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915A -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915A
KR20230036915A KR1020210120006A KR20210120006A KR20230036915A KR 20230036915 A KR20230036915 A KR 20230036915A KR 1020210120006 A KR1020210120006 A KR 1020210120006A KR 20210120006 A KR20210120006 A KR 20210120006A KR 20230036915 A KR20230036915 A KR 20230036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card
cash
management device
cred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739B1 (ko
Inventor
김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네트
Priority to KR1020210120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7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4Card activation or deactiv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8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the card verification value [CVV] associated with the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3Solvenc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관리장치는 결제가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대금 결제와 관련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신용이나 현금IC카드 결제와 관련한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카드 고유번호(BIN)를 확인하여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Apparatus for Providing Payment Managem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령 키오스크(Kiosk), 현금지급기(ATM), POS(Point of Sales) 단말기 등에서의 현금IC카드 결제를 용이하게 하는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금IC카드결제 서비스는 현금 입출금 기능을 가진 IC카드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복제와 해킹이 불가능한 IC칩에 은행계좌 정보를 담고 고객이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비로소 결제승인이 완료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강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가맹점에서 소비자가 제시하는 IC카드를 통해 현금IC 결제를 수행시 금융결제원 서버로부터 결제 불능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비자에게 현금IC 결제가 불가능함을 통보한 후, 소비자가 신용카드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IC 카드를 결제 단말기에서 뽑은 후 다시 결제 단말기에 삽입하여 신용결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결제수단을 결제에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87458호(2018.08.0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44358호(2021.04.2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령 키오스크(Kiosk), 현금지급기(ATM), POS 단말기 등에서의 현금IC카드 결제를 용이하게 하는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결제가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대금 결제와 관련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신용이나 현금IC카드 결제와 관련한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카드 고유번호(BIN)를 확인하여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한 결과 신용 결제 기능만 존재하거나 MS(Magnetic stripe) 거래의 경우 신용카드 결제로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한 카드 고유번호 목록상에 상기 카드 고유번호가 확인될 때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 고유번호가 확인될 때 비밀번호 오류, 잔액 부족 또는 거래 정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를 최종 진행시키거나 신용카드 결제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금IC카드 결제의 최종 진행이 불가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신용 결제의 진행 여부를 물어 상기 사용자의 승인이 있을 때 상기 신용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금IC카드 기능이 있을 때 상기 카드 고유번호의 확인 이외에 카드가 연동되는 은행 계좌 정보는 미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맹점의 가상계좌 정보를 기등록하고, 상기 기등록한 가상계좌 정보를 이용해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대금을 가맹점에 지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결제가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대금 결제와 관련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신용이나 현금IC카드 결제와 관련한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카드 고유번호(BIN)를 확인하여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한 결과 신용 결제 기능만 존재하거나 MS 거래의 경우 신용카드 결제로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기저장한 카드 고유번호 목록상에 상기 카드 고유번호가 확인될 때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드 고유번호가 확인될 때 비밀번호 오류, 잔액 부족 또는 거래 정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를 최종 진행시키거나 신용카드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현금IC카드 결제의 최종 진행이 불가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신용 결제의 진행 여부를 물어 상기 사용자의 승인이 있을 때 상기 신용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상기 카드 고유번호의 확인 이외에 카드가 연동되는 은행 계좌 정보는 미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맹점의 가상계좌 정보를 기등록하고, 상기 기등록한 가상계좌 정보를 이용해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대금을 가맹점에 지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은, 결제가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대금 결제와 관련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신용이나 현금IC카드 결제와 관련한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카드 고유번호(BIN)를 확인하여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오스크(Kiosk), 현금지급기나 POS 단말기 등을 이용한 결제 처리시 다양한 결제 수단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결제 서비스가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처리시 현금IC카드 결제를 기본으로 하고, 원하는 경우 쉽게 신용 카드 결제로 전환할 수 있어 결제가 매우 편리하며 고객이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결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가맹점은 결제대금의 지급방식과 시기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어 