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923A -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 Google Patents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923A
KR20230037923A KR1020210121066A KR20210121066A KR20230037923A KR 20230037923 A KR20230037923 A KR 20230037923A KR 1020210121066 A KR1020210121066 A KR 1020210121066A KR 20210121066 A KR20210121066 A KR 20210121066A KR 20230037923 A KR20230037923 A KR 20230037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sensor
smart
serv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해선
박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로스
Priority to KR1020210121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923A/en
Publication of KR2023003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9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sensor 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personal mobility user in which through mobility of a driver moving through personal mobility such as a bicycle or skate scooter, data on a road surface on which the mobility moves is collected using the G-sensor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with the data, it is possible to inspect a road condition, request a repair, and notify risk information. The G-sensor 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personal mobility user comprises: smart terminals (100, 110) including a G sensor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ting shaking data or driving path deviation data generated during mobility driving through the G sensor to a smart mobility server (200);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providing a bikeway app including navigation data and a voice recognition engine for safe bicycle travel or road driving to the smart terminals (100, 110), and analyzing the shaking data or path deviation data from the smart terminals (100, 110) to determine whether road condition inspection and a repair request are necessary and requesting the same along with GPS information to a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and the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receiving the road condition inspection and the repair request transmitted through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and then requesting maintenance to smart terminals (310, 320) of a maintenance manager.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본 발명은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나 퀵보드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를 통해 이동하는 주행자의 모빌리티를 통해 모빌리티가 이동하는 노면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로 도로 상태점검 및 보수 요청이 가능한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the mobility of a rider moving through personal mobility such as a bicycle or quick board, collecting data of the road surface on which mobility moves and converting it into data It relates to a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mobility users capable of inspecting road conditions and requesting repairs.

최근 친환경 교통수단이며 건강관리 수단으로 자전거의 우수성이 부각되면서 자전거 이용을 적극적으로 도모하기 위하여 곳곳에 자전거 통행이 자유로운 도로가 속속 새롭게 건설되고 있다.Recently, as the excellence of the bicycle has been highlighted as an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and health management, new roads where bicycles are free are being built one after another in order to actively promote the use of bicycles.

자전거 도로는 크게 자전거 전용도로,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 자전거 자동차 겸용도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자전거 도로는 종류에 상관없이 자전거의 주행을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포장되며, 자전거 도로의 포장에 대해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Bicycle road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bicycle-only roads, bicycle-pedestrian combined-use roads, and bicycle-vehicle combined-use roads. On the other hand, bicycle roads are paved in optimal conditions for bicycle travel regardless of types, and many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pavement of bicycle roads.

이러한 자전거 도로의 포장은 자전거 도로 이용자에게 평탄하고 안전하며 쾌적한 주행환경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건설된다. 그러나 자전거 도로포장은 공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교통특성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평탄성이 저하되게 된다. 평탄성 저하로 자전거 도로 주행시 발생되는 자전거의 흔들림이나 넘어짐이 발생되고, 특히 자전거는 차량과 달리 안전수단이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자전거 주행자와 동승자가 자전거 도로에 넘어지는 경우 타박상과 골절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위험성이 매우 큰 특징이 있다. The pavement of such a bicycle road is constructed to efficiently provide a flat, safe, and pleasant driving environment to bicycle road users. However, as the service period passes, the flatness of the bicycle road pavement deteriorates due to traffic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Deterioration in flatness causes the bicycle to shake or fall while riding on the bicycle road. In particular, since bicycles are not equipped with safety measures unlike vehicles, safety accidents such as bruises and fractures may occur if a cyclist and a passenger fall on the bicycle path.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risk of occurrence is very high.

자전거의 주행 사고는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자전거 도로의 울퉁불퉁한 노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전거가 노면에 형성된 홈이나 돌출부를 통과할 때 자전거의 흔들림이 발생되고, 숙련된 주행자라 하여도 주변 상황 등에 의해 자전거가 좌우로 심하게 기울어지면서 결국 노면에 쓰러지게 되어 주행자에게 상해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There are various causes of bicycle driving accidents, but it is known that the biggest cause is the uneven road surface of bicycle roads. In other words, when a bicycle passes through a groove or protrusion formed on the road surface, the bicycle shakes, and even a skilled rider causes the bicycle to tilt left and right due to surrounding conditions and eventually fall to the road surface, resulting in injury to the rider. It will be.

현재 도심지역 자전거 운행자들을 위협하는 도로 위험에 대한 알림 서비스의 부재에 대한 문제가 있다.Currently, there is a problem with the absence of a notification service for road hazards threatening cyclists in urban areas.

즉 도 1에서와 같이 도심지역 자전거 운행자들의 경우 불법주차, 적치물, 공사 등의 문제로 자전거 주행 중 지속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 특히 자전거, 보행자 겸용 도로의 경우 사전 숙지가 부족하거나 표시가 지워지는 등 자전거 주행자에게 혼선을 유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전거 주행자 뿐 아니라 보행자 역시 위험에 노출되기도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cyclists in downtown areas are exposed to continuous risks while riding bicycles due to problems such as illegal parking, piled objects, and construc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oads for bicycles and pedestrians, lack of prior knowledge or deletion of signs cause confusion to cyclists, and this causes not only cyclists but also pedestrians to be exposed to danger.

따라서, 자전거 도로의 노면을 신속하게 복구하는 것이 필요로 하며, 노면의 복구는 노면의 평탄성 점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자전거 도로의 노면을 점검하는 기술이 제안되지 못하여 결국 관리자가 직접 자전거 도로를 다니면서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에 그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결국 노면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점검을 하는 것도 현실적이지 못하여 자전거 도로가 더욱 심하게 손상되고 그에 따라 자전거 주행자의 사고도 많아지고 있는 현실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quickly restore the road surface of the bicycle road, and the restoration of the road surface is performed by checking the flatness of the road surface. Conventionally, a technology for inspecting the road surface of the bicycle road has not been proposed, so the manager directly repairs the bicycle road. It is limited to checking with the naked eye while walking, and this method eventually fail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road surface, and it is not realistic for managers to inspect it periodically, resulting in more severe damage to bicycle roads and consequ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accidents by cyclists. .

자전거 도로의 파손, 유실, 공사 등의 사유로 주행 중 위험에 당면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채널이 부족하며, 자전거 도로 특성상 도보 혹은 자전거로만 진입이 가능해 유지보수 업체의 빠른 조치 및 정보 공유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특히 서울이나 대전을 포함하는 포함 대다수의 자전거 도로는 과거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강가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Although there are risks while driving due to damage, loss, or construction of the bike path, there is a lack of channels for exchanging such information. The reality is that it is difficult.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bicycle roads, including those in Seoul and Daejeon,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along rivers as a part of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in the past.

