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530B1 -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530B1
KR102478530B1 KR1020220001220A KR20220001220A KR102478530B1 KR 102478530 B1 KR102478530 B1 KR 102478530B1 KR 1020220001220 A KR1020220001220 A KR 1020220001220A KR 20220001220 A KR20220001220 A KR 20220001220A KR 102478530 B1 KR102478530 B1 KR 10247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etwork
circuit board
outpu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성
이정석
Original Assignee
마루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루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1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3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패치 패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스위치와 단말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네트워크 스위치와 단말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아웃렛 포트 또는 단말장치가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표시램프에 표출할 수 있도록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다수의 입력 포트를 포함하는 입력 포트부와; 상기 아웃렛의 아웃렛 포트로 연결되는 다수의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다수의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출력 포트부와; 상기 입력 포트부와 출력 포트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도선을 포함하는 상호 접속부와; 상기 상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상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다수의 출력 포트에 소정의 진단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전원 출력부와; 상기 상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아웃렛 포트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진단부와;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출력 포드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LED가 다양한 표시색을 외부로 표출하도록 하는 표시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LED PATCH PANEL HAVING THE FUNCTION OF NETWORK STATUS DIAGNOSIS}
본 발명은 패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스위치와 단말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네트워크 스위치와 단말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아웃렛 포트 또는 단말장치가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표시램프에 표출할 수 있는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패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패치 패널(Patch Panel)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어 기업의 사내 통신망 내지 아파트 단지내 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단자함이다.
일반적으로 패치 패널은 네트워크 스위치의 각 포트에 대응하는 입력 포트와,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를 구비한다. 또한, 출력 포트는 단말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아울렛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복수의 패널 포트들과 복수의 아웃렛 포트들은 패치 코드를 통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네트워크 스위치와 단말장치 사이의 정확한 연결을 위해서는, 특정 패널 포트가 어느 아웃렛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하는데 복수의 패널 포트가 복수의 아웃렛 포트들에 불규칙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로 연결된 포트를 찾기는 거의 불가능한다.
종래에는 서로 연결된 포트를 찾기 위하여, 패널 포트와 아웃렛 포트 각각에 테스트 장치를 접속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그 연결 쌍을 일일이 찾는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패널 포트와 아웃렛 포트의 모든 쌍을 일일이 시험해야 하므로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떤 단말장치의 네트워크가 불량할 때 패치 패널과 네트워크 스위치를 연결한 패치 코드를 제거한 후 각 포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해야 하므로 네트워크에 이상이 없는 단말장치의 네트워킹이 불가하게 되어 이상이 없는 단말장치까지 업무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패널 포트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LED가 설치된 LED 패치 패널이 개발되었다. LED 패치 패널은 아웃렛 포트와 연결된 패널 포트가 현재 사용중인 포트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서로 상이한 색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해당 포트가 사용중인 포트인지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중인 포트와 미사용 포트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LED 패치 패널은 회선의 전기적 연결 상태 및 단선 등을 확인하는 정도에 그침으로 인해, 단말장치에 연결된 패치 코드를 찾고자 할 때 별도의 랜 테스터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와 LED 패치 패널은 원거리로 떨어져 있으므로, 이격된 포트에 한 쌍의 랜 테스터를 접속하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매칭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134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95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6908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패치 패널과 네트워크 스위치를 패치 코드로 연결하여 복수의 단말장치를 연결할 경우 특정한 단말장치의 네트워크가 불량할 때 패치 패널과 네트워크 스위치를 연결한 패치 코드를 제거한 다음 각 통신 포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단말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에 이상이 발생할 때, 패치 패널에서 소정의 진단 전압을 다운링크 쪽으로 인가하고, 해당 아웃렛 포트로부터 수신되는 진단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케이블이 단선 되었는지 단말장치가 아울렛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지 현재 단말장치를 사용하고 있는지 등의 여부를 판단한 후 이를 표시램프를 통해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은,
네트워크 스위치와 아웃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단말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LED를 통해 표시하는 LED 패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다수의 입력 포트를 포함하는 입력 포트부와;
상기 아웃렛의 아웃렛 포트로 연결되는 다수의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다수의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출력 포트부와;
상기 입력 포트부와 출력 포트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도선을 포함하는 상호 접속부와;
상기 상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상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다수의 출력 포트에 소정의 진단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전원 출력부와;