정산업무 편의 도모 및 개발비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관리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제관리장치의 현금IC결제 전 신용카드 결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결제관리장치의 가맹점 결제대금 정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결제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관리서비스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결제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거나,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과 결합 또는 접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고, 예컨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관리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결제관리장치의 현금IC결제 전 신용카드 결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결제관리장치의 가맹점 결제대금 정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관리서비스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결제관리장치(120) 및 금융사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금융사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결제관리서비스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결제관리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결제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대표적으로 키오스크, 현금자동인출기(ATM)나 다수의 가맹점에 설치되는 POS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무인 음식주문기와 같이 결제가 이루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결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제 수단은 카드 형태가 바람직하며, 물론 스마트폰 등의 유심(USIM)에 저장되는 전자결제 정보, QR 코드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결제를 실행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근접시킴으로써 NFC(Near Field Communiction) 형태의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표시된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인식하거나 스마트폰에 표시된 QR코드를 인식하여 결제가 가능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Kiosk, ATM이나 POS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결제의 유형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IC카드, 모바일 현금IC카드, 발급은행을 통해 결제, 삼성페이 등의 MS(Magnetic Stripe) 거래를 포함한다. 여기서, 현금IC카드 결제는 체크카드결제와 같이 고객의 계좌에서 결제금액이 인출되는 거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용카드 및 법인카드의 현금IC 결제를 방지하고자 카드 BIN(Bank Identification Number)을 확인(check)하여 현금IC 거래 가능여부를 판단한다. BIN은 카드사의 고유번호로 통상적으로 카드 일련번호 16자리 중 앞 6자리를 말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결제관리장치(120)에 접속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고객이 결제 요청을 하면, 사용자에게 결제 카드 투입 요청을 안내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가 현금IC 카드를 투입하면 현금IC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신용카드를 투입하면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진행한다.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결제관리장치(120)의 요청에 따라 결제금액 안내 및 신용전환 여부, 5만원 초과 판단, 비밀번호 입력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결제금액 안내 및 신용전환 여부는 결제관리장치(120)에서 카드의 유형을 판단한 후 현금IC 카드일 때 이후 BIN 체크가 완료되면 해당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결제관리장치(12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결제관리장치(혹은 한네트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결제 요청이 있을 때 결제 정보를 근거로 카드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금IC 카드와 같이 현금IC카드 결제가 가능한 경우, BIN을 체크하여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킨다. 좀더 구체적으로 결제관리장치(120)는 카드종류를 판별한 뒤 신용카드 기능만 갖는 카드가 아니라면 카드 BIN 화이트리스트와 카드의 BIN 데이터를 대조하여 현금 IC 결제 가능 여부를 판별한다. 이의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드와 연동된 은행 계좌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카드 BIN 화이트리스트는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BIN 정보가 저장한 목록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관리장치(120)는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현금IC카드 결제가 가능한 카드인지 판단하고 BIN 정보를 확인하여 등록된 BIN일 때 최종 결제를 진행한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BIN은 가령 신용카드 및 법인카드의 현금IC 결제를 방지한다.
현금IC카드 결제는 체크카드결제와 같이 고객의 계좌에서 결제금액이 인출되는 거래이다. 결제관리장치(120)는 신용카드 및 법인카드의 현금IC 결제를 방지하고자 카드 BIN을 체크하여 현금IC 거래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결제관리장치(120)에서 이루어지는 현금IC 카드의 거래 가능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내용 중 '개인/법인'의 현금IC 거래 가능 구분은 가맹점의 요구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구분
카드구분 개인/법인 발급은행
체크 신용 개인 법인 현금IC참가기관 미참가기관
현금IC카드 × × ×
또한, 결제관리장치(120)에 이루어지는 판별 기준값별 판별가능 정보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현금IC가능여부 판별값으로 구분 가능 여부
카드BIN 은행코드 카드구분
신용카드 개인 불가 가능 불가 신용, 겸용(신용+현금IC), 현금IC로만 구분 가능
법인 불가 가능 불가
체크카드 개인 가능 가능 불가
법인 불가 가능 불가
현금IC카드 - 가능 불가 불가
발급은행 - 일부 불가 일부 불가 가능 판별불가
MS거래(삼성페이 등) - 불가 불가 불가 가능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관리장치(120)는 현금IC카드 거래가능 여부를 판별한다. <표 2>에 근거해 볼 때, 1차 판별을 통해 카드를 구분하며 2차 판별을 통해 카드 BIN을 체크한다. 이를 통해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가능 카드BIN만 결제를 진행하게 된다. 1차 판별의 카드 구분은 <표 3>에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신용 겸용(신용+현금IC) 현금IC MS(삼성페이 등)
신용카드 거래 진행 2차 판별 진행 현금IC 카드 거래 진행 신용카드 거래 진행
결제관리장치(120)는 2차 판별에서 카드 BIN을 체크하여 체크 결과에 따라 결제를 진행하지만, 현금IC카드 결제가 실패할 수 있다. <표 4>는 결제가 실패되는 처리 구분을 나타낸다. 결제관리장치(120)는 현금IC카드 결제 실패시 사유에 따라 신용카드 결제를 진행할지 거래를 종료할지 판단한다. 또한 결제관리장치(120)는 결제 실패 사유가 신용카드 거래 진행시 결제 가능한 사유일 경우 신용카드 거래를 진행하며 이외의 거래는 거래종료 처리한다.
