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883A -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883A
KR20230037883A KR1020210120977A KR20210120977A KR20230037883A KR 20230037883 A KR20230037883 A KR 20230037883A KR 1020210120977 A KR1020210120977 A KR 1020210120977A KR 20210120977 A KR20210120977 A KR 20210120977A KR 20230037883 A KR20230037883 A KR 2023003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wire
auxiliary device
unit
in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380B1 (ko
Inventor
이윤건
장영식
박준영
김태원
고병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2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25J9/104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comprising tens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는: 작업자에 장착되는 몸체부;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부; 링크부에 설치되고, 선단공구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간접활선 스틱을 지지하는 스틱지지부; 몸체부에 장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 및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부와 연결되며, 링크부에 스프링부의 장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AUXILIARY APPARATUS FOR INDIRECT LIVE-LINE MAINTENANCE}
본 발명은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 구조와 탄성체인 스프링을 활용하여 간접활선 장비에 장력을 부여하여 간접활선 작업을 할 수 있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분야에서 정전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활선 상태에서 전선 교체 등의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작업자의 안전 등을 고려하여 간접활선 공법이 도입되었다. 간접활선 작업에서 간접활선 스틱 상단에 유압 압축기, 절단기, 테이핑기 등의 여러 선단공구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간접활선 장비 중에서 스틱과 선단공구의 중량에 의해 작업자에게 근피로도가 증가된다. 또한 간접활선 스틱을 보게 되면, 하단 절연한계 커버(빨간색 고무패킹) 이하를 파지해야 하는 상황에서 파지 위치 반대편의 스틱 끝단에 장비가 장착됨에 따라 모멘트 암이 길어지게 된다. 특히 선단공구 중 압축기 체결시 체감 하중이 15kg이상으로 간접활선 작업자의 근피로도를 크게 증가시키고, 불안정한 작업 자세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5018호(2020.03.10 공개, 발명의 명칭: 간접 활선 작업용 보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 구조와 탄성체인 스프링을 활용하여 간접활선 장비에 장력을 부여하여 간접활선 작업을 할 수 있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는: 작업자에 장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설치되고, 선단공구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간접활선 스틱을 지지하는 스틱지지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 및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부와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에 상기 스프링부의 장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작업자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몸체부; 및 상기 작업자의 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부가 장착되는 후면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후면몸체부는, 상기 작업자의 후면부에 배치되는 후면플레이트부; 일측이 상기 스프링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후면플레이트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플레이트부;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링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수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수철은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에 연결되는 갯수가 조절되어, 상기 링크부에 전달되는 장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크부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회전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을 향해 설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링크부와 상기 스틱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링크부의 각도를 고정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링크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의 각도를 고정하는 보조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가 외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아이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는 와이어튜브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간접활선 스틱 등의 장비 조작시 스프링부를 통해 간접활선 스틱의 하중을 보상해줌으로써, 작업자의 근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접활선 스틱 등의 장비를 활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시 작업자의 팔, 어깨 등 소근육으로 부하가 집중되는 문제를 등이나 허벅지 등 대근육으로 부하를 분산시켜 작업자의 근력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부의 조절로 간접활선 스틱 등의 장비에 전달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간접활선 작업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부의 회전에 의해 스틱지지부의 승강 높이가 조절되어, 간접활선 스틱을 스틱지지부에서 탈거하지 않고 간접활선 스틱의 단부에 공구 교체가 가능하여 작업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접활선 작업 전후로 별도의 설치 및 수거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부의 자세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부와 브레이크부를 구비하여 작업의 안정성과 섬세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간접활선 스틱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링크부의 회전에 따른 후면몸체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스프링부의 장착 갯수를 조절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회전제한부에 의해 링크부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와이어 손상으로 인한 장비 낙하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간접활선 장비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간접활선 장비 교체를 위해 간접활선 스틱을 하강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간접활선 스틱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링크부의 회전에 따른 후면몸체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스프링부의 장착 갯수를 조절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회전제한부에 의해 링크부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와이어 손상으로 인한 장비 낙하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간접활선 장비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간접활선 장비 교체를 위해 간접활선 스틱을 하강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는 몸체부(100), 링크부(200), 스틱지지부(300), 스프링부(400), 와이어(5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작업자(10)의 상체 전면과 후면에 장착된다. 몸체부(100)는 작업자(10)의 허리띠와 어깨끈에 고정된다.