상기 상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아웃렛 포트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진단부와;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출력 포드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LED가 다양한 표시색을 외부로 표출하도록 하는 표시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상호 접속부는,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서로 대응하는 1번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송신 라인(Tx+)과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서로 대응하는 6번 핀 사이를 연결하는 수신 라인(RX-)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는 상기 수신 라인을 통해 상기 아웃렛 포트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전압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램프의 표시색을 제어하고, 상기 출력 포트와 아웃렛 포트 사이의 네트워크에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해당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송신 라인과 수신 라인을 모두 단선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 출력부에서 단선된 송신 라인에 소정의 진단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수신 라인을 통해 아웃렛 포트로부터 수신되는 진단 전압을 검출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램프의 표시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는,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수신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입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신호 비교부와;
상기 신호 비교부에서 비교한 결과가 정해진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직전 비교 결과대비 변동 폭이 큰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표시램프에서 표시되는 색상이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연산 제어부와;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상기 신호 비교부에서 비교한 결과한 누적적으로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연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램프의 LED를 점멸하거나 그 표시색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포트부, 출력 포트부, 상호 접속부, 스위치부, 전원 출력부 및 네트워크 진단부가 설치된 메인회로기판과;
상기 표시램프가 설치된 서브회로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전면측 하단부에는 다수의 입력 소켓이 상기 상호 접속부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후면측 상단부에는 다수의 출력 소켓이 상시 상호 접속부의 타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전면측 상단부에는 상기 서브회로기판을 평행하게 설치하되,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서브회로기판 사이에 다수의 커넥터블록과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서브회로기판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네트워크 진단부와 상기 서브회로기판의 표시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입력 소켓과 출력 소켓은 RJ45 모듈러 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블록은 상기 서브회로기판의 후면 상단부에 설치된 전면블록과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전면 상단부에 설치된 후면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블록의 후면에는 상기 후면블록이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며, 기 전면블록의 삽입부에는 다수 개의 접속핀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면블록의 전면에는 상기 다수 개의 접속핀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다수 개의 전도성 접속홀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패치 패널을 수용하는 패널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패널 브라켓은,
소정 크기의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 및 하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상면판 및 저면판을 일체로 갖는 전면 브라켓과;
상기 전면 브라켓의 전면판과 대응하는 크기의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상단 및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상면판 및 저면판을 일체로 갖는 후면 브라켓과;을 포함하되,
상기 전면판의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회로기판에 설치된 다수의 입력 소켓을 지지 결합하도록 전면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삽입홀의 상부에는 상기 서브회로기판에 설치된 다수의 LED가 삽입되는 다수의 LED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의 상단부에는 상기 메인회로기판에 설치된 다수의 출력 소켓을 지지 결합하도록 후면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의 좌우 양단에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 브라켓의 좌우 양측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측면판이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작업자)는 패치 패널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다운링크 중 어느 포트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 네트워크의 다운링크에 문제를 일으킨 원인이 케이블의 단선인지 단말장치가 꺼진 상태인지 등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점검 및 수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이상이 발생한 때, 별도의 랜 테스트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패치 패널에서 자동으로 해당 출력 포트로 진단 전압을 인가하고 수신 라인으로 수신되는 진단 전압을 검출하여 그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의 다운링크에 문제를 일으킨 원인이 케이블의 단선인지 단말장치가 꺼진 상태인지 등을 표시램프의 표시색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체 패치 패널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LED 패치 패널의 분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LED 패치 패널의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LED 패치 패널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의 회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LED 패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의 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 하부, 위, 상부, 일측, 타측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은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체 패치 패널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이하 'LED 패치 패널'이라 함)을 포함하는 전체 패치 패널 시스템은, 크게 통신망(1), 네트워크 스위치(3), 패치 패널(10), 아웃렛(outlet;5) 및 단말장치(9)를 포함한다.
통신망(1)은 인터넷 망이나 근거리 통신망으로, 네트워크 스위치(3)를 통해 기업의 사내 통신망이나 아파트 단지내 통신망을 통한 단말장치(9)와 신호를 교환한다.
패치 패널(10)은 네트워크 스위치(3)와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스위치(3)로부터 연장되는 패치 코드와 접속되고, 각 단말장치(9)로부터 연장되는 패치 코드가 접속되어 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자함으로 네트워크 스위치(3)와 아웃렛(5) 사이에 개재되어 통신 접속 또는 분배 기능을 수행한다.
아웃렛(5)은 패치 패널(10)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패치 코드가 접속되어 각각의 단말장치(9)로부터 연장되는 패치 코드와 접속될 수 있게 한다.
단말장치(9)는 사무실이나 아파트 등의 통신망과 접속되어 사용하는 컴퓨터 등과 같은 각종 전기통신기기이다.
즉, 패치 패널 시스템은, 통신망(1)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스위치(3)가 패치 패널(10)로 접속되고, 패치 패널(10)에는 복수 개의 패치 코드가 접속되어 각 아웃렛(5)으로 연결되며, 다수의 단말장치(9)는 패치 코드를 통해 아웃렛(5)의 아웃렛 포트에 접속되어, 네트워크 스위치(3)와 단말장치(9)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패치 패널(10)은, 네트워크 스위치(3)와 아웃렛(5) 사이에 개재되어 네트워크 스위치(3)와 단말장치(9) 사이의 신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네트워크 스위치(3)와 단말장치(9) 간의 연결 상태를 LED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입력 포트부(11), 출력 포트부(12), 상호 접속부(22), 스위치부(13), 전원 출력부(14), 네트워크 진단부(25) 및 표시램프(2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25)는 신호 검출부(15)와 진단 제어부(26)를 포함하는 것이다.
