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640A -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640A
KR20230038640A KR1020227036265A KR20227036265A KR20230038640A KR 20230038640 A KR20230038640 A KR 20230038640A KR 1020227036265 A KR1020227036265 A KR 1020227036265A KR 20227036265 A KR20227036265 A KR 20227036265A KR 20230038640 A KR20230038640 A KR 20230038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sponge
article
polyurethane
poly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셉 브이. 퀘베도
Original Assignee
퀘벤티브,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퀘벤티브, 엘엘씨 filed Critical 퀘벤티브,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3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80Dental aids fixed to teeth during treatment, e.g. tooth clamps
    • A61C5/88W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를 2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과 조합함으로써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이 제조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방법
우선권
이 특허 출원은 2020 년 3 월 20 일에 제출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62/992,177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이 특허 출원은 또한 2020 년 3 월 5 일에 출원된 미국 일련 번호 제62/985,731호 및 2020 년 3 월 20 일에 출원된 제62/992,177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PCT/US21/21258호의 일부에서 계속된다.
위의 3 개의 우선권 특허 출원 모두가 참조로 원용된다.
우식 치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결손된 치아, 또는 고통스럽거나, 보기 흉하거나, 부적합한 치아를 각자 교체 및 수복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및 근관 수복 수술은 환자의 치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과 의사가 제공하는 치과적 수술 옵션이다. 면 및 거즈는 골유착 후 설치된 임플란트에 지대주 및 크라운을 후속적으로 커플링하는 방식을 보존하고 후속 검진 또는 절차에서 커플링 구성요소 또는 와동 또는 관 경로에 대한 재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페이서 재료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면 및 거즈는 특히 체액에 침지되었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끈적거리고 흐트러질 수 있으며, 산재해 있는 면 섬유는 미생물에게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 체액에 침지되고 구강 변동을 겪는 경우에도 충분한 다공성 및 오토클레이브성을 나타내고 구조적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안적인 스페이서 물품 및 재료를 갖는 것이 요망된다.
치은 수축은 변연 치은이 치아로부터 멀어지는 편향을 포함한다. 기계적, 화학-기계적, 무선 및 외과적 수축 기술에는 다중 다양성이 존재한다. 수축 코드, 화학 시약, 전기수술, 레이저 조직 스컬프팅 및 지혈 재료는 치은 조직의 비외상 변위를 원할 때 종종 사용된다. 이 중, 치은 수축 코드는 종종 화학 용액, 수렴성 젤 또는 지혈제, 예컨대, 알루미늄 클로라이드와 조합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치은 퇴축을 유발할 수 있고 상피 조직 및 기저 결합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다.
치은 전기수술은 치은구 구 형성술(troughing)에 사용될 수 있지만, 장기간 손상을 유발할 유의한 위험이 있다.
수축 페이스트는 환자가 보고한 편안함, 빠른 기술, 사용의 용이성, 마취가 필요 없음 및 감소된 조직 외상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수축 페이스트는 더 깊은 임플란트의 더 깊은 치은연하 부위에서 덜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주사가능한 재료는 치은 수축을 제공하는 확장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축 페이스트와 마찬가지로, 주사가능한 매트릭스는 더 깊은 임플란트와 관련된 절차에서 덜 효과적인 수축 성능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
250℉에서 오토클레이브 가능할 수 있고 폴리우레탄의 다공성 이상의 다공성을 가질 수 있는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이 제공된다. 치과용 물품은 구강 수술 동안 치은 피판을 수축시키기 위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는 세장형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는 원통형, 타원형, 관형, 쐐기형, 각기둥, 난형, 삼중난형(triovoid), 달걀 또는 배 형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는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메틸펜텐 (PMP), 폴리옥시메틸렌 (POM), 폴리아릴에테르케톤 (PAE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부분 망상 폴리에테르 유형 폴리우레탄, 폴리에틸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발포체, 반응성 수지 발포체, 폴리우레탄 발포체, 반응 사출 성형 플라스틱 발포체, 연질 발포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운모-입자 폴리우레탄, 수지-입자 폴리우레탄, 수지-블렌딩된 폴리우레탄, 다공성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블렌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는 하나 이상의 특징적인 재료 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첨가제와 블렌딩된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실리콘 오일, 실리콘 계면활성제, 폴리에테르, 폴리에틸 또는 몰리브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4-BDO 또는 BDO), 1,6-헥산디올, 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또는 하이드로퀴논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에테르 (HQE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하나 이상의 이기능적, 삼기능적 또는 사기능적 하이드록실 화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이기능적 아민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HQEE,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또는 페닐디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기능적 하이드록실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1,2,6-헥산트리올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삼기능적 하이드록실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펜타에리트리톨, N,N,N',N'-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프로필) 또는 에틸렌디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기능적 하이드록실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디에틸톨루엔디아민 또는 디메틸티오톨루엔디아민,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기능적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민 및 사이클릭 카보네이트를 식물성 오일, 이합체 지방산 또는 지방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올과 조합함으로써 형성된 지속가능한 녹색 폴리하이드록스우레탄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이 또한 제공된다.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를 2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폴리올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타디엔, 폴리설파이드, 피마자유, 대두유, 목화씨유, 님씨유, 식물성 오일,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수용액,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분산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우레아 (PHD) 중합체 고체를 폴리에테르 백본에 화학적으로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는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1-이소시아네이토-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또는 4,4-디이소시아네이토 디사이클로헥실메탄 (H12MDI 또는 수소화된 MDI),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용 스페이서 물품이 또한 제공된다. 이 치과용 물품은 250℉에서 오토클레이브 가능하고 폴리우레탄의 다공성 이상의 다공성을 갖는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물품은 골유착 기간 동안 치과용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커플링하기 위해 치과용 임플란트 초과의 부피를 보존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구성될 수 있다.
