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152A -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152A
KR20230038152A KR1020230026076A KR20230026076A KR20230038152A KR 20230038152 A KR20230038152 A KR 20230038152A KR 1020230026076 A KR1020230026076 A KR 1020230026076A KR 20230026076 A KR20230026076 A KR 20230026076A KR 20230038152 A KR20230038152 A KR 20230038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ter
pipe
treated
ultraviole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민
고익환
김종락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3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7Units with two or more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8Units having reflectors, e.g. coatings, baffles, plates, mi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는 광반사 특성을 가지는 내벽을 구비하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피처리수가 유동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제2 관을 포함한다.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상기 내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관의 내부의 상기 피처리수에 대해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a flowable typed sterilizing device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본 개시(disclosure)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악화에 따른 수질 오염의 우려 때문에, 정수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상용의 정수기는, 정수 원리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피처리수를 직접 살균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정수기가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식은 피처리수를 용기 내에 수용하고, 자외선 광원을 상기 피처리수에 직접 침수하여 점등함으로써, 살균하는 침수형 살균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침수형 살균 방식은 피처리수가 담긴 용기 내에 자외선 광원을 침지시키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설치가 쉽고 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설치비가 싸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에 반하여, 자외선을 피처리수에 조사하여 살균하기 위한 반응 시간이 충분히 요청된다는 점, 또는 피처리수 전체에 대한 균일한 살균이 어려운 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침수형 살균 방식을 채용하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2012-0134809에 일 예로서 개시되어 있다.
본 개시는 반응시간을 감소시키고 피처리수에 대한 살균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살균 장치는 광반사 특성을 가지는 내벽을 구비하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피처리수가 유동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제2 관을 포함한다.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상기 내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관의 내부의 상기 피처리수에 대해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살균 장치는 일단부가 폐쇄된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투과성 제2 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내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관의 내부 또는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는 피처리수에 대해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는 연결 장치는 광반사 특성을 가지는 내벽을 구비하고 상기 내벽에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피처리수가 유동하는 광투과 특성을 가지는 제2 관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 장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각각 유수형 파이프와 결합한다.
본 개시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는 살균 장치는 투광성 유수관, 상기 투광성 유수관을 둘러싸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이동 장치에 실장되며, 상기 투광성 유수관 내부를 유동하는 피처리수를 살균하는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몸체부 상에서 상기 자외선 광원 간 간격을 조절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관 또는 제2 관을 통해, 피처리수를 유동시키면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상기 피처리수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소형화가 가능하여 상기 제1 관의 내벽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처리수를 관을 통해 유동시키면서 살균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자외선이 상기 피처리수를 커버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광반사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하여, 상기 피처리수 중에서 자외선의 조사를 받지 않는 부분이 없도록, 자외선을 상기 피처리수 전체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a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살균 장치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a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살균 장치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재에서 어느 부재의 "상"에 위치하거나 “상부” 또는 “하부”, “측면”에 위치한다는 기재는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지 그 부재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사이 계면에 다른 부재가 더 도입되는 특정한 경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설치되어 있다”의 기재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중간에 다른 별도의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연결 관계 또는 접속 관계를 구성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관”은 일종의 튜브, 파이프 형태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내부 공간을 통해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는 구조물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관"의 형태는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향각”은 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 칩에서 방출되는 광에서, 최대 광도의 50% 이상의 광도를 보이는 발광 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살균 장치는 제1 관, 제1 관 내부의 제2 관을 포함한다. 상기 살균 장치는 일 예로서, 유체를 유동시키는 파이프 형태 또는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 구조(fitting)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a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살균 장치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살균 장치(100)는 제1 관(110) 및 제2 관(120)을 포함한다. 제1 관(110)은 광반사 특성을 가지는 내벽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관(110)의 내벽은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광반사율이 높은 금속으로 코팅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 관(110)은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광사반사율이 높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관(110)의 내벽에는 자외선 광원(112a, 112b, 112c, 112d)이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광원(112a, 112b, 112c, 112d)은 약 200 내지 40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자외선 광원(112a, 112b, 112c, 112d)은 약 200 내지 29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자외선 광원(112a, 112b, 112c, 112d)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12a, 112b, 112c, 112d)는 지향각을 고려하여, 맞은 편의 내벽에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12a)의 지향각 α 내에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12b)가 배치되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12b)의 지향각 β 내에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12c)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지향각 