그러나 장마철에는 많은 비로인한 도로 파손으로 포트홀(pot hole)이 생기거나 도로 전체가 유실되어 주행이 불가능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겨울철 빙판 발생, 결로 발생으로 인한 위험 구간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사전 체크 또는 위험 공유 등이 가능한 채널이 없어 위험에 사전 대비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는 매년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in the rainy season, problems such as potholes due to road damage due to heavy rain or loss of the entire road cause problems such as making it impossible to drive. It is difficult to prepare for risks in advance because there is no channel that can check or share risks, and the reality is that these problems occur every year.

이러한 불편사항을 선제 대처하고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는 실시간에 기반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며, 도로의 파손, 유실 등 정비가 필요한 사항을 최 단시간 지자체의 담당자에게 혹은 유지보수를 맡고 있는 시설관리 업체에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al-time-based system that can preemptively deal with these inconveniences and prevent acci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deliver information.

또한 방향 지시 불가로 인한 사고, 야간 주행 중 테일 램프의 작동 취약으로 인한 사고와 같이 의사소통에 취약한 자전거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중에 시도되고 있지만 실제 사용자 측면의 불편함을 해소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이고 있다.In addition, accidents caused by bicycle characteristics that are vulnerable to communication, such as accidents due to inability to give directions and accidents due to weak operation of tail lamps while driving at night, occur frequently. Various methods to solve these problems are being tried on the market It seems that it is somewhat unreasona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actual user side.

특히 자전거의 안장 하단에 설치해 사용하는 자전거 방향 지시등의 경우 가방을 메거나 옷이 조금만 길어도 가릴 소지가 있어 실제 사용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icycle direction indicator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saddle of a bicycle, it is difficult to actually use it because it may be covered by a bag or even if the clothes are slightly longer.

또한 자전거의 안장 주변에 설치하는 타입의 방향 지시등은 차량 탑승자의 시선보다 아래에 위치해 근거리에서 식별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며, 그러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소비자들이 있다. 그리고 자전거에 부착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부족하거나 파손, 분실 되어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 빠른 확인 및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 역시도 있었다.In addition, direction indicators of the type installed around the saddle of a bicycle are located below the line of sight of a vehicle occupant and are predicted to be difficult to identify at a short distance, and there are consumers who complain of such inconvenience. In addition, since it is attached to a bicycle and use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quickly check and respond when the battery was insufficient, damaged, or lost.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1309호: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91309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5745호: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95745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1468호: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1468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0709호: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607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나 퀵보드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가 이동하는 노면의 데이터를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시 G센서(동작인식 센서)를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로 상태점검 및 보수 요청과 위험알림이 가능한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various disadvantage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ersonal mobility users including bicycles or quick boards move the data of the road through the G sensor (motion recognition sensor) during personal mobility dr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mobility users who can inspect road conditions, request repairs, and notify hazard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센서(동작인식 센서) 및 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상기 G센서를 통해 모빌리티 주행 시 발생되는 흔들림 데이터나 주행경로 이탈 데이터를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100, 110); 안전한 자전거 여행이나 도로 주행을 위한 네비게이션 데이터, 음성인식엔진을 포함하는 바이크웨이 앱을 상기 스마트 단말(100, 110)로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100, 110)로부터의 흔들림 데이터나 경로이탈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로 상태점검 및 보수 요청이 필요한가를 분석하고 이를 GPS 정보와 함께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서버(300)로 요청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를 통해 전송된 도로 상태점검 및 보수 요청을 받아 이를 유지보수 관리자의 스마트 단말(310, 320)로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유지보수 관제시스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 sensor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shaking data or driving route deviation data generated during mobility driving to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through the G sensor smart terminals (100, 110); The bikeway app including navigation data and voice recognition engine for safe bicycle tour or road driving is provided to the smart terminal (100, 110), and shaking data or route departure data from the smart terminal (100, 110) is provided. A smart mobility server 200 that analyzes and analyzes whether a road condition check and repair request is required and requests it to the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together with GPS information; And a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that receives a road condition inspection and repair request transmitted through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and requests maintenance to the smart terminals 310 and 320 of the maintenance manager. It provides a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여기서,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은, 스마트 헬멧 제조사 서버, 네비게이션 정보 제공사 서버, 음성인식 AI 제공사 서버, 날씨 제공 업체 서버 및 금융사 서버 중 하나 이상의 협력사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includes one or more partner servers (40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자가 모빌리티를 이용한 안전한 주행을 위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바이크웨이 앱을 구동하고 주행을 시작하면 바이크웨이 앱에서는 목적지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면서 모빌리티 주행자의 스마트 헬멧으로 운행경로및 위험정보를 안내하는 단계(S170); 모빌리티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 또는 상기 모빌리티에 구비된 G센서(동작인식 센서)를 통해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의 위아래 또는 좌우 흔들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GPS 정보와 함께 흔들림 데이터를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30);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는 모빌리티 주행자들의 상기 스마트 단말나 상기 모빌리티로부터 전송된 흔들림 데이터와 GPS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미리 설정한 서로 다른 시간 반복적으로 전송된 경우와, 자전거 도로 주행경로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주행경로가 있는 경우 지자체의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서버로 자전거 도로의 파손, 훼손 의심 또는 침수나 각종 사고에 따른 유지보수 요청 데이터를 위치정보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방법을 제공한다.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 mobility driver driving a bikeway app that provides a navigation function for safe driving using mobility and starting driving, the bikeway app performs mobility driving while performing navigation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guiding the driving route and risk information to the user's smart helmet (S170); Transmitting shaking data along with GPS information to a smart mobility server when an up/down or left/right shaking event exceeding a preset range occurs through a smart terminal of a mobility user or a G-sensor (motion recognition sensor) provided in the mobility (S230); And the smart mobility server determines if the shaking data and GP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or the mobility of the mobility travelers are repeatedly transmitted from a preset location at a preset different time and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bicycle road driving route. In case there is a driving route deviating from the local government's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transmitting maintenance request data along with location information data due to damage, suspicion of damage, flooding or various accidents of the bicycle road (S260); It provides a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method of a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장착된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센서, GPS, 가속도 센서, G 센서(동작인식 센서) 등)나 모빌리티에 부착된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센서, GPS, 가속도 센서, G센서(동작인식 센서 등)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로 도로 상태점검 및 보수 요청이 가능하게 되므로, 지자체의 도로 유지보수를 위한 솔루션으로 판매 가능하다. 즉 유지보수 업체는 업무 특성상 전 구간 직접 점검을 통해 위험구간, 파손구간을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는 인건비 상승 및 행정시간의 대량 발생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위험 추론 알고리즘의 학습이 완숙되어 정확도가 높아지는 경우 도로 유지보수를 진행하는 업체에서는 적은 인력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고, 지자체에서는 도로 복구에 지출되는 비용을 집중할 수 있다.First, various sensors (eg, gyro sensor, GPS, acceleration sensor, G-sensor (motion recognition sensor), etc.) or various sensors attached to mobility (eg, gyro sensor, Road conditions can be inspected and repair requests made possible with the data obtained through GPS, acceleration sensors, and G-sensors (motion recognition sensors, etc.), so it can be sold as a solution for road maintenance by local governments. Dangerous sections and damaged sections need to be identified through direct inspection of sections, which leads to increased labor costs and a large amount of administrative time.However, if the learning of the road hazard inference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ture and the accuracy is high, the road is maintained Repair companies can solve these problems with a small number of manpower, and local governments can focus their money on road restoration.