중합체성 스펀지는 테이퍼드 단부에 대향하는 기저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스펀지는 2:1 이상의 테이퍼드 단부 대 기저 단부 중량 밀도 비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스펀지는 원추형 또는 절두된 원추형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중합체성 스펀지는 피라미드 또는 절두된 피라미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근관 스페이서 물품은 충전재가 영구 충전재로 공동 부피를 채울 준비가 될 때까지 준비된 치아 공동 부피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스펀지는 흡수된, 부착된 또는 봉입된 의약 투여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스펀지는 테이퍼드 단부에 대향하는 기저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스펀지는 2:1 이상의 테이퍼드 단부 대 기저 단부 중량 밀도 비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스펀지는 원추형 또는 절두된 원추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스펀지는 피라미드 또는 절두된 피라미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는 구강 수술 동안 수술 장비 및 주변 노출로부터 민감하거나 취약한 입 조직을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강 수술 동안 치은 피판을 수축시키기 위해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치은 절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치과 수술용 수축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치과 수술용 스페이서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방법은 골유착 기간 후에 치과용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커플링하기 위한 간격을 보존하기 위해 매립된 치과용 임플란트 옆 공간에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과 수술용 보호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방법은 구강 수술 동안 수술 장비 충격 및 주변 노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민감하거나 취약한 입 조직에 대해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물품이 또한 제공된다. 치과용 물품은 250℉에서 오토클레이브 가능하고 폴리우레탄의 다공성 이상의 다공성을 갖고 뼈 소켓 리세스에 삽입되어 그 안에 함유된 느슨한 이식 재료를 비접착적으로 접촉하고 압축하도록 구성된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는 폴리우레탄의 다공성 이상의 다공성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는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통해 체액을 흡인함으로써 뼈 소켓 리세스로부터 상기 체액을 제거할 때 압축된 이식 재료의 부피 밀도 무결성을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된 조직 재생 막은 스펀지에 비접착적으로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식 재료를 압축하는 동안 이식 재료 및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막은 골유착 기간 동안 소켓 이식 리세스 내에서 이식 재료 위에 남아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치과용 뼈 소켓 이식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환자의 턱뼈 내에 정의된 뼈 소켓 리세스가 준비된다. 뼈 소켓 리세스를 준비한 후, 뼈 소켓 리세스를 느슨한 이식재료로 채운다. 느슨한 이식재료는 비접착성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그 안의 느슨한 이식재료와 접촉하도록 삽입하고, 스펀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뼈 소켓 리세스 내에서 압축될 수 있다. 비접착성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는 250℉에서 오토클레이브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의 다공성 이상의 다공성을 가질 수 있다.
뼈 소켓 리세스를 준비하는 단계는 치아에 또는 잇몸 조직을 관통하여, 또는 일부 뼈 조직에 또는 이들의 조합에 형상 절단 또는 드릴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뼈 소켓 리세스를 준비하는 단계는 우식 치아, 우식 조직, 과잉 조직, 미생물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잔해,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스펀지를 통해 뼈 소켓 리세스로부터 유체를 흡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구강 수술 동안 특이적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선택된 크기, 형상 및 색상을 갖는 큐브를 예시한다.
도 1b는 선택된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3 개의 큐브를 예시하며, 이는 도 1a에 예시된 것과 같이 더 큰 큐브로부터 임의로 절단될 수 있다.
도 2a-2g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구강 수술 절차 동안 다양한 역할에서 사용하기 위한 큐브의 예를 예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큐브 또는 엔도큐브의 테이퍼드 형상의 예인 쐐기를 예시한다.
도 4a-4f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7 개의 유형의 큐브를 예시한다.
도 5a-5g는 수축을 위한 큐브의 배치, 또는 뼈 이식 부위, 발치 부위 또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기타 구강 수술 부위 주위의 잇몸 조직의 간격, 완충, 붕대법 또는 보호를 위한 부드럽고 무딘 부속물을 갖는 수축 큐브 배치 및 제거 도구의 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6a-6f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임플란트 큐브 및 엔도큐브 배치 및 제거 도구의 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7a-7g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큐브 배치 및 제거 도구를 예시한다.
도 8a-8i는 발치, 치아 부재, 치아 소실 또는 충치 부위에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커플링의 완료로 점진적으로 이어지는 과정의 특정 단계를 사진으로 예시한다.
도 8a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거울에 반사된 절개 부위를 예시하는 사진을 포함한다.
도 8b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수축를 위해 수술용 피판의 밑면에 삽입된 수축 큐브의 사진을 포함한다.
도 8c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라 피판 아래에 추가로 삽입된 큐브의 사진을 포함한다.
도 8d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라 수술용 피판을 수축시키고 밑에 있는 뼈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개부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큐브를 포함하는 사진을 포함한다.
도 8e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라 피판을 수축시키는 가시적 큐브의 사진을 포함한다.
도 8f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임플란트 부위 준비 및 더 나은 가시성을 위해 절골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수축 큐브를 예시하는 사진을 포함한다.
도 8g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라 도 8f의 수축 큐브가 제거된 사진을 포함한다.
도 8h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치은 표면 아래 제자리에 있는 임플란트의 반대쪽 측면으로부터 제거된 큐브의 사진을 포함한다.
