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072A -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072A
KR20230038072A KR1020220008780A KR20220008780A KR20230038072A KR 20230038072 A KR20230038072 A KR 20230038072A KR 1020220008780 A KR1020220008780 A KR 1020220008780A KR 20220008780 A KR20220008780 A KR 20220008780A KR 20230038072 A KR20230038072 A KR 2023003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er
test
testing system
network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종
고형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050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38276A1/ko
Publication of KR2023003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3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8Current-supply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selection equipment at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장비,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패치패널과 연결되는 통신수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비, 패치패널 및 통신수구 간의 연결상태 또는 각각을 연결하는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한 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테스터가 시험 신호 인가용 또는 신호 수신용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성이 간소하여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작업자의 부주의에 배터리 방전 등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 중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NETWORK TESTING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라우터 등 네트워크 장비,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패치패널과 연결되는 통신수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비, 패치패널 및 통신수구 간의 연결상태 또는 각각을 연결하는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한 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테스터가 시험 신호 송신용 또는 시험 신호 수신용으로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성이 간소하여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작업자의 부주의에 배터리 방전 등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 중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옥내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라우터 등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패치패널의 각 모듈러잭과 연결되는 수요자측 모듈러잭 형태의 통신수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장비와 패치패널 간, 그리고 패치패널과 통신수구 간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을 '통신 케이블'이라 한다.
상기 통신 케이블은 양단에 플러그 등의 삽입부를 구비하거나, 일단은 삽입부를 구비하고 타단은 모듈러잭 등의 수용부에 직접 연결되어 네트워크 장비와 패치패널 사이, 패치패널과 패치패널 사이, 또는 패치패널과 통신수구 사이를 커넥터 방식 등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통신 케이블은 패치패널 등을 통해 직렬 연결되어 양 종단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매체인 '통신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선로는 양단에 플러그를 구비할 수 있고, 일단은 플러그를 구비하고 타단은 패치패널, 통신수구 등에 구비된 모듈러잭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설치 또는 보수시 각각의 통신수구를 통해 외부 통신망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패치패널과 통신수구를 각각 통신 케이블로 연결하고 각각의 패치패널을 외부 통신망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에 연결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의 규모 및 디자인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 간, 패치패널 간 연결도 가능하다.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비와 패치패널은 일반적으로 통신실 등에 구비되어 그 연결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원거리의 수요자 공간에 구비된 통신수구와 패치패널의 각각의 모듈러잭은 양단에 RJ45 규격의 플러그를 구비한 UTP, STP 등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이하, '통신 케이블'이라 함)로 연결되어 통신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은 그 설치, 유지 또는 보수 과정에서 네트워크 장비, 패치패널 및 통신수구 간의 연결상태 또는 각각을 연결하는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종래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통신선로의 테스트는 시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마스터 테스터기와 시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슬레이브 테스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의 통신선로의 양단에 마스터 테스터기와 슬레이브 테스터기를 연결하고, 마스터 테스터기에서 통신 케이블에 시험 신호를 인가하고, 마스터 테스터기와 슬레이브 테스터기에서의 정상적인 점등 여부를 작업자들이 확인하는 방식으로 해당 통신선로를 구성하는 통신 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는 마스터 테스터기와 슬레이브 테스터기로 구분되어 원격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경우 양방향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없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테스터기로 하나의 통신 케이블의 양단에 커넥터가 구비된 패치코드의 양단을 연결하여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셀프 테스트 등이 불가능하여 각각의 작업자가 한 세트의 테스터기, 즉 마스터 테스터기와 슬레이브 테스터기 모두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테스터기들은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의 전원부를 구비하고, 마스터 테스터기에서 상기 전원부를 구비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네트워크 테스팅 작업 후 테스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 등을 통해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지 않아 배터리가 자주 방전되는 것도 작업성 저하와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이 한 쌍의 테스터기로 구성되되, 각각의 테스터기가 각각 분리된 구성이므로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가 쉽게 분실된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장비,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되는 패치패널 및 패치패널과 연결되는 통신수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비, 패치패널 및 통신수구 간의 연결상태 또는 각각을 연결하는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한 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테스터가 시험 신호 송신용 또는 신호 수신용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성이 간소하여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작업자의 부주의에 배터리 방전 등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 중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선을 구비하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네트워트 테스팅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한 쌍의 모듈러잭, 각각의 상기 모듈러잭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각각의 테스트선 상에 각각의 LED 소자를 구비하는 테스트부, 한 쌍의 모듈러잭 중 하나의 모듈러잭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구비하는 제1 테스터기;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모듈러잭 및 상기 모듈러잭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테스트선 상에 구비되는 LED 소자를 구비하는 테스트부를 구비하는 제2 테스터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선로의 양 종단이 상기 제1 테스터기의 전원부가 연결된 모듈러잭과 상기 제2 테스터기의 모듈러잭에 각각 연결될 경우, 상기 제1 테스터기의 전원부에서 제공된 시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테스터기 및 상기 제2 테스터기의 테스트부의 LED 소자가 점멸되는 네트워트 테스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테스터기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 테스터기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통신선로의 양 종단이 