입력 포트부(11)는 네트워크 스위치(3)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다수의 입력 포트로 구성된다. 출력 포트부(12)는 아웃렛(5)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다수의 출력 포트로 구성된다.
상호 접속부(22)는 입력 포트부(11)와 출력 포트부(11)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의 입력 포트(111)와 출력 포트(1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도선을 포함한다.
스위치부(13)는 상기 상호 접속부(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속한다. 상기 전원 출력부(14)는 상호 접속부(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13)의 동작에 따라 상기 출력 포트(112)에 소정의 진단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네트워크 진단부(25)는 신호 검출부(15)와 진단 제어부(26)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호 접속부(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아웃렛(5)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압(통신 전압과 진단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3)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표시램프(27)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출력 포드(112)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25)의 지시에 따라 다양한 표시색을 외부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포트부(11)는 네트워크 스위치(3)와 연결되는 다수의 패치 코드가 연결된다. 입력 포트부(11)는 복수의 입력 포트(111)를 포함하고 각 입력 포트에는 각각 삽입홀(111a)이 형성되어 네트워크 스위치(3)와 연결된 패치 코드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입력 포트에 형성된 삽입홀에 네트워크 스위치(3)와 연결된 패치 코드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스위치(3)와 입력 포트부(11) 사이에서 상기 패치 코드를 통해 통신 신호의 전송 및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력 포트부(12)는 단말장치(9)에 전원 및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패치 코드(또는 케이블)가 연결된다. 출력 포트부(12)는 복수의 출력 포트(112)를 포함한다. 복수의 출력 포트에는 각각 삽입홀(112a)이 형성되어 단말장치(9)와 연결된 패치 코드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출력 포트에 형성된 삽입홀에 아웃렛(5)과 연결된 패치 코드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렛(5)에는 복수의 아웃렛 포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따라서 단말장치(9)와 연결된 패치 코드의 플러그를 아웃렛 포트의 삽입홀에 삽입하면 단말장치(9)와 아웃렛(5)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상호 접속부(22)는 다수의 입력 포트와 다수의 출력 포트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도선을 포함한다. 즉, 상호 접속부(22)는 입력 포트부(11)의 각 입력 포트와 이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부(12)의 각 출력 포트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신 신호의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입력 포트나 출력 포트(이하 '패널 포트'라 한다)는 8개의 핀이 구비된다. 8개의 핀은 1번 핀(TX+), 2번 핀(TX-), 3번 핀(RX+), 4번 핀, 5번 핀, 6번 핀(RX-), 7번 핀 및/또는 8번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1번 핀 및 2번 핀은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3번 핀 및 6번 핀은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4번 핀, 5번 핀, 7번 핀 및 8번 핀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지 않고, 전원을 공급해야하는 등의 특별한 상황에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상호 접속부(22)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1번 핀 및 2번 핀 사이를 연결하는 송신 라인(Tx+, Tx-)과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서로 대응하는 3번 핀 및 6번 핀 사이를 연결하는 수신 라인(RX+, RX-)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스위치부(13)는 상기 상호 접속부(22)의 테이터 라인 중 송신 라인(Tx+)과 수신 라인(RX-)에 개재되어 송신 라인(Tx+)과 수신 라인(RX-)을 온(On)/오프(Off)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송신 라인(Tx+)과 수신 라인(RX-)이 끊어지면 네트워크 스위치(3)와 아웃렛(5) 사이의 통신 연결이 끊어지고, 송신 라인(Tx+)과 수신 라인(RX-)이 연결되면, 네트워크 스위치(3)와 아웃렛(5) 사이의 통신 회선이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부(13)는 평상시에는 데이터 라인을 통선(On)시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중 패치 패널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 송신 라인과 수신 라인을 동시에 단선(Off)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상태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13)는 온/오프 동작은 네트워크 진단부(25)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원 출력부(14)는 상기 출력 포트부(12)의 소정의 출력 포트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출력부(14)는 외부전력 입력 모듈과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전력 입력 모듈은 필요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출력부(14)는 입력된 입력 전압을 변환하여 진단 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소정의 출력 포트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출력부(14)는 출력 포트부(12)의 복수의 출력 포트(112)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출력 포트에 연결된 도선을 통해 아웃렛(5)이나 단말장치(9)에 진단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 출력부(14)는 상기 스위치부(13)의 동작에 따라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25)는, 상기 입력 포트부(11)와 출력 포트부(12) 사이의 다수의 수신 라인(RX-)에 연결되어 다운링크 방향의 네트워크 상태를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다운링크(downlink)" 는 패치 패널(10)을 기준으로 아웃렛 방향으로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한 데이터 라인을 의미한다.