도 8i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부위 주위에 봉합되고 폐쇄된 수술용 피판의 사진을 포함한다.
도 9a-9u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근관 구강 수술 수복 절차에서 내부입방체(endocube) 및/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입방체의 사진적 예를 예시한다.
도 10a-10i는 명백하게 적합한 수축 매체로서의 수축 큐브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포함하는 수술 사진을 포함한다.
도 11a-11k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나사-커플링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절차 동안 다중 역할에 유용한 예시적인 수축 단계 및 예시적인 수축 큐브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예시한다.
도 12a-12j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시멘트-커플링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절차 동안 다중 역할에 유용한 예시적인 수축 단계 및 예시적인 수축 큐브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예시한다.
도 13a-13g는 추가의 예시적인 큐브 사용 및 적용 및 예시적인 큐브를 사진으로 예시한다.
도 14a-14t는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수축 큐브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절차를 사진으로 예시한다.
도 15a-15k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커플링하기 위한 뼈 소켓 부위를 준비하기 위한 이식 공정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
도 1a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구강 수술 동안 특이적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선택된 크기, 형상 및 색상을 갖는 큐브를 예시한다.
도 1b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구강 수술 동안 의도된 특이적 용도를 위해 각각이 도 1a에 예시된 것과 같이 더 큰 큐브로부터 선택되고 임의로 절단된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3 개의 큐브를 예시한다. 여러 유형, 형상, 크기 및 구성 각각의 여러 큐브가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예시되고 설명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큐브는 의약용 및 비-의약용 공간 유지장치 및/또는 수축 매체로서 인간 및 동물 치아 및 인간 및 동물 치과용 임플란트에 적용하기 위한 물품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QUBE, Qube 또는 큐브로서 지칭됨). Qube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1) 특이적 다공성 크기를 갖는, 2) 오토클레이브 가능한, 3) 착색될 수 있는, 4) 의약 1.2% 클로로헥시딘을 운반하는 비히클로 사용될 수 있는, 5) 의약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Ca(OH)를 운반하는 비히클로 사용될 수 있는, 6) 의약 포비딘-아이오딘 용액을 운반하는 비히클로 사용될 수 있는, 7) 의약 2% 아이오딘 포타슘 아이오다이드를 운반하는 비히클로 사용될 수 있는, 8) 멸균 식염수를 운반하는 비히클로 사용될 수 있는 합성 스펀지-유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Qube는 치과의사가 영구 복원을 위해 치아에 재-접근할 때 주변 치아 구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관 공간의 미생물 침입으로부터의 장벽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한 접근 공동에서의 근관 치료된 치아를 위한 급작스런(interappointment) 드레싱으로서 적용될 것이다.
Qube는 치과 수술 동안 치은 피판을 위한 수축 매체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Qube는 특이적 형상으로 윤곽이 잡힐 수 있다. Qube는 바륨 설페이트로 함침되어 방사선 사진으로 볼 수 있다. Qube는 비외상 수축을 허용하기 위해 치은 연조직에 삽입되고 압축될 수 있다.
도 2a-2g는 도 2a의 치과용 임플란트 스페이서 큐브, 도 2b의 이식 큐브, 도 2c에서와 같이 엑소 소켓 의약용 큐브 및 도 2d-2g의 테이퍼드 엔도Qube를 포함하여 구강 수술 절차 동안 다양한 역할에 사용하기 위한 큐브의 예를 예시한다.
도 2a-2c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임플란트 입방체, 이식 큐브 및 엔도-소켓 의약용 큐브를 포함하는 3 개의 상이한 큐브 유형 각각의 다중 예를 예시한다.
도 2d-2g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테이퍼드 엔도 큐브를 포함하여 제4 큐브 유형의 다중 예를 예시한다.
도 3의 쐐기형 큐브의 테이퍼드 형상은 임플란트의 골유착 지속기간 동안 지대주 구성요소와의 커플링을 위해 확보된 치과용 임플란트 공간 또는 크라운 구성요소와의 커플링을 위해 확보된 지대주 공간으로의 삽입에 유리하다. 도 3의 쐐기는 4 개의 긴 면 및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밑면을 가지고 있다. 2 개의 긴 면은 평행하고/하거나, 테이퍼드이고/이거나 삼각형-형상이며, 다른 2 개의 면은 직사각형이고 테이퍼드 단부에서 예각을 형성한다.
직사각형의 긴 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또한 테이퍼드되거나, 삼각형-형상일 수 있으며, 피라미드형 큐브 또는 사면체 큐브 또는 절두된 피라미드 또는 절두된 사면체 또는 원뿔-형상의 4 면 또는 5 면 피라미드 또는 오각형 원뿔, 오각형 피라미드, 절두된 원뿔, 반 타원체 또는 부분 타원체 또는 절두된 타원체일 수 있다. 정사각형 상자, 입방체 또는 다면체의 긴 면 중 하나 이상은 하나의 단부에서 테이퍼드되거나 공간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임플란트 큐브는 테이퍼드 단부에서 더 조밀하게 가중될 수 있으며, 이는 한 지점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거나, 둥글게 될 수 있거나, 테이퍼드 단부의 평면이 작고 큰 직경의 원형 단부 평면 또는 횡단면 치수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한 지점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짧은 치수를 갖는 세장형 단부 평면 사변형을 가질 수 있는 절두된 임플란트 큐브의 더 큰 면적의 기저면과 평행할 수 있도록 절두될 수 있다.