상기 제1 테스터기와 상기 제2 테스터기 중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의 전원부와 연결된 모듈러잭과 다른 하나의 테스터기의 전원부가 연결되지 않은 모듈러잭 에 각각 연결될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의 전원부에서 제공된 시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 및 상기 다른 하나의 테스터기의 테스트부의 LED 소자가 점멸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와 상기 테스트부 사이에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시험 신호를 각각의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각각의 테스트선에 특정 전압과 주파수를 가지는 시험 신호로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험 신호의 상기 각 테스트선에 송신되는 시간과 순서를 제어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테스트부는 각각의 상기 LED 소자와 직렬 연결되는 저항 및 상기 LED 소자와 병렬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테스터기의 하우징과 상기 제2 테스터기의 하우징은 형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테스터기 및 상기 제2 테스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자성체가 부가되고, 상기 제1 테스터기 및 상기 제2 테스터기는 자성체에 의해 물리적,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결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테스터기와 상기 제2 테스터기의 하우징은 측단면 형상이 “L”자, “ㄷ”자, “│”자 또는 “ㅡ”자 형상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테스터기는 상기 제1 테스터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홈부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테스터기의 하우징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테스터기의 하우징에 함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테스터기의 돌출부가 상기 제1 테스터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함몰부에 결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테스터기 및 상기 제2 테스터기의 모듈러잭은 STP(Shielded Twisted Pair) 통신 케이블의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기저 레벨을 갖고, 하나 이상의 차폐층으로 구성된 접지선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신 케이블의 상기 모듈러잭과 연결되는 테스트선과 테스트선 상에 LED 소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 내측에 플러그 장착시 상기 전원부 내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 또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테스트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에 장착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에서 제거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이 해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 내측에 플러그 장착시 상기 전원부로부터 시험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에 장착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시험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에 제거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시험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에 장착시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와 물리적,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테스터기와 상기 제2 테스터기 분리시 상기 제1 테스터기, 상기 제2 테스터기, 또는 상기 제1 테스터기와 상기 제2 테스터기 모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트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며, 복수의 통신선을 구비하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네트워트 테스터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한 쌍의 모듈러잭; 각각의 상기 모듈러잭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테스트선 상에 LED 소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테스트부; 한 쌍의 모듈러잭 중 하나의 모듈러잭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테스트부 사이에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시험 신호를 각각의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각각의 테스트선에 특정 전압과 주파수를 가지는 시험 신호로 변환하거나 송신되는 시간과 순서를 제어하여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터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테스트부는 각각의 상기 LED 소자와 직렬 연결되는 저항 및 상기 LED 소자와 병렬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듈러잭은 상기 통신선로에 포함된 접지선을 구성하는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테스트선과 테스트선 상에 LED 소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에 의하면,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가 각각 시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능동 테스터기 또는 시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동 테스터기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테스터기의 활용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에 의하면,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테스터기에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아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배터리 방전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에 의하면,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가 형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테스터기에 자성체 또는 상호 결합(interlocking) 요소가 부가되어, 상호 결착되어 보관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의 분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으로 테스팅 가능한 통신선로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가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가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가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한 쌍의 테스터기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한 쌍의 테스터기의 결착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의 테스터기에 구비된 모듈러잭의 작동 과정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으로 테스팅 가능한 통신선로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은 외부 통신망(60)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장비(10, 70); 상기 네트워크 장비(10, 70)에 통신 케이블(200)로 연결 가능한 패치패널(20); 상기 패치패널(20)과 통신 케이블(200)에 의하여 연결된 통신수구(30); 상기 네트워크 장비(10), 상기 패치패널(20) 및 상기 통신수구(30) 등을 통신 케이블(200)을 통해 다단계로 연결하는 통신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은 각각의 통신선로의 연결 상태 또는 각각을 연결하는 통신 케이블에 의한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비(10) 및 패치패널(20)은 일반적으로 통신실에 위치하고, 각각의 통신수구(30)는 이격된 통신 수요자 공간에 구비되어 PC, 전화기 또는 프린터 등에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공유기 등의 허브(80)가 적용되어 통신선로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10)는 네트워크 스위치일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통신망(60)과 연결된 라우터(70) 등에 연결되거나,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L3 스위치로서 직접 외부 통신망과 연결될 수도 있고, 근거리 구내 통신망(LAN)을 구성할 때 단말기간 집선 장치로 자료교환(스위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10)는 여러 개의 통신수구(3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 속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 단말기의 주소 번지(MAC 주소)를 판단하고 그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포트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10)와 통신수구(30)는 패치패널(2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치패널(20)은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수구(30)를 통신 케이블(200)로 연결하여 연장시킨 포트들의 집합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유닛을 말한다.