즉, 네트워크 진단부(25)는 수신 라인(RX-)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결과 다운링크의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작업자)가 해당 링크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이에 해당하는 표시램프(27)를 외부로 표출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해당 링크의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에 따라 표시램프(27)의 점멸 또는 표시색을 달리 제어함으로써 링크 상태를 구분 가능하게 표시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작업자)는 패치 패널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비정상인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 보수 및 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25)는 해당 링크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위치부(13)를 제어하여 송신 라인(Tx+)과 수신 라인(RX-)을 단선(Off)시킨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13)가 송신 라인(Tx+)과 수신 라인(RX-)을 단선(Off)시키는 동시에 상기 전원 출력부(14)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라인(Tx+)이 전원 출력부(14)와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 출력부(14)에서 인가되는 진단 전압은 해당 출력 포트를 통해 아웃렛 포트나 단말장치(9)로 인가되게 된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25)는 상기 상호 접속부(22)의 수신 라인(RX-)과 접속되어 수신 라인(RX-)를 통해 수신되는 진단 전압을 검출한다. 또한, 네트워크 진단부(25)는 수신된 진단 전압의 결과에 따라 출력 포트부(12)와 아웃렛(5) 사이의 케이블이 단선 되었는지 또는 단말장치(9)가 아웃렛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고 이를 표시램프(27)를 통해 외부로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이 단선 되었을 때와 단말장치(9)가 연결되었을 때에 따라 표시램프(27)의 표시색을 달리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작업자)는 쉽게 문제점을 찾아 내어 유지 보수 및 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진단부(25)는, 크게 신호 검출부(15), 연산 제어부(16), 신호 비교부(17), 램프 구동부(18) 및 메모리(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산 제어부(16)는 신호 검출부(15), 신호 비교부(17), 램프 구동부(18) 및 메모리(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상 제어부(16)는 상기 스위치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검출부(15)는 상기 상호 접속부(22)의 수신 라인(RX-)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산 제어부(16), 신호 비교부(17), 램프 구동부(18) 및 메모리(19)는 진단 제어부(26)로 표현될 수도 있다.
먼저, 신호 검출부(15)는 입력 포트부(11)와 출력 포트부(12) 사이에 형성되는 통신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신호 검출부(15)는 입력 포트부(11)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부(12)의 출력 포트 사이를 연결하는 수신 라인(RX-)과 연결되어 해당 라인의 통신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검출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신호 검출부(15)는 일정 시간 구간 동안 입력 포트부(11)와 출력 포트부(12) 사이에 형성되는 통신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수신 라인((RX-)에서 검출되는 통신 전압은 네트워크 스위치(3)와 단말장치(9) 간의 통신 이상 상태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검출부(15)는 상기 전원 출력부(14)와 출력 포트부(12) 사이에 형성된 진단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진단 전압과 통신 전압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진단 접압은 1~2V일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부(13)의 작동에 따라 입력 포트부(11)와 출력 포트부(12) 사이에 형성된 송신 라인(TX+)과 수신 라인((RX-)을 단선(Off)시키는 동시에 상기 전압 출력부(14)를 단선된 송신 라인(TX+)과 연결하여 진단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신호 검출부(15)는 수신 라인(RX-)으로 수신되는 진단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라인((RX-)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단말장치(9)의 이상 상태 또는 케이블의 이상 상태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 검출부(15)에서 검출된 통신 전압과 진단 전압은 다운링크의 통신 이상 상태 및 단말장치(9)와 케이블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일 수 있다.
상기 신호 비교부(17)는 신호 검출부(15)에서 검출된 전압과 후술하는 메모리(19)에 저장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신호 비교부(17)는 비교 결과를 연산 제어부(16)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산 제어부(16)는 검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표시램프(27)에 표시되는 색상이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연상 제어부(16)는 비교 결과가 정해진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직전 비교 결과대비 변동 폭이 큰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산 제어부(16)는 표시램프(27)를 제어하여 LED를 점멸하거나 표시색을 변경할 수 있고, 스위치부(13)를 제어하여 송신 라인(Tx+)과 수신 라인(RX-)을 단선(Off)시킬 수 있다.