둘째, 자전거나 퀵보드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자들의 음성 서비스 사용을 통해 열악한 환경에서의 음성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며, 보다 다양한 방향의 음성인식 엔진 학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Second, it is possible to collect voice data in harsh environments through the use of voice services by personal mobility drivers such as bicycles and quick boards, and it is expected that voice recognition engine learning in more diverse directions will be possible.

셋째, 주변 소음 및 바람소리와 같은 환경 소음으로 인해 음성인식엔진의 인식 정확도 하락 극복을 위해 노이즈 캔슬링, 주변 소음 차단 이어폰 등 기술 개발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열악한 환경에서의 데이터도 학습되어야하는데 본 발명 바이크웨이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데이터 확보 및 학습도 가능하다.Third, in order to overcome the decrease in recognition accuracy of the voice recognition engine due to environmental noise such as ambient noise and wind noise, technologies such as noise canceling and earphones for blocking ambient noise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Data should also be learned, but it is possible to secure and learn such data through the bikew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자전거 도로의 파손이나 유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기술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에서 자전거나 퀵보드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가 이동하는 자전거 도로에서 이벤트 발생 및 문제를 해결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에 이용되는 스마트 헬멧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damage or loss of a conventional bicycle road.
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basic concept of the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technology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llustrate an example of generating events and solving problems on a bicycle road where personal mobility such as a bicycle or quick board moves in the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mart helmet used in a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smart mobility server shown in FIG. 8 .
10 and 11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method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he term, not the name of.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detail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bscuring it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기술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and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basic concept of a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technology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수집 기술의 기본 개념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기본적으로는 주행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3대 센서를 활용하거나, 동작인식 센서인 G센서를 통해 바이크 웨이의 노면상태 수집 시스템 개발하는 것으로, 주행자가 예를 들어 자전거(Bike)나 퀵보드를 포함하는 자전거 도로를 이용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통해 주행을 시작하면 주행자의 스마트 단말(폰)에 내장, 탑재되어진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GPS,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G센서 또는 모빌리티에 부착된 GPS,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G센서를 활용하여 주행자의 주행간 갑작스러운 이벤트 발생시 해당 위치 정보 및 센서의 활동 정보를 수집해 의심 사례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The basic concept of the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collection technology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or by developing a road surface condition collection system for a bike way through a G-sensor, a motion recognition sensor. By utilizing the G-sensor including GPS, gyro sensor, and acceleration sensor that can collect data built into and mounted on the driver's smart terminal (phone) or the G-sensor including GPS, gyro sensor, and acceleration sensor attached to the mobility, the driver's When a sudden event occurs while driving,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activity information are collected to collect suspected cases and loc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포트홀(Pot Hole) 혹은 노면이 솟아 있는 도로를 주행할 경우 자이로 센서는 위에서 아래로 갑작스레 축(z축)이 변화하는 운동(덜컹거림)을 할 것이고 이를 통해 유추 가능하며, 도로상 적재물, 위험물, 노면 문제 등이 발생했을 경우 좌 우로 궤적(x축, y축)을 그리는 운동(휘청거림)이 발생해 도로의 문제를 유추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driving on a pothole or a road with a raised road surface, the gyro sensor will make a movement (rattling) in which the axis (z-axis) suddenly changes from top to bottom, and it can be inferred through this. When loads, dangerous objects, or road problems occur, a movement (staggering) occurs that draws a trajectory (x-axis, y-axis) to the left and right, and problems on the road can be inferred.

여기서 위아래의 덜컹거림을 통해서는 파인도로로 의심을 할 수 있고, 속도방지턱일 수도 있으며, 주행자의 운전 습관(젊은층의 경우 재미로 바퀴를 들었다 내리는 등)일 수도 있다. 이때, 과속방지턱의 경우에는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물이 아닌 과속방지턱의 위치를 매칭할 수 있고, 주행자의 습관은 해당 주행자 만의 특성일 수 있으므로 이는 주행자의 스마트 단말나 주행자가 이용하는 모빌리티를 미리 등록하여 해당 주행자만의 운전습관이므로 이를 무시하는 방식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Here, through the rattling up and down, it can be suspected as a fine road, it can be a speed bump, or it can be a driver's driving habit (in the case of young people, lifting and lowering the wheel for fun). At this time, in the case of speed bumps, the location of speed bumps, not obstacles, can be matched using public data, and the driver's habit can be a characteristic of the driver, so this is the driver's smart terminal or the mobility used by the driver is registered in advance Therefore, since it is the driver's own driving habit, it can be solved by ignoring it.

이와 같이 수집된 다수의 주행자의 모빌리티를 통해 수집된 노면 데이터를 공유하고, 이를 저장관리한 후 보수신고를 하는데 이용함은 물론 이를 퍼스널 모빌리지 주행자의 주행 중 위험 알림에 이용할 수 있다.Road surface data collected through the mobility of a number of drivers collected in this way can be shared, stored and managed, and then used to report repairs, as well as used to notify danger while driving personal mobility drivers.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에서 자전거 도로에서 이벤트 발생 및 문제를 해결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4에서와 같이 도로 파손과 같은 문제가 있는 경우 동일한 주행자에 의해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이벤트가 3회 발생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FIGS.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n event and solving a problem on a bicycle road in the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problem such as road damage, an example in which the same event is generated three times in the same location by the same driver is shown.