α 또는 β는 약 110°내지 140°일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4개로 한정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제1 관(110)의 길이 방향인 x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개수에는 한정이 없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12b, 112d)는 제1 관(110)의 상단 내벽에서 x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12b, 112d)는 제1 관(110)의 하단 내벽에서 x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지향각 내에 다른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 x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12a, 112b, 112c, 112d)은 제1 관(110)의 내벽에서 다양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제2 관(120)은 제1 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피처리수를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살균의 대상이 되는 상기 피처리수는 제2 관(12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제2 관(120)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제2 관(120)은 석영관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110)의 내벽에 배치되는 자외선 광원(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어, 상기 피처리수에 상기 자외선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관(120) 내부로 조사되는 상기 자외선은 피처리수에 대해 살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살균 장치(110)의 적어도 일단에는 상기 피처리수를 유동할 수 있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장치는 일 예로서, 수처리용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피처리수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을 통해, 피처리수를 유동시키면서, 자외선 광원에 의해 상기 피처리수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광원으로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하여 상기 제1 관의 내벽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처리수를 관을 통해 유동시키면서 살균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피처리수를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어서, 종래의 침수형 살균 구조에서의 피처리수 내에서 자외선의 비조사 영역을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수가 유동하는 상태에서 살균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살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2a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살균 장치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살균 장치(200)은 자외선 광원(112a, 112b, 112c, 112d) 사이의 제1 관(110)의 내벽에 배치되는 광반사 구조물(2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 및 1b와 관련하여 상술한 살균 장치(100)와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을 배제하기 위하여, 살균 장치(100)과 차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광반사 구조물(214)은 제1 관(110) 및 제2 관(1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광반사 구조물(214)은 제1 관(110)의 내벽과 협력하여 자외선 광원(112a, 112b, 112c, 112d)으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자외선을 반사하여, 상기 제2 관(120) 내부에서 상기 자외선이 커버하는 영역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즉, 광반사 구조물(214)은 제2 관(12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외선의 비조사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광반사 구조물(214)은 제1 관(110)의 상단 내벽에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12b, 112d)과 열을 이루어 x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제1 관(110)의 하단 내벽에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12a, 112c)와 열을 이루어 x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반사 구조물(214)의 배치는 제1 관(110)의 내벽 상에서 다양한 변형례가 가능하다.
도 3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살균 장치(300)은 제1 관(310) 및 제1 관(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관(320)을 포함한다.
제1 관(310)은 폐쇄되어 닫힌 형태를 가지는 일 단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310)은 광반사 특성을 가지는 내벽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일단부(311)도 광반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관(310)의 내벽 및 일 단부(311)는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광반사율이 높은 금속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제1 관(310)의 내벽에는 복수의 자외선 광원(312)이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광원(312)은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자외선 광원(112a, 112b, 112c, 112d)의 구성 및 배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관(320)은 제1 관(310)의 내부에 배치되며, 광투과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관(320)은 일 예로서, 석영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320)을 통해 피처리수가 유동할 수 있다. 제2 관(320)의 개방된 일단부는 제1 관(310)의 폐쇄된 일단부(311)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320)을 통해 유동한 상기 피처리수는 폐쇄된 일단부(311)에서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여 제1 관(310)과 제2 관(3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반대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폐쇄된 일단부(311)의 반대쪽 일단부에는 상기 피처리수를 유동할 수 있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장치는 일 예로서, 수처리용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반대쪽 일단부에서, 제2 관(310)를 통해 상기 피처리수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장치는 제1 관(310)과 제2 관(320) 사이의 공간에 있는 피처리수에 대해 X 방향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피처리수의 유속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관(320)을 통해 유동하면서, 자외선 광원(312)에 의해 살균처리되는 피처리수는 폐쇄된 일단부(311)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자외선 광원(312)에 의해 재살균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살균 장치(400)은 제2 관(320)이 복수의 내부관(322)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살균 장치(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살균 장치(400)에 있어서, 피처리수는 복수의 내부관(322)을 경유하여 유동하면서 자외선 광원(312)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내부관(322)은 광투과성 특성을 구비하며, 일 예로서 석영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내부관(322)을 통해 유동함으로써, 제2 관(320) 내부에서의 유속을 늦출 수 있어 유동하는 피처리수에 대한 단위체적당 자외선의 조사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는 연결 장치를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장치(500)는 유수형 파이프(50, 52)와 각각 결합하는 제1 단부(501) 및 제2 단부(502)를 구비한다. 제1 단부(501) 및 제2 단부(502) 상에는 공지의 밀봉 부재가 각각 배치되어, 제1 단부(501)와 유수형 파이프(50) 및 제2 단부(502)와 유수형 파이프(52)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연결 장치(500)은 도 1a 및 1b와 관련하여 상술한 살균 장치(100) 또는 도 2a 및 도 2b와 관련하여 상술한 살균 장치(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 장치(500)는 유수형 파이프(50, 52)의 연결 부위에 살균 장치를 내장함으로써, 유수형 파이프(50, 52)을 통해 유동하는 피처리수에 대하여 자외선 살균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살균 장치를 I-I’로 절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살균 장치(600)는 투광성 유수관(610), 투광성 유수관(610)을 둘러싸는 제1 몸체부(622a, 624a, 622b, 624b) 및 투광성 유수관(610)에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640a, 640b)를 포함한다.