메모리(19)는 검출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한 비교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출력 포트부(12)의 각 출력 포트에 연결된 다운링크의 통신 상태와 다운링크 케이블 및 단말장치(9)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비교 결과가 상기 메모리(19)에 누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9)에 저장된 비교 결과는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치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 구동부(18)는 연산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표시램프(27)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램프(27)는 출력 포트부(12)의 출력 포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LED는 입력 포트부(11)와 출력 포트부(12)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램프 구동부(18)는 색상 제어 신호에 따라 표시램프의 표시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표시램프(27)는 녹색을 표시하나, 색상 제어 신호에 따라 표시 램프는 적색 또는 황색을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표시램프(27)에 표시되는 색상의 변경을 통해 문제가 발생한 출력 포트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문제가 발생한 출력 포트에 연결된 케이블 또는 단말장치(9)에 대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관리자는 메모리(19)에 저장된 비교 결과를 통해 단말장치(9)에 공급되는 통신의 정상 여부 또는 케이블의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가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어 열화가 가속화되는 구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모니터링을 통해 출력 포트부(12)의 각 출력 포트에 연결된 케이블 및 단말장치(9)의 상태를 계속해서 파악할 수 있고, 이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의 교체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패치 패널(10)은 패치 코드를 통해 네트워크 스위치(3)와 연결될 수 있고 또 패치 코드를 통해 아웃렛에 연결될 수 있으며, 아웃렛은 패치 코드를 통해 다수의 단말장치(9)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LED 패치 패널(10)은 통신 전압뿐만 아니라 전원 출력부(14)에서 단말장치(9)로 인가되는 진단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전압과 비교전압을 비교하여, 다운링크의 통신 이상 상태, 단말장치(9)와 케이블의 이상 상태 등을 진단하고 그 결과를 표시램프(27)의 색상 변화를 통해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패치 패널(10)은 진단 결과를 누적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수리 및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LED 패치 패널의 분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LED 패치 패널의 평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LED 패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ED 패치 패널(10)은, 네트워크 스위치(3)와 다수의 단말장치(9)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입력 소켓(111)과 다수 개의 출력 소켓(112)을 포함하는 메인회로기판(1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회로기판(120)의 전면에는 다수의 입력 소켓(111)이 설치되고 후면에는 다수의 출력 소켓(112)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 소켓(111)은 입력 포트에 해당하고, 출력 소켓(112)은 출력 포트에 해당한다. 즉 네크워크 스위치(3)와 연결되는 패치 코드는 입력 소켓(111)에 결합하고, 아웃렛(5)을 통해 단말장치(9)와 연결되는 패치 코드는 출력 소켓(112)에 결합한다. 즉, 상기 메인회로기판(120)의 전면측 하단부에는 다수의 입력 소켓(111)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후면측 상단부에는 다수의 출력 소켓(112)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회로기판(120)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호 접속부(22)가 구비된다. 상호 접속부(22)는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호 접속부(22)의 양단에 입력 소켓(111)과 출력 소켓(11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 소켓(111)과 출력 소켓(112)은, 패치 코드의 RJ45 플러그가 삽입되어 전기적 결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RJ45 모듈러 잭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다수의 RJ45 모듈러 잭이 상호 접속부(22)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회로기판(120)의 전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입력 포트와 후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출력 포트는 메인회로기판(120)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상호 접속부(2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의 LED 패치 패널(10)은, 다수의 LED(127)로 이루어진 표시램프(27)가 설치된 서브회로기판(130)을 포함한다. 서브회로기판(130)은 메인회로기판(120)의 전면측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서브회로기판(130)의 높이는 메인회로기판(120)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소켓(1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서브회로기판(130)에는 다수의 LED(127)가 네트워크 진단부(25)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소정의 전도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LED(127)는 메인회로기판(120)에 결합되는 각 입력 소켓(111) 또는 출력 소켓(112)의 장착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각 포트의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메인회로기판(120)과 서브회로기판(130) 사이에는 다수의 커넥터블록(140)과 스페이서(150)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블록(140)은 상기 메인회로기판(130)과 서브회로기판(130)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동시에 메인회로기판(130)의 네트워크 진단부(25)와 서브회로기판(120)의 표시램프(27)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블록(140)은 도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서브회로기판(130)의 후면 상단부에 설치된 전면블록(141)과 메인회로기판(130)의 전면 상단부에 설치된 후면블록(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블록(141)의 후면에는 상기 후면블록(142)이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부(14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블록(141)의 삽입부(146)에는 다수 개의 접속핀(147)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면블록(142)의 전면에는 상기 다수 개의 접속핀(147)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접속홀(148)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면블록(142)을 전면블록(141)의 삽입부(146)에 삽입하여 다수 개의 접속핀(147)이 접속홀(148)에 삽입되도록 하면 메인회로기판(130)과 서브회로기판(130)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메인회로기판(130)의 네트워크 진단부(25)와 서브회로기판(120)의 표시램프(27)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어, 상기 스페이서(150)는 상기 메인회로기판(130)과 서브회로기판(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메인회로기판(130)과 서브회로기판(120)이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함과 아울러 다수의 체결나사로 체결하여 상기 메인회로기판(130)과 서브회로기판(120)을 일체로 고정한다.