구분 신용카드 거래 거래종료 비고
카드리딩오류 -
회선장애 등 기타 전산오류 -
기타 기관 거절 사고신고, 압류계좌 등
잔액 부족 -
은행시스템 점검시간 -
비밀번호 입력횟수 초과 비밀번호 5회이상 불일치
거래타임아웃 -
은행기타 장애 은행시스템점검 등
비밀번호 오류 -
거래제한카드 현금IC결제기능미부여
카드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관리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IC결제 전 신용카드 결제 전환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현금IC 카드 가능카드로 판별되어 현금IC결제가 진행되기 전 고객 의사에 의해 신용카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제공한다(S200 ~ S230). S209 및 S219의 화면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관련 데이터는 결제관리장치(120)에서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결제관리장치(120)는 도 3에서와 같이 가맹점 결제대금 정산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결제대금을 가맹점의 요청에 맞추어 정산하여 가맹점의 정산업무 편의 도모 및 추가 개발비용 절감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3의 (a)는 기본적인 형태로 현금IC 결제서비스 기본 입금 방법이며, 입금은행에서 가맹점 대표계좌에 일시 송금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의 (b)는 가맹점 각 지점 가상계좌로 입금하는 방법이다. 각 가맹점 지점으로 생성된 가상계좌에 지점의 결제대금을 입금하여 가맹점 대표계좌로 집금되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도 3의 (c)는 가맹점 대표계좌로 각 지점별 분산 입금하는 방법이다. 각 가맹점 지점 적요를 표시하여 분산하여 대표계좌에 입금한다. 통장 기재내용은 <표 5>에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적요 금액
A지점 000원
B지점 000원
C지점 000원
... ...
금융사장치(130)는 결제관리장치(120)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은행이나 카드사 등의 서버나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제관리장치(120)는 VAN사의 서비스 장치인 경우, 결제모듈의 실행에 따라 A 사용자의 은행계좌에서 B 사용자의 은행계좌로 현금을 이체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카드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금융사장치(130)는 결제관리장치(120)는 거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결제관리장치(120)는 이를 통해 수수료를 제외한 결제 금액을 정산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결제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결제관리장치(12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이하, 결제관리장치로 설명함)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결제관리부(420) 및 저장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4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결제관리장치(120)가 구성되거나, 결제관리부(4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4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도 1의 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즉 결제 요청이 있을 때 도 2의 S209 단계에서와 같은 화면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결제금액 입력, 비밀번호 입력, 결제금액 안내 및 신용전환 여부를 묻는 화면 등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410)는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결제관리부(420) 및 저장부(4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결제 요청이 있을 때 결제관리부(420)를 제어하여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 물론 이러한 서비스 화면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가능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제 요청에 따라 카드가 삽입될 때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근거로 결제 카드의 유형을 판단하고, 현금IC 카드 결제가 가능한 카드로 판단될 때 카드 BIN을 체크하여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어부(410)는 수신된 결제 정보를 저장부(430)에 저장한 후 다시 불러내어 결제관리부(420)에 제공할 수 있다.
결제관리부(420)는 결제 정보 즉 카드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정보를 근거로 카드의 유형을 먼저 판단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1차 판별이라 명명될 수 있다. 물론 결제 정보는 2진 비트정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따라서 특정 비트정보를 확인하여 즉 카드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는 부위(혹은 영역)의 2진비트정보를 확인하여 카드의 유형을 판단한다. 이의 과정에서 신용카드로 판단되면 신용카드 거래를 진행시킨다. 이의 과정에서 결제관리부(420)는 신용카드 결제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다.
반면 현금IC카드 결제를 위한 체크카드나 현금IC카드로 판단되면 결제관리부(420)는 카드 BIN을 한번 더 판단한다. 사용자들의 카드 BIN 정보는 사전에 기저장될 수 있으며, 가령 회원가입이나 제휴 등을 통해서 BIN 정보를 취득하여 도 1의 DB(120a)에 저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BIN 목록을 확인하여 목록상에 수신된 카드 BIN 정보가 없으면 결제관리부(420)는 신용카드 거래를 진행시킨다.