즉, 상기 네트워크 장비(10)와 통신수구(30)는 패치패널(20)을 매개로 접속될 수 있으며, 패치패널(20)과 통신수구(30)는 통신 케이블(20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장비(10), 패치패널(20) 등이 접지(ground)된 상태에서 접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금속 차폐층이나 금속 와이어 등을 구비하는 통신 케이블이 상기 접지된 네트워크 장비(10)와 패치패널(20)에 구비된 각 모듈러잭(2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공통 접지된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1)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통신선로를 구성하는 STP 또는 UTP 등의 통신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4개의 페어유닛, 즉 8개의 절연선(도 8의 210 참조)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통신 케이블이 연결되어 구성된 통신선로는 각 통신 케이블의 절연선들이 연결되어 '통신선(도 11의 310)'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통신선의 단선 등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통신선로의 양단에 테스터기를 연결하여 복수의 통신선에 시험 신호를 제공하여 테스터기의 조명 점등 여부를 확인하는 테스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스터기들은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테스터기가 전용으로 구성되어, 한 장소에서 각 통신 케이블의 양단을 테스터기에 연결하여 각 통신 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는 테스트(이하, '셀프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테스터기를 동시에 사용해야 하고, 셀프 테스트와 원격 테스트를 작업자마다 자유롭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작업자마다 마스터 테스터기와 슬레이브 테스터기 모두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터기는 단일 테스터기로 셀프 테스트가 가능하고 원격 테스트 시에는 마스터 테스터기 또는 슬레이브 테스터기 모두로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가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가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은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테스터기는 기능과 형상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각각의 테스터기(600a, 600b)는 각각 2개의 모듈러잭(610, 660)이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모듈러잭은 해당 테스터기가 시험 신호를 제공하는 마스터 테스터기 또는 능동형 테스터기로 사용되어 통신선로의 일단에 플러그가 장착되고, 다른 모듈러잭은 해당 테스터기가 시험 신호를 제공받는 슬레이브 테스터기 또는 수동형 테스터기로 사용되어 통신선로의 타단에 플러그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각각의 테스터기는 전술한 셀프 테스트의 경우에도 제1 테스터기(600a) 또는 제2 테스터기(600b)의 양 모듈러잭에 하나의 통신 케이블의 양 플러그를 장착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테스터기와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은 통신선로의 복수의 통신선에 시험 신호를 인가하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LED 소자(621)에서의 점등 태양으로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테스트할 수 있다. 통상적인 UTP 케이블의 경우, 8개의 절연선을 구비하므로, LED 소자(621) 역시 8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통신선의 단선 또는 결선 등의 이상 유무 판단을 위한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통신선로가 하나 이상의 페어유닛을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차폐층으로 감싸는 STP(Shielded Twisted Pair) 통신 케이블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상기 통신 케이블의 차폐층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양 종단 간 동일한 전기적 기저 전위를 제공하거나, 상기 각 통신 케이블 간을 연결시 접지가 되어있는 네트워크 장비나 패치패널의 모듈러잭 등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접지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매체인 '접지선(340)'을 구성할 수 있다.