그리고 도 5는 서로 다른 주행자에 의해 서로 다른 시간대에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이벤트가 발생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더해 도로의 문제점을 주행자의 스마트 단말에서 즉각 촬영, 공유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시스템 개발을 통해 보다 쉽게 민원 신고 및 주변 사용자에게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개발하며, 이에 더해 주행자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적극적 문제해결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ame event occurs at the same location at different times by different drivers, and in addition, shows an example of immediately photographing and sharing problems on the road on the smart terminal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velops such a system to make it easier to report civil complaints and share information with nearby users, and in addition, by inducing driver participation, active problem solving is possible.

즉 주행자가 직접 촬영해서 도로파손을 신고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단순히 SNS에 올리거나, 칼로리 계산 등의 기능만 가능한 기존 시스템에 비해 주행자 및 보행자의 안전과 공익 목적인 도로 유지 보수 기능을 탑재하여 범용성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drivers can be induced to report road damage by taking pictures themselves. Compared to existing systems that can simply post on SNS or calculate calories, it is equipped with a road maintenance function for the safety of drivers and pedestrians and the public interest. Thus, a versatile system can be provided.

한편 일반적으로 기존 시스템은 예를 들면, 오픈라이더, 에브리 바이크 및 서울자전거 따릉이 등이 있다.Meanwhile, in general, existing systems include, for example, Open Rider, Every Bike, and Seoul Bike Ttareungyi.

여기서, 오픈라이더는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주 기능으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GPS 및 속도계를 통해 칼로리 계산, 칼로리 기반 주변 사용자와의 랭킹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정보 공유형 서비스는 랭킹 기능 외에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사용자의 운동량에 집중된 서비스로 안전과 커뮤니티 성향의 공유 기능을 서비스 하지 않고 있다.Here, Open Rider serves a bicycle navigation system as its main function, and provides calorie calculation and calorie-based ranking with nearby users through GPS and speedometer. Th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is not provided other than the ranking function, and as a service focused on the user's exercise amount, the safety and community-oriented sharing function is not provided.

그리고 에브리 바이크는 다양한 공유자전거를 탐색, QR코드 기반 사용 허가 및 결제, 반납을 모바일로 처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오픈라이더와 동일하게 사용량 기반 주변 사용자들과 랭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외 서비스로 쿠폰과 같은 사용금액 기반 할인 제공을 하고 있으며, 별도 안전 및 정보 공유형 서비스 모델은 적용되지 않고 있다.In addition, Every Bike provides a mobile service for searching for various shared bicycles, QR code-based permission to use, payment, and return, and provides a ranking service with nearby users based on usage, just like Open Rider. As for other services, discounts based on usage amount such as coupons are provided, and a separate safety and information sharing service model is not applied.

한편 서울자전거 따릉이는 서울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유자전거 사용, 결제, 반납 서비스로 에브리 바이크의 Local 서비스 버전이며, 주변 자전거 탐색 및 사용, 반납 기능에 특화되어 서비스로, 그 외 편의기능은 서비스하고 있지 않다,Meanwhile, Seoul Bike Ttareungyi is a shared bicycle use, payment, and return service operat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t is a local service version of Every Bike. not,

이처럼 국내 서비스 중인 대표 3가지 자전거 서비스에서는 바이크웨이를 통해 서비스 하고자 하는 안전성, 이종 H/W와 연동을 통한 편의성이 제공되는 서비스는 아직 출시되지는 않고 있다.As such, in the three representative bicycle services in service in Korea, the service that provides convenience through linkage with the safety and heterogeneous H/W that is desired to be serviced through Bikeway has not been released yet.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스마트 헬멧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mart helmet used in a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스마트 헬멧은 도 6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마이크, 스피커 및 LED 방향지시등이 부착되어 자전거 주행자의 편의와 안전을 제공하고자 한다.As shown in FIG. 6, the smart helmet used in the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ttached with a microphone, speaker, and LED turn signal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cyclists. want to provid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스마트 헬멧은 현재 시장에 출시 사용되어지는 스마트 헬멧 중 Blue Tooth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음성인식, 개방형 이어폰 호환 뿐 아니라 후면 LED 방향지시등이 탑재된 모델과 연동을 하는 경우 기존 다수의 H/W를 연동해야만 해결 가능한 문제인 의사소통과 안전장구의 니즈 및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The smart helmet used in the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through the Blue Tooth function among smart helmets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and voice recognition , In addition to being compatible with open earphones, when interlocking with a model equipped with rear LED turn indicators, it is possible to easily solve the needs and problems of communication and safety equipment, which are problems that can be solved only by interlocking multiple existing H/W.

또한 기존 판매되어지는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인증, A/S, 펌웨어 지속 업그레이드, 안전인증 등과 같은 시장 진입 속도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보다 빠른 시장 도입이 가능한 장점이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existing equip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solve the factors that impede the speed of market entry, such as certification, after-sales service, continuous firmware upgrade, and safety certification, and there will be an advantage of enabling faster market introduction.

한편 스마트 헬멧의 마이크 기능을 활용, 음성인식 AI(예로써, 카카오 AI 엔진)와의 연동을 통해 길안내, 목적지 재설정, 방향지시등 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주행자가 자전거나 퀵보드를 포함하는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주행중 스마트폰을 꺼내지 않아도 기본적인 제어가 가능토록하여 주행자가 스마트폰을 꺼내 보다가 사고가 나거나 스마트폰을 통해 내비게이션을 보기 위해 시선을 변경함으로 발생되는 사고들에 대응하기 위해 음성인식 및 음성안내 시스템과의 연동이 기능을 제공하여 본 발명 음성인식 AI와 연동할 경우 방향지시등 제어, 메시지 확인과 같은 편의기능 역시 제공하고자 한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microphone function of the smart helmet and linking with the voice recognition AI (eg, Kakao AI engine) to perform route guidance, destination reset, and direction indicator control, the rider can use mobility including a bicycle or quick board. Basic control is possible without taking out the smartphone while driving, so that the driver takes out the smartphone and has an accident or changes the gaze to view the navigation through the smartphone. In case of interworking with the voice recognition AI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nience functions such as control of turn signals and message confirmation are also provid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smart mobility server shown in FIG. 8 It is a block diagram for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100, 110),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 유지보수 관제시스템 서버(300), 유지보수 관리자 스마트 단말(310, 320), 협력사 서버(400) 및 유무선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an embodiment of the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mart terminals 100 and 110, a smart mobility server 200, and a maintenance control syste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300 , maintenance manager smart terminals 310 and 320 , a partner server 400 and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0 .