이를 위해 스페이서(150)는 일정 길이의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에 체결나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싱기 서브회로기판(130)과 메인회로기판(120) 사이에 복수 개의 스페이서(150)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스페이서(150)의 관통홀과 서브회로기판 및 메인회로기판에 형성된 체결홀(153)을 관통하도록 체결나사를 체결하면 서브회로기판(130)을 메인회로기판(12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LED 패치 패널(10)는, 다수의 입력 소켓과 출력 소켓이 설치되는 메인회로기판(130)과, 다수의 LED가 설치되는 서브회로기판(130)을 별개로 구비하되, 상기 서브회로기판(130)을 커넥터블록(140)과 스페이서(150)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회로기판(120)의 전면 상단부에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패치 패널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메인회로기판(130)에 상호 접속부(22), 스위치부(15), 전원 출력부(14), 표시램프(27) 및 네트워크 진단부(25)를 모두 설치하면 상기 메인회로기판(120)의 크기가 너무 커질 뿐만 아니라 다수 개의 LED(127)을 출력 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LED 패치 패널(10)는 표시램프(28)가 설치되는 서브회로기판(130)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메인회로기판(130)의 높이를 최소화하고 다수 개의 LED(127)을 출력 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속부(22)는 다수의 핀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력 포트부(11)와 출력 포트부(12)는 8개의 핀이 구비되고 대응하는 핀은 소정 형태로 이루어진 도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호 접속부(22)는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서로 대응하는 1번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송신 라인(Tx+)과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서로 대응하는 6번 핀 사이를 연결하는 수신 라인(RX-)을 포함한다.
스위치부(15)는 상호 접속부(22)의 도선 중 일부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15)는 송신 라인(Tx+)과 수신 라인(RX-)과 연결되어 송신 라인(Tx+)과 수신 라인(RX-)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 출력부(14)는 상기 스위치부(15)를 통해 송신 라인(Tx+)과 연결되어 상기 송신 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진단부(25)는 상호 접속부(22)의 수신 라인(RX-)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 라인(RX-)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 진단부(25)는 다수의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점멸하거나 표시색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회로기판(120)에 형성된 상호 접속부(22)와 스위치부(15), 전원 출력부(14)는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수에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메인회로기판(130)에 입력 소켓(111)과 출력 소켓(112)이 각각 6개씩 설치된 경우 상기 메인회로기판(130)에는 상호 접속부(22)와 스위치부(15) 및 전원 출력부(14)가 각각 6개씩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램프(27)는 서브회로기판(130)에 형성된다. 이때, 표시램프(27)의 다수 개의 LED(127)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수에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회로기판(130)에는 6개의 LED(127)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25)는 하나의 메인회로기판(120)에 하나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6개의 상호 접속부(22)와 스위치부(15) 및 LED(127)는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을 포함하는 패치 패널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치 패널 장치(100)는, 다수 개의 패치 패널(10)과 하나 또는 다수의 패치 패널(10)을 수용하는 패널 브라켓(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치 패널(10)은 전술한 LED 패치 패널과 같고,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패치 패널(10)은 패널 브라켓(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패널 브라켓(200)은 나사 볼트 등을 이용하여 함체 내지 장비에 설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패널 브라켓(200)은 다수의 패치 패널(1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전면 브라켓(210)과 후면 브라켓(260)으로 구성된다. 전면 브라켓(210)과 후면 브라켓(260)은 서로 결합하여 그 사이에 다수의 패치 패널(10)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전면 브라켓(210)은, 소정 크기의 전면판(211)과, 전면판(211)의 상단 및 하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상면판(217) 및 저면판(218)을 일체로 갖는 'ㄷ'자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면판(211)의 하단부에는 패치 패널(10)의 다수의 입력 소켓(111)을 지지 결합할 수 있도록 전면 삽입홀(213)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 삽입홀(213)은 한 단위의 입력 소켓(6개 내지 8개)이 일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구멍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211)의 상단부에는 상기 패치 패널(10)에 설치된 다수의 표시램프(27)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표시램프 삽입홀(214)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램프 삽입홀(214)은 전면 삽입홀(213)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211)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패널 브라켓(200)을 함체 또는 장비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용 홀(2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 브라켓(260)은, 상기 전면 브라켓(211)의 후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후면판(261)과 후면판(261)의 상단 및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상면판(267) 및 저면판(268)을 일체로 갖는 'ㄷ'자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후면판(261)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출력 소켓(112)을 수용하는 다수의 후면 삽입홀(26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 삽입홀(263)은 한 단위의 출력 소켓(6개 내지 8개)이 일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구멍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판(261)의 좌우 양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전면 브라켓(210)의 좌우 양측의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측면판(269)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브라켓(211)과 후면 브라켓(261)의 상면판과 저면판에는 다수의 체결공(2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면 삽입홀(213)에 다수의 입력 소켓(111)이 삽입되고 후면 삽입홀(263)에 다수의 출력 소켓(112)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패치 패널(10)을 상기 전면 브라켓(210)과 후면 브라켓(260) 사이에 설치한 후, 전면 브라켓(211)과 후면 브라켓(261)의 상면판과 저면판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216)에 체결나사를 체결하면, 상기 패널 브라켓(200)의 조립되어 본 발명의 패치 패널 장치(100)가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ED 패치 패널(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1은 네트워크 스위치(3)와 단말장치(9) 사이의 네트워크가 정상적인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스위치부(13)는 송신 라인 및 수신 라인을 통선(On)시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진단 제어부(26)는 신호 검출부(15)를 통해 수신 라인으로 수신되는 통신 전압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통신 전압을 비교 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면, 표시램프(27)가 특정한 표시색(예, 녹색)을 표출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네트워크 스위치(3)와 단말장치(9) 사이의 네트워크가 정상 상태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어 도 12 및 도 13은 네트워크 스위치(3)와 단말장치(9) 사이의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보여준다. 