접지선의 이상 유무 역시 테스트 대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테스터기에는 9개의 LED 소자(621)가 구비되어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제1 테스터기(600a)의 하우징(640)과 상기 제2 테스터기(600b)의 하우징(640)은 형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형상이 형합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형합된 상태 또는 결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에 자성체(650) 또는 상호 결합(interlocking) 요소를 부가하여 자력에 의하여 테스터기 간의 형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650)는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에 부가하고 다른 하나의 테스터기에는 상기 자성체에 부착 가능한 금속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테스터기(600a)와 상기 제2 테스터기(600b)의 하우징(640)은 측단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형합된 상태에서의 부피가 최소화되고 모듈러잭 내부로 이물질 침투도 방지될 수 있도록 결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우징(640)의 후면에 자성체(650)가 구비되어 후면끼리 결착되도록 구성된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테스터기(600a)와 상기 제2 테스터기(600b)의 하우징(640)의 후면은 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형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되 자성체 장착 부위는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가 결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각각의 테스터기는 2개의 모듈러잭(610, 660)을 구비하고, 각각의 테스터기 시험 신호를 공급하는 능동형 또는 마스터 테스터기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능동형 또는 마스터 테스터기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시험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부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상기 전원부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비용과 공간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회로 부품이 추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2개의 테스터기 중 하나의 테스터기는 전원부(690)가 구비되지 않은 수동형 또는 슬레이브 형태의 테스터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테스터기(600a)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능동형과 수동형을 모두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2 테스터기(600b)는 전원부(690)가 구비되지 않은 수동형 테스터기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 테스터기(600b)에 모듈러잭도 하나만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640) 전면으로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LED 소자(621) 역시 1세트, 예를 들면 8개 또는 9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원부(690)를 구비하지 않는 상기 제2 테스터기(600b)는 시험 신호를 송신하지 않으므로 시험 신호 송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LED 소자 세트는 제외될 수 있다.
제2 테스터기(600b)를 수동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전원부(690)가 생략되므로 테스터기 자체의 크기가 소형화가 가능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테스터기(600b)는 제1 테스터기(600a)의 하우징(640)의 전면의 융기부(641, 643)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에 형합되어 결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예보다 소형화 컴팩트화에 유리하게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테스터기(600a) 또는 상기 제2 테스터기(600b)의 하우징(640)은 측단면 형상이 “”자, “ㄷ”자, “│”자 또는 “ㅡ”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형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도 11에 도시된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의 결착 구조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는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가 “L”자, “ㄷ”자로 구성되고, 수동형 제2 테스터기(600b)가 상기 제1 테스터기(600a) 내측 홈에 안착되는 구조였으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와 수동형 제2 테스터기(600b)가 각각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수동형 제2 테스터기(600b)가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의 일측면에 결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의 측면은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고 모듈러잭이 구비되지 않은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하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하면 면적과 수동형 제2 테스터기(600b)의 장측면의 면적은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와 수동형 제2 테스터기(600b)가 결착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바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와 수동형 제2 테스터기(600b)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독립적으로 바형태 또는 육면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와 수동형 제2 테스터기(600b) 중 적어도 하나의 테스터기의 후면 등에는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미끄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착 분리 구조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 일측에 함몰부(643)를 구비하고 수동형 제2 테스터기(600b)에 돌출부(645)를 구비하고, 양 테스터기의 결착시 제2 테스터기(600b)의 돌출부가 제1 테스터기(600a)의 함몰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위치 결정 기능과 함께 고정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와 함몰부는 공차를 조절하여 압입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각각 자성체 또는 그와 반응하는 금속재를 