도 4a-4f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7 개의 유형의 큐브를 예시한다. 상이한 큐브는 상이한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특성, 상이한 기능, 상이한 용도, 구강 수술 적용 내에서 수행할 상이한 역할, 상이한 구성 (중합체 유닛 또는 중합체 측쇄, 분자 구성요소 모노머 또는 측쇄, 모노머 유닛 또는 모노머 측기), 상이한 크기 (밀리미터 내지 센티미터) 및 형상 (구, 타원체, 입방체, 4 내지 24 면을 갖는 다면체, 쐐기, 피라미드, 사면체, 테이퍼드 다면체, 절두된 다면체, 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상된, 의도된 또는 예정된 용도, 기능, 또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다중 예시적인 구강 수술 적용 중 특이적 적용에 따라 그룹화된다.
다른 큐브 유형은 상이한 색상 또는 색상 분포, 또는 상이한 중량, 또는 상이한 전체 중량 밀도 (10 kg/m3, 15 kg/m3, 20 kg/m3, 25 kg/m3, 30 kg/m3, 35 kg/m3, 40 kg/m3), 또는 상이한 중량 또는 중량 밀도 분포 (20&30 kg/m3), 또는 상이한 다공성, 오토클레이브성 (열: 250F-300F, 225F-325F, 200F-275F, 200F-280F, 270F-280F, 275F-300F, 275F-325F; 압력: 20 psi-30 psi, 25-35 psi, 25-30 psi, 23-28 psi, 24=27 psi, 28-36 psi, 24-38 psi)-압입력 편향 (IFD) 능력, 세포 개방성, 세포 밀도 (15-16 개의 세포/cm, 10-20 개의 세포/cm), 의약 화학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CaOH, 바륨 설파이드 BaS, 티타늄 디옥사이드 TiO2, 은 니트라이드 Ag3N, 은 니트레이트 AgNO3, 은 이온 Ag+, 은 이온 Ag-, 1.2% 클로로헥시딘, 포보딘-아이오딘 2% 아이오딘 포타슘 아이오다이드, 멸균 식염수), 또는 의약 생물학 (살균, 의약 조합 공정 유형 (예컨대, 침지, 코팅, 캡슐화, 포매, 통합, 방출 속도)을 갖는 큐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5g는 수축을 위한 큐브의 배치, 또는 뼈 이식 부위, 발치 부위 또는 실시양태에 따른 기타 구강 수술 부위 주위의 잇몸 조직의 간격, 완충, 붕대법 또는 보호를 위한 부드럽고 무딘 부속물을 갖는 큐브 배치 도구를 예시한다. 큐브 배치 도구의 무딘 부속물은 고정될 수 있거나, 하나의 단부에서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예는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는 플라이어 또는 둥근 단부를 갖는 2 개 이상의 갈래가 있는 포크를 포함한다.
도 6a-6f는 구강 수술 수축 부위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로부터 큐브를 제거하기 위한, 또는 구강 수술 동안 뼈 이식 부위, 발치 부위, 치과용 임플란트 부위 또는 실시양태에 따른 다른 구강 수술 부위에서 잇몸 조직의 완충, 붕대법 및/또는 보호의 사용 후 날카로운, 톱니 모양의 및/또는 바늘이 있는 부속물을 갖는 큐브 제거 도구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큐브 제거 도구는 2 개의 부속물의 바늘이 있는 단부가 안전하게 둘러싸이거나 피복되거나 접히거나 "안전-켜짐" 위치에서 인터로킹될 수 있도록 절합될 수 있고, 수축 부위, 공간 유지 부위 또는 조직 보호 측면으로부터,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부위 또는 기타 구강 수술 큐브 사용 부위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큐브를 잡기 위해 나타나는 것과 같이 "안전-꺼짐" 위치로 작동되거나 절합될 수 있다.
도 7a-7g는 큐브 배치 도구로서 구강 수술 부위에 배치하기 위해 큐브를 각자 밀거나, 조종하거나, 방향을 바꾸거나, 무딜게 집거나, 유지하기 위해 및/또는 큐브 제거 도구로서 구강 수술 부위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큐브를 잡거나, 얽어매거나, 부착하기 위해 절합된 아암 또는 절합된 단부 또는 둘 모두를 가질 수 있는 큐브 배치 및/또는 제거 도구를 예시한다.
도 8a-8i의 사진은 발치, 치아 부재, 치아 소실 또는 충치 부위에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커플링의 완료로 점진적으로 이어지는 과정의 특정 단계를 예시한다. 유리하게는, 큐브의 사용으로 인해 최소한의 조직 외상만 유발된다.