몸체부(100)는 전면몸체부(110)와 후면몸체부(120)를 포함한다. 전면몸체부(110)는 작업자(10)의 전면부(도 1 기준 우측)에 배치되고, 링크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면몸체부(110)는 작업자(10)의 허리띠에 고정된다.
후면몸체부(120)는 작업자(10)의 후면부(도 1 기준 좌측)에 배치되고, 스프링부(400)가 장착된다. 전면몸체부(110)와 후면몸체부(120)는 작업자(10)의 허리띠에 고정되거나, 몸체부(100)에 별도로 연결된 어깨끈을 통해 작업자(10)의 어깨에 걸처져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500)는 링크부(200)에 연결되거나(도 1 참조), 또는 와이어(500)는 링크부(200)를 거치지 않고 스틱지지부(3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후면몸체부(120)는 후면플레이트부(121), 이동플레이트부(123), 가이드부(125)를 포함한다. 후면플레이트부(121)는 작업자(10)의 후면부에 배치된다. 후면플레이트부(121)는 작업자(10)의 등 측에 배치되고, 하측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동플레이트부(123)는 일측(도 5 기준 하측)이 스프링부(400)와 연결되고, 타측(도 5 기준 상측)이 와이어(500)와 연결되는 것으로, 후면플레이트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동플레이트부(123)는 후면플레이트부(121)의 좌우 양측(도 5 기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125)에 의해 후면플레이트부(1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가이드부(125)는 후면플레이트부(121)의 좌우 양측(도 5 기준)에 설치되고, 이동플레이트부(123)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125)는 이동플레이트부(12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25)에 의해 이동플레이트부(123)와 연결된 와이어(500)의 장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링크부(200)는 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링크부(200)는 일단부(도 3 기준 좌측단부)가 전면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도 3 기준 우측단부)가 스틱지지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 쌍의 링크부(200), 전면몸체부(110), 스틱지지부(300)는 회전 가능한 사각 형상을 이룬다.
스틱지지부(300)는 링크부(200)에 설치되고, 간접활선 스틱(20)을 지지한다. 간접활선 스틱(20)은 간접활선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로서, 일단부(도 1 기준 상단부)에 유압 압축기, 절단기, 테이핑기 등의 여러 선단공구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틱지지부(300)는 스틱고정부(310)를 구비한다. 스틱고정부(310)는 간접활선 스틱(20)의 외측면을 감싸고 고정한다. 스틱지지부(300)의 스틱고정부(310)에 의해 일정 중량의 간접활선 스틱(20)이 낙하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스틱고정부(310)는 간접활선 스틱(20)을 링크부(200)에 완전히 고정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섬세한 작업을 위해 다자유도 패시브 조인트(볼조인트, 유니버셜 조인트 등)를 장착하거나 간접활선 작업에 최적화된 1~2자유도 패시브 조인트 부착이 가능하다.
스프링부(400)는 몸체부(100)의 후면몸체부(120)에 장착되는 것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스프링부(4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용수철로 이루어져, 후면몸체부(120)의 이동플레이트부(123)를 통해 와이어(500)와 연결된다. 스프링부(400)에 의해 이동플레이트부(123)와 연결된 와이어(500)에 장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후면몸체부(120)에 배치된 스프링부(400)의 용수철의 수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수철로 이루어지고, 스프링부(400)의 용수철은 이동플레이트부(123)에 연결되는 갯수가 조절되어, 링크부(200)에 전달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스프링부(400)의 용수철은 후면몸체부(120)의 후면플레이트부(121)와 이동플레이트부(123)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간접활선 스틱(20)과 간접활선 스틱(20)에 장착된 선단공구의 중량에 따른 하중에 대해 스프링부(400)의 용수철의 수를 조절하여 와이어(500)에 설정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와이어(500)는 몸체부(100)와 스틱고정부(3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부(400)와 연결되며, 링크부(200)에 스프링부(400)의 장력을 전달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는 회전제한부(600)를 더 포함한다. 회전제한부(600)는 링크부(200)의 회전을 제한하고, 링크부(200)의 각도 및 자세를 유지하고, 낙하를 방지한다. 회전제한부(600)는 스토퍼부(610)와 브레이크부(620)를 포함한다.