장착하여 자력에 의한 결착력이 제공되는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능동형 제1 테스터기(600a) 일측에 함몰부(643)를 구비하고 수동형 제2 테스터기(600b)에 돌출부(645)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양 테스터기의 결착면에 자성체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은 2개의 테스터기(600a, 6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에 포함된 테스터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선로(300)를 구성하는 STP 또는 UTP 등의 통신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4개의 페어유닛, 즉 8개의 절연선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통신 케이블이 연결되어 구성된 통신선로는 각 통신 케이블의 절연선들이 연결되어 통신선(310)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트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며 복수의 통신선(310)을 구비하는 통신선로(30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네트워트 테스팅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640),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한 쌍의 모듈러잭(610, 660), 각각의 상기 모듈러잭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각각의 테스트선(625) 상에 각각의 LED 소자(621)를 구비하는 테스트부(630), 한 쌍의 모듈러잭 중 하나의 모듈러잭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690)를 구비하는 제1 테스터기(600a); 하우징(640'),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모듈러잭(610', 660') 및 상기 모듈러잭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테스트선(625') 상에 구비되는 LED 소자(621')를 구비하는 테스트부(630)를 구비하는 제2 테스터기(600b);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선로가 상기 제1 테스터기(600a)의 전원부(690)가 연결된 모듈러잭(610)과 상기 제2 테스터기(600b)의 전원부를 구비하지 않는 모듈러잭(660')을 통해 연결된 후 상기 제1 테스터기(600a)의 전원부(690)에서 제공된 시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테스터기(600a) 및 상기 제2 테스터기(600b)의 테스트부의 LED 소자(621, 621')가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테스터기(600a, 600b)와 통신선로(300) 연결시 상기 통신선로의 종단 형태에 따라케이블 양단에 플러그를 구비한 테스트용 패치코드(400)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한 쌍의 테스터기(600a, 600b) 각각은 모두 전원부(690)를 구비하여, 마스터(능동형) 테스터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테스터기를 구성하는 2개의 모듈러잭(610, 660) 중 하나의 모듈러잭에만 테스트부(630)와 전원부(690)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모듈러잭은 테스트부(630)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으로 특정 통신선로를 테스트하는 경우, 상기 통신선로의 종단 형태에 따라 각 테스터기와의 연결을 위해 케이블 양단에 플러그를 구비한 형상의 테스트용 패치코드(400)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테스트 대상 통신선로의 양단과 능동 모듈러잭(610)과 수동 모듈러잭(660)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전원부(690)에서 공급된 시험 신호의 전류는 전원부(690)가 구비된 제1 테스터기(600a)의 LED 소자(621)를 점등시키고, 테스트 대상 통신선로의 통신선 일단으로 공급되어 타단으로 전달되며, 상기 전달된 시험 신호는 제2 테스터기(600b)의 수동 모듈러잭(660)과 연결된 테스트부(630')의 LED 소자(621')를 점등시키게 된다.
각각의 테스터기의 테스트부(630)는 LED 소자(621) 외에도 LED 소자(621)의 보호를 위하여 LED 소자(621)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622), 상기 LED 소자(621)와 병렬로 연결되며 LED 소자(621)와 역방향 다이오드(62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테스터기(600b)의 수동 모듈러잭(660')과 연결된 테스트부(630')는 통신선로(300)의 통신선(3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테스트 과정에서 LED 소자(621')의 발광을 위한 폐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테스터기(600a)의 전원부(690)에서 상기 1번 테스트선(625-1)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제1 테스터기(600a)의 1번 LED 소자(621-1)가 점등되고 이와 대응되는 제2 테스터기(600b)의 1번 LED 소자(621'-1)가 점등되면, 해당 통신선로의 통신선(310-1)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통신선(310)이 문제가 없으면 통신 케이블(200)도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복수개의 통신 케이블(200)을 통해 연결된 통신선로(300)도 동일한 방법으로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과정은 테스트선(625)의 개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테스터기(600a)의 전원부(690)와 테스트부(630) 사이에 상기 전원부(690)와 상기 테스트부(630) 사이에 상기 전원부(690)에서 제공되는 시험 신호를 제어하여 각각의 테스트선(625-1 내지 8)에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6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690)에서 제공되는 시험 신호를 상기 테스트선에 그대로 시험 신호로 공급(bypass) 하거나, 상기 시험 신호를 특정 전압과 주파수를 가지는 시험 신호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시험 신호가 상기 각 테스트선에 송신되는 시간과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전원부(690)에서 시험 신호가 공급되기 시작하면, 테스트 대상 통신선로를 구성하는 통신선에 순차적으로 시험 신호를 공급하고, 각각의 테스터기를 관찰하는 작업자는 LED 소자(621)가 순차적 점등을 확인하여 통신선로의 이상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모듈러잭(610)에만 테스트부(630)와 전원부(690)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모듈러잭은 테스트부(630)만 구비하는 각각의 테스터기(600a, 600b)는 하나의 통신 케이블의 양단을 하나의 테스터기의 양 모둘러잭(610, 660)에 연결하여 통신 케이블의 절연선들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테스트 방법은 전원부(690)에서 시험 신호가 공급되기 시작하면, 테스트 대상 통신 케이블의 통신선로를 구성하는 절연선에 순차적으로 시험 신호를 공급하고, 각각의 테스터기를 관찰하는 작업자는 LED 소자(621)가 순차적 점등을 확인하여 통신선로의 