투광성 유수관(610)은 피처리수가 유동하는 관으로서, 본 개시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서의 제2 관(120, 320)에 대응될 수 있다. 투광성 유수관(610)의 양단은 유입부(650) 및 배출부(66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몸체부(622a, 624a, 622b, 624b)는 투광성 유수관(61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622a, 624a, 622b, 624b)는 유입부(640)를 고정시키는 제2 몸체부(626) 및 배출부(660)를 고정시키는 제3 몸체부(628)과 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 몸체부(622a, 624a, 622b, 624b)는 제2 몸체부(626) 및 제3 몸체부(628)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몸체부(622a, 624a, 622b, 624b)는 유수관(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둘이상의 유닛의 결합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는 제1 유닛(622a, 624a)과 제2 유닛(622b, 624b)를 도시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유닛(622a, 624a, 622b, 624b) 중 일부분(622a, 622b)에는 자외선 광원(640a, 640b)가 결합된 이동장치(632a, 634a, 632b, 634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동장치(632a, 634a, 632b, 634b)는 제1 몸체부(622a, 624a, 622b, 624b)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장치(632a, 634a, 632b, 634b)는 링 형태의 구조물이며, 적어도 일부분(632a, 632b) 상에는 자외선 광원(640a, 640b)이 실장될 수 있다. 이동장치(632a, 634a, 632b, 634b)는 제1 몸체부(622a, 624a, 622b, 624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장치(632a, 634a, 632b, 634b)에 결합되는 자외선 광원(640a, 640b)의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도시되는 실시 예에서는, 이동장치(632a, 634a, 632b, 634b)는 제1 이동장치(632a, 634a) 및 제2 이동장치(632b, 634b)를 포함한다. 제1 이동장치(632a, 634a) 및 제2 이동장치(632b, 634b)은 개별적으로 제1 몸체부(622a, 624a, 622b, 624b)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장치(632a, 634a, 632b, 634b)는 제1 몸체부(622a, 624a, 622b, 624b) 상에서 자외선 광원(640a, 640b)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자외선 광원(640a, 640b)은 약 200 내지 40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자외선 광원(640a, 640b)은 약 200 내지 29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자외선 광원(640a, 640b)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자외선 광원(640a, 640b)의 배치와 관련하여서는 도 1a의 살균 장치(100)의 자외선 광원(112a, 112b, 112c, 112d)의 배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자외선 광원(640a, 640b)으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은 투광성 유수관(610) 내부를 유동하는 피처리수를 살균할 수 있다.
유입부(650)는 제2 몸체부(626)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피처리수를 투광성 유수관(610) 내부로 전달한다. 유입부(650)는 관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투광성 유수관(610) 내부를 유동하는 피처리수는 자외선 광원(112a, 112b, 112c, 112d)이 방출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 처리될 수 있다.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는 배출부(66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배출부(660)는 제3 몸체부(628) 내부에 배치되며, 관 형태의 구조물 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의 자외선 광원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외선 광원(640a, 640b)의 위치는 제1 이동 장치(632a, 634a) 및 제2 이동 장치(642b, 532b)의 이동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도 7의 (a)에서 자외선 광원(640a, 640b)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r1)를 유지할 수 있다. 이동 장치(632a, 634a) 및 제2 이동 장치(642b, 532b)가 X축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자외선 광원(640a, 640b) 사이의 거리는 도 7의 (b)의 제2 거리(r2) 및 도 7의 (c)의 제3 거리(r3)로 변화할 수 있다.
도 7의 (a)의 경우, 자외선 광원(640a, 640b)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우므로, 자외선 광원(640a, 640b)으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자외선이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처리수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을 수 있다. 도 7의 (c)의 경우, 유입부(650) 및 배출부(660) 인근 영역에서의 살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a은 본 개시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는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살균 장치의 일부를 II-II’로 절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는 살균 장치(1000)는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상술한 살균 장치(600)를 살균 모듈로서, 복수개 결합한 형태를 가진다. 즉, 구체적인 예에서, 살균 장치(1000)는 제1 살균 모듈(700), 제2 살균 모듈(800) 및 제3 살균 모듈(90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살균 모듈(700) 및 제2 살균 모듈(800)의 연결부위, 및 제2 살균 모듈(800) 및 제3 살균 모듈(900)의 연결부위에는 연결관(750)이 배치되어, 각각의 살균 모듈(700, 800, 900)의 제2 관(61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살균 장치(1000)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650) 및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부(66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제1 살균 모듈(700)과 제2 살균 모듈(800)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세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살균 모듈(700)과 제2 살균 모듈(800)의 연결부에서는 별도의 유입부 또는 배출부를 구비하지 않고, 제2 몸체부(726)가 투광성 유수관(610)을 고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a에서는, 살균 장치(1000)가 3개의 살균 모듈(700, 800, 900)을 구비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도 7에 도시되는 살균 장치(700)을 일 단위의 모듈로 구성하여, 복수 개의 살균 장치(700)를 직렬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형태들을 도면들을 예시하며 설명하지만, 이는 본 개시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세밀하게 제시된 형상으로 본 개시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이 반영되는 한 다양한 다른 변형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살균 장치,
110: 제1 관, 120: 제2 관, 112a 112b 112c 112d: 자외선 광원,
210: 제1 관, 220: 제2 관, 214: 광반사 구조물,
311: 폐쇄된 일단부, 312: 자외선 광원, 322: 복수의 내부관,
50, 52: 유수형 파이프, 501: 제1 단부, 502: 제2 단부.