더욱이, 특정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구강 수술 동안 또는 구강 수술, 예컨대,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치아 또는 턱뼈 이식 수술, 또는 하나 이상의 큐브의 1 회 이상의 수축 사용을 포함하는 다른 구강 수술의 단계 또는 단계의 서브세트 동안 큐브의 사용.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치과 인상은 합성 치아, 성장된 유기 치아 또는 치아 이식편 또는 치아 세트를 성형하기 위한 치과 인상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지거나, 형성되거나, 생성되거나, 위치될 수 있어, 우식될 수 있거나, 다른 치아 또는 잇몸, 뺨, 혀 또는 입술 구역과 충돌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거나, 입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위턱 또는 아래턱 내에 고르지 않게 뿌리를 내릴 수 있거나, 떨어져 나갔을 수 있는 치아를 대체하여, 합성 대체 치아 또는 성장된 유기 대체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유사한 구강 구성성분이 그 자리를 대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강 수술 단계, 2 개 이상의 단계의 시퀀스, 다중 단계 또는 여러 단계의 서브세트, 또는 수축,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또는 크라운 위 또는 내부의 공간의 유지, 또는 치아, 잇몸, 상아질, 속질, 치근, 법랑질, 뼈-시멘트, 크라운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구성요소 부품에 대한 일시적인 구조적 무결성 지지 제공을 위한, 또는 구강 수술 동안 체액, 타액, 혈액, 점액, 물,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 또는 이탈된 음식 단편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진화하는 양 또는 구성요소의 유속, 면적 적용범위 또는 함유된 부피 밀도를 포획, 여과, 리디렉션, 축적 또는 안정화 또는 제어하기 위한 큐브의 사용을 포함하는 완전한 구강 수술 과정을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양태가 본원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양태는 유리하게도 감소된 통증, 감소된 부종, 및 치과용 기구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톱니모양의 구성요소에 의한 감소된 파열, 긁힘, 베임, 천자 또는 쑤심, 그리고 구강 수술 동안 환자의 입 내의 하나 이상의 노출된, 상처의, 염증이 있는 또는 민감한 구역을 보호, 완충, 편향, 붕대법 또는 덮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큐브의 배치 및 사용에 의한 감소된 치유 시간 및 향상된 효율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치과적 수술 및 비-수술 둘 모두의 과정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는 유리하게 수축, 공간 유지, 완충, 흡수, 연화, 가요성 제공, 강성 없는 강도 및 응집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큐브의 사용을 포함하는 단계의 시퀀스를 포함한다. 다양한 구강 수술 단계 중 임의의 것 후, 및 구강 수술 단계의 다양한 순서 및 시퀀스에서, 수술 과정 전반에 걸친 큐브의 사용은 특징적으로 다음 단계의 선택, 중지 시기, 제1 치과 치료 과정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제2 치과 치료 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준비된 상이한 구강 상태로의 전환의 가용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종래의 수축 코드 또는 다른 종래의 수축 장치 또는 구성요소가 아닌 큐브의 사용을 포함하는 이 수축 방법에 의해 유발되는 염좌 또는 손상이 없기 때문에 복귀, 및/또는 원래의 위치 또는 배향에 대한 조직의 복귀, 봉합 또는 포지셔닝 또는 배향시키는 능력을 지속적으로, 분리되어, 주기적으로 및/또는 점차적으로 가질 수 있다.
도 8a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거울에 반사된 절개 부위를 예시하는 사진을 포함한다.
도 8b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수축를 위해 수술용 피판의 밑면에 삽입된 수축 큐브의 사진을 포함한다.
도 8c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라 피판 아래에 추가로 삽입된 큐브의 사진을 포함한다.
도 8d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라 수술용 피판을 수축시키고 밑에 있는 뼈를 노출시키기 위해 절개부의 양쪽 측면에 배치된 큐브를 포함하는 사진을 포함한다.
도 8e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라 피판을 수축시키는 가시적 큐브의 사진을 포함한다.
도 8f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임플란트 부위 준비 및 더 나은 가시성을 위해 절골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수축 큐브를 예시하는 사진을 포함한다. 상악동의 바닥은 도 8f의 사진에서 이미지의 회색 원형 구역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수술-후 환자는 구강 수술 동안 수축의 유리한 형태의 큐브 수축 매체의 사용으로 인해 최소한의 통증, 부종 및 염증을 가졌다. 또한 수술 동안 외상의 결여로 인해 방해받지 않는 강력한 치유 반응이 있었다.
도 8g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라 도 8f의 수축 큐브가 제거된 사진을 포함한다.
도 8h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치은 표면 아래 제자리에 있는 임플란트의 반대쪽 측면으로부터 제거된 큐브의 사진을 포함한다.
도 8i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부위 주위에 봉합되고 폐쇄된 수술용 피판의 사진을 포함한다. 실제로, 한 쌍의 수술용 피판은 치과 고객 또는 치열교정 환자의 턱뼈에 고정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커플링된 지대주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부위의 반대쪽 측면에 제자리에 봉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크라운은 다음으로 도 8i에 사진으로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지대주 구성요소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9a-9u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내부입방체 및/또는 치과용 임플란트 입방체의 사진 예를 예시한다.
도 10a-10i는 다양한 구강 수술 단계의 수행 동안 제자리에 있고 사용 중인 큐브를 포함하는 수술 사진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Qube 재료는 명백하게 적합한 수축 매체로서 유리한 유용성 및 기능성을 나타낸다.
도 10a-10i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예정된 구강 수술 동안 계획된 사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의 큐브의 다중 사용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0a-10h는 수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큐브를 각각 제자리에 포함하는 다중 사진을 포함한다. 큐브의 다른 용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갑자기 또는 점차적으로 치아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이식된 또는 이식되지 않은 턱뼈 소켓 부위 또는 썩은 치아를 발치하거나 수복하지 않으면 우식될 위험이 있는 턱뼈 부위에 치과용 임플란트를 커플링하는 것과 같이 전체 수술 또는 완전한 절차의 2 개 이상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구강 수술 절차 동안 스페이서 또는 공간-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순차적 구강 수술 단계, 과정, 동작 또는 변형의 2 개 이상의 서브세트는 시간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시간 지연은 예를 들어, 치과용 임플란트 절차 전에 턱뼈 소켓 또는 소켓 이식편 내의 뼈 이식편의 충분한 골유착을 유리하게 허용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 절차는 그 자체로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치아 소실 충돌 사건 또는 길고 꾸준한 점진적인 충치 과정, 또는 일반적인 치아 발치, 또는 아마도 몇 년 동안 지속되는 뽑혀서 부서지기 쉬운 치아 붕괴 또는 다른 치아 및/또는 턱뼈 부피 감소 사건을 따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2 개 이상의 수술 과정 서브세트는 평균 임플란트 깊이 위치를 통한 얕은 임플란트 커플링 위치 내지 변연 치은 아래에 유의하게 있을 수 있는 깊은 임플란트 커플링 위치 사이의 범위의 어느 곳에서든 변연 치은 아래의 깊이에서 턱뼈 소켓 내에 삽입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충분한 골유착을 허용하기 위해 시간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제2 수술 과정 서브세트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임플란트의 충분한 골유착이 발생한 후에 지대주를 부착하기 위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 구성요소 내의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10h는 다양한 구강 수술 단계의 수행 동안 제자리에 있고 사용 중인 큐브를 포함하는 수술 사진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Qube 재료는 명백하게 적합한 수축 매체로서 유리한 유용성 및 기능성을 나타낸다.