물론 결제관리부(420)는 이의 과정에서 결제금액을 안내하고, 현금IC 진행이 아닌 신용카드 결제를 진행하도록 물을 수 있으며, 현금결제 진행시 5만원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5만원이 초과되는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요청한다. 나아가 결제관리부(420)는 현금IC 정상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표 4>를 통해 설명한 바 있다. 시스템 오류나 잔액부족, 거래 제한 카드 등의 여부를 더 판단하여 이상이 없을 때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킨다. 반면, 이상이 있을 경우 신용 거래 여부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묻고 신용거래를 요청할 때 신용거래를 진행시키거나 자동으로 신용카드 거래를 진행시킨다.
저장부(430)는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결제를 위한 카드의 결제 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정보는 다시 결제관리부(420)에 제공하도록 출력한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결제관리부(420) 및 저장부(4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결제관리부(420) 및 저장부(4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4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4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결제관리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결제관리부(4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관리서비스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볼 때,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결제카드 투입을 요청하여 카드 투입을 수행한다(S501 ~ S503). 물론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에서 얼마든지 신용 결제로 전환할 수 있다(S504).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가령 확인버튼을 선택하여 또는 카드가 삽입되면 자동으로, 결제 정보가 결제관리장치(120)로 전송되어, 결제관리장치(120)는 결제 수단을 1차적으로 판별하고, 1차 판별된 결과를 근거로 즉 현금결제가 가능한 체크카드나 현금IC 카드로 판단되면 BIN을 체크한다. 기저장된 BIN 목록에 결제하려는 카드의 BIN 정보가 있으면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S507, S509).
2차 판별이 완료된 후에도 결제관리장치(120)는 화면에서 신용전환을 위한 버튼을 선택하여 얼마든지 신용카드 거래로 전환할 수 있다(S511, S512).
만약 현금IC카드 결제를 계속 진행하는 경우 결제금액이 5만원을 초과할 때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고객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취하고 도 1의 금융사장치(130)로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결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비밀번호 반복 오류나, 잔액 부족, 거래제한 카드 여부 등을 판단하여 결제 실패시에는 결제관리장치(120)는 자동으로 신용 결제를 진행시키거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신용 결제를 진행할지를 묻고 그에 따라 신용카드 거래를 진행 혹은 결제를 종료시킨다(S513 ~ S519).
현금IC카드 결제가 실패되었을 때 자동으로 신용 결제를 진행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100)을 통해 고객에게 진행여부를 묻고 신용 결제를 진행할지는 가맹점의 의사에 따라 결정 가능하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5의 사용자 단말장치(100), 결제관리장치(120) 및 금융사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1의 결제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관리장치(12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이하, 결제관리장치로 설명함)는 결제가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대금 결제와 관련한 결제 정보를 수신한다(S600). 여기서, 결제 정보는 2진 비트정보의 형태로 제공되며, 지정된 포맷을 갖는다. 따라서, 결제 정보에는 카드 BIN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관리장치(120)는 수신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신용이나 현금IC카드 결제와 관련한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카드 고유번호(BIN)를 확인하여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킨다(S610). 이의 카드 고유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현금IC카드 결제 서비스의 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저장된 BIN 목록 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외부장치 가령 금융사장치(130) 등으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나아가, 결제관리장치(120)는 현금IC카드 결제시 비밀번호 반복오류나, 거래제한 카드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현금IC카드 결제를 중단시키며 이의 과정에서 자동으로 신용 결제를 진행하거나 신용 결제를 진행할지를 사용자에게 물어 신용 결제를 바로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결제관리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의 편의상 결제관리장치(120)의 구성 및 동작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이 될 수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장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가령 IC 모듈(module)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또는 결제관리장치(120)에 탑재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결제관리장치 130: 금융사장치
400: 통신 인터페이스부 410: 제어부
420: 결제관리부 430: 저장부

Claims (15)

  1. 결제가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대금 결제와 관련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신용이나 현금IC카드 결제와 관련한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카드 고유번호(BIN)를 확인하여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한 결과 신용 결제 기능만 존재하거나 MS(Magnetic stripe) 거래의 경우 신용카드 결제로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한 카드 고유번호 목록상에 상기 카드 고유번호가 확인될 때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 고유번호가 확인될 때 비밀번호 오류, 잔액 부족 또는 거래 정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를 최종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금IC카드 결제의 최종 진행이 불가한 경우 자동으로 신용 결제를 진행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신용 결제의 진행 여부를 물어 상기 사용자의 승인이 있을 때 상기 신용 결제를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상기 카드 고유번호의 확인 이외에 카드가 연동되는 은행 계좌 정보는 미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맹점의 가상계좌 정보를 기등록하고, 상기 기등록한 가상계좌 정보를 이용해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대금을 가맹점에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