스토퍼부(610)는 일측(도 10 기준 우측)이 몸체부(100)의 전면몸체부(110)에 장착되고, 타측(도 10 기준 좌측)이 지면을 향해 설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링크부(200)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와이어(500)의 절단 등에 의해 링크부(200)가 하측으로 내려갈 때, 스토퍼부(610)에 링크부(200)가 접촉되어 링크부(200)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부(200)에 연결된 스틱지지부(300)에 고정된 간접활선 스틱(20)도 회전이 제한되어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부(610)는 전면몸체부(110)에 별도로 연결된 완충역할 파트를 통해 와이어(500)의 절단 사고시 작업자에 가해질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토퍼부(610)는 내측에 스토퍼홈부(611)가 형성된다. 스토퍼홈부(611)는 링크부(200)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스토퍼홈부(611)에 링크부(200)를 수용할 수 있다(도 11 참조).
스토퍼부(610)는 전면몸체부(110)에 별도로 연결된 완충 역할 파트를 통해 와이어(500) 절단시 작업자(10)에게 가해질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브레이크부(620)는 브레이크몸체부(621)와 브레이크접촉부(623)를 포함한다. 브레이크부(620)는 링크부(200)와 스틱지지부(300)에 연결되고, 스틱지지부(300)와의 면접촉에 의해 링크부(200)의 각도 및 자세를 고정시킨다.
브레이크몸체부(621)는 링크부(200)와 스틱지지부(300)에 부착되고, 링크부(200)와 함께 회전된다. 브레이크몸체부(621)는 스틱지지부(300)와의 면접촉에 의해 링크부(200)의 각도 및 자세를 고정시킨다.
브레이크접촉부(623)는 브레이크몸체부(621)의 단부(도 10 기준 우측단부)를 링크부(200)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제한부(600)는 보조브레이크부(630)를 더 포함한다. 보조브레이크부(630)는 링크부(200)와 몸체부(100)의 전면몸체부(110)에 연결되고, 몸체부(100)의 전면몸체부(110)와의 면접촉에 의해 링크부(200)의 각도 및 자세를 고정시킨다.
보조브레이크부(630)는 브레이크부(620)의 브레이크접촉부(623)와 같이 또는 보조로 링크부(200)의 각도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브레이크부(630)는 몸체부(100)의 전면몸체부(110)와의 면접촉에 의해 링크부(200)의 자세를 고정시킨다.
도 11을 참조하면, 와이어(500)의 절단 등에 의해 링크부(200)가 하측으로 내려갈 때, 링크부(200)가 스토퍼부(610)와 접촉되어 링크부(200)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링크부(200)에 연결된 스틱지지부(300)에 고정된 간접활선 스틱(20)도 회전이 제한되어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는 아이들러(700)를 더 포함한다. 아이들러(700)는 링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아이들러(700)는 와이어(5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와이어(500)는 아이들러(700)의 외측면에 거치된다. 아이들러(700)는 와이어(500)의 이동시 회전되면서 와이어(5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는 와이어튜브부(800)를 더 포함한다. 와이어튜브부(800)는 와이어(500)가 이동 가능하게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00)의 후면몸체부(120)에 장착된다.
와이어튜브부(800)는 역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10)의 어깨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와이어튜브부(800)를 통해 와이어(500)가 이동된다. 와이어튜브부(800)에 의해 상술한 와이어튜브부(800)가 없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비해, 아이들러(700)를 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서 간접활선 스틱(20)의 단부에 선단 유압 압축기, 절단기, 테이핑기 등의 여러 선단공구의 교체를 설명한다.
작업자(10)는 스틱지지부(3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틱지지부(300)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링크부(200)는 몸체부(100)의 전면몸체부(110)에서 일방향(도 13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4과 같이, 전면몸체부(110)에 후면에 겹쳐져 있던 전면몸체연장부(111)로 전면몸체부(110)를 연장하고, 간접활선 스틱(20)의 단부(도 14 기준 상단부)가 작업자(10)의 눈높이에 배치되도록 링크부(200)가 회전된다. 이때 링크부(200)는 스토퍼부(610)에 의해 더 이상 회전이 제한된다.