도 11a-11k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나사-커플링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절차 동안 다중 역할에 유용한 예시적인 수축 단계 및 예시적인 수축 큐브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예시한다.
도 12a-12j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시멘트-커플링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절차 동안 다중 역할에 유용한 예시적인 수축 단계 및 예시적인 수축 큐브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예시한다.
도 13a-13g는 추가의 예시적인 큐브 사용 및 적용 및 예시적인 큐브를 사진으로 예시한다. 하나 이상의 큐브를 사용하여, 러버 댐을 수축시킬 수 있다. 큐브는 연조직을 수축시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큐브는 뺨 조직, 혀 조직, 입술 조직, 잇몸 조직, 편도선 조직 및/또는 입천장 또는 혀 아래 조직을 수술용 드릴 또는 기타 수술 기구로부터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큐브는 이러한 항목을 접착, 차단 또는 편향시킴으로써 날카롭거나 톱니모양의 모서리를 가질 수 있는 치아 또는 임플란트 단편과 마주치지 않도록 입 조직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4a-14t는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수축 큐브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절차를 사진으로 예시한다.
도 15a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한 쌍의 건강한 치아 (1511, 1513) 사이에 위치하고, 우식 치아 (1512)의 발치 이전, 또는 충돌 치아 소실, 붕괴 또는 자연적으로 우식되는 치아 소실, 또는 다른 의도하지 않은 치아 소실 이전에 있는 기형의 치아, 잘못된 위치의 치아, 잘못된 배향의 치아, 통증-생성 치아, 큰 크기의 어금니 또는 원하지 않는 치아 (1512)일 수도 있는 우식 치아 (1512)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5b는 잇몸선 (1521) 위의 건강한 치아 (1511, 1513) 사이 및 잇몸선 (1521) 아래에서 도 15a의 발치된 우식 치아 (1512)의 치근 영역이 실시양태에 따른 우식 치아 (1512) 주위의 치은 플랩 (1551, 1552)의 절개 및 수축 후에 제거되는 턱뼈 영역에 정의된 소켓 리세스로 연장되는 갭을 남기는 우식 치아 (1512)의 다른 소실 또는 발치 후의 도 15a의 한 쌍의 건강한 치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5c는 실시양태에 따른 이식 재료로 채워지거나 부분적으로 채워진 소켓으로 우식 치아 발치 후 잇몸선을 통해 및 턱뼈 아래로 정의된 소켓 리세스 및 잇몸선 위의 갭을 갖는 치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5d1은 소켓 이식 부위에서 골유착을 보호 및 촉진하기 위해 및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치유를 위해 소켓 주위의 잇몸을 완충하고 붕대를 감기 위해 도 15c에서와 같이 이식편으로 채워진 소켓 위에 드랩된 큐브 (1533)를 이용하여 잇몸 조직 및 뼈 조직 아래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정의된 소켓 리세스 및 잇몸선 위의 갭을 갖는 치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5d2는 소켓 이식 부위에서 골유착을 보호 및 촉진하기 위해 및 실시양태에 따른 치유를 위해 소켓 주위의 잇몸을 완충하고 붕대를 감기 위해 도 15c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이식편으로 채워진 소켓에 삽입되거나 부분적으로 삽입된 큐브 (1534)를 이용하여 잇몸 조직 및 뼈 조직 아래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정의된 소켓 리세스 및 잇몸선 위의 갭을 갖는 치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5e는 실시양태에 따른 골유착을 위해 큐브 (1533)로 드랩된 소켓 이식 부위를 폐쇄하기 위해 수축 큐브 (1531, 1532)를 제거한 후 봉합된 치은 피판 (1571, 1572)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5f는 실시양태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절차를 위한 준비에서 여전히 혈액-침지된 큐브 (1543)에 의해 보호되는 소켓 이식 부위에서 치은 피판 (1551, 1552)의 골유착, 봉합사의 제거, 절개 및 다시 수축 후 갭을 갖는 치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5g는 실시양태에 따른 소켓 이식 부위에 치과용 임플란트를 커플링하기 직전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혈액-침지된 큐브 (1541)의 제거 후의 골유착된 소켓 이식 부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본 발명이 여러 실시양태의 관점에서 기재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변형 및 변경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42)

  1. 250℉에서 오토클레이브 가능하고 폴리우레탄의 다공성 이상의 다공성을 갖고 구강 수술 동안 치은 피판을 수축시키기 위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된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가 세장형 형상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가 원통형, 타원형, 관형, 쐐기형, 각기둥, 난형, 삼중난형(triovoid), 달걀 또는 배 형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가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메틸펜텐 (PMP), 폴리옥시메틸렌 (POM), 폴리아릴에테르케톤 (PAE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부분 망상 폴리에테르 유형 폴리우레탄, 폴리에틸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발포체, 반응성 수지 발포체, 폴리우레탄 발포체, 반응 사출 성형 플라스틱 발포체, 연질 발포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운모-입자 폴리우레탄, 수지-입자 폴리우레탄, 수지-블렌딩된 폴리우레탄, 다공성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블렌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가 하나 이상의 특징적인 재료 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첨가제와 블렌딩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실리콘 오일, 실리콘 계면활성제, 폴리에테르, 폴리에틸 또는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4-BDO 또는 BDO), 1,6-헥산디올, 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또는 하이드로퀴논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에테르 (HQE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하나 이상의 이기능적, 삼기능적 또는 사기능적 하이드록실 화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이기능적 아민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HQEE,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또는 페닐디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기능적 하이드록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1,2,6-헥산트리올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삼기능적 하이드록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펜타에리트리톨, N,N,N',N'-테트라키스, (2-하이드록시프로필) 또는 에틸렌디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기능적 하이드록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디에틸톨루엔디아민 또는 디메틸티오톨루엔디아민,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기능적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13. 폴리아민 및 사이클릭 카보네이트를 식물성 오일, 이합체 지방산 또는 지방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올과 조합함으로써 형성된 지속가능한 녹색 폴리하이드록스우레탄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