즉, 진단 제어부(26)는 신호 검출부(15)에 의해 검출된 통신 전압을 비교 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패치 패널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위치부(13)를 제어하여 송신 라인 및 수신 라인을 모두 단선(Off)시키는 동시에 전원 출력부(14)를 송신 라인과 연결하여 문제가 발생된 출력 포트로 진단 전압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진단 제어부(26)는 신호 검출부(15)를 통해 수신 라인으로 수신되는 진단 전압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진단 전압을 비교 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표시램프(27)를 제어하여 특정한 표시색(예, 적색이나 황색)을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스위치(2)와 단말장치(9)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단말장치(9)의 전원이 꺼진(Off) 상태이면, 상기 신호 검출부(15)는 1~2V의 진단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진단 제어부(26)는 표시램프(27)를 제어하여 대응하는 LED가 황색을 표출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단말장치(9)가 꺼진 상태임을 알려준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 패널(10)과 단말장치(9) 사이의 케이블이 단선된 경우에는 상기 신호 검출부(15)는 0V의 진단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진단 제어부(26)는 표시램프(27)를 제어하여 대응하는 LED가 적색을 표출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패치 패널(10)과 단말장치(9) 사이의 케이블이 단선된 것을 알려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작업자)는 패치 패널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다운링크 중 어느 포트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 네트워크의 다운링크에 문제를 일으킨 원인이 케이블의 단선인지 단말장치가 꺼진 상태인지 등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점검 및 수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이상이 발생한 때, 별도의 랜 테스트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패치 패널에서 자동으로 해당 출력 포트로 진단 전압을 인가하고 수신 라인으로 수신되는 진단 전압을 검출하여 그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의 다운링크에 문제를 일으킨 원인이 케이블의 단선인지 단말장치가 꺼진 상태인지 등을 표시램프의 표시색을 통해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네트워크 스위치 5: 아웃렛
9: 단말장치 10: 패치 패널
11: 입력 포트부 12: 출력 포트부
13: 스위치부 14: 전원 출력부
15: 신호 검출부 16: 연산 제어부
17: 신호 비교부 22: 상호 접속부
25: 네트워크 진단부 26: 진단 제어부
111: 입력 소켓 112: 출력 소켓
120: 메인회로기판 130: 서브회로기판
140: 커넥터블록 150: 스페이서
200: 패널 브라켓

Claims (6)

  1. 네트워크 스위치와 아웃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단말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LED를 통해 표시하는 LED 패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다수의 입력 포트를 포함하는 입력 포트부와;
    상기 아웃렛의 아웃렛 포트로 연결되는 다수의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다수의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출력 포트부와;
    상기 입력 포트부와 출력 포트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도선을 포함하는 상호 접속부와;
    상기 상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상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다수의 출력 포트에 소정의 진단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전원 출력부와;
    상기 상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아웃렛 포트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진단부와;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출력 포드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LED가 다양한 표시색을 외부로 표출하도록 하는 표시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상호 접속부는,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서로 대응하는 1번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송신 라인(Tx+)과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서로 대응하는 6번 핀 사이를 연결하는 수신 라인(RX-)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는 상기 수신 라인을 통해 상기 아웃렛 포트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전압을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램프의 표시색을 제어하고, 상기 출력 포트와 아웃렛 포트 사이의 네트워크에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해당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송신 라인과 수신 라인을 모두 단선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 출력부에서 단선된 송신 라인에 소정의 진단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수신 라인을 통해 아웃렛 포트로부터 수신되는 진단 전압을 검출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램프의 표시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진단부는,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수신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입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신호 비교부와;
    상기 신호 비교부에서 비교한 결과가 정해진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직전 비교 결과대비 변동 폭이 큰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표시램프에서 표시되는 색상이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연산 제어부와;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상기 신호 비교부에서 비교한 결과한 누적적으로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연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램프의 LED를 점멸하거나 그 표시색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포트부, 출력 포트부, 상호 접속부, 스위치부, 전원 출력부 및 네트워크 진단부가 설치된 메인회로기판과;