Claims (1)

  1. 광반사 특성을 가지는 내벽을 구비하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피처리수가 유동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제2 관;
    상기 제1 관의 내부에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관 내부의 상기 피처리수에 대해 살균용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관 내에 상기 자외선의 비조사 영역이 감소되도록 하는 광반사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는 약 200 내지 290nm의 파장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 관의 개방된 일단부는 상기 제1 관의 폐쇠된 일단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피처리수는 상기 제1 관의 폐쇄된 일단부에서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는 살균 장치.
KR1020230026076A 2013-09-05 2023-02-27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KR202300381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872 2013-09-05
KR20130106872 2013-09-05
KR1020220023690A KR102505921B1 (ko) 2013-09-05 2022-02-23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690A Division KR102505921B1 (ko) 2013-09-05 2022-02-23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152A true KR20230038152A (ko) 2023-03-17

Family

ID=5302322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121A KR102303259B1 (ko) 2013-09-05 2014-08-20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KR1020220023690A KR102505921B1 (ko) 2013-09-05 2022-02-23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KR1020230026076A KR20230038152A (ko) 2013-09-05 2023-02-27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121A KR102303259B1 (ko) 2013-09-05 2014-08-20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KR1020220023690A KR102505921B1 (ko) 2013-09-05 2022-02-23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03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880A (ko) * 2017-10-23 2019-05-0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장치
KR102498424B1 (ko) * 2021-02-04 2023-02-13 사단법인 한국물산업협의회 자외선 소독 장치 및 방법
KR102449427B1 (ko) * 2021-12-31 2022-09-29 원상희 3차원 형태로 유수배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수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837A (ja) * 2001-03-07 2002-09-17 Prima Meat Packers Ltd 飲料物殺菌装置
US7169311B2 (en) * 2001-10-17 2007-01-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disinfecting water using ultraviolet radiation
GB0606604D0 (en) * 2006-04-01 2006-05-10 P W Circuts Ltd Treatment apparatus
KR20090081660A (ko) * 2008-01-24 2009-07-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용수 유로용 살균장치
US8129696B2 (en) * 2009-10-13 2012-03-06 General Electric Company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high energy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022A (ko) 2022-03-15
KR20150028190A (ko) 2015-03-13
KR102303259B1 (ko) 2021-09-17
KR102505921B1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679B1 (ko)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KR102505921B1 (ko) 유수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결 장치
JP6374403B2 (ja) 発光ダイオードから放射された光による液体消毒方法及び装置
JP7262985B2 (ja) 光源モジュール装置、流体殺菌装置
US20180244543A1 (en) Fluid sterilization device
WO2015020041A1 (ja) 紫外線殺菌装置
JP5874532B2 (ja) 殺菌装置
JP2014233712A (ja) 紫外線殺菌装置
KR101683351B1 (ko) 라이트 커튼형 led 광 조사기
JP2019098055A (ja) 流体殺菌装置
JP6355244B2 (ja) 紫外線照射装置
US20200316244A1 (en) Fluid system with integrated disinfecting optics
US20090289015A1 (en) Back-surface mirrors for ultraviolet liquid disinfection systems
CN111320230A (zh) 用于为流体消毒的装置
WO2019049702A1 (ja) 水処理用の紫外線照射装置、及び紫外線照射を利用した水処理方法
JP2018030077A (ja) 流水殺菌装置および流水殺菌方法
JP7071144B2 (ja) 紫外線殺菌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JP2022062415A (ja) 流体殺菌装置、流体殺菌方法、水処理施設及び浄水設備
KR20240012187A (ko) 살균 장치
KR20030013752A (ko) 자외선 수처리기
KR20200113344A (ko) 자외선 살균처리가 용이한 수처리장치
CN112811506A (zh) 大口径过流式净水消毒装置
US20080311012A1 (en) Transmissive window for hydrooptic disinf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