이상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음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전원부(690)를 구비한 테스터기는 사용시에만 전원부가 테스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위해 전원 스위치(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S)는 상기 전원부(690) 내부, 상기 전원부(690)와 상기 제어부(680) 사이, 또는 상기 제어부(680)와 상기 테스트부(630)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S)가 연결 해제(off)된 상태인 경우 전원부(690)를 구비한 테스터기는 전원을 전혀 소모하지 않거나(power off mode), 매우 적은 전력만을 소모하는 대기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S)가 연결(on)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부(690)를 구비한 테스터기는 테스트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력을 소모하는 동작 모드(operation mode)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은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 스위치를 생략하였으므로, 전술한 테스트용 패치코드(미도시)의 플러그가 전원부(690)를 구비한 테스터기의 능동 모듈러잭(610)에 장착되는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결착된 제1 테스터기(600a)와 제2 테스터기(600b)가 분리되는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도 12 및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의 테스터기에 구비된 모듈러잭의 작동 과정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모듈러잭은 RJ45 규격의 모듈러잭일 수 있고, 탄성 변형되는 모듈러잭핀(611) 통신선의 수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후방에 접속되는 통신 케이블(200)은 통신선의 수에 대응하는 절연선(21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절연선은 기판에 장착된 커넥팅핀(613)을 통해 모듈러잭의 모듈러잭핀(611)과 연결될 수 있다. 모듈러잭에 접속되는 통신 케이블(200) 역시 통신선에 대응하는 수의 절연선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모듈러잭은 전원이 공급되는 능동 모듈러잭(610)이고, 전원 스위치(S)는 능동 모듈러잭(610)에 전술한 전송선로 또는 테스트용 패치코드(미도시)의 플러그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플러그가 물리적으로 전원 스위치(S)를 가압하고, 가압된 전원 스위치(S)는 연결 상태가 되어 상기 전원부(690)로부터 테스터기에 테스트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능동 모듈러잭(610)에 플러그가 장착된 경우에만 제1 테스터기(600a)의 전원부나 제어부는 시험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테스트 작업이 종료된 후 플러그가 능동 모듈러잭(610)에서 분리되면 자동으로 상기 전원부(690)에서 전원이 차단되거나 시험 신호를 생성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상기 스위치(S)는 상기 전원부(690)와 제어부 사이에 연결(와이어 방식, 패턴 방식 또는 솔더링 방식)된 상태로 모듈러잭의 하우징 플러그 삽입구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잭(610)의 하우징 입구로 플로그(320)가 삽입되면 플러그에 의하여 스위치게 터치 또는 가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모듈러잭(610)의 하우징 내부에 스위치(S)가 구비되고, 플러그(320)가 모듈러잭(610)의 입구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플러그(320)의 하우징의 바디(323) 또는 레치(322)가 스위치(S)를 가압하는 구조를 채용한다. 따라서, 플러그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는 계속 가압되어 전원부 또는 제어부의 시험 신호 인가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플러그(320)를 모듈러잭(61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320)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레치(322)를 눌러 레치(322)가 스위치(S)로부터 분리되는 시점 또는 스위치(S)에서 플러그(320)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바디(323)가 분리되는 시점부터 시험 신호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시험 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는 가압식 스위치가 아닌 자성체를 통해 결착된 제1 테스터기(600a)와 제2 테스터기(600b)가 분리시 자성체와 연계된 전원 스위치일 수 있다. 자성체 연계 전원 스위치는 마그네틱 스위치(미도시)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테스터기(600a)와 제2 테스터기(600b)가 분리된 경우에만 테스터기(600)의 전원부(690)는 시험 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되고, 테스트 작업이 종료된 후 제1 테스터기(600a)와 제2 테스터기(600b)가 결착되면 자동으로 상기 전원부(690)에서 전원이 차단되도록 자성체 연계 전원 스위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되어야 하는 별도의 전원 스위치(S) 등이 없어도 테스터기에서 테스트용 패치코드의 플러그를 분리하거나 제1 테스터기(600a)와 제2 테스터기(600b)를 결착하는 것만으로 배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모듈러잭은 제1 테스터기(600a)와 제2 테스터기(600b)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통신선로의 양단을 각 테스터기의 모듈러잭 중 하나에 연결하되, 하나의 테스터기의 모듈러잭은 시험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능동 모듈러잭(610)을 선택하고, 나머지 테스터기의 모듈러잭은 수동 모듈러잭(660)을 선택한다면 테스트 방향을 바꿔서도 동일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통신선로의 양단을 제1 테스터기(600a)의 능동 모듈러잭(610)과 제2 테스터기(600b)의 수동 모듈러잭(660')과 연결하여 일방향으로 시험 신호를 공급하는 일방향 테스트를 수행하거나, 통신선로의 양단을 제1 테스터기(600a)의 수동 모듈러잭(660)과 제2 테스터기(600b)의 능동 모듈러잭(610')과 연결하여 타방향으로 시험 신호를 공급하는 타방향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두 작업자 중 한 작업자는 능동 모듈러잭을 사용하고 나머지 작업자는 수동 모듈러잭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작업 조건에 따라 일방향과 타방향 테스트 중 적합한 테스트를 선택하여 테스트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두 작업자 중 한 명의 테스터기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타 작업자가 보유한 테스터기를 마스터 테스터기로 사용하여 테스트 작업을 지속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1000)은 STP(Shielded Twisted Pair) 통신 케이블로 구성된 통신선로의 접지선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1 