여기서 스마트 단말(100, 110)는 자전거나 퀵보드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한 주행자의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일수도 있고, 주행자가 이용하는 자전거나 퀵보드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에 GPS,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G센서(동작인식 센서)가 부착됨과 함께 부착된 GPS,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G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구비되었다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Here, the smart terminals 100 and 110 may be a smart phone or smart pad of a driver using personal mobility including a bicycle or quick board, or a GPS, gyro sensor, and acceleration sensor for mobility including a bicycle or quick board used by the rider. If a G-sensor (motion recognition sensor) is attached and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collected from a G-sensor including an attached GPS, gyro sensor, and acceleration sensor is provided, there is no need to specifically limit it.

한편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 역시 GPS,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GPS,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G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smart phone or smart pad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collected by GPS, gyro sensor, acceleration sensor, and G-sensor including GPS, gyro sensor, and acceleration sensor.

이러한 통신모듈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 블루투스 등과, 원거리 통신을 위한 WiFi 또는 이동통신이 가능한 4G나 5G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Such a communication module i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it is preferable that WiFi or mobile communication f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is possible for 4G or 5G communication.

또한 이러한 스마트 단말(100, 110)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LED 방향지시등이 부착되어 자전거 주행자의 편의와 안전을 제공하며, Blue Tooth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헬멧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기능(예로써 블루투스) 역시 수행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se smart terminals 100 and 110 are attached with LED turn indicators to provide convenience and safety to cyclists, and have a communication function (eg Bluetooth) to link with a smart helmet equipped with a Blue Tooth function. is also perform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단말(100, 110)에 안전한 자전거 여행을 위한 네비게이션 기능 제공을 위한 바이크웨이 앱과 스마트 헬멧의 마이크 기능을 활용, 각종 외부 환경에서의 환경 잡음 및 노이즈를 감쇄하여 자전거 운행과 같이 소음이 다량 발생하는 상황에서 음성인식 AI(예를 들면 카카오 AI 엔진)가 탑재되도록 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음성 명령 데이터를 원할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Bikeway app and the microphone function of the smart helmet to provide a navigation function for safe bicycle travel to the smart terminals (100, 110), environmental noise and noise in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are attenuated, such as bicycle driving. In a situation where a lot of noise is generated, voice recognition AI (eg, Kakao AI engine) is installed so that voice command data can be smoothly processed in various environments.

또한 스마트 단말(100, 110)는 주행 시 발생되는 흔들림 데이터나 자전거 도로와의 설정된 주행경로를 이탈한 경우 해당 이탈 데이터를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로 자동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기능(예를 들면, WiFi, 4G, 5G 등)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주행경로 이탈은 일정한 직선이나 곡선의 자전거 도로를 유지하였으나, GPS 정확도에 따라 2 내지 10M 우회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s 100 and 110 have a communication function (eg, WiFi) to automatically transmit the shaking data generated during driving or the departure data to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when departing from the set driving path with the bicycle road , 4G, 5G, etc.) is preferably built in, and for this purpose, it may be configured with a smartphone or a smart pad as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departure from the driving route may include a case where a certain straight or curved bicycle road is maintained, but a detour is made by 2 to 10M depending on GPS accuracy.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는 안전한 자전거 여행이나 자전거도로를 이용한 자전거나 퀵보드를 포함하는 모빌리티를 이용한 안전한 주행을 위한 주행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주행자가 스마트 단말를 꺼내어 사용하지 않아도 손쉽게 음성을 통해 스마트폰 제어, 길찾기, 인터콤 통신 가능과 스마트폰의 자이로센서, GPS, 가속도 센서 또는 모빌리티에 부착된 자이로센서, GPS,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로 도로 상태점검 및 보수 요청이 필요한가를 분석하고 이를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서버(300)로 요청한다.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is a system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drivers for safe bicycle travel or safe driving using mobility including bicycles or quick boards using bicycle roads. Smartphone control, route finding, and intercom communication are possible through voice, and road condition checks and repair requests can be made wi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gyro sensor, GPS, and acceleration sensor of the smartphone or the gyro sensor, GPS, and acceleration sensor attached to the mobility. It analyzes whether it is necessary and requests it to the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

유지보수 관제시스템 서버(300)는 자전거 도로의 유지보수를 위한 각 지자체의 유지보수를 위한 관제 시스템 서버로,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를 통해 전송된 자전거도로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이용도로 또는 자전거나 퀵보드를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도로, 예를 들어 자전거 전용도로가 없는 도로 구간을 불가피하게 이용하여 하는 경우의 일반 도로의 상태점검 및 보수 요청을 받아 이를 유지보수 관리자의 스마트 단말(310, 320)로 전송하여 유지보수를 하도록 한다.The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is a control system server for maintenance of each local government for the maintenance of bicycle roads, and is a mobility use road including a bicycle road transmitted through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or a bicycle or quick board Receives a request for condition inspection and repair of a general road when a road that can be moved using, for example, a road section without a bicycle road is unavoidably used, and transmits it to the maintenance manager's smart terminal (310, 320) to do maintenance.

협력사 서버(400)는 스마트 헬멧 제조사 서버, 네비게이션 정보 제공사 서버, 음성인식 AI 제공사 서버, 날씨 제공 업체 서버 및 금융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artner server 400 may include a smart helmet manufacturer server, a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r server, a voice recognition AI provider server, a weather provider server, and a financial company server.

유무선 통신망(500)은 스마트 단말(100, 110),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 유지보수 관제시스템 서버(300), 유지보수 관리자 스마트 단말(310, 320) 및 협력사 서버(400)간 통신을 지원하는 유무선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을 포함한다.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0 support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terminals 100 and 110,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the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the maintenance manager smart terminals 310 and 320, and the partner server 400 This includes wired and wireless Internet networks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여기서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바이크웨이 갱신정보 분류부(230), 이벤트 분류부(240), 이벤트 분석부(250), 사진데이터 분석부(260), 날씨정보 분석부(270), 점검요청 데이터 전송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as shown in FIG. 9,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database 220, a bikeway update information classification unit 230, an event classification unit 240, an event analysis unit 250, a photo It includes a data analysis unit 260, a weather information analysis unit 270, a maintenance request data transmission unit 280, and a control unit 290.

