 휴대용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6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904Y1 (ko) * 2005-01-25 2005-09-07 윤용지 전자 뜸
KR101408911B1 (ko) 2013-01-24 2014-07-04 소셜테크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뜸 치료기
KR102100188B1 (ko) 2019-11-18 2020-04-14 (주)코리아씨티씨 휴대용 쑥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904Y1 (ko) * 2005-01-25 2005-09-07 윤용지 전자 뜸
KR101408911B1 (ko) 2013-01-24 2014-07-04 소셜테크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뜸 치료기
KR102100188B1 (ko) 2019-11-18 2020-04-14 (주)코리아씨티씨 휴대용 쑥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679B1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6164A (en) Heating device for heating a skin surface on partial areas of the human body
KR20180021088A (ko) 광 요법 밴드 시스템
CN107536669B (zh) 一种基于液态金属的穿戴理疗仪
KR102100188B1 (ko) 휴대용 쑥뜸기
JP2006006945A (ja) 低周波発生手段の装着されたスリッパ
CN214632970U (zh) 温针加热系统
KR20110012995A (ko) 휴대용 자기 치료기
KR20160000788U (ko) 접이식의 가변형 탈모방지 복합 기능 물리 치료기
KR101470377B1 (ko) 고주파 마사지 장치
KR102524679B1 (ko) 휴대용 쑥뜸기
JP2008178523A (ja) 超短波治療器
US9205254B1 (en) Facial muscle toner system
KR20010035342A (ko)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KR200417052Y1 (ko) 휴대용 전위치료기
KR20120029969A (ko) 휴대용 저주파 마사지기
KR20110018019A (ko) 광 및 열을 병용하는 휴대용 피부 질환 치료기
KR101718371B1 (ko) 휴대 가능한 전자온열 뜸기
KR100645978B1 (ko) 저주파 온열 치료기
KR102140663B1 (ko) 저주파 자극밴드
KR200389849Y1 (ko) 휴대용 피부 측정 및 적응형 피부 복합 자극기
KR200489895Y1 (ko) 재활치료용 레이저 침치료기
KR200247782Y1 (ko) 뜸질용 벨트
KR20040023866A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0353619Y1 (ko) 온열치료기가 부설된 매트
KR200397466Y1 (ko) 요통 치료용 요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