  8.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결제가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대금 결제와 관련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신용이나 현금IC카드 결제와 관련한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카드 고유번호(BIN)를 확인하여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한 결과 신용 결제 기능만 존재하거나 MS(Magnetic stripe) 거래의 경우 신용카드 결제로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기저장한 카드 고유번호 목록상에 상기 카드 고유번호가 확인될 때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드 고유번호가 확인될 때 비밀번호 오류, 잔액 부족 또는 거래 정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를 최종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현금IC카드 결제의 최종 진행이 불가한 경우 자동으로 신용 결제를 진행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신용 결제의 진행 여부를 물어 상기 사용자의 승인이 있을 때 상기 신용 결제를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상기 카드 고유번호의 확인 이외에 카드가 연동되는 은행 계좌 정보는 미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시키는 단계는,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맹점의 가상계좌 정보를 기등록하고, 상기 기등록한 가상계좌 정보를 이용해 상기 현금IC카드 결제대금을 가맹점에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5.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은,
    결제가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대금 결제와 관련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신용이나 현금IC카드 결제와 관련한 결제 수단의 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금IC카드 결제 기능이 있을 때 카드 고유번호(BIN)를 확인하여 현금IC카드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10120006A 2021-09-08 2021-09-08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630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006A KR102630739B1 (ko) 2021-09-08 2021-09-08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006A KR102630739B1 (ko) 2021-09-08 2021-09-08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915A true KR20230036915A (ko) 2023-03-15
KR102630739B1 KR102630739B1 (ko) 2024-01-29

Family

ID=8551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006A KR102630739B1 (ko) 2021-09-08 2021-09-08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7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458B1 (ko) 2017-03-02 2018-08-10 베스트티앤씨 주식회사 현금ic 결제 안내 서버를 이용한 현금ic 결제 정보의 제공 방법
KR20190073432A (ko) * 2017-04-13 2019-06-26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Ic 카드 기반의 트랜잭션 처리 및 신용 결제 인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200017636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Ic 카드의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458B1 (ko) 2017-03-02 2018-08-10 베스트티앤씨 주식회사 현금ic 결제 안내 서버를 이용한 현금ic 결제 정보의 제공 방법
KR20190073432A (ko) * 2017-04-13 2019-06-26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Ic 카드 기반의 트랜잭션 처리 및 신용 결제 인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266679B1 (ko) * 2017-04-13 2021-06-22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Ic 카드 기반의 트랜잭션 처리 및 신용 결제 인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200017636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Ic 카드의 결제 방법
KR102244358B1 (ko) 2018-08-09 2021-04-27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Ic 카드의 결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739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6795B (zh) 多方交易的令牌聚合系统
RU2337401C2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банковских трансакций со связыванием счетов посредством общих счетов
US82713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merchant screening
US20180047112A1 (en) Transaction-history driven counterfeit fraud risk management solution
US10956899B2 (en) Mechanism to allow the use of disposable cards on a system designed to accept cards conforming to the standards of the global payments industry
US2018014433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financial transactions
CN106327175A (zh) 移动支付应用程序体系结构
US20120330825A1 (en) Processing a purchase transaction based on different payment methods
CN107251070A (zh) 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US20160110696A1 (en) Bottom of the pyramid pay method and system
US20100211503A1 (en) Double Verified Transaction Device and Method
US11055702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providing cryptocurrency cashback using blockchain technology
US1197802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access of interchange parameters to a plurality of digital applications
KR101500849B1 (ko) 카드 결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US20170039531A1 (en) Communication protocol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systems
US20200311727A1 (en) Hybrid processing for access device transactions
US201900430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action authorization
KR102630739B1 (ko) 결제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23099067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
CN102647809A (zh) 在移动通信终端内植入pboc数据处理模块的方法
CN115427999A (zh) 多功能用户装置
WO2012042277A1 (en) Transac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000823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customer device-based transactions at terminal devices
EP2184722A1 (en) Money pooling in electronic payments
JP2021144643A (ja) 電子マネーのチャージ方法及び電子マネー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