여기서 통신부(210)는 스마트 단말(100, 110), 유지보수 관제시스템 서버(300) 및 협력사 서버(400)와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간 통신을 지원한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210 support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terminals 100 and 110, the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and the partner server 400 and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데이터베이스(220)는 네비게이션, 음성인식 엔진 및 바이크웨이 앱을 포함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스마트 모빌리티 프로그램 저장부와,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회원정보 저장부와,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서버의 정보가 저장되는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정보 저장부와, 안전하고, 각종 유용한 자전거 여행 정보가 저장되는 바이크웨이 정보 저장부와, 자전거 도로 정보가 저장되는 자전거 도로 정보 저장부와, 위아래나 좌우 흔들림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이벤트 정보가 저장되는 이벤트 발생 정보 저장부 및 사진 데이터가 저장되는 사진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atabase 220 stores information of a smart mobility program storage unit for storing a smart mobility program including a navigation, voice recognition engine, and bikeway app, a member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member information, and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information. maintenance control system information storage unit, safe and various useful bicycle tour information storage unit, bicycle road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bicycle road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event when an up/down or left/right shaking event occur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 photo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photo data.

바이크웨이 갱신정보 분류부(230)는 자전거 경로상의 맛집 정보, 휴게소 정보, 좋은 경치 정보 등 각종 유용하고, 다양한 정보가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경우 해당 업데이터 정보가 분류된다.The bikeway update information classification unit 230 classifies the corresponding updater information when various useful and diverse information such as restaurant information, service area information, and good scenery information on a bicycle route are newly updated.

이벤트 분류부(240)는 자전거나 퀵보드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주행자의 스마트 단말에 구성된 GPS,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모빌리티에 부착된 GPS,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G센서를 통해 수집된 모빌리티의 좌우, 위아래 흔들림 데이터나 주행자의 스마트 단말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사진 데이터를 분류한다.The event classification unit 240 is a GPS, gyro sensor, acceleration sensor configured in a smart terminal of a driver traveling using personal mobility including a bicycle or quick board, or a G sensor including a GPS, gyro sensor, and acceleration sensor attached to the mobility It classifies left-right, up-and-down shaking data of mobility collected through , or photo data captured and transmitted from the driver's smart terminal.

이벤트 분석부(250)는 이벤트 분류부(240)에서 분류된 좌우, 위아래 흔들림 이벤트 데이터를 분석한다. 즉 동일한 주행자에 의해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이벤트가 서로 다른 시간에 발생되었는지 또는 서로 다른 주행자에 의해 서로 다른 시간대에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이벤트가 발생된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이벤트 데이터는 GPS 정보와 함께 이벤트 발생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다.The event analyzer 250 analyzes left-right and up-and-down shaking event data classified by the event classification unit 240 . That is, it is analyzed whether the same event occurs at different times in the same location by the same driver or the same event occurs in the same location at different times by different drivers. The analyzed event data is stored in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together with GPS information.

사진데이터 분석부(260)는 회원가입된 모빌리티 주행자의 미리 등록된 스마트 단말로부터 사진 데이터가 전송되면 이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이전에 동일한 위치에서 전송된 것인가 역시도 포함된다. The photo data analysis unit 260 analyzes photo data transmitted from a pre-registered smart terminal of a registered mobility driver. This analysis also includes previous transmissions from the same location.

날씨정보 분석부(270)는 날씨정보를 협력사 서버(400)로 부터 전송받아 분석하여 이를 해당 지역의 모빌리티 주행자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기 위하여 분석한다.The weather information analysis unit 270 receives and analyzes the weath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rtner company server 400 and analyzes it to transmit it to the mobility driver's smart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area.

점검요청 데이터 전송부(280)는 이벤트 분석부(250)와 사진 데이터 분석부(260)의 분석에 따라 위치정보에 따른 지자체의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서버(300)로 유지 보수를 위한 점검요청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inspection request data transmission unit 280 transmits inspection request data for maintenance to the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of the 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vent analysis unit 250 and the photo data analysis unit 260. send.

제어부(290)는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바이크웨이 갱신정보 분류부(230), 이벤트 분류부(240), 이벤트 분석부(250), 사진데이터 분석부(260), 날씨정보 분석부(270) 및 점검요청 데이터 전송부(28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29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database 220, a bikeway update information classification unit 230, an event classification unit 240, an event analysis unit 250, a photo data analysis unit 260, and weather information analysis. Controls the unit 270 and the inspection request data transmission unit 280.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0 and 11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method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방법의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에 안전한 자전거 여행이나 퀵보드를 포함하는 모빌리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모빌리티 프로그램들을 설치한다(S100).As shown in FIGS. 10 and 11, an embodiment of the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method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mobility including safe bicycle trips or quick boards to smart mobility servers. Install intelligence-based smart mobility programs (S100).

그리고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한 안전한 자전거 여행이나 퀵보드를 이용하는 주행자들이 자신의 스마트 단말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한다(S110). 이러한 회원가입시 기본적인 인적사항(이름, 나이, 성별, 주소 등)과, 스마트 단말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선호하는 여행목적지, 모빌리티 주행 스타일(얌전한, 스피드, 과감한 액션 등)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riders who use a safe bicycle tour or a quick board using smart mobility sign up for membership using their smart terminals (S110).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basic personal information (name, age, gender, address, etc.)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are entered, and information such as preferred travel destination and mobility driving style (calm, speed, bold action, etc.) can be collected. A checklist can be provided.

그리고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주행자의 스마트 단말에 바이크웨이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되고(S120), 스마트 헬멧과 스마트 단말간의 원활한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음성인식 AI 엔진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S130).In addition, the Bikeway app is downloaded and installed on the smart terminal of the driver using mobility (S120), and the voice recognition AI engine is downloaded and installed to provide a smooth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smart helmet and the smart terminal (S130).

이어 블루투스, 음성입출력을 위한 마이크와 스피커 그리고 LED 방향지시등이 구비된 스마트 헬멧과 바이크웨이 앱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를 블루투스를 통해 연동되도록 한다(S140).Subsequently, the smart helmet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speaker for Bluetooth, voice input and output, and LED turn indicators and the smart terminal with the Bikeway app installed are interlocked through Bluetooth (S140).

한편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는 각 지자체별 도로유집보수를 위한 자전거도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한다(S150). 이와 같이 수집된 자전거도로 데이터는 본 발명 바이크웨이의 네비게이션으로 이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mobility server collects and periodically updates bicycle road data for road maintenance by each local government (S150). The bicycle road data collected in this way is used for navigation of the bik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모빌리티 주행자가 바이크웨이 앱을 구동하고 모빌리티를 이용한 자전거 여행이나 퀵보드를 이용한 이동을 위한 목적지를 설정 후(S160), 주행을 시작하면 바이크웨이 앱에서는 목적지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면서 모빌리티 주행자의 스마트 헬멧으로 운행경로를 안내하고, 지자체의 자전거 도로에 대한 수리, 복구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위험정보로 하여 안전한 우회경로를 안내한다(S170).In addition, when the mobility driver drives the Bikeway app and sets a destination for a bicycle trip using mobility or movement using a quick board (S160), and starts driving, the Bikeway app performs navigation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while the mobility driver's smart helmet The driving route is guided, and if there is repair or restoration data for the bicycle road of the local government, a safe detour route is guided by using the data as risk information (S170).