테스터기(600a) 및 상기 제2 테스터기(600b)의 모듈러잭은 STP 통신 케이블로 구성된 통신선로의 접지선(34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신 케이블의 차폐층(340)은 상기 모듈러잭의 하우징을 감싸며 포함될 수 있는 금속 재질의 접지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듈러잭의 접지부와 연결되는 테스트선(625) 및 테스트선 상에 LED 소자(6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지부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STP 통신 케이블의 차폐층은 페어별 노이즈 영향 또는 인접 케이블 간의 상호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STP 통신 케이블의 차폐층(340)은 모듈러잭의 접지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8개의 테스트부가 구비되나,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차폐층을 위한 추가적인 테스트부(6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지선로 역시 통신선로의 테스트 방법과 동일한 원리로 테스트될 수 있다. 즉, 통신 케이블의 차폐층은 상기 모듈러잭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 시키고, 시험 신호를 테스트선(625s)으로 전송하여, LED 소자(621), 저항(622) 및 병렬로 연결되는 역방향 다이오드(623)를 부가하여 상기 전원부(690) 또는 제어부(680)에서 공급된 시험 신호에 의한 LED 소자(621)의 점등 여부를 통해 접지선(34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통신선로 양측에 구비된 모듈러잭 하우징(640) 등의 접지부가 정상적인 접지(ground) 상태이면 시험 신호는 차폐층과 정상적인 전위차를 가지는 레벨로 테스트선으로 전송되고, 이때 테스트선과 연결된 회로의 LED 소자가 정상적으로 점멸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접지부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LED 소자는 정상적으로 점멸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 쌍의 테스터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4을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의 경우, 각각의 테스터기가 능동 모듈러잭(610)과 수동 모듈러잭(660) 모두를 구비하고,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테스터기(600a, 600b) 내부에 전원부(690)와 제어부(680)가 모두 구비되는 구조를 채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테스터기(600b)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모듈러잭(660)만을 구비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터기 내부에 전원부와 제어부는 생략하고 테스트부(630)만 구비하여 하여 크기를 소형화하고 비용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트 테스터기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직육면체 9V 건전지이므로, 무게와 크기가 커 테스터기의 크기가 증가되나, 도 15에 도시된 수동 테스터기의 경우, 전원부와 제어부 그리고 능동 모듈러잭을 생략하는 경우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테스터기(600b)의 크기와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비용도 낮출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0 :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200 : 통신 케이블
600 : 테스터기
610, 660: 모듈러잭

Claims (20)

  1. 복수의 통신선을 구비하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네트워트 테스팅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한 쌍의 모듈러잭, 각각의 상기 모듈러잭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각각의 테스트선 상에 각각의 LED 소자를 구비하는 테스트부, 한 쌍의 모듈러잭 중 하나의 모듈러잭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구비하는 제1 테스터기;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모듈러잭 및 상기 모듈러잭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테스트선 상에 구비되는 LED 소자를 구비하는 테스트부를 구비하는 제2 테스터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선로의 양 종단이 상기 제1 테스터기의 전원부가 연결된 모듈러잭과 상기 제2 테스터기의 모듈러잭에 각각 연결될 경우, 상기 제1 테스터기의 전원부에서 제공된 시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테스터기 및 상기 제2 테스터기의 테스트부의 LED 소자가 점멸되는 네트워트 테스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터기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 테스터기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통신선로의 양 종단이 상기 제1 테스터기와 상기 제2 테스터기 중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의 전원부와 연결된 모듈러잭과 다른 하나의 테스터기의 전원부가 연결되지 않은 모듈러잭 에 각각 연결될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의 전원부에서 제공된 시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테스터기 및 상기 다른 하나의 테스터기의 테스트부의 LED 소자가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상기 테스트부 사이에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시험 신호를 각각의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각각의 테스트선에 특정 전압과 주파수를 가지는 시험 신호로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험 신호의 상기 각 테스트선에 송신되는 시간과 순서를 제어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부는 각각의 상기 LED 소자와 직렬 연결되는 저항 및 상기 LED 소자와 병렬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터기의 하우징과 상기 제2 테스터기의 하우징은 형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트 테스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터기 및 상기 제2 테스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자성체가 부가되고, 상기 제1 테스터기 및 상기 제2 테스터기는 자성체에 의해 물리적,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터기와 상기 제2 테스터기의 하우징은 측단면 형상이 “L”자, “ㄷ”자, “│”자 또는 “ㅡ”자 형상으로 구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터기는 상기 제1 테스터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홈부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터기의 