    상기 표시램프가 설치된 서브회로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전면측 하단부에는 다수의 입력 소켓이 상기 상호 접속부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후면측 상단부에는 다수의 출력 소켓이 상시 상호 접속부의 타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전면측 상단부에는 상기 서브회로기판을 평행하게 설치하되,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서브회로기판 사이에 다수의 커넥터블록과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상기 메인회로기판과 서브회로기판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네트워크 진단부와 상기 서브회로기판의 표시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소켓과 출력 소켓은 RJ45 모듈러 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블록은 상기 서브회로기판의 후면 상단부에 설치된 전면블록과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전면 상단부에 설치된 후면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블록의 후면에는 상기 후면블록이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며, 기 전면블록의 삽입부에는 다수 개의 접속핀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면블록의 전면에는 상기 다수 개의 접속핀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다수 개의 전도성 접속홀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패치 패널을 수용하는 패널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패널 브라켓은,
    소정 크기의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 및 하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상면판 및 저면판을 일체로 갖는 전면 브라켓과;
    상기 전면 브라켓의 전면판과 대응하는 크기의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상단 및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상면판 및 저면판을 일체로 갖는 후면 브라켓과;을 포함하되,
    상기 전면판의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회로기판에 설치된 다수의 입력 소켓을 지지 결합하도록 전면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삽입홀의 상부에는 상기 서브회로기판에 설치된 다수의 LED가 삽입되는 다수의 LED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의 상단부에는 상기 메인회로기판에 설치된 다수의 출력 소켓을 지지 결합하도록 후면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의 좌우 양단에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 브라켓의 좌우 양측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측면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KR1020220001220A 2022-01-04 2022-01-04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KR102478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20A KR102478530B1 (ko) 2022-01-04 2022-01-04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20A KR102478530B1 (ko) 2022-01-04 2022-01-04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530B1 true KR102478530B1 (ko) 2022-12-16

Family

ID=8453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220A KR102478530B1 (ko) 2022-01-04 2022-01-04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5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218B1 (ko) * 2023-06-05 2023-09-08 주식회사 대광아이엔씨 상태정보 표시가 가능한 패치 패널
KR102594650B1 (ko) * 2023-08-28 2023-10-26 이룸유비쿼터스(주) 케이블 선번 관리가 용이한 통합 배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592A (ko) 2012-04-24 2013-11-01 대신정보기술 주식회사 양방향 네트워크 상태 진단 및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KR20180129439A (ko)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서경정보기술 네트워크 통신상태 진단과 표시가 가능 한 패치 패널
KR101991342B1 (ko) 2018-09-10 2019-06-20 (주)티씨아이네트 연결 포트 검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KR102046908B1 (ko) 2019-06-27 2019-11-20 윤상철 엘이디 패치 패널 애널라이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592A (ko) 2012-04-24 2013-11-01 대신정보기술 주식회사 양방향 네트워크 상태 진단 및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KR20180129439A (ko)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서경정보기술 네트워크 통신상태 진단과 표시가 가능 한 패치 패널
KR101991342B1 (ko) 2018-09-10 2019-06-20 (주)티씨아이네트 연결 포트 검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KR102046908B1 (ko) 2019-06-27 2019-11-20 윤상철 엘이디 패치 패널 애널라이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218B1 (ko) * 2023-06-05 2023-09-08 주식회사 대광아이엔씨 상태정보 표시가 가능한 패치 패널
KR102594650B1 (ko) * 2023-08-28 2023-10-26 이룸유비쿼터스(주) 케이블 선번 관리가 용이한 통합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530B1 (ko)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led 패치 패널
US9838761B2 (en) Intelligent patching system
US7563102B2 (en) Patch field documentation and revision systems
EP1819176B1 (en) Apparatus for patch cord documentation and revision
AU2010284086B2 (en) Systems, equipment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racking cable connections and for identifying work area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ng communications networks
AU2010284185B2 (en) Systems for automatically tracking patching connections to network devices using a separate control channel and related patching equipment and methods
KR20130119592A (ko) 양방향 네트워크 상태 진단 및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WO2009038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 indication in cable network systems
US9531136B2 (en) Keystone jack for use in a computing network
US11081847B2 (en) High-density split cable
KR20180129439A (ko) 네트워크 통신상태 진단과 표시가 가능 한 패치 패널
US5764725A (en) Apparatus for testing the line continuity of telephone switch equipment
KR102418183B1 (ko) 네트워크 진단 및 패치코드 어셈블리 탈부착 기능을 갖는 패치패널 시스템 과 이를 이용한 통신 배선의 운영관리 시스템
KR200495486Y1 (ko) 네트워크 진단 기능을 갖는 패치 패널
KR20210020757A (ko) 통신용 패치코드
KR20210023775A (ko) 통신케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KR20230171172A (ko) 통신용 패치코드 테스터
KR20230038072A (ko) 네트워크 테스팅 시스템
KR20220110891A (ko) 통신용 패치코드 및 패치코드 테스터기
KR20190124386A (ko) 네트워크 관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