또한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바이크웨이 앱은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와 연동하여 모빌리티 주행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도로상황과 날씨를 안내하고, 주행경로 지역의 날씨 상황(맑음, 흐림 등)과 계절별 시간에 따라 스마트 헬멧의 LED 방향 지시등의 플래시(섬광) 제어 제이터를 스마트 헬멧으로 출력한다(S180). 그에 따라 특히 흐린날씨에 플래시를 야간모드로 자동전환시켜 자전거 주행자의 안전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ikeway app installed on the smart terminal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mobility server to guide the road conditions and weather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ity driver, and the smart helme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sunny, cloudy, etc.) of the driving route area and the time of each season. The flash (flash) control data of the LED turn signal lamp is output to the smart helmet (S18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afety of cyclists by automatically switching the flash to night mode, especially in cloudy weather.

그에 따라 스마트 헬멧은 스피커를 통해 모빌리티 주행자에게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목적지까지의 도로상황정보나 시간별 날씨 정보 등을 제공하고, LED 방향지시등의 플래시를 제어한다(S190).Accordingly, the smart helmet provides the mobility driver with road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ncluding navigation data or hourly weather information through the speaker, and controls the flash of the LED direction indicator (S190).

한편 스마트 단말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여(S200), 이벤트에 따라 통화(발신 또는 착신) 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통화를 연결하거나(S210), 자전거 목적지 주행경로에 따라 LED 방향지시등을 제어(좌회전, 우회전 등)한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S200), and connects the call through the microphone and speaker when a call (outgoing or incoming call) is made according to the event (S210), or controls the LED turn signal according to the bicycle destination driving route (turn left) , turn right, etc.).

한편 주행자의 스마트 단말나 모빌리티에 부착된 GPS,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흔들림 데이터 또는 모빌리티 주행자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사진 데이터가 전성되었다면 위아래 또는 좌우 흔들림(덜컹 거림) 데이터 또는 사진 데이터를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로 전송한다(S230). 이때, 위아래 또는 좌우 흔들림 데이터는 바이크웨이 앱 구동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통해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에 GPS 정보와 함께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고, 사진 데이터 역시 바이크웨이 앱을 통해 GPS 정보와 함께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로 전송된다.On the other hand, if shaking data or photo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of the mobility driver through the GPS, gyro sensor, acceleration sensor, etc. It is transmitted to (S230). At this tim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shaking data is pre-set to be transmitted along with GPS information when the range exceeds the preset range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gyro sensor of the smart terminal (smartphone) while the Bikeway app is running, and the photo data is also set to be transmitted along with the Bikeway app. I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mobility server along with GPS information through

이때,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는 모빌리티 주행자들의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흔들림 데이터와 GPS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미리 설정한 서로 다른 시간 반복적으로(예로써 3회 이상) 전송된 경우 주행자의 이전 주행 습관 데이터 및/또는 자전거 도로 데이터로부터 과속방지턱 데이터와 비교한다(S240). At this time, the smart mobility server transmits the shaking data and GP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s of the mobility drivers repeatedly (for example, 3 times or more) from a preset location at different preset times, the driver's previous driving habit data and / or the bicycle road data is compared with the speed bump data (S240).

또한 설정된 네비게이션의 자전거 도로 주행경로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주행경로가 있는지 판단하고, 사진 데이터를 분석한다(S250).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driving route out of a preset range from the bike road driving route of the set navigation, and the photo data is analyzed (S250).

즉 덜컹거림의 경우에는 모빌리티 주행자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정도의 도로 파손 등과 관련이 있고, 주행경로가 벗어나는 경우에는 자전거 도로의 유실이나 도로의 대규모 파손이나 주행경로에 다양한 이물질이나 여름철 물고임, 겨울철 자전거 도로 결빙 또는 눈 쌓임 등이 문제가 발생된 경우일 수 있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rattling, it is related to road damage to a degree that mobility riders are not aware of, and in the case of deviation from the driving route, loss of bicycle roads, large-scale damage to roads, various foreign substances on driving routes, water puddles in summer, bicycles in winter This is because road icing or snow accumulation may be the cause of the problem.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는 이와 같은 비교, 판단 및 판독 결과에 따라 오차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각 자자체의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서버로 자전거 도로의 파손, 훼손 의심 또는 침수나 각종 사고에 따른 유지보수 요청 데이터 및 사진 데이터를 위치정보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다(S260).If the smart mobility server is out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judgment, and reading result, maintenance request data and photo data due to damage to the bicycle road, suspicion of damage, flooding, or various accidents with each self-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location information data (S260).

그에 따라 지자체의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서버는 해당 위치의 자전거도로에 대한 관리를 위하여 유지보수 관리자의 스마트 단말로 유지보수 점검을 요청하고, 사진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함께 전송한다(S270).Accordingly, the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of the local government requests maintenance inspection to the maintenance manager's smart terminal for management of the bicycle roa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transmits the photo data if there is one (S270).

한편 지자체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서버에서 수리, 복구된 자전거 도로 데이터가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로 전송시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는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바이크웨이 앱구동 시 네비게이션에 해당 업데이트 정보를 반영한다(S280).Meanwhile, when the bike road data repaired and restored by the local government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smart mobility server, the smart mobility server updates the information and reflects the updated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when the Bikeway app is running (S280).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bove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10 : 자전거 주행자의 스마트 단말
200 :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
210 : 통신부 220 : 데이터베이스
230 : 바이크웨이 갱신정보 분류부 240 : 이벤트 분류부
250 : 이벤트 분석부 260 : 사진데이터 분석부
270 : 날씨정보 분석부 280 : 점검요청 데이터 전송부
290 : 제어부
300 : 유지보수 관제시스템 서버
310, 320 : 유지보수 관리자 스마트 단말
400 : 협력사 서버
500 : 유무선 통신망
100, 110: cyclist's smart terminal
200: smart mobility server
210: communication unit 220: database
230: Bikeway renewal information classification unit 240: Event classification unit
250: event analysis unit 260: photo data analysis unit
270: weather information analysis unit 280: inspection request data transmission unit
290: control unit
300: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10, 320: maintenance manager smart terminal
400: partner server
500: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3)