하우징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테스터기의 하우징에 함몰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테스터기의 돌출부가 상기 제1 테스터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함몰부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터기 및 상기 제2 테스터기의 모듈러잭은 STP(Shielded Twisted Pair) 통신 케이블의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기저 레벨을 갖고, 하나 이상의 차폐층으로 구성된 접지선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신 케이블의 상기 모듈러잭과 연결되는 테스트선과 테스트선 상에 LED 소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 내측에 플러그 장착시 상기 전원부 내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 또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테스트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에 장착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에서 제거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이 해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 내측에 플러그 장착시 상기 전원부로부터 시험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에 장착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시험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에 제거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시험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모듈러잭의 플러그 장착구에 장착시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와 물리적,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테스터기와
    상기 제2 테스터기 분리시 상기 제1 테스터기, 상기 제2 테스터기, 또는 상기 제1 테스터기와 상기 제2 테스터기 모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18. 네트워트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며, 복수의 통신선을 구비하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네트워크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네트워트 테스터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한 쌍의 모듈러잭;
    각각의 상기 모듈러잭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테스트선 상에 LED 소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테스트부;
    한 쌍의 모듈러잭 중 하나의 모듈러잭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테스트부 사이에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시험 신호를 각각의 상기 통신선에 대응하는 각각의 테스트선에 특정 전압과 주파수를 가지는 시험 신호로 변환하거나 송신되는 시간과 순서를 제어하여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테스트부는 각각의 상기 LED 소자와 직렬 연결되는 저항 및 상기 LED 소자와 병렬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테스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잭은 상기 통신선로에 포함된 접지선을 구성하는 차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접지부와 연결되는 테스트선과 테스트선 상에 LED 소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터기.
KR1020220008780A 2021-09-10 2022-01-20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KR20230038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0500 WO2023038276A1 (ko) 2021-09-10 2022-07-19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708 2021-09-10
KR20210120708 2021-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072A true KR20230038072A (ko) 2023-03-17

Family

ID=8587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780A KR20230038072A (ko) 2021-09-10 2022-01-20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80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4921B2 (en) Systems, equipment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racking cable connections and for identifying work area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ng communications networks
JP4822560B2 (ja) デュプレクスプラグアダプタモジュール
US7193422B2 (en) Patch panel system
JP4938647B2 (ja) モジュール付きパッチパネル
US83400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layer connectivity
US5552962A (en) Interconnect and cross-connect equipment including jack panel
US9196999B2 (en) Two-part modular connector and smart managed interconnect link using the two-part modular connector
US7147519B2 (en) Hybrid plug connector
EP2850704B1 (en) A keystone jack for use in a computing network
KR102478530B1 (ko)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KR20230038072A (ko)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US7362590B2 (en) Patch panel with modules
WO2023038276A1 (ko)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WO2012057980A2 (en) Telecommunication connecting device
KR102011711B1 (ko) 포트 확장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KR20220110891A (ko) 통신용 패치코드 및 패치코드 테스터기
US7013008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monitored alarm system to telephone lines within a telephone network interface
KR200313350Y1 (ko) 멀티체크폰
AU2004311206B2 (en) Connector socket
KR20210023775A (ko) 통신케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KR20120078920A (ko) 로터리 방식의 콘솔 연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