  14.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를 20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물품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폴리올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타디엔, 폴리설파이드, 피마자유, 대두유, 목화씨유, 님씨유, 식물성 오일,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수용액,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분산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우레아 (PHD) 중합체 고체를 폴리에테르 백본에 화학적으로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가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1-이소시아네이토-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또는 4,4-디이소시아네이토 디사이클로헥실메탄 (H12MDI 또는 수소화된 MDI),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250℉에서 오토클레이브 가능하고 폴리우레탄의 다공성 이상의 다공성을 갖고 골유착 기간 동안 치과용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커플링하기 위해 치과용 임플란트 초과의 부피를 보존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구성된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용 스페이서 물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스펀지가 테이퍼드 단부에 대향하는 기저 단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스페이서 물품.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스펀지가 2:1 이상의 테이퍼드 단부 대 기저 단부 중량 밀도 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스페이서 물품.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스펀지가 원추형 또는 절두된 원추형 형상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스페이서 물품.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스펀지가 피라미드 또는 절두된 피라미드 형상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스페이서 물품.
  23. 충전재가 영구 충전재로 공동 부피를 채울 준비가 될 때까지 준비된 치아 공동 부피를 일시적으로 보존하도록 구성된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하는, 근관 수술용 스페이서 물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스펀지가 흡수된, 부착된 또는 봉입된 의약 투여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근관 스페이서 물품.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스펀지가 테이퍼드 단부에 대향하는 기저 단부를 포함하는, 근관 스페이서 물품.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스펀지가 2:1 이상의 테이퍼드 단부 대 기저 단부 중량 밀도 비를 포함하는, 근관 스페이서 물품.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스펀지가 원추형 또는 절두된 원추형 형상을 포함하는, 근관 스페이서 물품.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스펀지가 피라미드 또는 절두된 피라미드 형상을 포함하는, 근관 스페이서 물품.
  29. 구강 수술 동안 수술 장비 및 주변 노출로부터 민감하거나 취약한 입 조직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보호 물품.
  30. 구강 수술 동안 치은 피판을 수축시키기 위해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치은 절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수축 방법.
  31. 골유착 기간 후에 치과용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커플링하기 위한 간격을 보존하기 위해 매립된 치과용 임플란트 옆 공간에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스페이서 방법.
  32. 구강 수술 동안 수술 장비 충격 및 주변 노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민감하거나 취약한 입 조직에 대해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수술용 보호 방법.
  33. 250℉에서 오토클레이브 가능하고 폴리우레탄의 다공성 이상의 다공성을 갖고 뼈 소켓 리세스에 삽입되어 그 안에 함유된 느슨한 이식 재료를 비접착적으로 접촉하고 압축하도록 구성된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포함하는, 치과용 물품.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블렌드를 포함하는, 치과용 물품.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가 폴리우레탄의 다공성 이상의 다공성을 포함하는, 치과용 물품.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가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통해 체액을 흡인함으로써 뼈 소켓 리세스로부터 상기 체액을 제거할 때 압축된 이식 재료의 부피 밀도 무결성을 유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치과용 물품.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에 비접착적으로 접촉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식 재료를 압축하는 동안 이식 재료 및 스펀지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가이드된 조직 재생 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치과용 물품.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 골유착 기간 동안 상기 소켓 이식 리세스 내에서 상기 이식 재료 위에 남아 있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물품.
  39. 치과용 뼈 소켓 이식 방법으로서,
    환자의 턱뼈 내에 정의된 뼈 소켓 리세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뼈 소켓 리세스를 준비한 후, 뼈 소켓 리세스를 느슨한 이식재료로 채우는 단계; 및
    비접착성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를 그 안의 느슨한 이식재료와 접촉하도록 삽입하고, 스펀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뼈 소켓 리세스 내에서 느슨한 이식재료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비접착성 중합체성 발포체 스펀지는 250℉에서 오토클레이브성을 나타내고 폴리우레탄의 다공성 이상의 다공성을 갖는 것인,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뼈 소켓 리세스를 준비하는 단계가 치아에 또는 잇몸 조직을 관통하여, 또는 일부 뼈 조직에 또는 이들의 조합에 형상 절단 또는 드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용 뼈 소켓 이식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뼈 소켓 리세스를 준비하는 단계가 우식 치아, 우식 조직, 과잉 조직, 미생물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잔해,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용 뼈 소켓 이식 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를 통해 뼈 소켓 리세스로부터 유체를 흡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용 뼈 소켓 이식 방법.