G센서(동작인식 센서) 및 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상기 G센서를 통해 모빌리티 주행 시 발생되는 흔들림 데이터나 주행경로 이탈 데이터를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100, 110);
안전한 자전거 여행이나 도로 주행을 위한 네비게이션 데이터, 음성인식엔진을 포함하는 바이크웨이 앱을 상기 스마트 단말(100, 110)로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100, 110)로부터의 흔들림 데이터나 경로이탈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로 상태점검 및 보수 요청이 필요한가를 분석하고 이를 GPS 정보와 함께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서버(300)로 요청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200)를 통해 전송된 도로 상태점검 및 보수 요청을 받아 이를 유지보수 관리자의 스마트 단말(310, 320)로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유지보수 관제시스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
A smart terminal (100, 110) including a G sensor (motion recognition sens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shaking data or driving route departure data generated during mobility driving to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through the G sensor;
The bikeway app including navigation data and voice recognition engine for safe bicycle tour or road driving is provided to the smart terminal (100, 110), and shaking data or route departure data from the smart terminal (100, 110) is provided. A smart mobility server 200 that analyzes and analyzes whether a road condition check and repair request is required and requests it to the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together with GPS information; and
A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300 that receives a road condition inspection and repair request transmitted through the smart mobility server 200 and requests maintenance to the smart terminals 310 and 320 of the maintenance manager.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은,
스마트 헬멧 제조사 서버, 네비게이션 정보 제공사 서버, 음성인식 AI 제공사 서버, 날씨 제공 업체 서버 및 금융사 서버 중 하나 이상의 협력사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the personal mobility user,
G-sensor-based road damage for personal mobility use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partner server 400 of smart helmet manufacturer server,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r server, voice recognition AI provider server, weather provider server, and financial company server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방법으로,
모빌리티 주행자가 모빌리티를 이용한 안전한 주행을 위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바이크웨이 앱을 구동하고 주행을 시작하면 바이크웨이 앱에서는 목적지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면서 모빌리티 주행자의 스마트 헬멧으로 운행경로및 위험정보를 안내하는 단계(S170);
모빌리티 이용자의 스마트 단말 또는 상기 모빌리티에 구비된 G센서(동작인식 센서)를 통해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의 위아래 또는 좌우 흔들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GPS 정보와 함께 흔들림 데이터를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30);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 서버는 모빌리티 주행자들의 상기 스마트 단말나 상기 모빌리티로부터 전송된 흔들림 데이터와 GPS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미리 설정한 서로 다른 시간 반복적으로 전송된 경우와, 자전거 도로 주행경로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주행경로가 있는 경우 지자체의 유지보수 관제 시스템 서버로 자전거 도로의 파손, 훼손 의심 또는 침수나 각종 사고에 따른 유지보수 요청 데이터를 위치정보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G센서 기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시스템의 노면 파손 데이터 수집 및 위험 알림 방법.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method of the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danger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n a mobility driver drives the Bikeway app that provides navigation functions for safe driving using mobility and starts driving, the Bikeway app guides the driving route and risk information to the mobility driver's smart helmet while performing navigation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Step (S170);
Transmitting shaking data along with GPS information to a smart mobility server when an up/down or left/right shaking event exceeding a preset range occurs through a smart terminal of a mobility user or a G-sensor (motion recognition sensor) provided in the mobility (S230); and
The smart mobility server is used when the shaking data and GP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or the mobility of mobility travelers are repeatedly transmitted at a preset location at a preset different time, and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bicycle road driving route. If there is a deviant driving route, transmitting maintenance request data along with location information data due to damage, suspicion of damage, flooding or various accidents of the bicycle road to the maintenance control system server of the local government (S260);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method of G-sensor-based road surface damage data collection and hazard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KR1020210121066A 2021-09-10 2021-09-10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KR202300379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066A KR20230037923A (en) 2021-09-10 2021-09-10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066A KR20230037923A (en) 2021-09-10 2021-09-10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923A true KR20230037923A (en) 2023-03-17

Family

ID=8587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066A KR20230037923A (en) 2021-09-10 2021-09-10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7923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309A (en) 2009-02-10 2010-08-19 정균 Event method of bike road
KR20150111468A (en) 2014-03-25 2015-10-06 왕수민 System for providing safety information of bicycle using smart device
KR101560709B1 (en) 2013-12-16 2015-10-19 대한민국 User equipment for a safe operation of a bicycle on a bicycle roa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KR20180095745A (en) 2017-02-17 2018-08-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Direction indicator system for detachable type bicycle using acceleration sensor of smart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309A (en) 2009-02-10 2010-08-19 정균 Event method of bike road
KR101560709B1 (en) 2013-12-16 2015-10-19 대한민국 User equipment for a safe operation of a bicycle on a bicycle roa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KR20150111468A (en) 2014-03-25 2015-10-06 왕수민 System for providing safety information of bicycle using smart device
KR20180095745A (en) 2017-02-17 2018-08-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Direction indicator system for detachable type bicycle using acceleration sensor of smart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6094B1 (en) System for driver's education
US11257377B1 (en) System for identifying high risk parking lots
US10989556B1 (en) Traffic risk a avoidance for a route selection system
KR102425960B1 (en) Real-time lane change selection for autonomous vehicles
US1199440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nected driving based on dynamic contextual factors
US9501934B2 (en) Notification system, electronic device,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70241791A1 (en) Risk Maps
CN104978853A (en) Road traffic safety evaluating method and system
CN104584100A (en) Vehicle-surroundings monitoring device and vehicle-surroundings monitoring system
JP6065435B2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20210270620A1 (en) Traffic Risk Notification System
US20210209937A1 (en) A roadside uni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776750B1 (en) Server,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all enable information of driver
KR101495674B1 (en) Navigation device based on multi-user relationship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16212056A (en) Notification system, server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program, and notification method
Almeida et al. Trust: Transportation and road monitoring system for ubiquitous real-time information services
KR20230037923A (en) G-sensor-based road damage data collection and risk notification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users
CN108053663A (en) Urban traffic control system based on big data platform
JP5564537B2 (en) Road sign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road sign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JP2010151477A (en) Navigation system
CN114338785A (en) Accompanying type travel service system
GB2421828A (en) Traffic hazard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that sends and receives data from sensors and other vehicles relating to the traffic hazards
Shah et al. CycleSafe: Safe Route Planning for Urban Cyclists
JP2020052454A (en) Pedestrian device, on-vehicle device,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and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Akin et al. The Use of Connected Vehicle Technology To Facilitate Multimodal Winter Travel (Phase 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