작업자(10)는 자신의 눈높이에 있는 간접활선 스틱(20)의 단부에서 작업에 적합한 선단공구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간접활선 스틱(20) 등의 장비 조작시 스프링부(400)를 통해 간접활선 스틱(20)의 하중을 보상해줌으로써, 작업자(10)의 근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접활선 스틱(20) 등의 장비를 활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시 작업자(10)의 팔, 어깨 등 소근육으로 집중되는 문제를 등이나 허벅지 등 대근육으로 부하를 분산시켜 작업자(10)의 근력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부(400)의 조절로 간접활선 스틱(20) 등의 장비에 전달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부(200)의 회전에 의해 스틱지지부(300)의 승강 높이가 조절되어, 간접활선 스틱(20)을 스틱지지부(300)에서 탈거하지 않고 간접활선 스틱(20)의 단부에 공구 교체가 가능하여 작업의 불연속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접활선 작업 전후로 별도의 설치 및 수거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부(200)의 자세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부(610)와 브레이크부(620)를 구비하여 작업의 안정성과 섬세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작업자 20: 간접활선 스틱
100: 몸체부 110: 전면몸체부
111: 전면몸체연장부 120: 후면몸체부
121: 후면플레이트부 123: 이동플레이트부
125: 가이드부 200: 링크부
300: 스틱지지부 310: 스틱고정부
400: 스프링부 500: 와이어
600: 회전제한부 610: 스토퍼부
611: 스토퍼홈부 620: 브레이크부
621: 브레이크몸체부 623: 브레이크접촉부
700: 아이들러 800: 와이어튜브부

Claims (10)

  1. 작업자에 장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설치되고, 선단공구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간접활선 스틱을 지지하는 스틱지지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부; 및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부와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에 상기 스프링부의 장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작업자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몸체부; 및
    상기 작업자의 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부가 장착되는 후면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몸체부는,
    상기 작업자의 후면부에 배치되는 후면플레이트부;
    일측이 상기 스프링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후면플레이트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플레이트부;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수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수철은 상기 이동플레이트부에 연결되는 갯수가 조절되어, 상기 링크부에 전달되는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회전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을 향해 설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링크부와 상기 스틱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링크부의 각도를 고정하는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링크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의 각도를 고정하는 보조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가 외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아이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는 와이어튜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0210120977A 2021-09-10 2021-09-10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62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977A KR102621380B1 (ko) 2021-09-10 2021-09-10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977A KR102621380B1 (ko) 2021-09-10 2021-09-10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883A true KR20230037883A (ko) 2023-03-17
KR102621380B1 KR102621380B1 (ko) 2024-01-08

Family

ID=8587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977A KR102621380B1 (ko) 2021-09-10 2021-09-10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3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291A (ko) * 2008-09-08 2010-03-17 (주)티에이치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KR20150056485A (ko) * 2013-11-15 2015-05-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기기
KR20200004034A (ko) * 2018-07-03 2020-01-13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장치
KR20200025018A (ko) * 2018-08-29 2020-03-10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 작업용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291A (ko) * 2008-09-08 2010-03-17 (주)티에이치엔 와이어의 간섭방지장치
KR20150056485A (ko) * 2013-11-15 2015-05-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기기
KR20200004034A (ko) * 2018-07-03 2020-01-13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장치
KR20200025018A (ko) * 2018-08-29 2020-03-10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 작업용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380B1 (ko) 202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850B1 (ko) 허리 근력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착용 로봇
KR102603041B1 (ko) 착용식 근력 보조 장치
JP7434312B2 (ja) 使用者の少なくとも1本の腕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
KR102660352B1 (ko) 착용식 근력 보조 장치
CN112601638A (zh) 用于支持用户的至少一个手臂的装置
JP2014172129A (ja) 作業支援装置
KR20230037883A (ko) 간접활선작업용 보조장치
CN110680679A (zh) 一种交互式下肢康复训练系统
CN110613587B (zh) 一种配重式下肢康复机器人
CN102091876A (zh) 一种防护门装置
KR20240034420A (ko) 상지 근력 보조 장치
KR20200004034A (ko)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장치
UA91391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готовок
KR20170125210A (ko) 착용형 로봇
CN112436430A (zh) 一种高空作业手托架
KR101750072B1 (ko) 안전고리장치
KR20220170575A (ko) 쇄클 교체용 간접 활선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쇄클 철거 공법
KR20210065278A (ko) 착용식 근력 보조 장치
KR20210012681A (ko) 그라인더용 보조 장치
CN108621135A (zh) 一种用于工业外骨骼带阻尼减振器的机械臂
KR101310198B1 (ko) 리벳팅 작업용 보조대
CN214658698U (zh) 一种高空作业安全防护装置
EP0294351B1 (en) Vibration dampened machine handle
CN220388808U (zh) 一种机械设备的防护罩连接机构
WO2018142663A1 (ja) 作業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