KR1020227036265A 2020-03-20 2021-03-22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방법 KR202300386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92177P 2020-03-20 2020-03-20
US62/992,177 2020-03-20
PCT/US2021/023544 WO2021189061A1 (en) 2020-03-20 2021-03-22 Dental implant apparatu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640A true KR20230038640A (ko) 2023-03-21

Family

ID=7777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265A KR20230038640A (ko) 2020-03-20 2021-03-22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44188A1 (ko)
EP (1) EP4120954A4 (ko)
JP (1) JP2023518819A (ko)
KR (1) KR20230038640A (ko)
CN (1) CN116157090A (ko)
CA (1) CA3175901A1 (ko)
WO (1) WO20211890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9350A (en) * 1957-09-23 1963-02-26 Witco Chemical Corp Polyurethane foams and polyesters for preparation thereof
US3874082A (en) * 1973-06-04 1975-04-01 Lewis Stein Tooth treatment method
US4609348A (en) * 1985-07-12 1986-09-02 James R. Rehak Mouth and cheek protector
US6155831A (en) * 1999-03-03 2000-12-05 Mcguire; Michael K. Non-surgically retrievable guided tissue regeneration membrane
US7897832B2 (en) * 2001-06-14 2011-03-01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assemblies, and methods applied during or after a dental procedure to ameliorate fluid loss and/or promote healing, using a hydrophilic polymer sponge structure such as chitosan
US7153134B2 (en) * 2001-06-15 2006-12-26 Allan Coopersmith Gingival retraction device and method
US6939135B2 (en) * 2002-06-03 2005-09-06 Schubert L. Sapian Growth factor releasing biofunctional dental implant
JP3425439B1 (ja) * 2002-08-20 2003-07-14 淳 高橋 スポンジプロフィー
US6890177B2 (en) * 2002-12-02 2005-05-10 Centrix, Inc. Method and device for the retraction and hemostasis of tissue during crown and bridge procedures
CA2441907A1 (en) * 2003-09-19 2003-12-11 Dr. Graham Matheson Inc. Dental appliance for deflecting gingival tissue
DE102006047041A1 (de) * 2006-10-02 2008-04-10 Birgit Riesinger Flächenhafter Absorptionskörper
MX338585B (es) * 2010-07-09 2016-04-22 Air Prod & Chem Aditivos para mejorar el desempeño de la espuma de poliuretano.
US20120065741A1 (en) * 2010-09-13 2012-03-15 Chao-Fu Cha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membrane
US8430667B2 (en) * 2011-02-02 2013-04-30 Warsaw Orthopedic, Inc. Reflected gingival tissue retractor device for surgical dental procedures, kit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8809614B2 (en) * 2012-01-16 2014-08-19 Jerry M. Wilhoit Dental wound dressing
DE102012100326A1 (de) * 2012-01-16 2013-07-18 Stefan Neumeyer Medizinische Membrane, insbesondere zahnmedizinische Membrane sowie Zahnimplantat mit einer solchen Membrane
EP2886134A1 (de) * 2013-12-20 2015-06-24 nolax AG Resorbierbares Implant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75901A1 (en) 2021-09-23
WO2021189061A1 (en) 2021-09-23
US20230144188A1 (en) 2023-05-11
CN116157090A (zh) 2023-05-23
EP4120954A4 (en) 2024-04-17
EP4120954A1 (en) 2023-01-25
JP2023518819A (ja)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3328B2 (en) Periodontal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Trope Treatment of the immature tooth with a non–vital pulp and apical periodontitis
JP5283698B2 (ja) 歯肉組織圧排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7322825B2 (en) Method of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using periodontal regeneration composition
Solar Preserving alveolar ridge anatomy following tooth removal in conjunction with immediate implant placement: the Bio-Col technique
US5362495A (en) Insert material for widening the gingival sulcus
CA2387845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idge preservation and implant treatment
US20070071791A1 (en) Delivery system for bone growth promoting material
EP110614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jawbone ridge augmentation
Kamath et al. Advances in gingival retraction
US20180064844A1 (en) Hemostatic paste with light-curable feature
Rud et al. Operative procedures in periapical surgery with contemporaneous root filling
US20070196785A1 (en) Dental appliance for deflecting gingival tissue
Goodell et al. Linear dye penetration of a calcium phosphate cement apical barrier
KR20230038640A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방법
US20070218421A1 (en) Procedure and device enabling facile tooth impression
US20230225838A1 (en) Cotton Gauze Replacement for Temporary Use in an Oral Cavity
Morrow et al. Endodontic surgery
US20060078589A1 (en) Device for treating oral wound gaps
Glickman et al. Endodontic surgery
JP2003286176A (ja) 水酸化カルシウム系根管充填材
WO2021178932A2 (en) Dental implant apparatus and methods
RU209831U1 (ru) Иммедиат-протез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слизистой оболочки протезного ложа в области операционной раны
US20200330203A1 (en) Hemostatic paste with light-curable feature
Singh et al. Gingival displacements options in prosthodontics: a critical review on recent adv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